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450B1 -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450B1
KR102259450B1 KR1020197030648A KR20197030648A KR102259450B1 KR 102259450 B1 KR102259450 B1 KR 102259450B1 KR 1020197030648 A KR1020197030648 A KR 1020197030648A KR 20197030648 A KR20197030648 A KR 20197030648A KR 102259450 B1 KR102259450 B1 KR 102259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temperature
less
base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0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9956A (ko
Inventor
료스케 사카이
슌이치 다치바나
??이치 다치바나
요타 구로누마
도모유키 요코타
가즈쿠니 하세
사토시 이기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367598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25945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9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4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4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by means of a rolling m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all layers being formed of iron alloys or st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one layer being formed of an iron alloy or steel, another layer being formed of a metal other than iron or aluminium
    • B32B15/01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one layer being formed of an iron alloy or steel, another layer being formed of a metal other than iron or aluminium the said other metal being copper or nickel or an alloy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8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S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C22C19/05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C22C19/05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 C22C19/051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and Mo or W
    • C22C19/055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and Mo or W with the maximum Cr content being at least 20% but less than 3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1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nickel or cobalt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모재 강판의 편면에, 내식성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클래딩재가 접합되어 있는 클래드 강판에 있어서, 모재 강판이 소정의 성분 조성을 갖고, 또한, 모재 강판이, 모재 강판의 판두께 방향의 판두께 1/2 위치에 있어서, 면적률로 94 % 이상인 베이나이트와 6 % 이하인 섬상 마텐자이트를 가지며, 베이나이트의 평균 결정 입경이 25 ㎛ 이하인, 강 조직을 갖고, 또한, 모재 강판과 클래딩재의 접합 계면 전단 강도를 300 MPa 이상으로 한다.

Description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 방법{CLAD STEEL PLAT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특별히 라인 파이프에 적합한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클래드 강판이란, 탄소강 등의 모재 강판에, 내식성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클래딩재를 접착시킨 강판으로, 이러한 클래드 강판은, 고가의 합금 원소의 사용량을 억제하면서 무구재 (無垢材) 와 동등한 내식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성이 높다는 이점을 갖는다.
최근, 석유나 천연 가스의 개발은, 심각한 부식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지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석유나 천연 가스의 경제적인 수송을 가능하게 하는 라인 파이프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리고, 클래드 강판, 그 중에서도 Ni 기 합금 클래드 강판이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클래드 강판에는, 그 내식성의 향상 때문에 심각한 부식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라인 파이프 용도로서의 수요가 기대되고 있다.
여기서, 라인 파이프용 클래드 강판에는, 클래딩재의 내식성과 동시에, 소정의 기계적 특성, 특히 파이프 라인의 취성 파괴 방지 관점에서 우수한 저온 인성을 확보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클래드 강판으로서, 특허문헌 1 에는,
「Ni 합금을 클래딩재로 하고, 저합금 강을 모재로 하는 클래드 강판에 있어서, 상기 모재의 화학 성분이 질량% 로, C : 0.020 ∼ 0.100 %, Si : 0.10 ∼ 0.50 %, Mn : 0.75 ∼ 1.80 %, P : 0.015 % 이하, S : 0.0030 % 이하, Cu : 0.01 ∼ 0.50 %, Ni : 0.01 ∼ 0.45 %, Cr : 0.01 ∼ 0.50 %, Mo : 0.01 ∼ 0.50 %, Nb : 0.005 ∼ 0.080 %, Ti : 0.005 ∼ 0.030 %, N : 0.0010 ∼ 0.0060 %, Al : 0.070 % 이하, Ca : 0.0010 ∼ 0.0040 % 를 함유하고,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재의 저온 인성과 HAZ 인성 및 클래딩재의 내식성이 우수한 Ni 합금 클래드 강판.」
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에는,
「Ni 합금을 클래딩재로 하고, 저합금 강을 모재로 하는 클래드 강판에 있어서, 상기 모재의 화학 성분이 질량% 로, C : 0.020 ∼ 0.100 %, Si : 0.10 ∼ 0.50 %, Mn : 0.75 ∼ 1.80 %, P : 0.015 % 이하, S : 0.0030 % 이하, Cu : 0.01 ∼ 0.50 %, Ni : 0.01 ∼ 0.45 %, Cr : 0.01 ∼ 0.50 %, Mo : 0.01 ∼ 0.50 %, Nb : 0.005 ∼ 0.080 %, Ti : 0.005 ∼ 0.030 %, N : 0.0010 ∼ 0.0060 %, Al : 0.070 % 이하, Ca : 0.0010 ∼ 0.0040 % 를 함유하고,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재의 저온 인성과 HAZ 인성 및 클래딩재의 내식성이 우수한 Ni 합금 클래드 강판.」
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 에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클래딩재로 하고, 저합금 강을 모재로 하는 클래드 강판에 있어서, 상기 모재가, 질량% 로, C : 0.020 ∼ 0.100 %, Si : 0.10 ∼ 0.50 %, Mn : 0.75 ∼ 1.80 %, P : 0.015 % 이하, S : 0.0030 % 이하, Cu : 0.01 ∼ 0.50 %, Ni : 0.01 ∼ 0.45 %, Cr : 0.01 ∼ 0.50 %, Mo : 0.01 ∼ 0.50 %, Nb : 0.005 ∼ 0.080 %, Ti : 0.005 ∼ 0.030 %, N : 0.0010 ∼ 0.0060 %, Al : 0.070 % 이하, Ca : 0.0010 ∼ 0.0040 % 를 함유하고,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재의 저온 인성과 HAZ 인성 그리고 클래딩재의 내식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클래드 강판.」
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8642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1740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05399호
특허문헌 1 ∼ 3 의 기술에서는, TMCP (Thermo-mechanical control process) 를 적용함으로써, 생산성을 저해하지 않고, 클래딩재의 내식성과 함께 판두께 : ∼30 mm, 인장 강도 : 535 MPa 이상, DWTTSA-20℃ ≥ 85 % 가 되는 기계적 특성을 실현시키고 있다.
여기서, DWTTSA-20℃ 란, API-5L 에 준거하는 DWTT 시험 (시험 온도 : -20 ℃) 에 의해 얻어지는 연성 파면율이다.
그러나, 클래드 강판은 관 제조시에 가공 경화되기 때문에, 이 가공 경화에 의한 인성의 열화를 고려하여, 더나은 저온 인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는 게 현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 현 상황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 인장 강도 : 535 MPa 이상을 확보하면서 저온 인성을 더욱 향상시킨 클래드 강판을, 그 유리한 제조 방법과 함께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저온 인성이 우수하다」함은, API-5L 에 준거하는 DWTT 시험 (시험 온도 : -30℃) 에 의해 얻어지는 연성 파면율 : DWTTSA-30℃ 가 85 %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DWTT 시험에 있어서, 시험 온도를 -30℃ 로 한 것은, 관 제조시의 가공 경화에 의한 인성 저하를 예상한 것이다.
그런데, 발명자들은, 소정의 기계적 특성을 확보하면서 저온 인성을 더욱 향상시킨 클래드 강판을 개발하기 위해, 여러 검토를 거듭하여 이하의 지견을 얻었다.
(A) 우수한 저온 인성을 얻기 위해서는, 모재 강판에 있어서 취성 균열 전파 저항을 증대시키는 조직의 미세화와, 취성 균열의 기점이 될 수 있는 경질상의 저감을 동시에 실시하는 것이 유효하다.
구체적으로는 모재 강판의 강 조직을 베이나이트 주체의 조직으로 하는, 구체적으로는 모재 강판의 판두께 방향의 판두께 1/2 위치에 있어서의 베이나이트의 면적률을 94 % 이상으로 하고, 베이나이트의 평균 결정 입경을 25 ㎛ 이하로 하고, 또한 모재 강판의 판두께 방향의 판두께 1/2 위치에 있어서의 섬상 마텐자이트의 면적률을 6 %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유효하다.
(B) 또한, 상기 조직 제어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성분 조성 및 제조 조건, 특히 압연 후의 ??칭 및 템퍼링 조건을 적정하게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지견에 의거하여 추가로 검토를 더한 끝에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요지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모재 강판의 편면에, 내식성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클래딩재가 접합되어 있는 클래드 강판으로서,
상기 모재 강판이, 질량% 로,
C : 0.020 ∼ 0.100 %,
Si : 0.05 ∼ 0.50 %,
Mn : 0.75 ∼ 1.80 %,
P : 0.015 % 이하,
S : 0.0030 % 이하,
Al : 0.010 ∼ 0.070 %,
Nb : 0.005 ∼ 0.080 %,
Ti : 0.005 ∼ 0.030 % 및
N : 0.0010 ∼ 0.0060 %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성분 조성을 갖고,
또한, 상기 모재 강판이,
상기 모재 강판의 판두께 방향의 판두께 1/2 위치에 있어서, 면적률로 94 % 이상인 베이나이트와 6 % 이하인 섬상 마텐자이트를 가지며, 상기 베이나이트의 평균 결정 입경이 25 ㎛ 이하인, 강 조직을 갖고,
또한, 상기 모재 강판과 상기 클래딩재의 접합 계면 전단 강도가 300 MPa 이상인, 클래드 강판.
