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369B1 - 서로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가변 배출관을 포함하는 액체 살포기 - Google Patents

서로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가변 배출관을 포함하는 액체 살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369B1
KR102450369B1 KR1020220002556A KR20220002556A KR102450369B1 KR 102450369 B1 KR102450369 B1 KR 102450369B1 KR 1020220002556 A KR1020220002556 A KR 1020220002556A KR 20220002556 A KR20220002556 A KR 20220002556A KR 102450369 B1 KR102450369 B1 KR 102450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housing
liquid
air
liquid spr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라우드스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라우드스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라우드스토리
Priority to KR1020220002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3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6Mounting of the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01M7/0085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91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oducing or supplying the atomising fluid, e.g. air hoses, air pumps, gas containers, compressors, fans, ventilators, their dri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살포기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내부에 송풍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본체; 내부에 액체를 보관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액체 저장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유입된 상기 외부 공기의 압력을 높여 상기 송풍 공간으로 배출하는 송풍부; 및 상기 본체의 외부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송풍 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는 가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 모듈은: 상기 송풍 공간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공기를 액체 살포기 밖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가변 배출관; 상기 가변 모듈이 상기 본체에 결합하도록 상기 본체의 외부에 마련되는 결합부; 및 상기 가변 배출관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연결된 상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자유로운 각도의 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가변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서로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가변 배출관을 포함하는 액체 살포기{A LIQUID SPREADER COMPRISING A PLURALITY OF VARIABLE DISCHARGE TUBES OPERATIN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본 발명은 서로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가변 모듈을 포함하는 액체 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 살포기는 공기중에 물, 농약, 살균약, 소독액 등의 액체를 미세한 입자 형태로 살포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살포기는 축사에 설치되어 축사를 살균하는 용도 혹은 출입국장 주변에 설치되어 주변을 살균하는 용도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액체 살포기는 범유행전염병(pandemic) 상황과 같이 전국적으로 전염병이 발병하는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사적인 공간 또는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살균약 또는 소독액 등을 살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액체 살포기는 통상적으로 압력차에 의해 액체통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를 분사관을 통해 살포한다.
한편, 액체 살포기가 살포하는 액체는 인체에 다소 유해한 액체일수도 있으나, 종래의 액체 살포기의 경우 액체를 살포하는 방향이나 주변 환경을 고려한 액체 살포의 제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배출관이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이 향하는 각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해당 하우징에서 액체 또는 공기가 배출되는 액체 살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하우징의 끝단이 제1 하우징의 끝단에 탈착 가능하여 보다 용이하게 액체 살포기를 분해할 수 있는 액체 살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관이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이 복수개 마련되고, 각 하우징의 동작 여부 및 향하는 방향이 다른 하우징의 동작과 방향에 관계없이 서로 개별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액체 살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액체 살포기가 위치한 공간의 주변 환경 정보에 따라 액체를 살포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액체 살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액체 살포기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내부에 송풍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본체; 내부에 액체를 보관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액체 저장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유입된 상기 외부 공기의 압력을 높여 상기 송풍 공간으로 배출하는 송풍부; 및 상기 본체의 외부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송풍 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는 가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 모듈은: 상기 송풍 공간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공기를 액체 살포기 밖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가변 배출관; 상기 가변 모듈이 상기 본체에 결합하도록 상기 본체의 외부에 마련되는 결합부; 및 상기 가변 배출관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연결된 상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자유로운 각도의 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가변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송풍 공간에서 상기 가변 배출관으로 전달되는 공기의 유입 여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가변 하우징이 향하는 방향이 상기 결합부를 기준으로 기준 각도 범위 내이면 상기 가변 모듈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 공간의 공기를 상기 가변 배출관에 전달하도록 상기 가변 하우징의 중단에 위치하는 상기 가변 배출관의 끝단과 상기 본체의 외부 상단 사이에 연결되는 호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하우징은,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가변 배출관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끝단에 위치하는 상기 가변 배출관의 끝단이 상기 호스부에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게 상기 제1 하우징의 끝단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단에 홈이 파여진 거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 하우징은, 향하는 방향이 상기 결합부를 기준으로 기준 각도 범위 내일 때, 상기 거치부의 홈에 들어가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가변 