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931B1 -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931B1
KR102269931B1 KR1020150131516A KR20150131516A KR102269931B1 KR 102269931 B1 KR102269931 B1 KR 102269931B1 KR 1020150131516 A KR1020150131516 A KR 1020150131516A KR 20150131516 A KR20150131516 A KR 20150131516A KR 102269931 B1 KR102269931 B1 KR 102269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cell separator
resin film
thermoplastic
thermoplastic prepr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7759A (ko
Inventor
이지성
이현철
윤준영
조은정
강충석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37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B32B37/1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discrete sheets or panels only
    • B32B37/18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discrete sheets or panels only one or more of the layers being plas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21Organic resins; Organic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2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carbon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6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fibr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10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used in the polymer mix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 C08J5/241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using inorganic fibres
    • C08J5/243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using inorganic fibres using carbon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 C08J5/246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using polymer based synthetic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 C08J5/249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used in the prepolymer mix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2Graphene or derivatives, e.g. graph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e.g. anisotropy, viscosity or electrical conductiv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13Gas-impermeable carbon-contain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23Composites
    • H01M8/0226Composites in the form of m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23Composites
    • H01M8/0228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ed or coat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10Fibres of continuous length
    • B32B2305/18Fabrics, tex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2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12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98/00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B32B2398/20Thermo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8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8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08K2003/0806Sil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06Metals or allo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중간재는 섬유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ⅰ) 결정화도가 1~20%이고, (ⅱ) 두께가 3-50㎛이고, (ⅲ) 전기전도성 물질의 함량이 1~20중량%인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중간재를 상기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가압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상기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중간재 및 열가소성 프리프레그로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막은 박막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며, 쉽게 부서지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하고, 소수성으로 인해 연료전지 분리판에 형성된 가스 플로우 경로로 반응에 참여한 물이 흐르면서 상기 가스 플로우 경로 내에 침전물이 많이 적층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성능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제조방법{Precursor of thermoplastic prepreg for biporal plate and method of thermoplastic prepreg for biporal plate thereby}
본 발명은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기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박막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며, 내구성이 우수하고, 소수성으로 인해 연료전지 분리판의 가스 플로우 경로내로 반응에 참여한 물이 흐르면서 침전물이 적층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서 연료전지 분리판(Bipolar plate) 소재로 유용한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 및 이를 이용한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를 구성하는 연료전지 분리판(Bipolar plate)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 전극 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 : 이하 "MEA"라고 한다) 사이에 위치하면서 연료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시켜 주면서 MEA에 연료를 확산시키는 기능과 생성된 전류가 이동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도 1은 연료전지의 분해사시도 이다.
따라서, 고성능의 연료전지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박막화 및 경량화가 높은 전기전도도를 구비하는 연료전지 분리막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지금까지는 금속판, 흑연판(graphite plate) 또는 탄소섬유에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 경화된 탄소섬유 복합재로 연료전지 분리판을 제조했다.
금속판으로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은 두께가 두껍고 무거워 고성능의 연료전지를 제조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흑연판으로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은 경량화 및 박막화는 가능하지만, 쉽게 부서져 내구성이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로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은 경량화 및 박막화가 가능하고 내구성도 우수하지만 바인더 역할을 하는 열경화성 수지로 인해 전기전도도가 낮고, 연료전지 분리판에 형성된 가스 플로우 경로(Gas flow channels)로 반응에 참여한 물이 흐르면서 상기 가스 플로우 경로 내에 침전물이 많이 적층되어 산소와 수소의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성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박막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며, 내구성이 우수하고, 소수성으로 인해 연료전지 분리판에 형성된 가스 플로우 경로 내로 반응에 참여한 물이 흐르면서 상기 가스 플로우 경로 내에 침전물이 적층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성능이 우수한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precusor)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상기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precusor)를 이용하여 성능이 뛰어난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같은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섬유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ⅰ) 결정화도가 1~20%이고, (ⅱ) 두께가 3~50㎛이고, (ⅲ) 전기전도성 물질의 함량이 1~20중량%인 소수성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적층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상기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가압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상기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중간재 및 열가소성 프리프레그로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막은 박막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며, 쉽게 부서지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하고, 소수성으로 인해 연료전지 분리판에 형성된 가스 플로우 경로로 반응에 참여한 물이 흐르면서 상기 가스 플로우 경로 내에 침전물이 많이 적층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성능이 우수하다.
