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407B1 - 친환경적인 용융아연 도금강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적인 용융아연 도금강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8407B1
KR102268407B1 KR1020210010489A KR20210010489A KR102268407B1 KR 102268407 B1 KR102268407 B1 KR 102268407B1 KR 1020210010489 A KR1020210010489 A KR 1020210010489A KR 20210010489 A KR20210010489 A KR 20210010489A KR 102268407 B1 KR102268407 B1 KR 102268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material
weight
hot
flux
dip galvan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갑훈
조태익
Original Assignee
(주) 육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육인테크 filed Critical (주) 육인테크
Priority to KR1020210010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4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8/00Alloys based on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0Fluxes or coverings on molten bath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23G1/02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cid solutions
    • C23G1/08Iron or stee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23G1/14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lkaline solutions
    • C23G1/19Iron or steel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용융아연 도금강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재를 탈지제에 침지하여 유지성분을 제거하는 탈지단계, 상기 탈지단계를 통해 유지성분이 제거된 강재의 표면에 녹을 제거하는 녹제거단계, 상기 녹제거단계를 통해 녹 성분이 제거된 강재를 염산수용액에 침지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제거단계, 상기 불순물제거단계를 통해 불순물이 제거된 강재를 세척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단계를 통해 세척된 강재를 플럭스액에 침지하는 플럭스도포단계, 상기 플럭스도포단계를 통해 플럭스가 도포된 강재를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강재의 표면에 용융된 아연함유 지금을 도금하는 용융아연도금단계 및 상기 용융아연도금단계를 통해 아연함유 지금이 도금된 강재를 냉각하는 냉각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럭스도포단계를 통해 발생된 폐수는 상기 폐수에 과산화수소와 암모니아수를 부가하여 pH를 3 내지 4.5로 조절하면서 폐수 내에 산 성분과 금속성분을 제거하는 폐수정화단계를 통해 정화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용융아연 도금강재은 우수한 물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용융아연 도금강재의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정화화는 과정이 진행되어 친환경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친환경적인 용융아연 도금강재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ECO-FRIENDLY HOT DIP GALVANIZED STEEL SHEET}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용융아연 도금강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는 용융아연 도금강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용융아연 도금강재의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정화화는 과정이 진행되어 친환경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용융아연 도금강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강재의 경우에는 성형이 용이하고, 성형 과정에서 크랙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므로 강재의 강도와 함께 연신율도 동시에 확보되어야 한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강도와 연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방법들이 제안되어 있으며, 그 예로는 강 중에 Mn, Si, Al, Cr, Ti 등을 적절히 첨가하고 제조조건을 적절히 제어하여 높은 강도와 연성을 갖는 강재를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상기 방법의 경우에는 첨가된 원소의 빠른 산화 특성에 기인하여 내식성이 열화될 뿐만 아니라 강재의 고강도화에 의해 수소 환경에서 쉽게 유발되는 수소에 의한 조기파괴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철의 부식을 억제하는 아연도금법이 주로 사용되는데, 아연도금법은 방식성능 및 경제성이 우수하여 고내식 특성을 갖는 강재를 제조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용융된 아연에 강재를 침지하여 도금층을 형성하는 용융아연 도금강재은 전기아연 도금강재에 비해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제품가격이 저렴하여 건축자재용 등의 산업전반에 걸쳐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아연이 도금된 용융아연 도금강재은 부식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철보다 산화환원전위가 낮은 아연이 먼저 부식되어 강재의 부식이 억제되는 희생방식(Sacrificial Corrosion Protection)의 특성을 가지며, 이와 더불어 도금층의 아연이 산화되면서 강재 표면에 치밀한 부식생성물을 형성시켜 산화분위기로부터 강재를 차단함으로써 강재의 내부식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종래에 용융아연 도금강재은 제조과정에서 폐수가 발생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726090호(2017.04.05) 한국특허등록 제10-1899680호(2018.09.11)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는 용융아연 도금강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용융아연 