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082Y1 - 다이어리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다이어리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082Y1
KR200393082Y1 KR20-2005-0015088U KR20050015088U KR200393082Y1 KR 200393082 Y1 KR200393082 Y1 KR 200393082Y1 KR 20050015088 U KR20050015088 U KR 20050015088U KR 200393082 Y1 KR200393082 Y1 KR 2003930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diary
fixing member
inlay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0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철
Original Assignee
조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69427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93082(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철 filed Critical 조영철
Priority to KR20-2005-00150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0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0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0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2Diaries; Memorandum calend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01/00Books or filing appliances for special documents or for special purposes
    • B42P2201/08Books or filing appliances for special documents or for special purposes for stationery, e.g. writing paper, envelope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이어리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스프링을 이용하여 겉표지 내부에 속지를 고정하게 되는 다이어리에 있어서, 상기 겉표지(10) 내측의 정중앙 영역에 폭방향으로 지지부재(30)가 삽입된 고정부재(20)를 열융착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부재(30)에는 상기 속지(40)에 묶여진 상기 스프링(5)이 순차적으로 끼워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고정부재에 지지부재를 삽입시키고, 고정부재를 겉표지의 정중앙 영역에 융착 고정시켜 지지부재를 안정되게 고정시킨 다음, 지지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끼움돌출부의 스프링조립공을 통하여 속지가 결합된 스프링을 순차적으로 직접 끼워 다이어리를 조립하게 됨에 따라 조립이 간편하여 조립성이 우수하게 되었으며, 조립에 따른 공정이 단축되고, 부품수가 줄어들어 원가절감 및 가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다이어리 조립구조{a diary assemble structure}
본 고안은 다이어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이어리의 겉표지 정중앙 영역에 지지부재가 삽입된 고정부재를 고주파로써 열융착으로 부착시켜 지지부재를 고정시키고, 이 지지부재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스프링조립공에, 속지에 결합된 스프링을 간편하게 끼워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이어리(a diary)는 연간 발생될 수 있는 일을 일목요연하게 정리 및 기록이 가능하고,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노트 타입으로 제작되는 것이다.
이러한 다이어리 구조는 통상적으로 속지에 스프링을 결합하고, 원하는 겉표지가 완성되면, 스프링이 결합되는 속지와 겉표지를 상호 조립하여 제작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다이어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다이어리 조립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어리(100)는 스프링(300)을 이용하여 겉표지(400) 내부에 속지(200)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겉표지(400) 내측 정중앙 영역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돌편(510)을 갖는 금속재질의 지지판(500)을 접착제 등으로 부착하고, 지지판(500)의 돌편(510)과 돌편(510) 사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끼움홈(520)에 속지(200)가 내재된 스프링(300)을 끼운 다음, 그 내측으로 체결봉(600)을 길이 방향으로 길게 끼워 넣고, 지지판(500) 일측단부의 걸림편(530)을 꺾어 내려 체결봉(600)이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다이어리의 제작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속지(200)에 스프링(300)을 끼워 넣은 다음, 겉표지(4)의 정중앙 영역에 금속 지지판(500)을 접착제(양면 테이프포함)로써 부착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판(500)은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돌편(510)이 형성되고, 돌편(510) 사이에 형성된 끼움홈(520)에는 속지(200)가 묶여진 스프링(300)을 끼워넣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돌편(510) 내측의 관통된 구멍을 통하여 체결봉(600)을 길이 방향으로 길게 관통시키게 되면, 스프링(300)은 다수개의 돌편(510) 사이에 끼워진 채로 지지판(500) 위에 결합되어 지게 된다.
