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027B1 - 트윈링 커팅장치 - Google Patents

트윈링 커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027B1
KR102266027B1 KR1020210041232A KR20210041232A KR102266027B1 KR 102266027 B1 KR102266027 B1 KR 102266027B1 KR 1020210041232 A KR1020210041232 A KR 1020210041232A KR 20210041232 A KR20210041232 A KR 20210041232A KR 102266027 B1 KR102266027 B1 KR 102266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ring
unit
twin
cu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1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신영
Original Assignee
이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신영 filed Critical 이신영
Priority to KR1020210041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0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3/00Coiling wire into particular forms
    • B21F3/08Coiling wire into particular forms to flat spi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1/00Cutt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9/00Strain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4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having only one mov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5/0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 B42B5/08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finger, claw or ring-like elements passing through the sheets, quires or sign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링 커팅장치는 베이스부에 장착되어, 한 쌍의 링으로 구성된 링유닛이 복수개 연결된 트윈링을 커팅하는 트윈링 커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고정되며, 상기 트윈링이 안착된 채, 위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안착부, 상기 장착부에 연결되고, 상기 안착부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위치 이동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연결된 채 연동되며, 상기 안착부와의 위치 관계에 따라 상기 트윈링을 커팅하고, 커팅된 링유닛의 단부를 절곡하는 성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트윈링 커팅장치{Twinring cutting device}
본 발명은 트윈링 커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트윈링의 커팅 및 커팅된 트윈링의 끝단을 절곡할 수 있는 트윈링 커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트윈링 제본기는 대상물의 일측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구멍을 펀칭한 후 트윈링을 이용하여 체결하기 위한 장비로 사용된다. 이러한 트윈링은 가는 철사를 구부려 대략 반원형태로 이루어져 제본 대상물에 형성된 펀칭 구멍에 맞추어 한쪽 끝을 첫 번째 구멍으로 삽입한 후 순차적으로 끼워넣음으로써 제본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트윈링을 이용한 제본 기술은 여타의 수단에 비하여 신속한 작업이 가능할 뿐 아니라 펀치홀의 간격이나 제본물의 두께 등을 비교적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대량 제본은 물론 소량 다품목 제작에 대한 탄력적인 대응이 가능하여 탁상용 캘린더, 노트 및 각종 인쇄물 제본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본설비와 관련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0435404호에 개시된 「트윈링 제본기」는 인건비와 시설비의 증대로 인해 비경제적이라는 문제를 보완하여 트윈링에 행거를 장착하여 제본을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행거를 선작업하여 성형하는 별도의 공정이 포함됨에 따라 제조 시간이 길어지게 됨은 물론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등록특허 제790222호에 개시된 「트윈링 제본장치」에 있어서는 트윈링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승강되는 커터를 하부에 설치하여 환체의 쌍을 연결하는 직부에 대한 단순 절단이 수행됨에 따라 트윈링의 끝단에 예리한 돌출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캘린더나 노트 등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신체는 물론 의류 등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빈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트윈링의 절단된 부분을 추가로 절곡하는 등의 후처리 공정을 고려할 수 있으나 장비 자체가 복잡해지고 효율을 떨어뜨리게 됨은 물론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125919호 한국공개특허 제2011-0139369호 한국등록특허 제1223926호 한국등록특허 제1565158호
본 발명의 목적은, 트윈링을 커팅하고, 커팅된 트윈링 단부의 날카로운 부분을 절곡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의 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트윈링 커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링 커팅장치는, 베이스부에 장착되어, 한 쌍의 링으로 구성된 링유닛이 복수개 연결된 트윈링을 커팅하는 트윈링 커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고정되며, 상기 트윈링이 안착된 채, 위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안착부, 상기 장착부에 연결되고, 상기 안착부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위치 이동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연결된 채 연동되며, 상기 안착부와의 위치 관계에 따라 상기 트윈링을 커팅하고, 커팅된 링유닛의 단부를 절곡하는 성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성형부는, 대기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에 의해 상기 안착부를 향한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안착부와의 사이에 위치한 링유닛을 커팅하는 커팅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커팅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안착부와의 사이에 위치한 커팅된 링유닛을 절곡시키는 절곡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성형부는,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커팅위치로 이동 중에, 인접한 링유닛의 적어도 일부분이 구속되도록 구속공간을 제공하는 공간제공부 및 상기 공간제공부에 연결된 채, 외력에 의해 상기 공간제공부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는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장착부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성형부와의 위치 관계에 따라 인접한 링유닛을 커팅 또는 절곡시키는 성형대응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성형대응부는, 상기 공간제공부의 일측면과 