도금강재의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정화화는 과정이 진행되어 친환경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용융아연 도금강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강재를 탈지제에 침지하여 유지성분을 제거하는 탈지단계, 상기 탈지단계를 통해 유지성분이 제거된 강재의 표면에 녹을 제거하는 녹제거단계, 상기 녹제거단계를 통해 녹 성분이 제거된 강재를 염산수용액에 침지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제거단계, 상기 불순물제거단계를 통해 불순물이 제거된 강재를 세척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단계를 통해 세척된 강재를 플럭스액에 침지하는 플럭스도포단계, 상기 플럭스도포단계를 통해 플럭스가 도포된 강재를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강재의 표면에 용융된 아연함유 지금을 도금하는 용융아연도금단계 및 상기 용융아연도금단계를 통해 아연함유 지금이 도금된 강재를 냉각하는 냉각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세단계와 상기 플럭스도포단계를 통해 발생된 폐수는 상기 폐수에 과산화수소와 암모니아수를 부가하여 pH를 3 내지 4.5로 조절하면서 폐수 내에 산 성분과 금속성분을 제거하는 폐수정화단계를 통해 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용융아연 도금강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탈지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 수산화나트륨 4 내지 6 중량부 및 생분해성 음이온 계면활성제 0.5 내지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성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옥테닐석시닉산, 알콕시레이트알코올 및 폴리에소실레이트알코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불순물제거단계는 상기 탈지단계를 통해 유지성분이 제거된 강재를 염산수용액에 10 내지 50분 동안 침지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염산수용액은 질량농도가 35 내지 37%인 염산 100 중량부에 정제수 60 내지 7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불순물제거단계에서는 20 내지 40kHz 주파수의 초음파가 50 내지 100초 동안 조사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플럭스도포단계는 상기 세척단계를 통해 세척된 강재를 60 내지 80℃의 플럭스액에 침지하고 2 내지 3회 진동을 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플럭스액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염화암모늄 5 내지 7 중량부 및 염화아연 1.5 내지 2.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아연함유 지금은 아연의 함량이 99.99 중량% 이상이며, 철의 함량은 0.005 중량% 이하이고, 납의 함량은 0.003 중량% 이하이며, 구리의 함량은 0.001 중량% 이하이고, 카드뮴의 함량은 0.002 중량% 이하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용융아연 도금강재의 제조방법은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는 용융아연 도금강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용융아연 도금강재의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정화화는 과정이 진행되어 친환경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용융아연 도금강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용융아연 도금강재의 제조방법은 강재를 탈지제에 침지하여 유지성분을 제거하는 탈지단계(S101), 상기 탈지단계(S101)를 통해 유지성분이 제거된 강재의 표면에 녹을 제거하는 녹제거단계(S103), 상기 녹제거단계(S103)를 통해 녹 성분이 제거된 강재를 염산수용액에 침지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제거단계(S105), 상기 불순물제거단계(S105)를 통해 불순물이 제거된 강재를 세척하는 세척단계(S107), 상기 세척단계(S107)를 통해 세척된 강재를 플럭스액에 침지하는 플럭스도포단계(S109), 상기 플럭스도포단계(S109)를 통해 플럭스가 도포된 강재를 건조하는 건조단계(S111), 상기 건조단계(S111)를 통해 건조된 강재의 표면에 용융된 아연함유 지금을 도금하는 용융아연도금단계(S113) 및 상기 용융아연도금단계(S113)를 통해 아연함유 지금이 도금된 강재를 냉각하는 냉각단계(S115)로 이루어진다.
상기 탈지단계(S101)는 강재를 탈지제에 침지하여 유지성분을 제거하는 단계로, 강재를 60 내지 80℃의 온도로 가열된 탈지제에 함침하여 강재의 표면에 잔존하는 유지성분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탈지단계(S101)는 10 내지 20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탈지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 수산화나트륨 4 내지 6 중량부 및 생분해성 음이온 계면활성제 0.5 내지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옥테닐석시닉산, 알콕시레이트알코올 및 폴리에소실레이트알코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와 같이 생분해성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함유된 탈지제가 사용되면, 상기 탈지단계(S101)를 통해 발생되는 폐수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녹제거단계(S103)는 상기 탈지단계(S101)를 통해 유지성분이 제거된 강재의 표면에 녹을 제거하는 단계로, 상기 탈지단계(S101)를 통해 유지성분이 제거된 강재의 표면에 잔존하는 산화철의 피막인 녹 성분을 물리적으로 긁어내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강재의 표면에 녹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녹제거단계(S103)를 생략할 수도 있으며, 녹의 물리적인 제거는 긁어내는 과정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불순물제거단계(S105)는 상기 녹제거단계(S103)를 통해 유지성분이 제거된 강재를 염산수용액에 침지하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로, 상기 녹제거단계(S103)를 통해 녹 성분이 제거된 강재를 염산수용액에 10 내지 50분 동안 침지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불순물제거단계(S105)를 통해 강재의 표면에 잔존하는 페인트, 응고된 기름 및 용접슬래그 등과 같은 불순물이 제거된다.
