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893B1 - 럼버 서포트 장치 - Google Patents
럼버 서포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9893B1 KR102259893B1 KR1020190168828A KR20190168828A KR102259893B1 KR 102259893 B1 KR102259893 B1 KR 102259893B1 KR 1020190168828 A KR1020190168828 A KR 1020190168828A KR 20190168828 A KR20190168828 A KR 20190168828A KR 102259893 B1 KR102259893 B1 KR 1022598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rings
- coupled
- frame
- air
- buffer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5—Lumbar supports using inflatable blad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에어블래더와 시트백을 연결하는 완충부의 구조를 축소시켜 중량감소 및 차량의 연비 효과를 개선하는 럼버 서포트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럼버서포트 장치는 판 형태로 형성되고 스프링들이 배치되며, 시트백프레임에 부착되는 완충부, 상기 완충부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스프링들과 밀착되는 에어블래더 및 상기 에어블래더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장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들은 상기 완충부의 양측부터 안쪽을 향해 배치되면서 점진적으로 크기가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럼버서포트 장치는 판 형태로 형성되고 스프링들이 배치되며, 시트백프레임에 부착되는 완충부, 상기 완충부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스프링들과 밀착되는 에어블래더 및 상기 에어블래더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장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들은 상기 완충부의 양측부터 안쪽을 향해 배치되면서 점진적으로 크기가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럼버 서포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트에 내장되어 탑승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럼버 서포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에는 탑승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쿠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 탑승자가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 및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들이 형성된다.
최근에는 차량 시트의 발전으로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탑승자의 등 및 척추 형상에 맞게 가변이 가능한 럼버서포트장치가 개발되고 있지만, 에어블래더 형태로 탑승자를 지지하는 럼버서포트장치의 경우 에어블래더를 지지하기 위해 높은 중량의 서스펜션 완충부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1141호는 에어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34004호는 차량 시트의 통풍기능을 위한 에어 럼버 서포트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중량을 감소시키면서 안정적으로 탑승자를 지지하는 럼버서포트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에어블래더와 시트백을 연결하는 완충부의 구조를 축소시켜 중량감소 및 차량의 연비 효과를 개선하는 럼버 서포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럼버서포트 장치는 판 형태로 형성되고 스프링들이 배치되며, 시트백프레임에 부착되는 완충부, 상기 완충부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스프링들과 밀착되는 에어블래더 및 상기 시트백프레임의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에어블래더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장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들은 상기 완충부의 양측부터 안쪽을 향해 배치되면서 점진적으로 크기가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들 각각은 상기 완충부의 상하부로 길게 연장된 직사각 형태의 일부분의 양측면이 상기 완충부와 분리되고, 전방을 향해 아치 형태로 돌출되어 판스프링 형태로 상기 에어블래더와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들 각각은 상기 완충부의 안쪽을 향해 배치될수록 상기 스프링들의 돌출되는 거리가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상단부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판 형태로 형성되고, 하단부는 상단부보다 일측 및 타측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작은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공급장치는 상기 완충부의 하단부 일측 또는 타측에서 상기 시트백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럼버서포트 장치는 기존의 에어블래더 형태의 럼버서포트 장치와 달리 상대적으로 중량 및 크기가 낮은 완충부를 통해 시트백프레임에 결합되어 차량 시트의 중량이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럼버서포트 장치의 완충부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감소하여 차량 시트 자치의 부피가 감소하고, 이를 통해 차량 내부의 공간확보가 용이하며, 원가절감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2들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럼버 서포트 장치의 사시도들.
도 3은 도 2의 럼버 서포트 장치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및 정면도.
도 4는 도 1의 럼버 서포트 장치의 마운팅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럼버 서포트 장치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및 정면도.
도 4는 도 1의 럼버 서포트 장치의 마운팅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럼버 서포트 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2들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럼버 서포트 장치의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럼버 서포트 장치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및 정면도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럼버 서포트 장치의 마운팅부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4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럼버서포트 장치(100)는 시트백프레임(120), 마운팅클립(50)들, 완충부(200), 제1 및 제2 에어블래더(400, 420)들, 에어공급장치(500) 및 마운팅부(600)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에는 탑승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쿠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 탑승자가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 및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들이 형성된다.