하우징이 거치되어 있을 때 사용자가 상기 가변 하우징의 측면을 잡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측면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측면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모듈은, 상기 본체의 외부에 복수개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상기 가변 모듈에 하나씩 마련되는 각각의 가변 하우징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어 있을 때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다른 각도로 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모듈은, 상기 본체의 외부에 복수개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상기 가변 모듈에 하나씩 마련되는 각각의 가변 하우징은, 다른 가변 하우징이 향하는 방향에 관계없이 개별적으로 다른 각도의 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상기 가변 모듈에 하나씩 마련되는 각 스위치부는, 다른 가변 모듈의 동작에 관계없이 대응되는 배출관에 개별적으로 공기의 유입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가변 모듈은, 각각 상기 가변 하우징이 향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체 살포기는, 복수의 상기 가변 하우징이 공기를 배출하는 방향을 변경하도록 복수의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공간 관련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각 공간 관련 정보마다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가변 모듈 방향 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상기 가변 모듈이 상기 공간 관련 정보에 대응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공간 관련 정보는, 상기 액체 살포기가 위치한 공간의 넓이 또는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 살포기가 위치한 공간의 넓이 또는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인 공간 관련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각 공간 관련 정보마다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가변 모듈의 방향 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상기 가변 모듈이 상기 공간 관련 정보에 대응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 살포기 인근에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 상기 액체 살포기 인근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상기 가변 모듈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 장치는: 잠금 모드이면, 상기 기준 각도 범위 내로 상기 가변 하우징이 향하도록 상기 가변 하우징을 거치부에 고정시키고; 그리고 해제 모드이면, 상기 가변 하우징의 고정을 풀어 상기 기준 각도 범위 외로 상기 가변 하우징이 향하는 방향이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안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안면 인식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 장치는: 획득된 상기 사용자 안면 정보 및 미리 저장된 관리자 안면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사용자와 관리자가 동일 인물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리고 상기 사용자와 관리자가 동일 인물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잠금 모드 및 상기 해제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변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 살포기의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기울기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기울기 감지 센서가 기준 기울기 이상의 액체 살포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면, 상기 가변 모듈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 살포기의 주변 영상 정보를 획득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카메라; 및 관리자 단말과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주변 영상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출관이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이 향하는 각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해당 하우징에서 액체 또는 공기가 배출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2 하우징의 끝단이 제1 하우징의 끝단에 탈착 가능하여 보다 용이하게 액체 살포기를 분해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배출관이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이 복수개 마련되고, 각 하우징의 동작 여부 및 향하는 방향이 다른 하우징의 동작과 방향에 관계없이 서로 개별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액체 살포기가 위치한 공간의 주변 환경 정보에 따라 액체를 살포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살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살포기를 도시한 또다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모듈 및 거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살포기의 상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가변 모듈이 향하는 방향에 따른 액체 살포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해가 가능한 가변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살포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또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모듈' 또는 '~부'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모듈' 또는 '~부'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어떤 부분과 다른 부분 사이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형태로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개시된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살포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살포기를 도시한 또다른 도면이다.
액체 살포기(1)는 실내 또는 실외에 배치되어 물, 소독약 등의 액체를 미세한 입자 형태로 살포하는데 사용되는 기기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액체 살포기(1)는 본체(100), 액체 저장부(110) 및 송풍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내부에 송풍 공간(101)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체 저장부(110)는 내부에 액체를 보관하도록 본체(100)에 마련될 수 있다. 액체 저장부(110)는 반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액체 저장부(110)의 외관만 보더라도 액체 저장부(110)에 저장된 액체의 양을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0)는 측면에 눈금부(102)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눈금부(102)는 본체(100) 내부에 마련된 액체 저장부(110)의 측면이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거나 수직으로 길쭉한 통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본체(100)의 측면에 있는 눈금부(102)를 통해 본체(100) 내부의 액체 저장부(110)에 남은 액체의 양을 가늠할 수 있다.
송풍부(120)는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본체(100)로 유입된 외부 공기의 압력을 높여 송풍 공간(101)으로 배출할 수 있다.
송풍부(120)는 공기의 압력을 높이는 힘을 제공하는 송풍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송풍 모터는 전기의 힘으로 구동되는 일반적인 전기 모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의 압력을 높일 수 있다면 송풍부(120)가 어떠한 구동원을 포함하더라도 상관없다.
