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074B1 - 초 고전류용 포고핀 - Google Patents

초 고전류용 포고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074B1
KR102259074B1 KR1020200061715A KR20200061715A KR102259074B1 KR 102259074 B1 KR102259074 B1 KR 102259074B1 KR 1020200061715 A KR1020200061715 A KR 1020200061715A KR 20200061715 A KR20200061715 A KR 20200061715A KR 102259074 B1 KR102259074 B1 KR 102259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outer cylinder
diameter portion
high current
ult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준
Original Assignee
(주)아이윈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윈솔루션 filed Critical (주)아이윈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061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074B1/ko
Priority to CN202180001183.7A priority patent/CN113973507A/zh
Priority to JP2021571769A priority patent/JP7240534B2/ja
Priority to PCT/KR2021/004772 priority patent/WO202123570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074B1/ko
Priority to KR1020210151757A priority patent/KR102622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01R1/06722Spring-load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01R1/06738Geometry aspects related to tip por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01R1/0675Needle-li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포고핀은, 탐침(50)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60)을 내장하며 상기 탐침(5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외통(70)을 구비하는 포고핀으로서, 상기 탐침(50)은, 소경부(51)와; 상기 소경부(51)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소경부(51)보다 외경이 큰 대경부(52)와; 상기 대경부(52)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외통(40)의 내주면을 탄성 접촉하면서 슬라이딩가능한 복수의 브러시(5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탐침(50)은 평판재를 가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을 한다.

Description

초 고전류용 포고핀{POGO PIN FOR SUPER HIGH CURRENT}
본 발명은 초 고전류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포고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포고핀(Pogo Pin))에서는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탐침의 끝을 가압할 때, 그 불안정성에 의존하여 탐침이 약간 쓰러지면서 탐침의 일부분이 외통과 닿게 되며, 이와 같은 접촉에 의해 탐침과 외통 사이의 전기적 통로를 구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포고핀의 상하 양단에 탐침(상부탐침 및 하부탐침)이 구성되는 경우, 전기적 경로는 상부탐침 - 외통 - 하부탐침의 경로로 구성되는 데, 탐침의 쓰러짐에 의존하여 탐침과 외통 사이의 접촉이 가능하므로, 종래 포고핀에서는 접촉 임피던스의 산포가 크고 접촉 임피던스가 비교적 클 수밖에 없어서, 초 고전류의 전송이 어려움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의 변형된 포고핀이나 연결핀이 연구되고 있으며, 스트로크, 스프링력, 집적도(소형화), 내구성, 안정성 등 물리적 특성을 유지하거나 향상시키면서도 초 고전류 또는 초 저임피던스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포고핀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상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과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문제점 및 과제에 대한 인식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포고 핀의 물리적 특성을 희생하지 않으면서도 전기적 특성이 보다 우수하도록 하거나, 전기적 특성을 희생하지 않으면서도 물리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포고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 과정이 보다 간단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포고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포고핀은, 탐침(10)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30)을 내장하며 상기 탐침(1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외통(40)을 구비하는 포고핀으로서, 상기 탐침(10)은 소경부(11)와 상기 소경부(11)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소경부(11)보다 외경이 크고 상기 외통(40)의 내부에 위치하는 대경부(12)를 구비하며, 상기 탐침(10)의 대경부(12)를 감싸면서 상기 대경부(12)에 결합하여 고정되는 원통형 결합부(21)와 상기 원통형 결합부(21)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외통(40)의 내주면을 탄성 접촉하면서 슬라이딩가능한 복수의 브러시(22)를 구비하는 슬리브(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을 한다.
상기한 포고핀에 있어서, 상기 탐침(10)과 상기 슬리브(20)는 모두 평판재를 가공하여 형성한 것이되,상기 슬리브(20)는 상기 탐침(10)보다 얇은 평판재를 가공하여 형성한 것일 수 있다.
