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940B1 -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비접촉 급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비접촉 급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940B1
KR102263940B1 KR1020197035858A KR20197035858A KR102263940B1 KR 102263940 B1 KR102263940 B1 KR 102263940B1 KR 1020197035858 A KR1020197035858 A KR 1020197035858A KR 20197035858 A KR20197035858 A KR 20197035858A KR 102263940 B1 KR102263940 B1 KR 102263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ving object
detection area
detected
power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3414A (ko
Inventor
유키노리 츠카모토
시항 모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03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8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6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by position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7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rmination, e.g. using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8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39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with position-responsive activation of primary c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20Drive modes; Transition between modes
    • B60L2260/22Standstill, e.g. zero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07C2009/0079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by Hertzian wa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8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자 차량(51) 주위에 타 차량(52)이 정차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소나(281)와, 자 차량 주위에 보행자 등의 이동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도플러 센서(262)와, 도플러 센서로 이동 물체가 검출된 경우에 비접촉 급전을 정지 또는 저감하는 지상 컨트롤러(11)를 구비한다. 타 차량이 정차해 있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타 차량이 정차해 있는 것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보다도 도플러 센서의 검출 영역을 넓힌다. 따라서 비접촉 급전 시에 발생하는 전자파가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의 무선 통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비접촉 급전 시스템
본 발명은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상측에 마련되는 송전 장치로부터, 차량에 탑재되는 수전 장치로 비접촉으로 전력을 송전하여, 차량에 탑재되는 배터리를 충전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서는 대전력을 송전하므로, 누설 자계의 영향에 의하여,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키를 열쇠 구멍에 삽입하는 일 없이 도어의 시정, 해정을 행하는 시스템)에 이용되는 미약한 전파에 의한 무선 통신에 영향을 미쳐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이 오동작할 가능성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비접촉 급전 중에 탑승원이 소지하는 휴대기와 자 차량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할 때는 급전을 정지하고, 무선 통신이 종료되면 다시 급전을 개시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6036348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예는, 자 차량의 탑승원이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을 조작할 때는 급전을 정지하여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지만, 자 차량에 인접하여 정차해 있는 타 차량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자 차량이 비접촉 급전을 실시하고 있을 때, 자 차량에 인접하는 타 차량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의 무선 통신에 영향을 미쳐 버려 타 차량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이 오동작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자 차량이 비접촉 급전을 실시하고 있을 때, 자 차량 및 자 차량에 인접하는 타 차량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의 무선 통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한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비접촉 급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비접촉 급전 중에 수전 코일 또는 송전 코일 주위의 검출 영역에서 이동 물체를 검출한 경우, 급전을 정지 또는 저감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며, 자 차량에 인접하는 타 차량이 정차해 있는 경우, 타 차량이 정차해 있지 않은 경우보다도 검출 영역을 넓힌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자 차량 및 타 차량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의 무선 통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거리 센서로서 소나를 채용한 경우의 배치 및 검출 영역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거리 센서로서 카메라를 채용한 경우의 배치 및 검출 영역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이동 물체 센서로서 도플러 센서를 채용한 경우의 배치 및 검출 영역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플러 센서의 검출 영역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a는 자 차량의 근방에 타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도플러 센서에 의한 검출 영역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b는 자 차량의 근방에 타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의, 도플러 센서에 의한 검출 영역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c는 자 차량의 근방에 타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의, 도플러 센서에 의한 검출 영역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라 자 차량이 주차 공간의 급전 가능 위치에 정지하여 급전을 개시하는 수순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지상측에 설치한 도플러 센서 및 검출 영역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a는 자 차량의 측부에 타 차량이 정차해 있지 않은 경우의, 도플러 센서의 검출 영역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4b는 자 차량의 측부 후방에 타 차량이 정차해 있는 경우의, 도플러 센서의 검출 영역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4c는 자 차량의 측부 전방에 타 차량이 정차해 있는 경우의, 도플러 센서의 검출 영역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4d는 자 차량의 측부에 타 차량이 비스듬히 정차해 있는 경우의, 도플러 센서의 검출 영역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4e는 자 차량의 측부에 타 차량이 병렬로 정차해 있는 경우의, 도플러 센서의 검출 영역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라 주차 공간에 정차해 있는 차량을 카메라로 촬영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라 자 차량의 전방에 타 차량이 정차해 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8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라 자 차량의 전방에 타 차량이 정차해 있지 않을 때의 모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의 설명]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비접촉 급전 시스템은, 지상측 유닛인 급전 장치(100)와 차량측 유닛인 수전 장치(2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비접촉 급전 시스템은, 급전 스탠드 등에 배치된 급전 장치(100)로부터,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차 등의 자 차량(51)에 탑재된 수전 장치(200)에 비접촉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차량 탑재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이다.
급전 장치(100)는, 급전 스탠드 근방의 주차 공간(2)에 배치된 송전 코일(1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지상 컨트롤러(11)(급전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수전 장치(200)는, 자 차량(51)의 저면에 설치된 수전 코일(22)을 구비하고 있다. 수전 코일(22)은, 자 차량(51)이 주차 공간(2)의 소정의 정차 위치(급전 가능 위치)에 정차하였을 때, 송전 코일(12) 바로 위에 대향한다.
송전 코일(12)은, 도전선으로 이루어지는 1차 코일에 의하여 구성되며, 수전 코일(22)에 전력을 송전한다. 또한 수전 코일(22)은, 역시 도전선으로 이루어지는 2차 코일에 의하여 구성되며, 송전 코일(12)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수전한다. 송전 코일(12)과 수전 코일(22) 사이에 있어서의 전자기 유도 작용에 의하여 송전 코일(12)로부터 수전 코일(22)로 비접촉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상 컨트롤러(11)는, 스위칭 소자로 구성된 인버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교류 전원(도시 생략)으로부터 송전되는 교류 전력을 정류하고, 또한 고주파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송전 코일(12)에 공급한다. 또한 지상 컨트롤러(11)는 송전 코일(12)로의 급전, 정지를 제어한다. 또한 송전 코일(12)에 급전하는 전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지상 컨트롤러(11)는 무선 통신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자 차량(51)의 수전 장치(200)에 마련된 무선 통신부(23)와의 사이에서 쌍방향 통신을 행한다.