최근에는 차량 시트의 발전으로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탑승자의 등 및 척추 형상에 맞게 가변이 가능한 럼버서포트장치가 개발되고 있지만, 에어블래더 형태로 탑승자를 지지하는 럼버서포트장치의 경우 에어블래더를 지지하는 높은 중량의 서스펜션 완충부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럼버서포트 장치(100)는 기존의 에어블래더 형태의 럼버서포트 장치와 달리 상대적으로 중량 및 크기가 낮은 완충부를 통해 시트백프레임(120)에 결합되어 상대적으로 차량 시트의 중량이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럼버서포트 장치(100)의 완충부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감소하여 차량 시트 자치의 부피가 감소하고, 이를 통해 차량 내부의 공간확보가 용이하며, 원가절감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시트백프레임(120)은 백프레임(121), 제1 및 제2 측면지지대(123, 124)들 및 제1 및 제2 브라켓(125, 126)들을 포함한다.
시트백프레임(120)은 탑승자의 등 및 머리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형태의 중앙부와 중앙부에서 일측 및 타측을 향해 절곡되어 탑승자의 옆구리를 지지하는 일측 및 타측부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백프레임(121)의 일단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탑승자의 등 하부를 지지하고, 백프레임(121)의 중앙부는 일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절곡된 후 다시 상부를 향해 절곡되어 탑승자의 요추를 지지하며, 타단부는 중앙부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탑승자의 등과 머리를 지지한다.
제1측면지지대(123)의 일단부는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이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후방에 해당하는 제2방향(2) 및 상부 방향을 향해 축소되면서 연장되며, 제2방향(2)쪽 부분이 백프레임(121)의 일측에 연결된다.
제2측면지지대(124)의 일단부는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이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상부 및 제2방향(2)을 향해 축소되면서 연장되며, 제2방향(2)쪽 부분은 백프레임(121)의 타측에 연결된다.
제1브라켓(125)의 일단은 상단 및 하단 일부분이 시트백프레임(120)의 타측을 향해 절곡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백프레임(121)의 일측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2방향(2)과 반대방향인 제1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제2브라켓(126)의 일단은 상단 및 하단 일부분이 타측을 향해 절곡된 플레이터 형태로 형성되어 제1브라켓(125)의 상부에서 백프레임(121)과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2방향(2)과 반대방향인 제1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도 1 및 4들을 참조하면, 완충부(200)는 프레임(210), 제1스프링(211)들, 제2스프링(212)들 및 제3스프링(213)들을 포함한다.
완충부(200)는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적이 제1 및 제2방향(1, 2)을 향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제1방향(1)쪽 전면에 복수의 스프링들이 결합되며, 백프레임(121)의 제1방향(1)쪽에 배치되어 백프레임(121)과 결합된다.
후술될 제1 및 제2 에어블래더(400, 420)들 각각은 완충부(200)를 통해 백프레임(121)과 결합되고, 완충부(200)는 제1 및 제2 에어블래더(400, 420)들 각각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면서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으로 제1 및 제2 에어블래더(400, 420)들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210)의 상단부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하단부는 상단부보다 일측 및 타측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작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프레임(210) 하단부의 하부 테두리 안쪽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직사각형 형태로 돌출되어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마운팅클립들을 통해 백프레임(121)와 결합된다.
프레임(210)의 상단부 제1방향(1)쪽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내지 제3 스프링(211, 212, 213)들의 중앙부는 서로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에서 프레임(210)과 결합된다.
프레임(2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1스프링(211)들 각각은 제1방향(1)을 향해 아치형태로 돌출되는 판스프링 형태로 형성되고, 제1스프링(211)들 각각의 상단 및 하단은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프레임(210)을 관통하는 직육면체 형태의 제1관통홈들 각각의 안쪽 상부 및 하부에 해당하는 프레임(210)의 내측면들과 결합된다.
프레임(2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2스프링(212)들 각각은 제1방향(1)을 향해 아치형태로 돌출되는 판스프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제1스프링(211)보다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길게 연장된다.
제2스프링(212)들 각각은 제1스프링(211)들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프레임(210)을 관통하는 직육면체 형태의 제2관통홈들 각각의 안쪽에서 프레임(210)에 결합된다.
제2스프링(212)들 각각의 상단 및 하단은 상기 제2관통홈들 각각의 안쪽 상부 및 하부에 해당하는 프레임(210)의 내측면들과 각각 결합되고, 각각의 안쪽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스프링(211)들 각각과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다.
프레임(2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3스프링(213)들 각각은 제1방향(1)을 향해 아치형태로 돌출되는 판스프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제2스프링(212)보다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길게 연장된다.
