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504B1 - 퓨즈의 퓨즈 와이어 고정 구조체 - Google Patents

퓨즈의 퓨즈 와이어 고정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504B1
KR102263504B1 KR1020197029611A KR20197029611A KR102263504B1 KR 102263504 B1 KR102263504 B1 KR 102263504B1 KR 1020197029611 A KR1020197029611 A KR 1020197029611A KR 20197029611 A KR20197029611 A KR 20197029611A KR 102263504 B1 KR102263504 B1 KR 102263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wire
concave
fuse
curved piec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9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6379A (ko
Inventor
훙-치흐 치우
Original Assignee
콘쿼 일렉트로닉스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쿼 일렉트로닉스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콘쿼 일렉트로닉스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26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43Electrical contacts; Fastening fusible members to such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2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s for carrying, holding, or retaining fuse, co-operating with base or fixed holder, and removable therefrom for renewing the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4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low voltage fuses, i.e. below 1000 V, or of fuses where the applicable voltage is not specifi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01H85/175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shape or form
    • H01H85/1755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shape or form composit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45Mounting means or insulating parts of the base, e.g. covers,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11Miniature fuses
    • H01H2085/0414Surface mounted fu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uses (AREA)

Abstract

퓨즈의 퓨즈 와이어 고정 구조체로서, 베이스, 제1 전극, 제2 전극 및 퓨즈 와이어의 조립 구조체를 포함하며, 베이스의 중간 영역에는 제1 지지부, 제2 지지부 및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사이에 위치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지지부의 양측에는 제1 날개부가 각각 형성되어, 제1 지지부와 제1 날개부 사이가 제1 오목면을 이루도록 하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베이스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고, 제1 전극에는 제1 지지부와 제1 날개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1 만곡편이 구비되며, 제1 만곡편의 양면에는 제1 오목면 상에 부착되는 볼록 접촉면 및 제1 오목면의 상방을 향하는 오목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퓨즈 와이어는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사이에 걸쳐 설치되고, 구멍의 상방에 매달림으로써, 퓨즈 와이어의 일단과 제1 만곡편의 오목 접촉면이 면대면 밀착 방식으로 서로 접합되도록 하여, 퓨즈 와이어와 제1 전극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퓨즈 와이어를 조립한 후의 퓨즈의 전도 효율과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퓨즈의 퓨즈 와이어 고정 구조체
본 발명은 퓨즈 와이어와 전극간이 면대면 밀착 방식으로 서로 접합되도록 하여 퓨즈 와이어와 전극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퓨즈의 퓨즈 와이어 고정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전극의 만곡편의 볼록 접촉면과 퓨즈 와이어의 조립 구조체, 및 전극의 만곡편의 오목 접촉면과 퓨즈 와이어의 조립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퓨즈(또는 용단기(熔斷器), 용단선(熔絲)이라고도 한다)는 회로에 연결되어 회로를 보호하는 1차성 어셈블리이며, 그 중에는 금속 와이어 또는 금속편으로 제작된 퓨즈 와이어가 설치되어 있다. 회로 상의 전류 또는 서지가 너무 크거나, 전기 에너지 파워가 너무 클 경우, 퓨즈 와이어에 고온이 발생하여 용단되어 개방 회로를 형성한다. 이로써 회로 상의 전기 에너지 전도를 중단시켜, 회로가 타서 훼손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종래의 퓨즈 구조체는 일반적으로 절연 베이스의 양단에 각각 전극이 배치되고, 두 전극에 퓨즈 와이어가 용접된 것으로, 사용 시 퓨즈의 두 전극을 각각 회로에 용접하여 회로 상의 전기 에너지가 하나의 전극으로부터 퓨즈 와이어를 거쳐 다른 전극과 회로로 전도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퓨즈의 전극은 일반적으로 금속편으로 이루어지며, 베이스 표면에 부착된 후, 전극의 금속편은 베이스 표면에서 스트레이트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종래의 퓨즈 와이어는 일반적으로 원형 윤곽 단면을 가진 금속선 또는 금속 와이어이다. 따라서 퓨즈 와이어가 전극 표면에 배치될 때, 선(퓨즈 와이어)과 면(전극)의 접촉 형태를 이루어, 퓨즈 와이어와 전극의 접촉 면적을 향상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며, 퓨즈 와이어를 조립한 후의 퓨즈의 전도 효율과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기 쉽다.
