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7239B1 - 살균 미스트를 분사하는 방역 장치 - Google Patents

살균 미스트를 분사하는 방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239B1
KR102477239B1 KR1020200124029A KR20200124029A KR102477239B1 KR 102477239 B1 KR102477239 B1 KR 102477239B1 KR 1020200124029 A KR1020200124029 A KR 1020200124029A KR 20200124029 A KR20200124029 A KR 20200124029A KR 102477239 B1 KR102477239 B1 KR 102477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t
sterilizing
housing
unit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0833A (ko
Inventor
조준경
김도준
유승하
Original Assignee
커넥서스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커넥서스원(주) filed Critical 커넥서스원(주)
Priority to KR1020200124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239B1/ko
Publication of KR20220040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살균 미스트를 분사하는 방역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 장치는, 하우징부, 하우징부 내에 마련되는 살균액 공급부, 하우징부 내에 마련되고, 살균액 공급부로부터 살균액을 공급 받으며, 살균액으로부터 살균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살균 미스트 발생부, 하우징부 내에 마련되고, 살균 미스트를 외부로 분사하는 살균 미스트 분사부, 및 발생된 살균 미스트를 살균 미스트 분사부 측으로 공급하는 살균 미스트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살균 미스트를 분사하는 방역 장치{APPARATUS FOR DISINFECTING TO SPRAYING STERILIZATION MIS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방역 장치와 관련된다.
세균은 다양한 병원균과 더불어 산업적으로 중요한 분류 군들을 포함하고 있어 일상 생활에서도 인간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세균은 하나의 세포로 이루어진 단세포 생물이지만, 스스로 양분을 먹고 유기물을 만들어 살아갈 수 있는 기관을 갖추고 있다.
한편, 바이러스는 DNA와 RNA와 같은 핵산과 단백질로 이루어진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세균과 달리 스스로 필요한 에너지 또는 유기물을 만들어 낼 수 없다. 그래서, 바이러스는 혼자서 살아갈 수 없고 숙주가 되는 생물이 있을 때만 그 생물의 힘을 빌려 증식할 수 있다.
이러한 세균 및 바이러스를 통하여 인간을 포함한 생물체에 집단적으로 유행하는 병을 전염병이라고 하는데, 최근 교통이 발달하고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전염병의 전파 속도가 급증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4411호(2013.06.18)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람이 느끼는 불쾌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역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 장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 마련되는 살균액 공급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 마련되고, 상기 살균액 공급부로부터 살균액을 공급 받으며, 상기 살균액으로부터 살균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살균 미스트 발생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 마련되고, 상기 살균 미스트를 외부로 분사하는 살균 미스트 분사부; 및 상기 발생된 살균 미스트를 상기 살균 미스트 분사부 측으로 공급하는 살균 미스트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살균액 공급부는,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상기 살균 미스트 발생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살균액 공급부는, 상기 살균액을 수용하는 살균액 탱크; 및 일단이 상기 살균액 탱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살균 미스트 발생부에 연결되는 살균액 공급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 미스트 발생부는, 상기 살균액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살균액을 수용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수용된 살균액을 초음파 진동시켜 살균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진동자;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마련되고, 상기 살균액 공급 파이프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하우징 내의 살균액의 수위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 내부로 살균액의 공급 여부를 조절하는 살균액 공급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액 공급 조절부는, 일단이 상기 제1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살균액 공급 파이프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개폐 밸브; 상기 제1 하우징 내에서 살균액의 수면에 부유하도록 마련되는 부유통; 및 일단이 상기 개폐 밸브의 내부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 밸브의 내부 통로를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고, 타단이 상기 부유통과 연결되는 밸브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 조절부는, 상기 개폐 밸브와 상기 부유통이 평행한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개폐 밸브의 내부 통로를 폐쇄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개폐 밸브를 기준으로 상기 부유통이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개폐 밸브의 내부 통로를 개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살균 미스트 발생부는, 상기 하우징부 내의 하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살균액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살균액을 수용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수용된 살균액을 초음파 진동시켜 살균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 미스트 공급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부에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어 마련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하우징 내에서 발생된 살균 미스트를 흡입하여 상기 살균 미스트 분사부 측으로 불어 보내는 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 미스트 분사부는, 일단이 상기 제2 하우징과 연통되어 마련되고 