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1320B1 - 발광장치 - Google Patents

발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1320B1
KR100741320B1 KR1020060127601A KR20060127601A KR100741320B1 KR 100741320 B1 KR100741320 B1 KR 100741320B1 KR 1020060127601 A KR1020060127601 A KR 1020060127601A KR 20060127601 A KR20060127601 A KR 20060127601A KR 100741320 B1 KR100741320 B1 KR 100741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ed
battery
plat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7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스타
Priority to KR1020060127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1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1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1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배드민턴용 셔틀콕(Shuttle cock)이나 야간용 낚시 장비 또는 등산용 지팡이 같은 다양한 종류의 피부착물에 장착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발광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되, 소등된 상태에서 조작노브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90°만큼 회전시키면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면서 점등될 수 있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반복적인 충격힘이 인가되더라도 임의로 스위칭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아 점등제어동작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고, 배터리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피부착물에 대하여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발광장치가 개시된다.
발광장치, 스위칭부재, 셔틀콕

Description

발광장치{A LIGHT EMIT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를 나타내는 확대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에서 스위칭부재를 나타내는 확대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의 결합상태 확대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의 소등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의 점등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가 배드민턴의 셔틀콕에 적용되어 점등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하우징 12b : 접속턱
14 : LED홀더 16 : 배터리
16a : 음극부(-) 16b : 양극부(+)
18 : LED 20 : 반사갓
22 : 절연쉬트(Sheet) 24 : 내부케이스
30 : 스위칭부재 32 : 접속판
32a : 회전축 34 : 스프링
36 : 회전판 36c : 돌출부
38 : 회전안내판 38b : 제1안착홈
38c : 제2안착홈 40 : 조작노브
42 : 접속봉 36a, 38a : 회전축삽입공.
본 발명은 발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드민턴용 셔틀콕(Shuttle cock)이나 야간용 낚시 장비 또는 등산용 지팡이 같은 다양한 종류의 피부착물에 장착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발광다이오드(Light Eitting Diode:LED)를 발광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되, 소등된 상태에서 조작노브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90°만큼 회전시키면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면서 점등될 수 있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반복적인 충격힘이 인가되더라도 임의로 스위칭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아 점등제어동작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배터리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피부착물에 대하여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가활동시간이 증대되면서 등산이나 낚시 등 다양한 레져활동을 즐기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고, 또 야간에 활동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집주변의 공원이나 스포츠시설에서 배드민턴 같은 가벼운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레져활동이나 가벼운 운동에 사용되는 기구에는 야간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빛을 발광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소형 발광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데, 실제로 실용신안등록 제20-333646호(명칭: 발광장치를 갖춘 배드민턴 셔틀콕)와 실용신안등록 제20-0333712호(명칭: 발광 배드민턴 셔틀콕)에서와 같이 배드민턴 셔틀콕에 발광장치가 적용된 고안이 제안되었고, 실용신안등록 제20-0311447호(명칭: 다목적 조명장치)에서와 같이 야간 낚시용이나 등산용 지팡이 또는 독서대와 같이 국부조명이 요구되는 제품에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소형 발광장치가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발광장치는 모두 하우징 내부에 배터리를 수납하고, 하우징의 선단부에는 LED를 설치하여 구성되며,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 LED로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동작에 의하여 LED가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발광장치의 경우 배터리로부터 LED로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스위칭구조로서, 한번 누르면 점등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소등되는 통상의 원터치식 스위치가 적용되거나 또는 스위치노브를 좌측이나 우측으로 젖히면 점등되고, 반대방향으로 젖히면 소등되도록 한 