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395B1 - 차량용 글로브박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글로브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395B1
KR102261395B1 KR1020190136153A KR20190136153A KR102261395B1 KR 102261395 B1 KR102261395 B1 KR 102261395B1 KR 1020190136153 A KR1020190136153 A KR 1020190136153A KR 20190136153 A KR20190136153 A KR 20190136153A KR 102261395 B1 KR102261395 B1 KR 102261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box
vehicle
glove box
fol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1196A (ko
Inventor
김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90136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395B1/ko
Publication of KR20210051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collapsible, e.g. for storing aft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글로브박스에 관한 것으로, 양측벽에서 돌출되어 차량의 수용부에 체결되는 스토퍼가 마련되고 상측과 후측으로 개구되는 수납함, 수납함의 후측벽을 형성하도록 수납함의 하측벽의 후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수납함의 하측벽의 후단과의 사이에 형성된 리빙힌지를 회전축으로 하여 폴딩되는 접이판을 포함하여 글로브박스의 변형 없이 차량으로부터 쉽게 탈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글로브박스{GLOVE BOX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글로브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글로브박스의 변형 없이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는 차량용 글로브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글로브 박스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컨 필터 교체 등을 위해 글로브 박스의 탈거가 필요한 경우 용이하게 글로브 박스의 탈거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글로브 박스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차량의 글로브 박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차량에서 글로브 박스(2)는 통상적으로 조수석의 전면 크레쉬 패드(1)에 설치되어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글로브 박스(2)는, 글로브 박스(2)를 열었을 때 물건이 쏟아지지 않을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양측에 글로브 박스 스토퍼를 구비하고 있다.
글로브 박스 스토퍼는 글로브 박스(2)의 측면으로 형성된 개구에 삽입 고정되어 있으며, 글로스 박스를 열 때 외측으로 돌출된 글로브 박스 스토퍼가 크러쉬 패드(1)에 접촉가능한 괘적에서 이동하는 바, 글로브 박스(2)를 어느 정도 열었을 때 이 글로브 박스 스토퍼가 크레쉬 패드(1) 내벽에 접촉하여 글로브 박스(2)가 정지되도록 한다.
일반적인 차량에서, 에어컨 필터는 글로브 박스(2) 후면으로 설치되어 있는 바, 에어컨 필터 교체를 위해서는 글로브 박스(2)의 탈거가 필요하다.
그리고 글로브 박스(2)의 탈거를 위해서는 글로브 박스(2)를 크레쉬 패드(1)에 대해 지지하는 부분 즉, 글로브 박스 스토퍼의 탈거가 필요한 데, 일반적으로 글로브 박스의 양측을 내측으로 눌러 스토퍼를 크레쉬 패드(1)로부터 이탈시켜 글로브 박스(2)를 탈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글로브 박스의 양측면에 외력을 가하여 내측으로 변형시킨 후 크레쉬 패드로부터 스토퍼를 이탈시키며 글로브 박스를 탈거하는 방식은, 글로브 박스의 양측면이 내측으로 변형되거나 글로브 박스의 다른 부속부분과 스토퍼가 변형될 수 있고, 심한 경우 글로브 박스의 탈거시 글로브 박스의 양측면, 다른 부속부분, 스토퍼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글로브박스의 양측면에 외력을 가하여도 글로브 박스의 양측면, 다른 부속부분, 스토퍼가 파손되지 않는 차량용 글로브박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글로브박스의 강성을 확보하여 차량의 수용부에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되며 탑승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차량용 글로브박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글로브박스에서 물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변부품과의 충돌을 방지하고, 물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글로브박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수납함의 분리형 후측벽, 리빙힌지, 스냅탭 등을 적용하여 에어컨 필터의 교체작업을 반복함에 따른 글로브박스의 잦은 탈거에도 강성을 유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글로브박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글로브박스는 양측벽에서 돌출되어 차량의 수용부에 체결되는 스토퍼가 마련되고 상측과 후측으로 개구되는 수납함, 수납함의 후측벽을 형성하도록 수납함의 하측벽의 후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수납함의 하측벽의 후단과의 사이에 형성된 리빙힌지를 회전축으로 하여 폴딩되는 접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접이판은 수납함의 양측벽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끝단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수납함은 양측벽의 지지부가 지지하는 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지지부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는 