상부로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상기 팬부에 의해 공급되는 살균 미스트가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미스트 통로부; 및 상기 미스트 통로부를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살균 미스트를 외부로 토출하는 미스트 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스트 토출부는, 상부로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기 방역 장치는, 일단이 상기 미스트 통로부의 하단과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제1 하우징과 연통되어 마련되며, 상기 미스트 통로부의 하단에 모인 결로를 상기 제1 하우징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결로 바이패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역 장치는, 상기 제1 하우징 내의 상기 살균액의 농도를 감지하는 농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농도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살균액의 농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하우징으로 공급하는 살균액의 농도를 이전 농도보다 높여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방역 장치는, 상기 살균 미스트 공급부에서 상기 살균 미스트 분사부로 공급되는 상기 살균 미스트의 이동 통로의 단면적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통로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역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면에 마련되고, 제1 방향으로 지나가는 물체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제1 모션 감지 센서; 상기 하우징부의 타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지나가는 물체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 모션 감지 센서; 및 상기 제1 모션 감지 센서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 상기 살균 미스트 발생부를 동작시켜 상기 살균 미스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2 모션 감지 센서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 상기 살균 미스트 발생부를 미동작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역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에 마련되고 물체를 감지하는 모션 감지 센서; 및 상기 살균 미스트 발생부 및 상기 살균 미스트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살균 미스트 발생부는, 상기 하우징부 내에 마련되고, 상기 살균액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살균액을 수용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수용된 살균액을 초음파 진동시켜 살균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 미스트 공급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부에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어 마련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하우징 내에서 발생된 살균 미스트를 흡입하여 상기 살균 미스트 분사부 측으로 불어 보내는 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 감지 센서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 상기 초음파 진동자를 동작시키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를 동작시킨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제1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팬부를 동작시키며, 상기 초음파 진동자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시킨 후 상기 초음파 진동자를 오프시키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를 오프시킨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제2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팬부를 오프시킬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초음파 진동자를 통해 살균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경우, 살균 미스트는 안개와 같은 미립자 형태이기 때문에, 사람에게 분사하여도 사람의 피부에 묻지 않아 방역 과정에서 사람에게 끼치는 불쾌감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팬부를 통해 살균 미스트를 미스트 통로부 측으로 송출하기 때문에, 미스트 통로부가 상부로 절곡되어 하우징부의 높이 방향으로 마련되더라도, 미스트 통로부의 타단까지 살균 미스트를 보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미스트 토출부가 하우징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기 때문에, 사람의 신체 부위 전체에 걸쳐 동시에 살균 미스트를 뿌려 방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 장치를 나타낸 전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 장치를 나타낸 내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 장치를 나타낸 내부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 장치에서 살균 미스트 발생부 및 살균 미스트 공급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 장치의 동작을 위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 장치를 나타낸 전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 장치를 나타낸 내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 장치를 나타낸 내부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 장치에서 살균 미스트 발생부 및 살균 미스트 공급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방역 장치(100)는 하우징부(102), 살균액 공급부(104), 살균 미스트 발생부(106), 살균 미스트 공급부(108), 살균 미스트 분사부(110), 및 컨트롤 박스(1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방역 장치(100)는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될 수 있다. 