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553B1 - 보호필름용 수지조성물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의료용 폴리올레핀계 2차 포장용 필름 - Google Patents

보호필름용 수지조성물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의료용 폴리올레핀계 2차 포장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553B1
KR102264553B1 KR1020200025095A KR20200025095A KR102264553B1 KR 102264553 B1 KR102264553 B1 KR 102264553B1 KR 1020200025095 A KR1020200025095 A KR 1020200025095A KR 20200025095 A KR20200025095 A KR 20200025095A KR 102264553 B1 KR102264553 B1 KR 102264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olefin
resin
secondary packaging
bas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창수
권오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서씨앤에프
함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서씨앤에프, 함창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서씨앤에프
Priority to KR1020200025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5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02Applications for biomedical 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공압출에 의하여 형성된 폴리올레핀계 3중 필름으로서, 각각의 단위 필름은 폴리올핀계 수지를 포함하고, 폴리올레핀계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부에 형성되는 내열성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하부에 형성되는 저융점 필름을 포함하는 의료용 2차 포장용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의료용 2차 포장용 필름은 투명성이 우수하여 1차 포장물의 시인성이 우수하고, 나아가 내열성, 성형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보호필름용 수지조성물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의료용 폴리올레핀계 2차 포장용 필름{RESOIN COMPOSITION FOR PROTECTION FILM AND POLYOLEFIN BASED SECONDARY PACKAGING FILM FOR MEDICAL USE MANU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보호 포장용 필름 분야의 기술로서, 구체적으로는 약물 등을 수용하는 1차 포장물을 2차적으로 포장하는 데 사용되는 의료용 필름 제조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액이나 약물이 담겨있는 포장물을 2차적으로 포장하는 데 사용하는 2차 포장 용기로서 대부분 폴리염화비닐(PVC) 소재의 포장 필름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이유는 PVC 수지가 성형성이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상기 PVC 필름은 염화비닐 수지에 가소제를 투입하여 가소성을 부여한 필름으로서, 소각시 다이옥신과 같은 유독 가스가 발생하므로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상기 PVC 수지를 대체하기 위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이용한 필름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고유의 점착 특성 때문에 가공시 가공 장치 표면에 달라붙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 성형성과 품질 면에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은 투명성, 경량성, 성형성 및 내구성이 개선된 폴리올레핀계 보호용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내열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고 의료용 2차 포장재로 사용될 수 있는 포장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용 필름 조성물은 융점 또는 입체규칙성이 서로 다른 적어도 2종의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블렌딩 수지 100 중량부; 투명 향상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산화 방지제, 슬립제, 내열 안정제 및 광 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첨가제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블렌딩 수지는, 용융지수가 6.0g/10분 내지 10g/10분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70 내지 95 중량%; 및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대비 용융점이 10 내지 20℃ 낮은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올레핀계 블렌딩 수지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00 내지 500,000 g/mol이고 밀도가 0.900 내지 0.950 g/㎤인 수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2차 포장용 필름은 3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공압출에 의하여 형성된 폴리올레핀계 3중 필름으로서, 각각의 단위 필름은 청구항 1항의 보호용 필름 조성물을 포함하고, 폴리올레핀계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부에 형성되는 내열성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하부에 형성되는 저융점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저융점 필름으로서는 상기 베이스 필름을 이루는 수지 조성물 대비 10 내지 20℃ 낮은 저융점의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열성 필름으로서는 상기 베이스 필름을 이루는 수지 조성물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대비 입체규칙성이 높은 이소택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소택틱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용 필름용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베이스의 다중구조를 갖는 의료용 2차 포장용 필름은 친환경적이며 소각시 유해성이 적은 장점을 갖는다.
한편, 상기 포장용 필름은 다중필름 내에 저융점 필름을 포함하고 이를 포장재 성형을 위한 실링층으로 사용함으로써, 전체적인 다중필름의 기계적 물성을 개선하면서도, 상기 다중필름의 성형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다중필름은 또한 내열성 필름을 포함함으로써, 고온 살균 등에 의한 포장재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중필름은 복수의 수지 조성물의 공압출 성형 방식에 의하여 형성되므로, 다중필름의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료용 2차 포장용 필름은 투명성이 우수하고, PVC 필름 대비 경량화된 필름으로서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상기 필름을 이용한 공정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2차 포장용 필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2차 포장용 필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된 수액백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용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2차 포장용 필름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의료용 2차 포장용 필름은 다중필름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하기 설명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구체화하여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설명들이며, 하기 설명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하기 설명 이외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이 당연하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오직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고 제한될 수 있을 뿐이다.
