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565B1 - 조리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조리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565B1
KR102261565B1 KR1020190130178A KR20190130178A KR102261565B1 KR 102261565 B1 KR102261565 B1 KR 102261565B1 KR 1020190130178 A KR1020190130178 A KR 1020190130178A KR 20190130178 A KR20190130178 A KR 20190130178A KR 102261565 B1 KR102261565 B1 KR 102261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flow path
convection drying
temperature
cooking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6458A (ko
Inventor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90130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565B1/ko
Publication of KR20210046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은 대류 건조 모드를 지시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내솥에 내용물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내솥에 내용물이 없는 경우, 상기 대류 건조 모드의 지시 입력을 수신한 시점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임계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대류 건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대류 건조 모드의 종료의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COOCK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조리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건조 기능을 제공하는 조리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리 기기의 취사 공정 이후, 사용자는 조리 기기로부터 내솥을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세척이 완료된 내솥을 완전히 건조시킨 이후, 조리 기기에 장착시켜 취사 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내솥을 조리 기기의 외부에서 건조시키는 경우, 상기 내솥을 건조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구비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주방 식기의 크기에 비하여 내솥의 크기가 상당히 클 수 있어서, 내솥을 조리 기기의 외부에서 건조시키는 과정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또한, 세척 이후 물기를 포함하는 내솥을 조리 기기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물기가 조리 기기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이는 미생물의 번식이나 냄새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 중 하나는, 내솥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내솥을 건조시킬 수 있는 조리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 중 하나는, 내솥, 패킹, 및 내솥 커버 등에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고 냄새의 발생을 방지하여, 조리 기기의 위생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조리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대류 건조 모드를 지시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내솥에 내용물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내솥에 내용물이 없는 경우, 상기 대류 건조 모드의 지시 입력을 수신한 시점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임계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대류 건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대류 건조 모드의 종료의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은 상기 내솥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내솥의 온도가 임계 온도를 초과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내솥의 온도가 상기 임계 온도를 초과하였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대류 건조 동작 수행 시, 상기 내솥을 가열시키도록 구성된 가열부를 온/오프(ON/OFF)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상기 대류 건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잠금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외솥 뚜껑의 제1 유로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단계; 및 상기 외솥 뚜껑의 제2 유로를 통해 상기 내솥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상기 대류 건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열림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외솥 뚜껑의 제1 유로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단계; 및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상기 내솥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상기 대류 건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잠금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단계; 및 외솥 뚜껑의 제1 유로를 통해, 상기 내솥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외솥; 상기 외솥에 수용되고, 조리 공간을 가지는 내솥; 상기 조리 공간을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제1 유로를 가지는 외솥 뚜껑; 상기 외솥 뚜껑에 탑재된 솔레노이드 밸브; 대류 건조 모드를 지시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내솥에 내용물이 있는지 판단하도록 구성된 내용물 감지 센서; 상기 제1 유로에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구성된 순환 작동부; 및 상기 조리 공간에 내용물이 없는 경우, 대류 건조 동작의 수행을 위해 상기 순환 작동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상기 조리 기기는 상기 내솥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온도 센서; 및 상기 내솥을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류 건조 동작의 수행 시, 상기 내솥의 온도가 임계 온도를 초과하였는지 판단하고, 초과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상기 외솥 뚜껑에는, 상기 제1 유로와 이격된 제2 유로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대류 건조 모드의 지시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잠금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를 통해 상기 조리 공간에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순환 작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대류 건조 모드의 지시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열림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상기 조리 공간에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순환 작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상기 조리 기기는 상기 대류 건조 동작의 진행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류 건조 모드의 지시 입력을 수신한 시점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대류 건조 모드의 종료의 지시를 상기 표시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상기 조리 기기는 상기 대류 건조 동작의 진행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용물 감지 센서가 상기 조리 공간에 내용물이 있는 것으로 감지한 경우, 상기 대류 건조 모드의 수행이 불가함의 지시를 상기 표시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은 내솥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내솥을 건조시킬 수 있어서, 상기 내솥을 건조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구비될 필요가 없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은 내솥을 가열시키면서 상기 내솥의 조리 공간에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어서, 내솥, 패킹, 및 내솥 커버 등에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고, 냄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기능 블록의 배치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들의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대류 건조 모드의 제1 동작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대류 건조 모드의 제2 동작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제1~”, “제2~” 와 같은 서수적인 표현은 “제1~”이 “제2~”보다 앞선 것임을 한정하지 않으며, 유사한 구성을 달리 구분하여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00)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00)의 기능 블록의 배치도이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할 때, 본 개시의 조리 기기(100)는 외솥(105), 외솥 뚜껑(106), 센서 모듈(110), 내용물 감지 센서(115), 입력부(120), 표시부(130),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140), 블로우 팬(blow fan, 150), 메모리(160), 가열부(170), 내솥(180), 및 제어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솥(105)은 내솥(180)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외솥(105)은 조리 기기(100)를 작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전자 장치들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솥(105)은 센서 모듈(110), 내용물 감지 센서(115), 블로우 팬(150), 메모리(160), 가열부(170), 및 제어부(190) 등을 수용할 수 있다.