송풍부(120)의 상단은 송풍 공간(101)에 위치할 수 있다. 송풍부(120)는 본체(100)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액체 살포기(1)의 외부 공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홀을 통해 본체(100)로 유입될 수 있다.
송풍부(120)가 흡입한 공기는 상단을 통해 송풍 공간(101)으로 배출된 후 가변 배출관(220)의 내부를 유동하여 액체 살포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송풍부(120)는 프로세서(500)의 설정에 따라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작동중인 송풍부(120)는 본체(100)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 공간(101)으로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배출할 수 있다.
송풍 공간(101)의 공기는 호스부(300)를 통과해서 가변 배출관(220)의 내부로 유입되어 가변 배출관(220)의 끝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가변 배출관(220)의 단면 형상에 의해 공기의 배출 속도는 증가하고 가변 배출관(220)의 끝단 부분의 압력은 낮아질 수 있다.
액체는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성질이 있고, 가변 배출관(220)의 내부가 호스부(300)를 통해 액체 저장부(11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액체 저장부(110)의 액체는 호스부(300)를 통해 가변 배출관(220)으로 유동할 수 있다.
가변 배출관(220)의 끝단에 위치한 분사 노즐 주변의 낮아진 압력에 의해 배출되는 액체는 미립자 형태로 변하면서 가변 배출관(2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정리하면, 액체 저장부(110)의 액체는 펌프 없이 압력 차이로 호스부(300)를 따라 가변 배출관(220)으로 유동하고 난 후, 액체 살포기(1)의 주변으로 살포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모듈 및 거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액체 살포기(1)는 거치부(130), 가변 모듈(200), 가변 하우징(210), 결합부(230), 호스부(300), 입력 모듈(600) 및 센서 모듈(7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의 상단에 가변 모듈(200) 및 거치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가변 모듈(200) 및 거치부(130)가 반드시 액체 살포기(1)의 상단에 위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변 모듈(200) 및 거치부(130)는 본체(100)의 측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가변 모듈(200)은 본체(100)의 외부에 마련되고,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가변 모듈(200)은 송풍 공간(101)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가변 모듈(200)은 가변 배출관(220), 결합부(230) 및 가변 하우징(210)을 포함할 수 있다.
가변 배출관(220)은 송풍 공간(101)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가변 배출관(220)은 유입된 공기를 액체 살포기(1) 밖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변 배출관(220)의 끝단에는 분사 노즐이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230)는 가변 모듈(200)이 본체(100)에 결합하도록 본체(100)의 외부에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230)는 가변 모듈(200)이 본체(100)를 기준으로 자유로운 각도의 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축이 마련될 수 있다.
가변 모듈(200)은 해당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결합부(230)를 기준으로 다양한 각도의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즉, 가변 모듈(200)은 결합부(23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액체 살포기(1)가 위치한 지면을 기준으로 다양한 각도의 방향을 향할 수 있다.
한편, 가변 모듈(200)이 다양한 각도의 방향을 향하는 것은 결합부(230) 자체가 결합부(230) 중심에 마련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본체(100)를 기준으로 자유로운 각도를 향하는 방식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가변 하우징(210)은 가변 배출관(220)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변 하우징(210)은 연결된 결합부(230)를 중심으로 자유로운 각도의 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결합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
호스부(300)는 송풍 공간(101)의 공기를 가변 배출관(220)에 전달하도록 가변 하우징(210)의 중단에 위치하는 가변 배출관(220)의 끝단과 본체(100)의 외부 상단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본체(100)는 상단에 홈(131)이 파여진 거치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홈(131)은 거치부(130)의 상단에서 일정 깊이만큼 파여 있는 형상을 할 수 있다. 즉, 홈(131)은 액체 살포기(1)의 상단 위치에 형성되고, 액체 살포기(1)의 상단을 향해서 개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가변 하우징(210)은 향하는 방향이 결합부(230)를 기준으로 기준 각도 범위 내일 때 거치부(130)의 홈(131)에 들어가 거치될 수 있다.