상기한 포고핀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0)는 평판재를 가공하여 형성한 것이되, 상기 외통(40)의 내주면에 탄성 접촉하는 상기 브러시(22)의 접촉면은 상기 평판재의 절단면이 아닌 상기 평편재의 일측 평면에서 유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한 포고핀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0)의 원통형 결합부(21)의 하단에는 일부분이 펀칭되어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턱(21a);을 구비하며, 상기 걸림턱(21a)은 포고핀의 압축시 상기 탐침(10)의 대경부(12)의 일단이 상기 슬리브(2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포고핀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0)의 원통형 결합부(21)의 상방에는 오므림부(23);가 구성되며, 상기 오므림부(23)는 포고핀의 신장시 상기 탐침(10)의 대경부(12)의 타단이 상기 슬리브(2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포고핀은, 탐침(50)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60)을 내장하며 상기 탐침(5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외통(70)을 구비하는 포고핀으로서, 상기 탐침(50)은, 소경부(51)와; 상기 소경부(51)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소경부(51)보다 외경이 큰 대경부(52)와; 상기 대경부(52)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외통(40)의 내주면을 탄성 접촉하면서 슬라이딩가능한 복수의 브러시(5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탐침(50)은 평판재를 가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을 한다.
상기한 포고핀에 있어서, 상기 외통(40)의 내주면에 탄성 접촉하는 상기 브러시(53)의 접촉면은 상기 평판재의 절단면이 아닌 상기 평판재의 일측 평면에서 유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한 포고핀에 있어서, 상기 탐침(50)에서, 상기 브러시(53)의 두께(t2)는 상기 소경부(51) 및 상기 대경부(52)의 두께(t1)보다 얇게 되도록 상기 평판재가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포고핀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53)는, 상기 대경부(52)의 원주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는 켄틸레버(53a)와, 상기 켄틸레버(53a)의 자유단에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외통(40)의 내주면을 탄성 접촉하는 슬라이딩 컨택부(53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포고핀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컨택부(53a)는 외통(7)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절곡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포고핀에 있어서, 상기 외통(70)도 평판재를 가공하여 형성된 것이며, 상기 외통(70)에는 상기 외통(70)의 원주상에서 내측으로 압입되어 원형의 돌기를 구성하는 원형 돌기부(B)를 구비하여, 상기 대경부(52)와 상기 소경부(51) 사이의 제 1 단차부(A1)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탐침(50)이 상기 외통(7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포고핀에 있어서, 상기 외통(70)은, 상기 외통(70)의 원형 돌기부(B)를 경계로, 상기 대경부(52)를 가이드하고 상기 브러시(53)가 슬라이딩되는 내주면을 제공하는 제 1 원통부(71)와, 상기 제 1 원통부(71)와 결합하고 상기 외통(70)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 2 원통부(72)를 구비하되, 상기 제 1 원통부(71)와 상기 제 2 원통부(72)의 내경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포고핀에 있어서, 상기 탐침(50)은, 상기 소경부(51)로부터 제 2 단차부(A2)를 형성한 후 연장하는 접촉부(54)를 더 가지되 상기 접촉부(54)의 내경은 상기 소경부(51)의 내경 보다 작아서, 상기 스프링(60)의 일단이 상기 제 2 단차부(A2)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브러시의 탄성변형 범위를 증대시키고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브러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포고핀의 길이를 대폭 증대시키지 않으면서도 브러시의 사용으로 포고핀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일 양상에 따르면 종래 포고핀의 제고 과정에서 필요했던 코킹(calking)이 필요없으며 이에 따라 불량율을 낮추며 제조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탐침의 내부로 스프링의 통과를 허용하는 구조이므로 보다 긴 스프링의 길이와 보다 긴 스프링의 스트로크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초 고전류용 포고핀으로서, 도 1은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수직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초 고전류용 포고핀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는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명칭 및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초 고전류용 포고핀으로서, 도 1은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수직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은 탐침(10), 슬리브(20), 스프링(30) 및 외통(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프링(30)을 제외한 탐침(10), 슬리브(20) 및 외통(40)은 평판재를 가공하여 제조된다.
