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465B1 -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 - Google Patents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465B1
KR102265465B1 KR1020200091523A KR20200091523A KR102265465B1 KR 102265465 B1 KR102265465 B1 KR 102265465B1 KR 1020200091523 A KR1020200091523 A KR 1020200091523A KR 20200091523 A KR20200091523 A KR 20200091523A KR 102265465 B1 KR102265465 B1 KR 102265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liquid
nozzle
tub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라우드스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라우드스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라우드스토리
Priority to KR1020200091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465B1/ko
Priority to CN202011010779.7A priority patent/CN112191415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B05B15/656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whereby the flow conduit length is chang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8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70Arrangements for moving spray heads automatically to or from the working position
    • B05B15/72Arrangements for moving spray heads automatically to or from the working position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t least one outlet orifice surrounding another approximately in the same plane
    • B05B7/06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t least one outlet orifice surrounding another approximately in the same plane with only one liquid outlet and at least one gas outlet
    • B05B7/063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t least one outlet orifice surrounding another approximately in the same plane with only one liquid outlet and at least one gas outlet one fluid being sucked by the other
    • B05B7/06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t least one outlet orifice surrounding another approximately in the same plane with only one liquid outlet and at least one gas outlet one fluid being sucked by the other the liquid being sucked by the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91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oducing or supplying the atomising fluid, e.g. air hoses, air pumps, gas containers, compressors, fans, ventilators, their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07At least a part of the apparatus, e.g. a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means, e.g. wheels, for allowing its displacement relative to the groun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01M7/0014Field atomisers, e.g. orchard atomisers,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에 관한 것으로, 액체가 유동할 수 있는 액체 유동부, 그리고 상기 액체 유동부가 결합되어 있으며 공기가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변부는 유입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길이가 늘어날 수 있으며, 상기 액체는 상기 가변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액체 유동부에서 배출되어 상기 가변부의 외부로 살포될 수 있다.

Description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Liquid sprayer comprising a nozzle variable tube}
본 발명은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 살포기는 각종 농작물에 물, 농약, 소독약 등의 액체를 미세한 입자 형태로 살포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 들어서 축사에 설치되어 축사를 살균하는 용도 혹은 출입국장 주변에 설치되어 주변을 살균하는 용도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액체 살포기는 통상적으로 압력차에 의해 액체통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를 분사관을 통해 살포하게 된다. 그러나 액체를 광범위로 살포하기 위해서는 분사관의 각도 조절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같은 장소에 여러 대의 살포기를 동시에 설치해야 했다. 그리고 관리자가 액체 살포기 자체를 방향 전환해야 했다. 그로 인해 설치비용 증가는 물론이고 유지관리 측면에서 상당한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2703호 (2016.07.2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6905호 (2011.08.08.)
본 발명은 가변부의 길이 조절로 액체를 근거리는 물론이고 원거리까지 살포할 수 있게 하여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는, 액체가 유동할 수 있는 액체 유동부, 그리고 상기 액체 유동부가 결합되어 있으며 공기가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변부는 유입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길이가 늘어날 수 있으며, 상기 액체는 상기 가변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액체 유동부에서 배출되어 상기 가변부의 외부로 살포될 수 있다.
상기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와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는 액체 저장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송풍공간이 형성된 송풍 하우징 및 상기 송풍 하우징에 배치되어 있고 유입된 상기 외부 공기를 압력을 높여 상기 송풍공간으로 배출하는 송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부는 상기 송풍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액체 유동부는 상기 액체 저장부와 상기 가변부의 내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는, 상기 액체 저장부와 상기 본체가 놓여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연결된 손잡이 및 상기 베이스에 배치된 복수의 바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저장부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이 개방된 저장몸체, 상기 저장몸체의 개방된 상면에 배치되어 있고 점검홀이 형성된 메인덮개, 상기 메인덮개에 배치되어 상기 점검홀을 가리고 있는 서브덮개, 상기 저장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걸릴 수 있는 거치 브래킷 및 상기 저장몸체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위치설정홀에 삽입된 복수의 위치설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 하우징은,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송풍부를 지지하고 있는 설치대, 그리고 상기 설치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송풍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송풍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부의 일부분은 상기 송풍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가변부는 상기 송풍몸체와 결합되어 내부가 상기 송풍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액체 유동부는, 상기 송풍몸체와 결합되어 있고 일단이 상기 액체 저장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고 복수의 분기홀이 형성되어 있는 분기관, 상기 분기관의 일단과 결합되어 있는 유입관 및 상기 복수의 분기홀과 상기 가변부를 각각 연결하고 있는 복수의 유동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라인의 일단은 상기 분기홀과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가변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다.