도 1은 연료전지의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연료전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는 섬유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ⅰ) 결정화도가 1~20%이고, (ⅱ) 두께가 3-50㎛이고, (ⅲ) 전기전도성 물질의 함량이 1~20중량%인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섬유기재는 필라멘트 상의 섬유들이 일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섬유시트인 것이 연료 및 전류 이동에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전도성 물질은 은 나노 와이어, 카본나노튜브, 그라펜(Graphene) 또는 카본블랙 등이고, 상기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내 전기전도성 물질의 함량은 1~20중량%이다.
전기전도성 물질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전기전도도가 떨어지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지의 점도가 증가하여 전기전도성 물질의 분산성이 저하되므로 균일한 열가소성 프리프레그(Prpereg)를 제조할 수 없다.
상기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결정화도는 1~20%이고, 바람직하기로는 3~12%이다. 결정화도가 20%를 초과하게되면 연료전지 분리막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제조시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열을 받을 경우 고결정 연신 부분에서 열수축 현상이 급하게 발생되어 섬유기재 내에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가 불균일하게 함침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상기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는 3~50㎛, 바람직하기로는 7~40㎛인 것이 좋다. 상기 두께가 50㎛를 초과하게 되면 연료전지 분리막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제조시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표면과 섬유기재의 표면의 접촉부분에서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균일하게 용융되지 않아 섬유기재 내에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가 균일하게 함침되기 어렵게 되고, 상기 두께가 3㎛ 미만인 경우에는 작은 외력에도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찢어지기 쉬워 공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섬유기재 :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중량비율을 65~90중량%:10~35중량%로 조절해 주는 것이 공정성 개선과 섬유기재 내에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가 균일하게 함침되도록 하는데 바람직하다.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중량비율이 35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 연료전지 분리막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제조시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표면과 섬유기재의 표면의 접촉부분에서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균일하게 용융되지 않아 섬유기재 내에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가 균일하게 함침되기 어렵게 되고,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중량비율이 1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두께가 너무 얇아져 작은 외력에도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찢어지기 쉬워 공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필름,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필름,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필름, 테프론 수지 필름 또는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필름 등이다.
다음으로는 이상에서 설명한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이용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섬유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ⅰ) 결정화도가 1~20%이고, (ⅱ) 두께가 3-50㎛이고, (ⅲ) 전기전도성 물질의 함량이 1~20중량%인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적층되어 있는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상기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융점보다 높은온도에서 가압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를 제조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열가소성 필름의 융점보다 30~100℃ 높은 온도에서 50~1,500kgf/cm의 압력으로 가열/가압 처리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온도 및/또는 압력이 상기 범위 보다 낮은 경우에는 섬유기재 내에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가 충분하게 함침되지 않을 수 있고, 압력이 상기 범위보다 높은 경우에는 섬유기재 중 일부가 파열되어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온도가 상기 범위보다 높은 경우에는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가 열화되어 물성이 저하될 수 있어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분자구조내 기능 그룹(fuctional group)중 -COOH 또는 -CO 가 있는 폴리아미드 6 수지 필름 등은 제외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현일례에 불과할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필라멘트상의 탄소섬유들이 일방향으로 배열된 섬유기재의 상부면에 결정화도가 3%이고 두께가 30㎛이고, 카본나노튜브의 함량이 2중량%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을 적층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다음 300℃의 온도와 200kgf/cm의 압력으로 가열 및 가압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섬유기재 :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의 중량비율을 70중량% : 30중량%로 조절하였다.