제3스프링(213)들 각각은 제2스프링(212)들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프레임(210)을 관통하는 직육면체 형태의 제3관통홈들 각각의 안쪽에서 프레임(210)에 결합된다.
제3스프링(213)들 각각의 상단 및 하단은 상기 제3관통홈들 각각의 안쪽 상부 및 하부에 해당하는 프레임(210)의 내측면들과 각각 결합되고, 각각의 안쪽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스프링(212)들과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다.
제2스프링(212)들은 제1스프링(211)들보다 상대적으로 제1방향(1)을 향해 돌출되고, 제3스프링(213)들은 제2스프링(212)들보다 상대적으로 제1방향(1)을 향해 돌출된다.
제1 내지 제3 스프링(211, 212, 213)들 각각의 상단 및 하단 양측에는 원형의 관통홀들이 형성되고, 제1 내지 제3 스프링(211, 212, 213)들의 상단 및 하단 양측면은 탄성 변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통홀들을 사이에 두고 프레임(210)의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소음 발생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프레임(210)의 상단부를 향해 팽창하는 제1에어블래더(400)의 배면은 상대적으로 배면 중앙쪽이 제2방향(2)을 향해 팽창되면 제1스프링(211)들과 밀착되고, 상대적으로 작게 팽창하는 배면 양측이 제2 및 제3 스프링(212, 213)들과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프레임(210)의 하단부 제1방향(1)쪽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내지 제3 스프링(211, 212, 213)들 각각의 중앙부는 서로 동일한 수평선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프레임(210)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프레임(2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1스프링(211)들 각각은 제1방향(1)을 향해 아치 형태로 돌출되는 판스프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홈들 각각의 직하방에서 프레임(210)을 관통하는 직육면체 형태의 제3관통홈들 각각의 안쪽 상부 및 하부에 해당하는 프레임(210)의 내측면들과 결합된다.
프레임(2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스프링(212)들 각각은 제1방향(1)을 향해 아치형태로 돌출되는 판스프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제1스프링(211)보다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길게 연장된다.
프레임(2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스프링(212)들 각각은 상기 제2관통홈들 각각의 직하방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프레임(210)을 관통하는 직육면체 형태의 제5관통홈들 각각의 안쪽에 위치한 프레임(210)과 결합된다.
프레임(2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스프링(212)들 각각의 상단 및 하단은 상기 제5관통홈들 각각의 안쪽 상부 및 하부에 해당하는 프레임(210)의 내측면들과 결합되고, 각각의 안쪽에 배치되는 제1스프링(211)들 각각과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다.
프레임(2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3스프링(213)들 각각은 제1방향(1)을 향해 아치형태로 돌출되는 판스프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안쪽의 제2스프링(212)보다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길게 연장된다.
제3스프링(213)들 각각은 상기 제3관통홈들 각각의 직하방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프레임(210)을 관통하는 직육면체 형태의 제6관통홈들 각각의 안쪽에 위치하는 프레임(210)에 결합된다.
제3스프링(213)들 각각의 상단 및 하단은 상기 제6관통홈들 각각의 안쪽 상부 및 하부에 해당하는 프레임(210)의 내측면들과 각각 결합되고, 각각의 안쪽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스프링(212)들과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다.
프레임(2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스프링(212)들은 안쪽의 제1스프링(211)들보다 상대적으로 제1방향(1)을 향해 돌출되고, 프레임(210)의 하단부에 결합된 제3스프링(213)들은 안쪽에 위치한 제2스프링(212)들보다 상대적으로 제1방향(1)을 향해 돌출된다.
제1 내지 제3 스프링(211, 212, 213)들 각각의 상단 및 하단 양측에는 원형의 관통홀들이 형성되고, 제1 내지 제3 스프링(211, 212, 213)들의 상단 및 하단 양측면은 탄성 변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통홀들을 사이에 두고 프레임(210)의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소음 발생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프레임(2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 스프링(211, 212, 213)들 각각은 타원형태로 제1 및 제2방향(1, 2)들을 향해 팽창하는 제1에어블래더(400)의 배면과 밀착되어 제1에어블래더(400)를 지지 및 고정시키는 장점이 있다.
제1에어블래더(400)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타원 형태로 형성되고, 공기주입구는 시트백프레임(120)의 일측 및 상부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제1에어블래더(400)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연결한다.