수전 장치(200)는 수전 코일(22)과 무선 통신부(23)와 차량 컨트롤러(24)와 정류부(25)와 배터리(27)와 이동 물체 센서(26)와 거리 센서(28)를 구비하고 있다.
정류부(25)는, 수전 코일(22)에서 수전된 교류 전력을 정류하고, 정류한 직류 전력을 배터리(27)에 충전한다.
거리 센서(28)는, 자 차량(51) 주위에 존재하는 타 차량 등의 물체를 검출하고, 또한 검출한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거리 센서(28)로서 소나 또는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다. 검출한 거리 데이터를 차량 컨트롤러(24)에 출력한다.
이동 물체 센서(26)는, 자 차량(51) 주변에 존재하는 보행자 등의 이동 물체를 검출한다. 이동 물체 센서(26)로서 도플러 센서 또는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물체 센서(26)는, 이동 물체의 검지 범위를 조정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차량 컨트롤러(24)의 제어에 의하여 검지 범위를, 후술하는 도 6a의 영역 R1, 도 6b의 영역 R11과 같이 변경할 수 있다.
차량 컨트롤러(24)는 배터리(27)의 충전 상황을 감시하며, 현재의 전력 정보, 전력 요구 신호를 무선 통신부(23)를 통하여 급전 장치(100)의 지상 컨트롤러(11)에 송신한다. 또한 거리 센서(28)로 검출되는 물체까지의 거리 데이터, 및 이동 물체 센서(26)로 검출되는 이동 물체의 검출 데이터를 지상 컨트롤러(11)에 송신한다. 또한 거리 센서(28)로, 자 차량(51)에 인접하는 타 차량이 검출된 경우에, 이동 물체 센서(26)에 의한 검출 영역을 변경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무선 통신부(23)는 지상 컨트롤러(11)와의 사이에서 쌍방향 통신을 행한다. 배터리(27)는, 복수의 이차 전지를 접속하여 구성되며, 자 차량(51)의 전력원으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비접촉 급전 시스템은, 송전 코일(12)과 수전 코일(22) 사이의 전자기 유도 작용에 의하여 비접촉 상태에서 고주파 전력의 송전 및 수전을 행한다. 즉, 송전 코일(12)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송전 코일(12)과 수전 코일(22) 사이에 자기적인 결합이 생겨서 송전 코일(12)로부터 수전 코일(22)로 전력이 공급된다. 수전 코일(22)에 공급된 전력은 정류부(25)에서 정류되고, 그 후, 배터리(27)에 충전된다.
또한 상술한 지상 컨트롤러(11) 및 차량 컨트롤러(24)는, CPU(중앙 처리 장치), 메모리 및 입출력부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하여 실현 가능하다. 마이크로컴퓨터를 지상 컨트롤러(11) 또는 차량 컨트롤러(24)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마이크로컴퓨터에 인스톨하여 실행한다. 이것에 의하여 마이크로컴퓨터는, 지상 컨트롤러(11) 또는 차량 컨트롤러(24)가 구비하는 복수의 처리 회로로서 기능한다. 또한 여기서는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지상 컨트롤러(11) 또는 차량 컨트롤러(24)를 실현하는 예를 나타내지만, 물론 전용 하드웨어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거리 센서, 이동 물체 센서의 설명]
다음으로, 상술한 거리 센서(28) 및 이동 물체 센서(26)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거리 센서(28)로서 소나를 이용하고 이동 물체 센서(26)로서 도플러 센서를 이용한다.
도 2는, 거리 센서(28)로서 소나(281(281a 내지 281f))를 채용한 경우의 배치 및 검출 영역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소나(281)는, 자 차량(51) 주위를 향하여 초음파를 발신하고 그 반사파를 검출함으로써, 자 차량(51) 주위에 존재하는 타 차량 등의 물체를 검출하고, 또한 검출한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 차량(51)의 전방의 물체를 검출하는 프런트 소나(281a), 좌우 전방의 물체를 검출하는 프런트 코너 소나(281b), 전방부 측방의 물체를 검출하는 전방부 사이드 소나(281c), 후방부 측방의 물체를 검출하는 후방부 사이드 소나(281d), 좌우 후방의 물체를 검출하는 리어 코너 소나(281e), 및 자 차량(51)의 후방의 물체를 검출하는 리어 소나(281f)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은, 거리 센서(28)의 다른 예로서 카메라(282(282a 내지 282c))를 채용한 경우의 배치 및 검출 영역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 차량(51)의 전방을 촬영하는 프런트 카메라(282a), 측방을 촬영하는 사이드 카메라(282b), 및 후방을 촬영하는 리어 카메라(282c)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 카메라(282)로 촬영한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자 차량(51) 주위에 존재하는 물체를 검출하고, 또한 검출한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또한 카메라(282)로서 어라운드 뷰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이동 물체 센서(26)로서 도플러 센서(262)를 채용한 경우의 배치 및 검출 영역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플러 센서(262)는, 예를 들어 자 차량(51)의 저부에 마련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 차량(51)의 전방의 검출 영역 R3, 측방의 검출 영역 R1, R2, 및 후방의 검출 영역 R4에 전파(마이크로파)를 조사하고, 물체에서 반사된 반사파를 검출한다. 그리고 조사한 전파의 주파수와, 물체에서 반사된 전파의 주파수를 비교함으로써, 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물체가 움직이고 있는 경우에는 도플러 효과에 의하여 반사파의 주파수가 변화되므로, 물체가 움직이고 있는지 또는 정지해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 차량(51)에 접근하여, 도어에 마련된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의 리퀘스트 버튼을 조작하는 탑승원 P1(이동 물체)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도플러 센서(262)의 검출 영역 R1 내지 R4만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플러 센서(262)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도플러 센서(262)의 검출 영역은 변경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소나(281)(거리 센서(28))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도플러 센서(262)의 검출 영역을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소나(281c)로 역치 거리 Dth 이내에 물체가 검출되지 않아서 자 차량(51)에 인접하는 타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도플러 센서(262)의 검출 영역을 R1로 설정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검출 영역 R1은, 자 차량(51)의 중앙 라인 C1로부터 거리 D0까지의 범위이다.