평행한 평행면을 제공하는 평행부 및 상기 평행면과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면을 제공하는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간제공부는,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커팅위치로 이동 중에, 일측면이 상기 평행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고, 상기 성형대응부는, 상기 평행면이 상기 공간제공부의 일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중에, 상기 구속공간의 상부로 노출된 링유닛을 커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간제공부는,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공간본체부, 상기 공간본체부의 일측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돌출편과 제2 돌출편을 구비하는 돌출부 및 상기 공간본체부의 일측단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1 돌출편과 상기 제2 돌출편 사이에 형성되는 중앙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속공간은, 상기 제1 돌출편과 상기 중앙부 사이의 이격 공간에 형성되는 제1 구속공간 및 상기 제2 돌출편과 상기 중앙부 사이의 이격 공간에 형성되는 제2 구속공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부는, 인접한 링유닛의 한 쌍의 링 사이로 삽입되어, 한 쌍의 링 중 어느 하나의 링이 상기 제1 구속공간에 유입되도록 하고, 한 쌍의 링 중 나머지 하나의 링이 상기 제2 구속공간에 유입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앙부는, 상기 공간본체부로부터 끝단을 향해 갈수록 점진적으로 종단면적의 크기가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인접한 링유닛의 한 쌍의 링 사이로의 침투가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구속공간 및 상기 제2 구속공간은, 링유닛을 구성하는 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속공간 내에서의 링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절곡부는, 상기 커팅위치에서 상기 절곡위치로 이동 중에, 상기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상기 성형대응부와의 사이에 절곡공간을 형성하며, 커팅된 링유닛의 단부는, 상기 절곡공간에 구속된 채, 상기 절곡부와의 접촉에 따라 절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절곡부는, 상기 공간제공부에 연결되는 절곡본체부, 상기 절곡본체부의 일측단에 경사면을 제공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기부는,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과의 사이에 절곡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돌기부는,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과 대향하는 대향면이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과 단층면을 형성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으로의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압부의 경사면은, 상기 성형대응부와의 사이에 압착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고, 상기 공간제공부는, 상기 절곡부와 접촉되는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함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함입부는, 상기 가압부의 끝단이 상기 공간제공부의 일측면 보다 하부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커팅된 링유닛의 단부가 상기 가압부의 경사면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압부는, 상기 돌기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가압편 및 타측에 배치되는 제2 가압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가압편은,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과 제1 절곡공간을 형성하여, 커팅된 링유닛의 일측이 구속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가압편은,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과 제2 절곡공간을 형성하여, 커팅된 링유닛의 타측이 구속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절곡본체부는, 길이방향 중앙이 상기 공간제공부와 멀어지도록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공간제공부로의 밀착력이 길이방향 양측단으로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압부 및 상기 돌기부의 상기 공간제공부로의 밀착력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성형부의 전단을 지지하는 제1 위치이동부, 상기 성형부의 후단에 고정되는 제2 위치이동부, 상기 제1 위치이동부와 상기 제2 위치이동부를 연결하되, 상기 제1 위치이동부와 상기 제2 위치이동부의 이격 거리가 변화 가능하도록 탄성 변형되는 연결부 및 상기 제1 위치이동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트윈링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제한부를 구비하며, 상기 트윈링은, 상기 성형부에 의해 가공되는 제1 링유닛, 상기 제1 링유닛과 이웃한 제2 링유닛 및 제3 링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제2 링유닛을 구성하는 한쌍의 링 사이로 삽입되는 제1 제한편 및 상기 제3 링유닛을 구성하는 한쌍의 링 사이로 삽입되는 제2 제한편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며, 트윈링의 상기 안착부로의 안착을 용이하도록 하는 트윈링이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윈링이동부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톱니부를 구비하는 톱니바퀴부 및 상기 톱니바퀴부를 회전시키는 톱니회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톱니바퀴부는, 회전되는 경우, 트윈링과 이웃한 톱니부가 이격된 링유닛 사이로 연속적으로 진입하여, 트윈링이 상기 안착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부를 위치 이동시키는 동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트윈링을 커팅하고, 커팅된 트윈링 단부의 날카로운 부분을 절곡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의 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절곡과정에서 추가적인 설비와 별도의 시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조비용 절감 및 생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링 커팅장치가 베이스부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링 커팅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와 성형부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링 커팅장치의 대기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링 커팅장치의 커팅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링 커팅장치의 절곡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링 커팅장치가 베이스부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링 커팅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일 실시예의 따른 트윈링 커팅장치(1)는 베이스부(50)에 장착되어, 한 쌍의 링으로 구성된 링유닛이 복수개 연결된 트윈링(TR)을 커팅하는 트윈링 커팅장치(1)일 수 있다.