2. 상기 모재 강판의 성분 조성이, 추가로 질량% 로,
Cu : 0.50 % 이하,
Cr : 0.50 % 이하,
Mo : 0.50 % 이하,
V : 0.100 % 이하,
Ni : 0.50 % 이하 및
Ca : 0.0040 % 이하
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상기 1 에 기재된 클래드 강판.
3. 상기 내식성 합금이, Ni 기 합금 또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인,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클래드 강판.
4.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모재 강판의 성분 조성을 갖는 모재 강판의 소재와, 내식성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클래딩재의 소재를 적층시켜 이루어지는 슬래브를, 표면 온도로 1050 ℃ ∼ 1200 ℃ 의 온도역으로 가열한 후,
그 슬래브에, 표면 온도 950 ℃ 이상의 온도역에서의 압하비 : 2.0 이상이 되는 제 1 압연을 실시한 후, 표면 온도 900 ℃ 이하의 온도역에서의 누적 압하율 : 50 % 이상, 압연 종료 온도 : 표면 온도로 800 ℃ 이상으로 하는 제 2 압연을 실시하여, 모재 강판과 클래딩재로 이루어지는 압연판으로 하고,
이어서, 그 압연판에, 냉각 개시 온도 : 표면 온도로 Ar3 온도 이상, 평균 냉각 속도 : 5 ℃/s 이상, 냉각 정지 온도 : 상기 모재 강판의 판두께 방향의 판두께 1/2 위치의 온도로 500 ℃ 이하의 가속 냉각을 실시하고,
또한, 상기 압연판에, 상기 모재 강판의 판두께 방향의 판두께 1/2 위치의 온도로 350 ∼ 600 ℃ 의 온도역에서 템퍼링을 실시하는, 클래드 강판의 제조 방법.
여기서, 가속 냉각에 있어서의 평균 냉각 속도는, 모재 강판의 판두께 방향의 판두께 1/2 위치에 있어서의 냉각 개시 온도와 냉각 종료 온도의 차이를, 냉각 시간으로 나눔으로써 구한 것이다.
5.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모재 강판의 성분 조성을 갖는 모재 강판의 소재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는 클래딩재의 소재 또는 Alloy 825 의 Ni 기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클래딩재의 소재를 적층시켜 이루어지는 슬래브를, 표면 온도로 1050 ℃ ∼ 1200 ℃ 의 온도역으로 가열한 후,
그 슬래브에, 표면 온도 950 ℃ 이상의 온도역에서의 압하비 : 1.5 이상이 되는 제 1 압연을 실시한 후, 표면 온도 900 ℃ 이하의 온도역에서의 누적 압하율 : 50 % 이상, 압연 종료 온도 : 표면 온도로 750 ℃ 이상으로 하는 제 2 압연을 실시하여, 모재 강판과 클래딩재로 이루어지는 압연판으로 하고,
이어서, 그 압연판에, 냉각 개시 온도 : 표면 온도로 Ar3 온도 이상, 평균 냉각 속도 : 5 ℃/s 이상, 냉각 정지 온도 : 상기 모재 강판의 판두께 방향의 판두께 1/2 위치의 온도로 500 ℃ 이하의 가속 냉각을 실시하고,
또한, 상기 압연판에, 상기 모재 강판의 판두께 방향의 판두께 1/2 위치의 온도로 350 ∼ 600 ℃ 의 온도역에서 템퍼링을 실시하는, 클래드 강판의 제조 방법.
여기서, 가속 냉각에 있어서의 평균 냉각 속도는, 모재 강판의 판두께 방향의 판두께 1/2 위치에 있어서의 냉각 개시 온도와 냉각 종료 온도의 차이를, 냉각 시간으로 나눔으로써 구한 것이다.
6. 상기 슬래브가, 모재 강판의 소재/클래딩재의 소재/클래딩재의 소재/모재 강판의 소재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상기 4 또는 5 에 기재된 클래드 강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인장 강도 : 535 MPa 이상을 확보하면서 DWTTSA-30℃ 가 85 % 이상인 클래드 강판이 얻어진다.
또한, 상기 클래드 강판은, 심각한 부식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석유나 천연 가스 수송용 라인 파이프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매우 유익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모재 강판의 편면에, 내식성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클래딩재가 접합되어 있는 클래드 강판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또, 클래드 강판의 판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30 mm 정도이다. 또한, 모재 강판 및 클래딩재의 판두께는 각각 통상적으로 5 ∼ 27 mm 정도 및 1.5 ∼ 4.0 mm 정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클래드 강판에 있어서의 모재 강판의 성분 조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성분 조성에 있어서의 단위는 모두 「질량%」이지만, 이하,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간단히 「%」로 나타낸다.
1. 모재 강판의 성분 조성
C : 0.020 ∼ 0.100 %
C 는, 탄화물로서 석출 강화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여기서, C 함유량이 0.020 % 미만에서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없다. 한편, C 함유량이 0.100 % 를 초과하면, 모재 강판의 저온 인성이나 용접 열영향부 인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C 함유량은 0.020 ∼ 0.100 % 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20 ∼ 0.080 % 이다.
Si : 0.05 ∼ 0.50 %
Si 는, 탈산이나 고용 (固溶) 강화에 의한 강재의 강도 확보를 위해 첨가하는 원소이다. 여기서, Si 함유량이 0.05 %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충분치 않다. 한편, Si 함유량이 0.50 % 를 초과하면, 인성이나 용접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Si 함유량은 0.05 % ∼ 0.50 % 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1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 % 이상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0.40 % 이하이다.
Mn : 0.75 ∼ 1.80 %
Mn 은, 강도, 인성 확보를 위해 첨가하는 원소이다. 여기서, Mn 함유량이 0.75 %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충분치 않다. 한편, Mn 함유량이 1.80 % 를 초과하면, 용접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Mn 함유량은 0.75 ∼ 1.80 % 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1.70 % 이하이다.
P : 0.015 % 이하
P 는, 용접성을 열화시키는 불가피적 불순물이다. 따라서, P 함유량은 0.015 %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10 % 이하이다. 또, P 함유량의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0 % 여도 된다.
S : 0.0030 % 이하
S 는, 일반적으로 강 중에 있어서는 황화물계 개재물로서 존재하고, 연성이나 인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S 는 최대한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S 함유량은 0.0030 %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010 % 이하이다. 또, S 함유량의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0 % 여도 된다.
Al : 0.010 ∼ 0.070 %
Al 은 탈산을 위해 첨가하지만, Al 함유량이 0.010 %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충분치 않다. 한편, Al 함유량이 0.070 % 를 초과하면, 알루미나 클러스터를 형성하여 연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Al 함유량은 0.010 ∼ 0.070 % 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10 ∼ 0.040 % 이다.
Nb : 0.005 ∼ 0.080 %
Nb 는, 석출 강화나 ??칭성 증대에 따른 강판의 고강도화에 유효하다. 또한, γ 미 (未) 재결정 온도역을 확대시키는 효과가 있고, 조직의 미세화로부터 인성 향상에 기여한다. 그러나, Nb 함유량이 0.005 %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충분치 않다. 한편, Nb 함유량이 0.080 % 를 초과하면, 용접 열영향부의 인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Nb 함유량은 0.005 ∼ 0.080 % 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10 % 이상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0.050 % 이하이다.
Ti : 0.005 ∼ 0.030 %
Ti 는, 0.005 % 이상 함유시킴으로써, 질화물 형성에 의한 피닝 효과로 오스테나이트의 조대화를 억제하여, 모재나 용접 열영향부의 인성 확보에 기여한다. 또한, Ti 는, 석출 강화에 의한 강판의 고강도화에 유효한 원소이다. 그러나, Ti 함유량이 0.030 % 를 초과하면, 질화물이 조대화되어 취성 파괴나 연성 파괴의 기점이 된다. 따라서, Ti 함유량은 0.005 ∼ 0.030 % 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10 % 이상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0.020 % 이하이다.
N : 0.0010 ∼ 0.0060 %
N 은, 0.0010 % 이상 함유됨으로써, 질화물 형성에 의한 피닝 효과로 오스테나이트의 조대화를 억제하여, 모재나 용접 열영향부의 인성 확보에 기여한다. 그러나, N 함유량이 0.0060 % 를 초과하면, 용접 열영향부의 인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N 함유량은 0.0010 ∼ 0.0060 % 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020 % 이상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0.0050 % 이하이다.
또, 질화물 형성에 의한 피닝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는 데에는, Ti 함유량과 N 함유량의 비도 중요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질량% 로, Ti 함유량/N 함유량이 2.0 미만, 또는 Ti 함유량/N 함유량이 3.5 초과가 되면, 질화물 형성에 의한 피닝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아, 오스테나이트가 조대화되어 인성이 열화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Ti 함유량/N 함유량은 2.0 ∼ 3.5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기본 성분에 더하여, 추가로 Cu : 0.50 % 이하, Cr : 0.50 % 이하, Mo : 0.50 % 이하, V : 0.100 % 이하, Ni : 0.50 % 이하 및 Ca : 0.0040 % 이하 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임의로 함유시켜도 된다.