또한, 종래 퓨즈의 퓨즈 와이어는 용단 시 버스트, 아크 등의 현상이 발생하기 쉬우며, 상기 버스트 에너지를 적절히 방출하지 않으면 퓨즈 하우징이 파열되어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퓨즈는 모두 그 베이스에 버스트 에너지를 방출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다. 그러나, 퓨즈가 회로기판 또는 기기에 용접되거나 접착되는 경우, 베이스의 관통홀은 솔더 또는 접착제로 인해 막혀 기능을 상실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퓨즈의 퓨즈 와이어 고정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퓨즈의 퓨즈 와이어 고정 구조체는 베이스, 제1 전극 및 퓨즈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제1 단, 제2 단 및 상기 제1 단과 제2 단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 영역에는 상기 제1 단과 인접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단과 인접하는 제2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에는 제1 만곡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만곡편은 오목 접촉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만곡편의 오목 접촉면은 상기 제1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퓨즈 와이어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사이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퓨즈 와이어의 일단의 외주면과 상기 제1 만곡편의 오목 접촉면이 서로 접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퓨즈 와이어와 상기 제1 전극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퓨즈 와이어를 조립한 후의 퓨즈의 전도 효율과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종래 퓨즈의 퓨즈 와이어와 전극 간이 선 대 면 방식으로 서로 접합되어 접촉 면적을 향상하기 어렵고 전도 효율과 신뢰성 등에 영향을 미치는 단점을 개선한다.
상기 주된 기술적 특징을 토대로 상기 제1 지지부의 양측에는 제1 날개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부와 제1 날개부 사이가 제1 오목면을 이루도록 하며, 상기 제1 만곡편은 볼록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볼록 접촉면은 상기 제1 날개부와 접촉한다.
상기 주된 기술적 특징을 토대로, 상기 제2 단에는 제2 전극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에는 제2 만곡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만곡편은 오목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만곡편의 오목 접촉면은 상기 제2 지지부 상에 설치되며, 상기 퓨즈 와이어의 타단의 외주면은 상기 제2 만곡편의 오목 접촉면과 서로 접합된다.
상기 주된 기술적 특징을 토대로, 상기 제2 지지부의 양측에는 제2 날개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날개부 사이가 제2 오목면을 이루도록 하며, 상기 제2 만곡편은 볼록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볼록 접촉면은 상기 제2 날개부와 접촉한다.
상기 주된 기술적 특징으로 토대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구멍을 구비한다.
상기 주된 기술적 특징으로 토대로, 상기 베이스의 중간 영역과 상기 구멍은 커버체에 의해 커버되어, 상기 퓨즈 와이어가 상기 커버체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한다.
상기 주된 기술적 특징으로 토대로, 상기 커버체의 상면 및 측면 중의 적어도 한 면에는 상기 구멍과 연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이 막혀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주된 기술적 특징으로 토대로, 상기 제1 오목면 및 제2 오목면은 아치형 오목면 및 절곡형 오목면 중의 어느 하나의 오목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퓨즈 와이어의 일단의 외주면과 상기 제1 만곡편의 오목 접촉면 사이는 면대면 밀착 방식으로 서로 접합되며, 상기 퓨즈 와이어의 타단의 외주면과 상기 제2 만곡편의 오목 접촉면 사이는 면대면 밀착 방식으로 서로 접합된다.
상기 주된 기술적 특징으로 토대로, 상기 퓨즈 와이어의 일단,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날개부 사이에는 절연층이 채워져 있으며, 상기 퓨즈 와이어의 타단,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2 날개부 사이에는 다른 절연층이 채워져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세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가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베이스와 퓨즈 와이어의 배치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의 수정 실시예의 배치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5의 다른 수정 실시예의 배치 개략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의 배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을 명확하고도 충분히 개시하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아래와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이들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도면을 나타낸다. 