외솥 뚜껑(106)은 내솥(180)이 수용되는 공간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솥 뚜껑(106)은 내솥(180)의 조리 공간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를 들어, 외솥 뚜껑(106)은 외솥(105)의 일 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고, 회전을 통해 내솥(180)의 조리 공간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솥(180)은 외솥(105)이 제공하는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내솥(180)은 곡식류 등의 음식 재료가 수용될 수 있는 조리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센서 모듈(110)은 조리 기기(100)의 내부 환경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데이터를 제어부(190)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110)은 내솥(180)에 대한 온도, 압력 등을 센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고, 내솥(180)의 건조를 위한 동작들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 모듈(110)은 상부 온도 센서(112), 하부 온도 센서(113), 압력 센서(114), 내용물 감지 센서(115)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온도 센서(112)는 내솥(180)의 상부에 대한 온도를 측정하고, 획득한 온도 데이터를 제어부(190)에 전달할 수 있다. 하부 온도 센서(113)는 내솥(180)의 하부에 대한 온도를 측정하고, 획득한 온도 데이터를 제어부(19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상부 온도 센서(112) 및 하부 온도 센서(113)로부터 각각 획득한 온도 데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내솥(180)의 온도를 계산할 수 있다. 조리 기기(100)의 대류 건조 동작 수행 시, 제어부(190)는 내솥(180)의 계산된 온도가 임계 온도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가열부(170)를 계속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내솥(180)의 계산된 온도가 임계 온도를 초과한 경우, 가열부(170)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압력 센서(114)는 내솥(180)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고, 획득한 압력 데이터를 제어부(19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센서(114)는 압저항형(piezoresistive strain gauge), 용량형(capacitive), 압전형(piezoelectric) 및 광학형(optical) 중 적어도 하나의 유형에 기반하여 내솥(180)의 내부 압력을 센싱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압력 센서(114)로부터 획득한 압력 데이터에 기반하여, 내부 압력이 임계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140)를 개방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 기기(100)의 내부 압력이 지나치게 상승하여 조리 기기(100)가 폭발하거나, 내부 소자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용물 감지 센서(115)는 내솥(180)의 내부에 음식 재료(예를 들어, 쌀) 또는 기타 물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내용물 감지 센서(115)는 다양한 센서들로 구현될 수 있다.
내용물 감지 센서(115)는 내솥(180)의 하단에 배치되어, 내솥(180)의 무게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내용물 감지 센서(115)는 측정된 무게가 내솥(180) 자체의 무게보다 일정 범위를 초과하여 측정됨에 응답하여, 내솥(180) 내부에 음식 재료나 기타 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어부(190)에게 내솥(180) 내부에 음식 재료 등이 있음을 지시하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용물 감지 센서(115)는 내솥(180)의 상단에 배치되는 적외선(infrared) 센서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내용물 감지 센서(115)는 내솥(180)의 내부(예를 들어, 내솥(180)의 밑면)를 향하여 적외선을 방사하고, 반사되는 적외선 광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거리가 내솥(180) 자체의 깊이 길이보다 작은 경우, 내솥(180) 내부에 음식 재료가 있음을 식별할 수 있다. 내용물 감지 센서(115)가 적외선 센서 또는 무게를 측정하는 센서로 구현되는 것만을 서술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내용물 감지 센서(115)는 내솥(180)의 내부에 음식 재료 또는 기타 내용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들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다양한 사용자 입력들을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 버튼들 및/또는 스마트 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은 조리 동작의 개시, 조리 동작의 선택, 조리 동작의 예약, 및 건조 모드의 지시 등을 지시하는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감압 방식 및 정전용량 방식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에 따른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조리 기기(100)의 상태 정보, 설정 정보 또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TFT LCD(thin-film-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 및 표시부(130)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리 기기(100)는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 및/또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부(130)는 대류 건조 모드의 진행 상황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30)는 대류 건조 동작이 종료된 경우, 대류 건조 모드의 종료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내솥(180)의 조리 공간에 내용물이 있는 경우, 대류 건조 모드의 수행이 불가함을 표시할 수도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140)는 내솥(180)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140)는 전원의 공급 및/또는 차단에 따라 밸브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말 클로즈(normal close) 방식의 솔레노이드 밸브(140)인 경우, 전류가 공급되면 밸브가 개방되고, 전류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밸브가 닫힐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솥(180)의 내부 압력이 임계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14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밸브를 개방하고, 내솥(180)의 내부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블로우 팬(150)은 조리 기기(100)의 내부 온도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팬(fan)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로우 팬(150)은 전류 공급에 따라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은 일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조리 기기(100)의 내부로부터 조리 기기(100)의 외부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블로우 팬(150)은 조리 기기(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9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알고리즘 및/또는 제어 알고리즘의 실행에 의해 생성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60)는 제어부(190) 내에 구비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제어부(190) 내에 구비되는 레지스터일 수 있다.