방역 장치(100)는 건물을 출입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살균 미스트를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방역 장치(100)는 사람의 신체 전체를 한 번에 살균하도록 사람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역 장치(100)는 공항의 검색대 등과 같이 건물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차량이 통과하는 길목과 같이 외부에 설치되어 방역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하우징부(102)는 방역 장치(100)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하우징부(102)는 내부의 구성들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우징부(102)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부(102)의 하단에는 방역 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부(102a)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부(102a)는 하우징부(102)의 바닥면 각 모서리에 장착되는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102)의 측면에는 모션 감지 센서(114)가 마련될 수 있다. 모션 감지 센서(114)는 제1 모션 감지 센서(114-1) 및 제2 모션 감지 센서(1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션 감지 센서(114-1)는 하우징부(102)의 일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모션 감지 센서(114-2)는 하우징부(102)의 타측면(일측면과 반대 방향에 있는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모션 감지 센서(114-1)는 제1 방향(예를 들어, 방역 장치(100)가 설치된 건물로 들어오는 방향)으로 지나가는 사람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모션 감지 센서(114-2)는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예를 들어, 방역 장치(100)가 설치된 건물에서 나가는 방향)으로 지나가는 사람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살균액 공급부(104)는 하우징부(102)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살균액 공급부(104)는 하우징부(102)의 내부에서 살균 미스트 발생부(106)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살균액 공급부(104)는 살균액을 살균 미스트 발생부(106)로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살균액 공급부(104)는 살균액 탱크(104a) 및 살균액 공급 파이프(104b)를 포함할 수 있다. 살균액 탱크(104a)는 하우징부(102)의 내부에 마련되는 트레이(121)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살균액 탱크(104a)의 내부에는 살균액이 수용될 수 있다. 살균액은 세균 또는 바이러스를 없앨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살균액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물질로 변경될 수 있다. 살균액 탱크(104a)에는 살균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1 수위 감지 센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살균액 공급 파이프(104b)는 살균액 탱크(104a)에 수용된 살균액을 살균 미스트 발생부(106)로 공급할 수 있다. 살균액 공급 파이프(104b)의 일단은 살균액 탱크(104a)에 연결되고, 살균액 공급 파이프(104b)의 타단은 살균 미스트 발생부(106)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살균액 탱크(104a)에 수용된 살균액은 살균액 공급 파이프(104b)를 따라 자유 낙하되어 살균 미스트 발생부(106)로 공급될 수 있다.
살균 미스트 발생부(106)는 하우징부(102)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살균 미스트 발생부(106)는 하우징부(102)의 내부에서 하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살균 미스트 발생부(106)는 제1 하우징(106a), 초음파 진동자(106b), 살균액 공급 조절부(106c), 및 필터부(106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06a)은 살균 미스트 발생부(106)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106a)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하우징(106a)의 내부에는 살균액 공급부(104)로부터 공급된 살균액이 수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6a)은 하우징부(102)의 내부 하단에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6a)에는 제1 하우징(106a) 내에 수용된 살균액을 외부로 빼내기 위한 추출 밸브(106a-1)가 마련될 수 있다. 추출 밸브(106a-1)는 제1 하우징(106a)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자(106b)는 제1 하우징(106a) 내에 수용된 살균액을 초음파 진동시켜 살균 미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초음파 진동자(106b)는 제1 하우징(106a)의 바닥면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자(106b)는 제1 하우징(106a) 내 살균액의 수위가 기 설정된 임계 수위 이상이 되어야 동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하우징(106a)의 내부에는 제1 하우징(106a) 내 살균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2 수위 감지 센서(133)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초음파 진동자(106b)를 통해 살균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경우, 살균 미스트는 안개와 같은 미립자 형태이기 때문에, 사람에게 분사하여도 사람의 피부에 묻지 않아 방역 과정에서 사람에게 끼치는 불쾌감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살균액 공급 조절부(106c)는 제1 하우징(106a)에 마련될 수 있다. 살균액 공급 조절부(106c)는 살균액 공급부(104)에서 살균 미스트 발생부(106)로의 살균액 공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살균액 공급 조절부(106c)는 제1 하우징(106a) 내 살균액의 수위에 따라 살균액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 살균액 공급 조절부(106c)는 연결 파이프(106c-1), 개폐 밸브(106c-2), 밸브 조절부(106c-3), 및 부유통(106c-4)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파이프(106c-1)는 살균액 공급 파이프(104b)와 개폐 밸브(106c-2)를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연결 파이프(106c-1)의 일단은 살균액 공급 파이프(104b)에 연결되고, 연결 파이프(106c-1)의 타단은 개폐 밸브(106c-2)에 연결될 수 있다.
개폐 밸브(106c-2)는 제1 하우징(106a)의 일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개폐 밸브(106c-2)의 일단은 제1 하우징(106a)의 외부에 노출되어 연결 파이프(106c-1)와 연결될 수 있다. 개폐 밸브(106c-2)의 타단은 제1 하우징(106a)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개폐 밸브(106c-2)는 내부 통로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개폐 밸브(106c-2)는 제1 하우징(106a)의 바닥면과 수평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밸브 조절부(106c-3)는 개폐 밸브(106c-2)의 내부 통로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밸브 조절부(106c-3)는 개폐 밸브(106c-2)의 내부 통로를 개폐함으로써, 제1 하우징(106a) 내부로 살균액이 공급 또는 미공급 되도록 할 수 있다.
