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356Y1 - 수중 랜턴 - Google Patents

수중 랜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356Y1
KR200483356Y1 KR2020170001146U KR20170001146U KR200483356Y1 KR 200483356 Y1 KR200483356 Y1 KR 200483356Y1 KR 2020170001146 U KR2020170001146 U KR 2020170001146U KR 20170001146 U KR20170001146 U KR 20170001146U KR 200483356 Y1 KR200483356 Y1 KR 2004833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
waterproof unit
button
head hous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1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석
조안상
Original Assignee
최현석
조안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석, 조안상 filed Critical 최현석
Priority to KR20201700011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3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3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3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4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1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 F21Y2113/13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comprising an assembly of 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02J2007/00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수중 랜턴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터리가 내장되는 손잡이하우징과, 상기 손잡이하우징의 선단측에 결합되며, 상측에 수직방향 삽입공이 형성된 헤드하우징과, 상기 헤드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헤드하우징의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엘이디와, 상단이 개방된 원통형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에 하향으로 압입되며 바닥면에 압입공이 형성되는 방수유닛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방수유닛의 내부에 삽입되되 하측 끝단이 상기 압입공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관통하는 조작버튼과, 상기 손잡이하우징에 내장된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되 상기 헤드하우징의 내부공간 중 상기 삽입공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삽입공을 향해 빛을 발광하는 표시광엘이디와, 상기 조작버튼이 하강되었을 때 가압되도록 상기 표시광엘이디에 장착되어 상기 조명엘이디의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수중 랜턴 {Lantern for underwater}
본 고안은 물속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중 랜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방수성이 매우 우수하고 배터리 잔량 확인이 가능하여 배터리 방전으로 인한 사용불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중 랜턴에 관한 것이다.
수중 다이버나 소방대원들은 물속 또는 소화수가 뿌려지는 상황에서 랜턴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방수 기능이 뛰어난 수중 랜턴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수중 랜턴은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방수처리가 되어 있으나, 두 개의 하우징 사이에 오링이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방수성이 높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조작 버튼이 장착된 부위로 물이 유입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내구성이 높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수중 조명 장치의 대부분은 배터리 잔량을 체크할 수 없어 작업시간이 긴 수중 작업 중에 배터리가 전부 방전되어 사용자가 위험에 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배터리의 잔량 검지 장치가 장착되어 있더라도 수중 조명 장치 자체에 고정적으로 내장된 배터리를 사용하므로 사용자가 임의로 배터리 교체가 불가능하며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시에는 조명장치 자체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중에서도 사용 가능하도록 방수기능을 가지며 밧데리 교체가 가능한 수중 랜턴(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62203호)이 제안된바 있으나, 이와 같은 수중 랜턴 역시 조작버튼 주변의 방수성능이 높지 아니하여 누수의 우려가 있고, 배터리 잔량표시 기능은 구비되지 아니한다는 단점이 있다.
KR 10-2008-0062203 A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조작버튼 주변의 방수성이 우수하고, 배터리 잔량이 외부로 표시될 수 있어 배터리 교환시기를 예측할 수 있는 수중 랜턴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수중 랜턴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터리가 내장되는 손잡이하우징;
상기 손잡이하우징의 선단측에 결합되며, 상측에 수직방향 삽입공이 형성된 헤드하우징;
상기 헤드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헤드하우징의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엘이디;
상단이 개방된 원통형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에 하향으로 압입되며, 바닥면에 압입공이 형성되는 방수유닛;
상기 방수유닛의 상단에 안착되는 버튼블록과, 상기 버튼블록의 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방수유닛의 내부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는 슬라이드블록과,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하측 끝단이 상기 압입공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관통하는 버튼샤프트로 구성되는 조작버튼;
상기 손잡이하우징에 내장된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되, 상기 헤드하우징의 내부공간 중 상기 삽입공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삽입공을 향해 빛을 발광하는 표시광엘이디;
상기 조작버튼이 하강되었을 때 상기 버튼샤프트에 의해 가압되도록 상기 표시광엘이디에 장착되되, 상기 버튼샤프트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 상기 조명엘이디의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
를 포함하되,
상기 조작버튼과 방수유닛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표시광엘이디의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재료로 제작된다.