제1에어블래더(400)의 테두리는 복수의 마운팅클립들을 통해 완충부(200)의 상단부와 결합되고, 완충부(2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완충부(200)의 상단부에 결합된 제1 내지 제3 스프링(211, 212, 213)들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제2에어블래더(420)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타원 형태로 형성되어 제1에어블래더(400)의 하부에 배치되고, 공기주입구는 시트백프레임(120)의 일측 및 상부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제2에어블래더(420)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연결한다.
제2에어블래더(420)의 테두리는 복수의 마운팅클립들을 통해 완충부(200)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제2에어블래더(420)의 테두리는 완충부(2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완충부(200)의 하단부에 결합된 제1 내지 제3 스프링(211, 212, 213)들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도 1 및 2들을 참조하면, 에어공급장치(500)는 제1 및 제2 호스(510, 520)들을 포함한다.
에어공급장치(500)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및 제2 브라켓(125, 126)들과 제1측면지지대(123)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브라켓(125, 126)들과 결합된다.
제1 호스(510)의 일단은 호스 형태로 에어공급장치(5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연장되어 제1에어블래더(400)의 공기주입구와 결합되며, 에어공급장치(500)의 구동에 의해 제1에어블래더(400)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거나 제1에어블래더(4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제2 호스(520)의 일단은 호스 형태로 에어공급장치(5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연장되어 제2에어블래더(420)의 공기주입구와 결합되며, 에어공급장치(500)의 구동에 의해 제2에어블래더(420)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거나 제2에어블래더(42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제1 또는 제2 에어블래더(400, 420)들은 에어공급장치(500)의 구동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고, 팽창하는 경우, 완충부(20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결합된 제1 내지 제3 스프링(211, 212, 213)들을 통해 탑승자의 요추 부분을 밀어내는 과정에서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부(600)는 제1보강재(610)들, 제2보강재(612)들, 제3보강재(613, 614, 615), 제4보강재(616), 제1클립고정부(617, 618)들 및 제2클립고정부(619, 620)들을 포함한다.
마운팅부(600)는 백프레임(121)의 전방 하부에 결합되거나 백프레임(121)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완충부(200)와 마운팅클립(50)들을 통해 결합되어 시트백프레임(120) 및 완충부(200)들을 연결시킨다.
구체적으로, 백프레임(121)의 전방 하부에 위치하는 제1보강재(610) 및 제2보강재(612)들 각각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백프레임(121)과 결합된다.
제3보강재(613)의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1보강재(610)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2보강재(612)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제2보강재(612)와 연결된다.
제3보강재(613)의 상부에는 제3보강재(613)와 이격된 위치에서 백프레임(121)과 결합되는 제3보강재(614)가 형성되고, 제3보강재(613, 614)들 사이에는 제3보강재(613)의 안쪽에서 제3보강재(613, 614)들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보강재(612)들이 백프레임(121)과 결합된다.
제3보강재(614)는 제3보강재(613)보다 상대적으로 양측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부에는 제3보강재(614)와 이격된 위치에서 백프레임(121)과 결합되는 제3보강재(615)가 형성된다.
제3보강재(614, 615)들 사이에는 제3보강재(614)의 안쪽에서 제3보강재(614, 615)들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보강재(612)들이 백프레임(121)과 결합되고, 제3보강재(614, 615)들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보강재(612)들은 제3보강재(613, 614)들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보강재(612)들보다 상대적으로 양측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1클립고정부(617)는 제1측면지지대(123)와 인접한 위치에서 제3보강재(613)의 일측 및 제2보강재(612)들 사이에 배치되어 백프레임(121)과 결합되고, 완충부(200)의 배면과 밀착된 상태로 마운팅클립(50)을 통해 완충부(200)와 결합된다.
제1클립고정부(618)는 제2측면지지대(124)와 인접한 위치에서 제3보강재(613)의 타측 및 제1보강재(610)들 사이에 배치되어 백프레임(121)과 결합되고, 완충부(200)의 배면과 밀착된 상태로 마운팅클립(50)을 통해 완충부(200)와 결합된다.
제1클립고정부(617, 618)들 각각은 백프레임(121)의 하부에서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서로 마주보며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제1클립고정부(617)는 클립바디(631) 및 삽입바디(632)들을 포함한다.
클립바디(631)는 내부의 공간이 제2방향(2) 및 제2측면지지대(124)를 향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백프레임(121)과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하부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플레이트형태의 보강판들이 서로 상하부로 이격된 상태에서 클립바디(631) 및 백프레임(121)들과 결합된다.