스냅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함의 양측벽을 외측에서 가압하면, 스냅탭이 삽입홀에서 이탈되면서 접이판이 리빙힌지를 회전축으로 하여 펼쳐지고, 스토퍼가 차량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또한, 접이판은 끝단에서 연장 형성되되 수납함의 상측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수납함은 양측벽에서 후측 단부와 상측 단부의 테두리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이판은 체결부측으로 돌출되며 체결부에 형성된 체결홀에 삽입되어 걸림 체결되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글로브박스의 양측면에 외력을 가하여도 글로브 박스의 양측면, 다른 부속부분, 스토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글로브박스의 강성을 확보하여 차량의 수용부에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되며 탑승자에게 안정감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글로브박스에서 물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변부품과의 충돌을 방지하고, 물품의 분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수납함의 분리형 후측벽, 리빙힌지, 스냅탭 등을 적용하여 에어컨 필터의 교체작업을 반복함에 따른 글로브박스의 잦은 탈거에도 강성을 유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차량의 글로브 박스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글로브박스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글로브박스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글로브박스의 접이판이 펼쳐진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글로브박스의 접이판이 폴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글로브박스를 차량으로부터 탈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글로브박스의 접이판이 폴딩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글로브박스의 체결홀에 걸림턱이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글로브박스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글로브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글로브박스의 접이판이 펼쳐진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글로브박스의 접이판이 폴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글로브박스를 차량으로부터 탈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글로브박스의 접이판이 폴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글로브박스의 체결홀에 걸림턱이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로브박스는 양측벽에서 돌출되어 차량(100)의 수용부(110)에 체결되는 스토퍼(210)가 마련되고 상측과 후측으로 개구되는 수납함(200), 수납함(200)의 후측벽을 형성하도록 수납함(200)의 하측벽의 후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수납함(200)의 하측벽의 후단과의 사이에 형성된 리빙힌지(310)를 회전축으로 하여 폴딩되는 접이판(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박스는 차량(100)의 수용부(110)에 수용되고, 수용부(110)에 힌지 연결되며 수용부(110)에 형성된 홈(111)에 삽입되는 스토퍼(210)가 형성된 수납함(200)이 구비된다.
수용부(110)는 차량(100)의 대시보드, 즉, 차량(100)의 조수석의 전면 크레쉬 패드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며, 수용부(110)에 수용되는 수납함(200)은 상측과 후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수납함(200)의 개구된 후측에는, 후측벽 역할을 하는 후술할 접이판(300)이 체결되어, 수납함(200)은 접이판(300)이 체결된 후에는 상측으로만 개구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수납함(200)에 물품(101)을 수납할 경우, 수납함(200)을 수용부(110)로부터 회동시켜 개방한 후 수납하면 된다.
이때, 수용부(110)에는 스토퍼(210)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홈(111)이 형성되고, 홈(111)에 의해 수납함(200)의 회동각도가 제한된다.
또한, 스토퍼(210)가 홈(111)에 삽입되어 있어서 수용부(110)에서 수납함(200)이 탈거되지 않고 체결된다.
접이판(300)은 수납함(200)의 후측벽을 형성하도록 수납함(200)의 하측벽의 후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수납함(200)의 하측벽의 후단과의 사이에 형성된 리빙힌지(310)를 회전축으로 하여 폴딩된다.
리빙힌지(310)는 수납함(200)의 하측벽과 접이판(300)을 연결하는 얇은 플렉시블한 힌지로서 수납함(200)에 접이판(300)이 피벗가능하게 연결되게 하며, 수납함(200) 및 접이판(300)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접이판(300)은 수납함(200)에 리빙힌지(310)로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하나의 금형에 의한 사출성형으로 성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그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접이판(300)은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벽의 후단을 지지하며 밀폐할 수 있도록 양측벽의 후단과 대응되는 굴곡으로 벤딩된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접이판(300)은 리빙힌지(310)를 회전축으로 하여 폴딩되어 수납함(200)의 양측벽의 후단에 들뜸 없이 밀착된다.
이러한 접이판(300)은 끝단에서 연장 형성되되 폴딩시 수납함(200)의 상측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 플랜지부(330)를 포함한다.