외통(40)은 탐침(10)을 탄성 지지하는 코일형 스프링(30)을 내장하며 탐침(1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고 스프링(30)의 압축 및 신장시 스프링(30)을 가이드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는 일 방향에 탐침(10)을 가지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외통의 일방향(상방)에서는 탐침(10)이 부분적으로 외부로 노출되고 상황에 따라 노출부분이 가변된다. 외통의 타방향(하방)은 저면의 원반부(41)로써 폐색되어 있는데, 평판재의 가공으로 제조되는 외통에서 외통의 원통부(43)의 하단 일측에서 원통부(43)에 원반부(41)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원반부(41)가 연결된 반대쪽에서는 원통부(43)의 하단에 구비된 후크홈(H)에 원반부(41)로부터 연장하는 후크(42)가 절곡된 상태로 안착되게 함으로써, 원반부(41)를 원통부(43)에 고정한다.
예를 들면 포고핀이 소켓에 사용될 때 포고핀의 탐침(10), 구체적으로는 탐침(10)의 접촉부(14)는 반도체 소자의 단자에 접촉하기 위한 것이며, 원반부(41)를 포함하는 외통(40)의 하단은 PCB의 패드에 직접 접촉하거나 Soldering 방식으로 접촉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외통(40)의 외벽이 타 접촉부와 접촉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는 일 방향에 탐침(10)을 가지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며, 다른 실시형태로서 포고핀의 양 방향, 즉 길이방향의 양쪽에 탐침(10)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목적에 따라, 즉 접촉의 상대방에 따라 탐침(10)에서 접촉부(14)의 형상은 크라운 형상, 콘 형상 및 원통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탐침(10)은 단차를 가진 대략 원통 형상으로서, 소경부(11) 및 대경부(12)의 각각은 원통형상을 가진다. 탐침(10)의 대경부(12)는 소경부(11)로부터 연장하고 소경부(11)보다 외경이 크고 외통(40)의 내부에 위치한다. 소경부(11)에서 보면 대경부(12)가 연장하는 방향의 반대쪽에는 접촉부(14)가 소경부(11)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된다.
탐침(10)은 소경부(11)와 대경부(12)의 사이에 단차부(A1)를 형성하고 스프링(30)의 외경은 소경부(11)의 내경보다 크고 대경부(12)의 내경보다는 작아서 스프링(30)은 대경부(12)를 통과하여 소경부(11)의 하단에 의해 지지된다. 탐침(10)의 대경부(12)는 탐침(10)의 가이드 기능을 위해 이용되면서 동시에 스프링(30)의 통과를 허용하는 구조이므로 결과적으로 보다 긴 스프링(30)의 길이와 보다 긴 스프링의 스트로크를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포고핀의 길이 대비 보다 긴 스트로크를 가능하게 한다.
슬리브(20)는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특징중의 하나로서, 탐침(10)의 대경부(12)를 감싸면서 대경부(12)에 결합하여 고정되며 대략 원통형상인 원통형 결합부(21)와, 이러한 원통형 결합부(21)로부터 연장하고 외통(40)의 내주면을 탄성 접촉하면서 슬라이딩가능한 복수의 브러시(22)를 구비한다.
원통형 결합부(21)의 상방에는 오므림부(23)가 구성되는 데, 오므림부(23)는 슬리브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대략 90도 절곡되어서 탐침(10)의 단차부(A1)를 감싸도록 하고 있으며, 포고핀의 신장시 탐침(10)의 대경부(12)가 슬리브(2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슬리브(20)의 원통형 결합부(21)의 하단에는 일부분이 펀칭되어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턱(21a)을 구비하는 데, 대략 'ㄷ'자 형상으로 펀칭되되, 슬리브(20)의 길이방향중 브러시(22)가 구성된 쪽에서 펀칭되지 않는 변을 가진다. 따라서 걸림턱(21a)의 자유단은 슬리브(20)의 상방을 향하되 내측으로 절곡되는 데, 탐침(10)과 슬리브(20)의 조립시 걸림턱(21a)은 탐침(10)의 대경부(12)가 슬리브(20)의 원통형 결합부(21) 안으로 진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조립후 포고핀의 사용단계에서 걸림턱(21a)은 포고핀의 압축시 탐침(10)의 대경부(12)의 일단(하단)이 슬리브(2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조립후 탐침(10)과 슬리브(20)는 일체화되며 스프링(30)에 지지된 상태에서 일체로 상하 방향의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다.