한편, 타 차량(52)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플러 센서(262)에 의한 검출 영역을 R1보다도 외측으로 확장한 R11로 설정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검출 영역 R11은, 자 차량(51)의 중앙 라인 C1로부터 거리 「D(t)+D1」(>D0)까지의 범위이다. 즉, 자 차량(51)에 인접한 타 차량(52)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보다 먼 이동 물체를 검출할 수 있도록 도플러 센서(262)의 검출 영역을 넓게 설정한다.
따라서 타 차량(52)의 탑승원이, 도어에 마련된 리퀘스트 버튼을 조작하기 위하여 타 차량(52)에 접근하는 경우에는, 이 탑승원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동 물체 센서(26)의 다른 예로서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다. 자 차량(51) 주위를 카메라로 촬영하고, 촬영한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자 차량(51) 주위에 존재하는 이동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처리 수순의 설명]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작용에 대하여, 도 7, 도 8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자 차량(51)이 주차 공간(2)의 급전 가능 위치에 정지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급전을 개시하는 처리 수순을 도시하고 있다.
맨 처음에, 스텝 S11에 있어서 지상 컨트롤러(11)는, 주차 공간(2)에 접근하는 자 차량(51)을 검출한다. 스텝 S12에 있어서 지상 컨트롤러(11)는, 자 차량(51)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센서(도시 생략)로, 주차 공간(2)에 접근하는 자 차량(51)이 급전 가능 위치에 정지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송전 코일(12)에 대하여 수전 코일(22)이 대향한 위치, 또는 대향한 위치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의 위치에 자 차량(51)이 도달하였을 때, 급전 가능 위치라고 판단한다.
자 차량(51)이 급전 가능 위치에 정지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13에 있어서 지상 컨트롤러(11)는 송전 코일(12)에 급전하여 배터리(27)의 충전을 개시한다. 즉, 송전 코일(12)에 전력을 공급하여 해당 송전 코일(12)을 여자하여 비접촉으로 수전 코일(22)에 전력을 송전한다. 수전 코일(22)에서 수전된 전력은 정류부(25)에서 정류되고, 그 후, 배터리(27)에 충전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송전 코일(12)과 수전 코일(22) 사이에서 비접촉 급전이 행해지고 있을 때, 자 차량(51)의 근방에 보행자 등의 이동 물체가 검출된 경우에는 송전 코일(12)로의 급전을 정지 또는 저감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이하, 도 8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비접촉 급전 중의 처리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맨 처음에, 스텝 S21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소나(281)(거리 센서(28))를 작동시키고, 그 검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 차량(51) 주위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 물체까지의 거리 D(t)를 측정한다. 또한 「t」는 거리 검출의 시각을 나타낸다. 또한 거리 D(t)는, 자 차량(51)의 중앙 라인(도 6a에 나타내는 C1)을 기준으로 한 거리로 한다.
스텝 S22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거리 D(t)가 미리 설정한 역치 거리 Dth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역치 거리 Dth는, 자 차량(51)에 인접하여 정차하는 타 차량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다.
「D(t)≥Dth」인 경우에는(스텝 S22에서 "아니오"), 스텝 S24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자 차량(51)에 인접하는 타 차량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D(t)<Dth」인 경우에는(스텝 S22에서 "예"), 스텝 S23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전회 검출한 거리 D(t-1)과 금회 검출한 거리 D(t)의 차분을 연산한다. 또한 연산한 차분이 0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차분이 0이 아닌 경우에는(스텝 S23에서 "아니오"), 소나(281)가 검출한 물체는 이동하고 있어서, 스텝 S25에 있어서 타 차량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차분이 0인 경우에는(스텝 S23에서 "예"), 소나(281)로 검출된 물체는 정지해 있으므로, 스텝 S26에 있어서, 자 차량(51)에 인접하는 타 차량(52)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스텝 S24 또는 S25에서 타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27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플러 센서(262)의 측방의 검출 영역을, 중앙 라인 C1로부터 거리 D0(이하, 「통상 검출 거리 D0」이라 함)까지의 영역 R1로 설정한다. 통상 검출 거리 D0은, 자 차량(51)의 탑승원이 도어의 시정, 해정용 리퀘스트 버튼을 누르기 위하여 해당 자 차량(51)에 접근하는 거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5m이다. 그 결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원 P1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텝 S26에서 인접하는 타 차량(52)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28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플러 센서(262)의 측방의 검출 영역을, 중앙 라인 C1로부터 거리 「D(t)+D1」까지의 영역 R11로 설정한다. 「D1」은 확장 거리이다. 그 결과, 타 차량(52)에 접근하여 도어 근방에서 리퀘스트 버튼을 조작하는 탑승원이 도플러 센서(262)의 검출 영역에 포함되므로, 타 차량(52)의 탑승원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 거리를 타 차량(52)의 차 폭보다도 큰 「D1'」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도플러 센서(262)의 검출 영역이, 중앙 라인 C1로부터 거리 「D(t)+D1'」까지의 영역으로 된다. 그 결과,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 차량(52)의, 자 차량(51)에 대하여 반대측(도면 중 우측)으로부터 접근하는 탑승원 P2를 검출할 수 있어서, 보다 고정밀도의 이동 물체의 검출이 가능해진다.
스텝 S29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도플러 센서(262)로 이동 물체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동 물체를 검출한 경우에는(스텝 S29에서 "예"), 스텝 S30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무선 통신부(23)로부터 급전 장치(100)의 지상 컨트롤러(11)에, 급전을 정지 또는 저감시키기 위한 명령 신호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하여 지상 컨트롤러(11)는 송전 코일(12)로의 급전을 정지 또는 저감한다. 즉, 자 차량(51), 또는 해당 자 차량(51)에 인접하는 타 차량(52)에서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이 조작된 경우에 무선 통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스텝 S29의 처리에서 이동 물체가 검출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31에 있어서 송전 코일(12)로의 급전을 통상 시의 급전으로 한다.