매우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진동이 인가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반복적으로 충격력이 인가되는 경우 점등상태로부터 임의로 소등되거나 소등상태로부터 임의로 점등되는 등 점등제어동작이 매우 불안정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의 발광장치의 경우 셔틀콕 등 피부착물에 한번 장착된 상태에서는 배터리의 교체가 불가능하고, 부품의 수리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배드민턴용 셔틀콕이나 야간 낚시 장비 또는 등산용 지팡이 같은 다양한 종류의 피부착물에 장착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LED를 발광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되, 소등된 상태에서 조작노브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90°만큼 회전시키면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면서 점등될 수 있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반복적인 충격힘이 인가되더라도 임의로 스위칭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아 점등제어동작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고, 배터리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피부착물에 대하여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발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는 정해진 길이와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내표면에 전도성의 금속물질이 코팅되며, 내측 둘레면의 상부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아랫부분에 접속턱이 형성되는 한편, 하단부 외측 둘레면에는 피부착물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는 소정폭의 걸림턱이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과; 내부가 비어 있고, 외측 둘레면에 상기 하우징의 상부 내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내부 바닥면에는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전도성 재질로 된 원통형의 LED홀더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통하여 내부로 끼워진 상태에서 직렬연결되는 다수개의 배터리와; 상기 LED홀더의 내부에 끼워져 고정되며, 저면 중심으로부터 아랫쪽으로는 하우징내부에 수납된 배터리의 음극부(-)와 접속되는 리드(Lead)편이 연장형성된 LED와; 상기 LED의 둘레면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LED홀더의 내측 둘레면에 끼워져 고정되는 반사갓과; 상기 배터리수납부위에 해당되는 하우징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설치되는 절연쉬트와; 상기 하우징의 윗쪽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어 그 상단부가 절연쉬트의 하단 위치위치에 이르도록 끼워져 결합되며, 외측 둘레면상의 소정 높이에는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설계에 따라 정해지는 각도 범위에 걸쳐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그 하단부 내주면에 받침턱이 형성된 비전도성 재질의 원통형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의 안쪽으로 끼워져 결합되어 하우징내에 수납된 배터리의 양극부(+)와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외력의 작용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90°만큼 회전되는 동작에 의하여 높이가 달라지면서 하우징 내주면 아랫부분에 형성된 접속턱과 접속되거나 또는 이격(離隔)되면서 하우징을 경유하여 LED로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스위칭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위칭부재는 전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된 배터리중 가장 아랫쪽에 위치하는 배터리 저면의 양극부(+)와 면접촉되며, 저면 중심으로부터 아랫쪽으로는 외주면상에 끼움공이 형성된 회전축이 일체로 형성된 원판형태의 접속판과; 상기 회전축의 상부 외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항상 윗쪽으로 탄성작용하면서 접속판이 항상 배터리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스프링과; 중심부에 상기 접속판상의 회전축이 끼워지는 회전축삽입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상에는 끼움공이 형성되는 한편, 저면의 회전축삽입공의 좌우 양측에는 한쌍의 돌출부가 형성된 환형(環形)의 회전판과;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측 하단부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판의 저면과 면접촉되도록 배치되며, 중심에는 상기 접속판상의 회전축이 끼워지는 회전축삽입공이 형성되고, 상부면에서 회전축삽입공을 통과하는 한쪽 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깊은 깊이를 가지며, 회전판상의 돌출부가 안착되는 제1안착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1안착홈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얕은 깊이를 갖는 제2안착홈이 형성된 환형(環形)의 회전안내판과; 상기 회전안내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부면 중심부에는 접속판상의 회동축의 하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그 하단부는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조작노브(Knob)와; 상기 회전판상의 끼움공과 접속판상의 회전축에 형성된 끼움공을 통하여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조작노브의 회전조작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판상의 돌출부가 회전안내판상의 제1안착홈 또는 제2안착홈에 끼워지는 동작에 따라 하우징상의 접속턱에 접속되거나 접속턱으로부터 상방으로 정해진 높이 만큼 이격(離隔)되면서 배터리의 양극부(+)로부터 하우징을 경유하여 LED로 흐르는 전류를 단속하는 접속봉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를 나타내는 확대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에서 스위칭부재를 나타내는 확대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의 결합상태 확대 단면 사시도이다.