브러시(22)는 원통형 결합부(21)로부터 연장하되, 원통형 결합부(21)의 하단원주상에서 복수개, 예를 들면 10개가 등간격으로 입설되어 있다. 이웃하는 브러시 사이에는 공간이 있고 브러시의 고정단은 원통형 결합부(21)에 결합하고 브러시의 자유단 또는 자유단의 근방을 포함하는 부분은 외통(40)의 내주면을 탄성 접촉하고 있다.
탐침(10)과 슬리브(20) 등은 모두 평판재를 가공하여 형성한 것이다. 외통(40)의 내주면에 탄성 접촉하는 브러시(22)의 접촉면은 평판재의 절단면이 아닌 평편재의 일측 평면에서 유래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브러시가 켄틸레버로서 작용할 때 켄틸레버의 두께를 작게하는 것이 용이하다.
슬리브(20)는 탐침(10)보다 얇은 평판재를 가공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슬리브(20)의 두께는 탐침(10)의 두께 보다 얇게 선택된다. 탐침보다 얇은 슬리브의 두께로 인해서 슬리브의 오므림부(23)의 절곡부분은 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통(40)의 원통부(43)와 입구부(44)의 사이에 구성되는 단차부(A2)에 보다 확실하게 일체화된 탐침 및 슬리브가 걸릴 수 있도록 하여 외부로의 이탈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한다.
그리고 보다 얇은 슬리브(20)는 브러시(22)의 탄성변형 범위를 증대시키며 이에 따라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브러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라 포고핀의 길이를 증대시키지 않으면서, 또는 대폭 증대시키지 않으면서도 브러시의 사용으로 포고핀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슬리브(20)를 외통(40)에 삽입하기전, 슬리브(20)의 브러시(22)는 바깥쪽으로 꺽여져 있어야 한다. 그래야만 조립후 브러시(22)는 외통(40)에 대하여 요구되는 탄성 접촉이 가능하다. 그런데 만약 요구수준 이하의 탄성변형 범위를 가지면 조립후 슬리브(20)의 소성 변형과 불량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슬리브(20)의 두께가 1/2로 감소하면 브러시의 탄성변형 범위는 8배 증가한다. 가정하여 슬리브(20)의 두께를 얇게 하지 않고 동일한 탄성변형 범위를 달성하고자 하면, 브러시의 길이를 대폭 증대시켜야 하며 탐침의 자유로운 상하 왕복 이동을 보장하는 여유 공간까지 감안하면 포고핀의 길이가 너무 길어져버리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탐침과는 별도로 탐침과 조립되는 슬리브를 채용함으로써 탐침보다 얇은 슬리브의 사용을 손쉽게 하며 나아가 포고핀의 길이를 증대시키지 않거나 대폭 증대시키지 않고도 브러시의 사용으로 포고핀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초 고전류용 포고핀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는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서는 편의상 탐침이 포고핀의 양단에 있는 형태를 설명하고 있으나, 동일한 특징을 지니면서 포고핀의 일단에만 있는 형태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점은 자명하다. 제 2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제 1 실시예의 구조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생략될 수 있고 제 1 실시예에 있는 구조는 차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은 양단에 각각 위치하는 2개의 탐침(50), 스프링(60) 및 외통(7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스프링(60)을 제외하고 2개의 탐침(50) 및 외통은 평판재를 가공하여 제조된다.