상기 가변부는 각각, 상기 송풍 하우징과 결합되어 내부가 상기 송풍공간과 연결된 결합관, 상기 결합관과 연결되어 있고 방향 전환될 수 있는 가변관 및 상기 가변관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액체 유동부와 연결된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압력을 받고, 상기 가변관은 상기 노즐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상기 가변관은 주름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관은, 외부둘레가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관몸체, 그리고 상기 관몸체와 연결되어 있고 내부 둘레가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윙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윙몸체는 하부 가변관의 관몸체의 구형 외부 둘레를 감싸고 있을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상기 가변관과 결합되어 있고 내부가 상하 관통되어 분사홀이 형성된 노즐몸체, 상기 분사홀에서 상기 노즐몸체와 결합되어 있는 복수의 리브 및 상기 리브와 결합되어 상기 액체 유동부와 연결된 노즐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홀은 상기 노즐몸체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협소하며, 상기 노즐관의 단부는 상기 노즐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송풍공간에서 가변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가변관의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이에 가변관의 길이 조절로 액체를 근거리는 물론이고 원거리까지 살포 가능하게 하여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부들의 가변관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액체 살포 거리를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액체를 근거리 및 원거리까지 동시에 살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 보관 또는 이동 시 가변관의 길이를 축소할 수 있다. 이에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의 보관 및 이동성 향상은 물론이고 사용상 편의성 및 액체 살포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와 바퀴가 결합된 베이스에 액체 저장부와 송풍부가 배치된 본체가 배치되어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의 이동성이 우수하며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몸체와 가변관이 자력 결합부의 인력에 의해 서로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노즐몸체와 가변관의 분리가 용이하여 노즐몸체의 내부 세척, 그리고 노즐몸체의 내부가 이물질에 의해 막혔을 때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2의 송풍 하우징 분해도.
도 5는 도 1의 본체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1의 본체와 액체 저장부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B 부분 확대도.
도 8은 도 5의 가변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도 6의 C 부분 확대도.
도 10는 도 9의 노즐을 나타낸 반단면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가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도 9의 가변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송풍 하우징 분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본체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본체와 액체 저장부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B 부분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5의 가변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9는 도 6의 C 부분 확대도이고, 도 10는 도 9의 노즐을 나타낸 반단면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1)는 액체 유동부(80), 그리고 가변부(90)를 포함하며, 액체를 근거리는 물론이고 원거리까지 살포 가능하게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1)는 본체(40), 액체 저장부(50), 송풍 하우징(60) 및 송풍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1)는 베이스(10), 손잡이(30) 및 바퀴(2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성을 향상시킨다.
베이스(10)는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일측에 손잡이(30)가 상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하면에 복수의 바퀴(20)가 결합되어 있다. 관리자는 손잡이(30)와 바퀴(20)에 의해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1)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이동성이 향상된다.
본체(40)는 베이스(10)의 상면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유입공간(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이 개방되어 있다. 본체(40)의 상면에는 본체덮개(44)가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본체(40)의 양측면에는 복수의 유입홀(42)이 형성되어 있다.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1)의 외부 공기가 유입홀(42)을 통해 유입공간(4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손잡이(30)의 상단은 본체(40)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액체 저장부(50)는 저장몸체(51), 위치설정돌기(52), 메인덮개(53), 서브덮개(54) 및 거치 브래킷(55)을 포함하며 본체(40)의 전방에 위치하여 베이스(10)의 상면 타측에 배치되어 있다.
