KR200459899Y1 - 솔라셀 발광 연등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솔라셀 발광 연등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899Y1
KR200459899Y1 KR2020100010705U KR20100010705U KR200459899Y1 KR 200459899 Y1 KR200459899 Y1 KR 200459899Y1 KR 2020100010705 U KR2020100010705 U KR 2020100010705U KR 20100010705 U KR20100010705 U KR 20100010705U KR 200459899 Y1 KR200459899 Y1 KR 2004598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fixing piece
light
light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근
Original Assignee
박용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근 filed Critical 박용근
Priority to KR2020100010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8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8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8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7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and the lighting unit being located within or on the sam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interchangeability, i.e. component parts being especially adapted to be replaced by another part with the same or a different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솔라셀 발광 연등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태양광으로부터 얻어진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솔라셀과, 상기 솔라셀로부터 얻어진 전원을 배터리에 충전토록 하는 한편 과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조절하는 충방전조절부와, 상기 솔라셀에 의해 충전된 배터리의 전원을 단속하여 조명부를 발광시키거나 혹은 소등토록 제어하는 점등제어부와, 외피 내부에 위치하며 발광 또는 소등하는 조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조명커버의 테두리 하단에 고정편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피의 상단 테두리 마감재에는 절개된 공간을 가진 받침살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조명커버의 고정편이 받침살의 절개된 공간 안쪽으로 내입되어 회전하면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부속품이 없이도 간단하게 조립결합이 이루어지는 한편 본체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용이하게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솔라셀 발광 연등의 조립구조{Assembly Structure of Solar Cell Lotus Lamp}
본 고안은 솔라셀 발광 연등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별도의 부속품이 없이도 간단하게 조립결합이 이루어지는 한편 본체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용이하게 재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는 솔라셀 발광 연등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축행사를 위하여 사찰이나 거리주변에 설치되는 연등은,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골조를 만든 후 그 외부에 종이나 섬유 등으로 이루어진 겉지를 감싸서 외피를 형성한 후 내부에 전구를 장착함으로써 완성되고, 특히 이때 연등은 각각의 전구들이 단일 전선 설비에 의해 일렬로 연결되어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연등은 전선 설비에 의해 일렬로 연결되기 때문에 보관하기 힘들뿐만 아니라 별도로 전원을 공급하여 주기 위한 외부 전원 시설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게 되었으며, 특히 사찰들은 외진 산속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외부 전원 시설을 더욱 마련하기가 힘들게 되었던 것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연등은 외피가 비바람에 노출되면서 찢어지거나 파손되어 버리게 되었고, 특히 상기 외피에 불자의 이름이나 기도문이 기재되어 있는 등표가 부착되면서 1회성으로 사용된 후 폐기될 수밖에 없었으며, 종래의 전구나 전원시설을 재사용하더라도 상기 전구를 외피 안쪽 공간에 위치시켜 주기 위해서는 별도의 고정수단이 요구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외부 전원 시설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본체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용이하게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별도의 부속품이 없더라도 간단하게 조립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태양광으로부터 얻어진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솔라셀과, 상기 솔라셀로부터 얻어진 전원을 배터리에 충전토록 하는 한편 과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조절하는 충방전 조절부와, 상기 솔라셀에 의해 충전된 배터리의 전원을 단속하여 조명부를 발광시키거나 혹은 소등토록 제어하는 점등제어부와, 외피 내부에 위치하며 발광 또는 소등하는 조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조명커버의 테두리에 고정편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외피의 상단 테두리 마감재에는 절개된 공간을 가진 받침살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조명커버의 고정편이 받침살의 절개된 공간 안쪽으로 내입되어 회전하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받침살의 하단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고정편이 받침살의 절개된 공간 안쪽으로 내입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받침살과 고정편이 서로 밀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고정편에 돌기를 형성하고 받침살의 하단에는 걸림홈을 형성하여 고정편이 받침살의 절개된 공간 안쪽으로 내입되어 회전하면서 고정편의 돌기가 받침살의 걸림홈에 끼워지면서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조명커버의 고정편이 받침살의 절개된 공간 안쪽으로 내입되어 회전결합하면서 별도의 부속품이 없이도 간단하게 조립결합이 이루어지게 되고, 더불어 조명커버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오랫동안 재사용할 할 수도 있게 되었다.
