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5637A -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15637A KR20230015637A KR1020210097023A KR20210097023A KR20230015637A KR 20230015637 A KR20230015637 A KR 20230015637A KR 1020210097023 A KR1020210097023 A KR 1020210097023A KR 20210097023 A KR20210097023 A KR 20210097023A KR 20230015637 A KR20230015637 A KR 202300156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vertical
- frame
- mat
- support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7—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 B60N2/6671—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with cable actu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7—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 B60N2/6673—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with motor driven adjust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7—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Flexible Shaf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서로 교차되며 연결되는 와이어들을 고정시키는 수직프레임들을 사출 성형으로 제작하여 중량 및 제작비용이 감소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는 와이어로 연결된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고 시트프레임과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매트, 각각의 일단은 상기 시트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상기 매트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케이블들을 포함하는 텐션부 및 상기 매트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을 당기거나 밀어내도록 형성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는 와이어로 연결된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고 시트프레임과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매트, 각각의 일단은 상기 시트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상기 매트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케이블들을 포함하는 텐션부 및 상기 매트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을 당기거나 밀어내도록 형성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트프레임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트는 탑승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쿠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 탑승자의 팔을 거치할 수 있는 암레스트 및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가 설치될 수 있고, 탑승자의 제어를 통해 탑승자에게 적합한 형태로 조절할 수 있다.
종래에는 탑승자의 신체에 적합한 시트포지션을 위해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가 개발되고 있으나 전기자동차의 보급으로 연비 개선을 위해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중량을 개선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57461호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59893호는 럼버 서포트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중량을 감소시키는데 한계가 있고 중량 감소와 함께 조립편의성을 함께 개선시키는 발명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서로 교차되며 연결되는 와이어들을 고정시키는 수직프레임들을 사출 성형으로 제작하여 중량 및 제작비용이 감소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는 와이어로 연결된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고 시트프레임과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매트, 각각의 일단은 상기 시트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상기 매트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케이블들을 포함하는 텐션부 및 상기 매트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을 당기거나 밀어내도록 형성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매트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수직프레임들, 상기 수직프레임들에 인서트되는 수직와이어들 및 상기 수직프레임들과 교차되면서 상기 수직와이어와 결합되는 수평와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와이어들 각각의 일측 및 타측 일부분은 고리 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수직와이어들을 둘러싸면서 상기 수직프레임에 인서트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는 일단은 양측으로 연장된 원통 형태로 상기 매트와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의 양끝단 일부분이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동부와 걸림턱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마운팅 클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텐션부는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의 일단이 인서트된 상태에서 압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과 결합되고 타단은 고리 형태로 연장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의 타단이 삽입되고, 외측에 복수의 걸림판들이 연장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시트프레임에 걸림턱 결합되는 다단후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는 매트의 수직와이어들의 일부분이 시트프레임의 상부를 관통하면서 시트프레임과 결합되기 때문에 기존의 스프링이 불필요하고 제작단가 및 중량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는 매트를 구성하는 그물망 형태의 수직와이어 및 수평와이어들이 사출성형을 통해 수직프레임과 결합되기 때문에 제작편의성이 개선되고 중량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는 수평와이어의 양끝단이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와이어들과 결합된 상태에서 사출성형으로 제작되는 씰링부재들에 의해 고정되어 내구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는 구동부가 매트의 하부 중앙에 결합되기 때문에 매트의 좌우 중량 밸런스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매트에 사출 성형으로 결합되는 마운팅 클립부에 형성된 4개의 클립들에 의해 구동부가 견고하게 매트에 결합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텐션부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케이블은 기존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케이블 고정구조와 다르게 후크 및 다단후크를 통해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시트프레임과 결합되어 조립편의성이 개선되고 중량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1의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구동을 나타내는 측면도들.
도 2는 도 1의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1의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구동을 나타내는 측면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6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100)는 매트(200), 구동부(300) 및 텐션부(400)를 포함한다.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100)는 구동부(300)를 구성하는 부품의 개수, 부피 및 중량을 감소시켜 낮은 중량을 가지고, 매트(200) 하부의 전방 또는 후방 이동을 제어하여 다양한 체형을 가진 탑승자의 상체를 편안하게 지지한다.