외통(70)은 탐침(10)을 탄성 지지하는 코일형 스프링(60)을 내장하며 탐침(1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고 스프링(60)의 압축 및 신장시 스프링(60)을 가이드 한다. 조립후 외통(70)은 스프링(60)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탐침(50)이 정해진 범위이상 외통(7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포고핀의 압축 및 신장 시 탐침 및 스프링을 가이드한다.
외통(70)은 원형 돌기부(B)를 경계로 탐침(50)의 대경부(52)를 가이드하고 탐침(50)의 브러시(53)가 슬라이딩되는 내주면을 제공하는 제 1 원통부(71)와, 상기 제 1 원통부(71)와 결합하고 외통(70)의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도시된 실시 형태)에 형성되는 제 2 원통부(72)를 구비한다.
외통(70)도 평판재를 가공하여 형성된 것이며, 외통(70)에는 외통(70)의 한쪽 또는 양쪽에 원주상에서 내측으로 압입되어 원형의 돌기를 구성하는 원형 돌기부(B)를 구비하는 데, 탐침(50)의 대경부(52)와 소경부(51) 사이의 제 1 단차부(A1)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탐침(50)이 외통(7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특이하게도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제 1 원통부(71)와 제 2 원통부(72)의 내경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탐침(50)의 대경부(52)와 제 1 원통부(71) 사이의 간격에 비하여 탐침(50)의 소경부(51)와 제 2 원통부(72) 사이의 간격이 꽤 있어서 언뜻 이상하게 보이나, 상기한 특징은 포고핀의 조립 공정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종래 포고핀의 제조과정에서는 스프링의 탄발력에 저항하면서 탐침을 외통내에 위치시킨후 외통을 끝을 오므려서 탐침이 외통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런바 코킹(calking)이 필요하다. 코킹은 각 부품의 제조와는 별개로 조립과정에서만 수행될 수 있고 스프링의 탄발력을 제어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정밀한 작업이 필요하므로 공정 난이도가 높고 공정비용이 대단히 크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외통부(72)의 내경이 제 1 원통부(71)의 내경과 동일하므로 탐침과 외통의 조립시 탐침(50)의 대경부(52)가 외통 초입의 제 2 외통부(72)에 진입하는 것이 용이하고(브러시는 오므리거나 오므리지 않은 상태로 제 2 외통부로 진입함), 원형 돌기부(B)를 만나서는 평판재로 된 외통을 살짝 벌리면서 타고 넘을 수 있어서 외통 내부로 진입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종래 포고핀의 제조 과정에서 필요했던 코킹(calking)이 필요없으며 이에 따라 불량율을 낮추며 제조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외통의 일 지점에는 일부분이 펀칭되고 외통에서 연장된 상태로 자유단이 외측으로 돌출 만곡되어 있는 스톱돌기(D)가 형성되며, 스톱돌기(D)는 소켓몸체(하우징) 등에 포고핀을 탑재할 때 소켓몸체의 홀에 안착된 후, 제조 과정중 포고핀이 소켓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종래 소켓몸체(하우징)는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의 2개가 필요하고 포고핀들을 일측에 수용한 후 두 하우징을 결합할 필요가 있으나, 스톱돌기(D)를 사용하면 단일의 하우징으로 포고핀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탐침(50)은 외경이 대경부(52)보다 작은 소경부(51)와, 상기 소경부(51)로부터 연장하고 소경부(51)보다 외경이 큰 대경부(52)와, 외부와의 전기적인 접촉을 위한 접촉부(53)와, 대경부(52)로부터 연장하고 외통(40)의 내주면을 탄성 접촉하면서 슬라이딩가능한 복수의 브러시(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대경부(52)는 탐침이 직립된 상태로 외통에 의해 가이드되는 데 있어서 주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탐침(50)도 평판재를 가공하여 형성된 것이며, 탐침(50)은 외통밖으로 진출입하는 소경부(51)와 외통의 내부에서 상하 왕복하는 대경부(52)의 사이에 제 1 단차부(A1)를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단차부(A1)가 외통의 원형 돌기부(B)에 걸려서 탐침(50)의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소경부(51)로부터 제 2 단차부(A2)를 형성한 후 연장하는 접촉부(54)를 가지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54)의 내경은 소경부(51)의 내경 보다 작아서, 스프링(60)의 일단이 제 2 단차부(A2)에 의해서 지지된다. 그리고 사용목적에 따라, 즉 접촉의 상대방에 따라 탐침(50)에서 접촉부(54)의 형상은 크라운 형상, 콘 형상 및 원통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평판재로 가공 형성된 소경부(51), 대경부(52) 및 브러시(53)의 내측 공간을 통하여 스프링의 삽통을 허용하며 이에 따라 충분한 길이의 스프링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충분한 스트로크를 제공할 수 있다.
