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1758B1 - 유도가열조리기의 자기세척방법 - Google Patents

유도가열조리기의 자기세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1758B1
KR100531758B1 KR10-2004-0009980A KR20040009980A KR100531758B1 KR 100531758 B1 KR100531758 B1 KR 100531758B1 KR 20040009980 A KR20040009980 A KR 20040009980A KR 100531758 B1 KR100531758 B1 KR 100531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solenoid valve
cleaning
heating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9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1636A (ko
Inventor
김성돈
조선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Priority to KR10-2004-0009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1758B1/ko
Publication of KR20050081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1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1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17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22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soaking alo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58For cooking
    • H05B1/0261For cooking of foo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A47J27/21158Devices to detect overheating or boiling with a single control element or uni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62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9/00Foods and beverages: apparatus
    • Y10S99/14Induction heating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가열조리기의 자기세척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도가열조리기의 취사시 증기를 배출하는 솔레노이드밸브 내부를 자기세척하는 유도가열조리기의 자기세척방법에 관한 것입니다. 본 발명의 자기세척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세척횟수를 세팅하고, 세팅횟수만큼 반복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자기세척기능을 수행하면, 가열동작을 수행하고 내솥의 온도가 소정의 비등온도에 도달하면 솔레노이드밸브를 열어 내부 솥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본 발명은 뜸 공정을 거치지 않은 높은 증기를 배출함으로서, 솔레노이드밸브 내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도가열조리기의 자기세척방법{A self-cleaning of cooker}
본 발명은 유도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도가열조리기의 취사동작시 증기를 배출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자기세척하는 유도가열조리기의 자기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도가열조리기는 워킹코일에서 발생하는 자력선이 솥을 통과할 때 와전류가 흘러 솥 자체가 가열되는 방식에 의해서 취사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상기 유도가열조리기의 기본적인 가열원리를 살펴보면, 워킹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자성체인 오븐은 유도(indution) 가열에 의하여 열이 가해지면서, 오븐 내부에서는 취사가 이루어진다.
또한 유도가열조리기는 찰진밥을 선호하는 우리나라의 국민 특성에 맞춰주기 위해서 오븐 내 높은 압력을 유지해서 취가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 조리를 수행하는 유도가열조리기는, 빠른 요리시간과, 다양한 맛을 제공하고, 그리고 전력효율이 높은 점 등 때문에 많은 호을을 얻고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유도가열조리기의 가열제어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도가열조리기의 가열제어를 위한 제어구성도이다.
유도가열조리기는 조리기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한 요리메뉴신호를 입력하는 신호입력부(10)와, 상기 신호입력부(10)에서 선택된 요리메뉴를 인식하고, 기설정된 조리방법에 따라서 요리가 진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30)는, 밥을 짓는 취사공정에서 증기배출공정시에 증기 배출주기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유도가열조리기는, 조리기의 뚜껑이 닫혔을 때, 오븐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여, 증기배출공정시에 오븐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토기공이 형성된다. 상기 통기공은, 솔레노이드밸브(80)의 구동에 의해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80)는, 제어부(30)의 제어하에 솔레노이드밸브 구동부(40)에서 구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80)는 크게 제어/배출 일체형과 제어/배출 분리형으로 구분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유도가열조리기는, 상기 신호입력부(10)와 같이 조리기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현재 요리 진행상태 등을 표시해주는 표시부(50)를 포함하며, 요리 동작시에 필요한 시간 체크 동작을 위해서 타이머(7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유도가열조리기는, 상기 제어부(30)의 제어하에 워킹코일을 구동해서, 취사공정시에 필요한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원 구동부(60)를 포함하고, 요리 동작시에 오븐 내 온도 등을 검출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20)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유도가열조리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되어진다.
사용자가 오븐 내부에 취사를 위한 쌀과 물을 넣고, 조리의 뚜껑을 닫은 후, 압력을 체결하면 조리를 위한 준비동작은 완료된다. 그 다음에 사용자는 신호입력부를 통해서 요리메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요리메뉴는 제어부(30)에서 인식되어진다.
다음 제어부(30)는 선택된 요리메뉴에 따라 기설정되고 있는 취사공정 알고리즘을 자체 내 메모리에서 읽어오고, 읽어온 취사알고리즘에 따라서 취사공정이 진행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때, 수행되는 취사공정은 깨끗이 씻은 쌀을 일차적으로 불리는 불림공정과, 불려진 쌀을 1차 가열하는 1차 가열공정, 2차 가열공정, 비등공정, 뜸공정, 그리고 증기배출공정으로 이어지며, 상기 증기배출공정이 완료되면, 보온공정으로 진행되면서 밥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각 공정의 동작시간, 동작온도 등이 제어부(30)에 의해서 제어되면서, 상기 가열원 구동부(60)는, 워킹코일을 구동시켜서 취사공정에 필요한 열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표시부(50)는 현재 진행되는 요리의 상태를 표시하고, 온도감지센서(20)는 오븐 내 온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30)의 취사공정 제어를 위한 기초신호로 이용되도록 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도가열조리기의 취사과정을 나타내는 동작제어흐름도이다.
