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118B1 - 엘리베이터카의 만실 감시 및 운행제어 카메라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카의 만실 감시 및 운행제어 카메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118B1
KR102260118B1 KR1020210015985A KR20210015985A KR102260118B1 KR 102260118 B1 KR102260118 B1 KR 102260118B1 KR 1020210015985 A KR1020210015985 A KR 1020210015985A KR 20210015985 A KR20210015985 A KR 20210015985A KR 102260118 B1 KR102260118 B1 KR 102260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block
weight
pair
recognition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식
Original Assignee
(주)에이앤티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앤티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에이앤티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15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1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76Load weighing or car passenger counting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06T7/62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of area, perimeter, diameter or volu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5Transportation capa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식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분석하여 엘리베이터카 탑승객들의 무게와 부피를 측정하여 만실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을 제어하여 운행효율을 개선한 엘리베이터카의 만실 감시 및 운행제어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카의 만실 감시 및 운행제어 카메라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카 내부를 촬영하는 인식카메라; 상기 인식카메라의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엘리베이터카 탑승자들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모듈; 상기 무게측정모듈이 측정한 무게에 따른 만실 여부에 따라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을 제어하는 운행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카의 만실 감시 및 운행제어 카메라 시스템{Camera system monitoring full room and controlling run of elevator}
본 발명은 인식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분석하여 엘리베이터카 탑승객들의 무게와 부피를 측정하여 만실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을 제어하여 운행효율을 개선한 엘리베이터카의 만실 감시 및 운행제어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건물에는 사람이나 화물의 이송을 위해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고층 건물이나 용적률이 큰 건물 내에는 다수대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됨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횟수 및 시간 역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하는 사람의 수 및 사용 횟수, 사용 시간 등이 증가함에 따라 단순히 사용자를 이송하는 기능만을 지닌 엘리베이터가 아닌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엘리베이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관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예가 있다. 복수개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건물의 경우, 엘리베이터의 운행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운행구간이 저층과 고층별로 구분되거나 짝수층과 홀수층으로 구분된다. 복수로 설치된 엘리베이터는 각층에서 어느 하나의 탑승버튼을 눌러도 모든 엘리베이터에 탑승정보가 입력되고 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엘리베이터가 먼저 도착하여 해당 층에서 엘리베이터가 정지하면 다른 엘리베이터에 입력된 해당 층의 탑승정보는 소거(消去)됨으로 다른 엘리베이터는 해당 층에서 정지하지 않고 통과된다.
엘리베이터의 운행은 엘리베이터카 내부에 구비된 층수버튼들 중에서 온된 층수버튼과 건물 각 층의 엘리베이터 입구에 구비되는 업다운버튼들 중에서 온된 업다운버튼에 해당하는 건물 층마다 엘리베이터카가 정차하여 탑승객들이 승하차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의 운행 방식은 출퇴근 시간이나 점심 시간처럼 탑승객들이 몰려 엘리베이터카가 만실이 되는 시기에 운행 효율이 매우 저조하다.
예를 들어, 건물의 10층에서 엘리베이터카의 탑승객이 만실이 되고, 엘리베이터카의 층수버튼은 1층버튼만이 온된 경우에, 엘리베이터카는 그 중간층에서 정차하지 않고 1층으로 직행할 필요가 있는데, 업다운버튼이 온되어 있는 중간층마다 정차하게 되면서 운행 효율이 극도로 낮아진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카가 만실인 경우에 업다운버튼이 온된 층에서 정차하지 않고 층수버튼이 온된 층으로 직행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참고로,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10-2117747 "엘리베이터의 운행 제어 방법", 공개특허특1996-0022220 "음성인식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제어방법" 등이 개시되었다.