시트프레임(10)은 일측프레임(11), 타측프레임(12), 상부프레임(13) 및 하부프레임(14)을 포함한다.
상부프레임(13)의 일측 및 타측에는 상부프레임(13)을 관통하는 상부홀(13a, 13b)이 각각 형성되고, 상부홀(13a, 13b)들 각각은 중앙의 원형의 홀의 양측에 상대적으로 작은홀들이 연결된 십자형태로 형성된다.
상부프레임(13)의 안쪽에 위치하는 상기 작은홀들은 상부프레임(13)의 외측에 위치하는 작은홀들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되고, 제1 및 제2 수직와이어(230, 240)가 회동되는 경우 여유공간을 제공하여 제1 및 제2 수직와이어(230, 240)의 안정적인 회동을 가능케한다.
보강리브(13c, 13d)들 각각은 상부홀(13a, 13b)들 각각의 하부에 해당되는 반원형태의 상부프레임(13)의 일부분이 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1 및 제2 수직와이어(230, 240)가 회동되는 과정에서 상부프레임(13)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조홀(15, 16)들 각각은 상부홀(13a, 13b)들 각각의 상부에 이격된 위치의 상부프레임(13)의 배면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부홀(13a, 13b)들을 대신하여 제1 및 제2 수직와이어(230, 240)를 고정시키는데 사용된다.
제1 및 제2 수직와이어(230, 240)들이 보조홀(15, 16)들을 통해 상부프레임(13)과 결합되는 경우, 매트(200) 자체의 상단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탑승자의 체형에 적합하도록 사용될 수 있고, 상부홀(13a, 13b)들이 파손된 경우에 보조용으로 사용된다.
매트(200)는 금속 또는 고분자 와이어로 제작되는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은 상부프레임(13)에 회동 결합되며, 매트(200)의 하단은 상단을 축으로 시트프레임(10) 안쪽의 공간에서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이동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매트(200)는 제1 수직프레임(210), 제2 수직프레임(220), 제1 수직와이어(230), 제2 수직와이어(240), 제3 수직프레임(250), 수평와이어(260), 제1 지지와이어(270), 제1 연결와이어(275), 제2 지지와이어(277), 제3 지지와이어(280), 제2 연결와이어(285), 제4 지지와이어(287), 제1 마운팅 클립부(290) 및 제2 마운팅 클립부(295)를 포함한다.
제1 수직프레임(210)의 일단은 일측프레임(11)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프레임(13)의 하부에 해당되는 위치까지 소정의 거리만큼 상부를 향해 연장된다.
제2 수직프레임(210)의 일단은 타측프레임(12)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프레임(13)의 하부에 해당되는 위치까지 제1 수직프레임(210)과 평행하게 상부를 향해 연장된다.
제1 수직와이어(230)의 일단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수직프레임(210)의 일단 내부에 인서트되고, 중앙부는 제1 수직프레임(210)의 타단 내부에서 제1 수직프레임(210)의 타단까지 연장된다.
제1 수직와이어(230)의 타단은 제1 수직프레임(210)의 타단부터 타측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부프레임(13)의 전방에서 상부홀(13a)을 관통하고 제1 수직와이어(230)의 타단 끝단은 상부프레임(13)의 후방에서 보조홀(15)의 상부까지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제2 수직와이어(240)의 일단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수직프레임(220)의 일단 내부에 인서트되고, 중앙부는 제2 수직프레임(220)의 타단 내부에서 제2 수직프레임(220)의 타단까지 연장된다.
제2 수직와이어(240)의 타단은 제2 수직프레임(220)의 타단부터 일측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부프레임(13)의 전방에서 상부홀(13b)을 관통하고 제2 수직와이어(240)의 타단 끝단은 상부프레임(13)의 후방에서 보조홀(16)의 상부까지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수직와이어(230, 240)의 일단이 구동부(300) 및 텐션부(400)에 의해 전방을 향해 이동되면, 제1 및 제2 수직와이어(230, 240)의 타단 끝단은 상부프레임(13)의 후방에서 하부를 향해 이동되어 보강리브(13c, 13d) 각각과 밀착된다.
제3 수직프레임(250)의 일단은 제1 및 제2 수직프레임(210, 220)의 사이에서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제1 및 제2 수직프레임(210, 220)보다 낮은 수평선상까지 연장된다.