우선, 취사동작신호를 입력하면(제 100 단계), 전원이 켜짐과 동시에 솔레노이드밸브의 전원이 인가된다(제 110 단계). 그리고 솥 내부의 쌀 분량을 감지하여, 인분수를 판정하게 된다(제 120 단계).
그리고 제 120 단계의 해당 인분수만큼 가열동작을 진행시킨 후(제 130 단계), 비등가열시점에 도달되면(제 140 단계), 뜸동작을 수행한다(제 150 단계).
일정시간 뜸동작을 수행한 후, 밥 솥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 제어부(30)는 솔레노이드밸브구동부(40)를 제어하여, 솔레노이드밸브(80)가 열리도록 제어한다(제 160 단계).
상기 제 160 단계에 의해서 솥 내부와 외부로 연결되는 통기공이 열리면서 오븐 내부의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이때, 상기 제 160 단계에서 솔레노이드밸브(80) 열림동작으로, 솥 내부에 있던 밥물, 쌀겨 등 이물질 등이 솔레노이드밸브(80)를 통해서 일정량 토출된다.
그리고 소정시간이 경과되면, 솔레노이드밸브 구동부(40)를 제어하여, 솔레노이드밸브(80)가 닫히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에 의해 오븐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기공이 차단되면서 증기배출이 중지된다. 그 결과 솔레노이드밸브(80)의 열림동작으로 인해서 외부로 배출되던 이물질의 일부가 내부에 남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솥 내부의 압력이 일정치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반복해서 이루어지고, 솥 내부의 증기가 일정치 이차로 떨어지면 취사공정을 종료하면서 보온공정으로 진행된다.
이와 같은 기존의 유도가열조리기는, 솔레노이드밸브(80)가 동작하여 외부로 증기가 배출될 때, 증기압력은 0~0.5기압정도이다. 유도가열조리기(밥솥)의 경우, 취사시 증기가 밸브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밥물, 쌀겨 같은 이물질들이 밸브 내에 조금씩 쌓이게 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밸브(80)의 내부에 이물질이 쌓인 상태로 계속 반복적으로 장시간 경과되면, 이물질이 퇴적되어 결국 솔레노이드밸브를 막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유도가열조리기를 반복적으로 오랜시간 동안 사용하면, 솔레노이드밸브 내부에 이물질이 쌓이게 되어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서 효과적으로 증기가 배출되지 않을 뿐 아니라 위생상으로도 좋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솔레노이드밸브 내부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유도가열조리기의 자기세척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조리기의 자기세척방법은, 밥솥 내부에 물을 넣은 후, 자기세척기능을 선택하는 자기세척선택단계와; 상기 자기세척선택단계에 따라, 유도가열조리기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단계와; 상기 가열단계가 소정시간 경과하여, 일정온도에 도달하면 가열을 정지시키는 가열정지단계와; 가열정지단계와 함께 솔레노이드 밸브를 해제하여, 솔네노이드밸브를 통해서 밥솥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는 밸브세척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조리기의 자기세척방법은, 상기 자기세척선택단계에서 선택된 횟수에 따라, 상기 증기배출단계를 카운트하는 증기배출횟수 카운트단계와; 증기배출횟수가 자기세척선택단계의 선택횟수에 도달하면, 자기세척과정을 종료하는 제어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조리기의 자기세척방법에서, 상기 가열정지단계의 일정온도는, 비등목표온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조리기의 자기세척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유도가열조리기는 취사, 보온, 잡곡, 현미 등등의 복합취사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본 발명은 여기에 자기세척(self-cleaning)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유도가열조리기 내부에 넣는 동작매질은 쌀 및 기타 음식물이 아니라 단순히 물만 넣어 세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어구성은 도 1의 제어구성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조리기의 증기배출을 위한 동작제어흐름도의 제 1 실시예이다.
우선 사용자는 유도가열조리기에 나열된 기능 중에서 자기세척기능을 선택한다(제 200 단계).
상기 제 200 단계에서 선택된 자기세척기능에 대한 신호가 제어부(30)에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30)는 솥이 가열되도록 가열원구동부(60)를 동작시킨다. 상기 가열원구동부(60)의 구동으로 인해서, 가열이 시작되고 동시에 솔레노이드밸브(80)에 전원이 인가되어, 솔레노이드밸브(80)는 닫힘상태를 유지한다(제 210 단계).