플랜지부(330)는 접이판(300)의 폴딩시 수납함(200)의 상측벽 역할을 하도록 수납함(200)의 상측을 감싸며 지지함에 따라 접이판(300)과 수납함(200)의 강성을 확보한다.
이러한 접이판(300)의 폴딩구조를 도 4와 도 5의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도 4는 접이판(300)이 폴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접이판(300)이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수납함(200)은 도 4에 도시된 형태로 사출성형으로 성형되고, 수납함(200)의 하측벽의 후단은 접이판(300)과 리빙힌지(310)로 연결된다.
리빙힌지(310)는 하측벽 또는 접이판(300)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나 반복적으로 구부리거나 폴딩시켜도 끊어지지 않도록 설계된다.
접이판(300)은 이러한 리빙힌지(310)의 선을 따라 폴딩되어 양측벽의 후단에 밀착되며 후술할 스냅탭(221)에 의해 체결된다.
도 5는 접이판(300)이 폴딩된 상태로 수납함(200)은 상측으로만 개구되며 내측에 물품(101)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이 마련된다.
특히 접이판(300)에 형성된 플랜지부(330)에 의해 수납함(200)의 후방측에 상측벽이 마련되어 수납공간에 수납된 물품(101)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물품(101)은 도시된 것처럼 플랜지부(33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차량(100)의 진동 및 충격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나, 플랜지부(330)가 양측벽의 상단을 감싸고 있어 움직임이 방지되고 이탈도 방지된다.
이와 같이 접이판(300)이 수납함(200)에 체결되도록, 삽입홀(321)이 형성된 지지부(320)와 스냅탭(221)이 마련된다.
접이판(300)은 수납함(200)의 양측벽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끝단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320)를 포함한다.
지지부(320)는 수납함(200)의 양측벽의 외측면을 지지하며 접이판(300)의 끝단과 플랜지부(330) 사이를 연결하여 양측벽의 후단 상측에 안착된다.
이러한 지지부(320)는 수납함(200)의 양측벽의 외측면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납함(200)에 체결되기 위한 삽입홀(321)이 형성된다.
수납함(200)의 양측벽에는 지지부(3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지지부(320)가 안착되며 지지되는 안착홈(2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수납함(200)은 삽입홀(321)에 삽입되도록 양측벽의 지지부(320)가 지지하는 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스냅탭(221)을 포함한다.
즉 스냅탭(221)은 안착홈(220)에서 돌출되어 삽입홀(321)에 삽입되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삽입홀(321)이 사각홀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냅탭(221)이 'ㄷ'자 형상의 리브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지지부(320)를 수납함(200)에 고정시킨다.
또한, 스냅탭(221)은 후측으로 갈수록 돌출량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지지부(320)가 스냅탭(221)의 경사를 따라 이동한 후 스냅탭(221)이 삽입홀(321)에 삽입되면 안착홈(220)에 안착된다.
그리고 글로브박스는 차량(100)의 에어컨 필터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차량(100)의 수용부(110)로부터 탈거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수납함(200)은 양측벽의 후단이 후측벽과 일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손쉽게 탈거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에어컨 필터의 교체를 위해 글로브박스는 수납함(200)의 양측벽을 외측에서 가압하면, 스냅탭(221)이 삽입홀(321)에서 이탈되면서 접이판(300)이 리빙힌지(310)를 회전축으로 하여 펼쳐지므로 스토퍼(210)가 차량(100)으로부터 손쉽게 탈거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측 도면은 글로브박스가 차량(100)의 수용부(110)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수납함(200)은 후방에 접이판(300)이 폴딩되어 삽입홀(321)에 스냅탭(221)이 체결된 상태로 수용부(110)에 삽입되며, 스토퍼(210)가 수용부(110)에 형성된 홈(111)에 삽입되어 차량(100)에 장착된다.