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단위면적당 중량 변동율은 3% 이었고, 이로부터 상기 섬유기재 내에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균일하게 함침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프리프레그로 연료전지 분리판을 성형한 후 100시간동안의 연속 운용 시험평가 결과, 파손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필라멘트상의 아라미드 섬유들이 일방향으로 배열된 섬유기재의 상부면에 결정화도가 7%이고 두께가 30㎛이고, 그라펜의 함량이 4중량%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을 적층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다음 220℃의 온도와 200㎏/㎝의 압력으로 가열 및 가압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섬유기재 :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의 중량비율을 70중량% : 30중량%로 조절하였다.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단위면적당 중량 변동율은 4% 이었고, 이로부터 상기 섬유기재 내에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균일하게 함침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프리프레그로 연료전지 분리판을 성형한 후 100시간동안의 연속 운용 시험평가 결과, 파손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필라멘트상의 아라미드 섬유들이 일방향으로 배열된 섬유기재의 상부면에 결정화도가 12%이고 두께가 30㎛이고, 그라펜의 함량이 20중량%인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을 적층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다음 260℃의 온도와 200kgf/cm의 압력으로 가열 및 가압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섬유기재 :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의 중량비율을 70중량% : 30중량%로 조절하였다.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단위면적당 중량 변동율은 5% 이었고, 이로부터 상기 섬유기재 내에 폴리아미드 수지가 균일하게 함침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프리프레그로 연료전지 분리판을 성형한 후 100시간동안의 연속 운용 시험평가 결과, 파손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필라멘트상의 탄소섬유들이 일방향으로 배열된 섬유기재의 상부면에 결정화도가 20%이고 두께가 30㎛이고, 카본나노튜브의 함량이 7중량%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필름을 적층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다음 200℃의 온도와 200kgf/cm의 압력으로 가열 및 가압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섬유기재 :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필름의 중량비율을 70중량% : 30중량%로 조절하였다.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단위면적당 중량 변동율은 8% 이었고, 이로부터 상기 섬유기재 내에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가 균일하게 함침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프리프레그로 연료전지 분리판을 성형한 후 100시간동안의 연속 운용 시험평가 결과, 파손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필라멘트상의 탄소섬유들이 일방향으로 배열된 섬유기재의 상부면에 결정화도가 7%이고 두께가 3㎛이고, 카본나노튜브의 함량이 9중량%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필름을 적층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다음 230℃의 온도와 200kgf/cm의 압력으로 가열 및 가압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섬유기재 :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필름의 중량비율을 70중량% : 30중량%로 조절하였다.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단위면적당 중량 변동율은 4% 이었고, 이로부터 상기 섬유기재 내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가 균일하게 함침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프리프레그로 연료전지 분리판을 성형한 후 100시간동안의 연속 운용 시험평가 결과, 파손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필라멘트상의 탄소섬유들이 일방향으로 배열된 섬유기재의 상부면에 결정화도가 7%이고 두께가 10㎛이고, 카본나노튜브의 함량이 11중량%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을 적층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다음 300℃의 온도와 200kgf/cm의 압력으로 가열 및 가압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섬유기재 :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의 중량비율을 70중량% : 30중량%로 조절하였다.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단위면적당 중량 변동율은 3% 이었고, 이로부터 상기 섬유기재 내에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균일하게 함침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프리프레그로 연료전지 분리판을 성형한 후 100시간동안의 연속 운용 시험평가 결과, 파손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7
필라멘트상의 탄소섬유들이 일방향으로 배열된 섬유기재의 상부면에 결정화도가 7%이고 두께가 20㎛이고, 카본나노튜브의 함량이 13중량%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을 적층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다음 220℃의 온도와 200kgf/cm의 압력으로 가열 및 가압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섬유기재 :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의 중량비율을 70중량% : 30중량%로 조절하였다.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단위면적당 중량 변동율은 3% 이었고, 이로부터 상기 섬유기재 내에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균일하게 함침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프리프레그로 연료전지 분리판을 성형한 후 100시간동안의 연속 운용 시험평가 결과, 파손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8
