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9369A -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 - Google Patents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9369A
KR20110139369A KR1020100059410A KR20100059410A KR20110139369A KR 20110139369 A KR20110139369 A KR 20110139369A KR 1020100059410 A KR1020100059410 A KR 1020100059410A KR 20100059410 A KR20100059410 A KR 20100059410A KR 20110139369 A KR20110139369 A KR 20110139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inlay
cover
hole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영근
Original Assignee
황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영근 filed Critical 황영근
Priority to KR1020100059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9369A/ko
Publication of KR20110139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3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5/0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 B42B5/08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finger, claw or ring-like elements passing through the sheets, quires or signatures
    • B42B5/12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finger, claw or ring-like elements passing through the sheets, quires or signatures the elements being c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3/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involving perforations; Means therefor; Sheet details therefor
    • B42F3/003Perforated or punche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3/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involving perforations; Means therefor; Sheet details therefor
    • B42F3/04Attachment means of ring, finger or claw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스프링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제본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다수가 겹쳐진 상태로 설치되고 한쪽 모서리에는 다수의 구멍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속지와, 속지를 보호하는 표지의 외면을 이루는 외피와, 표지의 내면을 이루도록 외피의 내면쪽에 서로의 테두리를 일체로 고정시켜 설치되며 중앙부에 상하로 길게 돌출되어 밀착되어 접히는 상태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고정돌기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내피와, 내피에 형성되는 구멍과 속지에 형성되는 구멍을 동시에 관통 삽입되어 고정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Bookbinding Structure Using Twin Spring}
본 발명은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자세하게는 트윈 스프링을 이용하여 제본을 행할 때에 표지와 스프링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이나 노트, 다이어리 등을 제작할 때에는 많은 수의 속지 한쪽 모서리를 표지의 중앙부에 일체로 결합시키는 제본을 행하며, 제본방법으로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과 스프링을 사용하는 방법 등을 사용한다.
최근에는 내용이 기재되는 속지를 넘겨보기 용이하고, 표지의 책등(속지의 모서리가 일체로 결합된 부분의 외면 부분)에 요철인쇄 등의 다양한 인쇄방법을 적용하여 고급화된 제품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스프링 제본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나아가 최근 개인이나 단체에서 작품이나 기록물 등을 소량으로 생산하여 제본을 행하거나, 다이어리나 학습용 노트 등을 개인적으로 제작하려는 경향이 널리 증가하고 있으며, 스프링 제본의 활용도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공개된 스프링 제본기술의 경우에는 표지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플라스틱 사출부품을 설치하거나 내피 양쪽에 스프링이 삽입되는 구멍을 형성하여 제본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종래 플라스틱 사출부품을 설치하여 스프링을 고정하는 경우에는 부품이 추가적으로 사용되므로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제작과정이 복잡하게 이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공개특허 제10-2009-89115와 같이 내피 양쪽에 구멍을 형성하여 스프링을 고정하는 경우에는 양쪽 구멍이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므로 스프링을 삽입, 고정하는 작업이 어렵게 이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내피에 형성하는 구멍을 동일 위치에 있도록 밀착된 상태로 형성하므로 스프링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는
다수가 겹쳐진 상태로 설치되고 한쪽 모서리에는 다수의 구멍이 일렬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속지와,
상기 속지를 보호하는 표지의 외면을 이루는 외피와,
표지의 내면을 이루도록 상기 외피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며 중앙부에 상하로 평행한 세 개의 절곡선이 형성되며, 단면이 역V자로 길게 돌출되는 상태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에는 절곡선과 평행하게 이열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내피와,
상기 내피에 형성되는 구멍과 상기 속지에 형성되는 구멍을 동시에 관통 하여 고정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내피의 중앙부에서 돌출되며, 양면이 밀착되어 접히는 상태로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에 의하면, 고정돌기가 밀착되어 접히는 상태로 돌출 형성되므로, 외피의 표면이 서로 접하도록 외피와 내피를 뒤로 접는 것에 의하여 고정돌기만 한쪽 모서리에 돌출되고, 구멍이 형성된 속지의 모서리와 정렬시킨 다음 스프링을 삽입하는 것으로 제본이 완료된다. 따라서,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제본 과정을 수행할 수 있어 제작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별도의 추가적인 부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의 일실시예를 적용한 다이어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본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속지(50)와, 표지(10)와, 스프링(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속지(50)는 다수가 겹쳐진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속지(50)의 한쪽 모서리에는 상기 스프링(30)이 삽입되는 다수의 구멍(58)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상기 표지(10)는 외피(12)와 내피(14)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지(10)는 상기 속지(50)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 외피(12)는 상기 표지(10)의 외면을 이룬다.