제3 수직프레임(250)에는 후술될 수평와이어(260)들이 인서트되는 수평프레임(251)이 제3 수직프레임(25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수평프레임(251)들 각각은 제3 수직프레임(250)의 내부공간과 연결되고, 제3 수직프레임(250)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서 제3 수직프레임(250)의 일측 및 타측 각각을 향해 돌출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수평와이어(260)의 일단은 전방을 향해 반원형태로 돌출된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수직와이어(230)의 타측, 전방 및 일측과 밀착되고, 제1 수직프레임(210)에 형성된 씰링부재(211)를 통해 제1 수직와이어(230)와 결합된다.
씰링부재(211)들 각각은 수평프레임(251)들 각각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형성되고, 제1 수직프레임(210)의 외측면에서 환 형태로 확장되어 수평와이어(260)의 일단 및 제1 수직와이어(230)의 일부분을 밀봉시킨다.
씰링부재(211)의 일단은 수평와이어(260)의 일단 및 제1 수직와이어(230)의 일부분을 밀봉시키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의 일측면 일부분이 타측 및 후방을 향해 축소되며 연장되어 수평와이어(260)의 중앙부 일부분을 밀봉시킨다.
따라서, 탑승자의 중량이 수평와이어(260)에 가해지는 경우, 수평와이어(260)의 일단이 제1 수직와이어(230)를 축으로 회동되고, 수평와이어(260)의 일단과 인접한 수평와이어(260)의 중앙부가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으로 발생될 수 있는 수평와이어(260) 및 제1 수직와이어(230) 사이의 결합력 저하는 씰링부재(211)에 의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수평와이어(260)의 중앙부는 일단에서 타측을 향해 와이어 형태로 연장되어 수평프레임(251)들 및 제3 수직프레임(250)을 관통한 후 제2 수직프레임(220)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된다.
수평와이어(260)의 타단은 전방을 향해 반원 형태로 돌출된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수직와이어(240)의 일측, 전방 및 타측과 밀착되고, 제2 수직프레임(220)에 형성된 씰링부재(221)를 통해 제2 수직와이어(240)와 결합된다.
씰링부재(221)들 각각은 수평프레임(251)들 각각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형성되고, 제2 수직프레임(220)의 외측면에서 환 형태로 외측을 향해 확장되어 수평와이어(260)의 타단 및 제2 수직와이어(240)의 일부분을 밀봉시킨다.
씰링부재(221)의 일단은 수평와이어(260)의 타단 및 제2 수직와이어(240)의 일부분을 밀봉시키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의 일측면이 일측 및 후방을 향해 축소되며 연장되어 수평와이어(260)의 중앙부 일부분을 밀봉시킨다.
따라서, 탑승자의 중량이 수평와이어(260)에 가해지는 경우, 수평와이어(260)의 타단이 제2 수직와이어(240)를 축으로 회동되고, 수평와이어(260)의 타단에 인접한 수평와이어(260)의 중앙부가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으로 발생될 수 있는 수평와이어(260) 및 제2 수직와이어(240) 사이의 결합력 저하는 씰링부재(221)에 의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수평와이어(260)들 각각은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서 동일한 결합구조로 제1 수직와이어(230), 제3 수직프레임(250) 및 제2 수직와이어(240)와 결합되고, 시트프레임(10)의 상하부 길이에 따라 개수는 감소 또는 증가될 수 있다.
씰링부재(211, 221)들 각각은 제1 및 제2 수직프레임(210, 220)들 각각의 연장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수평와이어(260)들과 결합된다.
제1 지지와이어(270)의 일단은 전방을 향해 반원형태로 돌출된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수직와이어(230)의 타측, 전방 및 일측과 밀착되고, 제1 수직프레임(210)에 형성된 씰링부재(211)를 통해 제1 수직와이어(230)와 결합된다.
제1 지지와이어(270)의 중앙부는 일단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제1 지지와이어(270)의 타단은 중앙부에서 타측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제1 연결와이어(275)의 일단과 연결된다.
제1 연결와이어(275)의 일단은 와이어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지지와이어(270)의 타단과 연결되고, 중앙부는 제1 마운팅 클립부(290)를 관통하며 타측을 향해 연장되며 타단은 제2 지지와이어(277)의 타단과 연결된다.