기준 각도 범위는 미리 설정된 각도일 수 있다. 가변 하우징(210) 또는 가변 모듈(200)은 결합부(230)를 기분으로 기준 각도 범위 내의 방향을 향할 때 어느 정도 홈(131) 안에 완전히 거치된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또는 가변 모듈(200)은 결합부(230)를 기준으로 기준 각도 범위 내일 때 거치부(130)의 홈(131)에 들어가서 거치되고, 거치된 상태의 하우징 또는 가변 모듈(200)의 상단은 지면을 기준으로 거치부(130)의 상단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거치부(130)는 가변 하우징(210)이 거치되어 있을 때 사용자가 가변 하우징(210)의 측면을 잡는 것이 용이하게 하우징의 측면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측면 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측면 홈(132)은 거치부(130)의 홈(131)에 포함되는 구성으로서, 홈(131)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거치부(130)가 일정 부분 더 파여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측면 홈(132)에 손가락을 넣어서 거치부(130)에 거치된 상태의 하우징의 양 측면을 움켜잡거나 한쪽 측면을 잡을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가 하우징을 잡은 상태로 상단 방향으로 힘을 주면 해당 하우징은 거치부(130)에서 나와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향하는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가변 모듈(200)은 본체(100)의 외부에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가변 모듈(200)은 액체 살포기(1)에 하나만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의 가변 모듈(200)에 하나씩 마련되는 각각의 가변 하우징(210)은 다른 가변 하우징(210)이 향하는 방향에 관계없이 개별적으로 다른 각도의 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가변 모듈(200)은 다른 가변 모듈(200)이 향하는 방향과는 관계없이 자유로운 방향을 향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액체는 각각의 가변 모듈(200)의 가변 배출관(220)을 통해 각각의 가변 모듈(200)이 향하는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살포기의 상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변 모듈(200)은 본체(100)의 외부에 복수개 마련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복수의 가변 모듈(200)에 하나씩 마련되는 각각의 가변 하우징(210)은 거치부(130)에 거치되어 있을 때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본체(100)를 기준으로 다른 각도로 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가변 모듈(200)이 전부 지면을 기준으로 수평인 상태로 거치부(130)에 거치되어 있을 경우, 각각의 가변 모듈(200)은 서로 수평인 상태로 거치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가변 모듈(200)은 지면을 기준으로 약간의 각도만 틀어지더라도 서로 완전히 다른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도 5는 가변 모듈이 향하는 방향에 따른 액체 살포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변 모듈(200)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액체의 살포가 이루어지거나 중단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결합부(230)는 송풍 공간(101)에서 가변 배출관(220)으로 전달되는 공기의 유입 여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231)는 가변 하우징(210)이 향하는 방향이 결합부(230)를 기준으로 기준 각도 범위(θ) 내이면 가변 모듈(200)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가변 하우징(210)이 거치부(130)에 거치되거나 거의 거치되기 직전 상태의 각도를 향하고 있는 경우, 해당 가변 하우징(210)은 액체의 살포를 중단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액체의 살포를 원한다면, 단순히 거치부(130)에 거치된 가변 하우징(210)의 각도를 틀어서 결합부(230)를 기준으로 가변 하우징(210)이 향하는 방향의 각도가 기준 각도 범위(θ)를 넘게 하면 해당 가변 하우징(210)이 액체를 살포하게 될 수 있다.
스위치부(231)는 형태적인 특성을 통해 대응되는 가변 하우징(210)이 향하는 방향의 각도에 따라 해당 가변 하우징(210)에 액체 및 공기를 전달하거나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스위치부(231)는 송풍 공간(101)과 호스부(300) 사이의 연결 배관에 마련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밸브는 대응되는 가변 하우징(210)에 하나씩 연결 막대로 연결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밸브는 연결 배관을 기준으로 연결 막대로 연결된 가변 하우징(210)이 향하는 각도에 대응되는 특정 각도로 틀어질 수 있다. 만약 가변 하우징(210)이 향하는 방향이 결합부(230)를 기준으로 기준 각도 범위(θ) 내이면, 해당 가변 하우징(210)과 연결 막대로 연결되는 밸브는 송풍 공간(101)에서 호스부(300)로의 공기 및 액체 전달을 막도록 연결 배관 상에서 틀어져 있을 수 있다.
한편, 스위치부(231)가 반드시 전술한 형태적인 특성을 통해서만 액체 및 공기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가변 하우징(210)의 각도에 따라 액체 및 공기의 전달을 제어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스위치부(231)가 구현되더라도 문제 없다.