본 발명은 이처럼 종래기술에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엘리베이터카의 탑승객이 만실인 경우 온된 업다운버튼의 층은 건너 뛰노 온된 층수버튼의 층으로 직행하여 운행시간을 단축하여 운행 효율을 높이면서 탑승객들의 편의성을 개선하고, 방범을 위해 엘리베이터카에 설치되는 인식카메라를 활용하여 비용부담이 적은 엘리베이터카의 만실 감시 및 운행제어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인식카메라는 엘리베이터카의 구조물에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되는 엘리베이터카의 만실 감시 및 운행제어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카의 만실 감시 및 운행제어 카메라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카 내부를 촬영하는 인식카메라;
상기 인식카메라의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엘리베이터카 탑승자들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모듈;
상기 무게측정모듈이 측정한 무게에 따른 만실 여부에 따라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을 제어하는 운행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인식카메라의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엘리베이터카 탑승자들의 면적를 측정하는 면적측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인식카메라에 구비되는 장착판을 상기 엘리베이터카에 구비되는 구조물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원터치결합블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원터치결합블록은
상기 장착판에 구비되며 양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팔이 구비되는 제1블록과,
상기 구조물에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이 인입되는 끼움홈과 상기 끼움홈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팔이 인입되는 인입홈이 형성된 제2블록과,
상기 제1블록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팔의 후퇴를 불허하는 인입방지추 및 상기 인입방지추의 승하강을 유도하며 상기 제1블록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러 및 상기 핸들러와 인입방지추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인입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을 상기 끼움홈에 삽입하고, 상기 핸들러를 동작하면, 상기 인입방지추가 상기 한 쌍의 고정팔 사이로 이동하면서 상기 한 쌍의 고정팔을 상기 인입홈에 내삽시켜 상기 제1블록을 제2블록에 고정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팔 사이에 인입방지추가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의 후퇴를 불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카의 만실 감시 및 운행제어 카메라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카가 만실이 되면 탑승자가 누른 층수버튼의 층으로 직행하여 그 중간의 층에 정차하여 운행이 지연되고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고, 엘리베이터카의 불필요한 정차를 차단하여 엘리베이터의 수명단축을 예방하고, 방범을 위해 엘리베이터카에 설치되어 있는 인식카메라를 활용하여 시스템 구축을 위한 비용부담이 적고, 인식카메라는 엘리베이터카의 구조물에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신속하게 결합 및 분리되어서 설치와 유지보수의 효율이 우수한 제품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카의 만실 감시 및 운행제어 카메라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카의 만실 감시 및 운행제어 카메라 시스템의 설치모습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3 은 인식카메라의 장착판과 엘리베이터 구조물의 결합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결합블럭의 구성과 작동 매커니즘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카의 만실 감시 및 운행제어 카메라 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카의 만실 감시 및 운행제어 카메라 시스템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1과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카의 만실 감시 및 운행제어 카메라 시스템은 인식카메라(20), 무게측정모듈(30), 면적측정모듈(40), 운행제어모듈(50), 층수버튼(60), 업다운버튼(70), 구동모터(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인식카메라(20)는 엘리베이터카(10)의 내부 상부에 설치되어서 탑승자를 촬영한다.
상기 인식카메라(20)의 촬영영상은 관리실로 전송되고 녹화되어 모니터링과 방범을 위해 사용되고, 상기 무게측정모듈(30)과 면적측정모듈(40)로 전성되어서 엘리베이터카(10)의 만실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인식카메라(20)는 만실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인식카메라(20)는 화각이 큰 어안렌즈를 사용하여 엘리베이터카(10) 내부를 사각지대 없이 모두 촬영 가능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무게측정모듈(30)은 상기 인식카메라(20)의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엘리베이터카(10) 탑승자들의 몸무게를 측정하여, 엘리베이터카(10)의 운행을 제한하는 기준무게를 초과하였는지 판단한다.
영상분석을 통한 탑승자의 몸무게의 측정은 엘리베이터카에서 탑승자가 서 있는 위치, 탑승자의 상하 키, 탑승자의 좌우 몸통크기 등을 영상에서 추출하고, 이들 추출값을 이용해 학습통계데이터에서 추정되는 몸무게 찾아서 탑승자의 몸무게로 측정한다.
상기 면적측정모듈(40)은 상기 인식카메라(20)의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엘리베이터카(10) 탑승자들이 엘리베이터카를 차지하는 면적을 측정하여, 엘리베이터카(10)에 탑승자가 추가로 탑승할 공간이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면적측정모듈(40)은 탑승자의들이 엘리베이터카를 차지하는 면적 대신에 탑승자들의 인원수를 체크하여, 엘리베이터의 만실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운행제어모듈(50)은 상기 무게측정모듈(30)에서 측정한 탑승자들의 무게와, 상기 면적측정모듈(40)에서 측정한 탑승자들의 면적과, 엘리베이터카(10) 내부의 층수버튼(60)의 온오프 상태와, 건물 각층 업다운버튼(70)의 온오프 상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해 구동모터(80)의 정회전, 역회전 및 정지시켜서 엘리베이터카(10)의 운행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이 엘레베이터카의 운행을 제한다.