저장몸체(51)는 내부에 약액, 물 따위의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공간(5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이 개방되어 있다. 개방된 상면을 통해 액체를 저장공간(511)으로 주입할 수 있다. 저장몸체(51)의 하면은 베이스(10)의 상면과 접하며 배면은 본체(40)의 전면과 접하고 있다.
위치설정돌기(52)는 저장몸체(51)의 하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 돌출되어 있다. 저장몸체(51)가 베이스(10)에 배치될 때 위치설정돌기(52)가 베이스(10)에 형성된 위치설정홀(11)에 삽입된다. 위치설정돌기(52)가 위치설정홀(11)에 삽입되면서 저장몸체(51)는 베이스(10)의 타측 상면에서 정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저장몸체(51)의 배면은 본체(40)의 전면과 접한다. 그러나 위치설정돌기(52)는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저장몸체(51)의 일부분은 상하 방향으로 투명하게 형성하여 액체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저장몸체(51)의 내부에 액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으며, 센서가 감지한 수위가 설정값 이하이면, 경광등, 경고음 등으로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메인덮개(53)는 저장몸체(51)의 상면에 배치되어 경첩으로 저장몸체(51)와 연결되어 있다. 메인덮개(53)는 경첩에 의해 움직일 수 있으며 저장몸체(51)의 개방된 상면을 여닫을 수 있다.
메인덮개(53)에는 점검홀(531)이 형성되어 있다. 점검홀(531)을 통해 메인덮개(53)를 개방하지 않고 액체의 저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서브덮개(54)는 메인덮개(53)에 배치되어 점검홀(531)의 주변을 덮고 있다. 서브덮개(54)는 일단이 메인덮개(53)와 핀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핀을 기준으로 움직인 서브덮개(54)는 점검홀(531)을 여닫을 수 있다.
도면 도 3을 더 참고하면, 거치 브래킷(55)은 저장몸체(51)의 배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거치 브래킷(55)은 구부러져 있으며 상단이 저장몸체(51)와 결합되어 있으며 하단은 저장몸체(51)와 떨어져 있다. 거치 브래킷(55)의 하단은 본체(40)의 전면에 형성된 거치홀(43)을 통해 유입공간(41)으로 삽입되어 본체(40)의 내부면과 접하여 본체(40)에 거치되어 있다. 액체 저장부(50)는 거치 브래킷(55)의 거치로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그러나 거치 브래킷(55)은 생략될 수 있다. 이때 저장몸체(51)는 베이스(10)에 놓이고 클램프, 나사 등의 체결 수단을 통해 베이스(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면 도 4 및 도 5를 더 참고하면, 송풍 하우징(60)은 설치대(61), 그리고 송풍몸체(62)를 포함하며 유입공간(41)에 배치되어 송풍부(70)를 지지한다. 송풍부(70)는 공지의 송풍모터를 포함한다.
설치대(61)는 유입공간(41)의 바닥에 결합되어 간격을 두고 마주하고 있는 한 쌍의 수직부재(611), 그리고 한 쌍의 수직부재(611)를 연결하고 있는 수평부재(612)를 포함한다. 수평부재(612)는 유입공간(41)의 바닥에서 상부로 떨어져 있다.
수평부재(612)에는 송풍부(70)가 배치되어 있다. 송풍부(70)의 상단은 수평부재(612)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하단은 수평부재(612)의 하면과 유입공간(41)의 바닥 사이에 있다.
송풍몸체(62)는 내부에 송풍공간(6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이 개방되어 있다. 송풍몸체(62)의 상면에는 복수의 가변부(90)가 결합된 송풍덮개(63)가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송풍덮개(63)와 송풍몸체(62)의 사이에는 기밀부재(64)(도면 도 8 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송풍공간(621)의 바닥은 상하 관통되어 있다. 송풍몸체(62)의 하면은 수평부재(612)의 상면과 접하여 고정되어 있다. 송풍부(70)의 상단은 송풍공간(621)에 있다.
송풍부(70)는 유입공간(41)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때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1)의 외부 공기는 복수의 유입홀(42)을 통해 유입공간(4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송풍부(70)가 흡입한 공기는 상단을 통해 송풍공간(621)으로 배출된 후 가변부(90)의 내부를 유동하여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1)의 외부로 배출된다. 공기가 가변부(90)에서 배출될 때 가변부(90)의 상단 내부 압력은 급격하게 낮아진다.