예를 들어, 스위치부(231)는 가변 하우징(210)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전기 스위치를 포함하고, 송풍 공간(101)과 호스부(300) 사이의 연결 배관에 마련되는 밸브는 전기적인 신호를 기초로 제어되는 방식으로 액체 및 공기의 전달이 제어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시에 의하면, 스위치부(231)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에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송풍부(120)의 송풍 모터에 연결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가변 하우징(210)의 각도에 따라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서로 접촉하거나 떨어질 수 있다. 즉, 가변 하우징(210)이 향하는 방향이 결합부(230)를 기준으로 기준 각도 범위(θ) 내이면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서로 접하지 않아서 송풍 모터는 동작을 하지 않고 액체 및 공기의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가변 하우징(210)이 향하는 방향이 결합부(230)를 기준으로 기준 각도 범위(θ) 이상이면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접해서 송풍 모터가 동작을 하고 결과적으로 액체 및 공기의 전달이 이루어지는 방식도 가능하다.
가변 모듈(200)에 하나씩 마련되는 각 스위치부(231)는 다른 가변 모듈(200)의 동작에 관계없이 대응되는 배출관에 개별적으로 공기의 유입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가변 모듈(200)이 마련된 액체 살포기(1)의 경우, 각각의 가변 모듈(200)은 다른 가변 모듈(200)의 각도에 관계없이 공기 및 액체의 유입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한 가변 모듈(200)만 가변 하우징(210)이 향하는 방향이 결합부(230)를 기준으로 기준 각도 범위(θ) 이상이고, 나머지 가변 모듈(200)은 전부 거치부(130)에 거치된 상태에서는, 거치부(130)에 거치되지 않은 가변 하우징(210)에만 공기 및 액체가 유입되고, 해당 가변 하우징(210)의 분사 노즐에서만 액체가 살포될 수 있다.
가변 배출관 끝단에 위치한 분사 노즐은 가변 배출관(220)의 끝단으로 전달된 액체를 일정 범위로 흩뿌리는 형상일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해가 가능한 가변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변 하우징(210)은 제1 하우징(211) 및 제2 하우징(2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12)은 가변 배출관(220)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211)은 결합부(230)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하우징(212)은 제1 하우징(211)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12)은 제2 하우징(212)의 끝단에 위치하는 가변 배출관(220)의 끝단이 호스부(300)에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게 제1 하우징(211)의 끝단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12)의 색상은 제2 하우징(212)마다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하우징(212)의 분사 노즐의 형태를 사용자가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분사 노즐의 형태에 따라 제2 하우징(212)의 색상이 다를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제2 하우징(212)을 취사선택하여 각각의 제1 하우징(211)에 하나씩 끼울 수 있으며, 원할 때마다 각각의 제1 하우징(211)에 장착된 제2 하우징(212)을 자신이 원하는 제2 하우징(212)으로 교체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살포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액체 살포기(1)는 스위치부(231), 잠금 장치(232), 구동부(400), 프로세서(500), 입력 모듈(600), 센서 모듈(700), 안면 인식 카메라(701), 기울기 감지 센서(702), 통신 모듈(800) 및 메모리(9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변 모듈(200)은 각각 구동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400)는 가변 하우징(210)이 향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400)는 자동으로 결합부(2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결합부(230)에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복수의 가변 하우징(210)이 공기를 배출하는 방향을 변경하도록 복수의 구동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입력 모듈(600)은 사용자로부터 공간 관련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 모듈(600)은 복수의 물리적인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입력 모듈(600)은 터치 패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마이크로 구성될 수도 있다.
공간 관련 정보는 액체 살포기(1)가 위치한 공간의 넓이 또는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액체 살포기(1)가 위치한 공간의 길이, 너비, 높이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액체 살포기(1)가 위치한 공간의 종류가 학교 교실이라는 등의 공간 정보도 입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각 공간 관련 정보마다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가변 모듈 방향 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가변 모듈(200)이 공간 관련 정보에 대응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구동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가변 모듈 방향 정보는 각각의 공간 관련 정보마다 대응되는 최적의 가변 모듈 방향 정보일 수 있으며, 메모리(900)에 저장될 수 있다.
센서 모듈(700)은 액체 살포기(1)가 위치한 공간의 넓이 또는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인 공간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센서 모듈(700)은 적외선 센서, 카메라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센서 모듈(700)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간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면 어떠한 종류의 센서로 구성되더라도 상관없다.