밸브 조절부(106c-3)의 일단은 개폐 밸브(106c-2)의 내부에 연결되고, 밸브 조절부(106c-3)의 타단은 부유통(106c-4)에 연결될 수 있다. 밸브 조절부(106c-3)의 일단은 개폐 밸브(106c-2)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부유통(106c-4)은 내부가 비어 있으며, 제1 하우징(106a) 내에서 살균액의 수면에 부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폐 밸브(106c-2)와 부유통(106c-4)이 평행한 상태에 있는 경우, 밸브 조절부(106c-3)의 일단은 개폐 밸브(106c-2)의 내부 통로를 폐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살균액이 제1 하우징(106a)의 내부로 공급되지 않게 된다.
반면, 제1 하우징(106a) 내 살균액의 수위가 줄어듦에 따라 개폐 밸브(106c-2)를 기준으로 부유통(106c-4)이 기울어지는 경우, 밸브 조절부(106c-3)의 일단은 개폐 밸브(106c-2)의 내부 통로를 개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살균액이 제1 하우징(106a)의 내부로 공급되게 된다.
살균액이 제1 하우징(106a)의 내부로 공급됨에 따라 살균액의 수위가 점점 오르게 되고, 그로 인해 개폐 밸브(106c-2)와 부유통(106c-4)이 다시 평행한 상태가 되면, 밸브 조절부(106c-3)의 일단이 개폐 밸브(106c-2)의 내부 통로를 폐쇄하여 살균액이 제1 하우징(106a)의 내부로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이 경우, 제1 하우징(106a) 내의 살균액의 수위가 자동으로 조절되게 된다.
필터부(106d)는 제1 하우징(106a)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필터부(106d)는 외부로부터 먼지나 이물질이 제1 하우징(106a)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터부(106d)는 예를 들어, 프리필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살균 미스트 공급부(108)는 살균 미스트 발생부(106)에서 발생시킨 살균 미스트를 살균 미스트 분사부(110)로 공급할 수 있다. 살균 미스트 공급부(108)는 제2 하우징(108a), 팬부(108b), 및 연결 파이프(108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108a)은 살균 미스트 공급부(108)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제2 하우징(108a)은 제1 하우징(106a)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08a)은 제1 하우징(106a)의 상면에서 제1 하우징(106a)의 내부와 연통되어 마련될 수 있다.
팬부(108b)는 제2 하우징(108a) 내에 마련될 수 있다. 팬부(108b)는 제1 하우징(106a) 내에서 발생된 살균 미스트를 흡입하여 연결 파이프(108c) 측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팬부(108b)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면 연결 파이프(108c) 측으로 배출되는 살균 미스트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연결 파이프(108c)는 살균 미스트 공급부(108)와 살균 미스트 분사부(11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 파이프(108c)의 일단은 제2 하우징(108a)과 연결되고, 연결 파이프(108c)의 타단은 살균 미스트 분사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파이프(108c)는 제2 하우징(108a)의 전방에서 제2 하우징(108a)과 연결될 수 있다.
살균 미스트 분사부(110)는 살균 미스트를 외부로 분사할 수 있다. 살균 미스트 분사부(110)는 미스트 통로부(110a) 및 미스트 토출부(110b)를 포함할 수 있다.
미스트 통로부(110a)는 살균 미스트 공급부(108)에 연결될 수 있다. 미스트 통로부(110a)는 살균 미스트가 이동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미스트 통로부(110a)의 일단은 연결 파이프(108c)에 연결될 수 있다. 미스트 통로부(110a)의 타단은 폐쇄되어 마련될 수 있다.