상술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퓨즈의 퓨즈 와이어 고정 구조체를 설명하면, 상기 퓨즈의 퓨즈 와이어 고정 구조체는 베이스(1), 제1 전극(2), 제2 전극(3), 퓨즈 와이어(4) 및 커버체(5)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는 제1 단(11), 제2 단(12) 및 상기 제1 단(11)과 상기 제2 단(12)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영역(13)을 구비하며, 상기 중간 영역(13)에는 상기 제1 단(11)과 인접하는 제1 지지부(14), 상기 제2 단(12)과 인접하는 제2 지지부(15), 상기 제1 지지부(14)와 상기 제2 지지부(15) 사이에 위치하는 구멍(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전극(2)은 상기 베이스(1)의 제1 단(11)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3)은 상기 베이스(1)의 제2 단(12)에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14)의 양측에는 제1 날개부(141, 142)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부(14)와 상기 제1 날개부(141, 142) 사이가 제1 오목면(140)을 이루도록 하며; 상기 제1 전극(2)의 일단에는 상기 제1 지지부(14)와 상기 제1 날개부(141, 142) 사이에 삽입되는 제1 만곡편(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전극(2)의 타단은 상기 베이스(1)의 제1 단(11)의 하부로 연장되어 용접 단자를 이룬다. 상기 제1 만곡편(21)의 상하 양면은 상기 제1 날개부(141, 142) 및 제1 오목면(140)에 밀착되는 볼록 접촉면(211)과 상기 제1 오목면(140)의 상방을 향하는 오목 접촉면(212)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만곡편(21)의 오목 접촉면(212)은 상기 제1 지지부(14)에 설치된다. 상기 제2 지지부(15)의 양측에는 제2 날개부(151, 152)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부(15)와 제2 날개부(151, 152) 사이가 제2 오목면(150)을 이루도록 하며; 상기 제2 전극(3)의 일단에는 상기 제2 지지부(15)와 상기 제2 날개부(151, 152) 사이에 삽입되는 제2 만곡편(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전극(3)의 타단은 상기 베이스(1)의 제2 단(12)의 하부로 연장되어 용접 단자를 이룬다. 상기 제2 만곡편(31)의 상하 양면은 상기 제2 날개부(151, 152) 및 상기 제2 오목면(150)에 부착되는 볼록 접촉면(311)과 상기 제2 오목면(150)의 상방을 향하는 오목 접촉면(312)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만곡편(31)의 오목 접촉면(312)은 상기 제2 지지부(15)에 설치된다. 상기 퓨즈 와이어(4)는 상기 제1 지지부(14)와 상기 제2 지지부(15) 사이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구멍(16)의 상방에 매달린다. 이로써, 상기 퓨즈 와이어(4)의 일단의 외주면과 상기 제1 만곡편(21)의 오목 접촉면(212)이 면대면 밀착 방식으로 서로 접합되고, 상기 퓨즈 와이어(4)의 타단의 외주면과 상기 제2 만곡편(31)의 오목 접촉면(312)이 면대면 밀착 방식으로 서로 접합되도록 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버체(5)는 상기 베이스(1)의 중간 영역(13)의 제1 지지부(14), 제2 지지부(15) 및 구멍(16)을 커버하여, 상기 퓨즈 와이어(4)가 상기 커버체(5)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실시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오목면(140) 및 제2 오목면(150)은 아치형 오목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이들 도면은 상기 제1 오목면(140) 및 제2 오목면(150)은 절곡형 오목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설명한다. 도 8을 참고하면, 이는 상기 제1 전극(2a)의 제1 만곡편(21a)에 상방을 향하는 볼록 접촉면(211a) 및 하방을 향하는 오목 접촉면(212a)이 형성되어, 퓨즈 와이어(4)의 일단이 제1 만곡편(21a)의 오목 접촉면(212a)에 접합되도록 하며; 상기 제2 전극의 제2 만곡편에도 상방을 향하는 볼록 접촉면 및 하방을 향하는 오목 접촉면이 형성되어, 퓨즈 와이어의 타단이 제2 만곡편의 오목 접촉면에 접합되도록 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이해할 수 있듯이, 상기 퓨즈 와이어(4)의 일단의 외주면과 제1 만곡편(21)의 오목 접촉면(212)이 서로 면대면 밀착 방식으로 서로 접합되고, 상기 퓨즈 와이어(4)의 타단의 외주면과 제2 만곡편(31)의 오목 접촉면(312)이 서로 면대면 밀착 방식으로 서로 접합되는 구조를 통해, 상기 제1 전극(2) 및 제2 전극(3)과 상기 퓨즈 와이어(4)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퓨즈 와이어(4)를 조립한 후의 퓨즈의 전도 효율과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도 1,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실시 가능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체(5)의 상면(51) 또는 측면(52)에는 상기 구멍(16)과 연통하는 관통홀(53)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53)은 상기 커버체(5)와 베이스(1)의 접합 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관통홀(53)은 상기 퓨즈 와이어(4)의 용단 시 발생하는 파열 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1)를 회로 기판 또는 기기의 표면에 용접하거나 접착시킬 경우, 상기 관통홀(53)이 상기 커버체(5)에 위치하고, 관통홀이 베이스에 형성되지 않고 관통홀(53)이 회로 기판 또는 기기의 솔더 또는 접착제로부터 이격되므로, 상기 관통홀(53)이 솔더 또는 접착제로 인해 막혀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실시 가능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퓨즈 와이어(4)의 일단 및 상기 제1 지지부(14)와 상기 제1 날개부(141, 142) 사이에는 절연층(61)이 채워지고, 상기 퓨즈 와이어(4)의 타단 및 상기 제2 지지부(15)와 상기 제2 날개부(151, 152) 사이에는 다른 절연층(62)이 채워지며; 상기 절연층(61, 62)은 상기 퓨즈 와이어(4)의 양단을 감쌈으로써, 상기 퓨즈 와이어(4)가 구멍(16)에 노출되는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상기 베이스(1) 및 상기 커버체(5)를 조립할 경우, 상기 절연층(61, 62)이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다. 