[제1 실시 형태의 효과의 설명]
이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서는 소나(281)(거리 센서(28))로, 자 차량(51)에 인접하는 타 차량(52)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플러 센서(262)(이동 물체 센서(26))에 의한 검출 영역을 R1로 설정한다. 따라서 자 차량(51)에 접근하는 탑승원만을 검출하고, 탑승원이 검출된 경우에는 급전을 정지 또는 저감하므로, 비접촉 급전 시에 생기는 전자파가 자 차량(51)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의 무선 통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검출 영역을 필요 이상으로 확장하지 않으므로, 자 차량(51)의 근방을 통과하는 보행자를 검출하여 급전을 정지 또는 저감한다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 차량(51)에 인접하는 타 차량(52)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플러 센서(262)에 의한 검출 영역을 R1에서 R11로 넓힌다. 즉, 타 차량(52)이 정차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타 차량(52)이 정차해 있다고 판단되지 않는 경우보다도 검출 영역을 넓힌다. 따라서 자 차량(51) 및 타 차량(52)에 접근하는 탑승원을 검출하고, 탑승원이 검출된 경우에는 급전을 정지 또는 저감하므로, 비접촉 급전 시에 생기는 전자파가 자 차량(51) 및 타 차량(52)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의 무선 통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도플러 센서(262)(이동 물체 센서(26))를 자 차량(51)에 탑재하고 있으므로, 자 차량(51)에서 타 차량(52)을 검출할 수 있어서 이동 물체의 검출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또한 검출 영역 R11은, 타 차량(52)까지의 거리 D(t)에 확장 거리 D1을 가산한 거리로 하고 있으므로, 타 차량(52)에 접근하는 탑승원을 확실히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에서는, 휴대기를 소지한 탑승원이 자 차량에 접근하여 도어 노브 부근에 마련된 리퀘스트 버튼을 누름으로써 자 차량으로부터 수 ㎑의 주파수의 신호(LF)가 발해진다. 휴대기는, 이 신호를 수신하면 수 ㎓의 주파수의 신호(UHF)를 출력하여 도어의 시정 또는 해정을 행한다. 이와 같은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에서는, 비접촉 급전 시에 발생하는 전자파의 영향을 받아서 오동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도어의 시정, 해정을 행하는 탑승원(이동 물체)의 존재가 검출된 경우에는 급전이 정지 또는 저감되므로, 비접촉 급전 시에 생기는 전자파가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의 무선 통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설명]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자 차량(51)에 인접하는 타 차량(52)의 유무에 따라 도플러 센서(262)의 검출 영역을 변경하는 것에 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러나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 차량(51)이 비접촉 급전을 실시하는 주차 공간의 측방에 보도(32)가 존재하고, 또한 보도(32)의 측방에 벽(33)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역치 거리 Dth의 내측에 벽(33)이 존재하므로 소나(281)에 의하여 벽(33)이 검출되어, 자 차량(51)의 측방에 타 차량이 정차해 있는 것으로 오인식해 버린다. 그리고 이 벽(33)의 근방까지 도플러 센서(262)의 검출 영역이 확장되도록 설정되어, 보도(32)를 보행하는 보행자를 이동 물체로서 검출해 버린다. 이 때문에, 급전을 정지 또는 저감한다는 오동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변형예에서는, 도플러 센서(262)에 의한 검출을 무효로 하는 무효 스위치(도시 생략)를 마련한다. 그리고 무효 스위치가 조작된 경우에는 이동 물체의 검출을 행하지 않으며, 도플러 센서(262)의 검출 영역을 변경하지 않는다. 즉, 도플러 센서(262)의 검출 영역을, 도 6a에 도시한 R1로 유지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오동작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 형태의 설명]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 물체 센서(26)가 급전 장치(101)에 마련되고 수전 장치(201)에는 이동 물체 센서(26)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즉,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전 코일(12)의 근방에 도플러 센서(262)(이동 물체 센서(26))를 마련하여, 자 차량(51)에 접근하는 이동 물체를 검출한다. 그 이외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이동 물체 센서(26)로서, 도플러 센서(262) 이외에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거리 센서(28)로, 자 차량(51) 주위에 존재하는 물체가 검출되고, 또한 이 물체까지의 거리가 검출된 경우에는 이 거리 데이터를 무선 통신부(23)로부터 지상 컨트롤러(11)에 송신한다. 지상 컨트롤러(11)는 물체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자 차량(51)에 인접하는 타 차량(52)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타 차량(52)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플러 센서(262)의 검출 영역을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거리 센서(28)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자 차량(51)에 인접하는 타 차량(52)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플러 센서(262)에 의한 검출 영역을 영역 R1로 설정한다. 한편, 타 차량(52)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플러 센서(262)에 의한 검출 영역을 넓혀 R11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비접촉 급전 시에 생기는 전자파가 자 차량(51) 또는 타 차량(52)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의 무선 통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도플러 센서(262)를 지상에 설치하므로 차량측에 도플러 센서(262)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차량에 탑재하는 부품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 실시 형태의 설명]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 물체를 검출하여 급전을 정지 또는 저감시키고, 그 후, 이동 물체가 검출되지 않게 된 경우에, 즉시 통상의 급전으로 복귀시키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중단 시간의 경과 후에 통상의 급전으로 복귀시키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시스템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1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처리 수순을, 도 12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맨 처음에, 스텝 S41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후술하는 중단 카운트값 n을 「0」으로 설정한다.
이어서, 스텝 S42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소나(281)(거리 센서(28))의 검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 차량(51) 주위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 물체까지의 거리 D(t)를 측정한다. 또한 「t」는 거리 검출의 시각을 나타낸다.
스텝 S43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거리 D(t)가 미리 설정한 역치 거리 Dth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역치 거리 Dth는, 자 차량(51)에 인접하여 정차하는 타 차량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다.