먼저, 상기 운행제어모듈(50)은 상기 무게측정모듈(30)에서 측정된 무게와 상기 면적측정모듈(40)에서 측정된 면적이 모두 만실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엘리베이터카(10)가 저층에서 고층으로 승강하거나 고층에서 저층으로 하강하면서 온된 층수버튼(60)들과 업다운버튼(70)들의 해당층에서 순차적으로 엘레베이터카를 정차시켜서 탑승객이 승하차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무게측정모듈(30)에서 측정된 무게와 상기 면적측정모듈(40)에서 측정된 면적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만실로 판단되면, 상기 엘리베이터카(10)가 저층에서 고층으로 승강하거나 고층에서 저층으로 하강하면서 온된 층수버튼(60)의 해당층으로 직행하여 엘리베이터카(10)를 정차시켜 탑승객이 하차하도록 하고, 그 사이에 있는 온된 업다운버튼(70)의 해당층에서는 정차되지 않도록 한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인식카메라(20)에는 장착판(21)이 구비되고, 상기 장착판(21)은 엘리베이터카(10)에 구비되는 구조물(11)에 제1블록(B1)과 제2블록(B2)으로 구성되는 원터치결합블록(TB)을 통해 별도의 공구가 필요 없이 원터치 동작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결합 및 분리되어서, 인식카메라(20)의 설치와 유지보수가 간편신속하며 효율적이다.
상기 원터치결합블록(TB)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판(21)에 구비되며 양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팔(B13)이 구비되는 제1블록(B1)과, 엘리베이터카(10)의 구조물(11)에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B1)이 인입되는 끼움홈(B21)과 상기 끼움홈(B21)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팔(B13)이 인입되는 인입홈(B23)이 형성된 제2블록(B2)과, 상기 제1블록(B1)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팔(B13)의 후퇴를 불허하는 인입방지추(B33) 및 상기 인입방지추(B33)의 승하강을 유도하며 상기 제1블록(B1)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러(B31) 및 상기 핸들러(B31)와 인입방지추(B33)를 연결하는 와이어(B35)를 포함하는 인입방지수단(B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B1)을 상기 끼움홈(B21)에 삽입하고, 상기 핸들러(B31)를 동작하면, 상기 인입방지추(B33)가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 사이로 이동하면서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을 상기 인입홈(B23)에 내삽시켜 상기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에 고정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 사이에 인입방지추(B33)가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의 후퇴를 불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4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상기 제1블록(B1)과 제2블록(B2)은 도면에 자세한 사시도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우선 상기 제2블록(B2)은 구조물(11)에 구비되며, 중앙에 상기 제1블록(B1)이 인입되는 끼움홈(B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홈(B21)의 양측에는 인입홈(B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인입홈(B23)은 상기 제1블록(B1)이 끼움홈(B21)에 끼워질 때, 상기 고정팔(B13)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게 된다.
다시, 제1블록(B1)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의 블록으로, 하부는 상기 끼움홈(B21)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며, 도면과 같이, 중앙에는 T자형의 T형공간부(B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T형공간부(B11)와 연통되되 상기 제2블록(B2)의 양측으로 개방되는 인출로(B12)가 형성되고, 상기 인출로(B12)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인입방지추(B33)가 구비되는 수납부(B335)가 형성된다.
먼저 고정팔(B13)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블록(B1)에는 양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팔(B13)이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고정팔(B13)은 상기 인출로(B12)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방지추(B33)의 동작에 의해 제1블록(B1)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인입홈(B23)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팔(B13)의 외측에는 각각 지지날개(B131)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팔(B13)을 감싸는 복귀탄성체(B133)가 상기 지지날개(B131)와 제1블록(B1)의 가장자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팔(B13)이 제1블록(B1) 내측방향으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받도록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에 삽입하거나 뺄 때 고정팔(B13)이 돌출되지 않아 원활하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팔(B13)의 내측 일단에는 대응경사부(B135)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인입방지추(B33)가 이동할 때 상기 고정팔(B13)을 자연스럽게 양측으로 밀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블록(B1)의 외주연에는 상기 장착판(21)의 표면을 가압하여 눌러주는 가압판(B17)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판(B17)은 스프링(B18)으로 탄성지지된다.