상기 트윈링 커팅장치(1)는, 장착부(10), 안착부(20), 지지부(30, 도 3 참조), 성형부(40), 트윈링이동부(60) 및 동력부(7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10)는, 상기 베이스부(50)에 장착될 수 있으며, 관통된 형태의 내부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부(30)와 상기 성형부(4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20)는, 상기 장착부(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부(21) 및 성형대응부(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1)는, 상기 장착부(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성형대응부(23)는, 상기 고정부(21)의 상측에 연결되며, 상기 트윈링(TR)이 안착될 공간을 제공하고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대응부(23)는, 상기 성형부(40)와의 위치관계에 따라 인접한 링유닛을 커팅 또는 절곡시킬 수 있다.
상기 성형대응부(23)는, 평행부(231) 및 경사부(2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평행부(231)는, 상기 성형부(40)의 일측면과 평행한 평행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일측면은 후술할 공간본체부(41)의 밑면일 수 있다.
상기 경사부(232)는, 상기 평행부(231)의 평행면과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안착부(20)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성형부(40)는, 상기 지지부(30)에 연결된 채 연동되어, 상기 지지부(30)에 의해 위치이동 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20)와의 위치 관계에 따라 상기 트윈링(TR)을 커팅하고 커팅된 단부를 절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30)와 상기 성형부(40)는, 상기 장착부(10)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채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성형부(40)는, 상기 지지부(30)에 의해 상기 안착부(20)를 향한 제1 방향(S)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대기위치(도 5의 (a) 참조)에서부터 커팅위치(도 6의 (a) 참조)로, 상기 커팅위치에서 절곡위치(도 7 및 도 8 참조)로 순차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대기위치란, 상기 성형부(40)가 위치이동 전 대기하는 위치로써, 상기 안착부(20)와 이웃한 위치일 수 있다.
커팅위치란, 상기 성형부(40)가 상기 트윈링(TR)을 커팅하기 위해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제1 방향(S)로 위치이동 하여 상기 안착부(20)와 접촉하는 위치일 수 있다.
절곡위치란, 상기 성형부(40)가 상기 커팅위치에서 상기 제1 방향(S)으로 더 위치이동 하여 상기 트윈링(TR)을 절곡하는 위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형부(40)는 상기 지지부(30)에 의해 상기 대기위치에서 커팅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커팅위치에서 상기 안착부(20)와의 사이에 위치한 링유닛을 커팅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성형부(40)는 상기 지지부(30)에 의해 상기 커팅위치에서 상기 절곡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절곡위치에서 상기 안착부(20)와의 사이에 위치한 커팅된 링유닛을 절곡시킬 수 있다.
상기 트윈링이동부(60)는, 톱니바퀴부(63) 및 톱니회전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트윈링이동부(60)는, 상기 베이스부(50)에 장착되며, 트윈링(TR)의 상기 안착부(20)로의 안착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톱니회전부는, 상기 톱니바퀴부(63)의 중앙에 축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톱니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톱니바퀴부(63)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톱니바퀴부(63)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톱니부(6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톱니바퀴부(63)가, 상기 톱니회전부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트윈링(TR)과 이웃한 톱니부(61)가 이격된 링유닛 사이로 연속적으로 진입하여, 트윈링(TR)이 상기 안착부(20)를 따라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동력부(70)는, 상기 장착부(10)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부(30)를 위치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력부(70)로 유압 실린더, 전동 실린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와 성형부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4의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링 커팅장치(1)의 상기 지지부(30)는, 제1 위치이동부(31), 제2 위치이동부(33), 연결부(35) 및 위치제한부(3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이동부(31)는, 상기 성형부(40)의 전단을 지지하고, 상기 제2 위치이동부(33)는 상기 성형부(4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5)는, 상기 제1 위치이동부(31)와 상기 제2 위치이동부(33)를 연결하되, 상기 제1 위치이동부(31)와 상기 제2 위치이동부(33)의 이격 거리가 변화 가능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제한부(37)는, 상기 제1 위치이동부(31)로부터 돌출되고, 제1 제한편(371) 및 제2 제한편(372)을 구비하여, 상기 성형대응부(23 도 2 참조)와 맞닿을 수 있다.