프로세서(500)는 각 공간 관련 정보마다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가변 모듈(200)의 방향 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가변 모듈(200)이 공간 관련 정보에 대응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구동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액체 살포기(1) 인근에 사람이 있는 경우 액체를 살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센서 모듈(700)은 움직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는 액체 살포기(1) 인근에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위치부(231)는 움직임 감지 센서가 액체 살포기(1) 인근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가변 모듈(200)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체 살포기(1)는 사람에게 유해할 수도 있는 액체를 살포할 가능성도 있으므로, 아무나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관리 권한이 있는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결합부(230)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잠금 장치(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 장치(232)는 잠금 모드이면, 기준 각도 범위 내로 가변 하우징(210)이 향하도록 가변 하우징(210)을 거치부(1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잠금 장치(232)는 해제 모드이면, 가변 하우징(210)의 고정을 풀어 기준 각도 범위 외로 가변 하우징(210)이 향하는 방향이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잠금 장치(232)가 잠금 모드 상태이면, 가변 모듈(200)이 거치부(130)의 홈(131)에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는 가변 하우징(210)이 거치부(130)에 고정되므로 잠금 장치(232)가 해제 모드가 되기 전에는 권한이 없는 사람이 임의로 액체 살포기(1)를 작동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센서 모듈(700)은 안면 인식 카메라(7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면 인식 카메라(701)는 액체 살포기(1)를 응시하고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안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안면 정보는 사람의 얼굴 형태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잠금 장치(232)는 획득된 사용자 안면 정보 및 미리 저장된 관리자 안면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관리자 안면 정보는 관리 권한이 있는 사용자의 얼굴 형태에 관한 정보로서 메모리(90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잠금 장치(232)는 사용자와 관리자가 동일 인물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와 관리자가 동일 인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프로세서(500)이고, 잠금 장치(232)는 프로세서(500)의 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도 있다.
잠금 장치(232)는 사용자와 관리자가 동일 인물인지 여부에 따라, 잠금 모드 및 해제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변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모드 상태였던 잠금 장치(232)는 사용자와 관리자가 동일 인물이라 판단되면 해제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액체 살포기(1)는 안전이 확보된 상태에서만 액체를 살포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살포기(1)가 불안정한 바닥에 위치해 있거나 액체 살포기(1) 자체가 기울어진 경우에는 액체를 살포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센서 모듈(700)은 기울기 감지 센서(7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울기 감지 센서(702)는 액체 살포기(1)의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스위치부(231)는 기울기 감지 센서(702)가 기준 기울기 이상의 액체 살포기(1)의 기울기를 측정하면, 가변 모듈(200)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기준 기울기는 액체 살포기(1)가 안전하게 액체를 살포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기준이 되는 각도 정보로서 메모리(90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한편, 관리자가 액체 살포기(1)의 주변 환경이 안전한지 여부를 직접 확인하고, 관리자가 원격으로 액체 살포기(1)를 제어하는 것이 안전상 바람직할 수 있다.
센서 모듈(700)은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액체 살포기(1)의 주변 영상 정보를 획득하도록 본체(100)에 마련될 수 있다.
통신 모듈(800)은 관리자 단말(2)과 통신 가능할 수 있다. 통신 모듈(800)이 관리자 단말(2)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방식은 와이파이(Wifi), LTE, 4G, 5G 등 어떠한 방식이라도 상관없다.
프로세서(500)는 획득된 주변 영상 정보를 관리자 단말(2)로 송신하도록 통신 모듈(800)을 제어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2)은 영상 정보를 단말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관리자 단말(2)의 입력부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동작을 액체 살포기(1)가 수행하도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2)은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통신 모듈(800)로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전달받은 명령을 기초로 스위치부(231), 잠금 장치(232) 및 구동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액체 살포기(1)의 제어 방법은, 프로세서(50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기계어 코드나 고급 언어 코드를 이용하여 설계 및 제작된 것일 수 있다. 프로그램은 상술한 부호 수정을 위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된 것일 수도 있고,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기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각종 함수나 정의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전술한 액체 살포기(1)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프로세서(500)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기록매체는 메모리(900)일 수 있다.