클립바디(631)의 상부, 하부 및 일측에는 제3보강재(613), 백프레임(121)의 하부 및 제2보강재(612)를 향해 연장되어 제3보강재(613), 백프레임(121)의 하부 및 제2보강재(612)들 각각과 연결되는 보강재들이 형성된다.
삽입바디(632)는 직육면체 내부의 공간이 제2방향(2) 및 양측을 향해 개방되어 형성되는 브라켓이고, 클립바디(631)의 전면에 결합되며, 삽입바디(632)의 전면에는 마운팅클립(50)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클립고정부(617, 618)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중량이 낮으며,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보강판들 및 보강재들을 통해 완충부(200)에 가해지는 탑승자의 중량과 제1 및 제2 에어블래더(400, 420)들의 팽창에 의한 압력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제2클립고정부(619, 620)들 각각은 제3보강재(613, 614)들 사이에서 제2보강재(612) 및 제1보강재(610)들 각각의 중앙에 위치하고, 백프레임(121)과 각각 결합된다.
제2클립고정부(619, 620)들 각각은 백프레임(121)과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의 공간이 서로를 향해 개방되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제2클립고정부(619, 620)들 각각의 전면에는 마운팅클립(50)들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제3보강재(614, 615)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보강재(610, 612)들 각각의 중앙에는 제2클립고정부(620, 619)들이 각각 배치되어 백프레임(121)과 결합된다.
제4보강재(616)의 일단은 제2클립고정부(619)의 일측에 연결되고, 백프레임(121)의 전면을 따라 상부를 향해 절곡 및 연장되어 제3보강재(614) 및 제3보강재(615)들 각각의 일측에 연결되며, 중앙부는 제3보강재(615)의 상부를 둘러싸는 아치 형태로 백프레임(121)의 전면을 따라 제3보강재(615)의 타측을 향해 연장된다.
제4보강재(616)의 타단은 중앙부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제3보강재(615)의 타측 및 제3보강재(614)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 끝단은 일측을 향해 절곡 및 연장되어 제2클립고정부(620)의 타측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2클립고정부(619, 620)들 각각은 제1 내지 제2보강재(610, 612)들 및 제4보강재(616)들과 연결되어 완충부(200)를 통해 결합되는 제1 및 제2 에어블래더(400, 420)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제1 및 제2 에어블래더(400, 420)들 각각이 팽창하여 제2클립고정부(619)의 타측에 시트백프레임(120)의 일측을 향하는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2보강재(612) 및 제4보강재(616)의 일단이 제2클립고정부(619)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에어블래더(400, 420)들 각각이 팽창하여 제2클립고정부(620)의 일측에 시트백프레임(120)의 타측을 향하는 압력을 가하는 경우, 제1보강재(610) 및 제4보강재(616)의 타단이 제2클립고정부(6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210)의 일측 상단부 및 하단부 각각에 형성되는 제3스프링(213)들 각각의 사이에는 추가적으로 제3스프링(213)이 배치되어 프레임(21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10)의 타측 상단부 및 하단부 각각에 형성되는 제3스프링(213)들의 사이에는 추가적으로 제3스프링(213)이 배치되어 프레임(210)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에어블래더(400, 420)들 대신에 단일이면서 상대적으로 제1 및 제2 에어블래더(400, 420)들 각각보다 부피가 큰 에어블래더가 완충부(200)에 결합되는 경우, 프레임(210)의 상단부 및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스프링(213)들 각각은 단일의 상기 에어블래더의 일측 및 타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예를 들어, 단일의 상기 에어블래더가 팽창하는 경우, 상기 에어블래더의 배면은 완충부(200)의 상단부 및 하단부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에서 외측을 향해 팽창하고, 완충부(200)에 설치된 제1 내지 제3 스프링(211, 212, 213)들이 상기 에어블래더를 둘러싸면서 상기 에어블래더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럼버 서포트 장치 200: 완충부
400: 제1에어블래더 420: 제2에어블래더
500: 에어공급장치
400: 제1에어블래더 420: 제2에어블래더
500: 에어공급장치
Claims (5)
- 스프링들이 배치되고 시트백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는 완충부;
상기 완충부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스프링들과 밀착되는 에어블래더; 및
상기 에어블래더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들은 상기 완충부의 양측부터 안쪽을 향해 배치되면서 점진적으로 크기가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들 각각은,
전방을 향해 아치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에어블래더와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들 각각은,
상기 완충부의 안쪽을 향해 배치될수록 상기 스프링들의 돌출되는 거리가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시트백프레임과 결합되고, 전면은 상기 스프링들과 결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장치는,