상기 제1블록(B1)의 양측, 보다 정확하게는 도4a를 준으로 제1블록(B1)의 상부 양측에는 각각 핸들러(B31)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핸들러(B31)는 인입방지수단(B3)의 한 구성으로, 이하, 인입방지수단(B3)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인입방지수단(B3)은 상기 제1블록(B1)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을 양측으로 돌출시킨 후, 이들의 후퇴를 방지하는 인입방지추(B33)와, 상기 제1블록(B1)에 힌지결합되는 핸들러(B31), 상기 핸들러(B31)와 인입방지추(B33)를 연결하는 와이어(B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인입방지추(B33)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납부(B335)에 안착되어 있으며, 도4a를 기준으로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 사이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인입방지추(B33)의 단부에는 상기 대응경사부(B135)와 밀착되는 진입경사부(B33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부(B335)에는 상기 인입방지추(B33)를 지지하는 압축스프링(B333)이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압축스프링(B333)은 인입방지추(B33)를 복원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으로, 여기서 복원시키는 방향은 도4a와 같이, 고정팔(B13)이 돌출되지 않았을 때의 상태의 위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인입방지추(B33)가 도4b와 같이, 한 쌍의 고정팔(B13) 사이로 이동하면, 상기 진입안내부 및 대응경사부(B135)에 의해 자연스럽게 상기 고정팔(B13)들이 벌어져 제1블록(B1) 양측으로 돌출되게 되고, 상기 인이방지추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는 한, 상기 고정팔(B13)들은 다시 내측으로 후퇴할 수 없어 제1블록(B1)과 제2블록(B2)의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다.
다시 상기 핸들러(B31)는 도4a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블록(B1)의 상부 양측에 제1힌지부(B311)를 통하여 힌지결합된 부재로, 상기 핸들러(B31)는 도3의 [B]와 같이 일면이 상기 제1블록(B1) 측방향에 밀착되도록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핸들러(B31)는 상기 인입방지추(B33)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부재로, 상기 핸들러(B31)와 인입방지추(B33)는 도면과 같이 와이어(B35)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B35)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T형공간부(B11)의 내측 모서리부분에는 제1롤러(B15)가 구비되어 와이어(B35)를 지지하고, 상기 T형공간부(B11)의 단부, 즉 와이어(B35)가 노출되는 부분에도 제2롤러(B16)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도4b와 같이,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에 삽입한 후, 상기 한 쌍의 핸들러(B31)를 접으면, 상기 와이어(B35)가 당겨지게 되어 상기 인입방지추(B33)를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인입방지추(B33)의 이동으로 인해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은 제1블록(B1) 양측으로 돌출되어 인입홈(B23)에 끼워져 제1블록(B1)이 제2블록(B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핸들러(B31)가 접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블록(B1)과 상기 핸들러(B31)에는 상기 핸들러(B31)가 접힌 상태를 기준으로 서로 밀착되는 면에 각각 제1마그넷(M1) 및 제2마그넷(M2)을 구비하고, 이들이 인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핸들러(B31)가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인입방지추(B33)가 복귀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역으로 상기 핸들러(B31)를 다시 펼쳐야 하는데, 상기 핸들러(B31)는 상기 제1블록(B1)에 자성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핸들러(B31)를 펼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본 발명은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핸들러(B31)에 제2힌지부(B312)에 힌지결합되는 홀딩손잡이(B313)를 더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도4b와 같이 상기 홀딩손잡이(B313)를 젖힌 후, 사용자가 이 홀딩손잡이(B313)를 잡고 손쉽게 핸들러(B31)를 펼칠 수 있고, 상기 핸들러(B31)가 펼쳐지면, 상기 인입방지추(B33)를 지지하던 압축스프링(B33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인입방지추(B33)가 수납부(B335)로 도3의 [A]와 같이 원위치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은 복귀탄성체(B133)의 탄성력에 의해 제1블록(B1) 내측으로 인입되어,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원터치결합블록(TB)에 의해, 보다 손쉽게 장착판(21)과 구조물(11)을 고정 및 분리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카의 만실 감시 및 운행제어 카메라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엘리베이터카 11 : 구조물
20 : 인식카메라 21 : 장착판
30 : 무게측정모듈 40 : 면적측정모듈
50 : 운행제어모듈 60 : 층수버튼
70 : 업다운버튼 80 : 구동모터
TB : 원터치결합블록 B1 : 제1블록
B11 : T형공간부 B12 : 인출로
B13 : 고정팔 B131 : 지지날개
B133 : 복귀탄성체 B135 : 대응경사부
B15 : 제1롤러 B16 : 제2롤러
B2 : 제2블록
B21 : 끼움홈 B23 : 인입홈
B3 : 인입방지수단
B31 : 핸들러 B311 : 제1힌지부
B312 : 제2힌지부 B313 : 홀딩손잡이
B33 : 인입방지추 B331 : 진입경사부
B333 : 압축스프링 B335 : 수납부
B35 : 와이어
M1 : 제1마그넷 M2 : 제2마그넷

Claims (3)

  1. 엘리베이터카 내부를 촬영하는 인식카메라;
    상기 인식카메라의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엘리베이터카 탑승자들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모듈;