그런 다음, 지지판(500) 일측 단부에 형성된 걸림편(530)을 꺾어 내리면 걸림편(530)과 걸림편(530a) 사이에 체결봉(600)이 위치되어 체결봉(600)은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300)은 지지판(500) 위에 완전히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걸림편(530a)은 제작 당시부터 이미 꺾여져 있는 상태이고, 걸림편(530)은 체결봉(600)을 끼운후 꺾여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다이어리는, 겉표지의 정중앙 영역에 금속 지지판을 접착제로써 부착한 다음, 지지판의 돌편 사이에 형성된 끼움홈에 속지가 묶여진 스프링을 끼워넣은 후, 돌편 내측의 관통된 구멍을 통하여 체결봉을 길이 방향으로 길게 관통시킴으로써 조립이 완료되는 데, 이는 작업자가 일일히 스프링을 지지판의 끼움홈에 넣은 다음, 이에 체결봉을 끼워 스프링을 고정시킴으로써 공정이 추가됨에 따라 조립에 따른 조립성이 저하되어 연말에 몰리는 다이어리의 주문생산을 이행하지 못하게 되었으며, 또한 최종적으로 체결봉으로써 조립을 하게 됨에 따라 부품 수의 증가로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다이어리에 대한 조립이 간편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고, 부품의 수를 줄여 원가가 절감되는 다이어리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스프링을 이용하여 겉표지 내부에 속지를 고정하게 되는 다이어리에 있어서, 상기 겉표지 내측의 정중앙 영역에 폭방향으로 지지부재가 삽입된 고정부재를 열융착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속지에 묶여진 상기 스프링 순차적으로 끼워지게 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등간격으로 끼움공이 형성된 띠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끼움공에 순차적으로 돌출되게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이 삽입되는 스프링조립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끼움돌출부; 및 상기 끼움돌출부 사이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끼움공 하부면에 밀착되는 밀착부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어리 조립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어리 조립구조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어리 조립구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어리(1)는 스프링(5)을 이용하여 겉표지(10) 내부에 속지(40)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겉표지(10) 내측의 정중앙 영역에 폭방향으로 지지부재(30)가 삽입된 고정부재(20)를 고주파의 열융착으로 고정시키고, 지지부재(30)에 다이어리(1)의 속지(40)에 삽입되어 묶여진 스프링(5)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20)는 등간격으로 끼움공(22)이 형성된 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겉표지(10) 내측 정중앙 영역에 고주파로 열융착으로써 고정되어 지지부재(30)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30)는 고정부재(20)의 끼움공(22)에 순차적으로 돌출되게 삽입되고, 스프링(5)이 삽입되는 스프링조립공(32a)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끼움돌출부(32)와; 끼움돌출부(32) 사이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부재(20)의 끼움공(22) 하부면에 밀착되는 밀착부(34)로 이루어진다.
이때, 지지부재(30)는 접착제 등으로 겉표지(10)에 부착이 쉽게 되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부재(30)의 스프링끼움공(32a)은 속지(40)에 삽입된 스프링(5)이 용이하게 끼워지고, 속지(40)에 대한 페이지 넘김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이어리(1) 제작과정을 살펴보면,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다이어리(1)의 속지(40)에 스프링(5)을 끼워 넣은 다음, 고정부재(20)의 끼움공(22)을 통하여 지지부재(30)를 구성하고 있는 끼움돌출부(32)를 삽입시키게 된다.
그러면, 지지부재(30)의 끼움돌출부(32)가 고정부재(20)의 끼움공(22)을 통하여 돌출되게 삽입되고, 이와 동시에 지지부재(30)의 밀착부(34)가 고정부재(20)의 끼움공(22) 하부면에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부재(20)를 겉표지(10) 내측 정중앙 영역에 안착시킨 다음, 고정부재(20)의 가장자리를 고주파로 열융착으로써 겉표지(10) 내측 정중앙 영역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면, 고정부재(20)의 가장자리가 겉표지(10)에 열융착으로 고정되고, 이에 따라 고정부재(20)의 끼움공(22)에 돌출되게 삽입된 지지부재(3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런 다음에, 지지부재(30)의 끼움돌출부(32)에 형성된 스프링조립공(32a)을 통하여, 속지(40)가 묶여진 스프링(5)을 순차적으로 끼워넣게 되면, 스프링(5)이 끼움돌출부(32)의 스프링조립공(32a)에 삽입된 채로 지지부재(30) 상부에 결합되어 속지(40)의 넘김이 자유롭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고정부재에 지지부재를 삽입시키고, 고정부재를 겉표지의 정중앙 영역에 융착 고정시켜 지지부재를 안정되게 고정시킨 다음, 지지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끼움돌출부의 스프링조립공을 통하여 속지가 결합된 스프링을 순차적으로 직접 끼워 다이어리를 조립하게 됨에 따라 조립이 간편하여 조립성이 우수하게 되었으며, 조립에 따른 공정이 단축되고, 부품수가 줄어들어 원가절감 및 가격을 낮출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한 고안은 다이어리에 한정되어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노트 및 바인더 등의 사무용구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1은 종래 다이어리 조립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어리 조립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어리 조립구조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어리 조립구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이어리 5 : 스프링
10 : 겉표지 20 : 고정부재
22 : 끼움공 30 : 지지부재
32 : 끼움돌출부 32a : 스프링조립공
34 : 밀착부 40 : 속지