필라멘트상의 탄소섬유들이 일방향으로 배열된 섬유기재의 상부면에 결정화도가 7%이고 두께가 40㎛이고, 카본나노튜브의 함량이 15중량%인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을 적층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다음 260℃의 온도와 200kgf/cm의 압력으로 가열 및 가압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섬유기재 :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의 중량비율을 70중량% : 30중량%로 조절하였다.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단위면적당 중량 변동율은 6% 이었고, 이로부터 상기 섬유기재 내에 폴리아미드 수지가 균일하게 함침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프리프레그로 연료전지 분리판을 성형한 후 100시간동안의 연속 운용 시험평가 결과, 파손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9
필라멘트상의 탄소섬유들이 일방향으로 배열된 섬유기재의 상부면에 결정화도가 7%이고 두께가 30㎛이고, 카본나노튜브의 함량이 17중량%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을 적층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다음 300℃의 온도와 200kgf/cm의 압력으로 가열 및 가압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섬유기재 :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의 중량비율을 80중량% : 20중량%로 조절하였다.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단위면적당 중량 변동율은 4% 이었고, 이로부터 상기 섬유기재 내에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균일하게 함침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프리프레그로 연료전지 분리판을 성형한 후 100시간동안의 연속 운용 시험평가 결과, 파손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0
필라멘트상의 탄소섬유들이 일방향으로 배열된 섬유기재의 상부면에 결정화도가 7%이고 두께가 30㎛이고, 카본나노튜브의 함량이 19중량%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필름을 적층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다음 200℃의 온도와 200kgf/cm의 압력으로 가열 및 가압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섬유기재 :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필름의 중량비율을 60중량% : 40중량%로 조절하였다.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단위면적당 중량 변동율은 8% 이었고, 이로부터 상기 섬유기재 내에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가 균일하게 함침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프리프레그로 연료전지 분리판을 성형한 후 100시간동안의 연속 운용 시험평가 결과, 파손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1
필라멘트상의 탄소섬유들이 일방향으로 배열된 섬유기재의 상부면에 결정화도가 7%이고 두께가 30㎛이고, 카본나노튜브의 함량이 1중량%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필름을 적층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다음 230℃의 온도와 200kgf/cm의 압력으로 가열 및 가압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섬유기재 :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필름의 중량비율을 70중량% : 30중량%로 조절하였다.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단위면적당 중량 변동율은 3% 이었고, 이로부터 상기 섬유기재 내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가 균일하게 함침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프리프레그로 연료전지 분리판을 성형한 후 100시간동안의 연속 운용 시험평가 결과, 파손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2
필라멘트상의 탄소섬유들이 일방향으로 배열된 섬유기재의 상부면에 결정화도가 7%이고 두께가 30㎛이고, 카본나노튜브의 함량이 5중량%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을 적층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다음 300℃의 온도와 200kgf/cm의 압력으로 가열 및 가압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섬유기재 :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의 중량비율을 70중량% : 30중량%로 조절하였다.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단위면적당 중량 변동율은 7% 이었고, 이로부터 상기 섬유기재 내에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균일하게 함침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프리프레그로 연료전지 분리판을 성형한 후 100시간동안의 연속 운용 시험평가 결과, 파손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비교실시예 1
필라멘트상의 아라미드 섬유들이 일방향으로 배열된 섬유기재의 상부면에 결정화도가 30%이고 두께가 30㎛이고, 그라펜의 함량이 2중량%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을 적층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다음 300℃의 온도와 200kgf/cm의 압력으로 가열 및 가압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섬유기재 :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의 중량비율을 70중량% : 30중량%로 조절하였다.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단위면적당 중량 변동율은 15% 이었고, 이로부터 상기 섬유기재 내에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불균일하게 함침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프리프레그로 연료전지 분리판을 성형한 후 100시간동안의 연속 운용 시험평가 결과, 파손이 발생되어 내구성이 불량함을 알 수 있었다.
비교실시예 2
필라멘트상의 아라미드 섬유들이 일방향으로 배열된 섬유기재의 상부면에 결정화도가 7%이고 두께가 60㎛이고, 그라펜의 함량이 2중량%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을 적층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다음 220℃의 온도와 200kgf/cm의 압력으로 가열 및 가압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섬유기재 :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의 중량비율을 70중량% : 30중량%로 조절하였다.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단위면적당 중량 변동율은 11% 이었고, 이로부터 상기 섬유기재 내에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불균일하게 함침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프리프레그로 연료전지 분리판을 성형한 후 100시간동안의 연속 운용 시험평가 결과, 파손이 발생되어 내구성이 불량함을 알 수 있었다.