Cu : 0.50 % 이하, Cr : 0.50 % 이하 및 Mo : 0.50 % 이하
Cu, Cr 및 Mo 는 모두 ??칭성을 향상시키는 원소로, 모재나 용접 열영향부의 고강도화에 기여한다. 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Cu, Cr 및 Mo 는 각각 0.01 %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Cu, Cr 및 Mo 함유량이 각각 0.50 % 를 초과하면, 용접 열영향부의 인성을 열화시키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Cu, Cr 및 Mo 를 함유시키는 경우, 그 함유량은 0.50 % 이하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 이상이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0.40 % 이하이다.
V : 0.100 % 이하
V 는, 석출 강화에 의해 강판의 고강도화에 기여하지만, V 함유량이 0.010 %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으므로, V 를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0.01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V 함유량이 0.100 % 를 초과하면, 용접 열영향부의 인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V 를 함유시키는 경우, 그 함유량은 0.100 % 이하로 한다.
Ni : 0.50 % 이하
Ni 는, ??칭성을 향상시키는 원소로, 모재나 용접 열영향부의 고강도화에 기여한다. 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Ni 를 0.01 %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Ni 는 고가의 원소이기 때문에, Ni 를 다량으로 함유시키면 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 따라서, Ni 를 함유시키는 경우, 그 함유량은 0.50 % 이하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 이상이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0.40 % 이하이다.
Ca : 0.0040 % 이하
Ca 는, 강 중의 S 를 고정시켜 강판의 인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있다. 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Ca 를 0.0010 %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Ca 함유량이 0.0040 % 를 초과하면, 강 중의 개재물을 증가시켜 인성을 열화시키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Ca 를 함유시키는 경우, 그 함유량은 0.0040 % 이하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20 % 이상이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30 % 이하이다.
상기 이외의 성분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이다.
즉, 모재 강판은, 질량% 로, C : 0.020 ∼ 0.100 %, Si : 0.05 ∼ 0.50 %, Mn : 0.75 ∼ 1.80 %, P : 0.015 % 이하, S : 0.0030 % 이하, Al : 0.010 ∼ 0.070 %, Nb : 0.005 ∼ 0.080 %, Ti : 0.005 ∼ 0.030 % 및 N : 0.0010 ∼ 0.0060 % 를 함유하고,
추가로 필요에 따라, Cu : 0.50 % 이하, Cr : 0.50 % 이하, Mo : 0.50 % 이하, V : 0.100 % 이하, Ni : 0.50 % 이하 및 Ca : 0.0040 % 이하 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성분 조성을 갖는다.
2. 모재 강판의 강 조직
모재 강판의 판두께 방향의 판두께 1/2 위치에 있어서의 베이나이트의 면적률 : 94 % 이상
베이나이트는, 강도와 저온 인성을 양립시키기 위한 중요한 조직이다. 또한, 베이나이트는, 변태 조직 강화에 의해 강판의 강도 향상에 유효하게 기여한다. 그래서, 모재 강판의 강 조직은, 베이나이트 주체의 조직으로 할 필요가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모재 강판의 판두께 방향의 판두께 1/2 위치 (이하, 간단히 판두께 1/2 위치라고도 한다) 에 있어서의 강 조직 전체에 대한 베이나이트의 면적률로 94 %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97 % 이상이다. 또, 베이나이트의 면적률은 100 % 여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모재 강판의 강 조직은 기본적으로 상기한 베이나이트에 의해 구성될 필요가 있지만, 베이나이트 이외의 잔부 조직으로서 섬상 마텐자이트나 페라이트, 시멘타이트 등이 미량이면 함유되어 있어도 되고, 이것들의 잔부 조직의 합계 면적률이 6 % 이하이면 허용할 수 있다. 또, 잔부 조직의 면적률은 0 % 여도 된다. 또, 잔부 조직이 6 % 초과에서는, 베이나이트의 면적률이 작아지므로, 강도와 저온 인성을 양립시킬 수 없다.
모재 강판의 판두께 방향의 판두께 1/2 위치에 있어서의 섬상 마텐자이트의 면적률 : 6 % 이하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베이나이트는, 강도와 저온 인성을 양립시키기 위한 중요한 조직이며, 또한, 베이나이트는, 변태 조직 강화에 의해 강판의 강도 향상에 유효하게 기여한다. 그러나, 섬상 마텐자이트가 증가되고, 특히, 판두께 1/2 위치에 있어서의 섬상 마텐자이트의 면적률이 6 % 를 초과하면, 섬상 마텐자이트가 취성 균열의 기점이 되어, 소망하는 저온 인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판두께 1/2 위치에 있어서의 섬상 마텐자이트의 면적률은 6 %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4 % 이하이다.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0 % 여도 된다.
또, 섬상 마텐자이트는, 모재 강판의 판두께 방향 중심 부근에서 생성되기 쉽고, 또한, 이 판두께 방향 중심 부근에서 발생한 섬상 마텐자이트가 저온 인성에 특히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원하는 저온 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판두께 1/2 위치에 있어서의 섬상 마텐자이트의 면적률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여기서, 판두께 1/2 위치에 있어서의 각 상의 면적률은, 이하와 같이 해서 구한 것이다.
즉, 모재 강판의 판두께 방향의 판두께 1/2 위치의 L 단면 (압연 방향에 평행하고 압연면 법선 방향에 평행한 단면) 을 경면 연마 후, 나이탈 또는 전해 에칭법 (전해액 : 100 ㎖ 증류수 + 25 g 수산화나트륨 + 5 g 피크린산) 에 의해 부식시키고, 주사 전자 현미경 (SEM) 을 사용하여 배율 : 2000 배로 무작위로 선택한 1.2×10-2 ㎟ 의 영역을 관찰하고, 화상 해석함으로써 구한 것이다.
베이나이트의 평균 결정 입경 : 25 ㎛ 이하
베이나이트의 결정립계는, 취성 균열 전파의 저항이 되기 때문에, 결정립의 미세화는 저온 인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따라서, 베이나이트의 평균 결정 입경은 25 ㎛ 이하로 한다.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5 ㎛ 정도이다.
여기서, 베이나이트의 평균 결정 입경은, 이하와 같이 해서 구한 것이다.
즉, 모재 강판의 판두께 방향의 판두께 1/2 위치의 L 단면 (압연 방향에 평행하고 압연면 법선 방향에 평행한 단면) 을 경면 연마 후, 전자선 후방 산란 회절법 (EBSP) 에 의해 무작위로 선택한 1.2×10-2 ㎟ 의 영역 (배율 : 2000 배) 의 결정 방위를 측정하고, 서로 이웃한 픽셀의 각도차가 15°이상 있는 영역을 결정립계로서 화상 해석함으로써 구한 것이다.
또, 평균 결정 입경 darea 는, 각 결정립이 차지하는 면적 ai 및 각 결정립의 원 상당 직경 di 로부터 이하의 식에 의해 산출한 것이다.
darea=Σ(ai·di)/Σai
3. 모재 강판과 클래딩재의 접합 계면 전단 강도 : 300 MPa 이상
클래드 강판에서는, 클래딩재가 모재 강판으로부터 박리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모재 강판과 클래딩재의 접합 계면 전단 강도는 300 MPa 이상으로 한다.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400 MPa 정도이다.
4. 클래딩재
본 발명의 클래드 강판에서는, 모재 강판의 편면에 내식성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클래딩재가 접합되어 있다.
내식성 합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Ni 기 합금이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들 수 있다.
특히, Ni 기 합금은, 고황화수소 분압의 환경 (사워 환경) 에서 높은 내응력부식균열성을 보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Ni 기 합금이란, 예를 들어 Alloy 625 나 Alloy 825 이고, 내응력부식 균열의 관점에서 특히 Alloy 625 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Alloy 625 란, JIS G 4902 의 NCF 625 에 상당하는 Ni 기 합금이고, 그 중에서도 질량% 로, C : 0.030 % 이하, Si : 0.02 ∼ 0.50 %, Mn : 0.02 ∼ 0.50 %, P : 0.010 % 이하, S : 0.0010 % 이하, Cr : 20.0 ∼ 23.0 %, Mo : 8.0 ∼ 10.0 %, Fe : 5.0 % 이하, Al : 0.02 ∼ 0.40 %, Ti : 0.10 ∼ 0.40 %, Nb 및 Ta 의 합계량 : 3.15 ∼ 4.15 % 를 함유하고, 잔부가 Ni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성분 조성을 갖는 Ni 기 합금이 바람직하다.
또한, Alloy 825 란, JIS G 4902 의 NCF 825 에 상당하는 Ni 기 합금이고, 그 중에서도 질량% 로, C : 0.020 % 이하, Si : 0.50 % 이하, Mn : 1.00 % 이하, P : 0.030 % 이하, S : 0.0050 % 이하, Ni : 38.0 ∼ 46.0 %, Cr : 19.5 ∼ 23.5 %, Mo : 2.50 ∼ 3.50 %, Cu : 1.50 ∼ 3.00 %, Al : 0.01 ∼ 0.20 %, Ti : 0.60 ∼ 1.20 %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성분 조성을 갖는 Ni 기 합금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Alloy 625 및 Alloy 825 의 적합 성분 조성에 대해서 각각 설명한다. 또, 성분 조성에 있어서의 단위는 모두 「질량%」이지만, 이하,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간단히 「%」로 나타낸다.