가열부(170)는 내솥(180)을 가열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제어부(19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부(170)는 유도 가열 방식으로 내솥(180)을 가열시키는 워킹 코일(working coil)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열부(170)는 전기 저항 방식으로 내솥(180)을 가열시키는 열선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가열부(170)는 내솥(180)의 상부를 가열시키기 위한 상부 히터(171), 내솥(180)의 측부를 가열시키기 위한 측면 히터(172), 및 내솥(180)의 하부를 가열시키기 위한 메인 히터(17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열부(170)는 내솥(180)을 가열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성들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히터(171) 및 메인 히터(17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온도 데이터에 기반하여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히터(171)는 상부 온도 센서(112)에 의해 측정된 온도 데이터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고, 메인 히터(173)는 하부 온도 센서(113)에 의해 측정된 온도 데이터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부 히터(171) 및 메인 히터(173)는 각각 내솥(180)의 상부 및 하부의 온도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히터(171)는 상부 온도 센서(112)에 의해 식별된 상부 온도가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부 온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비활성화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부 히터(171)는 상부 온도 센서(112)에 의해 식별된 상부 온도가 임계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부 온도를 임계 온도까지 상승시키기 위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면 히터(172)는 듀티비(duty ratio) 방식에 기반하여 동작될 수 있다. 상기 듀티비는 하나의 주기에 대하여 펄스가 온(on) 상태인 시간의 비율을 지칭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듀티비는 반복되는 주기 동안 측면 히터(172)가 활성화되는 시간의 비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16의 듀티비는 16초의 주기 동안 측면 히터(172)는 1초 동안 온(on) 상태에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7/16 듀티비는 16초의 주기 동안 측면 히터(172)가 7초 동안 온 상태임을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190)는 조리 기기(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마이컴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입력부(120)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어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90)는 대류 건조 모드를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내솥(180)의 조리 공간에 내용물이 있는지 판단하고, 내솥(180)을 대류 건조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90)의 기능 및 동작에 대해서는 뒤에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들(100a 내지 100f)의 단면도들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조리 기기들(100a 내지 100f)의 대류 건조 동작의 수행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할 때, 조리 기기(100a)의 외솥 뚜껑(106)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40) 및 기계식 밸브(311)가 마련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140)에 관한 기술적 사상은 전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기계식 밸브(311)는 압력 추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솥(180) 내의 증기가 상기 압력 추에 제공하는 전압력이 압력 추의 무게보다 작은 경우, 기계식 밸브(311)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증기가 상기 압력 추에 제공하는 전압력이 상기 압력 추의 무게보다 큰 경우, 상기 압력 추는 기울어질 수 있고, 기계식 밸브(311) 내의 유로가 오픈되어, 내솥(180) 내의 증기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외솥 뚜껑(106)에는 제1 유로(H1) 및 제2 유로(H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리 기기(100a)는 제1 유로(H1) 및 제2 유로(H2)를 통해 내솥(180)의 조리 공간에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된 순환 작동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로(H1) 및 제2 유로(H2) 내에는 밸브(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밸브는 제1 유로(H1) 및 제2 유로(H2)를 열림 상태 또는 잠금 상태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밸브일 수 있다.
조리 기기(100a)가 대류 건조 동작을 수행할 경우, 상기 밸브는 제1 유로(H1) 및 제2 유로(H2)를 열림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 기기(100a)의 대류 건조 동작 시, 조리 기기(100a)는 제1 유로(H1) 및 제2 유로(H2)를 통해, 내솥(180)의 조리 공간에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리 기기(100a)가 대류 건조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 상기 밸브는 제1 유로(H1) 및 제2 유로(H2)를 잠금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 기기(100a)가 대류 건조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 조리 기기(100a)는 제1 유로(H1) 및 제2 유로(H2)를 통해, 내솥(180)의 조리 공간에 공기가 순환시키지 않을 수 있다.