또,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의 소등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 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의 점등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또,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가 배드민턴의 셔틀콕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10)는 피부착물에 대하여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며, 배터리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반복적인 충격힘이 가해지더라도 점등제어동작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사용 상의 편의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발광장치(10)는 원통형의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LED홀더(14)와, 다수개의 배터리(16)와, 상기 LED홀더(14)에 끼워지 결합되는 LED(18)와, LED(18)과 결합되어 발광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갓(20)과, 절연쉬트(22)와, 내부케이스(24) 및 상기 내부케이스(24)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터리(16)의 양극부(+:16b)로부터 하우징(12)을 경유하여 LED(18)로 흐르는 전류를 단속하여 LED(18)가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제어하는 스위칭부재(3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12)은 정해진 길이와 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재질자체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내표면에 전도성의 금속물질이 코팅되고, 내측 둘레면의 상부에는 나사부(12a)가 형성되며, 내측 둘레면의 하부에는 접속턱(12b)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하우징(12)의 하단부 외측 둘레면에는 피부착물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12c)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12c)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는 소정 폭의 걸 림턱(12d)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LED홀더(14)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측 둘레면에는 상기 하우징(12)의 상부 내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나사부(14a)가 형성되며, 내부 바닥면에는 하우징(12)의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공(14b)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12)의 상부를 통하여 내부로는 다수개의 배터리(16)가 수납되어 직렬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LED홀더(14)의 내부에는 LED(18)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LED(18)의 저면 중심으로부터 아랫쪽으로는 하우징(12)내부에 수납된 배터리(16)의 음극부(-:16a)와 접속되는 리드편(Lead:18a)이 연장형성되는데, 상기 리드편(18a)은 LED홀더(14)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공(14b)을 통하여 하우징(12)내부로 끼워져 배터리(16)의 음극부(-:16a)와 접속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LED(18)는 단색광은 물론, 컬러다변집적회로(IC)에 의해 다양한 색상으로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LED(18)의 둘레면에는 LED(18)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반사시켜주는 반사갓(20)이 끼워져 결합되는데, 상기 반사갓(20)은 LED(18)와 결합된 상태에서 LED홀더(14)의 내측 둘레면에 끼워져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터리수납위치에 해당되는 하우징(12)의 내측 둘레면상에는 별도로 마련되는 절연쉬트(22)가 부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12)의 내부 아랫쪽에는 비전도성 재질로 된 원통형의 내부케이스(24)가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내부케이스(24)는 하우징(12)의 윗쪽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어 그 상단부가 절연쉬트(22)의 하단 위치에 이르도록 끼워져 결합되며, 그 외측 둘레면상의 소정 높이에는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설계에 따라 정해진 각도 범위에 걸쳐 가이드공(24a)이 형성되고, 그 하단부 내주면에는 받침턱(24b)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부케이스(24)의 안쪽에는 하우징(12)내에 수납된 배터리(16)의 양극부(+:16b)와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되, 외력의 