상기 성형부(40)는, 공간제공부(41) 및 절곡부(43)를 구비하고, 인접한 링유닛의 적어도 일부분을 구속할 수 있도록 구속공간(P)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공간제공부(41)는, 공간본체부(411), 돌출부(412), 중앙부(413) 및 함입부(4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간본체부(411)는, 상기 제2 위치이동부(33)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위치이동부(33)에 의해 상기 제1 방향(S)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412)는, 상기 공간본체부(411)의 일측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돌출편(412a)과 제2 돌출편(412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앙부(413)는, 상기 공간본체부(411)의 일측단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1 돌출편(412a)과 상기 제2 돌출편(412b)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본체부(411)로부터 끝단을 향해 갈수록 점진적으로 종단면적의 크기가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편(412a)과 상기 중앙부(413)의 연결부위 및 상기 제2 돌출편(412b)과 상기 중앙부(413)의 연결부위에는 칼날을 더 구비하여 커팅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함입부(414)는, 상기 공간본체부(411)의 일측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간본체부(411)의 일측면은 상기 공간본체부(411)가 상기 절곡부(43)와 접촉되는 대향면일 수 있다.
상기 성형부(40)는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커팅위치로 이동 중에, 인접한 링유닛의 적어도 일부분이 구속되도록 구속공간(P)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속공간(P)은 제1 구속공간(P1) 및 제2 구속공간(P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속공간(P1)은 상기 제1 돌출편(412a)과 상기 중앙부(413) 사이의 이격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구속공간(P2)은 상기 제2 돌출편(412b)과 상기 중앙부(413) 사이의 이격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43)는 절곡본체부(431), 가압부(432), 돌기부(4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곡본체부(431)의 후단은 상기 공간본체부(411)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곡본체부(431)의 밑면이 상기 공간본체부(411)의 밑면과 맞닿도록 연결되며, 상기 절곡본체부(431) 전단은 상기 함입부(414)에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절곡본체부(431)는 후단만 상기 공간본체부(411)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공간본체부와(411)의 이격 거리가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본체부(431)는, 길이방향 중앙이 상기 공간본체부(411)와 멀어지도록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공간본체부로(411)의 밀착력이 길이방향 양측단으로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곡본체부(431)의 굴곡진 길이방향 중앙이 상기 공간제공부(41)에 밀착되면, 상기 공간본체부(411)로의 밀착력이 상기 절곡본체부(431)의 길이방향 전단 및 후단으로 집중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432)는, 상기 절곡본체부(411)의 일측단에 경사면을 제공하고, 커팅된 링유닛의 단부를 절곡시킬 수 있다.
상기 돌기부(433)는 상기 가압부(43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링 커팅장치의 대기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링 커팅장치의 커팅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는 대기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트윈링 커팅장치의 측면도, 도 5의 (b)는 도 5의 (a)를 상측에서 내려다본 평면도, 도 5의 (c)는 도 5의 (a)를 하측에서 올려본 정면도이다.
도 6의 (a)는 커팅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트윈링 커팅장치의 측면도, 도 6의 (b)는 도 6의 (a)를 상측에서 내려다본 평면도, 도 6의 (c)는 도 6의 (a)를 하측에서 올려본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트윈링(TR)은 상기 성형부(40)에 의해 가공되는 제1 링유닛(R1), 상기 제1 링유닛(R1)과 이웃한 제2 링유닛(R2) 및 제3 링유닛(R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커팅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대기위치(도 5 참조)에 위치한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위치제한부(37)가 상기 성형대응부(23)와 맞닿을 때까지 상기 제1 방향(S)으로 이동된다.
상기 위치제한부(37)가 상기 성형대응부(23)에 맞닿아 상기 제1 위치이동부(31)의 위치가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위치이동부(33)는 계속 상기 제1 방향(S)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2 위치이동부(33)에 고정된 상기 공간제공부(41)를 상기 커팅위치(도 6 참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제한편(371)은 상기 제2 링유닛(R2)을 구성하는 한쌍의 링 사이로 삽입되고 상기 제2 제한편(372)은 상기 제3 링유닛(R3)을 구성하는 한 쌍의 링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성형대응부(23)에 안착된 트윈링(TR)의 위치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도 6의 (b) 및 (c)참조)
상기 제2 위치이동부(33)에 고정된 상기 공간제공부(41)는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커팅위치로 이동 중에, 밑면이 상기 평행부(231)의 평행면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 중앙부(413)는 상기 제1 링유닛(R1)의 한 쌍의 링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앙부(413)와 상기 제1 돌출편(412a)은 상기 제1 링유닛(R1)의 한 쌍의 링 중 어느 하나의 링이 상기 제1 구속공간(P1)에 유입되도록 가이드하고, 상기 중앙부(413)와 상기 제2 돌출편(412b)은 한 쌍의 링 중 나머지 하나의 링이 상기 제2 구속공간(P2)에 유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중앙부(413)는, 상기 공간본체부(411)로부터 끝단을 향해 갈수록 점진적으로 종단면적의 크기가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링유닛(R1)의 한 쌍의 링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부(413)의 이러한 형상을 통해, 상기 중앙부(413)는 상기 제1 링유닛(R1)의 링 사이의 이격 거리를 벌리면서 상기 제1 방향(S)으로 이동될 수 있다.