상기 완충부의 일측 또는 타측에서 상기 시트백프레임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8828A KR102259893B1 (ko) | 2019-12-17 | 2019-12-17 | 럼버 서포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8828A KR102259893B1 (ko) | 2019-12-17 | 2019-12-17 | 럼버 서포트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59893B1 true KR102259893B1 (ko) | 2021-06-02 |
Family
ID=76372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8828A KR102259893B1 (ko) | 2019-12-17 | 2019-12-17 | 럼버 서포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989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122757A1 (en) | 2021-07-23 | 2023-01-25 | Daechang Seat Co., Ltd.-Dongtan | Lumbar support assembly |
KR20230110389A (ko) | 2022-01-14 | 2023-07-24 |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 럼버 서포트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체크밸브부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205468A (ja) * | 2013-04-16 | 2014-10-30 | トヨタ紡織株式会社 | 乗物用シート |
JP2014213739A (ja) * | 2013-04-25 | 2014-11-17 |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 乗物用シート |
JP2015054573A (ja) * | 2013-09-11 | 2015-03-23 | トヨタ紡織株式会社 | 乗物用シート |
KR101701141B1 (ko) * | 2015-09-15 | 2017-02-01 | (주)디에스시 | 에어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
JP2017121935A (ja) * | 2017-04-13 | 2017-07-13 |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 乗物用シート |
JP2018020659A (ja) * | 2016-08-03 | 2018-02-08 | 株式会社タチエス | 車両用シートのエアクッション |
-
2019
- 2019-12-17 KR KR1020190168828A patent/KR10225989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205468A (ja) * | 2013-04-16 | 2014-10-30 | トヨタ紡織株式会社 | 乗物用シート |
JP2014213739A (ja) * | 2013-04-25 | 2014-11-17 |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 乗物用シート |
JP2015054573A (ja) * | 2013-09-11 | 2015-03-23 | トヨタ紡織株式会社 | 乗物用シート |
KR101701141B1 (ko) * | 2015-09-15 | 2017-02-01 | (주)디에스시 | 에어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
JP2018020659A (ja) * | 2016-08-03 | 2018-02-08 | 株式会社タチエス | 車両用シートのエアクッション |
JP2017121935A (ja) * | 2017-04-13 | 2017-07-13 |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 乗物用シート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122757A1 (en) | 2021-07-23 | 2023-01-25 | Daechang Seat Co., Ltd.-Dongtan | Lumbar support assembly |
KR20230015637A (ko) | 2021-07-23 | 2023-01-31 |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
KR20230110389A (ko) | 2022-01-14 | 2023-07-24 |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 럼버 서포트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체크밸브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11944B2 (ja) | 車両用シート | |
KR102259893B1 (ko) | 럼버 서포트 장치 | |
JP7454117B2 (ja) | ヘッドレストとそれを用いた車両用シート | |
JP4087854B2 (ja) | シート・バック | |
WO2014027643A1 (ja) | 車両用シート | |
US11485260B2 (en) | Lumbar support assembly | |
CN104044491A (zh) | 车辆座椅的座椅靠背 | |
KR101220918B1 (ko) | 자동차 시트용 허리 서스펜션 어셈블리 | |
JP7448850B2 (ja) | 乗物用シート | |
KR100534957B1 (ko) |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 |
JP2000201769A (ja) | 自動車用シ―トバック | |
JP2000210157A (ja) | 自動車用シ―トバック | |
WO2018056144A1 (ja) | 吸排気バルブ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装置 | |
JP6070433B2 (ja) | 乗物用シート | |
JP6962122B2 (ja) | 乗物用シートバック | |
CN216268841U (zh) | 一种汽车座椅减振系统 | |
JP6096038B2 (ja) | 車両用シート | |
JP2024052480A (ja) | 乗物用シート | |
JP6624247B2 (ja) | 乗物用シート | |
KR101199907B1 (ko) | 자동차 시트용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 | |
JP2595298Y2 (ja) | シートの面状ばね構造 | |
JP2024083196A (ja) | 乗物用シート | |
KR100520209B1 (ko) | 자동차용 시트쿠션 프레임 | |
JP2020199952A (ja) | シートバック | |
CN114872598A (zh) | 座椅通风系统和座椅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