이때, 상기 염산수용액은 질량농도가 35 내지 37%인 염산 100 중량부에 정제수 60 내지 7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순물제거단계(S105)에서는 탈지단계(S103)를 통해 유지성분이 제거된 강재를 염산수용액에 침지하고 20 내지 40kHz 주파수의 초음파를 50 내지 100초 동안 조사하는 과정을 진행할 수도 있는데, 상기와 같이 초음파를 조사하게 되면 강재의 표면에 잔존하는 페인트, 응고된 기름 및 용접슬래그의 제거효율이 월등하게 향상된다.
이때, 상기 초음파의 주파수가 20kHz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초음파의 주파수가 40kHz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처리비용을 상승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염산수용액은 상온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불순물제거단계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강재의 표면에 용접슬래그 등이 누적되어 염산수용액의 비중이 27 이상을 나타내게 되면, 염산수용액을 새것으로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단계(S107)는 상기 불순물제거단계(S105)를 통해 불순물이 제거된 강재를 세척하는 단계로, 상기 불순물제거단계(S105)를 통해 불순물이 제거된 강재를 정제수에 침지하여 강재의 표면에 잔존하는 염산이나 철분말을 제거하는 단계다.
이때, 상기 세척단계(S107)는 불순물이 제거된 강재를 정제수에 침지하고 진동을 가하여 강재의 표면에 잔존하는 염산이나 철분말을 제거하게 되는데, 상기 진동은 강재를 정제수에 침지하고 20 내지 40kHz 주파수의 초음파를 50 내지 100초 동안 조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강재의 표면에 잔존하는 염산이나 철분말의 제거효율을 고려했을 때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플럭스도포단계(S109)는 상기 세척단계(S107)를 통해 세척된 강재를 플럭스액에 침지하여 강재의 표면에 플러스를 도포하는 단계로, 상기 세척단계(S107)를 통해 세척된 강재를 60 내지 80℃의 플럭스액에 침지하고 2 내지 3회 진동을 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플럭스액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염화암모늄 5 내지 7 중량부 및 염화아연 1.5 내지 2.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플러스액은 강재에 진동을 가하게 되면 강재 표면의 구석구석으로 침투하여 우수한 플럭스 도포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플럭스도포단계를 통해 발생되는 폐수에는 과산화수소와 암모니아수를 부가하여 pH를 3 내지 4.5로 조절하면서 폐수 내에 산 성분과 금속성분을 제거하는 폐수정화단계(S110)를 통해 정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산 성분과 금속성분이 제거된 플럭스액은 상기 플럭스도포단계(S109)에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폐수의 발생량을 월등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플럭스도포단계(S109)에서 강재의 표면에 잔존하던 염화철이 플럭스용액 내로 유입되면 후속공정이 실시되는 도금로에 유입되어 도로스를 형성하게 되고, 플럭스용액 내로 염산이 유입되면 플럭스용액이 산성화되어 피도금체 표면에 피클링(pickling) 반응이 진행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플럭스스도포단계(S109)에서 발생되는 폐수에 암모니아수를 부가하여 폐수의 pH 범위를 3 내지 4.5가 유지되도록 하면, 폐수에 함유된 염산 성분은 암모니아수에 의해 중화된다.