또한, 하기 설명을 위하여 참조되는 도면 내 각 층들의 스케일은 설명을 위하여 개념적으로 과장된 것일 수 있으므로, 도면의 스케일에 의하여 본 발명 데코시트의 크기나 두께의 기술요소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의료용 2차 포장용 필름을 3중 구조로 예시하여 설명하나, 이러한 다중필름을 이루는 단위 필름들의 개수는 포장되는 의료용 약물의 종류나 특성에 따라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2차 포장용 필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의료용 2차 포장용 필름(100)은 3중 구조의 필름으로서, 베이스 필름(120) 및 상기 베이스 필름(120)의 각각 하부 및 상부에 적층된 저융점 필름(110) 및 내열성 필름(130)을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단위 필름들(110, 120, 130)은 각각의 단위필름을 이루는 수지 조성물들을 각각 압출기의 입구에 달려있는 호퍼에 투입하고 공압출됨으로써, 3중 필름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 때, 압출기의 실린더 온도는 대략 160 내지 250℃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각의 단위 필름들은, 융점 또는 입체규칙성이 서로 다른 적어도 2종의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블렌딩 수지 100 중량부; 투명 향상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산화 방지제, 슬립제, 내열 안정제 및 광 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첨가제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들은 폴리프로필렌 수지일 수 있으며, 상기 블렌딩 수지는 용융지수가 6.0g/10분 내지 10g/10분인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00 내지 500,000 g/mol이고 밀도가 0.900 내지 0.950 g/㎤인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향상제는 2차 포장용 필름(100)을 투과하여 보여지는 1차 포장재 표면의 약물 정보 등을 선명하게 식별하기 위하여 포함되는 성분으로서, 소르비톨 계열의 투명향상제가 사용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조성물과의 혼화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상기 투명향상제로서는, 예를 들면, 소르비톨 계열의 MILLARD3988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밖에 밀리켄사의 NX8000 제품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산화 방지제, 슬립제, 내열 안정제 및 광 안정제로서는 시중에서 입수가능한 제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광 안정제로는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열의 UV 안정제가 사용되는 것이 포장재의 내구성 및 내식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한편, 제조되는 최종 다중필름의 포장용도 및 내용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위에서 설명되지 않은 다양한 기능성 첨가제들이 필름 내부에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저융점 필름(110)은 포장재로 가공되었을 때, 약물 등이 포장된 1차 포장재와 접촉하는 부위의 필름이다.
상기 저융점 필름(110)을 이루는 조성물은 베이스 필름(120)을 이루는 수지 조성물 대비 10 내지 20℃ 낮은 저융점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융점 필름(110)을 이루는 수지 조성물은, 용융지수가 6.0g/10분 내지 10g/10분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70 내지 95 중량%; 및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대비 용융점이 10 내지 20℃ 낮은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융점 필름(110)은 상기 다중필름(100)이 포장재로 성형될 때 실링이 이루어지는 층으로서, 상기 저융점 필름(110)은 실링 과정의 작업성을 향상 시키고, 최종 의료용 2차 포장재의 내구성 및 성형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열성 필름(130)은 의료용 포장재의 살균 등 고열 환경에서 상기 포장재의 내구성 및 표면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능층이다. 상기 내열성 필름(130)을 이루는 수지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필름(110)을 이루는 수지 조성물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대비 입체규칙성이 높은 이소택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한다. 입체규칙성은 수지 내부의 분자들의 방향성이 얼마나 균일한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위와 같은 다중필름(100)은 의료용 약물 등을 포장하는 1차 포장물을 2차적으로 보호 하기위한 포장재로 기능할 수 있으며, 성형성 및 내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부 포장재의 문자를 선명하게 식별할 수 있는 높은 투명성을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2차 포장용 필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2차 포장필름(200)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3중 구조의 필름으로서, 베이스 필름(220) 및 상기 베이스 필름(220)의 각각 하부 및 상부에 적층된 저융점 필름(210) 및 내열성 필름(230)을 포함한다.
본 다중필름(200)은 전술한 다중필름(100)과 비교하여, 베이스 필름(220) 및 내열성 필름(230)의 입체규칙성을 제외하고 모두 동일하므로, 중복된 나머지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의 다중필름(100)은 내열성 필름(130)이 베이스 필름(120) 대비 높은 입체규칙성을 갖는 필름으로 구성되는 필름인 것에 반하여, 본 다중필름(200)은 베이스 필름(220)과 내열성 필름(230)의 입체규칙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하되, 저융점 필름(210) 보다는 높게 설계한 필름이다. 즉, 본 실시예의 의료용 2차 포장용 필름(200)은 내열성의 강화를 위하여 베이스 필름(220)까지 고 내열성 필름으로 구성한 필름이라 할 수 있겠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2차 포장용 필름을 두께 0.5mm로 실제로 제조하여 물성을 평가한 결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평가 방법]
* 용융지수 : ASTM D1238에 의거하여 230℃, 2.16kg에서 측정
* 인장신율 :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
* 굴곡 탄성율 : ASTM D790에 의거하여 측정
* 성형성 : 시트 성형품의 두께 균일성 및 표면상태(매끈한 정도)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우수 ○ 양호 △보통 × 불량)
* 융착성 : 필름 두 장을 겹친 후, 고온 융착 처리한 필름의 접착 정도, 필름의 강도 측정을 위하여 Stiffness 정도를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 우수 ○ 양호 △보통 × 불량)
항목 제품 1 제품 2
용융지수 7.5 7.0
인장신율(%) 420 450
인장강도(kg,f/㎠) 3.7 3.4
굴곡탄성율(kg/cm2) 16,000 15,000
열 융착 강도 5.2 4.6
성형성
내열성
융착성
시험 결과, 제조된 포장용 필름은 강성, 탄성률, 내열성, 성형성 및 융착성 면에서 모두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된 수액백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Claims (7)