이로써 조립 시, 상기 제1 날개부(141) 및 상기 제2 날개부(151)의 접점이 압착되어 구조체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를 정리하면,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의 실시 가능한 범위를 한정할 수 없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자명하게 행할 수 있는 변경과 수정은 모두 본 발명의 실질적 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1: 베이스
11: 제1 단
12: 제2 단
13: 중간 영역
14: 제1 지지부
140: 제1 오목면
141, 142: 제1 날개부
15: 제2 지지부
150: 제2 오목면
151, 152: 제2 날개부
16: 구멍
2, 2a: 제1 전극
21, 21a: 제1 만곡편
211, 311, 211a: 볼록 접촉면
212, 312, 212a: 오목 접촉면
3: 제2 전극
31: 제2 만곡편
4: 퓨즈 와이어
5: 커버체
51: 상면
52: 측면
53: 관통홀
61, 62: 절연층

Claims (9)

  1. 퓨즈의 퓨즈 와이어 고정 구조체에 있어서,
    베이스, 제1 전극 및 퓨즈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제1 단, 제2 단 및 상기 제1 단과 상기 제2 단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 영역에는 상기 제1 단과 인접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단과 인접하는 제2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에는 제1 만곡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만곡편은 오목 접촉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만곡편의 오목 접촉면은 상기 제1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퓨즈 와이어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퓨즈 와이어의 일단의 외주면과 상기 제1 만곡편의 오목 접촉면이 서로 접합되며;
    상기 제1 지지부의 양측에는 제1 날개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날개부 사이가 제1 오목면을 이루도록 하며, 상기 제1 만곡편은 볼록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볼록 접촉면은 상기 제1 날개부와 접촉하며;
    상기 제2 단에는 제2 전극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에는 제2 만곡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만곡편은 오목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만곡편의 오목 접촉면은 상기 제2 지지부 상에 설치되며, 상기 퓨즈 와이어의 타단의 외주면은 상기 제2 만곡편의 오목 접촉면과 서로 접합되며;
    상기 제2 지지부의 양측에는 제2 날개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날개부 사이가 제2 오목면을 이루도록 하며, 상기 제2 만곡편은 볼록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볼록 접촉면은 상기 제2 날개부와 접촉하며;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의 중간 영역과 상기 구멍은 커버체에 의해 커버되어, 상기 퓨즈 와이어가 상기 커버체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커버체의 상면 및 측면 중의 적어도 한면에는 상기 구멍과 연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오목면 및 상기 제2 오목면은 아치형 오목면 및 절곡형 오목면 중의 어느 하나의 오목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퓨즈 와이어의 일단의 외주면과 상기 제1 만곡편의 오목 접촉면은 면대면 밀착 방식으로 서로 접합되며, 상기 퓨즈 와이어의 타단의 외주면과 상기 제2 만곡편의 오목 접촉면은 면대면 밀착 방식으로 서로 접합되며;
    상기 퓨즈 와이어의 일단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날개부 사이에는 절연층이 채워져 있으며, 상기 퓨즈 와이어의 타단 및 상기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날개부 사이에는 다른 절연층이 채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의 퓨즈 와이어 고정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7029611A 2017-11-27 2017-11-27 퓨즈의 퓨즈 와이어 고정 구조체 KR1022635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113117 WO2019100382A1 (zh) 2017-11-27 2017-11-27 一种保险丝的熔丝线固定结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379A KR20190126379A (ko) 2019-11-11
KR102263504B1 true KR102263504B1 (ko) 2021-06-14

Family

ID=66630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9611A KR102263504B1 (ko) 2017-11-27 2017-11-27 퓨즈의 퓨즈 와이어 고정 구조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54413B2 (ko)
JP (1) JP2020507884A (ko)
KR (1) KR102263504B1 (ko)