제2 지지와이어(277)의 일단은 전방을 향해 반원형태로 돌출된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수직와이어(240)의 일측, 전방 및 타측과 밀착되고, 제2 수직프레임(220)에 형성된 씰링부재(221)를 통해 제2 수직와이어(240)와 결합된다.
제2 지지와이어(277)의 중앙부는 일단에서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제2 지지와이어(277)의 타단은 중앙부에서 일측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제1 연결와이어(275)의 타단과 연결된다.
제3 지지와이어(280)의 일단은 제1 지지와이어(270)의 상부에서 전방을 향해 반원형태로 돌출된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수직와이어(230)의 타측, 전방 및 일측과 밀착되고, 제1 수직프레임(210)에 형성된 씰링부재(211)를 통해 제1 수직와이어(230)와 결합된다.
제3 지지와이어(280)의 중앙부는 일단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제3 지지와이어(280)의 타단은 중앙부에서 타측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제2 연결와이어(285)의 일단과 연결된다.
제2 연결와이어(285)의 일단은 와이어 형태로 형성되어 제3 지지와이어(280)의 타단과 연결되고, 중앙부는 제2 마운팅 클립부(295)를 관통하며 타측을 향해 연장되며 타단은 제4 지지와이어(287)의 타단과 연결된다.
제4 지지와이어(287)의 일단은 전방을 향해 반원형태로 돌출된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수직와이어(240)의 일측, 전방 및 타측과 밀착되고, 제2 수직프레임(220)에 형성된 씰링부재(221)를 통해 제2 수직와이어(240)와 결합된다.
제4 지지와이어(287)의 중앙부는 일단에서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제4 지지와이어(287)의 타단은 중앙부에서 일측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제2 연결와이어(285)의 타단과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지지와이어(270, 277)들은 제1 연결와이어(275)를 통해 연결되어 계단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마운팅 클립부(290)에 연결된 구동부(300)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구동부(300)의 중량에 의한 제1 및 제2 지지와이어(270, 277)들의 변형이 방지된다.
또한, 제3 및 제4 지지와이어(280, 287)들은 제2 연결와이어(285)를 통해 연결되어 계단 형태로 형성되고, 제2 마운팅 클립부(295)에 연결된 구동부(300)의 상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구동부(300)의 중량에 의해 제3 및 제4 지지와이어(280, 287)들의 변형이 방지된다.
제1 마운팅 클립부(290)는 제1 마운팅 클립(291), 제1 연결부재(292) 및 제1 마운팅 클립(293)을 포함한다.
제1 마운팅 클립부(290)의 일단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된 원통형태의 제1 연결부재(292)가 제1 연결와이어(275)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제1 연결부재(292)의 양끝단의 일부분이 후방으로 돌출되어 구동부(300)와 걸림턱 결합된다.
제1 연결부재(292)의 일단은 제1 연결와이어(275)의 일단이 내부에 인서트되도록 일측 및 타측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제3 수직프레임(250)과 연결된 상태로 타측으로 원통 형태로 연장되어 제1 연결와이어(275)의 타단을 커버한다.
제1 마운팅 클립(291)의 일단은 상하부 일부가 후방으로 절곡된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연결부재(292)의 일단 끝단 배면에 결합되고, 중앙부는 일단의 중앙 일부가 전방으로 스틱 형태로 연장되며, 타단은 전방을 향해 걸림면이 향하는 걸림턱들이 형성된다.
제1 마운팅 클립(293)의 일단은 상하부 일부가 후방으로 절곡된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연결부재(292)의 타단 끝단 배면에 결합되고, 중앙부는 일단의 중앙 일부가 전방으로 스틱 형태로 연장되며, 타단은 전방을 향해 걸림면이 향하는 걸림턱들이 형성된다.
제2 마운팅 클립부(295)는 제2 마운팅 클립(296), 제2 연결부재(297) 및 제2 마운팅 클립(298)을 포함한다.
제2 마운팅 클립부(295)의 일단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된 원통형태의 제2 연결부재(297)가 제2 연결와이어(285)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연결부재(297)의 양끝단의 일부분이 후방으로 돌출되어 구동부(300)와 걸림턱 결합된다.