상기 헤드하우징 중 상기 삽입공의 상단입구 주변에는 수평방향으로 평평한 안착턱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유닛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원통형 용기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안착턱 상면에 안착되는 플랜지부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압착돌부로 구성되며,
상기 압착돌부의 외경은 상기 삽입공의 내경보다 크게 제작되되, 상기 방수유닛은 사전에 설정된 범위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삽입공 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압착돌부는 상기 삽입공의 내벽에 압착된다.
상기 몸체부 내부에는 오링이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오링의 외측단은 상기 몸체부의 내벽에 밀착되고, 상기 오링의 내측단은 상기 버튼샤프트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표시광엘이디는, 상기 배터리 잔량이 30% 이상인 경우 녹색광을 출력하고, 상기 배터리 잔량이 30% 미만인 경우 적색광을 출력하도록 설정된다.
본 고안에 의한 수중 랜턴은, 조작버튼 주변의 방수성이 우수하여 내구성이 높고, 배터리 잔량이 기준치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 이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가 배터리 교환시기를 예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수중 랜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수중 랜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방수유닛이 삽입공에 장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조작버튼이 방수유닛이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수중 랜턴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수중 랜턴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수중 랜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수중 랜턴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수중 랜턴은 물 속에서 온/오프 조작을 하더라도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아니하도록 하우징의 연결부위가 방수처리된 랜턴으로서, 온/오프 조작을 위한 조작부가 슬라이딩 방식이 아니라 버튼 방식으로 적용되더라도 조작부 주변을 통해 물이 유입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되며, 배터리 잔량이 기준치 미만으로 떨어졌을 때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구비한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수중 랜턴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터리(미도시)가 내장되는 손잡이하우징(100)과, 상기 손잡이하우징(100)의 선단측에 결합되며, 상측에 수직방향 삽입공(210)이 형성된 헤드하우징(200)과, 상기 헤드하우징(200)에 장착되어 상기 헤드하우징(200)의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엘이디(300)와, 상단이 개방된 원통형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210)에 하향으로 압입되며 바닥면에 압입공(420)이 형성되는 방수유닛(400)과, 상기 방수유닛(400)의 상단에 안착되는 버튼블록(520)과 상기 버튼블록(520)의 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방수유닛(400)의 내부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는 슬라이드블록(530)과 상기 슬라이드블록(530)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하측 끝단이 상기 압입공(420)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관통하는 버튼샤프트(510)로 구성되는 조작버튼(500)과, 상기 손잡이하우징(100)에 내장된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되 상기 헤드하우징(200)의 내부공간 중 상기 삽입공(210)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삽입공(210)을 향해 빛을 발광하는 표시광엘이디(600)와, 상기 조작버튼(500)이 하강되었을 때 상기 버튼샤프트(510)에 의해 가압되도록 상기 표시광엘이디(600)에 장착되되 상기 버튼샤프트(510)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 상기 조명엘이디(300)의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하우징(100)과 헤드하우징(200)은 내부의 각종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로 제작되되, 상기 방수유닛(400)은 삽입공(210)을 확실하게 실링할 수 있도록 실리콘 등과 같이 일정 수준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상기 방수유닛(40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조작버튼(500)이 승강되더라도 슬라이드블록(530)이 방수유닛(400) 내벽에 밀착된 상태를 항상 유지하는바, 조작버튼(500)과 방수유닛(400) 사이로 물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방수유닛(400)이 실리콘과 같이 마찰계수가 높은 재료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슬라이드블록(530)과 방수유닛(400) 간의 마찰력이 매우 높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530)이 원활하게 슬라이딩되지 못할 수도 있으나, 상기 방수유닛(400)이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력이 높은 재료로 제작되면 조작버튼(500)이 하강할 때 방수유닛(400)이 일정 수준 늘어날 수 있으므로 조명엘이디(300) 점멸을 위한 스위치(700)는 정상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고 있지 아니하지만, 슬라이드블록(530)과 방수유닛(400) 간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블록(530)과 방수유닛(400)이 서로 접촉되는 면에는 구리스 등과 같은 유성윤활제가 도포될 수도 있다.