그리고 하측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외측에서 수납함(200)의 양측벽을 가압하면 삽입홀(321)에서 스냅탭(221)이 이탈하게 되며 스냅탭(221)이 이탈된 접이판(300)은 리빙힌지(310)를 회전축으로 하여 원래 상태로 펼쳐지게 되고, 스토퍼(210)가 수용부(110)의 홈(111)에서 탈거되면 글로브박스를 차량(100)의 수용부(110)에서 탈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수납함(200)의 양측벽을 가압하는 힘은 스토퍼(210)도 수용부(110)에 형성된 홈(111)에서 이탈될 수 있을 정도여야 하며, 이에 따라 수납함(200)의 양측벽은 수용부(110)에 형성된 홈(111)에서 스토퍼(210)가 이탈될 때까지 내측으로 변형된다.
그리고 수납함(200)의 양측벽은 수납함(200)의 후측벽을 형성하는 접이판(300)과 일체로 형성된 구조가 아니어서 내측으로 변형시 쉽게 변형될 수 있으며, 변형되더라도 수납함(200)에 무리를 주지 않게 된다.
즉, 종래의 수납함은 상측으로만 개구되며 양측벽이 후측벽과 일체로 형성되어 양측벽을 내측으로 가압할 때 큰 힘을 가하게 되어 에어컨 필터 교체작업이 어려워지고, 큰 힘을 가함에 따라 수납함에 무리가 가해지면서 파손될 우려가 있게되는 반면, 본 발명의 수납함(200)은 양측벽에 작은 힘을 가하여도 쉽게 변형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수납함은 양측벽이 내측으로 변형되면서 이와 일체 형성된 후측벽도 변형되고, 전체 수납함의 형상도 변형될 우려가 있으나, 본 발명의 수납함(200)은 양측벽이 후측벽과 연결되지 않은 형상이므로 후측벽의 변형 없이 양측벽만 변형시키면서 스토퍼(210)를 탈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수납함(200)과 접이판(300)은 보다 높은 강성을 확보하도록 수납함(200)에 체결부(230)가 형성되고, 접이판(300)이 수납함(200)에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홀(231)과 걸림돌기(340)의 걸림 체결구조가 마련된다.
수납함(200)은 양측벽에서 후측 단부와 상측 단부의 테두리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체결부(230)를 포함한다.
체결부(230)는 양측벽의 후측 단부 뿐만 아니라 상측 단부에도 형성되어 수납함(200)의 강성을 높인다.
특히 양측벽의 후측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부(230)는 접이판(300)에 밀착되어, 양측벽과 접이판(300)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므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며, 양측벽과 접이판(300)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접이판(300)과의 밀폐 성능이 개선된다.
또한, 양측벽의 후측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부(230)에는 체결홀(231)이 형성되고, 접이판(300)에서 체결부(230)측으로 돌출되어 체결홀(231)에 삽입되는 걸림돌기(340)가 형성되며 체결홀(231)에 걸림 체결되도록 걸림돌기(340)에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341)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체결홀(231)에 걸림돌기(340)가 삽입되고 걸림턱(341)이 걸림 체결됨에 따라 수납함(200)에 접이판(300)이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되고, 수납함(200)의 양측벽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된다.
또한, 수납함(200)의 외측벽에 내측으로 외력을 가할시에 체결홀(231)에 삽입된 걸림돌기(340)가 유동하거나 쉽게 이탈하도록, 체결홀(231)과 걸림돌기(340) 사이에는 일정간격(a)이 마련된다.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체결홀(231)은 삽입된 걸림돌기(340)와 일정간격(a) 이격되도록, 좌우방향 공간이 걸림돌기(340)의 좌우방향 두께보다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글로브박스를 차량(100)으로부터 탈거하기 위해 수납함(200)의 양측벽에 외력을 가하면 수납함(200)의 양측벽이 변형되면서 걸림돌기(340)가 일정간격(a)만큼 이동할 수 있으며 접이판(300)이 수납함(200)에 체결된 상태로 차량(100)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또는 수납함(200)의 양측벽에 외력을 가하면 수납함(200)의 양측벽이 변형되면서 수납함(200)의 양측벽의 외력이 가해진 부분이 내측으로 벤딩되면서 걸림돌기(340)가 체결홀(231)에서 이탈될 수도 있고, 이탈되지 않은 걸림돌기(340)는 작업자가 걸림돌기(340)를 후방으로 밀어 이탈시킴에 따라 접이판(300)이 펼쳐진 상태로 차량(100)으로부터 탈거될 수도 있다.