그리고 가열상태를 지속시켜 비등가열을 진행하고(제 220 단계), 제어부(30)는 온도감지센서(20)를 통해서 감지된 솥 내부의 가열온도가 비등목표온도에 도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제 230 단계).
제 230 단계에서 온도감지센서(20)를 통해서 감지된 솥 내부의 온도가 비등목표온도에 도달되면, 솔레노이드밸브(80)를 열어 증기를 배출한다(제 240 단계). 이때, 본 발명에서 배출되는 증기압은 약 0.5~2 기압으로, 종래 기술의 솥에서 배출되는 증기압 0~0.5 기압에 비해서 매우 높다.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80)가 열려, 솥 내부의 증기가 배출되는 경우 높은 압력으로 배출되어 솔레노이드밸브(80)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이 솔레노이드밸브(80)가 열려 증기를 배출한 후, 자기세척기능이 종료된다.
이상은 자기세척기능을 1회로 한정하여 동작제어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자기세척기능을 수행하는 횟수를 다수회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조리기의 증기배출을 위한 동작제어흐름도의 제 2 실시예이다.
자기세척기능을 다수회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해서는, 우선 신호입력부(10)를 통해서 자기세척기능 및 수행 횟수(n)를 입력한다(제 300 단계).
이후 제 300 단계에서 입력된 자기세척기능의 수행 횟수(n)만큼 자기세척기능이 반복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밥솥에 물을 넣고, 신호입력부(10)를 통해서 자기세척기능을 3회 선택한 경우, 즉시 밥솥 내부의 가열이 시작된다. 가열이 시작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밸브밸브(80)에 전원이 인가되어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제 310 단계).
솥 내부를 가열하는 비등가열 동작이 일정시간 동안 수행된 후(제 300 단계), 온도감지센서(20)를 통해서 비등목표온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게 된다(제 330 단계).
상기 제 330 단계에서 상기 온도감지센서(20)를 통해서 검출된 솥 내부의 온도가 비등목표온도에 도달되었다고 판단하면, 제어부(30)는 즉시 솔레노이드밸브(80)가 열리도록 제어한다(제 340 단계).
상기 솔레노이드밸브(80)의 열림동작으로 인해서, 솥 내부의 가열에 의해서 발생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솥 내부의 증기압은, 약 0.5~2기압 정도로 매우 높다. 따라서 솔레노이드밸브(80) 내부에 쌓여있는 이물질 등을 외부로 배출하는데 있어서, 충분한 힘을 가진다.
이와 같이 제 340 단계에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80)의 열림동작이 1회 진행되면, 해당 솔레노이드밸브(80)의 열림에 따른 증기 배출 횟수가 카운트된다(제 350 단계). 그리고 현재 증기배출 횟수가 사용자가 제 300 단계에서 세팅한 횟수에 도달하지 않았으로, 제 370 단계로 진행한다.
즉, 소정시간동안 솔레노이드밸브(80)가 열림동작을 수행한 후(제 370 단계), 다시 솔레노이드밸브(80)를 닫힘상태로 전환하여 제 300 단계에서 제 340 단계를 2회 더 반복수행한다.
한편, 자기세척기능을 반복수행한 결과 제 350 단계에서 솔레노이드밸브(80)의 열림동작에 따른 증기 배출횟수가 사용자가 지정한 횟수(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3회)에 도달하면, 제어부(30)는 더 이상 유도가열조리기의 내솥이 가열되지 않도록 즉시 중지시키고, 자기세척기능을 종료한다(제 360 단계).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합취사기능 외에 자기세척기능을 추가하여, 유도가열조리기 내부의 솥에 물을 넣은 후 자기세척기능을 선택하고 나서 가열을 진행하고, 일정시간 동안 가열이 진행되어 내솥의 온도가 비등목표온도에 도달하면 솔레노이드밸브를 열림동작시킴으로서, 뜸 공정을 수행하지 않은 고온 고압의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솔레노이드밸브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세척기능을 수행하는 횟수를 임의로 세팅하여 반복적으로 수행시킬 수 있어서, 보다 확실하게 솔레노이드밸브 내부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도가열조리기 내부 솥에 물을 넣은 후 뜸 공정을 거치지 않고 가열함으로서, 상대적으로 쌀 및 음식물을 넣어 뜸 공정을 마친 종래의 상태보다 내부 솥 온도와 압력이 상승되므로,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증기압력이 상대적으로 커서 솔레노이드 밸브의 일부에 남아있던 이물질을 완전히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조리기의 자기세척방법으로 인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뜸공정을 거치지 않는 자기세척기능을 선택하여, 유도가열조리기의 내부 솥에 물만 넣은 후 가열된 증비가 배출되기 때문에, 종래에 쌀 및 음식물과 함께 복합취사되어 배출되던 증기압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은 증기압을 갖게 된다. 증기내압이 0.5~2기압정도로 높아서, 솔레노이드 밸브 내부의 이물질을 확실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유도가열조리기의 내부 솥에 물만 넣은 후 가열된 증기만으로 세척과정을 거침으로서, 세척은 물론 소독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도가열조리기의 증기배출을 위한 제어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도가열조리기의 증기배출을 위한 동작제어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조리기의 증기배출을 위한 동작제어흐름도의 제 1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조리기의 증기배출을 위한 동작제어흐름도의 제 2 실시예.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신호입력부 20 : 온도감지센서