한편, 송풍부(70)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의 설정에 따라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면 도 6 및 도 7을 더 참고하면, 액체 유동부(80)는 분기관(81), 유입관(82) 및 유동라인(83)을 포함하며 저장공간(511)의 액체가 가변부(90)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분기관(81)은 송풍몸체(62)의 외부 둘레 상부측에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으며, 일측은 송풍공간(621)에 위치하고 타측은 본체(40)와 저장몸체(51)를 관통하여 저장공간(511)으로 삽입되어 있다.
분기관(81)의 내부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어 저장공간(511)과 연결되어 있다. 분기관(81)의 일측에는 저장공간(511)과 연결된 복수의 분기홀(811)이 형성되어 있다. 분기홀(811)은 분기관(81)의 일측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다. 분기홀(811)의 개수는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1)의 규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유입관(82)은 저장공간(511)에 위치하여 상단이 분기관(81)의 타측과 연결되어 있으며 하단은 저장공간(511)의 바닥과 근접되어 있다. 저장공간(511)의 액체는 유입관(8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관(82)에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유입관(82)은 자유롭게 구부러질 수 있는 합성수지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유동라인(83)은 복수로 이루어져 각 분기홀(811) 마다 일단이 결합되어 있다. 유동라인(83)은 타단이 송풍공간(621)을 통해 가변부(90)의 내부로 삽입되어 가변부(90)의 내부 상단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 유동라인(83)의 타단은 가변부(9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다. 가변부(90)는 자유롭게 구부러질 수 있는 합성수지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아울러, 유동라인(83)은 잉여 길이를 가지고 있다. 잉여 부분은 구불구불하게 접히어 있다. 또한 가변부(90)는 길이 조절가능한 주름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면 도 8 내지 도 10을 더 참고하면, 가변부(90)는 결합관(91), 가변관(92) 및 노즐(93)을 포함하며 송풍덮개(63)에는 가변부(9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홀(631)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가변부(90)는 복수 배치되어 저장공간(511)의 액체를 다양한 방향으로 분무한다. 송풍공간(621)의 공기가 유입되어 유동할 수 있도록 송풍공간(621)의 내부 둘레 지름은 유동라인(83)의 외부 둘레 지름 보다 크다.
결합관(91)은 하단이 결합홀(631)에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단이 본체덮개(44)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결합관(91)의 내부는 상하 관통되어 있으며 송풍공간(621)의 공기가 유입되고, 유동라인(83)이 관통하고 있다. 결합관(91)의 상단 외부 둘레는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변관(92)의 상단은 노즐(93)과 결합되어 있으며 하단은 결합관(91)과 결합되어 있다. 송풍공간(621)의 공기는 결합관(91)의 내부를 통해 가변관(92)의 내부를 유동한다.
가변관(92)은 주름관을 포함한다. 이에 가변관(92)은 그 길이가 늘어나고 줄어들 수 있다. 작업자가 가변관(92)을 당겨 길이를 늘리거나 가변관(92)을 눌러 길이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가변관(92)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길이가 늘어날 수도 있다. 압력이 해제되면 길이는 줄어들 수도 있다.
가변관(92)의 길이가 가변될 때 유동라인(83)인 또한 길이가 늘어나고 줄어들 수 있다. 가변관(92)의 길이가 늘어날 때 유동라인(83)의 접히어 있는 잉여 부분이 펼쳐지면서 유동라인(83)의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또는 유동라인(83)의 주름진 부분이 펼쳐지면서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가변관(92)들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가변관(92)들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액체 살포 거리를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액체를 근거리 및 원거리까지 동시에 살포할 수 있다. 가변관(92)들의 길이 조절은 액체를 살포하는 장소, 환경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가변관(92)은 합성수지, 금속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가변관(92)의 상단과 하단을 주름부보다 강도를 달리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가변관(92)의 길이를 조절한 후 공기의 압력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지 않도록 가변관(92)의 외부 둘레와 내부 둘레의 사이 두께는 공기의 압력을 견딜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의 압력에도 가변관(92)의 길이는 가변되지 않는다.