이때, 배터리가 내장되는 손잡이하우징(100)과 조명엘이디(300)가 내장되는 헤드하우징(200)은 종래의 수중 랜턴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상기 손잡이와 조명엘이디(300)와 헤드하우징(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표시광엘이디(600)는 손잡이하우징(100)에 내장되는 배터리의 잔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감지하여, 배터리 잔량이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빛으로 알리기 위한 구성요소인데, 이와 같이 배터리의 잔량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은 본 고안이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상용화되어 있으므로 배터리의 잔량을 감지하는 구조 및 감지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본 고안에 의한 수중 랜턴은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광엘이디(600)가 헤드하우징(200)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표시광엘이디(600)에서 발광된 빛이 헤드하우징(200) 외부로 인출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표시광엘이디(600)의 상측에 위치하는 구성요소 즉, 조작버튼(500)과 방수유닛(4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투명 재료(더 명확하게는 표시광엘이디(600)의 빛이 투과할 수 있을 정도의 투명도를 갖는 재료)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광엘이디(600)에서 발광된 빛이 버튼블록(520)의 상면으로만 출력되도록 상기 조작버튼(500)만이 투명재료로 제작될 수도 있고, 표시광엘이디(600)에서 발광된 빛이 방수유닛(400)을 타고 간접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방수유닛(400)만이 투명재료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광엘이디(600)는 배터리 잔량에 따라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되는바, 사용자는 방수유닛(400)이나 조작버튼(500)을 통해 헤드하우징(200) 외부로 인출되는 빛의 색상을 보고 배터리 잔량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배터리 잔량이 30% 이상인 경우 표시광엘이디(600)가 녹색광을 출력하고, 상기 배터리 잔량이 30% 미만인 경우 표시광엘이디(600)가 적색광을 출력하도록 설정되는 경우, 사용자는 방수유닛(400)이나 조작버튼(500)을 통해 적색광이 출력되었을 때 배터리 교체시기가 도래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수중 작업 중 갑작스럽게 조명엘이디(300)의 발광이 중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표시광엘이디(600)가 적색광을 출력하는 시점은 제품 설계자의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즉, 배터리 잔량이 20% 미만이 되었을 때 표시광엘이디(600)가 적색광을 출력하도록 설정되거나, 배터리 잔량이 10% 미만이 되었을 때 표시광엘이디(600)가 적색광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그러나 잠수사가 한 번 잠수하면 수 십분 또는 수 시간 동안 수중작업을 지속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표시광엘이디(600)는 배터리 교체시기를 보다 일찍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배터리 잔량이 30% 미만이 되었을 때 적색광을 출력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방수유닛(400)이 삽입공(210)에 장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이고, 도 4는 조작버튼(500)이 방수유닛(400)이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수중 랜턴은, 조명엘이디(300) 온/오프를 위한 조작버튼(500)이 슬라이딩 방식이 아닌 가압버튼 방식으로 구성되므로, 상기 방수유닛(400)이 하강하는 조작버튼(500)을 따라 하강하여 삽입공(210) 내부로 완전히 밀려 들어갈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수중 랜턴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하우징(200) 중 상기 삽입공(210)의 상단입구 주변에는 수평방향으로 평평한 안착턱(220)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유닛(400)은 삽입공(210)에 삽입되는 원통형 용기 형상의 몸체부(410)와 상기 몸체부(410)의 상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안착턱(220) 상면에 안착되는 플랜지부(430)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410)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압착돌부(4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몸체부(410)의 상단에 플랜지부(430)가 구비되면, 조작버튼(500)이 하향 가압되어 아래로 내려갈 때 상기 방수유닛(400)에도 하향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상기 플랜지부(430)가 안착턱(220) 상면에 안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몸체부(410)는 아래로 내려가지 아니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몸체부(410)의 외경에 구비된 링 형상의 압착돌부(440)는 몸체부(410)와 삽입공(210) 간의 방수성을 더욱 높이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상기 압착돌부(440)의 외경은 상기 삽입공(210)의 내경보다 크게 제작된다. 상기 방수유닛(400)은 실리콘 등과 같이 사전에 설정된 범위의 탄성을 갖는 연성 합성수지로 제작되는바, 압착돌부(440)의 외경이 삽입공(210)의 내경보다 크게 제작되더라도 압착돌부(440)는 일정 비율 압축되어 삽입공(210) 내부에 인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몸체부(410)와 삽입공(210) 사이는 더욱 확실하게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슬라이드블록(530)의 외측면과 몸체부(410)의 내측면 사이를 통해 어느 정도의 물이 유입되더라도, 스위치(700)나 표시광엘이디(600)가 위치한 지점으로는 유입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몸체부(410) 내부에는 오링(80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오링(800)의 외측단은 상기 몸체부(410)의 내벽에 밀착되고, 상기 오링(800)의 내측단은 상기 버튼샤프트(510)의 외측면에 밀착되는바, 버튼샤프트(510)의 외측면과 압입공(420) 내측면 사이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오링(800)은 방수제품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와 다양한 용도로 매우 널리 상용화되어 있는바, 상기 오링(800)의 재질이나 구조,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수중 랜턴의 사용상태도이다.