30 : 제어부 40 : 솔레노이드밸브구동부
50 : 표시부 60 : 가열원구동부
70 : 타이머 80 : 솔레노이드밸브

Claims (3)

  1. 밥솥 내부에 물을 넣은 후, 자기세척기능 및 횟수를 선택하는 자기세척선택단계와;
    상기 자기세척선택단계에 따라, 유도가열조리기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단계와;
    상기 가열단계가 소정시간 경과하여, 일정온도에 도달하면 가열을 정지시키는 가열정지단계와;
    가열정지단계와 함께 솔레노이드 밸브를 해제하여,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서 밥솥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배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도가열조리기의 자기세척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세척선택단계에서 선택된 횟수에 따라, 상기 증기배출단계를 카운트하는 증기배출횟수 카운트단계와;
    증기배출횟수가 자기세척선택단계의 선택횟수에 도달하면, 자기세척과정을 종료하는 제어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도가열조리기의 자기세척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정지단계의 일정온도는, 비등목표온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의 자기세척방법.
KR10-2004-0009980A 2004-02-16 2004-02-16 유도가열조리기의 자기세척방법 KR100531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980A KR100531758B1 (ko) 2004-02-16 2004-02-16 유도가열조리기의 자기세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980A KR100531758B1 (ko) 2004-02-16 2004-02-16 유도가열조리기의 자기세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636A KR20050081636A (ko) 2005-08-19
KR100531758B1 true KR100531758B1 (ko) 2005-11-28

Family

ID=37268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980A KR100531758B1 (ko) 2004-02-16 2004-02-16 유도가열조리기의 자기세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17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4780A (ko) 2015-12-02 2017-06-12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 가열 조리기의 자기 세척 방법
KR20180053937A (ko) * 2016-11-14 2018-05-24 (주)쿠첸 자동 세척 시기 알림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 및 전기 밥솥의 자동 세척 시기 알림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167Y1 (ko) * 2007-10-15 2009-07-03 쿠쿠전자주식회사 자동세척 기능을 구비한 전기압력 조리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4780A (ko) 2015-12-02 2017-06-12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 가열 조리기의 자기 세척 방법
KR102355704B1 (ko) * 2015-12-02 2022-01-27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전기 가열 조리기의 자기 세척 방법
KR20180053937A (ko) * 2016-11-14 2018-05-24 (주)쿠첸 자동 세척 시기 알림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 및 전기 밥솥의 자동 세척 시기 알림 방법
KR101867325B1 (ko) * 2016-11-14 2018-06-15 (주)쿠첸 자동 세척 시기 알림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 및 전기 밥솥의 자동 세척 시기 알림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636A (ko) 200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75826B (zh) 多功能烹饪设备
KR20000009543A (ko) 전기압력보온밥솥과 그의 요리 제어 방법
JP2008178719A (ja) 炊飯器
KR20060115329A (ko) 증기 조리 방법
KR100531770B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현미발아 취반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3065541A (ja) 炊飯機能を有する電子レンジ
JP2016036606A (ja) 調理器
JP4976937B2 (ja) 加熱調理器
US6875968B2 (en) Method of controlling microwave oven
KR100531758B1 (ko) 유도가열조리기의 자기세척방법
JP4203995B2 (ja) 炊飯器
KR20080087352A (ko) 자기세척메뉴를 구비한 전기압력밥솥 및 그의 자기 세척제어 방법
US6878912B2 (en) Method of controlling microwave oven
JP2018126410A (ja) 炊飯器
KR100531759B1 (ko) 유도가열조리기의 자기세척방법
JP3536495B2 (ja) 炊飯器
JP3976029B2 (ja) 電気炊飯器
JP3298091B2 (ja) 炊飯器
JP2005296366A (ja) 電気炊飯器
KR102355704B1 (ko) 전기 가열 조리기의 자기 세척 방법
CN100434027C (zh) 用于控制高压保温电饭煲的米饭蒸煮处理的方法
JPH11253308A (ja) 炊飯器
KR102389578B1 (ko) 전기 압력밥솥
JP2845110B2 (ja) 高周波加熱装置
KR20030033393A (ko) 유도가열조리기의 증기배출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