그리고 가변관(92)의 상단과 하단은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가변관(92)과 결합관(91)의 구형에 의해 가변관(92)은 결합관(91)과 결합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이에 가변관(92)의 상단은 다양한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이때 노즐(93) 또한 다양한 방향을 향할 수도 있다.
아울러,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1)의 이동 시 가변관(92)의 길이를 줄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면 도 11을 참고하면, 가변관(92a)은 복수로 이루어져 상하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가변관(92a)은 관몸체(921) 그리고 스윙몸체(922)를 포함한다. 관몸체(921)와 스윙몸체(922)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는 상하 관통되어 있고 외부 둘레는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가변관(92a) 중 최 하단에 위치한 가변관의 스윙몸체(922)는 결합관(91)과 결합되어 있다. 스윙몸체(922)의 내부 둘레가 결합관(91)의 상단 외부 둘레와 대응되게 구형으로 형성되어 결합관(91)의 상단을 감싸고 있다. 이때 스윙몸체(922)는 3/5 이상 감싸고 있어 스윙몸체(922)는 결합관(9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며 구형의 면을 따라 사방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이에 각도조절 및 회전이 용이하다.
가변관(92a)들이 상하 방향으로 연속 연결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각도조절을 할 수 있으며 그 끝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노즐(93)은 노즐몸체(931), 리브(933) 및 노즐관(932)을 포함하며 유동라인(83)이 연결되어 있으며, 공기와 액체를 배출한다.
노즐몸체(931)의 내부에는 상하 관통된 분사홀(931a)이 형성되어 있다. 분사홀(931a)은 노즐몸체(931)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협소해진다. 그리고 노즐몸체(931)의 외부와 연결된 분사홀(931a)의 상단은 직경의 변화가 없다.
노즐몸체(931)의 내부로 가변관(92)의 상단이 삽입되어 있다. 노즐몸체(931)의내부둘레와 가변관(92)의 상단 외부 둘레가 서로 접하고 있으며, 접하는 부분은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노즐몸체(931)의 내부 둘레와 가변관(92)의 상단 외부 둘레는 면 접촉하고 있으며 구형의 곡면에 의해 노즐몸체(931)는 사방으로 움직여 각도조절과 회전이 용이하다.
노즐관(932)은 분사홀(931a)에 배치되어 유동라인(83)과 결합되어 있으며 내부가 상하 관통되어 있다. 노즐관(932)의 상단은 분사홀(931a)의 직경 변화가 없는 부분에 위치하여 노즐몸체(931)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다.
리브(933)는 노즐관(932)의 외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노즐몸체(931)의 내부 둘레와 연결되어 있다. 리브(933)는 노즐관(932)이 분사홀(931a)의 정 중앙에 위치하도록 지지한다. 한편 리브(933)는 직경의 변화가 없는 분사홀(931a)의 상단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한편, 도면 도 1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부는 자력 결합부(94a, 94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관(92)은 노즐몸체(931)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지 않다. 자력 결합부(94a, 94b)는 노즐몸체(931)의 하단과 가변관(92)의 상단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자력 결합부(94a, 94b)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영구자석을 포함한다. 이에 자력 결합부(94a, 94b)의 사이에 인력이 발생하여 노즐몸체(931)와 가변관(92)은 서로 결합된다. 인력은 공기가 노즐몸체(931)의 내부에 가하는 압력보다 크다. 이에 노즐몸체(931)와 가변관(92)은 인력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노즐몸체(931)의 내부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분리되지 않는다.
이에 자력 결합부(94a, 94b)에 의해 노즐몸체(931)와 가변관(92)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노즐몸체(931)의 내부 세척 및 노즐몸체(931)의 내부가 막혔을 때 이물질 제거 등이 용이하다.
다음은 위에서 설명한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바퀴(20)와 손잡이(30)를 이용하여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1)를 액체 살포 장소로 이동시킨 후 메인덮개(53) 또는 서브덮개(54)를 개방하여 저장공간(511)에 저장한다. 하지만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1)는 액체를 액체 저장부(50)에 저장한 후 살포 장소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유입관(82)은 액체에 잠긴 상태를 유지한다.