미스트 통로부(110a)의 일단은 연결 파이프(108c)의 전방에서 연결 파이프(108c)와 연결될 수 있다. 미스트 통로부(110a)는 상부로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미스트 통로부(110a)는 하우징부(102)의 높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부(102)의 내부에는 미스트 통로부(110a)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23)가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고정부(123)는 미스트 통로부(110a)의 양측에서 미스트 통로부(110a)를 지지하며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팬부(108b)를 통해 살균 미스트를 연결 파이프(108c) 측으로 송출하기 때문에, 미스트 통로부(110a)가 상부로 절곡되어 하우징부(102)의 높이 방향으로 마련되더라도, 미스트 통로부(110a)의 타단까지 살균 미스트를 보낼 수 있게 된다.
미스트 토출부(110b)는 미스트 통로부(110a)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는, 미스트 통로부(110a)에 미스트 토출부(110b) 4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마련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미스트 토출부(110b)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미스트 토출부(110b)가 하우징부(102)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기 때문에, 사람의 신체 부위 전체에 살균 미스트를 뿌려 방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미스트 토출부(110b)는 미스트 통로부(110a)와 연통되어 마련되고, 미스트 통로부(110a)를 통해 공급되는 살균 미스트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미스트 토출부(110b)는 상부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미스트 토출부(110b)에 결로가 발생하더라도 미스트 토출부(110b)를 타고 아래로 흘러내리게 된다. 미스트 토출부(110b)의 단부에는 살균 미스트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디퓨저(110b-1)가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12)는 하우징부(102)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는, 컨트롤 박스(112)가 하우징부(102) 내부에서 상단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컨트롤 박스(112)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트롤 박스(112)는 방역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회로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 장치의 동작을 위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모션 감지 센서(114-1)에서 사람을 감지하는 경우(즉, 사람이 건물 안으로 들어오는 경우), 제어부(135)는 제1 스위치(137)를 통해 초음파 진동자(106b)를 동작시켜 제1 하우징(106a) 내에 살균 미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어부(135)는 초음파 진동자(106b)가 동작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제1 지연 시간이 지난 후에 제2 스위치(139)를 통해 팬부(108b)를 동작시켜 제1 하우징(106a) 내의 살균 미스트를 살균 미스트 분사부(110) 측으로 불어 보낼 수 있다. 이 경우, 살균 미스트는 미스트 통로부(110a)를 따라 이동하면서 미스트 토출부(110b)에서 토출될 수 있다.
제어부(135)는 초음파 진동자(106b)를 기 설정된 동작 시간 동안 동작시킨 후 초음파 진동자(106b)를 오프시킬 수 있다. 제어부(135)는 초음파 진동자(106b)를 오프시킨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제2 지연 시간이 지난 후에 팬부(108b)를 오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지연 시간은 제1 지연 시간과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135)는 통로 조절부(143)를 통해 살균 미스트가 살균 미스트 분사부(110)로 공급되는 속도 및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통로 조절부(143)는 연결 파이프(108c)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미스트 통로부(110a)의 입구 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통로 조절부(143)는 살균 미스트가 이동하는 통로의 단면적을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미스트 토출부(110b)에서 결로가 발생하는 경우, 미스트 토출부(110b)가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로는 미스트 토출부(110b)를 타고 하부로 내려가게 되며, 미스트 통로부(110a)의 하단으로 모이게 된다. 여기서, 미스트 통로부(110a)의 하단에는 결로 바이패스부(141)가 마련될 수 있다. 결로 바이패스부(141)는 미스트 통로부(110a)의 하단에 모인 결로를 제1 하우징(106a)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즉, 결로 바이패스부(141)는 결로가 살균 미스트 공급부(108) 측으로 가지 못하도록 하고, 미스트 통로부(110a)의 하단에 모인 결로를 제1 하우징(106a)으로 바이패스 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하우징(106a) 내에는 살균액의 농도를 감지하는 농도 감지 센서(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농도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살균액의 농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제1 하우징(106a)으로 공급하는 살균액의 농도를 이전 농도보다 높여 공급할 수 있다.