Claims (2)

  1. 스프링을 이용하여 겉표지 내부에 속지를 고정하게 되는 다이어리에 있어서,
    상기 겉표지(10) 내측의 정중앙 영역에 폭방향으로 지지부재(30)가 삽입된 고정부재(20)를 열융착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부재(30)에는 상기 속지(40)에 묶여진 상기 스프링(5)이 순차적으로 끼워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조립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끼움공(22)이 형성된 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고정부재(20)의 끼움공(22)에 순차적으로 돌출되게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5)이 삽입되는 스프링조립공(32a)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끼움돌출부(32)와;
    상기 끼움돌출부(32) 사이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20)의 끼움공(22) 하부면에 밀착되는 밀착부(3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조립구조.
KR20-2005-0015088U 2005-05-27 2005-05-27 다이어리 조립구조 KR2003930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088U KR200393082Y1 (ko) 2005-05-27 2005-05-27 다이어리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088U KR200393082Y1 (ko) 2005-05-27 2005-05-27 다이어리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082Y1 true KR200393082Y1 (ko) 2005-08-17

Family

ID=43694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088U KR200393082Y1 (ko) 2005-05-27 2005-05-27 다이어리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0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254B1 (ko) 2006-11-16 2009-04-01 봉 섭 신 종이홀더 제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254B1 (ko) 2006-11-16 2009-04-01 봉 섭 신 종이홀더 제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7915B1 (en) Commodity shelving system
JP2005524551A (ja) 印刷スクリーン、そのためのフレームおよび印刷スクリーンユニット
KR101202513B1 (ko) 링 바인더용 백 플레이트 및 파일 커버
KR200393082Y1 (ko) 다이어리 조립구조
KR200379912Y1 (ko) 다이어리 조립구조
KR100844993B1 (ko) 스프링 타입 다이어리용 스프링 홀더 어셈블리
KR100646844B1 (ko) 다이어리 조립구조
US20070272363A1 (en) Window blind assembly
KR200391966Y1 (ko) 비노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
KR100760848B1 (ko) 다이어리 조립구조
KR100878149B1 (ko) 선거용 홍보 포스터 벽보판
KR200386025Y1 (ko) 다이어리
KR20110139369A (ko)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
KR200398495Y1 (ko) 다이어리 조립구조
KR100571047B1 (ko) 다이어리용 속지지지대
JP2009127753A (ja) 長尺物用固定具
KR200329466Y1 (ko) 다이어리
KR101478051B1 (ko) 제본용 링부재
KR200442053Y1 (ko) 착탈식 서류보관용 파일
JP7023547B1 (ja) 雨雪浸入防止装置
JP4450551B2 (ja) ラック
US7148601B2 (en) Built-up stator assembly
KR200160182Y1 (ko)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는 절첩식 등롱
JP4336193B2 (ja) バインダー用補助具
JP4650088B2 (ja) バイン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81120

Effective date: 2009070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