(1) Alloy 625 의 적합 성분 조성
C : 0.030 % 이하
C 는, 클래드 강판 제조시의 열 이력에서 탄화물로서 입계에 석출되어, 내식성을 열화시킨다. 그래서, C 함유량이 0.030 % 를 초과하면, 탄화물의 석출이 촉진되어 내식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C 함유량은 0.03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0 % 이하이다. 또, C 함유량의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0 % 여도 된다.
Si : 0.02 ∼ 0.50 %
Si 는, 탈산을 위해서 첨가한다. 여기서, Si 함유량이 0.02 %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충분치 않다. 한편, Si 함유량이 0.50 % 를 초과하면, 내식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Si 함유량은 0.02 ∼ 0.5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 0.20 % 이다.
Mn : 0.02 ∼ 0.50 %
Mn 은, 탈산을 위해서 첨가한다. 여기서, Mn 함유량이 0.02 %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충분치 않다. 한편, Mn 함유량이 0.50 % 를 초과하면, 내식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Mn 함유량은 0.02 ∼ 0.5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 0.15 % 이다.
P : 0.010 % 이하
P 는, 입계에 편석되어 내식성을 열화시키는 불순물 원소이다. 따라서, P 함유량은 0.01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 이하이다. 또, P 함유량의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0 % 여도 된다.
S : 0.0010 % 이하
S 는, P 와 마찬가지로 입계에 편석되어 내식성을 열화시키는 불순물 원소이다. 따라서, S 함유량은 0.001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5 % 이하이다. 또, S 함유량의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0 % 여도 된다.
Cr : 20.0 ∼ 23.0 %
Cr 은, 금속 표면에 보호성이 높은 산화물 피막을 형성하여, 내구멍부식성이나 내입계부식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Cr 은, Ni 와 복합 첨가함으로써, 사워 환경 내에서의 내응력부식균열성을 향상시킨다. 단, Cr 함유량은, Ni 나 그 밖의 합금과의 밸런스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Cr 함유량은 20.0 ∼ 23.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1.5 ∼ 23.0 % 이다.
Mo : 8.0 ∼ 10.0 %
Mo 는, 내구멍부식성, 내간극부식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Mo 는, Ni 와 복합 첨가함으로써, 사워 환경 내에서의 내응력부식균열성을 향상시킨다. 단, Mo 함유량에 대해서는, Ni 나 그 밖의 합금과의 밸런스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Mo 함유량은 8.0 ∼ 10.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 10.0 % 이다.
Fe : 5.0 % 이하
Fe 는, 원료로서 페로크롬이나 페로몰리브덴 등을 사용한 경우에 불가피적으로 혼입되는 불순물로, Fe 함유량이 5.0 % 를 초과하면 내식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Fe 함유량은 5.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 이하이다. 또, Fe 함유량의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0 % 여도 된다.
Al : 0.02 ∼ 0.40 %
Al 은, 유효한 탈산 원소이지만, Al 함유량이 0.02 %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충분치 않다. 그러나, Al 함유량이 0.40 % 를 초과하면, 내응력부식균열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Al 함유량은 0.02 ∼ 0.4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 0.25 % 이다.
Ti : 0.10 ∼ 0.40 %
Ti 는, C 의 고정에 유효하다. 여기서, Ti 함유량이 0.10 % 미만에서는, C 의 고정이 불완전해져, 내식성을 열화시키는 탄화물이 석출된다. 그러나, Ti 함유량이 0.40 % 를 초과하면, Ti 가 금속간 화합물로서 석출되어, 모재 강판과의 접합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Ti 함유량은 0.10 ∼ 0.4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 ∼ 0.30 % 이다.
Nb 및 Ta 의 합계량 : 3.15 ∼ 4.15 %
Nb 및 Ta 는 모두 C 의 고정에 유효하다. 여기서, Nb 및 Ta 의 합계량이 3.15 %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충분치 않다. 한편, Nb 및 Ta 의 합계량이 4.15 % 를 초과하면, Nb 및 Ta 가 저융점의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하여, 열간 가공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Nb 및 Ta 의 합계량은 3.15 ∼ 4.15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외의 성분은 Ni 및 불가피적 불순물이다. 또, Ni 는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원소로, 특히 사워 환경에서의 내응력부식균열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다. 그래서, Ni 함유량은 58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Alloy 825 의 적합 성분 조성
C : 0.020 % 이하
C 는, 클래드 강판 제조시의 열 이력에서 탄화물로서 입계에 석출되어, 내식성을 열화시킨다. 그래서, C 함유량이 0.020 % 를 초과하면, 탄화물의 석출이 촉진되어 내식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C 함유량은 0.02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5 % 이하이다. 또, C 함유량의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0 % 여도 된다.
Si : 0.50 % 이하
Si 는 탈산을 위해서 첨가한다. 그러나, Si 함유량이 0.50 % 를 초과하면, Si 가 비금속 개재물로서 잔존하여, 내식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Si 함유량은 0.5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 % 이하이다. 또, Si 함유량의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탈산의 효과를 충분히 얻는다는 관점에서 0.02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n : 1.00 % 이하
Mn 은, 탈산을 위해서 첨가한다. 그러나, Mn 함유량이 1.00 % 를 초과하면, 내식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Mn 함유량은 1.0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50 % 이하이다. 또, Mn 함유량의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탈산의 효과를 충분히 얻는다는 관점에서 0.02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 : 0.030 % 이하
P 는, 입계에 편석되어 내식성을 열화시키는 불순물 원소이다. 따라서, P 함유량은 0.03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0 % 이하이다. 또, P 함유량의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0 % 여도 된다.
S : 0.0050 % 이하
S 는, P 와 마찬가지로 입계에 편석되어 내식성을 열화시키는 불순물 원소이다. 따라서, S 함유량은 0.005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0 % 이하이다. 또, S 함유량의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0 % 여도 된다.
Ni : 38.0 ∼ 46.0 %
Ni 는,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원소로, 특히 사워 환경에서의 내응력부식균열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킨다. 그러나, Ni 는 매우 고가의 원소이기 때문에, Ni 의 다량 첨가는 비용 증가를 초래한다. 그래서, Ni 함유량은, 내식성의 향상 효과와 비용의 밸런스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Ni 함유량은 38.0 ∼ 46.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r : 19.5 ∼ 23.5 %
Cr 은, 금속 표면에 보호성이 높은 산화물 피막을 형성하여, 내구멍부식성이나 내입계부식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Cr 은, Ni 와 복합 첨가함으로써, 사워 환경 내에서의 내응력부식균열성을 향상시킨다. 단, Cr 함유량은, Ni 나 그 밖의 합금과의 밸런스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Cr 함유량은 19.5 ∼ 23.5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1.5 ∼ 23.5 % 이다.
Mo : 2.50 ∼ 3.50 %
Mo 는, 내구멍부식성, 내간극부식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Mo 는, Ni 와 복합 첨가함으로써, 사워 환경 내에서의 내응력부식균열성을 향상시킨다. 단, Mo 함유량에 대해서는, Ni 나 그 밖의 합금과의 밸런스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Mo 함유량은 2.50 ∼ 3.5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 3.50 % 이다.
Cu : 1.50 ∼ 3.00 %
Cu 는, 내전면부식성의 향상에 유효한 원소이다. 그러나, Cu 함유량이 1.50 %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충분치 않다. 한편, Cu 함유량이 3.00 % 를 초과하면, 그 효과는 포화된다. 따라서, Cu 함유량은 1.50 ∼ 3.0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 3.00 % 이다.
Al : 0.01 ∼ 0.20 %
Al 은 유효한 탈산 원소이다. 그러나, Al 함유량이 0.01 %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충분치 않다. 한편, Al 함유량이 0.20 % 를 초과하면, 내응력부식균열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Al 함유량은 0.01 ∼ 0.2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 % 이상이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 이하이다.
Ti : 0.60 ∼ 1.20 % 이하
Ti 는, C 의 고정에 유효하다. 여기서, Ti 함유량이 0.60 % 미만에서는, C 의 고정이 불완전해져, 내식성을 열화시키는 탄화물이 석출된다. 그러나, Ti 함유량이 1.20 % 를 초과하면, Ti 가 금속간 화합물로서 석출되어, 모재 강판과의 접합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Ti 함유량은 0.60 ∼ 1.2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70 ∼ 1.20 % 이다.
상기 이외의 성분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이다.
이상, Alloy 625 및 Alloy 825 의 적합 성분 조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Ni 기 합금 이외의 내식성 합금으로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란, 예를 들어 JIS 에 규정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으로, SUS 304 나 SUS 316, SUS 304L, SUS 316L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중에서도, 질량% 로, C : 0.030 % 이하, Si : 1.00 % 이하, Mn : 2.00 % 이하, P : 0.045 % 이하, S : 0.030 % 이하, Ni : 12.00 ∼ 15.00 %, Cr : 16.00 ∼ 18.00 %, Mo : 2.00 ∼ 3.00 %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성분 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적합 성분 조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성분 조성에 있어서의 단위는 모두 「질량%」이지만, 이하,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간단히 「%」로 나타낸다.