비교실시예 3
필라멘트상의 아라미드 섬유들이 일방향으로 배열된 섬유기재의 상부면에 결정화도가 7%이고 두께가 30㎛이고, 그라펜의 함량이 22중량%인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을 적층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다음 260℃의 온도와 200kgf/cm의 압력으로 가열 및 가압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섬유기재 :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의 중량비율을 45중량% : 55중량%로 조절하였다.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단위면적당 중량 변동율은 18% 이었고, 이로부터 상기 섬유기재 내에 폴리아미드 수지가 불균일하게 함침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프리프레그로 연료전지 분리판을 성형한 후 100시간동안의 연속 운용 시험평가 결과, 파손이 발생되어 내구성이 불량함을 알 수 있었다.
비교실시예 4
필라멘트상의 아라미드 섬유들이 일방향으로 배열된 섬유기재의 상부면에 결정화도가 7%이고 두께가 30㎛이고, 그라펜의 함량이 25중량%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필름을 적층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다음 230℃의 온도와 200kgf/cm의 압력으로 가열 및 가압하여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섬유기재 :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필름의 중량비율을 70중량% : 30중량%로 조절하였다.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단위면적당 중량 변동율은 26% 이었고, 이로부터 상기 섬유기재 내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가 불균일하게 함침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용 프리프레그로 연료전지 분리판을 성형한 후 100시간동안의 연속 운용 시험평가 결과, 파손이 발생되어 내구성이 불량함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단위면적당 중량 변동율은 열가소성 프리프레그로 부터 동일한 단위면적을 갖는 시료 10개를 채취한 다음, 상기 시료 10개의 평균중량(W0)을 구하고, 시료들 중 중량이 상기 평균중량과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시료의 중량(W1)을 아래 식(Ⅰ) 또는 (Ⅱ)에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112015090505694-pat00001
Figure 112015090505694-pat00002
A : 연료전지 분리판(Bipolar plate)
B : 막 전극 접합체(MEA)
C : 가스 플로우 채널(Gas flow channels)

Claims (9)

  1. 섬유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ⅰ) 결정화도가 1~20%이고, (ⅱ) 두께가 3-50㎛이고, (ⅲ) 전기전도성 물질의 함량이 1~20중량%인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적층되어 있는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로서,
    상기 섬유기재는 필라멘트상의 섬유들이 일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섬유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전도성 물질은 은 나노 와이어, 카본나노튜브, 그라펜 및 카본블랙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
  3. 제1항에 있어서,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결정화도가 3~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
  4. 제1항에 있어서,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의 두께가 7~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
  5. 제1항에 있어서, 섬유기재 :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중량비율이 65~90중량%:10~3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필름,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필름,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필름, 테프론 수지 필름 및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수지 필름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
  8. 섬유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ⅰ) 결정화도가 1~20%이고, (ⅱ) 두께가 3-50㎛이고, (ⅲ) 전기전도성 물질의 함량이 1~20중량%인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적층되어 있는 제1항에 따른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를 상기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소수성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융점보다 30~100℃ 높은 온도에서 50~1,500 kgf/cm2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제조방법.