사용자가 조작버튼(500)을 누르지 아니하는 동안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블록(520)의 저면이 몸체부(410)의 상단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이에 따라 버튼샤프트(510)의 하측 끝단은 스위치(700)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조작버튼(500)이 전체적으로 상승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상기 슬라이드블록(530)은 몸체부(4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방수유닛(400)과 조작버튼(500) 사이로 물이 유입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아니한다.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블록(520)의 상면을 하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슬라이드블록(530)은 몸체부(410)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방식으로 하강하고, 버튼샤프트(510) 역시 하강하게 되어 하측 끝단이 스위치(700)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조명엘이디(300)는 스위치(700)의 가압에 따라 오/오프 되는데, 상기 스위치(700)의 가압시간이 기준치 이상 유지되었을 때 조명엘이디(300)의 온/오프가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700)가 3초 이상 가압되었을 때 조명엘이디(300)가 온되고, 상기 스위치(700)가 또 다시 3초 이상 가압되었을 때 조명엘이디(300)가 오프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치(700)가 일정시간 이상 가압되었을 때 조명엘이디(300)의 온/오프가 제어되도록 구성되면,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조명엘이디(300)가 온/오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손잡이하우징 200 : 헤드하우징
210 : 삽입공 220 : 안착턱
300 : 조명엘이디 400 : 방수유닛
410 : 몸체부 420 : 압입공
430 : 플랜지부 440 : 압착돌부
500 : 조작버튼 510 : 버튼샤프트
520 : 버튼블록 530 : 슬라이드블록
600 : 표시광엘이디 700 : 스위치
800 : 오링

Claims (4)

  1.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터리가 내장되는 손잡이하우징(100);
    상기 손잡이하우징(100)의 선단측에 결합되며, 상측에 수직방향 삽입공(210)이 형성된 헤드하우징(200);
    상기 헤드하우징(200)에 장착되어 상기 헤드하우징(200)의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엘이디(300);
    상단이 개방된 원통형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210)에 하향으로 압입되며, 바닥면에 압입공(420)이 형성되는 방수유닛(400);
    상기 방수유닛(400)의 상단에 안착되는 버튼블록(520)과, 상기 버튼블록(520)의 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방수유닛(400)의 내부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는 슬라이드블록(530)과, 상기 슬라이드블록(530)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하측 끝단이 상기 압입공(420)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관통하는 버튼샤프트(510)로 구성되는 조작버튼(500);
    상기 손잡이하우징(100)에 내장된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되, 상기 헤드하우징(200)의 내부공간 중 상기 삽입공(210)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삽입공(210)을 향해 빛을 발광하는 표시광엘이디(600);
    상기 조작버튼(500)이 하강되었을 때 상기 버튼샤프트(510)에 의해 가압되도록 상기 표시광엘이디(600)에 장착되되, 상기 버튼샤프트(510)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 상기 조명엘이디(300)의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700);
    를 포함하되,
    상기 조작버튼(500)과 방수유닛(4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표시광엘이디(600)의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재료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랜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하우징(200) 중 상기 삽입공(210)의 상단입구 주변에는 수평방향으로 평평한 안착턱(220)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유닛(400)은, 상기 삽입공(210)에 삽입되는 원통형 용기 형상의 몸체부(410)와, 상기 몸체부(410)의 상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안착턱(220) 상면에 안착되는 플랜지부(430)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410)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압착돌부(440)로 구성되며,
    상기 압착돌부(440)의 외경은 상기 삽입공(210)의 내경보다 크게 제작되되, 상기 방수유닛(400)은 사전에 설정된 범위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상기 몸체부(410)가 상기 삽입공(210) 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압착돌부(440)는 상기 삽입공(210)의 내벽에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랜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410) 내부에는 오링(800)이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오링(800)의 외측단은 상기 몸체부(410)의 내벽에 밀착되고, 상기 오링(800)의 내측단은 상기 버튼샤프트(510)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랜턴.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광엘이디(600)는, 상기 배터리 잔량이 30% 이상인 경우 녹색광을 출력하고, 상기 배터리 잔량이 30% 미만인 경우 적색광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랜턴.