순환 작동부(310)는 외솥 뚜껑(106)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순환 작동부(310)는 제1 유로(H1) 및 제2 유로(H2)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한 외솥 뚜껑(106)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 작동부(310)는 제1 유로(H1)가 형성된 외솥 뚜껑(106)의 영역에서 형성될 수 있다.
순환 작동부(310)는 모터와 같은 동력원 및 상기 동력원에 의해 동작되는 팬(fan)을 포함하는 조립체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순환 작동부(310)는 제1 유로(H1) 및 제2 유로(H2)를 통해, 내솥(180)의 조리 공간에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리 기기(100a)가 대류 건조 동작을 수행할 경우, 조리 기기(100a)는 솔레노이드 밸브(140)를 잠금 상태로 제어할 수 있고, 순환 작동부(31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순환 작동부(310)의 동작에 의해, 제1 유로(H1) 및 제2 유로(H2)에는 공기가 흐를 수 있고, 내솥(180)의 조리 공간에 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순환 작동부(310)가 제1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예를 들어, 순환 작동부(310)의 모터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외부 공기는 제1 유로(H1)를 통해 내솥(180)의 조리 공간으로 흡입될 수 있다. 또한, 내솥(180)의 조리 공간 내의 공기는 제2 유로(H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솥(180)의 조리 공간 내에 공기가 순환될 수 있고, 내솥(180)은 대류 현상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또한, 순환 작동부(310)가 상기 제1 상태와 상이한 제2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예를 들어, 순환 작동부(310)의 모터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내솥(180)의 조리 공간 내의 공기는 제1 유로(H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외부 공기는 제2 유로(H2)를 통해 내솥(180)의 조리 공간으로 흡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솥(180)의 조리 공간 내에 공기가 순환될 수 있고, 내솥(180)은 대류 현상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리 기기(100a)가 대류 건조 동작을 수행할 경우, 전술한 가열부(170)가 추가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기기(100a)의 대류 건조 동작 수행 시, 상부 히터(171), 측면 히터(172), 및 메인 히터(17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히터가 작동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리 기기(100a)의 대류 건조 동작 수행 시, 내솥(180)의 온도가 임계 온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90)는 가열부(170)를 작동시켜 내솥(180)을 가열시킬 수 있다. 또한, 내솥(180)의 온도가 임계 온도를 초과한 경우, 제어부(190)는 가열부(170)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조리 기기(100a)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솥(180)을 장착시킨 상태에서 조리 공간을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조리 기기(100a)는 대류 건조 동작 수행 시, 가열부(170)를 추가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서, 뜨거운 공기 및 증기를 내솥(180)의 조리 공간 내에 순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 기기(100a)의 내솥(180), 패킹, 및 내솥 커버 등이 살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조리 기기(100a)는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고, 냄새의 발생을 방지하여, 위생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00b)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의 조리 기기(100a) 및 도 4의 조리 기기(100b)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할 때, 조리 기기(100b)는 제1 유로(H1)와 인접한 외솥 뚜껑(106)의 일 영역에서 제1 순환 작동부(310a)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유로(H2)와 인접한 외솥 뚜껑(106)의 일 영역에서 제2 순환 작동부(3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순환 작동부(310a, 310b)는 모터와 같은 동력원 및 상기 동력원에 의해 동작되는 팬을 포함하는 조립체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및 제2 순환 작동부(310a, 310b)는 제1 유로(H1) 및 제2 유로(H2)를 통해, 내솥(180)의 조리 공간에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리 기기(100b)가 대류 건조 동작을 수행할 경우, 조리 기기(100b)는 솔레노이드 밸브(140)를 잠금 상태로 제어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순환 작동부(310a, 310b)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순환 작동부(310a, 310b)의 작동에 의해, 제1 유로(H1) 및 제2 유로(H2)에는 공기가 흐를 수 있고, 내솥(180)의 조리 공간에 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순환 작동부(310a, 310b)가 제1 상태로 작동하는 경우(예를 들어, 제1 순환 작동부(310a)의 모터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순환 작동부(310b)의 모터가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외부 공기는 제1 유로(H1)를 통해 내솥(180)의 조리 공간으로 흡입될 수 있고, 또한, 내솥(180)의 조리 공간 내의 공기는 제2 유로(H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솥(180)의 조리 공간 내에 공기가 순환될 수 있고, 내솥(180)은 대류 현상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순환 작동부(310a, 310b)가 상기 제1 상태와 상이한 제2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예를 들어, 제1 순환 작동부(310a)의 모터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순환 작동부(310b)의 모터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외부 공기는 제2 유로(H2)를 통해 내솥(180)의 조리 공간으로 흡입될 수 있고, 또한, 내솥(180)의 조리 공간 내의 공기는 제2 유로(H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솥(180)의 조리 공간 내에 공기가 순환될 수 있고, 내솥(180)은 대류 현상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조리 기기(100b)가 제1 및 제2 순환 작동부(310a, 