또한, 상기 플럭스도포단계(S109)를 통해 발생된 폐수 내에 존재하는 다른 불순물인 철염을 제거하기 위해 과산화수소가 부가되는데, 상기와 같이 과산화수소를 부가하면 철과 과산화수소가 반응하여 염화암모늄과 수산화철이 생성되며, 상기 수산화철은 침전분리시켜 제거하고, 철과 과산화수소의 반응으로 인하여 생성된 염산으로 인해 플럭스 용액의 pH가 낮아지게 되기 때문에, 암모니아수를 지속적으로 부가하여 플럭스용액의 pH가 3 내지 4.5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플럭스스도포단계(S109)에서 발생되는 폐수에 과산화수소와 암모니아수를 부가하여 pH를 3 내지 4.5로 조절하면, 폐수 내에 산성분과 금속성분이 제거되어 플럭스도포단계(S109)에서 플럭스액으로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건조단계(S111)는 상기 플럭스도포단계(S109)를 통해 플럭스가 도포된 강재를 건조하는 단계로, 상기 플럭스도포단계(S109)를 통해 플럭스가 도포된 강재를 열풍 건조기에 투입하고, 열풍 건조기 내에 구비된 팬으로 열풍을 강재의 표면에 적용하여 건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융아연도금단계(S113)는 상기 건조단계(S111)를 통해 건조된 강재의 표면에 용융된 아연함유 지금을 도금하는 단계로, 상기 건조단계(S111)를 통해 건조된 강재를 445 내지 490℃의 온도로 가열되어 아연함유 지금이 용융되어 있는 가마에 함침하여 강재의 표면에 용융된 아연함유 지금이 도금되도록 하는 단계다.
이때, 상기 아연함유 지금은 아연의 함량이 99.99 중량% 이상이며, 철의 함량은 0.005 중량% 이하이고, 납의 함량은 0.003 중량% 이하이며, 구리의 함량은 0.001 중량% 이하이고, 카드뮴의 함량은 0.002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용융아연도금단계(S113)를 통해 아연도금층이 형성된 강재는 내식성이 향상되며, 강재보다도 전기화학적으로 표준전위가 낮기 때문에 발생하는 작용으로 손상에 의해 철소지 일부가 노출되어도 주변의 아연이 노출부를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못과 같은 경량품에서부터 1개에 10톤에 이르는 강재 제품군까지 용융아연도금로에 침적 가능한 제품은 모두 생산이 가능하며, 아연도금층의 형성으로 인해 강재측의 철과 아연의 합금층이 형성된 후에, 상기 합금층의 상부에 아연층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강재와 우수한 밀착성을 나타내고, 통상적인 취급상태에서는 충격, 마찰 등에 의해 박리가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 냉각단계(S115)는 상기 용융아연도금단계(S113)를 통해 아연함유 지금이 도금된 강재를 냉각하는 단계로, 상기 용융아연도금단계(S113)를 통해 아연함유 지금이 도금된 강재를 가마에서 건져내고 50 내지 60℃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용융아연 도금강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용융아연 도금강재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1> 탈지제의 제조
정제수 100 중량부, 수산화나트륨 5 중량부 및 생분해성 음이온 계면활성제(옥테닐석시닉산) 1 중량부를 혼합하여 탈지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염산수용액의 제조
질량농도가 35%인 염산 100 중량부에 정제수 66 중량부를 혼합하여 염산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플럭스액의 제조
정제수 100 중량부에 염화암모늄 6 중량부 및 염화아연 2 중량부를 혼합하여 플럭스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아연함유 지금의 제조
아연 99.99 중량%, 철 0.005 중량%, 납 0.003 중량%, 구리 0.001 중량% 및 카드뮴 0.002 중량%인 아연함유 지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강재를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탈지제에 함침하고 70℃의 온도에서 15분 동안 탈지하고, 탈지된 강재의 표면에 녹을 제거하고, 녹이 제거된 강재를 상기 제조예 2를 통해 제조된 염산수용액에 30분 동안 침지한 후에 30kHz 주파수의 초음파를 80초 동안 조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불순물이 제거된 강재를 정제수에 함침하여 세척하고, 세척된 강재를 상기 제조예 3을 통해 제조된 플럭스액에 침지하고 강재에 3회에 걸쳐 진동을 부여하여 플럭스액이 강재의 표면에 고르게 도포되도록 하고, 플럭스액이 도포된 강재를 열풍 건조기로 건조하고, 건조된 강재를 상기 제조예 4를 통해 제조된 아연함유 지금이 450℃로 가열되어 용융되어 있는 가마에 함침하여 강재의 표면에 아연함유 지금을 도금하고, 아연함유 지금이 도금된 강재를 55℃로 냉각하여 용융아연 도금강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용융아연 도금강재에 형성된 용융아연도금층의 두께와 아연과 강재의 경계층인 γ층의 두께를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아연도금층의 두께와 γ층의 두께는 SEM 사진으로 5곳의 두께를 확인한 후에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21009904931-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용융아연도금 강재는 아연도금층의 7㎛ 내외 및 γ층의 두께가 1㎛ 내외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용융아연 도금강재의 제조방법은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는 용융아연 도금강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용융아연 도금강재의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정화화는 과정이 진행되어 친환경적이다.