브러시(53)는 대경부(52)의 원주상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제 3 단차부(A3))를 가진 후 연장하거나 또는 단차없이 연장될 수 있다. 브러시(53)는 대경부(52)의 원주를 따라 복수개 입설되되, 대경부(52)의 원주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는 켄틸레버(53a)와, 상기 켄틸레버(53a)의 자유단에 일체로 구성되고 외통(40)의 내주면을 탄성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컨택부(53b)를 구비한다.
슬라이딩 컨택부(53a)는 외통(7)의 내주면을 향해 꺽쇠 모양 또는 반원 모양 등으로 절곡되어 내주면에 접촉하는 절곡부분을 가지는 데 슬라이딩 컨택부(53a)의 끝은 조립시 외통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중심쪽으로 비스듬히 향하는 각도로 되어 있다.
그리고 외통(40)의 내주면에 탄성 접촉하는 브러시(53)의 접촉면(컨택부의 접촉면)은 평판재의 절단면이 아닌 평판재의 일측 평면에서 유래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켄틸레버의 두께를 작게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탐침(50)에서, 브러시(53)의 두께(t2)는 소경부(51) 및 대경부(52)의 두께(t1)보다 얇게 되도록 금속 평판재가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두께가 달라지는 지점은 대경부(52)의 끝단, 또는 브러시(53)의 초입이나 정확히 둘 사이로 선택될 수 있으나, 그 어느 경우에도 상기한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선호되기로는 제 3 단차부(A3)를 포함하여 보다 두꺼운 두께(t1)으로 하는 것이 선호된다.
소경부(51), 대경부(52) 및 브러시(53)는 모두 일체로 된 것으로서 각각 평판재의 제조후 결합되는 것이 아니면서도 그 두께를 상기와 같이 달리하는 데, 이를 위해 탐침의 제조 공정중 프레스 공정 등에 의하여 브러시를 형성할 해당 부분이 더 얇게 되도록 가공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서는 탐침과는 별도의 슬리브를 사용하여 보다 얇은 두께를 구현하였으나, 제 2 실시예에서는 브러시가 탐침에 일체로 구성되면서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한다.
보다 얇은 브러시는 그 탄성변형 범위를 증대시키며 이에 따라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브러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라 포고핀의 길이를 증대시키지 않거나 대폭 증대시키지 않으면서도 브러시의 사용으로 포고핀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제 1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원용한다. 예를 들어, 두께를 25% 감소시키면 탄성변형 범위는 대략 2.37배 증가한다.