310b)를 포함할 수 있어서, 조리 기기(100b)의 대류 건조 동작의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00c)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할 때, 외솥 뚜껑(106)에는 제1 유로(H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리 기기(100c)는 제1 유로(H1)와 인접한 외솥 뚜껑(106)의 일 영역에서 순환 작동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조리 기기(100c)는 대류 건조 동작 수행 시, 솔레노이드 밸브(140)를 유로로 활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류 건조 동작 수행 시, 조리 기기(100c)는 제1 유로(H1) 및 솔레노이드 밸브(140)를 통해 내솥(180)의 조리 공간에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리 기기(100c)가 대류 건조 동작을 수행할 경우, 조리 기기(100c)는 솔레노이드 밸브(140)를 열림 상태로 제어할 수 있고, 순환 작동부(3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순환 작동부(310)의 작동에 의해, 제1 유로(H1) 및 솔레노이드 밸브(140)의 유로에는 공기가 흐를 수 있고, 내솥(180)의 조리 공간에 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순환 작동부(310)가 제1 상태로 작동하는 경우(예를 들어, 순환 작동부(310)의 모터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외부 공기는 제1 유로(H1)를 통해 내솥(180)의 조리 공간으로 흡입될 수 있다. 또한, 내솥(180)의 조리 공간 내의 공기는 솔레노이드 밸브(140)의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솥(180)의 조리 공간 내에 공기가 순환될 수 있고, 내솥(180)은 대류 현상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또한, 순환 작동부(310)가 상기 제1 상태와 상이한 제2 상태로 작동하는 경우(예를 들어, 순환 작동부(310)의 모터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내솥(180)의 조리 공간 내의 공기는 제1 유로(H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외부 공기는 솔레노이드 밸브(140)의 유로를 통해 내솥(180)의 조리 공간으로 흡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솥(180)의 조리 공간 내에 공기가 순환될 수 있고, 내솥(180)은 대류 현상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00d)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할 때, 외솥 뚜껑(106)에는 제1 유로(H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리 기기(100d)는 솔레노이드 밸브(140)와 인접한 외솥 뚜껑(106)의 일 영역에서 제3 순환 작동부(310c)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순환 작동부(310c)는 모터와 같은 동력원 및 상기 동력원에 의해 동작되는 팬을 포함하는 조립체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3 순환 작동부(310c)는 솔레노이드 밸브(140)의 유로에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조리 기기(100d)는 대류 건조 동작 수행 시, 솔레노이드 밸브(140)를 유로로 활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리 기기(100d)는 대류 건조 동작 수행 시, 제1 유로(H1) 및 솔레노이드 밸브(140)를 통해 내솥(180)의 조리 공간에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순환 작동부(310c)가 제1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예를 들어, 제3 순환 작동부(310c)의 모터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외부 공기는 솔레노이드 밸브(140)의 유로를 통해 내솥(180)의 조리 공간으로 흡입될 수 있고, 또한, 내솥(180)의 조리 공간 내의 공기는 제1 유로(H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솥(180)의 조리 공간 내에 공기가 순환될 수 있고, 조리 기기(100d)는 대류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3 순환 작동부(310c)가 상기 제1 상태와 상이한 제2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예를 들어, 순환 작동부(310)의 모터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내솥(180)의 조리 공간 내의 공기는 솔레노이드 밸브(140)의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외부 공기는 제1 유로(H1)를 통해 내솥(180)의 조리 공간으로 흡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솥(180)의 조리 공간 내에 공기가 순환될 수 있고, 내솥(180)은 대류 현상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00e)의 단면도들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할 때, 본 개시의 조리 기기(100e)는 외솥 뚜껑(106)에서 순환 구조물(A)을 포함할 수 있다. 순환 구조물(A)은 흡입 유로(Ha), 배기 유로(Hb), 순환 밸브(701), 통합 유로(Hc), 및 순환 작동부(702)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유로(Ha), 배기 유로(Hb), 및 통합 유로(Hc)는 순환 밸브(701)와 연결될 수 있다. 흡입 유로(Ha), 배기 유로(Hb), 및 통합 유로(Hc)는 공기가 외솥 뚜껑(106)을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순환 밸브(701)는 흡입 유로(Ha) 및 배기 유로(Hb) 중 어느 하나의 유로를 개방하고, 남은 하나의 유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밸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순환 밸브(701)는 흡입 유로(Ha)를 개방하고, 배기 유로(Hb)를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순환 밸브(701)는 흡입 유로(Ha)를 차단하고, 배기 유로(Hb)를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순환 작동부(702)는 통합 유로(Hc)에 설치될 수 있다. 순환 작동부(702)는 모터와 같은 동력원 및 상기 동력원에 의해 동작되는 팬을 포함하는 조립체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조리 기기(100e)는 대류 건조 동작 수행 시, 솔레노이드 밸브(140)를 유로로 활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리 기기(100e)는 대류 건조 동작 수행 시, 순환 구조물(A) 및 솔레노이드 밸브(140)를 통해 내솥(180)의 조리 공간에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할 때, 조리 기기(100e)는 제1 대류 건조 상태로 작동될 수 있다. 조리 기기(100e)가 제1 대류 건조 상태일 때, 순환 밸브(701)는 흡입 유로(Ha)를 개방하고, 배기 유로(Hb)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순환 작동부(702)는 흡기 상태(예를 들어, 순환 작동부(702)의 모터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로 작동할 수 있다.