S101 ; 탈지단계
S103 ; 녹제거단계
S105 ; 불순물제거단계
S107 ; 세척단계
S109 ; 플럭스도포단계
S110 ; 폐수정화단계
S111 ; 건조단계
S113 ; 용융아연도금단계
S115 ; 냉각단계

Claims (8)

  1. 강재를 탈지제에 침지하여 유지성분을 제거하는 탈지단계;
    상기 탈지단계를 통해 유지성분이 제거된 강재의 표면에 녹을 제거하는 녹제거단계;
    상기 녹제거단계를 통해 녹 성분이 제거된 강재를 염산수용액에 침지하고 20 내지 40kHz 주파수의 초음파를 50 내지 100초 동안 조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제거단계;
    상기 불순물제거단계를 통해 불순물이 제거된 강재를 정제수에 침지하고 20 내지 40kHz 주파수의 초음파를 50 내지 100초 동안 조사하여 세척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단계를 통해 세척된 강재를 플럭스액에 침지하는 플럭스도포단계;
    상기 플럭스도포단계를 통해 플럭스가 도포된 강재를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강재의 표면에 용융된 아연함유 지금을 도금하는 용융아연도금단계; 및
    상기 용융아연도금단계를 통해 아연함유 지금이 도금된 강재를 냉각하는 냉각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럭스도포단계를 통해 발생된 폐수는 상기 폐수에 과산화수소와 암모니아수를 부가하여 pH를 3 내지 4.5로 조절하면서 폐수 내에 산 성분과 금속성분을 제거하는 폐수정화단계를 통해 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용융아연 도금강재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지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 수산화나트륨 4 내지 6 중량부 및 생분해성 음이온 계면활성제 0.5 내지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용융아연 도금강재의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옥테닐석시닉산, 알콕시레이트알코올 및 폴리에소실레이트알코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용융아연 도금강재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제거단계는 상기 탈지단계를 통해 유지성분이 제거된 강재를 염산수용액에 10 내지 50분 동안 침지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염산수용액은 질량농도가 35 내지 37%인 염산 100 중량부에 정제수 60 내지 7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용융아연 도금강재의 제조방법.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럭스도포단계는 상기 세척단계를 통해 세척된 강재를 60 내지 80℃의 플럭스액에 침지하고 2 내지 3회 진동을 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용융아연 도금강재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플럭스액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염화암모늄 5 내지 7 중량부 및 염화아연 1.5 내지 2.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용융아연 도금강재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연함유 지금은 아연의 함량이 99.99 중량% 이상이며, 철의 함량은 0.005 중량% 이하이고, 납의 함량은 0.003 중량% 이하이며, 구리의 함량은 0.001 중량% 이하이고, 카드뮴의 함량은 0.002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용융아연 도금강재의 제조방법.