제2 모션 감지 센서(114-2)에서 사람을 감지하는 경우(즉, 사람이 건물 밖으로 나가는 경우), 제어부(135)는 초음파 진동자(106b) 및 팬부(108b)를 동작시키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135)는 제1 수위 감지 센서(131)에서 살균액의 수위가 기 설정된 임계 수위 미만으로 감지된 경우, 살균액 탱크(104a)에 살균액을 채워 넣기 위한 알람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5)는 살균액 탱크(104a)에 마련된 교반기(14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5)는 제2 수위 감지 센서(133)에서 살균액의 수위가 기 설정된 임계 수위 미만으로 감지된 경우, 제1 모션 감지 센서(114-1)에서 사람이 감지되더라도 초음파 진동자(106b)를 동작시키지 않을 수 있다. 즉, 제어부(135)는 제1 하우징(106a) 내 살균액의 수위가 기 설정된 임계 수위 이상인 경우에만 초음파 진동자(106b)가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 장치(10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방역 장치(100)가 일렬로 배치되어 지나가는 사람 또는 차량에게 살균 미스트를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역 장치(100)가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어 지나가는 사람 또는 차량에게 살균 미스트를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10)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방역 장치(100)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방역 장치
102 : 하우징부
102a : 이동부
104 : 살균액 공급부
104a : 살균액 탱크
104b : 살균액 공급 파이프
106 : 살균 미스트 발생부
106a : 제1 하우징
106a-1 : 추출 밸브
106b : 초음파 진동자
106c : 살균액 공급 조절부
106c-1 : 연결 파이프
106c-2 : 개폐 밸브
106c-3 : 밸브 조절부
106c-4 : 부유통
106d : 필터부
108 : 살균 미스트 공급부
108a : 제2 하우징
108b : 팬부
108c : 연결 파이프
110 : 살균 미스트 분사부
110a : 미스트 통로부
110b : 미스트 토출부
110b-1 : 디퓨저
112 : 컨트롤 박스
114 : 모션 감지 센서
114-1 : 제1 모션 감지 센서
114-2 : 제2 모션 감지 센서
121 : 트레이
123 : 고정부
131 : 제1 수위 감지 센서
133 : 제2 수위 감지 센서
135 : 제어부
137 : 제1 스위치
139 : 제2 스위치
141 : 결로 바이패스부
143 : 통로 조절부
145 : 교반기

Claims (13)

  1. 방역 장치로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 마련되는 살균액 공급부;
    상기 하우징부 내의 하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살균액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살균액을 수용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수용된 살균액을 초음파 진동시켜 살균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는 살균 미스트 발생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 마련되고, 상기 살균 미스트를 외부로 분사하는 살균 미스트 분사부; 및
    상기 제1 하우징 내에서 발생된 살균 미스트를 흡입하여 상기 살균 미스트 분사부 측으로 불어 보내는 팬부를 포함하는 살균 미스트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 미스트 분사부는,
    일단이 상기 살균 미스트 공급부와 연통되어 마련되고 상부로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상기 팬부에 의해 공급되는 살균 미스트가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미스트 통로부; 및
    상기 미스트 통로부를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살균 미스트를 외부로 토출하며, 상기 미스트 통로부의 외면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미스트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역 장치는,
    일단이 상기 미스트 통로부의 하단과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제1 하우징과 연통되어 마련되며, 상기 미스트 통로부의 하단에 모인 결로를 상기 제1 하우징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결로 바이패스부; 및
    상기 제1 하우징 내의 상기 살균액의 농도를 감지하는 농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농도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살균액의 농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하우징으로 공급하는 살균액의 농도를 이전 농도보다 높여 공급하는, 방역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살균액 공급부는,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상기 살균 미스트 발생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살균액 공급부는,
    상기 살균액을 수용하는 살균액 탱크; 및
    일단이 상기 살균액 탱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살균 미스트 발생부에 연결되는 살균액 공급 파이프를 포함하는, 방역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살균 미스트 발생부는,
    상기 제1 하우징에 마련되고, 상기 살균액 공급 파이프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하우징 내의 살균액의 수위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 내부로 살균액의 공급 여부를 조절하는 살균액 공급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방역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살균액 공급 조절부는,
    일단이 상기 제1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살균액 공급 파이프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개폐 밸브;
    상기 제1 하우징 내에서 살균액의 수면에 부유하도록 마련되는 부유통; 및
    일단이 상기 개폐 밸브의 내부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 밸브의 내부 통로를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고, 타단이 상기 부유통과 연결되는 밸브 조절부를 포함하는, 방역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절부는,
    상기 개폐 밸브와 상기 부유통이 평행한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개폐 밸브의 내부 통로를 폐쇄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개폐 밸브를 기준으로 상기 부유통이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개폐 밸브의 내부 통로를 개방하도록 마련되는, 방역 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살균 미스트 공급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부에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어 마련되는 제2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팬부는,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방역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방역 장치는,
    상기 살균 미스트 공급부에서 상기 살균 미스트 분사부로 공급되는 상기 살균 미스트의 이동 통로의 단면적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통로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방역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역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면에 마련되고, 제1 방향으로 지나가는 물체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제1 모션 감지 센서;
    상기 하우징부의 타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지나가는 물체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 모션 감지 센서; 및
    상기 제1 모션 감지 센서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 상기 살균 미스트 발생부를 동작시켜 상기 살균 미스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2 모션 감지 센서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 상기 살균 미스트 발생부를 미동작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방역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역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에 마련되고 물체를 감지하는 모션 감지 센서; 및
    상기 살균 미스트 발생부 및 상기 살균 미스트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 감지 센서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 상기 초음파 진동자를 동작시키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를 동작시킨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제1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팬부를 동작시키며,
    상기 초음파 진동자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시킨 후 상기 초음파 진동자를 오프시키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를 오프시킨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제2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팬부를 오프시키는, 방역 장치.