조리 기기(100e)의 제1 대류 건조 상태에서, 외부 공기는 흡입 유로(Ha) 및 통합 유로(Hc)를 통해 내솥(180)의 조리 공간으로 흡입될 수 있다. 또한, 내솥(180)의 조리 공간을 순환한 공기는 솔레노이드 밸브(140)의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할 때, 조리 기기(100e)는 제2 대류 건조 상태로 작동될 수도 잇다. 조리 기기(100e)가 제2 대류 건조 상태일 때, 순환 밸브(701)는 흡입 유로(Ha)를 차단하고, 배기 유로(Hb)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순환 작동부(702)는 배기 상태(예를 들어, 순환 작동부(702)의 모터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로 작동할 수 있다.
조리 기기(100e)의 제2 대류 건조 상태에서, 내솥(180)의 조리 공간 내의 공기는 배기 유로(Hb) 및 통합 유로(Hc)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외부 공기는 솔레노이드 밸브(140)의 유로를 통해 내솥(180)의 조리 공간으로 흡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솥(180)의 조리 공간에서 공기는 순환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조리 기기(100a 내지 100e)의 대류 건조 모드의 제1 동작 방법(S1000a)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를 참조할 때, 조리 기기의 대류 건조 모드의 동작 방법(S1000a)은 대류 건조 모드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100), 내솥에 내용물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S200), 대류 건조 모드 입력 수신 후 임계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S300), 대류 건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S400), 종료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S5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S100에서, 제어부(190)는 대류 건조 모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대류 건조 모드의 입력은, 입력부(120)를 통해 수신될 수 있고, 내솥(180)의 대류 건조를 수행하기 위한 입력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표시부(130)를 조작하여, 대류 건조 입력 버튼을 누름으로써, 대류 건조 모드 입력을 제어부(190)에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조작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해서, 내솥(180)의 부착을 검출함에 응답하여, 대류 건조 입력 버튼을 표시부(1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동작 S200에서, 제어부(190)는 내솥(180)에 내용물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내솥(180)의 내부에 취반이 완료된 밥이 있거나, 취사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음식 재료가 담긴 상태에서 대류 건조 모드가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90)는 동작 S100에서 대류 건조 모드의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내용물 감지 센서(115)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용물 감지 센서(115)가 무게 센서를 포함한 경우, 내솥(180)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내솥(180)의 내부에 내용물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동작 S250에서, 제어부(190)는 건조 불가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작 S200에서 내솥(180)에 내용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90)는 내솥(180) 내부에 내용물이 존재하므로 대류 건조 모드를 수행할 수 없음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90)는 대류 건조 동작(S400)을 바이패스(bypass)하고, 건조 불가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표시부(130)를 통해 “내솥에 내용물이 있습니다”, “건조 모드를 수행할 수 없습니다”, “내솥을 확인해주세요” 와 같은 시각적 알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시각적 알림을 TTS(text to speech) 변환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동작 S300에서, 제어부(190)는 대류 건조 모드 입력 수신 후, 임계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대류 건조 모드 입력 수신 후, 임계 시간이 경과하지 않으면, 대류 건조 동작을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대류 건조 모드 입력을 수신한 후, 임계 시간이 경과하면 대류 건조 모드의 종료의 알림을 출력(S500)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부(190)는 대류 건조 모드의 입력을 수신한 이후, 임계 시간이 경과하였더라도 대류 건조 동작을 지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대류 건조 모드의 입력을 수신하고 임계 시간이 경과하였음에도 내솥(180)이 충분히 건조되지 못한 경우, 대류 건조 동작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동작 S400에서, 제어부(190)는 대류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동작 S300에서 전술한 임계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90)는 대류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대류 건조 동작은, 대류 건조 모드의 입력을 수신(S100)한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 내솥(180)의 건조를 위해 솔레노이드 밸브(140) 및/또는 순환 작동부(310, 702)를 제어하는 동작을 지칭할 수 있다.