작용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90°만큼 회전되는 동작에 의하여 높이가 달라지면서 하우징(12) 내주면 아랫부분에 형성된 접속턱(12b)과 접속되거나 또는 접속턱(12b)로부터 상방으로 정해진 높이 만큼 이격(離隔)되면서 하우징(12)과 LED홀더(14)를 경유하여 LED(18)로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스위칭부재(30)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스위칭부재(30)는 배터리(16)의 양극부(+:16b)와 접촉되는 접속판(32)과, 스프링(34)과, 회전판(36)과, 상기 회전판(36)의 회전동작을 안내하는 회전안내판(38)과, 조작노브(40) 및 접속봉(4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판(32)은 전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하우징(12)의 내부에 수납된 배터리(16)중 가장 아랫쪽에 위치하는 배터리 저면의 양극부(+:16b)와 면접촉되도록 구성되며, 그 저면 중심으로부터 아랫쪽으로는 외주면상에 끼움공(32b)이 형성된 회전축(32a)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34)은 접속판(32)상의 회전축(32a)의 상부 외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윗쪽으로 탄성작용하면서 접속판(32)이 항상 배터리(16)의 양극부(+:16b)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스위칭부재(30)에서 상기 회전판(36)은 정해진 크기를 갖는 환형(環形)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중심부에는 접속판(32)으로부터 연장되는 회전축(32a)이 끼워지는 회전축삽입공(36a)이 형성되고, 그 외측 둘레면상에는 끼움공(36b)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그 저면에는 회전축삽입공(36a)의 좌우 양측으로 한쌍의 돌출부(36c)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안내판(38)은 회전판(36)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환형(環形)으로 이루어져 상기 내부케이스(24)의 내측 하단부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판(36)의 저면과 면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회전안내판(38)의 중심에는 접속판(32)으로부터 연장되는 회전축(32a)이 끼워지는 회전축삽입공(38a)이 형성되고, 그 상부면에는 회전축삽입공(38a)을 통과하는 한쪽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깊은 깊이를 가지며, 회전판(36)상의 돌출부(36c)가 안착되는 제1안착홈(38b)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1안착홈(38b)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얕은 깊이를 갖는 제2안착홈(38c)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스위칭부재(30)에서 상기 회전안내판(38)의 하부에는 조작노브(40)가 배치되는데, 상기 조작노브(40)의 상부면 중심부에는 접속판(32)으로부터 연장된 회전축(32a)의 하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그 하단부는 하우징(12)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32)과 조작노브(40)의 고정결합을 위하여 회전축(32a)의 하단부 에는 D-컷부(32c)가 형성되고, 조작노브(40)의 상부면에는 D-컷홈(40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속봉(42)은 전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회전판(36)상의 끼움공(36b)과 접속판(32)상의 회전축(32a)에 형성된 끼움공(32b) 및 내부케이스(24)상의 가이드공(24a)을 통하여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접속봉(42)은 조작노브(40)의 회전조작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판(36)상의 돌출부(36c)가 회전안내판(38)상의 제1안착홈(38b) 또는 제2안착홈(38c)에 끼워지는 동작에 따라 그 높이가 달라지면서 하우징(12)상의 접속턱(12b)에 접속되거나 접속턱(12b)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離隔)되면서 배터리(16)의 양극부(+:16b)로부터 하우징(12)을 경유하여 LED(18)로 흐르는 전류를 단속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스위칭부재(30)에서 회전안내판(38)상의 제1안착홈(38b)과 제2안착홈(38c)의 깊이 차이는 접속봉(42)이 하우징(12)의 접속턱(12b)에 접촉된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는 높이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배터리(16) 수납부위에 해당되는 하우징(12)의 내측 둘레면에 절연쉬트(22)를 부착하고, 내부케이스(24)의 윗쪽으로부터 내측으로 스위칭부재(30)를 구성하는 조작노브(40)와, 회전안내판(38), 회전판(36), 스프링(34) 및 접속판(32)을 순차적으로 끼워 결합하고, 내부케이스(24)상의 한쪽 가이드공(24a)을 통하여 접속봉(42)을 끼워 그 접속봉(42)의 반대쪽 끝이 회전판(36)상의 끼움공(36b)과 접속판(32)상의 회전축(32a)에 형성된 끼움공(32b) 및 내부케이스(24)상의 반대쪽 가이드공을 경유하여 반대쪽으로 