(3)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적합 성분 조성
C : 0.030 % 이하
C 는, 클래드 강판 제조시의 열 이력에서 탄화물로서 입계에 석출되어, 내식성을 열화시킨다. 그래서, C 함유량이 0.030 % 를 초과하면, 탄화물의 석출이 촉진되어 내식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C 함유량은 0.03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0 % 이하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5 % 이하이다. 또, C 함유량의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0 % 여도 된다.
Si : 1.00 % 이하
Si 는 탈산을 위해서 첨가한다. 그러나, Si 함유량이 1.00 % 를 초과하면, Si 가 비금속 개재물로서 잔존하여, 내식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Si 함유량은 1.0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75 % 이하이다. 또, Si 함유량의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0 % 여도 된다.
Mn : 2.00 % 이하
Mn 은, 탈산을 위해서 첨가한다. 그러나, Mn 함유량이 2.00 % 를 초과하면, 내식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Mn 함유량은 2.0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 % 이하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이다. 또, Mn 함유량의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0 % 여도 된다.
P : 0.045 % 이하
P 는, 입계에 편석되어 내식성을 열화시키는 불순물 원소이다. 따라서, P 함유량은 0.045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0 % 이하이다. 또, P 함유량의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0 % 여도 된다.
S : 0.030 % 이하
S 는, P 와 마찬가지로 입계에 편석되어 내식성을 열화시키는 불순물 원소이다. 따라서, S 함유량은 0.03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0 % 이하이다. 또, S 함유량의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0 % 여도 된다.
Ni : 12.00 ∼ 15.00 %
Ni 는,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원소로, 특히 사워 환경에서의 내응력부식균열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킨다. 그러나, Ni 는 매우 고가의 원소이기 때문에, Ni 의 다량 첨가는 비용 증가를 초래한다. 그래서, Ni 함유량은, 내식성의 향상 효과와 비용의 밸런스를 고려할 필요가 있고, 이와 같은 관점에서 Ni 함유량은 12.00 ∼ 15.0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0 % 이상이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14.50 % 이하이다.
Cr : 16.00 ∼ 18.00 %
Cr 은, 금속 표면에 보호성이 높은 산화물 피막을 형성하여, 내구멍부식성이나 내입계부식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Cr 은, Ni 와 복합 첨가함으로써, 사워 환경 내에서의 내응력부식균열성을 향상시킨다. 단, Cr 함유량은, Ni 나 그 밖의 합금과의 밸런스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Cr 함유량은 16.00 ∼ 18.0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6.50 % 이상이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17.50 % 이하이다.
Mo : 2.00 ∼ 3.00 %
Mo 는, 내구멍부식성, 내간극부식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Mo 는, Ni 와 복합 첨가함으로써, 사워 환경 내에서의 내응력부식균열성을 향상시킨다. 단, Mo 함유량에 대해서는, Ni 나 그 밖의 합금과의 밸런스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Mo 함유량은 2.00 ∼ 3.0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20 % 이상이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2.80 % 이하이다.
상기 이외의 성분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이다.
5. 제조 방법
다음으로, 본 발명의 클래드 강판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클래드 강판의 제조 방법은, 상기한 모재 강판의 성분 조성을 갖는 모재 강판의 소재와, 내식성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클래딩재의 소재를 적층시켜 이루어지는 슬래브를, 표면 온도로 1050 ℃ ∼ 1200 ℃ 의 온도역으로 가열한 후,
그 슬래브에, 표면 온도 950 ℃ 이상의 온도역에서의 압하비 : 2.0 이상이 되는 제 1 압연을 실시한 후, 표면 온도 900 ℃ 이하의 온도역에서의 누적 압하율 : 50 % 이상, 압연 종료 온도 : 표면 온도로 800 ℃ 이상으로 하는 제 2 압연을 실시하여, 모재 강판과 클래딩재로 이루어지는 압연판으로 하고,
이어서, 그 압연판에, 냉각 개시 온도 : 표면 온도로 Ar3 온도 이상, 평균 냉각 속도 : 5 ℃/s 이상, 냉각 정지 온도 : 상기 모재 강판의 판두께 방향의 판두께 1/2 위치의 온도로 500 ℃ 이하의 가속 냉각을 실시하고,
또한, 상기 압연판에, 상기 모재 강판의 판두께 방향의 판두께 1/2 위치의 온도로 350 ∼ 600 ℃ 의 온도역에서 템퍼링을 실시하는 것이다.
여기서, 슬래브는, 모재 강판의 소재와 클래딩재의 소재를, 예를 들어 (a) 모재 강판의 소재/클래딩재의 소재, 또는 (b) 모재 강판의 소재/클래딩재의 소재/클래딩재의 소재/모재 강판의 소재의 차례로 적층시키고, 진공 (부압) 환경하, 구체적으로는 10-4 torr 이하의 압력이 되는 환경하에서 전자빔 용접을 실시하여, 모재 강판의 소재와 클래딩재의 소재를 임시로 붙인 것이다.
또, (b) 의 형태의 슬래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클래딩재의 소재/클래딩재의 소재 사이에 박리재를 미리 도포해 두고, 템퍼링 처리 종료 후에, 상부와 하부를 박리시킴으로써, 제품판이 되는 모재 강판의 편면에 클래딩재가 접합되어 있는 클래드 강판이 얻어진다.
(1) 슬래브 가열
슬래브 가열 온도 : 1050 ∼ 1200 ℃
슬래브 가열 온도가 1050 ℃ 미만에서는 모재 강판의 소재에 포함되는 Nb 등이 충분히 고용되지 않아, 강도의 확보가 곤란해진다. 한편, 슬래브 가열 온도가 1200 ℃ 를 초과하면, 모재 강판 소재에 있어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조대화되어, 인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슬래브 가열 온도는 1050 ∼ 1200 ℃ 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1050 ∼ 1100 ℃ 이다.
(2) 클래드 압연
·제 1 압연
표면 온도 950 ℃ 이상의 온도역에서의 압하비 : 2.0 이상
클래드 강판의 모재 강판과 클래딩재의 접합성은, 고온역에서의 압연에 의해 확보된다. 즉, 고온역에서의 압연에서는, 모재 강판과 클래딩재의 변형 저항이 작아져 양호한 접합 계면이 형성되기 때문에, 접합 계면에서의 원소의 상호 확산이 용이해지고, 이로써 모재 강판과 클래딩재의 접합성이 확보된다.
그래서, 모재 강판과 클래딩재의 접합성이 확보되기 위해서 실시하는 제 1 압연에서는, (슬래브의) 표면 온도 950 ℃ 이상의 온도역에서의 압하비를 2.0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2.5 이상이다.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조성 관점에서 8.0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 여기서 말하는 표면 온도 950 ℃ 이상의 온도역에서의 압하비는, [제 1 압연 전의 슬래브의 판두께] ÷ [표면 온도 950 ℃ 이상의 온도역에서의 압연 후의 슬래브의 판두께] 이다.
또한, 여기서는, 표면 온도 950 ℃ 이상의 온도역에서의 압하비를 규정했지만, 표면 온도 1000 ℃ 이상의 온도역에서의 압하비를 2.0 이상, 나아가서는 2.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클래딩재의 소재로서 Alloy 825 의 Ni 기 합금 또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면 온도 950 ℃ 이상의 온도역에서의 압하비 : 1.5 이상, 바람직하게는 1.8 이상으로 하면, 소망하는 모재 강판과 클래딩재의 접합성이 확보된다. 상한에 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8.0 정도가 바람직하다.
·제 2 압연
표면 온도 900 ℃ 이하의 온도역에서의 누적 압하율 : 50 % 이상
γ 미재결정 온도역에서의 압연은, 결정립의 편평화에 의한 입계 면적의 증가나 변형대의 도입을 초래하고, 이로써 후공정인 가속 냉각시에 변태 핵을 증가시킨다. 그 결과, 모재 강판의 강 조직이 미세화되고, 우수한 저온 인성의 확보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슬래브의) 표면 온도 900 ℃ 이하의 온도역에서의 압연을 제 2 압연으로 하고, 이 제 2 압연에서의 누적 압하율을 50 % 이상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표면 온도 870 ℃ 이하의 온도역에서의 압연을 제 2 압연으로 하고, 이 제 2 압연에 있어서의 누적 압하율을 50 % 이상으로 한다.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85 % 정도이다.
또, 여기서 말하는 표면 온도 900 ℃ 이하의 온도역에서의 누적 압하율은, [표면 온도 900 ℃ 이하의 온도역에서의 누적 압하량]/[제 2 압연 전의 슬래브의 판두께] × 100 이다.
압연 종료 온도 : 표면 온도로 800 ℃ 이상
압연 종료 온도를 표면 온도로 800 ℃ 미만으로 저하시키면, 접합성의 열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압연 종료 온도는, 슬래브의 표면 온도로 800 ℃ 이상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840 ℃ 이상이다.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900 ℃ 정도이다.
단, 클래딩재의 소재로서 Alloy 825 의 Ni 기 합금 또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압연 종료 온도를 슬래브의 표면 온도로 750 ℃ 이상, 바람직하게는 780 ℃ 이상으로 하면, 소망하는 모재 강판과 클래딩재의 접합성이 확보된다. 상한에 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900 ℃ 정도이다.