링 사이의 이격 거리가 벌어지며 절곡된 상기 제1 링유닛(R1)은 상기 절곡위치에서 상기 절곡부(43)에 의해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속공간(P1) 및 상기 제2 구속공간(P2)은, 상기 제1 링유닛(R1)을 구성하는 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속공간 내에서의 링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속공간(P)이 상기 제1 링유닛(R1)을 구성하는 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링유닛(R1)이 상기 구속공간(P)에 긴밀하게 구속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성형대응부(23)는, 상기 평행부(231)의 평행면이 상기 공간제공부(41)의 밑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중에 상기 구속공간(P)의 상부로 노출된 제1 링유닛(R1)을 커팅할 수 있다.
상기 구속공간(P)의 상부로 노출된 제1 링유닛(R1)은 상기 제1 방향(S)으로 슬라이딩 되는 상기 공간제공부(41)에 의해 상기 성형대응부(23)와 상기 공간제공부(41)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공간제공부(41)와 상기 성형대응부(23)가 서로 중첩되며 상기 제1 링유닛(R1)을 커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간제공부(41)와 대향하는 상기 평행부(231)의 일측단에는 칼날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평행부(231)의 칼날과 상기 돌출부(412)와 상기 중앙부(413)의 연결부위에 구비된 칼날이 중첩되며 상기 구속공간(P)에 구속된 제1 링유닛(R1)을 커팅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링 커팅장치의 절곡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b)는 절곡부와 성형대응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설명하기 위해 돌기부와 커팅된 링유닛을 제외하고 도시한 측면도이도, 도 8의 (b)는 절곡부와 성형대응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설명하기 위해 커팅된 링유닛을 제외하고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링유닛(R1)이 커팅된 후, 상기 공간제공부(41)는 상기 평행부(231)의 평행면을 따라 더 슬라이딩 되고, 상기 공간제공부(41)와 연결된 상기 절곡부(43)는 상기 경사부(232)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상기 절곡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절곡부(43)는 상기 성형대응부(23)와의 사이에 절곡공간(H, 도 7의 (b) 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간제공부(41)와 상기 성형대응부(23)에 의해 커팅된 링유닛(R)의 단부는, 상기 절곡공간(H)에 구속된 채 상기 절곡부(43)와의 접촉에 따라 절곡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432)는 상기 경사부(232)의 경사면과의 사이에 상기 절곡공간(H)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곡공간(H)은, 커팅된 링유닛(R)의 단부가 상기 가압부(432)에 의해 절곡되는 공간일 수 있다.
상기 가압부(432)는, 제1 가압편(432a) 및 제2 가압편(432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편(432a)은 상기 돌기부(433)를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경사부(232)의 경사면과 제1 절곡공간을 형성하여, 커팅된 링유닛(R)의 일측이 구속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절곡공간에 구속된 커팅된 링유닛(R)의 일측은 상기 제1 가압편(432a)에 의해 압착되어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압편(432b)은 상기 돌기부(433)를 중심으로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경사부(232)의 경사면과 제2 절곡공간을 형성하여, 커팅된 링유닛(R)의 타측이 구속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절곡공간에 구속된 커팅된 링유닛(R)의 타측은 상기 제2 가압편(432b)에 의해 압착되어 절곡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433)는, 상기 가압부(432)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경사부(232)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433)는, 상기 경사부(232)의 경사면과 대향하는 대향면이 상기 경사부(232)의 경사면과 단층면(도 7의 (a) 및 도 8의 (b) 참조)을 형성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경사부(232)의 경사면으로의 슬라이딩이 용이할 수 있다.
여기서 단층면이란 상기 경사부(232)의 경사면과 대향하는 상기 돌기부(433)의 대향면이 상기 경사부(232)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절곡부(43)는 상기 돌기부(433)가 형성한 단층면에 의해 상기 경사부(232)의 경사면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돌기부(433)가 상기 경사부(232)의 경사면과 단층면을 형성하지 않는다면, 상기 절곡부(43)는 상기 절곡위치로 이동중에, 상기 성형대응부(23)와 충돌하여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433)가 상기 경사부(232)의 경사면과 단층면을 형성하지 않는다면, 상기 절곡부(43)가 상기 경사부(232)의 경사면이 아닌 상기 평행부(231)의 평행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커팅된 링유닛(R)의 단부를 절곡시키지 못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432)의 경사면은, 상기 성형대응부(23)와의 사이에 압착공간(T, 도 7의 (b) 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팅된 링유닛(R)의 단부는 상기 압착공간(T)에서 상기 가압부(432)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고, 상기 가압부(432)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만약, 상기 가압부(432)가 경사면을 형성하지 않는다면 커팅된 링유닛(R)의 단부는 상기 가압부(432)와 상기 성형대응부(23) 사이에 끼어 파손될 수 있다.