돌출되도록 결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스위칭부재(30)가 결합된 내부케이스(24)를 하우징(12)의 윗쪽으로부터 내측으로 끼워 결합하면, 조작노브(40)의 하단이 하우징(12)의 저면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그런 다음, 상기 하우징(12)의 상부로부터 내측으로 다수개의 배터리(16)를 직렬연결되도록 수납하고, 반사갓(20)이 결합된 LED(18)를 LED홀더(14)에 끼워 넣은 후 LED홀더(14)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된 나사부(14a)를 하우징(12)의 내측 둘레면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12a)에 맞추어 나사결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1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는 LED(18)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리드편(18a)이 LED홀더(14)상의 관통공(14b)를 통하여 하우징(12) 내측으로 끼워져 배터리(16)의 음극부(-:16a)와 접속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결합되어 스위칭부재(30)를 구성하는 회전판(36)상의 돌출부(36c)가 상대적으로 얕은 깊이를 갖는 제2안착홈(38c)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봉(42)이 하우징(12)상의 접속턱(12b)의 상방으로 이격된 상태가 되어 배터리(16)의 양극부(+:16b)로부터 접속판(32), 접속봉(42), 하우징(12) 및 LED홀더(14)를 경유하여 LED(18)로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이 차단됨에 따라 LED(18)는 소등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우징(12)의 외측으로 노출된 조작노브(4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90°만큼 회전시키면, 조작노브(40)와 고정결합된 회전축(32a) 및 접속판(32)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접속봉(42)이 끼워진 회전판(36) 또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2안착홈(38c)에 안착되어 있던 회전판(36)상의 돌출부(36c)가 90°만큼 회전되어 회전안내판(38)상의 제1안착홈(38b)에 끼워져 안착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안내판(38)상의 제1안착홈(38b)의 깊이가 제2안착홈(38c)의 깊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깊기 때문에 회전판(36)이 아랫쪽으로 하강되고, 이에 따라 회전판(36)상에 끼워진 접속봉(42)이 하우징(12)상의 접속턱(12b)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접속봉(42)이 하우징(12)상의 접속턱(12b)에 접촉되면, 배터리(16)의 음극부(-:16a)로부터는 LED(18)의 리드편(18a)을 통하여 전류가 인가되고, 배터리(16)의 양극부(+:16b)로부터는 접속판(32), 회전축(32a), 접속봉(42), 하우징(12) 및 LED홀더(14)를 경유하여 LED(18)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LED(18)가 점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점등 또는 소등된 상태에서는 회전판(36)상의 돌출부(36c)가 회전안내판(38)상의 제1안착홈(38b) 또는 제2안착홈(38c)에 끼워져 안착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충격힘이 반복적으로 인가되더라도 임의로 점등되거나 소등되지 않게되어 점등제어의 안정성이 확보된다.
또, 상기 LED(18)에 컬러다변집적회로가 적용되는 경우 LED(18)에서 발광되는 빛의 색상이 여러가지 색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드민 턴용 셔틀콕(50) 같은 피부착물에 장착될 수 있는바, 이 경우 하우징(12)의 하단부 외측 둘레면에 형성된 체결부(12c)와 걸림턱(12d)를 셔틀콕(50)상의 정해진 위치에 결합하고, 하우징(12)상의 체결부(12c)를 이용하여 나사결합하면 그 장착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노브(4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90°만큼 회전시키면 스위칭부재(30)를 구성하는 회전판(36)상의 돌출부(36c)가 회전안내판(38)상의 제1안착홈(38b) 또는 제2안착홈(38c)에 안착되는 동작에 의하여 접속봉(42)이 하우징(12)상의 접속턱(12b)에 접촉되거나 접속턱(12b)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됨에 따라 LED(18)가 점등되거나 소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하다가 배터리(16)를 교환하거나 스위칭부재(30)를 수리하고자 하는 경우에 하우징(12)에 결합된 LED홀더(14)를 풀어 분리시키고, 배터리(16)를 교체하거나 스위칭부재(30)를 빼내어 수리 또는 교체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발광장치에서 배터리의 양극부(+)에서 하우징을 경유하여 LED로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이 조작노브의 회전조작에 따른 회전판 및 접속봉의 승강동작에 의하여 제어되고, 일단 점등 또는 소등상태로 제어된 후에는 회전판상의 돌출부가 회전안내판상의 제1안착홈 또는 제2안착홈에 끼워져 