동작 S400에 대한 기술적 사상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작 S400은 솔레노이드 밸브(140)를 잠금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제1 유로(H1) 및 제2 유로(H2)를 통해 공기를 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작 S400은 솔레노이드 밸브(140)를 열림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제1 유로(H1) 및 솔레노이드 밸브(140)를 통해 내솥(180) 내에 공기를 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S500에서, 제어부(190)는 대류 건조 모드의 종료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내솥(180)의 건조가 종료되었다고 판단하고, 건조의 종료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스피커(미도시) 및/또는 표시부(130)를 통해 건조 모드 종료를 지시하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표시부(130)를 통해 “내솥의 건조가 종료되었습니다”, “건조 모드가 종료되었습니다” 와 같은 시각적 알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상기 시각적 알림을 TTS 변환한 음성을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청각적 알림을 출력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90)는 건조의 종료를 지시하는 알림 이외에도,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알림을 더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내솥(180)이 가열된 상태이므로 매우 뜨겁거나, 화상의 위험성이 있다는 알림을 추가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조리 기기(100a 내지 100e)의 대류 건조 모드의 제2 동작 방법(S1000b)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에서는, 제1 동작 방법(S1000a) 및 제2 동작 방법(S1000b)의 차이점들을 위주로 설명한다.
동작 S450에서, 제어부(190)는 내솥(18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 모듈(110)의 상부 온도 센서(112)는 내솥(180)의 상부에 대한 온도를 측정하고, 획득한 온도 데이터를 제어부(19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온도 센서(113)는 내솥(180)의 하부에 대한 온도를 측정하고, 획득한 온도 데이터를 제어부(19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상부 온도 센서(112) 및 하부 온도 센서(113)로부터 각각 획득한 온도 데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내솥(180)의 온도를 계산할 수 있다.
동작 S451에서, 제어부(190)는 내솥(180)의 계산된 온도가 임계 온도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임계 온도는 대류 건조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내솥(180)이 가장 높은 온도로 가열될 수 있는 온도일 수 있다. 상기 임계 온도는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값일 수도 있다.
동작 S452에서, 내솥(180)의 온도가 임계 온도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90)는 가열부(170)를 온(ON)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내솥(180)의 상부를 가열시키기 위한 상부 히터(171), 내솥(180)의 측부를 가열시키기 위한 측면 히터(172), 및 내솥(180)의 하부를 가열시키기 위한 메인 히터(17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온시킬 수 있다.
동작 S453에서, 내솥(180)의 온도가 임계 온도를 초과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190)는 가열부(170)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상부 히터(171), 측면 히터(172), 및 메인 히터(173) 중 작동된 히터들을 오프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조리 기기의 제1 및 제2 동작 방법들(S1000a, S1000b)은 내솥(18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내솥(180)을 건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내솥(180)을 건조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개시의 조리 기기의 제1 및 제2 동작 방법들(S1000a, S1000b)은 내솥을 가열시키면서 상기 내솥의 조리 공간에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어서, 내솥(180), 패킹, 및 내솥 커버 등에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고 냄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조리 기기의 제1 및 제2 동작 방법들(S1000a, S1000b)은 본 개시의 조리 기기의 위생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대류 건조 모드를 지시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내솥에 내용물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내솥에 내용물이 없는 경우, 상기 대류 건조 모드의 지시 입력을 수신한 시점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임계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흡입 유로, 배기 유로, 상기 흡입 유로 및 상기 배기 유로 중 어느 하나의 유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순환 밸브, 및 상기 흡입 유로 및 상기 배기 유로 중 어느 하나의 유로를 통해 상기 내솥에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된 순환 작동부를 포함하는 순환 구조물 및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여 대류 건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대류 건조 모드의 종료의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대류 건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흡입 유로가 개방되고 상기 배기 유로가 차단되도록 상기 순환 밸브가 제1 상태로 동작하고, 상기 흡입 유로를 통해 공기가 상기 내솥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상기 내솥 내부의 공기가 외부에 배출되도록 상기 순환 작동부가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배기 유로가 개방되고 상기 흡입 유로가 차단되도록 상기 순환 밸브가 제2 상태로 동작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공기가 상기 내솥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배기 유로를 통해 상기 내솥 내부의 공기가 외부에 배출되도록 상기 순환 작동부가 동작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내솥의 온도가 임계 온도를 초과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내솥의 온도가 상기 임계 온도를 초과하였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대류 건조 동작 수행 시, 상기 내솥을 가열시키도록 구성된 가열부를 온/오프(ON/OFF)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외솥;