(3) 가속 냉각 (??칭)
냉각 개시 온도 : 표면 온도로 Ar3 온도 이상
냉각 개시 온도가 표면 온도로 Ar3 온도 미만이면, 모재 강판에 있어서 베이나이트 변태에 앞서 페라이트가 생성되어, 목표로 하는 강도가 얻어지지 않고, 또한 샤르피 흡수 에너지도 저하된다. 따라서, 냉각 개시 온도는 압연판의 표면 온도로 Ar3 온도 이상으로 한다.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900 ℃ 정도이다.
또한, Ar3 온도는 다음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Ar3 (℃) = 910―310 C―80 Mn―20 Cu―15 Cr―55 Ni―80 Mo
단, 식 중의 원소 기호는, 모재 강판에 있어서의 각 원소의 함유량 (질량%) 을 의미한다.
평균 냉각 속도 : 5 ℃/s 이상
평균 냉각 속도가 5 ℃/s 미만이면, 모재 강판에 있어서 페라이트 변태가 일어나, 목표로 하는 강도가 얻어지지 않고, 또한 샤르피 흡수 에너지도 저하된다. 따라서, 냉각 속도는 5 ℃/s 이상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10 ℃/s 이상이다.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50 ℃/s 정도이다.
또, 여기서 말하는 평균 냉각 속도는, 압연판의 모재 강판 부분에 있어서의 판두께 방향의 판두께 1/2 위치에 있어서의 냉각 개시 온도와 냉각 종료 온도의 차이를, 냉각 시간으로 나눔으로써 구한 것이다.
냉각 정지 온도 : 500 ℃ 이하
냉각 정지 온도를 500 ℃ 초과로 하면, 모재 강판에 있어서 조대한 시멘타이트나 섬상 마텐자이트와 같은, 인성 및 샤르피 흡수 에너지에 악영향을 미치는 조직이 생성된다. 따라서, 냉각 정지 온도는 500 ℃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300 ℃ 이하이다.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25 ℃ 정도이다.
또, 여기서 말하는 냉각 정지 온도는, 압연판의 모재 강판 부분에 있어서의 판두께 방향의 판두께 1/2 위치의 온도이다.
(4) 템퍼링
템퍼링 온도 : 350 ℃ ∼ 600 ℃
상기 가속 냉각 후, 압연판을 가열하여 템퍼링을 실시한다. 여기서, 템퍼링 온도가 350 ℃ 미만이면, 모재 강판의 인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섬상 마텐자이트의 분해나 전위의 회복이 충분하지 않아, 모재 강판의 인성이 열화된다. 한편, 템퍼링 온도가 600 ℃ 를 초과하면, 시멘타이트 등의 석출물이 조대화되어, 모재 강판의 인성이 열화된다. 또한, 석출물의 형성에 의해 클래딩재의 내식성이 열화될 우려도 있다. 따라서, 템퍼링 온도는 350 ℃ ∼ 600 ℃ 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400 ℃ 이상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500 ℃ 이하이다.
또, 여기서 말하는 템퍼링 온도는, 압연판의 모재 강판 부분에 있어서의 판두께 방향의 판두께 1/2 위치의 온도이다.
실시예
·실시예 1
표 1 에 나타내는 성분 조성 (잔부는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 의 모재 강판의 소재와, 표 2 에 나타내는 성분 조성 (잔부는 Ni 및 불가피적 불순물) 이 되는 Ni 기 합금 (Alloy 625) 의 클래딩재의 소재를, (a) 모재 강판의 소재/클래딩재의 소재, 또는 (b) 모재 강판의 소재/클래딩재의 소재/클래딩재의 소재/모재 강판의 소재의 순서로 적층시킨 슬래브에, 표 3 에 나타내는 조건에서 클래드 압연 (제 1 및 제 2 압연) 을 실시하여 압연판으로 하고, 이어서, 얻어진 압연판에, 표 3 에 나타내는 조건에서 가속 냉각 및 템퍼링을 실시하여, 판두께 30 mm 의 클래드 강판 (모재 강판의 판두께 : 27 mm, 클래딩재의 판두께 : 3 mm) 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클래드 강판으로부터 인장 시험용 및 DWTT 시험용 시험편을 채취하고, API-5L 에 준거하여 인장 시험 및 DWTT 시험 (시험 온도 : -30℃) 을 실시하여, 인장 강도 및 항복 강도, 연성 파면율 : DWTTSA-30℃ 를 구하였다. 인장 강도 및 연성 파면율 : DWTTSA-30℃ 의 목표값은 이하와 같다.
인장 강도 : 535 MPa 이상
연성 파면율 : DWTTSA-30℃ : 85 % 이상
(특히 우수한 DWTTSA-30℃ : 90 % 이상)
또한, JISG0601 에 준거한 전단 시험을 실시하여, 모재 강판과 클래딩재의 접합 계면 전단 강도를 구하고, 모재 강판과 클래딩재의 접합성을 평가하였다. 또, 접합 계면 전단 강도가 300 MPa 이상인 경우에 접합성이 양호한 것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방법에 의해 강 조직의 동정 및 각 상의 면적률의 산출, 그리고 베이나이트의 평균 결정 입경의 산출을 실시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9106040757-pct00001
Figure 112019106040757-pct00002
Figure 112019106104501-pct00013
Figure 112019106040757-pct00004
표 4 로부터, 발명예는 모두 인장 강도 : 535 MPa 이상이며 또한 연성 파면율 : DWTTSA-30℃ : 85 % 이상이 얻어졌고, 또한, 접합성도 양호함을 알 수 있다.
한편, 표 4 의 비교예의 No.1 은, 모재 강판의 C, Mn 및 Ti 함유량이 적정 범위를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냉각 중에 발생한 페라이트의 양이 많고, Ti 에 의한 석출 강화도 불충분하기 때문에, 원하는 인장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비교예의 No.9 는, 모재 강판의 C 및 Mn 량이 적정 범위를 상회하고 있기 때문에, 섬상 마텐자이트의 생성량이 증가하여, 원하는 저온 인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비교예의 No.10 은, 모재 강판의 Si, Nb 및 Ti 함유량이 적정 범위를 상회하고 있기 때문에, TiN 이 조대화되고, 이것이 연성 균열이나 취성 균열의 발생 기점이 되거나 하여, 원하는 저온 인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비교예의 No.11 은, Nb 함유량이 적정 범위를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γ 미재결정 온도역의 확대가 충분치 않아 오스테나이트가 조대화되어, 제품판으로 미세한 베이나이트의 결정립이 얻어지지 않으므로, 원하는 저온 인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비교예의 No.17 은, 슬래브 가열 온도가 적정 범위를 상회하고 있기 때문에, 오스테나이트가 조대화되어, 제품판으로 미세한 베이나이트의 결정립이 얻어지지 않으므로, 원하는 저온 인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비교예의 No.18 은, 슬래브 가열 온도가 적정 범위를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강화 원소의 고용이 충분치 않아, 원하는 인장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모재 강판과 클래딩재의 접합성도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비교예의 No.19 는, 표면 온도 950 ℃ 이상의 온도역에서의 압하비가 적정 범위를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원하는 모재 강판과 클래딩재의 접합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비교예의 No.20 은, 표면 온도 900 ℃ 이하의 온도역에서의 누적 압하율이 적정 범위를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베이나이트의 미세화가 충분치 않아, 원하는 저온 인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비교예의 No.21 은, 압연 종료 온도가 적정 범위를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원하는 모재 강판과 클래딩재의 접합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비교예의 No.22 는, 평균 냉각 속도가 적정 범위를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냉각 중에 발생하는 페라이트의 양이 많아, 원하는 인장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비교예의 No.23 은, 냉각 정지 온도가 적정 범위를 상회하고 있고, 또한 템퍼링 온도도 적정 범위를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섬상 마텐자이트의 양이 많아, 원하는 저온 인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비교예의 No.24 는, 템퍼링 온도가 적정 범위를 상회하고 있기 때문에, 석출물 (시멘타이트) 이 조대화되어, 원하는 저온 인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실시예 2
표 5 에 나타내는 성분 조성 (잔부는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 의 모재 강판의 소재와, 표 6 에 나타내는 성분 조성 (잔부는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 이 되는 Ni 기 합금 (Alloy 825) 의 클래딩재의 소재를, (a) 모재 강판의 소재/클래딩재의 소재, 또는 (b) 모재 강판의 소재/클래딩재의 소재/클래딩재의 소재/모재 강판의 소재의 순서로 적층시킨 슬래브에, 표 7 에 나타내는 조건에서 클래드 압연 (제 1 및 제 2 압연) 을 실시하여 압연판으로 하고, 이어서, 얻어진 압연판에, 표 7 에 나타내는 조건에서 가속 냉각 및 템퍼링을 실시하여, 판두께 30 mm 의 클래드 강판 (모재 강판의 판두께 : 27 mm, 클래딩재의 판두께 : 3 mm) 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클래드 강판으로부터 인장 시험용 및 DWTT 시험용 시험편을 채취하고, API-5L 에 준거하여 인장 시험 및 DWTT 시험 (시험 온도 : -30℃) 을 실시하여, 인장 강도 및 항복 강도, 연성 파면율 : DWTTSA-30℃ 를 구하였다. 인장 강도 및 연성 파면율 : DWTTSA-30℃ 의 목표값은 이하와 같다.