안착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충격힘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더라도 임의로 소등되거나 점등되지 않아 점등제어동작이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 기존 셔틀콕 같은 피부착물에 장착되는 발광장치에서는 배터리가 밀봉된 상태로 설치되어 교체가 불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의 발광장치에서는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스위칭부재를 수리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정해진 길이와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내표면에 전도성의 금속물질이 코팅되며, 내측 둘레면의 상부에 나사부(12a)가 형성되고, 아랫부분에 접속턱(12b)이 형성되는 한편, 하단부 외측 둘레면에는 피부착물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12c)와 걸림턱(12d)이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12)과;
    내부가 비어 있고, 외측 둘레면에 상기 하우징(12)의 상부 내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나사부(14a)가 형성되며, 내부 바닥면에는 하우징(12)의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공(14b)이 형성되는 전도성 재질로 된 원통형의 LED홀더(14)와;
    상기 하우징(12)의 상부를 통하여 내부로 수납된 상태에서 직렬연결되는 다수개의 배터리(16)와;
    상기 LED홀더(14)의 내부에 끼워져 고정되며, 저면 중심으로부터 아랫쪽으로는 하우징(12)내부에 수납된 배터리(16)의 음극부(-:16a)와 접속되는 리드편(Lead:18a편이 연장형성된 발광다이오드(LED:18)와;
    상기 LED(18)의 둘레면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LED홀더(14)의 내측 둘레면에 끼워져 고정되는 반사갓(20)과;
    상기 배터리수납부위에 해당되는 하우징(12)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설치되는 절연쉬트(22)와;
    상기 하우징(12)의 윗쪽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어 그 상단부가 절연쉬트(22)의 하단 위치에 이르도록 끼워져 결합되며, 외측 둘레면상의 소정 높이에는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설계에 따라 정해지는 각도 범위에 걸쳐 가이드공(24a)이 형성되고, 그 하단부 내주면에 받침턱(24b이 형성된 비전도성 재질의 원통형 내부케이스(24)와;
    상기 내부케이스(24)의 안쪽으로 끼워져 결합되어 하우징(12)내에 수납된 배터리의 양극부(+:16b)와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외력의 작용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90°만큼 회전되는 동작에 의하여 높이가 달라지면서 하우징(12) 내주면 아랫부분에 형성된 접속턱(12b)에 접촉되거나 또는 접속턱(12b)로부터 상방으로 이격(離隔)되면서 하우징(12)을 경유하여 LED(18)로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스위칭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재(30)는 전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된 배터리중 가장 아랫쪽에 위치하는 배터리 저면의 양극부(+:16b)와 면접촉되며, 저면 중심으로부터 아랫쪽으로는 외주면상에 끼움공(32b)이 형성된 회전축(32a)이 일체로 형성된 원판형태의 접속판(32)과;
    상기 회전축(32a)의 상부 외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항상 윗쪽으로 탄성작용하면서 접속판(32)이 항상 배터리(16)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스프링(34)과;
    중심부에 상기 접속판(32)상의 회전축(32a)이 끼워지는 회전축삽입공(36a)이 형성되고, 외주면상에는 끼움공(36b)이 형성되는 한편, 저면의 회전축삽입공(36a)의 좌우 양측에는 한쌍의 돌출부(36c)가 형성된 환형(環形)의 회전판(36)과;
    상기 내부케이스(24)의 내측 하단부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판(36)의 저면과 면접촉되도록 배치되며, 중심에는 상기 접속판(32)상의 회전축(32a)이 끼워지는 회전축삽입공(38a)이 형성되고, 상부면에서 회전축삽입공(38a)을 통과하는 한쪽 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깊은 깊이를 가지며, 회전판(36)상의 돌출부(36c)가 안착되는 제1안착홈(38b)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1안착홈(38b)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얕은 깊이를 갖는 제2안착홈(38c)이 형성된 환형(環形)의 회전안내판(38)과;
    상기 회전안내판(38)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부면 중심부에는 접속판(32)상의 회전축(32a)의 하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그 하단부는 하우징(12)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조작노브(Knob:40)와;