상기 절곡본체부(431)의 전단은 상기 함입부(414)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함입부(414)는, 상기 가압부(432)의 끝단이 상기 공간제공부(41)의 일측면보다 하부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커팅된 링유닛(R)의 단부가 상기 가압부(432)의 경사면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 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공간본체부(411)가 상기 함입부(414)를 구비하지 않는다면, 커팅된 링유닛(R)의 단부가 상기 가압부(432)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지 못하고, 상기 가압부(432)의 끝단과 상기 공간몸체부(411)의 밑면 사이에 끼어 파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함입부(414)는, 커팅된 링유닛(R)의 단부가 상기 가압부(432)의 경사면과 바로 접촉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커팅된 링유닛(R)의 단부 가 상기 가압부(432)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트윈링 커팅장치(1)에 의해 트윈링(TR)을 커팅하고, 절곡하는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겠다.
먼저, 대기위치에 위치한 지지부(30)는, 성형대응부(23)와 위치제한부(37)가 맞닿을 때까지 제1 방향(S)으로 이동된다.
이 때, 지지부(30)의 상측에 배치된 돌출부(412)도 지지부(30)와 연동되어 제1 방향(S)으로 이동된다.
다음, 공간제공부(41)가 위치제한부(37)의 상면을 따라 제1 방향(S)으로 이동되어 성형대응부(23)의 상면으로 슬라이딩 된다(대기위치에서 커팅위치로 이동).
이 때, 위치제한부(37)는, 성형대응부(23)와 맞닿아 제1 방향(S)으로의 위치 이동이 제한된 상태이며, 위치제한부(37)의 위치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의 공간제공부(41)의 위치 이동에 관하여는 이미 상술한 바 있다(제1 위치이동부(31)와 제2 위치이동부(33)의 연결 관계).
그리고, 공간제공부(41)가 성형대응부(23)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중에, 구속공간(P)으로 한 쌍의 링이 삽입되고, 삽입된 링은 중첩된 공간제공부(41)와 평행부(231)에 의해 커팅된다(평행부(231)의 끝단 칼날과, 돌출편(412a, 412b)과 중앙부(413) 사이의 칼날에 의하여).
링이 커팅된 후, 공간제공부(41)가 성형대응부(23)의 상면을 따라 더 슬라이딩 된다(커팅위치에서 절곡위치로 이동).
커팅된 링유닛(R)의 단부는, 절곡부(43)의 가압부(432)와 성형대응부(23)의 경사부(232) 사이에서 압착되어, 절곡된다.
본 발명의 트윈링 커팅장치(1)는, 성형부(40)의 제1 방향(S)으로의 한 번에 위치 이동에 따라, 트윈링을 커팅하는 동시에 절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성형부(40)의 위치를 대기위치, 커팅위치, 절곡위치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분하였을 뿐, 실제로 작동될 시에는 대기위치에서 절곡위치로 한 번에 위치 이동되어, 트윈링을 가공(커팅 및 절곡)한다.