「D(t)≥Dth」인 경우에는(스텝 S43에서 "아니오") 자 차량(51)으로부터 거리 Dth 이내에 물체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스텝 S45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자 차량(51)에 인접하는 타 차량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D(t)<Dth」인 경우에는(스텝 S43에서 "예"), 스텝 S44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전회 검출 시의 거리 D(t-1)과 금회 검출 시의 거리 D(t)의 차분을 연산하여, 차분이 변화 판단 역치 Dchg를 상회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변화 판단 역치 Dchg를 상회하고 있는 경우에는(스텝 S44에서 "예"), 소나(281)로 검출된 물체는 이동하고 있어서, 자 차량(51)의 근방에 정차해 있는 차량은 아니므로, 스텝 S46에 있어서, 자 차량(51)에 인접하는 타 차량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변화 판단 역치 Dchg를 상회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44에서 "아니오"), 이 물체는 정지해 있어서, 스텝 S47에 있어서, 자 차량(51)에 인접하는 타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스텝 S45 또는 S46에서 타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48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도플러 센서(262)(이동 물체 센서(26))의 검출 영역을 통상 검출 거리 D0 이내의 검출 영역 R1(도 6a 참조)로 설정한다.
스텝 S47에서 타 차량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49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도플러 센서(262)의 검출 영역을 「D(t)+D1」 이내의 검출 영역 R11(도 6b 참조)로 설정한다. 「D1」은,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장 거리이다.
스텝 S50에 있어서, 도플러 센서(262)에 의하여 이동 물체(보행자 등)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동 물체가 검출된 경우에는(스텝 S50에서 "예"), 스텝 S51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무선 통신부(23)로부터 지상 컨트롤러(11)에, 급전을 정지 또는 저감하라는 명령 신호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하여 송전 코일(12)로의 급전이 정지 또는 저감되어 전자파의 발생이 억제되므로,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의 무선 통신에 대한 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 그 후, 스텝 S52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상술한 중단 카운트값 n을 「n=N」으로 설정한다.
한편, 스텝 S50의 처리에서 이동 물체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53에 있어서 중단 카운트값 n을 「1」만큼 감산한다. 구체적으로는 「n=n-1」로 한다. 단, n=0인 경우에는 이를 유지한다.
스텝 S54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중단 카운트값 n=0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n=0이 아니면(스텝 S54에서 "아니오") 스텝 S42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한편, n=0이면(스텝 S54에서 "예"), 스텝 S55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송전 코일(12)로의 급전을 통상의 급전으로 복귀시킨다. 즉, 급전이 정지 또는 저감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를 복귀시켜 통상의 급전으로 한다. 그 후, 스텝 S42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이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서는, 자 차량(51) 또는 타 차량(52)의 근방에 보행자 등의 이동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송전 코일(12)로의 급전을 정지 또는 저감함으로써,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의 무선 통신에 미치는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그 후, 이동 물체의 존재가 검출되지 않게 된 경우, 예를 들어 자 차량(51)의 탑승원이 자 차량(51)으로부터 떨어져 도플러 센서(262)에 의한 검출 거리보다도 먼 곳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송전 코일(12)로의 급전을 즉시 통상 시의 급전으로 복귀시키는 것이 아니라, 중단 카운트값 N이 0으로 되기까지의 동안에는 급전을 정지 또는 저감한 상태를 계속시킨다. 따라서 송전 전력이 빈번히 변경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의 설명]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자 차량(51)에 탑재되는 전방부 사이드 소나(281c)(도2 참조)의 검출 데이터와 후방부 사이드 소나(281d)의 검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 차량(51)에 인접하는 타 차량(52)이 자 차량(51)에 대하여 병렬로 정차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도플러 센서(262)(이동 물체 센서(26))에 의한 검출 영역을 변경한다. 시스템 구성은 전술한 도 1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작용을, 도 13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도플러 센서(262)에 의한 검출 영역을 설정하기까지의 처리를 도시하고 있다.
맨 처음에, 스텝 S61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한 전방부 사이드 소나(281c) 및 후방부 사이드 소나(281d)에 의한 거리 검출을 행한다. 자 차량(51)의 측방에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전방부 사이드 소나(281c)에 의하여 거리 D1(t), 및 후방부 사이드 소나(281d)에 의하여 거리 D2(t)가 검출된다.
스텝 S62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거리 D1(t)이 역치 거리 Dth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자 차량(51)의 전방부 측방의, 역치 거리 Dth까지의 영역에 물체가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물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스텝 S63으로 처리를 진행시키고, 존재하는 경우에는 스텝 S64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63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거리 D2(t)가 역치 거리 Dth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자 차량(51)의 후방부 측방의, 역치 거리 Dth까지의 영역에 물체가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물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스텝 S66으로 처리를 진행시키고, 존재하는 경우에는 스텝 S67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66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자 차량(51)에 인접하는 타 차량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즉, 전방부 사이드 소나(281c)에 의하여 역치 거리 Dth 이내에 물체가 검출되지 않고, 또한 후방부 사이드 소나(281d)에 대해서도 역치 거리 Dth 이내에 물체가 검출되지 않는다는 것은,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 차량(51)의 근방에 물체가 존재하고 있지 않으므로 타 차량은 존재하고 있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그 후, 스텝 S71에 있어서, 도플러 센서(262)에 의한 검출 영역을 통상 검출 거리 D0 이하의 검출 영역 R1로 한다.
스텝 S67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자 차량(51)의 후방부에만 인접하는 타 차량(52)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즉, 전방부 사이드 소나(281c)에 의하여 역치 거리 Dth 이내에 물체가 검출되지 않고, 또한 후방부 사이드 소나(281d)에 의하여 역치 거리 Dth 이내에 물체가 검출되어 있다는 것은,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 차량(51)의 측부 후방에 타 차량(52)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그 후, 스텝 S72에 있어서, 도플러 센서(262)의 검출 영역을 「D2(t)+Dk2」 이하의 검출 영역 R31로 설정한다. 단, 「Dk2」는 확장 거리이며, 부의 값이다.
한편, 스텝 S64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D2(t)<D1(t)+dD」 및 「D2(t)>D1(t)-dD」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dD」는, 타 차량(52)이 자 차량(51)에 대하여 병렬로 정차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미소 거리이다. 즉, 자 차량(51)에 대하여 거의 병렬로 타 차량(52)이 정차해 있는 경우에 "예" 판정으로 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아니오" 판정으로 된다.