상기 내피(14)는 상기 표지(10)의 내면을 이루면, 상기 외피(12)의 내면쪽에 서로의 테두리를 일체로 고정시켜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외피(12)와 내피(14)는 서로의 테두리를 고주파 융착, 초음파 융착, 재봉질, 접착 등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일체로 고정한다.
상기 외피(12)와 내피(14)는 합성수지나 천, 가죽 등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외피(12)와 내피(14) 사이에는 휘어지거나 굽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판(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을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내피(14)의 중앙부에는 고정돌기(16)를 돌출 형성한다.
상기 고정돌기(16)는 상기 내피(14)의 중앙부에 상하로 길게 돌출시켜 형성한다.
상기 고정돌기(16)는 내면이 밀착되는 상태로 돌출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돌기(16)는 상기 외피(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고정돌기(16)는 상기 내피(14)의 중앙부를 수직으로 접어올려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고정돌기(16)는 접어올리는 양쪽의 내면이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약간의 간격이 존재하는 삼각형의 단면형상으로 돌출시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돌기(16)에는 상기 속지(50)의 구멍(58)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스프링(30)이 삽입되는 구멍(18)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30)은 상기 내피(14)에 형성되는 구멍(18)과 상기 속지(50)에 형성되는 구멍(58)을 동시에 관통 삽입되어 고정 지지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의 일실시예를 이용하여 제본을 행하는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내피(14)의 중앙부에 3줄의 절곡선(15)을 형성(S10)하고, 절곡선(15)을 중심으로 2줄로 상하 길이방향으로 구멍(18)을 천공(S20)한 다음, 가운데에 위치한 절곡선(15)을 중심으로 양쪽에 형성한 구멍(18)이 서로 일치하도록 정렬된 상태로 돌출되도록 접어 고정돌기(16)를 형성(S30)한다.
그리고 고정돌기(16)가 형성된 내피(14)의 테두리와 외피(12)의 테두리를 일체로 고정하여 표지(10)를 형성(S40)하고, 상기 표지(10)를 고정돌기(16)가 한쪽으로 돌출되도록 외피(12)의 표면끼리 접하도록 접은(S50) 다음, 모서리를 정렬한 상태로 적층된 속지(50)를 구멍(58)이 형성된 한쪽 모서리가 고정돌기(16)와 정렬되도록 위치(S60)시키고, 한쪽이 벌려진 스프링(30)을 속지(50)의 구멍(58)과 고정돌기(16)의 구멍(18)을 관통시켜 삽입(S70)하고, 스프링(30)을 단면형상이 원형으로 되도록 압축하여 속지(50)와 고정돌기(16)를 서로 연결 고정시킨다(S80).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본과정이 완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의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속지(50)와 양 구멍(18), (58)이 정렬되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용이하고, 이에 따라 스프링(30)의 삽입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전체적인 제본과정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비교되는 선행기술인 공개특허 제10-2009-89115호는 중앙부의 2열의 천공구멍이 밀착 배열되지 않기 때문에 일일이 수작업으로 제본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은 중앙부에 세 개의 절곡선을 형성하고, 중앙부가 역V자형으로 쉽게 접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본시 양쪽 내지가 밖으로 향하도록 접은 후 중앙부의 구멍과 속지의 구멍을 겹치도록 위치시키기만 하면 인력에 의한 수작업 없이도 스프링을 삽입할 수 있어 제본에 드는 인력과 시간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표지, 12 - 외피, 14 - 내피, 15 - 절곡선, 16 - 고정돌기,