CN (1) CN110100295A (ko)
WO (1) WO20191003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43008B (zh) * 2021-03-11 2021-10-11 功得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貼片保險絲
TWI757137B (zh) * 2021-03-31 2022-03-01 功得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具空穴密閉式貼片保險絲
TWI805342B (zh) * 2022-04-27 2023-06-11 功得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便於組裝的保險絲
US11942300B1 (en) * 2023-01-19 2024-03-26 Littelfuse, Inc. SMD fuse with pre-molded shiel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910723U (zh) * 2014-06-10 2014-10-29 颜琼章 一种保险丝基座改良组合结构
CN205881857U (zh) * 2016-07-05 2017-01-11 宏川达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保险丝底座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8548A (en) * 1985-01-04 1986-08-26 Littelfuse, Inc. Miniature fuse
US5923519A (en) * 1997-03-21 1999-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rge protection device
KR19990001792A (ko) * 1997-06-17 1999-01-15 최진호 자동판매기용 휴즈홀더
US6326878B1 (en) * 2000-02-01 2001-12-04 Shih-Tsung Liang Fuse holder
US6771477B2 (en) * 2000-11-29 2004-08-03 Canadian Shunt Industries Ltd. Fused electrical disconnect device
JP2005026188A (ja) * 2003-07-03 2005-01-27 Koa Corp 電流ヒューズ及び電流ヒューズの製造方法
ES2312020T3 (es) * 2004-09-13 2009-02-16 Cooper Technologies Company Modulos y dispositivos de desconexion de un interruptor con fusibles.
JP4348385B2 (ja) * 2007-09-20 2009-10-21 日本製線株式会社 表面実装型電流ヒューズ
CN201106716Y (zh) * 2007-11-08 2008-08-27 瀚荃股份有限公司 放置管状物的夹持端子结构
US8203420B2 (en) * 2009-06-26 2012-06-19 Cooper Technologies Company Subminiature fuse with surface mount end caps and improved connectivity
US9025295B2 (en) * 2009-09-04 2015-05-05 Cyntec Co., Ltd. Protective device and protective module
US8629749B2 (en) * 2010-11-30 2014-01-14 Hung-Chih Chiu Fuse assembly
US9824842B2 (en) * 2015-01-22 2017-11-21 Littelfuse, Inc. Wire in air split fuse with built-in arc quencher
JP6659239B2 (ja) * 2015-05-28 2020-03-04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保護素子、ヒューズ素子
CN205723413U (zh) * 2015-12-03 2016-11-23 厦门赛尔特电子有限公司 一种电路保护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910723U (zh) * 2014-06-10 2014-10-29 颜琼章 一种保险丝基座改良组合结构
CN205881857U (zh) * 2016-07-05 2017-01-11 宏川达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保险丝底座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18894A1 (en) 2019-10-17
CN110100295A (zh) 2019-08-06
WO2019100382A1 (zh) 2019-05-31
JP2020507884A (ja) 2020-03-12
US10854413B2 (en) 2020-12-01
KR20190126379A (ko) 201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3504B1 (ko) 퓨즈의 퓨즈 와이어 고정 구조체
JP5737664B2 (ja) チップ型ヒューズ
JP2019533892A (ja) 通気式ヒューズハウジング
JP5837043B2 (ja) 組電池および電池接続方法
KR101971670B1 (ko) 배터리 커넥터, 배터리 모듈 및 전기 자동차
US10290458B2 (en) Fuse and method of forming a fuse
EP2577703B1 (en) Fuse with counter-bore body
KR102102840B1 (ko) 보호 소자
KR101017119B1 (ko) 표면 실장형 전류 퓨즈
KR102173754B1 (ko) 이차전지 및 그러한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JP7421321B2 (ja) チップ形電流ヒューズおよびチップ形電流ヒューズの実装構造
KR100540579B1 (ko) 기판형 온도퓨즈
JP3909515B2 (ja) 電池パック
JP2001297904A (ja) 温度ヒューズ内蔵型バリスタ
TWI653656B (zh) Fuse fuse fixing structure
JP6576609B1 (ja) 半導体装置
KR20220090320A (ko) 고전압 퓨즈
JP5495895B2 (ja) ヒューズ装置
KR101463710B1 (ko) 이중관 구조의 퓨즈 및 그 제조방법
JP6306893B2 (ja) ヒューズ機能付き抵抗器
CN212322981U (zh) 一种防火的贴片二极管
JP5981163B2 (ja) 電流ヒューズおよび電子機器
JP6257952B2 (ja) 保護素子
TWM481534U (zh) 具防爆功能之表面黏著型過電流保護元件
TWI553686B (zh) Explosion - proof function of the surface adhesion type over - current protection compon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