제2 연결부재(297)의 일단은 제2 연결와이어(285)의 일단이 내부에 인서트되도록 일측 및 타측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제3 수직프레임(250)과 교차되며 연결된 상태로 타측으로 원통 형태로 연장되어 제2 연결와이어(285)의 타단을 커버한다.
제2 마운팅 클립(296)의 일단은 상하부 일부가 후방으로 절곡된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연결부재(297)의 일단 끝단 배면에 결합되고, 중앙부는 일단의 중앙 일부가 전방으로 스틱 형태로 연장되며, 타단 외측에는 전방을 향해 걸림면이 형성되는 걸림턱들이 부착된다.
제2 마운팅 클립(298)의 일단은 상하부 일부가 후방으로 절곡된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연결부재(297)의 타단 끝단 배면에 결합되고, 중앙부는 일단의 중앙 일부가 전방으로 스틱 형태로 연장되며, 타단 외측에는 전방을 향해 걸림면이 형성되는 걸림턱들이 부착된다.
제1 수직프레임(210), 제2 수직프레임(220), 제3 수직프레임(250), 씰링부재(211, 221)들, 수평프레임(251)들, 제1 마운팅 클립부(290) 및 제2 마운팅 클립부(295)는 제1 수직와이어(230), 제2 수직와이어(240), 수평와이어(260), 제1 지지와이어(270), 제1 연결와이어(275), 제2 지지와이어(277), 제3 지지와이어(280), 제2 연결와이어(285) 및 제4 지지와이어(287)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사출 성형을 통해 제작된다.
따라서, 제1 수직프레임(210), 제2 수직프레임(220), 제3 수직프레임(250), 씰링부재(211, 221)들, 수평프레임(251)들, 제1 마운팅 클립부(290) 및 제2 마운팅 클립부(295)는 제작이 간편하면서 제1 수직와이어(230), 제2 수직와이어(240), 수평와이어(260), 제1 지지와이어(270), 제1 연결와이어(275), 제2 지지와이어(277), 제3 지지와이어(280), 제2 연결와이어(285) 및 제4 지지와이어(287)의 내구성을 개선시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1 지지와이어(270), 제1 연결와이어(275) 및 제2 지지와이어(277)는 서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제3 지지와이어(280), 제2 연결와이어(285) 및 제4 지지와이어(287)는 서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300)는 제1 또는 제2 마운팅 클립부(290 295)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매트(20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지와이어(270), 제1 연결와이어(275) 및 제2 지지와이어(277)는 서로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경우 중앙 일부가 상부를 향해 사다리꼴 형태로 돌출된 제1 사다리꼴 수평와이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3 지지와이어(280), 제2 연결와이어(285) 및 제4 지지와이어(287)는 서로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경우 중앙 일부가 하부를 향해 사다리꼴 형태로 돌출된 제2 사다리꼴 수평와이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사다리꼴 수평와이어들의 양끝단은 수평와이어(260)의 일단 및 타단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씰링부재(211, 221)를 통해 제1 및 제2 수직와이어(230, 240)와 결합되므로, 구동부(300)에 가해지는 외력의 충격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시트프레임(10)에 외력이 가해져 구동부(300)가 흔들리는 경우 제1 및 제2 연결와이어(275, 285)들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거나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될 수 있는데 씰링부재(211, 221)들이 제1 및 제2 지지와이어(270, 277)들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때문에 제1 및 제2 지지와이어(270, 277)들이 제1 및 제2 수직와이어(230, 240)를 축으로 회동하거나 제1 및 제2 수직와이어(230, 240)를 따라 상하부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구동부(300)는 베이스프레임(310), 액츄에이터(320), 리드스크류(330), 제1 너트(340), 제2 너트(350) 및 커버프레임(360)을 포함한다.
구동부(300)는 매트(200)의 후방 하부 중앙에 결합되고, 텐션부(400)의 제1 및 제2 케이블(410, 420)들의 타단과 연결되어 제1 및 제2 케이블(410, 420)들을 당기거나 일측 및 타측으로 제1 및 제2 케이블(410, 420)들 각각을 밀어내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프레임(310)은 사각프레임 형태로 형성되고, 매트(200)의 후방에서 베이스프레임(310) 및 커버프레임(360)을 관통하는 제1 마운팅 클립(291, 293) 및 제2 마운팅 클립(296, 298)들과 걸림턱 결합된다.