KR1020200124029A 2020-09-24 2020-09-24 살균 미스트를 분사하는 방역 장치 KR102477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029A KR102477239B1 (ko) 2020-09-24 2020-09-24 살균 미스트를 분사하는 방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029A KR102477239B1 (ko) 2020-09-24 2020-09-24 살균 미스트를 분사하는 방역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833A KR20220040833A (ko) 2022-03-31
KR102477239B1 true KR102477239B1 (ko) 2022-12-13

Family

ID=80934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029A KR102477239B1 (ko) 2020-09-24 2020-09-24 살균 미스트를 분사하는 방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2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2614A (ja) * 2007-07-23 2009-02-05 Andes Denki Kk ミスト供給システム
JP2011097893A (ja) * 2009-11-09 2011-05-19 Hokkaido Porakon Kk 設計水位給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795B1 (ko) * 2010-01-07 2012-04-30 이동인 소독분무장치
KR20120078137A (ko) * 2010-12-31 2012-07-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살균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온수기 및 그의 살균방법
KR20130064411A (ko) 2011-12-08 2013-06-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살균가스를 이용한 방역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2614A (ja) * 2007-07-23 2009-02-05 Andes Denki Kk ミスト供給システム
JP2011097893A (ja) * 2009-11-09 2011-05-19 Hokkaido Porakon Kk 設計水位給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833A (ko)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7188B2 (en) Pet bathing apparatus
KR101119977B1 (ko) 입자 분무형 몸소독기
JP6887679B2 (ja) 噴霧装置
JP3214558U (ja) 空気清浄器
KR101730597B1 (ko) 손 세정 장치
KR100522571B1 (ko) 자동 손 살균 소독 장치
WO2019004404A1 (ja) 排泄物吸引装置及び排泄物判定方法
KR102210813B1 (ko) 실내용 워킹 스루 소독장치
KR102477239B1 (ko) 살균 미스트를 분사하는 방역 장치
JP2007162997A (ja) ドライフォグ発生装置
KR102128790B1 (ko) 동축반전팬을 구비한 초음파 가습기
CN103520751B (zh) 口腔义齿、印模、石膏模型的消毒装置及消毒方法
JP2008138966A (ja) エアシャワー装置及びエアシャワー方法
US20230371760A1 (en) Air-flow apparatus
KR100798427B1 (ko) 손 소독기
KR200445336Y1 (ko) 순환식 가습기
CN203539483U (zh) 动物全身暴露室
CN212369337U (zh) 用于楼道的消杀装置
KR101618456B1 (ko) 이동형 연무 방제 장치
KR200438092Y1 (ko) 소규모 공간용 피톤치드 휘산장치
KR20220115201A (ko) 발판을 이용한 소독 장치
KR20110048761A (ko) 복합 살균 공기정화기
KR102282579B1 (ko) 출입구 클리닝 장치 및 방법
KR200407679Y1 (ko) 농산물 저장고 가습시스템
KR20050115216A (ko) 농산물 저장고 가습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