KR1020210010489A 2021-01-25 2021-01-25 친환경적인 용융아연 도금강재의 제조방법 KR102268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489A KR102268407B1 (ko) 2021-01-25 2021-01-25 친환경적인 용융아연 도금강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489A KR102268407B1 (ko) 2021-01-25 2021-01-25 친환경적인 용융아연 도금강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8407B1 true KR102268407B1 (ko) 2021-06-24

Family

ID=76607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489A KR102268407B1 (ko) 2021-01-25 2021-01-25 친환경적인 용융아연 도금강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84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6221A (zh) * 2021-11-19 2022-02-25 湖南杭德通讯有限公司 一种用于5g通讯塔钢材镀锌方法
CN115216716A (zh) * 2022-05-30 2022-10-21 山东嘉隆新型材料有限公司 一种高强度抗压镀锌板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2059A (ko) * 1996-02-23 1997-09-12 양춘국 아연도금 처리방법
KR20000034076A (ko) * 1998-11-27 2000-06-15 김명제 용융 아연 도금 공정의 플럭스 용액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용융 아연 도금 공정
KR101182709B1 (ko) * 2012-04-06 2012-09-13 삼양화학산업 주식회사 1액형 친환경 탈지제
KR101726090B1 (ko) 2015-12-22 2017-04-12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품질 및 도금밀착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899680B1 (ko) 2016-12-21 2018-09-17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품질과 도금밀착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아연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2768A (ko) * 2017-12-18 2019-06-26 한가람화학 주식회사 자동차용 패스너의 나사부 스케일제거 및 표면청정도 향상 방법
KR102126746B1 (ko) * 2019-10-30 2020-06-25 주식회사 켐프 친환경 공정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공정상 폐수 발생 및 수소 취성을 저감한 철강 소재의 전기아연도금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2059A (ko) * 1996-02-23 1997-09-12 양춘국 아연도금 처리방법
KR20000034076A (ko) * 1998-11-27 2000-06-15 김명제 용융 아연 도금 공정의 플럭스 용액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용융 아연 도금 공정
KR101182709B1 (ko) * 2012-04-06 2012-09-13 삼양화학산업 주식회사 1액형 친환경 탈지제
KR101726090B1 (ko) 2015-12-22 2017-04-12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품질 및 도금밀착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899680B1 (ko) 2016-12-21 2018-09-17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품질과 도금밀착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아연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2768A (ko) * 2017-12-18 2019-06-26 한가람화학 주식회사 자동차용 패스너의 나사부 스케일제거 및 표면청정도 향상 방법
KR102126746B1 (ko) * 2019-10-30 2020-06-25 주식회사 켐프 친환경 공정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공정상 폐수 발생 및 수소 취성을 저감한 철강 소재의 전기아연도금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6221A (zh) * 2021-11-19 2022-02-25 湖南杭德通讯有限公司 一种用于5g通讯塔钢材镀锌方法
CN115216716A (zh) * 2022-05-30 2022-10-21 山东嘉隆新型材料有限公司 一种高强度抗压镀锌板
CN115216716B (zh) * 2022-05-30 2023-09-08 山东嘉隆新型材料有限公司 一种高强度抗压镀锌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8407B1 (ko) 친환경적인 용융아연 도금강재의 제조방법
KR101578848B1 (ko) 6 내지 30 중량%의 Mn을 함유하는 열간 압연 또는 냉간 압연 평탄형 강 제품을 금속 보호층으로 도금하는 방법
JP5482968B2 (ja) 酸洗後の鋼板表面の黄変防止方法
US9745654B2 (en) Hot dip zinc alloy plat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external surfa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6815494B2 (ja) 溶融亜鉛メッキのための方法及びフラックス
KR101665883B1 (ko) 내식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도금 강선 및 그 제조방법
JP6137339B2 (ja) 溶融亜鉛めっき鋼材の製造方法
JP5488735B2 (ja) 溶融亜鉛めっき鋼管の製造方法
JP2015532365A (ja) 金属被覆鋼ストリップの製造方法
JP5896165B2 (ja) 酸洗後の鋼板表面の黄変防止方法
JPH10140310A (ja) 溶融めっき方法
JP4720618B2 (ja) 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7129393A1 (ja) 防錆金属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ES2851199T3 (es) Procedimiento para recubrir productos planos de acero con una capa protectora metálica
JP2005272922A (ja) 耐食性および曲げ加工性に優れた溶融Zn−Al系合金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032498A (ja) 熱間プレス用表面処理鋼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熱間プレス部材の製造方法
JP2011032497A (ja) 熱間プレス用表面処理鋼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熱間プレス部材の製造方法
JPS60100681A (ja) 平圧延鋼材の保護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つて得られた物
JP6123754B2 (ja) 化成処理性に優れるSi含有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133022A (ja) 金属めっき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682260B2 (ja) 自動車用防錆鋼板の製造方法
TWI676508B (zh) Al系鍍敷鋼板及其製造方法
JP4166412B2 (ja) 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3718906B2 (ja) 溶融金属めっき熱間圧延鋼板の製造方法
JP2007138213A (ja) 化成処理性および耐型かじり性に優れた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