스텝 S64에서 "아니오" 판정의 경우에는, 스텝 S65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거리 D2(t)가 역치 거리 Dth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자 차량(51)의 후방부 측방의, 역치 거리 Dth 내에 물체가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물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스텝 S68로 처리를 진행시키고,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스텝 S69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68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자 차량(51)의 전방부에만 인접하는 타 차량(52)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전방부 사이드 소나(281c)에 의하여 역치 거리 Dth 이내에 물체가 검출되고, 또한 후방부 사이드 소나(281d)에 의하여 역치 거리 Dth 이내에 물체가 검출되지 않는다는 것은, 도 1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 차량(51)의 측부 전방에 타 차량(52)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그 후, 스텝 S73에 있어서, 도플러 센서(262)의 검출 영역을 「D1(t)+Dk1」 이하의 검출 영역 R32로 설정한다. 「Dk1」은 확장 거리이다.
즉, 자 차량(51)으로부터 타 차량(52)까지의 거리 D1(t)에 확장 거리 Dk1을 가산한 거리까지의 영역을 검출 영역 R32로 설정하므로, 타 차량(52)의 탑승원이 해당 타 차량(52)에 접근한 경우에는 도플러 센서(262)에 의하여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필요 이상으로 검출 영역을 넓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텝 S69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자 차량(51)에 인접하는 타 차량(52)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거리 D1(t)과 거리 D2(t)의 차분이 크므로(상기한 「dD」보다도 크므로), 도 1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 차량(52)은 자 차량(51)에 대하여 비스듬히 정차해 있다. 그 후, 스텝 S74에 있어서 도플러 센서(262)의 검출 영역을 「(D1(t)+D2(t))/2+Dk3」 이하의 검출 영역 R33으로 설정한다. 「Dk3」은 확장 거리이다.
즉, 거리 D1(t)과 거리 D2(t)의 평균값을 연산하고, 이 평균값에 확장 거리 Dk3을 가산한 거리까지의 영역을 검출 영역 R33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타 차량(52)의 탑승원이 해당 타 차량(52)에 접근한 경우에는, 도플러 센서(262)에 의하여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필요 이상으로 검출 영역을 넓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스텝 S64에서 "예" 판정의 경우에는, 스텝 S70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도 1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 차량(51)에 인접하여 병렬로 타 차량(52)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그 후, 스텝 S75에 있어서 도플러 센서(262)의 검출 영역을 「D1(t)+Dk4」 이하의 검출 영역 R34로 설정한다. 「Dk4」는 확장 거리이다.
즉, 자 차량(51)으로부터 타 차량(52)까지의 거리 D1(t)에 확장 거리 Dk4를 가산한 거리까지의 영역을 검출 영역 R34로 설정하므로, 타 차량(52)의 탑승원이 해당 타 차량(52)에 접근한 경우에는 도플러 센서(262)에 의하여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그 후,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 수법으로 적절히 설정된 도플러 센서(262)의 검출 영역 내에 이동 물체(보행자 등)이 검출된 경우에는 송전 코일(12)로의 급전을 정지 또는 저감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전자파의 발생을 경감하여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의 무선 통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서는, 자 차량(51)에 인접하는 타 차량(52)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타 차량(52)의 정차 상황에 따라 도플러 센서(262)의 검출 영역을 변경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 차량(51)의 후방에 타 차량(52)이 존재하는 경우, 도 1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 차량(51)의 전방에 타 차량(52)이 존재하는 경우, 도 1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 차량(51)에 대하여 비스듬히 타 차량(52)이 존재하는 경우, 및 도 1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 차량(51)에 대하여 병렬로 타 차량(52)이 존재하는 경우에 각각 도플러 센서(262)의 검출 영역을 적절히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타 차량(52)의 정차 상황에 영향받지 않고 자 차량 및 타 차량의 탑승원이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을 조작할 때의 오동작을 보다 확실히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5 실시 형태의 설명]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주차 공간(2)의 자 차량 주변을 촬영하는 차량 촬영용 카메라(31)를 마련하고, 자 차량(51)에 인접하는 타 차량(52)의 유무를 해당 차량 촬영용 카메라(31)로 촬영한 화상에 기초하여 판단한다. 도 15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6은, 차량 촬영용 카메라(31)를 이용하여 주차 공간(2) 전체를 촬영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5 실시 형태에서는, 급전 장치(102)가, 주차 공간(2)를 촬영하는 차량 촬영용 카메라(31)를 구비하는 점, 및 수전 장치(202)가 거리 센서(28)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점에서, 전술한 도 1과 상이하다. 그 이외의 구성은 도 1과 마찬가지이므로, 동일 부호를 붙여서 구성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촬영용 카메라(31)에 의하여 자 차량(51) 및 타 차량(52)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지상 컨트롤러(11)는, 차량 촬영용 카메라(31)로 촬영한 화상을 해석하여, 자 차량(51)에 인접하는 타 차량(52)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타 차량(52)의 유무에 기초하여 도플러 센서(262)의 검출 영역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 차량(52)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플러 센서(262)의 검출 영역을 R1로 설정한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 차량(52)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플러 센서(262)의 검출 영역을 R11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서는, 주차 공간(2) 전체를 촬영하는 차량 촬영용 카메라(31)를 이용하여, 자 차량(51)에 인접하는 타 차량(52)을 검출한다. 따라서 소나(281) 등의 거리 센서(28)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서, 자 차량(51)에 탑재하는 기기, 부품을 삭감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의 설명]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6 실시 형태에서는, 자 차량(51) 주위의 물체를 검출하는 거리 센서(28)로서, 도 3에 도시한 카메라(282(282a 내지 282c))를 이용하여 자 차량(51)의 전방, 측방 및 후방을 검출한다. 시스템의 구성은 전술한 도 1에 도시한 비접촉 급전 시스템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자 차량(51)의 측방에 인접하는 타 차량(52)이 존재하는 경우의 처리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6 실시 형태에서는, 프런트 카메라(282a)(도3 참조)를 이용하여, 자 차량(51)의 전방에 타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타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자 차량(51)의 전방을 검출하는 도플러 센서(262)의 검출 데이터를 무효로 한다. 즉, 자 차량(51)의 전방에 이동 물체가 검출된 경우에도 이 이동 물체의 검출 결과를 무효로 한다.