이하, 포고핀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되 제 2 실시예의 탐침을 제조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며, 다른 부품, 즉 제 1 실시예의 부품이나 제 2 실시예의 외통등은 이러한 설명을 통하여 쉽게 유추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탐침의 전개도를 기초로 한 금형을 이용하여 시트 형상의 금속 평판재를 펀칭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전개도 모양대로 따내어진 평판 모양의 중간재를 만든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스 공정으로 브러시를 형성할 부분을 압착하여 그 두께를 더욱 얇게 하며, 다시 한번 동일 금형을 이용하여 펀칭함으로써 상기한 프레스 공정으로 외곽선이 확장된 중간재의 모양을 다듬을 수 있으며 이러한 두번째 프레스 공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코이닝 공정에 의해 절곡된 슬라이딩 컨택부와 단차부(이는 후속의 롤링 공정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 등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 후 롤링 공정에 의해 원통형상으로 말아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형상의 탐침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들은 프로그레시스 스탬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10 : 탐침 20 : 슬리브
30 : 스프링 40 : 외통
50 : 탐침 60 : 스프링
70 : 외통

Claims (14)

  1. 탐침(10)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30)을 내장하며 상기 탐침(1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외통(40)을 구비하는 초고전류용 포고핀에 있어서,
    상기 탐침(10)은 소경부(11)와 상기 소경부(11)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소경부(11)보다 외경이 크고 상기 외통(40)의 내부에 위치하는 대경부(12)를 구비하며,
    상기 탐침(10)의 대경부(12)를 감싸면서 상기 대경부(12)에 결합하여 고정되는 원통형 결합부(21)와 상기 원통형 결합부(21)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외통(40)의 내주면을 탄성 접촉하면서 슬라이딩가능한 복수의 브러시(22)를 구비하는 슬리브(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초고전류용 포고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탐침(10)과 상기 슬리브(20)는 모두 평판재를 가공하여 형성한 것이되,
    상기 슬리브(20)는 상기 탐침(10)보다 얇은 평판재를 가공하여 형성한 것인,
    초고전류용 포고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0)는 평판재를 가공하여 형성한 것이되,
    상기 외통(40)의 내주면에 탄성 접촉하는 상기 브러시(22)의 접촉면은 상기 평판재의 절단면이 아닌 상기 평판재의 일측 평면에서 유래하는 것인,
    초고전류용 포고핀.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0)의 원통형 결합부(21)의 하단에는 일부분이 펀칭되어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턱(21a);을 구비하며,
    상기 걸림턱(21a)은 포고핀의 압축시 상기 탐침(10)의 대경부(12)의 일단이 상기 슬리브(2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초고전류용 포고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0)의 원통형 결합부(21)의 상방에는 오므림부(23);가 구성되며,
    상기 오므림부(23)는 포고핀의 신장시 상기 탐침(10)의 대경부(12)의 타단이 상기 슬리브(2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초고전류용 포고핀.
  6. 탐침(50)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60)을 내장하며 상기 탐침(5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외통(70)을 구비하는 초고전류용 포고핀에 있어서,
    상기 탐침(50)은,
    소경부(51)와;
    상기 소경부(51)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소경부(51)보다 외경이 큰 대경부(52)와;
    상기 대경부(52)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외통(70)의 내주면을 탄성 접촉하면서 슬라이딩가능한 복수의 브러시(5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탐침(50)은 평판재를 가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초고전류용 포고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외통(70)의 내주면에 탄성 접촉하는 상기 브러시(53)의 접촉면은 상기 평판재의 절단면이 아닌 상기 평판재의 일측 평면에서 유래하는 것인,
    초고전류용 포고핀.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탐침(50)에서,
    상기 브러시(53)의 두께(t2)는 상기 소경부(51) 및 상기 대경부(52)의 두께(t1)보다 얇게 되도록 상기 평판재가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전류용 포고핀.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53)는,
    상기 대경부(52)의 원주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는 켄틸레버(53a)와, 상기 켄틸레버(53a)의 자유단에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외통(70)의 내주면을 탄성 접촉하는 슬라이딩 컨택부(53b)를 구비하는,
    초고전류용 포고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컨택부(53b)는 상기 외통(70)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절곡 부분을 가지는,
    초고전류용 포고핀.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외통(70)도 평판재를 가공하여 형성된 것이며,
    상기 외통(70)에는 상기 외통(70)의 원주상에서 내측으로 압입되어 원형의 돌기를 구성하는 원형 돌기부(B)를 구비하여, 상기 대경부(52)와 상기 소경부(51) 사이의 제 1 단차부(A1)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탐침(50)이 상기 외통(7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초고전류용 포고핀.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외통(70)은, 상기 외통(70)의 원형 돌기부(B)를 경계로,
    상기 대경부(52)를 가이드하고 상기 브러시(53)가 슬라이딩되는 내주면을 제공하는 제 1 원통부(71)와, 상기 제 1 원통부(71)와 결합하고 상기 외통(70)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 2 원통부(72)를 구비하되,
    상기 제 1 원통부(71)와 상기 제 2 원통부(72)의 내경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전류용 포고핀.