    상기 무게측정모듈이 측정한 무게에 따른 만실 여부에 따라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을 제어하는 운행제어모듈;
    상기 인식카메라에 구비되는 장착판을 상기 엘리베이터카에 구비되는 구조물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원터치결합블럭;을 포함하되,

    상기 원터치결합블럭은
    상기 장착판에 구비되며 양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팔이 구비되는 제1블록과,
    상기 구조물에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이 인입되는 끼움홈과 상기 끼움홈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팔이 인입되는 인입홈이 형성된 제2블록과,
    상기 제1블록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팔의 후퇴를 불허하는 인입방지추 및 상기 인입방지추의 승하강을 유도하며 상기 제1블록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러 및 상기 핸들러와 인입방지추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인입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을 상기 끼움홈에 삽입하고, 상기 핸들러를 동작하면, 상기 인입방지추가 상기 한 쌍의 고정팔 사이로 이동하면서 상기 한 쌍의 고정팔을 상기 인입홈에 내삽시켜 상기 제1블록을 제2블록에 고정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팔 사이에 인입방지추가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의 후퇴를 불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카의 만실 감시 및 운행제어 카메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카메라의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엘리베이터카 탑승자들의 면적를 측정하는 면적측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카의 만실 감시 및 운행제어 카메라 시스템.
  3. 삭제
KR1020210015985A 2021-02-04 2021-02-04 엘리베이터카의 만실 감시 및 운행제어 카메라 시스템 KR102260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985A KR102260118B1 (ko) 2021-02-04 2021-02-04 엘리베이터카의 만실 감시 및 운행제어 카메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985A KR102260118B1 (ko) 2021-02-04 2021-02-04 엘리베이터카의 만실 감시 및 운행제어 카메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118B1 true KR102260118B1 (ko) 2021-06-04

Family

ID=76391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985A KR102260118B1 (ko) 2021-02-04 2021-02-04 엘리베이터카의 만실 감시 및 운행제어 카메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1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22353A (ja) * 2015-05-27 2016-12-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認識機能を備えたエレベータ
KR20180136318A (ko) * 2017-06-14 2018-12-2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원수 표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22353A (ja) * 2015-05-27 2016-12-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認識機能を備えたエレベータ
KR20180136318A (ko) * 2017-06-14 2018-12-2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원수 표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81904B1 (e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elevators
CN102992122B (zh) 电梯运行控制方法、以及应用该方法的电梯运行控制装置、电梯运行控制系统
CA2589595C (en) Method of transporting persons in a building
EP1958908A1 (en) Control system for elevator
WO2006114877A1 (ja) エレベータ群管理制御装置
KR101181555B1 (ko) 엘리베이터 탑승 정보를 안내하는 시스템
WO2007052336A1 (ja)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JP4657792B2 (ja) 連結式エレベータ装置
JP6487082B1 (ja) 車椅子兼用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WO2006059983A2 (en) Destination entry passenger interface with multiple functions
JP2014015318A (ja) エレベーターの行先階登録装置
JP2008195468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KR102260118B1 (ko) 엘리베이터카의 만실 감시 및 운행제어 카메라 시스템
JP6633186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0163271A (ja) エレベータの戸開閉制御装置
CN110092263A (zh) 用于电梯的电梯检修系统
JP2005112586A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WO2020194368A1 (ja) エレベータホール照明装置兼誘導到着報知装置
EP1733993A1 (en) Elevator apparatus
US20230374809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using vehicle elevator device for vertical parking of individual households in collective building, temporary park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KR20160046536A (ko) Id카드 식별 기반의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05330755A (ja)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CN113213287B (zh) 升降机组管理装置及升降机组管理方法
JP2007254076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5132555A (ja)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