이하, 도 17에 도시하는 흐름도, 및 도 18a, 도 18b에 도시하는 설명도를 참조하여 제6 실시 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맨 처음에, 스텝 S81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프런트 카메라(282a)(거리 센서(28))로 촬영한 자 차량(51)의 전방의 화상을 취득한다.
스텝 S82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전방의 화상을 해석하여, 자 차량(51)의 전방에 타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타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에는(스텝 S82에서 "예") 스텝 S83으로 처리를 진행시키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S82에서 "아니오") 스텝 S86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83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전방의 타 차량까지의 거리 D(t)가 역치 거리 Dth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D(t)<Dth」인 경우에는(스텝 S83에서 "예") 스텝 S84에서, 전방에 타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도 1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 차량(51)의 전방에 타 차량(52)이 존재하고 있다.
그 후, 스텝 S85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도플러 센서(262)의 검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 차량(51)과 타 차량(52) 사이에 이동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도 1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 차량(52)의 후방에서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을 조작하는 탑승원 P12(이동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 존재가 검출된다. 그리고 탑승원 P12가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 S88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급전을 정지 또는 저감하기 위한 명령 신호를 지상 컨트롤러(11)에 송신한다. 지상 컨트롤러(11)는 송전 코일(12)로의 급전을 정지 또는 저감한다.
따라서 타 차량(52)의 탑승원 P12가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을 조작할 때 무선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자 차량(51)의 전방에 이동 물체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85에서 "아니오"), 스텝 S89에 있어서 통상의 급전으로 한다.
한편, 자 차량(51)의 전방에 타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스텝 S82에서 "아니오"), 또는 전방 차량까지의 거리가 역치 거리 Dth보다도 큰 경우(스텝 S83에서 "아니오")에는, 스텝 S86에 있어서 차량 컨트롤러(24)는, 자 차량(51)의 전방에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스텝 S87에 있어서, 자 차량(51)의 전방의 이동 물체의 검출을 무효로 한다. 즉, 도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 차량(51)의 전방에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플러 센서(262)에 의한 전방의 검출 영역 R3(도 5 참조)에서의 이동 물체의 검출을 무효로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18b에 도시하는 자 차량(51)의 전방의 보도를 보행자 P11이 보행하고 있는 경우에, 이 보행자 P11을 이동 물체로서 검출하여 급전을 정지 또는 저감한다는 오동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서는, 자 차량(51)의 전방 및 측방을 이동 물체의 검출 영역으로 하고 있으므로, 자 차량(51)의 전방에 정차해 있는 타 차량(52)의 탑승원 P12가, 예를 들어 백 도어에서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을 조작할 때 무선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보도 등의, 보행자가 많이 통행하는 영역에 면한 주차 공간에 자 차량(51)을 정차하는 경우에, 자 차량(51)의 전방의 이동 물체의 검출을 무효로 하므로, 보도의 보행자를 검출하여 급전을 정지 또는 저감한다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비접촉 급전 시스템을 도시된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부의 구성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임의의 구성의 것으로 치환할 수 있다.
2: 주차 공간
11: 지상 컨트롤러
12: 송전 코일
22: 수전 코일
23: 무선 통신부
24: 차량 컨트롤러
25: 정류부
26: 이동 물체 센서
27: 배터리
28: 거리 센서
31: 차량 촬영용 카메라
32: 보도
33: 벽
51: 자 차량
52: 타 차량
100, 101, 102: 급전 장치
200, 201, 202: 수전 장치
262: 도플러 센서
281: 소나
281a: 프런트 소나
281b: 프런트 코너 소나
281c: 전방부 사이드 소나
281d: 후방부 사이드 소나
281e: 리어 코너 소나
281f: 리어 소나
282: 카메라
282a: 프런트 카메라
282b: 사이드 카메라
282c: 리어 카메라
C1: 중앙 라인
P1: 탑승원
P2: 탑승원
P11: 보행자
P12: 탑승원

Claims (8)

  1. 자 차량에 탑재한 수전 코일을, 지상에 설치된 송전 코일과 대향시켜 상기 송전 코일로부터 수전 코일로 비접촉으로 급전하고, 급전 중에 상기 수전 코일 또는 상기 송전 코일 주위의 검출 영역에서 이동 물체를 검출한 경우, 상기 급전을 정지 또는 저감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자 차량 주위에 타 차량이 정차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타 차량이 정차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타 차량이 정차해 있다고 판단되지 않는 경우보다도 상기 검출 영역을 넓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 차량에 설치한 이동 물체 센서에 의하여 상기 검출 영역 내의 이동 물체를 검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지상에 설치한 이동 물체 센서에 의하여 상기 검출 영역 내의 이동 물체를 검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영역은 상기 자 차량의 측방 및 전방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 차량의 전방부 측방 및 후방부 측방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자 차량의 측방에 존재하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타 차량을 검출하고, 각각의 거리 센서로 검출한 상기 타 차량까지의 거리에 따라 상기 검출 영역을 설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상에 설치되어 상기 자 차량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에 의하여, 상기 자 차량의 근방에 상기 타 차량이 정차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영역 내에 이동 물체가 검출되어 상기 급전을 정지 또는 저감한 후, 상기 검출 영역 내에 이동 물체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미리 설정한 중단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급전을 개시, 또는 통상의 급전으로 복귀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8. 자 차량에 탑재한 수전 코일을, 지상에 설치된 송전 코일과 대향시켜 상기 송전 코일로부터 수전 코일로 비접촉으로 급전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이며,
    상기 자 차량 주위에 타 차량이 정차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거리 센서와,
    상기 자 차량 주위에 이동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이동 물체 센서와,
    상기 이동 물체 센서로 이동 물체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급전을 정지 또는 저감하는 급전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타 차량이 정차해 있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타 차량이 정차해 있는 것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보다도 상기 이동 물체 센서의 검출 영역을 넓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
KR1020197035858A 2017-06-13 2017-06-13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비접촉 급전 시스템 KR1022639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21771 WO2018229858A1 (ja) 2017-06-13 2017-06-13 非接触給電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414A KR20200003414A (ko) 2020-01-09
KR102263940B1 true KR102263940B1 (ko) 2021-06-11

Family