이에 따라, 커팅과 절곡이 거의 동시에 구현되어, 트윈링의 가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트윈링 커팅장치
10: 장착부
20: 안착부
21: 고정부
23: 성형대응부
30: 지지부
31: 제1 위치이동부
33: 제2 위치이동부
35: 연결부
37: 위치제한부
40: 성형부
41: 공간제공부
43: 절곡부
50: 베이스부
60: 트윈링이동부
61: 톱니부
63: 톱니바퀴부
70: 동력부
TR: 트윈링
R1: 제1 링유닛
R2: 제2 링유닛
R3: 제3 링유닛
S: 제1 방향
P: 구속공간
H: 절곡공간
T: 압착공간

Claims (16)

  1. 베이스부에 장착되어, 한 쌍의 링으로 구성된 링유닛이 복수개 연결된 트윈링을 커팅하는 트윈링 커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고정되며, 상기 트윈링이 안착된 채, 위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안착부;
    상기 장착부에 연결되고, 상기 안착부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위치 이동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연결된 채 연동되며, 상기 안착부와의 위치 관계에 따라 상기 트윈링을 커팅하고, 커팅된 링유닛의 단부를 절곡하는 성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부는,
    대기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에 의해 상기 안착부를 향한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안착부와의 사이에 위치한 링유닛을 커팅하는 커팅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커팅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안착부와의 사이에 위치한 커팅된 링유닛을 절곡시키는 절곡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성형부는,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커팅위치로 이동 중에, 인접한 링유닛의 적어도 일부분이 구속되도록 구속공간을 제공하는 공간제공부 및
    상기 공간제공부에 연결된 채, 외력에 의해 상기 공간제공부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는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장착부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성형부와의 위치 관계에 따라 인접한 링유닛을 커팅 또는 절곡시키는 성형대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링 커팅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대응부는,
    상기 공간제공부의 일측면과 평행한 평행면을 제공하는 평행부 및 상기 평행면과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면을 제공하는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간제공부는,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커팅위치로 이동 중에, 일측면이 상기 평행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고,
    상기 성형대응부는,
    상기 평행면이 상기 공간제공부의 일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중에, 상기 구속공간의 상부로 노출된 링유닛을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링 커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제공부는,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공간본체부,
    상기 공간본체부의 일측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돌출편과 제2 돌출편을 구비하는 돌출부 및
    상기 공간본체부의 일측단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1 돌출편과 상기 제2 돌출편 사이에 형성되는 중앙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속공간은,
    상기 제1 돌출편과 상기 중앙부 사이의 이격 공간에 형성되는 제1 구속공간 및 상기 제2 돌출편과 상기 중앙부 사이의 이격 공간에 형성되는 제2 구속공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부는,
    인접한 링유닛의 한 쌍의 링 사이로 삽입되어, 한 쌍의 링 중 어느 하나의 링이 상기 제1 구속공간에 유입되도록 하고, 한 쌍의 링 중 나머지 하나의 링이 상기 제2 구속공간에 유입되도록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링 커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는,
    상기 공간본체부로부터 끝단을 향해 갈수록 점진적으로 종단면적의 크기가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인접한 링유닛의 한 쌍의 링 사이로의 침투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링 커팅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속공간 및 상기 제2 구속공간은,
    링유닛을 구성하는 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속공간 내에서의 링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링 커팅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커팅위치에서 상기 절곡위치로 이동 중에, 상기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상기 성형대응부와의 사이에 절곡공간을 형성하며,
    커팅된 링유닛의 단부는,
    상기 절곡공간에 구속된 채, 상기 절곡부와의 접촉에 따라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링 커팅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공간제공부에 연결되는 절곡본체부,
    상기 절곡본체부의 일측단에 경사면을 제공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기부는,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과의 사이에 절곡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링 커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과 대향하는 대향면이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과 단층면을 형성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으로의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링 커팅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경사면은,
    상기 성형대응부와의 사이에 압착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고,
    상기 공간제공부는,
    상기 절곡부와 접촉되는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함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함입부는,
    상기 가압부의 끝단이 상기 공간제공부의 일측면 보다 하부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커팅된 링유닛의 단부가 상기 가압부의 경사면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링 커팅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돌기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가압편 및 타측에 배치되는 제2 가압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가압편은,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과 제1 절곡공간을 형성하여, 커팅된 링유닛의 일측이 구속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가압편은,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과 제2 절곡공간을 형성하여, 커팅된 링유닛의 타측이 구속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링 커팅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본체부는,
    길이방향 중앙이 상기 공간제공부와 멀어지도록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공간제공부로의 밀착력이 길이방향 양측단으로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압부 및 상기 돌기부의 상기 공간제공부로의 밀착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링 커팅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성형부의 전단을 지지하는 제1 위치이동부,
    상기 성형부의 후단에 고정되는 제2 위치이동부,
    상기 제1 위치이동부와 상기 제2 위치이동부를 연결하되, 상기 제1 위치이동부와 상기 제2 위치이동부의 이격 거리가 변화 가능하도록 탄성 변형되는 연결부 및
    상기 제1 위치이동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트윈링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제한부를 구비하며,
    상기 트윈링은,
    상기 성형부에 의해 가공되는 제1 링유닛, 상기 제1 링유닛과 이웃한 제2 링유닛 및 제3 링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제2 링유닛을 구성하는 한쌍의 링 사이로 삽입되는 제1 제한편 및 상기 제3 링유닛을 구성하는 한쌍의 링 사이로 삽입되는 제2 제한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링 커팅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며, 트윈링의 상기 안착부로의 안착을 용이하도록 하는 트윈링이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윈링이동부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톱니부를 구비하는 톱니바퀴부 및 상기 톱니바퀴부를 회전시키는 톱니회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톱니바퀴부는,
    회전되는 경우, 트윈링과 이웃한 톱니부가 이격된 링유닛 사이로 연속적으로 진입하여, 트윈링이 상기 안착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링 커팅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부를 위치 이동시키는 동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링 커팅장치.