또한, 솔라셀을 이용함에 따라 합선이나 단선이 발생 되지 않아 화재의 위험이 없어지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해지는 효과를 가지며, 사용상의 부주의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솔라셀 발광 연등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솔라셀 발광 연등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솔라셀 발광 연등의 결합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솔라셀 발광 연등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솔라셀 발광 연등의 결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솔라셀 발광 연등의 확대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조명커버와 외피가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조명커버와 외피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1의 조명커버와 외피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골조와 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내공간을 형성하는 외피(30)와, 상기 외피(30)의 상단 테두리 마감재(31)에 끼워져 결합하며 점등 또는 소등 작업이 이루어지는 조명커버(1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조명커버(10)는 조명부(14)와 충전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외피(30)의 상단 테두리 마감재(31) 안쪽으로 내입되는 내입부와, 상기 외피(30)의 상단 테두리 마감재(31)와 접촉하여 결합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조명커버(10)의 내입부는 솔라셀(11)로부터 얻어진 전원을 배터리에 충전토록 하는 한편 과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조절하는 충방전조절부(미도시)와, 상기 솔라셀(11)에 의해 충전된 배터리의 전원을 단속하여 조명부(14)를 발광시키거나 혹은 소등토록 제어하는 점등제어부(미도시)와, 외피(30) 내부에 위치하며 발광 또는 소등하는 조명부(14)를 비롯하여 하여 이면에서 태양광으로부터 얻어진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솔라셀(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되고, 더불어 상기 조명커버(10)의 결합부는 하단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15)가 형성되어 있게 되고 상기 돌출부(15)에는 하단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고정편(16)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조명커버(10)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부와 접촉하는 외피(30) 상단의 테두리 마감재(31)에는 외측 혹은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받침살(33)이 형성되어 있고 더불어 상기 받침살(33)에는 절개된 공간(32)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조명커버(10)의 결합부와 외피(30)의 상단 테두리 마감재(31)가 접촉하게 되면, 상기 돌출부(15)의 고정편(16)이 받침살(33)의 절개된 공간(32) 안쪽으로 내입되게 되고 이때, 조명커버(10)가 회전하게 되면 받침살(33)이 고정편(16)과 돌출부(15)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게 되어 상기 결합부와 테두리 마감재(31)가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조명커버(10)의 고정편(16)이 받침살(33)의 절개된 공간(32) 안쪽으로 내입되어 회전결합이 이루어지면서 별도의 부속품이 없이도 간단하게 조립결합이 이루어지게 되고, 더불어 조명커버(10)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재사용할 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받침살(33)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 마감재(31)는 정확한 수치의 제품의 요구하지 않아 각각의 받침살(33)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더라도 마감재(31)로 사용이 가능하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받침살(33)의 하단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정편(16)이 받침살(33)의 절개된 공간(32) 안쪽으로 들어와 회전하더라도 고정편(16)과 돌출부(15)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받침살(33)과 고정편(16)이 서로 밀착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받침살(33)과 고정편(16)이 서로 밀착되면서 단단히 고정됨에 따라 받침살(33)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 마감재(31)는 정확한 수치의 사출성형을 요구하지 않아 상당한 여유도를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고정편은 결합부에 형성되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내입부의 외측 테두리에 직접 고정편을 형성하고 접촉하는 테두리마감재의 받침살을 내측으로 형성하여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예에 따라 고정편(16)에 돌기(17)를 형성하고 받침살(33)의 하단에는 걸림홈(34)을 형성하여 고정편(16)이 받침살(33)의 절개된 공간(32) 안쪽으로 내입되어 회전하면서 돌기(17)가 걸림홈(34)에 끼워져 단단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커버(10)의 내입부 하단에 결합홀(19)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홀(19)에는 기판과 연결되어 있는 조명부(14)의 전등이 끼워져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본 고안은 결합홀(19)에 끼워져 있는 전등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내장된 전선과 함께 상기 결합홀(19)에 끼워져 있는 전등을 하부로 노출시켜 발광되는 높이를 변화시켜 줄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전등은 전력소모가 적은 엘이디 전등이 적합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조명커버(10)의 결합부 상단에는 걸이부(13)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15)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조명커버(10)는 솔라셀(11) 전면에 빛과 접촉하는 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볼록하게 돌출시켜 형성된 투명체(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더불어 상기 조명커버(10)의 점등제어부와 충방전부는 기판위에 형성되며,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나 버튼 동작에 의해 조명부(14)가 동작하거나 혹은 밝기 감지 센서를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밝기 감지 센서가 감지한 사실을 바탕으로 조명부(14)를 제어한다. 이때 본 고안은 적외선 혹은 RF 통신에 의해 제어명령을 전송받는 수신부를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져 리모콘 동작에 의해 상기 조명부(14)가 동작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10:조명커버 11:솔라셀