ID=64659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858A KR102263940B1 (ko) 2017-06-13 2017-06-13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비접촉 급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142080B2 (ko)
EP (1) EP3641102B1 (ko)
JP (1) JP6973485B2 (ko)
KR (1) KR102263940B1 (ko)
CN (1) CN110741532B (ko)
CA (1) CA3067176C (ko)
MX (1) MX2019014561A (ko)
MY (1) MY193617A (ko)
RU (1) RU2729776C1 (ko)
WO (1) WO20182298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23697B2 (en) * 2020-11-04 2024-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JP2023000399A (ja) * 2021-06-17 2023-01-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給電方法及び通信装置
JP7468468B2 (ja) 2021-06-23 2024-04-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給電方法
JP2023003550A (ja) * 2021-06-24 2023-01-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力伝送システム、送電システムおよび電力伝送方法
US20230211753A1 (en) * 2022-01-06 2023-07-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nsor control for optimized monitor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6265A1 (ja) 2011-06-20 2012-12-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受電装置、非接触送電装置および非接触送受電システム
JP2014116999A (ja) 2012-12-06 2014-06-26 Denso Corp 混信防止装置
JP2016047983A (ja) 2014-08-27 2016-04-0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子キー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6348B2 (ja) 1981-04-23 1985-08-20 川崎製鉄株式会社 電縫鋼管のフインパスロ−ルにおけるロ−ル間隙初期設定方法およびロ−ル間隙設定修正方法
JP5296588B2 (ja) * 2009-03-30 2013-09-25 アズビル株式会社 無線電力配電システム
GB2488086B (en) * 2010-01-05 2014-11-05 Access Business Group Int Llc Inductive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US9184598B2 (en) * 2011-10-26 2015-11-10 Leggett & Platt Canada Co. Signal discrimination for wireless key fobs and interacting systems
WO2014087823A1 (ja) * 2012-12-03 2014-06-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非接触給電システム及び非接触給電方法
JP6036348B2 (ja) 2013-01-31 2016-11-3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35233B1 (ko) * 2013-03-29 2017-05-12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비접촉 급전 시스템 및 급전 장치
JP2014217093A (ja) * 2013-04-22 2014-11-17 清水建設株式会社 漏洩電磁波制御システム、及び漏洩電磁波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
DE102013208005A1 (de) * 2013-05-02 2014-11-0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kontaktlosen Ladeeinrichtung
US9365126B2 (en) * 2013-05-10 2016-06-1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moving object below a vehicle
JP6160713B2 (ja) * 2014-01-30 2017-07-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及び駐車支援方法
US9983300B2 (en) * 2014-10-17 2018-05-2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living object protection in wireless power transfer applications
DE102014221933B4 (de) * 2014-10-28 2018-07-2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hindern einer Funktionsstörung eines schlüssellosen Zugangsberechtigungssystems eines Kraftfahrzeugs durch das Wechselfeld einer induktiven Ladestation
US10012725B2 (en) * 2014-12-19 2018-07-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living object protection having extended functionality in wireless power transfer applications
JP6129890B2 (ja) * 2015-02-25 2017-05-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受電体及び該受電体を備える車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6265A1 (ja) 2011-06-20 2012-12-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受電装置、非接触送電装置および非接触送受電システム
JP2014116999A (ja) 2012-12-06 2014-06-26 Denso Corp 混信防止装置
JP2016047983A (ja) 2014-08-27 2016-04-0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子キー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9014561A (es) 2020-02-07
CN110741532B (zh) 2023-06-23
CA3067176C (en) 2023-04-04
CN110741532A (zh) 2020-01-31
EP3641102B1 (en) 2021-02-17
EP3641102A1 (en) 2020-04-22
US11142080B2 (en) 2021-10-12
JPWO2018229858A1 (ja) 2020-04-09
JP6973485B2 (ja) 2021-12-01
CA3067176A1 (en) 2018-12-20
KR20200003414A (ko) 2020-01-09
MY193617A (en) 2022-10-20
EP3641102A4 (en) 2020-04-22
US20200156488A1 (en) 2020-05-21
WO2018229858A1 (ja) 2018-12-20
RU2729776C1 (ru) 202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3940B1 (ko)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비접촉 급전 시스템
US8896321B2 (en)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CN103716484A (zh) 供电控制装置、图像处理设备和供电控制方法
US20140217816A1 (en) Mobile terminal charging system and mobile terminal charging method
US10036182B2 (en) Electronic locking system
JP201312718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8236917A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
KR20140018373A (ko) 비접촉 수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비접촉 송전 장치, 및 비접촉 전력 전송 시스템
KR20140085557A (ko) 무선 키 포브 및 상호작용 시스템을 위한 신호 구분
US20170282858A1 (en) Keyless Entry Systems
JP2007267578A (ja) 障害物検知装置及びエネルギー供給装置並びにエネルギー供給システム
WO2014148315A1 (ja) 送電装置、送受電装置、受電装置検出方法、受電装置検出プログラム、及び半導体装置
EP2282425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CN110944884B (zh) 移动标识发射器
CN105163977A (zh) 用来运行无接触式充电装置、用来无干扰运行无线闭锁系统的方法和设备
JPWO2014147818A1 (ja) 送電装置、受電装置、車両、およ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CN109501719A (zh) 一种用于避免车载无线充电干扰智能钥匙检测的系统及方法
JP6343292B2 (ja) 非接触送電装置、非接触受電装置、及び非接触送受電システム
US9991746B2 (en) Vehicular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power-feeding device, and non-transitory tangibl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2620611B1 (ko) 차량 제어 시스템, 휴대 단말기 및 차량 탑재 장치
US11059456B2 (en) In-vehicle authentication device and portable device authentication method
US20230097220A1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control method
JP2013143803A (ja) 電子機器、充電装置、充電システム、及び充電方法
JP6104132B2 (ja) 車載用通信システム
US20230174013A1 (en) Method for unlocking an opening element of a motor vehicle and associated unloc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