액츄에이터(320)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베이스프레임(310)의 타측에 연결되고, 베이스프레임(310)의 후방에서 회동되는 리드스크류(330)와 기어 연결된다.
리드스크류(330)의 일단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베이스프레임(310)의 후방에서 액츄에이터(320)와 기어 연결되고, 타단은 일측을 향해 연장된다.
리드스크류(330)의 일단 외측면에는 타측에서 일측을 향해 정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리드스크류(330)의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된다.
리드스크류(330)의 타단 외측면에는 리드스크류(330)의 중앙에서 일측을 향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리드스크류(330)의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1 너트(340)는 리드스크류(330)의 타단 외측면에 형성된 제2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고, 제2 너트(350)는 리드스크류(330)의 일단 외측면에 형성된 제1 나사산과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리드스크류(330)가 액츄에이터(320)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 너트(350)는 베이스프레임(310) 및 커버프레임(360)과 밀착된 상태로 일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되고, 제1 너트(340)는 베이스프레임(310) 및 커버프레임(360)과 밀착된 상태로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또한, 리드스크류(330)가 액츄에이터(320)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 너트(350)는 베이스프레임(310) 및 커버프레임(360)과 밀착된 상태로 타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되고, 제1 너트(340)는 베이스프레임(310) 및 커버프레임(360)과 밀착된 상태로 일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커버프레임(360)은 제1 마운팅 클립(291, 293) 및 제2 마운팅 클립(296, 298)들을 통해 베이스프레임(310)과 결합되면서 제1 및 제2 너트(340, 350)의 배면과 밀착된다.
텐션부(400)는 제1 케이블(410), 제2 케이블(420), 후크(430)들, 다단후크(440)들 및 케이블 클립(450)들을 포함한다.
텐션부(400)는 일측프레임(11) 및 타측프레임(12)에 각각 결합된 케이블들이 구동부(300)를 향해 연장되어 구동부(300) 내부의 너트들과 연결되고, 구동부(3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케이블들이 구동부(300)의 내부로 이동되거나 외측으로 밀려나면서 매트(200)의 하부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 케이블(410)의 일단은 후크(430) 및 다단후크(440)를 통해 일측프레임(11)의 전방에 결합되고, 중앙부는 타측 및 후방으로 연장된 후 케이블 클립(450)을 통해 제1 수직프레임(210)의 안쪽에 형성된 결합판(215)과 결합된다.
제1 케이블(410)의 타단은 중앙부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베이스프레임(310) 및 커버프레임(360)의 사이로 삽입되고, 제1 너트(340)의 하부에 결합된다.
제2 케이블(420)의 일단은 후크(430) 및 다단후크(440)를 통해 타측프레임(12)의 전방에 결합되고, 중앙부는 일측 및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후 케이블 클립(450)을 통해 제2 수직프레임(220)의 안쪽에 형성된 결합판(225)과 결합된다.
제2 케이블(420)의 타단은 중앙부에서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베이스프레임(310) 및 커버프레임(360)의 사이로 삽입되고, 제2 너트(350)의 하부에 결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후크(430)의 일단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또는 제2 케이블(410, 420)의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고리 형태로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다단후크(440)에 삽입된다.
작업자는 제1 또는 제2 케이블(410, 420)의 일단을 후크(430)의 일단 내부에 삽입시키고, 후크(430)의 일단을 압착하여 제1 또는 제2 케이블(410, 420)을 후크(430)와 결합시킨다.
후크(430)는 금속, 고분자 또는 복합소재로 제작이 가능하고, 압착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면 제1 또는 제2 케이블(410, 420)과 견고하게 결합된다.
다단후크(440)의 일단은 후크(430)의 일단을 둘러싸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일측프레임(11) 또는 타측프레임(12)과 후크(430)의 사이에서 일측프레임(11) 또는 타측프레임(12)의 전방을 향해 절곡되며 연장된다.