    상기 회전판(36)상의 끼움공(36b)과 접속판(32)상의 회전축(32a)에 형성된 끼움공(32b)을 통하여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조작노브(40)의 회전조작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판(36)상의 돌출부(36c)가 회전안내판(38)상의 제1안착홈(38b) 또는 제2안착홈(38c)에 끼워지는 동작에 따라 하우징(12)상의 접속턱(12b)에 접속되거나 접속턱(12b)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離隔)되면서 배터리(16)의 양극부(+:16b)로부터 하우징(12)을 경유하여 LED(18)로 흐르는 전류를 단속하는 접속봉(4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18)는 컬러다변집적회로(IC)에 의해 다양한 색상으로 가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KR1020060127601A 2006-12-14 2006-12-14 발광장치 KR100741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601A KR100741320B1 (ko) 2006-12-14 2006-12-14 발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601A KR100741320B1 (ko) 2006-12-14 2006-12-14 발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1320B1 true KR100741320B1 (ko) 2007-07-20

Family

ID=38499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7601A KR100741320B1 (ko) 2006-12-14 2006-12-14 발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132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141B1 (ko) 2007-06-11 2008-09-30 김상욱 배드민턴 셔틀콕
KR200446099Y1 (ko) * 2007-10-10 2009-09-25 김대일 발광부가 구비된 셔틀콕
KR101032151B1 (ko) * 2008-10-10 2011-05-03 (주)신우기전 방열판에 직접 부착하거나 자체 방열 구조체를 가진 led조명 모듈
WO2017222725A1 (en) * 2016-06-23 2017-12-28 Intel Corporation Battery utilizing device cavity
KR20200114311A (ko) * 2019-03-28 2020-10-07 (주)엘에프라이팅 Led 발광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361Y1 (ko) * 2004-05-11 2004-07-27 최재고 낚시찌의 발광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361Y1 (ko) * 2004-05-11 2004-07-27 최재고 낚시찌의 발광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141B1 (ko) 2007-06-11 2008-09-30 김상욱 배드민턴 셔틀콕
KR200446099Y1 (ko) * 2007-10-10 2009-09-25 김대일 발광부가 구비된 셔틀콕
KR101032151B1 (ko) * 2008-10-10 2011-05-03 (주)신우기전 방열판에 직접 부착하거나 자체 방열 구조체를 가진 led조명 모듈
WO2017222725A1 (en) * 2016-06-23 2017-12-28 Intel Corporation Battery utilizing device cavity
US10566582B2 (en) 2016-06-23 2020-02-18 Intel Corporation Battery utilizing device cavity
KR20200114311A (ko) * 2019-03-28 2020-10-07 (주)엘에프라이팅 Led 발광 조립체
KR102270929B1 (ko) 2019-03-28 2021-06-30 (주)엘에프라이팅 Led 발광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1320B1 (ko) 발광장치
JP5431366B2 (ja) 帽子取付型発光具
RU2469762C2 (ru) Цепь управления светоизлучением и использующий ее шар для тренировки кисти
US8652012B2 (en) Color changing gyroscopic exerciser
US7374309B2 (en) Waterproof, miniature light-emitting diode (LED) device
KR20090001670U (ko)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
US8465169B2 (en) Driving shaft mechanism for ratchet wrench
KR101192723B1 (ko) 휴대용 랜턴
US20150300625A1 (en) Water resistant led-based decorative light assembly
KR20070108783A (ko) 플래쉬 램프 장치
CN201227503Y (zh) 具发光效果的球
JP5696290B2 (ja) 携帯電灯
KR20170128089A (ko) 발광장치가 수납된 놀이 도구
JP4153978B2 (ja) 芳香発生装置
JP2007062784A (ja) 芳香発生装置
CN219759430U (zh) 发光旋钮
CN212394523U (zh) 一种发光托盘
CN200973975Y (zh) 一种闪烁发光的玩具悠悠球
US20030156406A1 (en) Waterproof head assembly for a flashlight
KR200216555Y1 (ko) 완구용 팽이
KR200304880Y1 (ko) 스위칭 발광부가 구비된 낚싯대 거치구의 전원공급구조
CN206285486U (zh) 悠悠球
KR200408903Y1 (ko) 밤 낚시용 전자찌
KR200160637Y1 (ko) 발광가능한 도어손잡이
KR200336901Y1 (ko) 액세서리 부착용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