KR1020150131516A 2014-09-29 2015-09-17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제조방법 KR1022699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9749 2014-09-29
KR1020140129749 2014-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759A KR20160037759A (ko) 2016-04-06
KR102269931B1 true KR102269931B1 (ko) 2021-06-28

Family

ID=55630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516A KR102269931B1 (ko) 2014-09-29 2015-09-17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03873B2 (ko)
KR (1) KR102269931B1 (ko)
CN (1) CN106715548A (ko)
WO (1) WO20160529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79150B1 (en) * 2016-10-19 2017-12-11 Serenergy As A fuel cell stack and its method of production, a separator plate in particular a bipolar plate, for a fuel cell and its production
DE102018008249A1 (de) * 2018-10-18 2020-04-23 Daiml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eparatorplatte
WO2021244719A1 (en) 2020-06-04 2021-12-09 Blue World Technologies Holding ApS Separator plate for a fuel cell, precursor therefore and its method of production
CN111978577A (zh) * 2020-07-31 2020-11-24 中航复材(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双极板用连续导电纤维毡预浸料及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651B1 (ko) 2006-12-22 2007-04-13 제일모직주식회사 전기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플라스틱 성형품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2091A (en) * 1984-11-29 1986-11-11 The Boeing Company Resin film infusion process and apparatus
JPH0691817A (ja) * 1992-09-09 1994-04-05 Toray Ind Inc 複合シート状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86251B2 (ja) 2000-09-22 2010-11-24 東レ株式会社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ー
WO2005012404A1 (ja) * 2003-07-31 2005-02-10 Kyoto University 繊維強化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と、その利用
WO2005112161A1 (ja) * 2004-05-14 2005-11-24 Showa Denko K.K. 導電性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
KR100723298B1 (ko) * 2005-08-23 2007-05-30 (주) 나노텍 카본소재가 함침된 프리프레그를 이용한 방열구조체
KR20070049809A (ko) * 2005-11-09 2007-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세퍼레이터,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연료 전지 시스템
GB0615644D0 (en) * 2006-08-07 2006-09-13 Airbus Uk Ltd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site material
KR100978534B1 (ko) * 2007-12-28 2010-08-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료전지용 고분자 복합재료 분리판 제조방법
KR20120021797A (ko) * 2010-08-17 2012-03-09 주식회사 엘파니 높은 내식성과 낮은 표면 접촉 저항성을 나타내는 연료전지용 분리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KR101425562B1 (ko) * 2012-12-14 2014-08-01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분리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연료전지용 분리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651B1 (ko) 2006-12-22 2007-04-13 제일모직주식회사 전기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플라스틱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759A (ko) 2016-04-06
US20170298200A1 (en) 2017-10-19
CN106715548A (zh) 2017-05-24
WO2016052912A1 (ko) 2016-04-07
US10703873B2 (en)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9931B1 (ko)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제조방법
CN107002328B (zh) 碳纤维无纺布、碳纤维无纺布的制造方法和固体高分子型燃料电池
CN113169350A (zh) 一种包括在一方向上取向的碳纤维的碳基材以及采用该碳基材的气体扩散层
JP6287490B2 (ja)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
CN107004865B (zh) 多孔电极基材和使用其的膜-电极接合体及使用该膜-电极接合体的固体高分子型燃料电池
JP5592906B2 (ja) 燃料電池用のガス拡散層と燃料電池、および燃料電池用のガス拡散層の製造方法
KR102478772B1 (ko) 연료 전지용 분리판 및 제조방법
CN113228358A (zh) 一种石墨化碳基材以及采用该石墨化碳基材的气体扩散层
KR20160139002A (ko) 도전성 다공체,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 및 도전성 다공체의 제조 방법
WO2016051633A1 (ja) 燃料電池用ガス拡散層、燃料電池及び燃料電池用ガス拡散層の形成方法
CN110534766A (zh) 一种树脂膜法制备燃料电池双极板的材料
KR102425693B1 (ko) 가스 확산 전극과 그의 제조 방법
KR100889611B1 (ko)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16062725A (ja)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及びセパレータ
KR102003682B1 (ko)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136639A (ko) 스프레드 토우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지용 복합재료 분리판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지용 복합재료 분리판
US11430995B2 (en) Gas diffusion electrode and fuel cell
KR102033627B1 (ko) 박형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6195105A (ja) ガス拡散電極基材、膜電極複合体および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ならびにガス拡散電極基材の製造方法
US11489171B2 (en) Fuel cell sepa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fuel cell separator
CN116888777A (zh) 燃料电池分隔体用前体片和燃料电池分隔体
JP7275539B2 (ja) 導電性金属樹脂積層体及びその成形体
KR101926458B1 (ko) 복합재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
CN115997309A (zh) 具有改善的弯曲性能的燃料电池用气体扩散层
KR101054559B1 (ko)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