KR1020210041232A 2021-03-30 2021-03-30 트윈링 커팅장치 KR102266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232A KR102266027B1 (ko) 2021-03-30 2021-03-30 트윈링 커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232A KR102266027B1 (ko) 2021-03-30 2021-03-30 트윈링 커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027B1 true KR102266027B1 (ko) 2021-06-16

Family

ID=76602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1232A KR102266027B1 (ko) 2021-03-30 2021-03-30 트윈링 커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0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90080A (zh) * 2023-09-11 2023-10-17 常州核芯力科技有限公司 一种屏蔽丝裁切机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030A (ko) * 2001-09-19 2003-03-28 김유원 바인딩 스프링 커팅장치
KR100796951B1 (ko) * 2007-05-17 2008-01-22 이기종 바인더용 스프링의 제조장치
KR20100125919A (ko) 2009-05-22 2010-12-01 황영근 트윈링 제본구조
KR20110139369A (ko) 2010-06-23 2011-12-29 황영근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
KR101223926B1 (ko) 2010-12-31 2013-01-21 팩컴코리아(주) 트윈링 에지 클린칭 장치
KR101565158B1 (ko) 2015-05-06 2015-11-02 신현 제본용 트윈링의 비돌출 절단방법
CN106515251A (zh) * 2015-09-12 2017-03-22 艾派集团(中国)有限公司 一种具有弯钩锁的线圈及其制作设备
KR101912652B1 (ko) * 2018-08-24 2018-10-29 우종태 제본용 트윈링의 컷팅 및 에지부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030A (ko) * 2001-09-19 2003-03-28 김유원 바인딩 스프링 커팅장치
KR100796951B1 (ko) * 2007-05-17 2008-01-22 이기종 바인더용 스프링의 제조장치
KR20100125919A (ko) 2009-05-22 2010-12-01 황영근 트윈링 제본구조
KR20110139369A (ko) 2010-06-23 2011-12-29 황영근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
KR101223926B1 (ko) 2010-12-31 2013-01-21 팩컴코리아(주) 트윈링 에지 클린칭 장치
KR101565158B1 (ko) 2015-05-06 2015-11-02 신현 제본용 트윈링의 비돌출 절단방법
CN106515251A (zh) * 2015-09-12 2017-03-22 艾派集团(中国)有限公司 一种具有弯钩锁的线圈及其制作设备
KR101912652B1 (ko) * 2018-08-24 2018-10-29 우종태 제본용 트윈링의 컷팅 및 에지부 성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90080A (zh) * 2023-09-11 2023-10-17 常州核芯力科技有限公司 一种屏蔽丝裁切机
CN116890080B (zh) * 2023-09-11 2023-11-21 常州核芯力科技有限公司 一种屏蔽丝裁切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6027B1 (ko) 트윈링 커팅장치
JP2008119704A (ja) プレス加工装置
EP1568421B1 (en) Method of processing of a formed product and metal upper mold used for the method
US20160003296A1 (en) Method of producing bushing and piece with bushing
CZ285474B6 (cs) Způsob výroby dvoudílné klecové matice
EP2305395A1 (en) Press working equipment and press working method
JP4642937B2 (ja) 用紙の綴じ装置及び綴じ方法
JP6299875B2 (ja) 抜型装置
EP1512549A1 (en) Binder and binding device
WO2013171795A1 (ja) トリミング装置
CN109606780B (zh) 折弯smd元器件自动成型包装模具
US2435848A (en) Ring binder
JP4956508B2 (ja) 紙製綴じ具を用いた冊子の製造装置
JP4329294B2 (ja) プレス加工装置
KR101912652B1 (ko) 제본용 트윈링의 컷팅 및 에지부 성형장치
JP4998332B2 (ja) プレス加工装置
CN109562432B (zh) 层叠铁芯的制造装置以及层叠铁芯的制造方法
US20190160512A1 (en) Letter box with auto riveting
JP2020037127A (ja) 金型、パンチ、ダイ、および加工方法
CN213003816U (zh) 一种电池保护板定位装置及电路板锣板机
JP2011131254A (ja) 切断装置
JP6661400B2 (ja) 面取り金型及び面取り加工品の製造方法
CN205324451U (zh) 自动导向式冲槽机
JP2011230468A (ja) 綴じ装置の舌片カッター、および綴じ装置
WO2015068237A1 (ja) カバーの板バネ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