  1. 약물이 포장된 1차 포장재를 2차로 포장하기 위한 수액백으로서,
    상기 수액백은,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1차 포장재와 접촉하는 저융점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타측에 형성되고는 내열성 필름을 포함하고,
    i) 상기 각각의 필름은 공통적으로 융점 또는 입체규칙성이 서로 다른 적어도 2종의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블렌딩 수지 100 중량부; 투명 향상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산화 방지제, 슬립제, 내열 안정제 및 UV 안정제로 이루어진 첨가제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필름이며,
    ⅱ) 상기 저융점 필름은, 베이스 필름을 이루는 수지 조성물 대비 10 내지 20℃ 낮은 저융점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고,
    ⅲ) 상기 내열성 필름은 상기 베이스 필름을 이루는 수지 조성물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대비 입체규칙성이 높은 이소택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의료용 2차 포장용 수액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블렌딩 수지는,
    용융지수가 6.0g/10분 내지 10g/10분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70 내지 95 중량%; 및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대비 용융점이 10 내지 20℃ 낮은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2차 포장용 수액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블렌딩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00 내지 500,000 g/mol이고 밀도가 0.900 내지 0.950 g/㎤인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2차 포장용 수액백.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택틱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2차 포장용 수액백.









KR1020200025095A 2020-02-28 2020-02-28 보호필름용 수지조성물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의료용 폴리올레핀계 2차 포장용 필름 KR102264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095A KR102264553B1 (ko) 2020-02-28 2020-02-28 보호필름용 수지조성물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의료용 폴리올레핀계 2차 포장용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095A KR102264553B1 (ko) 2020-02-28 2020-02-28 보호필름용 수지조성물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의료용 폴리올레핀계 2차 포장용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553B1 true KR102264553B1 (ko) 2021-06-15

Family

ID=76412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095A KR102264553B1 (ko) 2020-02-28 2020-02-28 보호필름용 수지조성물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의료용 폴리올레핀계 2차 포장용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55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557A (ja) * 1993-05-19 1995-02-03 Mitsui Toatsu Chem Inc ポリプロピレン積層シートまたは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14261A (ko) * 2003-07-30 2005-02-07 주식회사 메디펙 의료용 유연성 필름
KR20090069140A (ko) * 2007-12-24 2009-06-29 주식회사 중외 수액 용기용 다층 필름, 및 이를 구비한 수액 용기
KR20100108403A (ko) * 2007-12-27 2010-10-06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KR20100111057A (ko) * 2009-04-06 2010-10-14 주식회사 중외 의료용 다층 필름,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557A (ja) * 1993-05-19 1995-02-03 Mitsui Toatsu Chem Inc ポリプロピレン積層シートまたは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14261A (ko) * 2003-07-30 2005-02-07 주식회사 메디펙 의료용 유연성 필름
KR20090069140A (ko) * 2007-12-24 2009-06-29 주식회사 중외 수액 용기용 다층 필름, 및 이를 구비한 수액 용기
KR20100108403A (ko) * 2007-12-27 2010-10-06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KR20100111057A (ko) * 2009-04-06 2010-10-14 주식회사 중외 의료용 다층 필름, 및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0132B2 (en) Medical multilayer film and use thereof
JP5276323B2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該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から得られる延伸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該積層体から得られる延伸フィルム
CN101917991B (zh) 含有环状聚烯烃层的塑料容器
NZ210022A (en) Heat sterilisable polymeric laminate
EP1985443A2 (en) Stack sealable heat shrinkable film
EP1825997A3 (en) Dimensionally stable packaging film and articles made therefrom
JP2015501237A (ja) 制御された剥離可能なシールフィルムのためのフィルム組成物
EP2411223A1 (en) Non-pvc films with tough core layer
JP2018202618A (ja) ポリエチレン積層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包装材料
KR100629769B1 (ko) 의료백용 다층 필름
KR102264553B1 (ko) 보호필름용 수지조성물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의료용 폴리올레핀계 2차 포장용 필름
JP4951883B2 (ja) 医療用成形体
JP3054426B2 (ja) 医療用袋
KR101871072B1 (ko) 이지필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291839B1 (ko) Pe/pp 합지필름 대체용 고온 추출액 포장용 공압출 필름
JP2018202617A (ja) ポリエチレン共押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包装材料
JP6358829B2 (ja) 多層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材
KR102551304B1 (ko) 투명성, 연질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의료용 필름
JP2000093490A5 (ja) 軟質成形品
JPS63264348A (ja) 耐寒性多層フィルム
JP3919365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積層シート
EP2248858B1 (en) High abuse heat shrinkable film
JP6394033B2 (ja) ブリスタ包装体用シートおよびブリスタ包装体
JP2012001588A (ja) プロピレン系シート
KR102239192B1 (ko) 공압출, 다층 구조를 갖는 의료용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