메모리(900)는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메모리(900)는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500)와 메모리(900)가 복수인 경우에, 이들이 하나의 칩에 집적되는 것도 가능하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위치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메모리(900)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랩(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900)는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각종 논리 회로와 연산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900)로부터 제공된 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액체 살포기
2: 관리자 단말
100: 본체
101: 송풍 공간
102: 눈금부
110: 액체 저장부
120: 송풍부
130: 거치부
131: 홈
132: 측면 홈
200: 가변 모듈
210: 가변 하우징
211: 제1 하우징
212: 제2 하우징
220: 가변 배출관
230: 결합부
231: 스위치부
232: 잠금 장치
300: 호스부
400: 구동부
500: 프로세서
600: 입력 모듈
700: 센서 모듈
701: 안면 인식 카메라
702: 기울기 감지 센서
800: 통신 모듈
900: 메모리

Claims (20)

  1.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내부에 송풍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본체;
    내부에 액체를 보관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액체 저장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유입된 상기 외부 공기의 압력을 높여 상기 송풍 공간으로 배출하는 송풍부; 및
    상기 본체의 외부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송풍 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는 가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 모듈은:
    상기 송풍 공간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공기를 액체 살포기 밖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가변 배출관;
    상기 가변 모듈이 상기 본체에 결합하도록 상기 본체의 외부에 마련되는 결합부; 및
    상기 가변 배출관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연결된 상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자유로운 각도의 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가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송풍 공간에서 상기 가변 배출관으로 전달되는 공기의 유입 여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가변 하우징이 향하는 방향이 상기 결합부를 기준으로 기준 각도 범위 내이면 상기 가변 모듈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액체 살포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공간의 공기를 상기 가변 배출관에 전달하도록 상기 가변 하우징의 중단에 위치하는 상기 가변 배출관의 끝단과 상기 본체의 외부 상단 사이에 연결되는 호스부를 더 포함하는, 액체 살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하우징은,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가변 배출관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끝단에 위치하는 상기 가변 배출관의 끝단이 상기 호스부에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게 상기 제1 하우징의 끝단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액체 살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단에 홈이 파여진 거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 하우징은,
    향하는 방향이 상기 결합부를 기준으로 기준 각도 범위 내일 때, 상기 거치부의 홈에 들어가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액체 살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가변 하우징이 거치되어 있을 때 사용자가 상기 가변 하우징의 측면을 잡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측면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측면 홈이 형성되는, 액체 살포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모듈은,
    상기 본체의 외부에 복수개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상기 가변 모듈에 하나씩 마련되는 각각의 가변 하우징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어 있을 때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다른 각도로 거치되도록 구성되는, 액체 살포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모듈은,
    상기 본체의 외부에 복수개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상기 가변 모듈에 하나씩 마련되는 각각의 가변 하우징은,
    다른 가변 하우징이 향하는 방향에 관계없이 개별적으로 다른 각도의 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액체 살포기.
  9.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가변 모듈에 하나씩 마련되는 각 스위치부는,
    다른 가변 모듈의 동작에 관계없이 대응되는 배출관에 개별적으로 공기의 유입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액체 살포기.
  10. 제8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가변 모듈은,
    각각 상기 가변 하우징이 향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체 살포기는,
    복수의 상기 가변 하우징이 공기를 배출하는 방향을 변경하도록 복수의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액체 살포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공간 관련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각 공간 관련 정보마다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가변 모듈 방향 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상기 가변 모듈이 상기 공간 관련 정보에 대응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공간 관련 정보는,
    상기 액체 살포기가 위치한 공간의 넓이 또는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인, 액체 살포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살포기가 위치한 공간의 넓이 또는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인 공간 관련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각 공간 관련 정보마다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가변 모듈의 방향 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상기 가변 모듈이 상기 공간 관련 정보에 대응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액체 살포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살포기 인근에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 상기 액체 살포기 인근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상기 가변 모듈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액체 살포기.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 장치는:
    잠금 모드이면, 상기 기준 각도 범위 내로 상기 가변 하우징이 향하도록 상기 가변 하우징을 거치부에 고정시키고; 그리고
    해제 모드이면, 상기 가변 하우징의 고정을 풀어 상기 기준 각도 범위 외로 상기 가변 하우징이 향하는 방향이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하는, 액체 살포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사용자 안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안면 인식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 장치는:
    획득된 상기 사용자 안면 정보 및 미리 저장된 관리자 안면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사용자와 관리자가 동일 인물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리고
    상기 사용자와 관리자가 동일 인물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잠금 모드 및 상기 해제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액체 살포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살포기의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기울기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기울기 감지 센서가 기준 기울기 이상의 액체 살포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면, 상기 가변 모듈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액체 살포기.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살포기의 주변 영상 정보를 획득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카메라; 및
    관리자 단말과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주변 영상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액체 살포기.