작동한 송풍부(70)는 유입공간(41)의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공간(621)으로 기설정된 압력으로 배출한다. 송풍부(70)의 공기 흡입으로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1)의 외부 공기는 유입홀(42)을 통해 유입공간(41)으로 유입된다.
송풍공간(621)의 공기는 가변부(90)들의 내부로 유입되어 노즐관(932)의 외부 둘레와 노즐몸체(931)의 내부 둘레 사이를 통해 노즐(9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분사홀(931a)의 단면 형상에 의해 공기의 배출 속도는 증가하고 노즐관(932)의 단부가 위치한 부분의 압력은 낮아진다. 액체는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성질이 있다. 이에 노즐관(932)의 내부가 액체 유동부(80)를 통해 저장공간(511)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저장공간(511)의 액체는 액체 유동부(80)를 통해 노즐관(932)으로 유동하게 된다. 액체는 노즐관(932)을 통해 배출되며, 이때 노즐관(932)의 상단이 위치한 분사홀(931a)의 상단 주변의 낮아진 압력에 의해 배출되는 액체는 미립자 형태로 변하면서 노즐몸체(931)의 외부로 배출된다. 저장공간(511)의 액체는 펌프 없이 분사홀(931a)의 압력 차이로 액체 유동부(80)를 따라 노즐(93)로 유동하여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1)의 주변으로 살포된다.
이때, 관리자는 가변관(92)의 길이 조절 및 방향을 서로 다르게 하여 가변부(90)들에서 유체가 살포되는 범위를 달리할 수 있다. 아울러, 가변관(92)의 내부를 유동한 공기가 노즐몸체(931)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서 노즐몸체(931)는 상부로 이동하려 한다. 이때 가변관(92)이 노즐몸체(931)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가변관(92)의 길이가 늘어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 10: 베이스
11: 위치설정홀 20: 바퀴
30: 손잡이 40: 본체
41: 유입공간 42: 유입홀
43: 거치홀 44: 본체덮개
50: 액체 저장부 51: 저장몸체
511: 저장공간 52: 위치설정돌기
53: 메인덮개 531: 점검홀
54: 서브덮개 55: 거치 브래킷
60: 송풍 하우징 61: 설치대
611: 수직부재 612: 수평부재
62: 송풍몸체 621: 송풍공간
63: 송풍덮개 631: 결합홀
64: 기밀부재 70: 송풍부
80: 액체 유동부 81: 분기관
811: 분기홀 82: 유입관
83: 유동라인 90: 가변부
91: 결합관 92, 92a: 가변관
921: 관몸체 922: 스윙몸체
93: 노즐 931: 노즐몸체
931a: 분사홀 932: 노즐관
933: 리브 94a, 94b: 자력 결합부

Claims (11)

  1. 이동 가능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어 있고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와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는 액체 저장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송풍공간이 형성된 송풍 하우징,
    상기 송풍 하우징에 배치되어 유입된 상기 외부 공기의 압력을 높여 상기 송풍공간으로 배출하는 송풍부,
    상기 송풍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송풍공간의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배출되며 배출되는 상기 외부 공기의 압력에 의해 길이가 늘어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부 및
    상기 액체 저장부와 상기 가변부의 내부 상단을 연결하며 상기 액체 저장부의 액체가 유동할 수 있고 접히어 잉여부분을 가지며 상기 잉여부분에 의해 상기 가변부를 따라 길이가 늘어날 수 있는 액체 유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 저장부는,
    내부에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저장몸체, 그리고
    상기 저장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거치된 거치 브래킷
    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 브래킷은 구부러져 상단이 상기 저장몸체와 결합되어 있으며 하단이 상기 저장몸체와 떨어져 있으며, 상기 거치 브래킷의 하단은 상기 본체에 형성된 거치홀을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면과 접하여 상기 본체에 거치되며,
    상기 액체 저장부의 액체는 상기 가변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가변부의 내부 상단으로 유동하여 상기 가변부의 외부로 살포되는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베이스와 연결된 손잡이 및
    상기 베이스에 배치된 복수의 바퀴
    를 더 포함하는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
  4. 제3항에서,
    상기 액체 저장부는
    상기 저장몸체의 개방된 상면에 배치되어 있고 점검홀이 형성된 메인덮개,
    상기 메인덮개에 배치되어 상기 점검홀을 가리고 있는 서브덮개 및
    상기 저장몸체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위치설정홀에 삽입된 복수의 위치설정돌기
    를 더 포함하는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