    상기 외솥에 수용되고, 조리 공간을 가지는 내솥;
    상기 조리 공간을 개폐하도록 구성된 외솥 뚜껑;
    상기 외솥 뚜껑에 장착된 순환 구조물로서, 흡입 유로; 상기 흡입 유로와 구별된 배기 유로; 상기 흡입 유로 및 상기 배기 유로를 연결시키고 일 측이 상기 내솥의 내부와 연결된 통합 유로; 상기 흡입 유로 및 상기 배기 유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 유로 및 상기 배기 유로 중 어느 하나의 유로를 개방하고 다른 하나의 유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순환 밸브; 및 상기 흡입 유로 및 상기 배기 유로 중 어느 하나의 유로에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된 순환 작동부;를 포함하는 상기 순환 구조물;
    상기 외솥 뚜껑에 탑재된 솔레노이드 밸브;
    대류 건조 모드를 지시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내솥에 내용물이 있는지 판단하도록 구성된 내용물 감지 센서; 및
    상기 조리 공간에 내용물이 없는 경우, 대류 건조 동작의 수행을 위해 상기 순환 구조물 및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
    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온도 센서; 및
    상기 내솥을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류 건조 동작의 수행 시, 상기 내솥의 온도가 임계 온도를 초과하였는지 판단하고, 초과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8. 삭제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대류 건조 모드의 지시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열림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상기 내솥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배기 유로를 통해 상기 내솥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내솥의 조리 공간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상기 순환 구조물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대류 건조 동작의 진행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류 건조 모드의 지시 입력을 수신한 시점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대류 건조 모드의 종료의 지시를 상기 표시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대류 건조 동작의 진행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용물 감지 센서가 상기 조리 공간에 내용물이 있는 것으로 감지한 경우, 상기 대류 건조 모드의 수행이 불가함의 지시를 상기 표시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KR1020190130178A 2019-10-18 2019-10-18 조리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61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178A KR102261565B1 (ko) 2019-10-18 2019-10-18 조리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178A KR102261565B1 (ko) 2019-10-18 2019-10-18 조리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458A KR20210046458A (ko) 2021-04-28
KR102261565B1 true KR102261565B1 (ko) 2021-06-07

Family

ID=75720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178A KR102261565B1 (ko) 2019-10-18 2019-10-18 조리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5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1643A (ja) 2004-09-15 2006-03-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JP2007044306A (ja) * 2005-08-10 2007-02-22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およびその鍋状容器の乾燥方法
JP2014183975A (ja) * 2013-03-22 2014-10-02 Mitsubishi Electric Corp 炊飯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5688A (ko) * 1997-03-31 1998-11-16 배순훈 전기보온밥솥의 취사과정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1643A (ja) 2004-09-15 2006-03-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JP2007044306A (ja) * 2005-08-10 2007-02-22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およびその鍋状容器の乾燥方法
JP2014183975A (ja) * 2013-03-22 2014-10-02 Mitsubishi Electric Corp 炊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458A (ko) 202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00867T3 (es) Aparato y método para controlar un elemento de calentamiento triple de un aparato de cocinado
US11353217B2 (en) Electric oven with a closed-door broiling operation
CA2394947A1 (en) Dishwasher variable dry cycle method and apparatus
JP4901934B2 (ja) 炊飯器
JP5106568B2 (ja) 炊飯器
CN104026995B (zh) 具有气候受控温度限制器的烤箱
JP6366483B2 (ja) 炊飯器
DE60331393D1 (de) Toaster / Mikrowellenofen und Betriebsverfahren dafür
US20160209050A1 (en) Oven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n oven appliance
KR102261565B1 (ko) 조리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08119481A1 (en) Cooking ove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275837B1 (ko)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JP6091356B2 (ja) 炊飯器
JP5929531B2 (ja) 調理器
US9482435B2 (en) Method for light emitting device protection and performance in an appliance
JP2014228197A (ja) 加熱調理器
KR100765338B1 (ko) 전기압력밥솥의 보온 온도 제어장치 및 방법
JP2011217874A (ja) 電気炊飯器
KR102286963B1 (ko)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201072B1 (ko)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EP3483508A1 (en) Oven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170071966A (ko) 전기 가열 조리기의 보온 제어 장치
KR100531758B1 (ko) 유도가열조리기의 자기세척방법
JP7421992B2 (ja) 台所換気システム
US20230266017A1 (en) Cooking appliance having a cooling fan delay for an integrated gas bur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