인장 강도 : 535 MPa 이상
연성 파면율 : DWTTSA-30℃ : 85 % 이상
(특히 우수한 DWTTSA-30℃ : 90 % 이상)
또한, JISG0601 에 준거한 전단 시험을 실시하여, 모재 강판과 클래딩재의 접합 계면 전단 강도를 구하고, 모재 강판과 클래딩재의 접합성을 평가하였다. 또, 접합 계면 전단 강도가 300 MPa 이상인 경우에 접합성이 양호한 것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방법에 의해 강 조직의 동정 및 각 상의 면적률의 산출, 그리고 베이나이트의 평균 결정 입경의 산출을 실시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8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9106040757-pct00005
Figure 112019106040757-pct00006
Figure 112019106104501-pct00014
Figure 112019106040757-pct00008
표 8 로부터, 발명예는 모두 인장 강도 : 535 MPa 이상이며 또한 연성 파면율 : DWTTSA-30℃ : 85 % 이상이 얻어졌고, 또한, 접합성도 양호함을 알 수 있다.
한편, 표 8 의 비교예의 No.1 은, 모재 강판의 C, Mn 및 Ti 함유량이 적정 범위를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냉각 중에 발생한 페라이트의 양이 많고, Ti 에 의한 석출 강화도 불충분하기 때문에, 원하는 인장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비교예의 No.9 는, 모재 강판의 C 및 Mn 량이 적정 범위를 상회하고 있기 때문에, 섬상 마텐자이트의 생성량이 증가하여, 원하는 저온 인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비교예의 No.10 은, 모재 강판의 Si, Nb 및 Ti 함유량이 적정 범위를 상회하고 있기 때문에, TiN 이 조대화되고, 이것이 취성 균열의 발생 기점이 되어, 원하는 저온 인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비교예의 No.11 은, Nb 함유량이 적정 범위를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γ 미재결정 온도역의 확대가 충분치 않아 오스테나이트가 조대화되어, 제품판으로 미세한 베이나이트의 결정립이 얻어지지 않으므로, 원하는 저온 인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비교예의 No.17 은, 슬래브 가열 온도가 적정 범위를 상회하고 있기 때문에, 오스테나이트가 조대화되어, 제품판으로 미세한 베이나이트의 결정립이 얻어지지 않으므로, 원하는 저온 인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비교예의 No.18 은, 슬래브 가열 온도가 적정 범위를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강화 원소의 고용이 충분치 않아, 원하는 인장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모재 강판과 클래딩재의 접합성도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비교예의 No.19 는, 표면 온도 900 ℃ 이하의 온도역에서의 누적 압하율이 적정 범위를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베이나이트의 미세화가 충분치 않아, 원하는 저온 인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비교예의 No.20 은, 평균 냉각 속도가 적정 범위를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냉각 중에 발생하는 페라이트의 양이 많아, 원하는 인장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비교예의 No.21 은, 냉각 정지 온도가 적정 범위를 상회하고 있고, 또한 템퍼링 온도도 적정 범위를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섬상 마텐자이트의 양이 많아, 원하는 저온 인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비교예의 No.22 는, 템퍼링 온도가 적정 범위를 상회하고 있기 때문에, 석출물 (시멘타이트) 이 조대화되어, 원하는 저온 인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실시예 3
표 9 에 나타내는 성분 조성 (잔부는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 의 모재 강판의 소재와, 표 10 에 나타내는 성분 조성 (잔부는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 이 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클래딩재의 소재를, (a) 모재 강판의 소재/클래딩재의 소재, 또는 (b) 모재 강판의 소재/클래딩재의 소재/클래딩재의 소재/모재 강판의 소재의 순서로 적층시킨 슬래브에, 표 11 에 나타내는 조건에서 클래드 압연 (제 1 및 제 2 압연) 을 실시하여 압연판으로 하고, 이어서, 얻어진 압연판에, 표 11 에 나타내는 조건에서 가속 냉각 및 템퍼링을 실시하여, 판두께 30 mm 의 클래드 강판 (모재 강판의 판두께 : 27 mm, 클래딩재의 판두께 : 3 mm) 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클래드 강판으로부터 인장 시험용 및 DWTT 시험용 시험편을 채취하고, API-5L 에 준거하여 인장 시험 및 DWTT 시험 (시험 온도 : -30℃) 을 실시하여, 인장 강도 및 항복 강도, 연성 파면율 : DWTTSA-30℃ 를 구하였다. 인장 강도 및 연성 파면율 : DWTTSA-30℃ 의 목표값은 이하와 같다.
인장 강도 : 535 MPa 이상
연성 파면율 : DWTTSA-30℃ : 85 % 이상
(특히 우수한 DWTTSA-30℃ : 90 % 이상)
또한, JISG0601 에 준거한 전단 시험을 실시하여, 모재 강판과 클래딩재의 접합 계면 전단 강도를 구하고, 모재 강판과 클래딩재의 접합성을 평가하였다. 또, 접합 계면 전단 강도가 300 MPa 이상인 경우에 접합성이 양호한 것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방법에 의해 강 조직의 동정 및 각 상의 면적률의 산출, 그리고 베이나이트의 평균 결정 입경의 산출을 실시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12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9106040757-pct00009
Figure 112019106040757-pct00010
Figure 112019106104501-pct00015
Figure 112019106040757-pct00012
표 12 로부터, 발명예는 모두 인장 강도 : 535 MPa 이상이며 또한 연성 파면율 : DWTTSA-30℃ : 85 % 이상이 얻어졌고, 또한, 접합성도 양호함을 알 수 있다.
한편, 표 12 의 비교예의 No.1 은, 모재 강판의 C, Mn 및 Ti 함유량이 적정 범위를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냉각 중에 발생한 페라이트의 양이 많고, Ti 에 의한 석출 강화도 불충분하기 때문에, 원하는 인장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비교예의 No.9 는, 모재 강판의 C 및 Mn 량이 적정 범위를 상회하고 있기 때문에, 섬상 마텐자이트의 생성량이 증가하여, 원하는 저온 인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비교예의 No.10 은, 모재 강판의 Si, Nb 및 Ti 함유량이 적정 범위를 상회하고 있기 때문에, TiN 이 조대화되고, 이것이 연성 균열이나 취성 균열의 발생 기점이 되거나 하여, 원하는 저온 인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비교예의 No.11 은, Nb 함유량이 적정 범위를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γ 미재결정 온도역의 확대가 충분치 않아 오스테나이트가 조대화되어, 제품판으로 미세한 베이나이트의 결정립이 얻어지지 않으므로, 원하는 저온 인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비교예의 No.17 은, 슬래브 가열 온도가 적정 범위를 상회하고 있기 때문에, 오스테나이트가 조대화되어, 제품판으로 미세한 베이나이트의 결정립이 얻어지지 않으므로, 원하는 저온 인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비교예의 No.18 은, 슬래브 가열 온도가 적정 범위를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강화 원소의 고용이 충분치 않아, 원하는 인장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모재 강판과 클래딩재의 접합성도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비교예의 No.19 는, 표면 온도 900 ℃ 이하의 온도역에서의 누적 압하율이 적정 범위를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베이나이트의 미세화가 충분치 않아, 원하는 저온 인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비교예의 No.20 은, 평균 냉각 속도가 적정 범위를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냉각 중에 발생하는 페라이트의 양이 많아, 원하는 인장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비교예의 No.21 은, 냉각 정지 온도가 적정 범위를 상회하고 있고, 또한 템퍼링 온도도 적정 범위를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섬상 마텐자이트의 양이 많아, 원하는 저온 인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비교예의 No.22 는, 템퍼링 온도가 적정 범위를 상회하고 있기 때문에, 석출물 (시멘타이트) 이 조대화되어, 원하는 저온 인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Claims (7)

  1. 모재 강판의 편면에, 내식성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클래딩재가 접합되어 있는 클래드 강판으로서,
    상기 모재 강판이, 질량% 로,
    C : 0.020 ∼ 0.100 %,
    Si : 0.05 ∼ 0.50 %,
    Mn : 0.75 ∼ 1.80 %,
    P : 0.015 % 이하,
    S : 0.0030 % 이하,
    Al : 0.010 ∼ 0.070 %,
    Nb : 0.005 ∼ 0.080 %,
    Ti : 0.005 ∼ 0.030 % 및
    N : 0.0010 ∼ 0.0060 %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성분 조성을 갖고,
    또한, 상기 모재 강판이,
    상기 모재 강판의 판두께 방향의 판두께 1/2 위치에 있어서, 면적률로 94 % 이상인 베이나이트와 6 % 이하인 섬상 마텐자이트를 가지며, 상기 베이나이트의 평균 결정 입경이 25 ㎛ 이하인, 강 조직을 갖고,
    또한, 상기 모재 강판과 상기 클래딩재의 접합 계면 전단 강도가 300 MPa 이상이고,
    인장 강도가 535 MPa 이상이고, 연성 파면율 DWTTSA-30℃ 가 85 % 이상인, 클래드 강판.