  5. 제1항에서,
    상기 송풍 하우징은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송풍부를 지지하고 있는 설치대, 그리고
    상기 설치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송풍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송풍몸체
    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부의 일부분은 상기 송풍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가변부는 상기 송풍몸체와 결합되어 내부가 상기 송풍공간과 연결되어 있는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
  6. 제5항에서,
    상기 액체 유동부는,
    상기 송풍몸체와 결합되어 있고 일단이 상기 액체 저장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고 복수의 분기홀이 형성되어 있는 분기관,
    상기 분기관의 일단과 결합되어 있는 유입관 및
    상기 복수의 분기홀과 상기 가변부를 각각 연결하고 있는 복수의 유동라인
    을 포함하며,
    상기 유동라인의 일단은 상기 분기홀과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가변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유동라인은 상기 가변부를 따라 길이가 늘어날 수 있는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
  7. 제1항에서,
    상기 가변부는,
    상기 송풍 하우징과 결합되어 내부가 상기 송풍공간과 연결된 결합관,
    상기 결합관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송풍공간의 공기가 유입되어 유동할 수 있는 가변관 및
    상기 가변관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액체 유동부와 연결된 노즐
    을 포함하며,
    상기 가변관을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노즐의 내부 둘레에 압력을 가하고, 상기 압력에 의해 상기 노즐은 움직이며 상기 가변관은 상기 노즐을 따라 움직여 길이가 가변되는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
  8. 제7항에서,
    상기 가변관은 주름관을 포함하는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
  9. 제7항에서,
    상기 가변부는
    상기 가변관과 상기 노즐을 자기력으로 결합하는 자력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
  10. 제7항에서,
    상기 가변관은,
    외부둘레가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관몸체, 그리고
    상기 관몸체와 연결되어 있고 내부 둘레가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윙몸체
    를 포함하며,
    상기 스윙몸체는 하부 가변관의 관몸체의 구형 외부 둘레를 감싸고 있는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
  11. 제7항에서,
    상기 노즐은,
    상기 가변관과 결합되어 있고 내부가 상하 관통되어 분사홀이 형성된 노즐몸체,
    상기 분사홀에서 상기 노즐몸체와 결합되어 있는 복수의 리브 및
    상기 리브와 결합되어 상기 액체 유동부와 연결된 노즐관
    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홀은 상기 노즐몸체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협소하며, 상기 노즐관의 단부는 상기 노즐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는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
KR1020200091523A 2020-07-23 2020-07-23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 KR102265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523A KR102265465B1 (ko) 2020-07-23 2020-07-23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
CN202011010779.7A CN112191415A (zh) 2020-07-23 2020-09-23 一种喷嘴可调式液体喷洒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523A KR102265465B1 (ko) 2020-07-23 2020-07-23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465B1 true KR102265465B1 (ko) 2021-06-16

Family

ID=74014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523A KR102265465B1 (ko) 2020-07-23 2020-07-23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65465B1 (ko)
CN (1) CN1121914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369B1 (ko) * 2022-01-07 2022-10-04 주식회사 클라우드스토리 서로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가변 배출관을 포함하는 액체 살포기
GB2609662A (en) * 2021-08-13 2023-02-15 Decon X Int As Decontamination device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442U (ko) *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 삼홍테크 비데의 일회용 노즐팁 착탈장치