다단후크(440)의 타단은 중앙부에서 일측프레임(11) 또는 타측프레임(12)의 전면을 관통하는 원통 형태로 후방을 향해 연장되고, 다단후크(440)의 타단 외측면에는 일측프레임(11) 또는 타측프레임(12)과 걸림턱 결합되는 걸림판(445)들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걸림판(445)들 각각은 반원 형태로 다단후크(440)의 타단 일측면 및 타측면을 둘러싸고, 다단후크(440)의 타단 일측면 및 타측면을 둘러싼 걸림판(445)들의 걸림판 유닛은 다단후크(440)의 타단 외측면을 따라 후방을 향해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후크(430)의 타단이 다단후크(440)의 타단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다단후크(440)의 타단이 일측프레임(11) 또는 타측프레임(12)과 걸림턱 결합되고, 상기 걸림판 유닛들이 일측프레임(11) 또는 타측프레임(12)의 후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후크(430) 및 다단후크(440)는 일측프레임(11) 또는 타측프레임(1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320)의 구동으로 제1 및 제2 너트(340, 350)가 서로를 향해 이동되면, 제1 및 제2 케이블(410, 420)이 당겨지고, 제1 및 제2 케이블(410, 420)의 장력에 의해 매트(200)의 하부가 전방으로 이동된다.
반대로, 액츄에이터(320)의 구동으로 제1 및 제2 너트(340, 350)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 및 제2 케이블(410, 420)이 일측 및 타측으로 밀려나고, 제1 및 제2 케이블(410, 420)의 장력이 풀어지면서 매트(200)의 하부가 후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매트(200)는 와이어로 그물망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중량이 낮아 시트자체의 중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면서 사출 성형을 통해 신속하게 제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200: 매트 300: 구동부
400: 텐션부
200: 매트 300: 구동부
400: 텐션부
Claims (5)
- 와이어로 연결된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고 시트프레임과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매트;
각각의 일단은 상기 시트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상기 매트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케이블들을 포함하는 텐션부 및
상기 매트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을 당기거나 밀어내도록 형성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수직프레임들, 상기 수직프레임들에 인서트되는 수직와이어들 및 상기 수직프레임들과 교차되면서 상기 수직와이어와 결합되는 수평와이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와이어들 각각의 일측 및 타측 일부분은,
고리 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수직와이어들을 둘러싸면서 상기 수직프레임에 인서트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은 양측으로 연장된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매트와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의 양끝단 일부분이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동부와 걸림턱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마운팅 클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는,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의 일단이 인서트된 상태에서 압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과 결합되고 타단은 고리 형태로 연장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의 타단이 삽입되고, 외측에 복수의 걸림판들이 연장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시트프레임에 걸림턱 결합되는 다단후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7023A KR20230015637A (ko) | 2021-07-23 | 2021-07-23 |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
JP2021180151A JP2023016667A (ja) | 2021-07-23 | 2021-11-04 | ランバーサポートアセンブリ |
EP21206862.1A EP4122757B1 (en) | 2021-07-23 | 2021-11-08 | Lumbar support assembly |
US17/521,152 US20230025228A1 (en) | 2021-07-23 | 2021-11-08 | Lumbar Support Assembly |
CN202111317871.2A CN115675222A (zh) | 2021-07-23 | 2021-11-09 | 腰部支撑体总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7023A KR20230015637A (ko) | 2021-07-23 | 2021-07-23 |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5637A true KR20230015637A (ko) | 2023-01-31 |
Family
ID=78536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7023A KR20230015637A (ko) | 2021-07-23 | 2021-07-23 |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025228A1 (ko) |
EP (1) | EP4122757B1 (ko) |
JP (1) | JP2023016667A (ko) |
KR (1) | KR20230015637A (ko) |
CN (1) | CN115675222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7461B1 (ko) | 2018-04-26 | 2019-12-20 |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
KR102259893B1 (ko) | 2019-12-17 | 2021-06-02 |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 럼버 서포트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110138A1 (de) * | 2001-03-02 | 2002-09-05 | Schwarzbich Joerg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ordosenstütze |