KR2020170001146U 2017-03-10 2017-03-10 수중 랜턴 KR2004833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146U KR200483356Y1 (ko) 2017-03-10 2017-03-10 수중 랜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146U KR200483356Y1 (ko) 2017-03-10 2017-03-10 수중 랜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356Y1 true KR200483356Y1 (ko) 2017-05-04

Family

ID=58716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146U KR200483356Y1 (ko) 2017-03-10 2017-03-10 수중 랜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35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2914A (zh) * 2019-05-15 2019-09-17 好优投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水下多光谱激光照明器
KR20200114311A (ko) * 2019-03-28 2020-10-07 (주)엘에프라이팅 Led 발광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993U (ko) * 1998-11-28 2000-06-26 윤종용 방수수단을 갖는 키 입력장치
KR200380392Y1 (ko) * 2005-01-08 2005-03-30 성 배 정 휴대용 탐조등 스위치의 방수용 누름버튼 구조
JP2007220348A (ja) * 2006-02-14 2007-08-30 Citizen Electronics Co Ltd 照光式スイッチ
KR20080062203A (ko) 2006-12-29 2008-07-03 주식회사 유토테크 비상 조명 및 밧데리 잔량 표시 장치가 구비된 수중 랜턴
KR101105089B1 (ko) * 2010-05-07 2012-01-16 윤삼걸 방수손전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993U (ko) * 1998-11-28 2000-06-26 윤종용 방수수단을 갖는 키 입력장치
KR200380392Y1 (ko) * 2005-01-08 2005-03-30 성 배 정 휴대용 탐조등 스위치의 방수용 누름버튼 구조
JP2007220348A (ja) * 2006-02-14 2007-08-30 Citizen Electronics Co Ltd 照光式スイッチ
KR20080062203A (ko) 2006-12-29 2008-07-03 주식회사 유토테크 비상 조명 및 밧데리 잔량 표시 장치가 구비된 수중 랜턴
KR101105089B1 (ko) * 2010-05-07 2012-01-16 윤삼걸 방수손전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311A (ko) * 2019-03-28 2020-10-07 (주)엘에프라이팅 Led 발광 조립체
KR102270929B1 (ko) 2019-03-28 2021-06-30 (주)엘에프라이팅 Led 발광 조립체
CN110242914A (zh) * 2019-05-15 2019-09-17 好优投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水下多光谱激光照明器
CN110242914B (zh) * 2019-05-15 2024-05-24 好优投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水下多光谱激光照明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11003577A (es) Dispositivo de iluminacion de uso multiple con barra luminosa electronica.
US7883235B2 (en) Hermetically sealed flashlight assembly
US9217547B2 (en) Battery powered light with alignment mechanism
US6942354B2 (en) Lighting system and housing therefore
TWI681376B (zh) 顯示燈
US20100157582A1 (en) Multipurpose waterproof lighting device with electronic glow stick
CN213352520U (zh) 手持式个人护理装置
KR200483356Y1 (ko) 수중 랜턴
CA2829393C (en) Systems and methods for underwater lighting
US10825313B2 (en) Hazard detector with optical status indicator
KR101711395B1 (ko) 다용도 재난안전용 랜턴
TWI611144B (zh) 顯示燈
US20130105434A1 (en) Novelty bottle cap
US20180017246A1 (en) Multiple Functional Lighting Apparatus
US6824116B1 (en) Valve of infrared operated automatic water supplier
US20150176789A1 (en) Composite floating light assembly
JP2009139116A (ja) 照明付真空箱
KR200477712Y1 (ko) 조명등이 구비된 미끄럼틀
KR200401221Y1 (ko) 구명 튜브
CA2806650C (en) Maritime light source
US6964494B2 (en) Safety/warning device
JP5517218B2 (ja) ガスメーターの復帰ボタン用照明装置
KR20080062203A (ko) 비상 조명 및 밧데리 잔량 표시 장치가 구비된 수중 랜턴
US11378437B2 (en) Fluid level gauge or reservoir with built-in light source
JP4651080B2 (ja) 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