12:기판 13:걸이부
14:조명부 15:돌출부
16:고정편 17:돌기
18:투명체 19:결합홀
30:외피 31:테두리 마감재
32:절개된 공간 33:받침살
34:걸림홈

Claims (6)

  1. 태양광으로부터 얻어진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솔라셀과, 상기 솔라셀로부터 얻어진 전원을 배터리에 충전토록 하는 한편 과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조절하는 충방전조절부와, 상기 솔라셀에 의해 충전된 배터리의 전원을 단속하여 조명부를 발광시키거나 혹은 소등토록 제어하는 점등제어부와, 외피 내부에 위치하며 발광 또는 소등하는 조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조명커버의 테두리 하단에 고정편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피의 상단 테두리 마감재에는 절개된 공간을 가진 받침살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조명커버의 고정편이 받침살의 절개된 공간 안쪽으로 내입되어 회전하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 발광 연등의 조립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살의 하단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고정편이 받침살의 절개된 공간 안쪽으로 내입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받침살과 고정편이 서로 밀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 발광 연등의 조립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의 상단에는 돌기를 형성하고 받침살의 하단에는 걸림홈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편이 받침살의 절개된 공간 안쪽으로 내입되어 회전하면서 고정편의 돌기가 받침살의 걸림홈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 발광 연등의 조립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커버는 솔라셀 전면에 빛과 접촉하는 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볼록하게 돌출시켜 형성된 투명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 발광 연등의 조립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커버의 하단에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홀에는 전선과 함께 상기 조명부의 전등이 끼워져 장착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 발광 연등의 조립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커버의 점등제어부는 밝기 감지 센서가 감지한 사실을 바탕으로 동작을 제어하거나 혹은 수신부를 통해 리모콘으로부터 전송된 제어명령을 바탕으로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 발광 연등의 조립구조.
KR2020100010705U 2010-10-19 2010-10-19 솔라셀 발광 연등의 조립구조 KR2004598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705U KR200459899Y1 (ko) 2010-10-19 2010-10-19 솔라셀 발광 연등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705U KR200459899Y1 (ko) 2010-10-19 2010-10-19 솔라셀 발광 연등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9899Y1 true KR200459899Y1 (ko) 2012-04-20

Family

ID=46607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705U KR200459899Y1 (ko) 2010-10-19 2010-10-19 솔라셀 발광 연등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89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565Y1 (ko) * 2012-08-14 2013-12-27 한창식 엘형상의 체결수단이 구비된 실내등의 구조
KR20160004483U (ko) * 2015-06-18 2016-12-28 박영민 연등용 캡의 결합구조
KR101715065B1 (ko) * 2016-06-15 2017-03-10 김명숙 연등 걸이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연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445U (ko) * 1992-06-10 1994-01-03 주인철 조립식 연등
KR100742314B1 (ko) 2005-11-23 2007-07-24 서울전력주식회사 내부전원으로 작동하는 연등용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445U (ko) * 1992-06-10 1994-01-03 주인철 조립식 연등
KR100742314B1 (ko) 2005-11-23 2007-07-24 서울전력주식회사 내부전원으로 작동하는 연등용 조명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565Y1 (ko) * 2012-08-14 2013-12-27 한창식 엘형상의 체결수단이 구비된 실내등의 구조
KR20160004483U (ko) * 2015-06-18 2016-12-28 박영민 연등용 캡의 결합구조
KR200482188Y1 (ko) * 2015-06-18 2016-12-29 박영민 연등용 캡의 결합구조
KR101715065B1 (ko) * 2016-06-15 2017-03-10 김명숙 연등 걸이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연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37831A1 (en) Tile in combination with a solar lamp
US8104914B2 (en) Light device
US20060062019A1 (en) Portable rechargeable night light
KR101083927B1 (ko)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스탠드
US20080170389A1 (en) Solar rechargeable light emitting diode lights
US20130208454A1 (en) Lighting device having multiple light chambers
US20140265905A1 (en) Switchable Light Bulb Assembly with Integral Power Source
KR200459899Y1 (ko) 솔라셀 발광 연등의 조립구조
US20110182061A1 (en) Lantern with apertured top reflector
US9500347B2 (en) Package and light device
KR100990472B1 (ko) 충전용 천장등 세트
CN205883636U (zh) 一种遥控器和照明系统
JP2017040097A (ja) 工事灯
KR20150002797U (ko) 연등용 램프
US20210180776A1 (en) Package and light device
KR20120101958A (ko) 다목적 태양광 led 연등
KR101206469B1 (ko) Led 조명장치
KR100918246B1 (ko) 보호 스크린을 가진 등기구
JP6726876B2 (ja) 照明器具
KR200258732Y1 (ko) 분리형 전기스텐드
KR200450579Y1 (ko) 태양광 바닥매입형 안내등
US8672527B2 (en) Luminous light apparatus
JP3153544U (ja) 無線制御かつ電源内蔵式の照明れんが
KR101369247B1 (ko) Led를 이용한 촛불
CN220733050U (zh) 灯具及遥控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