WO2006081865A1 (de) * | 2005-02-02 | 2006-08-10 | Schukra Gerätebau AG | Lordosenstütz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ordosenstütze |
EP1688065B1 (en) * | 2005-02-07 | 2008-11-12 | L&P Swiss Holding Company | Lumbar support device |
US7585027B2 (en) * | 2006-04-07 | 2009-09-08 | Schukra Of North America | Overmolded thin-profile lumbar support |
US8840186B2 (en) * | 2007-11-07 | 2014-09-23 | L&P Swiss Holding Ag | Support assembly and corresponding seat structure |
US7841662B2 (en) * | 2007-11-07 | 2010-11-30 | L&P Swiss Holding Company | Support assembly and corresponding seat structure |
US7874616B2 (en) * | 2008-09-18 | 2011-01-25 | Lear Corporation | Horizontal lumbar suspension for vehicle seats |
US9193287B2 (en) * | 2012-09-13 | 2015-11-24 | Leggett & Platt Canada Co. | Lumbar support system |
US9193280B2 (en) * | 2012-09-13 | 2015-11-24 | Leggett & Platt Canada Co. | Lumbar support system |
JP6225650B2 (ja) * | 2013-11-12 | 2017-11-08 | コクヨ株式会社 | 椅子 |
EP2910415B1 (en) * | 2014-02-25 | 2018-11-07 | Schukra Gerätebau GmbH | Actuator assembly and method for seat adjustment |
WO2016094412A1 (en) * | 2014-12-08 | 2016-06-16 | Kongsberg Automotive, Inc. | Assembly for adjusting a lumbar region of a seat |
US10427569B2 (en) * | 2015-01-26 | 2019-10-01 | Kongsberg Automotive, Inc. | Adjustment mechanism for a seat |
KR101545928B1 (ko) * | 2015-04-03 | 2015-08-20 | (주)디에스시 |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
US9604560B1 (en) * | 2015-11-13 | 2017-03-28 | Kongsberg Automotive, Inc. | Assembly for adjusting a lumbar region of a seat |
KR102179955B1 (ko) * | 2019-05-31 | 2020-11-17 |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
WO2022053702A1 (en) * | 2020-09-14 | 2022-03-17 | Kompan A/S | A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a rope to a tubular frame |
-
2021
- 2021-07-23 KR KR1020210097023A patent/KR2023001563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1-11-04 JP JP2021180151A patent/JP2023016667A/ja active Pending
- 2021-11-08 US US17/521,152 patent/US2023002522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21-11-08 EP EP21206862.1A patent/EP4122757B1/en active Active
- 2021-11-09 CN CN202111317871.2A patent/CN115675222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7461B1 (ko) | 2018-04-26 | 2019-12-20 |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
KR102259893B1 (ko) | 2019-12-17 | 2021-06-02 |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 럼버 서포트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3016667A (ja) | 2023-02-02 |
CN115675222A (zh) | 2023-02-03 |
US20230025228A1 (en) | 2023-01-26 |
EP4122757A1 (en) | 2023-01-25 |
EP4122757B1 (en) | 2024-04-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023316B2 (ja) | ランバーサポートアセンブリ | |
US8506011B2 (en) |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assembling method | |
US20050046252A1 (en) | Occupant centering ergonomic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 |
JP2001128785A (ja) | 椅 子 | |
CN107567395B (zh) | 用于交通工具座椅的适配器装置以及交通工具座椅 | |
RU2715917C2 (ru) | Однопроволочное ограничивающее кручение нижнее крепление сиденья | |
CN112294004A (zh) | 一种座椅联动支架结构 | |
KR20230015637A (ko) |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 |
JP5351300B2 (ja) | シートバックグリップの取付構造 | |
JP7295627B2 (ja) | 椅子 | |
CN213640252U (zh) | 一种座椅联动支架结构 | |
JP2023122112A5 (ko) | ||
JP6165533B2 (ja) | 乗物用シート | |
JP2000309237A (ja) | シートの上下調節装置付き車両用シートフレーム | |
CN201484236U (zh) | 一种汽车后排座椅侧扶手 | |
CN217496376U (zh) | 车架和代步车 | |
US20220314845A1 (en) | Support driver for seat and support assembly including same | |
JP3292921B2 (ja) | 自動車のベンチタイプシート | |
JP5216492B2 (ja) | アクティブヘッドレスト付き車両用シートバック | |
JP2004159712A (ja) | 椅子における背凭れ等の取付構造 | |
JP7121577B2 (ja) | 椅子 | |
CN2801611Y (zh) | 自行车导线座结构 | |
JP2000300380A (ja) | 車両用座席フレーム | |
CN105270230B (zh) | 双向电动腰部支撑件以及包括它的座椅 | |
JP2000300382A (ja) | 車両用シートフレームの取付フレー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