이처럼 접이판(300)이 펼쳐져 수납함(200)에 체결되지 않은 상태는 양측벽이 쉽게 변형될 수 있어 글로브박스의 차량(100)으로부터의 탈거가 용이해진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글로브박스의 양측면에 외력을 가하여도 글로브 박스의 양측면, 다른 부속부분, 스토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글로브박스의 강성을 확보하여 차량의 수용부에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되며 탑승자에게 안정감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글로브박스에서 물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변부품과의 충돌을 방지하고, 물품의 분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수납함의 분리형 후측벽, 리빙힌지, 스냅탭 등을 적용하여 에어컨 필터의 교체작업을 반복함에 따른 글로브박스의 잦은 탈거에도 강성을 유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차량 110: 수용부
200: 수납함 210: 스토퍼
220: 안착홈 221: 스냅탭
230: 체결부 231: 체결홀
300: 접이판 310: 리빙힌지
320: 지지부 321: 삽입홀
330: 플랜지부 340: 걸림돌기
341: 걸림턱

Claims (7)

  1. 양측벽에서 돌출되어 차량의 수용부에 체결되는 스토퍼가 마련되고 상측과 후측으로 개구되는 수납함; 및
    상기 수납함의 후측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납함의 하측벽의 후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수납함의 하측벽의 후단과의 사이에 형성된 리빙힌지를 회전축으로 하여 폴딩되고, 상기 수납함의 양측벽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끝단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접이판;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함은 양측벽의 상기 지지부가 지지하는 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는 스냅탭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함의 양측벽을 외측에서 가압하면, 상기 스냅탭이 상기 삽입홀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접이판이 상기 리빙힌지를 회전축으로 하여 펼쳐지고, 상기 스토퍼가 차량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로브박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판은,
    끝단에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수납함의 상측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 플랜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로브박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은,
    상기 양측벽에서 후측 단부와 상측 단부의 테두리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체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로브박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판은,
    상기 체결부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체결부에 형성된 체결홀에 삽입되어 걸림 체결되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걸림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로브박스.
KR1020190136153A 2019-10-30 2019-10-30 차량용 글로브박스 KR102261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153A KR102261395B1 (ko) 2019-10-30 2019-10-30 차량용 글로브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153A KR102261395B1 (ko) 2019-10-30 2019-10-30 차량용 글로브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196A KR20210051196A (ko) 2021-05-10
KR102261395B1 true KR102261395B1 (ko) 2021-06-08

Family

ID=75918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153A KR102261395B1 (ko) 2019-10-30 2019-10-30 차량용 글로브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39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4081A (ja) 2000-09-28 2002-04-09 Mitsuboshi Belting Ltd 自動車用物品収納ボックス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5440U (ja) * 1983-02-14 1984-08-23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車両用収納箱
KR20040039716A (ko) * 2002-11-04 200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구조
KR100604369B1 (ko) * 2004-05-25 2006-07-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러브 박스의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4081A (ja) 2000-09-28 2002-04-09 Mitsuboshi Belting Ltd 自動車用物品収納ボック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196A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7413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構造
EP1683682B1 (en) Bumper structure for vehicle
KR102571626B1 (ko) 사이드 에어백용 하드 커버
GB2520823A (en) Front module of a motor vehicle
KR102261395B1 (ko) 차량용 글로브박스
JP3715172B2 (ja) ミラー
US10131283B2 (en) Glove box bin bumper stops
JP5070985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974836B2 (ja) 車両部品用ハウジング
JPH0620902B2 (ja) 樹 脂 容 器
JP4501765B2 (ja) 可動式収納ポケット
JP4113510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KR101781385B1 (ko)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장착 장치
CN212022502U (zh) 杂物箱保持器总成
CN110562148B (zh) 汽车后部控制台
JP4019355B2 (ja) 成形トリムのホルダ構造
JP7200583B2 (ja) 車両の荷室構造
JP6238118B2 (ja) グローブボックス取付構造
JP3558174B2 (ja)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WO2016170864A1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4362843B2 (ja) スイッチベース取付構造
ES2902583T3 (es) Cubierta interna de una consola central de vehículo automóvil
JP3319574B2 (ja) ハーネスプロテクタ
JP7263686B2 (ja) 車両用視認装置
KR100706423B1 (ko) 글로브 박스 스토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