18 - 구멍, 30 - 스프링, 50 - 속지, 58 - 구멍

Claims (2)

  1. 다수가 겹쳐진 상태로 설치되고 한쪽 모서리에는 다수의 구멍이 일렬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속지와,
    상기 속지를 보호하는 표지의 외면을 이루는 외피와,
    표지의 내면을 이루도록 상기 외피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며 중앙부에 상하로 평행한 세 개의 절곡선이 형성되며, 단면이 역V자로 길게 돌출되는 상태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에는 절곡선과 평행하게 이열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내피와,
    상기 내피에 형성되는 구멍과 상기 속지에 형성되는 구멍을 동시에 관통 하여 고정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내피의 중앙부에서 돌출되며, 양면이 밀착되어 접히는 상태로 형성되는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
KR1020100059410A 2010-06-23 2010-06-23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 KR201101393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410A KR20110139369A (ko) 2010-06-23 2010-06-23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410A KR20110139369A (ko) 2010-06-23 2010-06-23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369A true KR20110139369A (ko) 2011-12-29

Family

ID=45504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410A KR20110139369A (ko) 2010-06-23 2010-06-23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936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027B1 (ko) 2021-03-30 2021-06-16 이신영 트윈링 커팅장치
KR102446519B1 (ko) * 2022-04-12 2022-09-23 (주) 소노마엠지 메탈 고리체결형 트윈 다이어리 커버 및 커버 제조방법
KR20230093618A (ko) 2021-12-20 2023-06-27 최시훈 커버가 구비된 노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027B1 (ko) 2021-03-30 2021-06-16 이신영 트윈링 커팅장치
KR20230093618A (ko) 2021-12-20 2023-06-27 최시훈 커버가 구비된 노트
KR102446519B1 (ko) * 2022-04-12 2022-09-23 (주) 소노마엠지 메탈 고리체결형 트윈 다이어리 커버 및 커버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9369A (ko)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
KR20190104479A (ko) 책 펼침이 좋은 책과, 그 책의 제작방법
CN106820808B (zh) 一种屏风转角组件及采用其的屏风
KR100844993B1 (ko) 스프링 타입 다이어리용 스프링 홀더 어셈블리
KR100571047B1 (ko) 다이어리용 속지지지대
JP3189231U (ja) 包装材
KR20080051718A (ko) 표지 겸용 지지대 구조체
KR101580915B1 (ko) 포장상자 및 그 조립방법
KR100321204B1 (ko) 앨범의 속지
JP3691811B2 (ja) 固定構造
KR200393072Y1 (ko) 개량된 링 제본부재를 가진 다이어리
KR100988246B1 (ko) 행거바닥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258406B1 (ko) 메모지가 교환 가능한 다용도 커버
KR200178257Y1 (ko) 앨범의 속지
KR200457426Y1 (ko) 책자 수납 앨범
KR20160004149U (ko) 링 노트용 네임택
KR200453030Y1 (ko) 흥미를 유발하는 학습용 책
KR101884132B1 (ko) 조립식 채반
KR200393082Y1 (ko) 다이어리 조립구조
KR20100125919A (ko) 트윈링 제본구조
KR200469113Y1 (ko) 다이어리용 책갈피
KR200267793Y1 (ko) 서류보관용 파일
KR20170024390A (ko) 접힘부에 공간이 형성된 다이어리
JP5629810B1 (ja) 容器
KR200283127Y1 (ko) 제본구조를 갖는 문서 커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