KR100907182B1 (ko) * 2008-04-15 2009-07-09 김태희 액체 살포기
KR101056905B1 (ko) 2009-11-03 2011-08-12 김태희 액체 살포기
KR101257637B1 (ko) * 2012-09-25 2013-05-06 (유)이젠365 송풍모터의 압력을 이용한 액체 살포기
JP2016077977A (ja) * 2014-10-17 2016-05-16 日立Geニュークリア・エナジー株式会社 噴射装置
KR101642703B1 (ko) 2015-10-20 2016-07-27 주식회사 클라우드스토리 액체 살포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GE20100004A1 (it) * 2010-01-21 2011-07-22 Fireco S R L "apparato di erogazione di liquidi antincendio, quali acqua, miscele di acqua e schiuma o simili"
CN201930894U (zh) * 2011-03-08 2011-08-17 郑州大学 单水路可升降喷泉喷头
CN202962723U (zh) * 2012-10-24 2013-06-05 张家港市嘉瑞制药机械有限公司 自动升降喷嘴
CN205570650U (zh) * 2016-04-22 2016-09-14 华仁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荧光素喷洒器
CN107694778B (zh) * 2017-11-01 2019-03-12 湖北楚雄建筑工程有限公司 用于绿化草坪灌溉的自旋转喷头
US10440942B2 (en) * 2018-02-07 2019-10-15 Deere & Company Sprayer systems with drop apparatuses having retractable arms
CN208542410U (zh) * 2018-04-13 2019-02-26 合肥微信片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调节的疾病预防药液喷洒装置
CN108739764A (zh) * 2018-07-12 2018-11-06 东风井关农业机械有限公司 喷洒装置和带有喷洒装置的农机及其喷洒方法
CN108787222A (zh) * 2018-07-24 2018-11-13 深圳市中大合顺有害生物防治有限公司 超低容量喷雾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442U (ko) *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 삼홍테크 비데의 일회용 노즐팁 착탈장치
KR100907182B1 (ko) * 2008-04-15 2009-07-09 김태희 액체 살포기
KR101056905B1 (ko) 2009-11-03 2011-08-12 김태희 액체 살포기
KR101257637B1 (ko) * 2012-09-25 2013-05-06 (유)이젠365 송풍모터의 압력을 이용한 액체 살포기
JP2016077977A (ja) * 2014-10-17 2016-05-16 日立Geニュークリア・エナジー株式会社 噴射装置
KR101642703B1 (ko) 2015-10-20 2016-07-27 주식회사 클라우드스토리 액체 살포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09662A (en) * 2021-08-13 2023-02-15 Decon X Int As Decontamination devices
WO2023017384A1 (en) * 2021-08-13 2023-02-16 Decon-X International AS Decontamination devices
KR102450369B1 (ko) * 2022-01-07 2022-10-04 주식회사 클라우드스토리 서로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가변 배출관을 포함하는 액체 살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191415A (zh) 2021-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5465B1 (ko)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
US6036104A (en) Irrigation system
KR100725523B1 (ko) 진공 청소기
US5430978A (en) Vacuum hose storage apparatus
US4569100A (en) Vacuum device
US20210154690A1 (en) Gyration device for spray gun
AU2017248494A1 (en) Vacuum cleaner
KR102206895B1 (ko) 진공청소기를 활용하는 휴대용 방역기
KR20110045334A (ko) 절곡형 분무기
US1546714A (en) Spraying nozzle
US6135361A (en) Garden sprayer
US5727330A (en) Device for producing and using a hot air jet obtained without electric resistances
JP5256469B2 (ja) 茶園管理機における送風式薬液散布装置
KR200451246Y1 (ko) 광역살포기의 차량운반시 고정장치
KR940018057A (ko) 스틱형 진공 청소기
US20110107549A1 (en) Vacuum device with positive pressure tank
KR200453324Y1 (ko) 광역살포기의 송풍구 받침장치
US5967416A (en) Water activated pop-up sprinkler
KR100802626B1 (ko) 공압을 이용한 분무기
KR102318985B1 (ko) 진공청소기를 활용하는 휴대용 방역기
JP3594763B2 (ja) トリガ式噴霧器
JPS60147Y2 (ja) 園芸ハウス内防除装置
JPS629972Y2 (ko)
KR200260778Y1 (ko) 원심식 농약 살포기
JPH10263449A (ja) 送風機付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