  1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송풍 공간과 상기 호스부 사이의 연결 배관에 마련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가변 하우징에 연결 막대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 배관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 막대로 연결된 상기 가변 하우징이 향하는 각도에 대응되는 특정 각도로 틀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변 하우징이 향하는 방향이 상기 결합부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 각도 범위 내이면, 해당 가변 하우징과 연결 막대로 연결되는 밸브는 상기 송풍 공간에서 상기 호스부로의 공기 및 액체 전달을 막도록 상기 연결 배관 상에서 틀어져 있도록 구성되는, 액체 살포기.
  1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송풍 공간과 상기 호스부 사이의 연결 배관에 마련되는 밸브; 및
    상기 가변 하우징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전기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전기적인 신호를 기초로 제어되는 방식으로 액체 및 공기의 전달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액체 살포기.
  2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에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송풍부의 송풍 모터에 연결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 하우징이 향하는 방향이 상기 결합부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 각도 범위 내이면, 상기 송풍 모터가 동작을 하지 않게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이 서로 접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변 하우징이 향하는 방향이 상기 결합부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 각도 범위 이상이면, 상기 송풍 모터가 동작을 하도록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이 접하도록 구성되는, 액체 살포기.
KR1020220002556A 2022-01-07 2022-01-07 서로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가변 배출관을 포함하는 액체 살포기 KR102450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556A KR102450369B1 (ko) 2022-01-07 2022-01-07 서로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가변 배출관을 포함하는 액체 살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556A KR102450369B1 (ko) 2022-01-07 2022-01-07 서로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가변 배출관을 포함하는 액체 살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369B1 true KR102450369B1 (ko) 2022-10-04

Family

ID=83600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556A KR102450369B1 (ko) 2022-01-07 2022-01-07 서로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가변 배출관을 포함하는 액체 살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3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565U (ko) * 2010-10-05 2012-04-16 주식회사 미래이에스 소독장치
KR101618456B1 (ko) * 2014-11-21 2016-05-04 주식회사 티엠시 이동형 연무 방제 장치
KR102265465B1 (ko) * 2020-07-23 2021-06-16 주식회사 클라우드스토리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
KR102327172B1 (ko) * 2021-05-24 2021-11-16 주식회사 통인에이치앤씨 IoT 기반의 방역 소독 장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565U (ko) * 2010-10-05 2012-04-16 주식회사 미래이에스 소독장치
KR101618456B1 (ko) * 2014-11-21 2016-05-04 주식회사 티엠시 이동형 연무 방제 장치
KR102265465B1 (ko) * 2020-07-23 2021-06-16 주식회사 클라우드스토리 노즐 가변관을 포함한 액체 살포기
KR102327172B1 (ko) * 2021-05-24 2021-11-16 주식회사 통인에이치앤씨 IoT 기반의 방역 소독 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007B1 (ko) 출입구 방역장치
US10054322B2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20110080726A (ko) 소독분무장치
KR102271522B1 (ko) 먼지제거장치
KR102215883B1 (ko) 게이트형 살균 장치
KR102450369B1 (ko) 서로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가변 배출관을 포함하는 액체 살포기
KR102457226B1 (ko) 실내에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소독제를 무화하는 장치
US20090169420A1 (en) Time controlled scenting system
KR102237414B1 (ko) 이동형 방역장치
WO2021214322A1 (en) Secure spray system
KR102343480B1 (ko) 원심력을 이용한 안개 분사장치
KR10210835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27172B1 (ko) IoT 기반의 방역 소독 장비
KR20220001912A (ko) 게이트형 살균 소독장치
CN107375976A (zh) 车辆全自动消毒系统
KR20220084962A (ko)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18456B1 (ko) 이동형 연무 방제 장치
US20220080068A1 (en) Bio-decontamin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ozone
KR101191945B1 (ko) 원격제어형 가습장치
KR20210119331A (ko) 멸균시스템
KR102295043B1 (ko) 게이트형 소독제 분사 장치
KR20180059014A (ko) 에어 워시 장치
KR102477239B1 (ko) 살균 미스트를 분사하는 방역 장치
JP2015137828A (ja) 加湿器
KR102650683B1 (ko) 인체 소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