    여기서, 연성 파면율 DWTTSA-30℃ 는, API-5L 에 준거하는 DWTT 시험 (시험 온도 : -30℃) 에 의해 구한 것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 강판의 성분 조성이, 추가로 질량% 로,
    Cu : 0.50 % 이하,
    Cr : 0.50 % 이하,
    Mo : 0.50 % 이하,
    V : 0.100 % 이하,
    Ni : 0.50 % 이하 및
    Ca : 0.0040 % 이하
    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클래드 강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식성 합금이, Ni 기 합금 또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인, 클래드 강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모재 강판의 성분 조성을 갖는 모재 강판의 소재와, 내식성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클래딩재의 소재를 적층시켜 이루어지는 슬래브를, 표면 온도로 1050 ℃ ∼ 1200 ℃ 의 온도역으로 가열한 후,
    그 슬래브에, 표면 온도 950 ℃ 이상의 온도역에서의 압하비 : 2.0 이상이 되는 제 1 압연을 실시한 후, 표면 온도 900 ℃ 이하의 온도역에서의 누적 압하율 : 50 % 이상, 압연 종료 온도 : 표면 온도로 800 ℃ 이상으로 하는 제 2 압연을 실시하여, 모재 강판과 클래딩재로 이루어지는 압연판으로 하고,
    이어서, 그 압연판에, 냉각 개시 온도 : 표면 온도로 Ar3 온도 이상, 평균 냉각 속도 : 5 ℃/s 이상, 냉각 정지 온도 : 상기 모재 강판의 판두께 방향의 판두께 1/2 위치의 온도로 500 ℃ 이하의 가속 냉각을 실시하고,
    또한, 상기 압연판을, 상기 모재 강판의 판두께 방향의 판두께 1/2 위치의 온도로 350 ∼ 600 ℃ 의 온도역까지 가열하여 그 온도역에서 템퍼링을 실시하는, 클래드 강판의 제조 방법.
    여기서, 가속 냉각에 있어서의 평균 냉각 속도는, 모재 강판의 판두께 방향의 판두께 1/2 위치에 있어서의 냉각 개시 온도와 냉각 종료 온도의 차이를, 냉각 시간으로 나눔으로써 구한 것이다.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모재 강판의 성분 조성을 갖는 모재 강판의 소재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는 클래딩재의 소재 또는 Alloy 825 의 Ni 기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클래딩재의 소재를 적층시켜 이루어지는 슬래브를, 표면 온도로 1050 ℃ ∼ 1200 ℃ 의 온도역으로 가열한 후,
    그 슬래브에, 표면 온도 950 ℃ 이상의 온도역에서의 압하비 : 1.5 이상이 되는 제 1 압연을 실시한 후, 표면 온도 900 ℃ 이하의 온도역에서의 누적 압하율 : 50 % 이상, 압연 종료 온도 : 표면 온도로 750 ℃ 이상으로 하는 제 2 압연을 실시하여, 모재 강판과 클래딩재로 이루어지는 압연판으로 하고,
    이어서, 그 압연판에, 냉각 개시 온도 : 표면 온도로 Ar3 온도 이상, 평균 냉각 속도 : 5 ℃/s 이상, 냉각 정지 온도 : 상기 모재 강판의 판두께 방향의 판두께 1/2 위치의 온도로 500 ℃ 이하의 가속 냉각을 실시하고,
    또한, 상기 압연판을, 상기 모재 강판의 판두께 방향의 판두께 1/2 위치의 온도로 350 ∼ 600 ℃ 의 온도역까지 가열하여 그 온도역에서 템퍼링을 실시하는, 클래드 강판의 제조 방법.
    여기서, 가속 냉각에 있어서의 평균 냉각 속도는, 모재 강판의 판두께 방향의 판두께 1/2 위치에 있어서의 냉각 개시 온도와 냉각 종료 온도의 차이를, 냉각 시간으로 나눔으로써 구한 것이다.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가, 모재 강판의 소재/클래딩재의 소재/클래딩재의 소재/모재 강판의 소재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클래드 강판의 제조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가, 모재 강판의 소재/클래딩재의 소재/클래딩재의 소재/모재 강판의 소재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클래드 강판의 제조 방법.
KR1020197030648A 2017-03-29 2018-03-27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2594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65854 2017-03-29
JPJP-P-2017-065854 2017-03-29
JP2017166569 2017-08-31
JPJP-P-2017-166569 2017-08-31
PCT/JP2018/012547 WO2018181381A1 (ja) 2017-03-29 2018-03-27 クラッド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956A KR20190129956A (ko) 2019-11-20
KR102259450B1 true KR102259450B1 (ko) 2021-06-01

Family

ID=63675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0648A KR102259450B1 (ko) 2017-03-29 2018-03-27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604597B1 (ko)
JP (1) JP6555435B2 (ko)
KR (1) KR102259450B1 (ko)
CN (1) CN110462087B (ko)
MY (1) MY196780A (ko)
WO (1) WO20181813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618B1 (ko) * 2018-06-27 2022-05-24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EP4032998A4 (en) * 2019-09-20 2023-03-08 JFE Steel Corporation PLATED STE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CN114430779B (zh) * 2019-09-25 2023-02-10 杰富意钢铁株式会社 复合钢板及其制造方法
CN110684933B (zh) * 2019-11-07 2020-12-18 燕山大学 一种复合马氏体钢及其制备方法
KR102579428B1 (ko) * 2021-04-12 2023-09-18 동국제강 주식회사 경도 변화가 제어된 클래드 강
CN116516244A (zh) * 2022-01-21 2023-08-01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耐氢氧化钠腐蚀高强度管道及其制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21455A (zh) 2012-05-23 2015-01-28 杰富意钢铁株式会社 焊接部韧性优良的高韧性复合钢板的母材及该复合钢板的制造方法
JP2015086422A (ja) 2013-10-30 2015-05-0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母材の低温靭性とHAZ靭性及び合せ材の耐食性に優れたNi合金クラッド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105399A (ja) 2013-11-29 2015-06-0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母材の低温靭性とhaz靭性並びに合せ材の耐食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クラッド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117408A (ja) 2013-12-18 2015-06-2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母材の低温靭性とHAZ靭性及び合せ材の耐食性に優れたNi合金クラッド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6075925A1 (ja) * 2014-11-11 2016-05-1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Ni合金クラッド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64290B (zh) * 2013-05-09 2018-07-31 杰富意钢铁株式会社 耐晶间腐蚀特性优异的Ni合金包层钢及其制造方法
EP3037567B1 (en) * 2013-10-21 2019-09-18 JFE Steel Corporation Austenitic stainless steel clad steel plat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JP6128057B2 (ja) * 2014-05-29 2017-05-1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低yrクラッド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6168131B2 (ja) * 2014-12-09 2017-07-2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ステンレスクラッド鋼板
CN105690910B (zh) * 2016-01-15 2018-12-07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LNG储罐和移动容器用9Ni钢/不锈钢复合钢板及其制造方法
CN105671424A (zh) * 2016-01-26 2016-06-15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管线用镍基合金复合钢板及其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21455A (zh) 2012-05-23 2015-01-28 杰富意钢铁株式会社 焊接部韧性优良的高韧性复合钢板的母材及该复合钢板的制造方法
JP2015086422A (ja) 2013-10-30 2015-05-0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母材の低温靭性とHAZ靭性及び合せ材の耐食性に優れたNi合金クラッド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105399A (ja) 2013-11-29 2015-06-0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母材の低温靭性とhaz靭性並びに合せ材の耐食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クラッド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117408A (ja) 2013-12-18 2015-06-2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母材の低温靭性とHAZ靭性及び合せ材の耐食性に優れたNi合金クラッド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6075925A1 (ja) * 2014-11-11 2016-05-1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Ni合金クラッド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04597B1 (en) 2022-10-19
JPWO2018181381A1 (ja) 2019-06-27
MY196780A (en) 2023-05-03
CN110462087A (zh) 2019-11-15
KR20190129956A (ko) 2019-11-20
EP3604597A4 (en) 2020-02-05
EP3604597A1 (en) 2020-02-05
WO2018181381A1 (ja) 2018-10-04
CN110462087B (zh) 2021-07-27
JP6555435B2 (ja) 201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9450B1 (ko)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401618B1 (ko)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6127939B2 (ja) 母材の低温靭性とhaz靭性並びに合せ材の耐食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クラッド鋼板の製造方法
JP6079165B2 (ja) 溶接部靭性に優れた高靭性高耐食性Ni合金クラッド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207237A (ja) 多層盛溶接部の靭性に優れた降伏強さ500MPa級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024643B2 (ja) 母材の低温靭性とHAZ靭性及び合せ材の耐食性に優れたNi合金クラッド鋼板の製造方法
JP2015224376A (ja) 低yrクラッド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892994B2 (ja) 耐ssc特性に優れた高張力鋼板の製造方法
JP6079611B2 (ja) 母材の低温靭性とHAZ靭性及び合せ材の耐食性に優れたNi合金クラッド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390567B2 (ja) ステンレスクラッド鋼板の製造方法
KR102439486B1 (ko) 클래드 강판
JP6648736B2 (ja) 母材低温靱性とhaz靱性に優れたクラッド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750572B2 (ja) 母材が高強度で低温靱性に優れたクラッド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4430779B (zh) 复合钢板及其制造方法
JP4710423B2 (ja) 耐ssc特性に優れた高張力鋼板の製造方法
WO2012140718A1 (ja) 高耐食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