  13.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탐침(50)은,
    상기 소경부(51)로부터 제 2 단차부(A2)를 형성한 후 연장하는 접촉부(54)를 더 가지되 상기 접촉부(54)의 내경은 상기 소경부(51)의 내경 보다 작아서, 상기 스프링(60)의 일단이 상기 제 2 단차부(A2)에 의해서 지지되는,
    초고전류용 포고핀.
  14.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외통(70)의 일 지점에는 일부분이 펀칭되고 상기 외통(70)에서 연장된 상태로 자유단이 외측으로 돌출 만곡되어 있는 스톱돌기(D)가 형성되는,
    초고전류용 포고핀.
KR1020200061715A 2020-05-22 2020-05-22 초 고전류용 포고핀 KR102259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715A KR102259074B1 (ko) 2020-05-22 2020-05-22 초 고전류용 포고핀
CN202180001183.7A CN113973507A (zh) 2020-05-22 2021-04-15 超大电流用弹簧针
JP2021571769A JP7240534B2 (ja) 2020-05-22 2021-04-15 超高電流用ポゴピン
PCT/KR2021/004772 WO2021235704A1 (ko) 2020-05-22 2021-04-15 초 고전류용 포고핀
KR1020210151757A KR102622471B1 (ko) 2020-05-22 2021-11-05 초 고전류용 포고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715A KR102259074B1 (ko) 2020-05-22 2020-05-22 초 고전류용 포고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074B1 true KR102259074B1 (ko) 2021-06-02

Family

ID=763725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715A KR102259074B1 (ko) 2020-05-22 2020-05-22 초 고전류용 포고핀
KR1020210151757A KR102622471B1 (ko) 2020-05-22 2021-11-05 초 고전류용 포고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757A KR102622471B1 (ko) 2020-05-22 2021-11-05 초 고전류용 포고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240534B2 (ko)
KR (2) KR102259074B1 (ko)
CN (1) CN113973507A (ko)
WO (1) WO202123570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0648A1 (ko) * 2022-01-21 2023-07-27 (주)아이윈솔루션 저가형 고성능 포고핀
KR102663575B1 (ko) 2024-02-02 2024-05-03 주식회사 나노시스 결속력을 강화한 탄성 컨텍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8699Y2 (ja) * 1977-02-24 1985-08-30 帝人株式会社 塵埃取り用布帛
EP0405323A2 (de) * 1989-06-24 1991-01-02 Feinmetall Gesellschaft mit beschrÀ¤nkter Haftung Federkontaktstift
JP2011203087A (ja) * 2010-03-25 2011-10-13 Nhk Spring Co Ltd コンタクトプローブ
JP2012506552A (ja) * 2008-10-24 2012-03-15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サービシズ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ク 試験プローブ
JP6028699B2 (ja) 2013-09-13 2016-11-16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および電気コネクタ並びに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18200821A (ja) * 2017-05-29 2018-12-20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電気接触子及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KR20190009233A (ko) * 2017-07-18 2019-01-28 송유선 포고 핀 및 포고 핀의 배열을 구현하는 검사용 소켓
JP6647451B2 (ja) * 2017-03-30 2020-02-14 日本発條株式会社 コンタクトプローブおよびプローブ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4213A (en) * 1989-04-06 1990-02-27 Motorola, Inc. Low impedance electric connector
JP2582628Y2 (ja) * 1992-12-18 1998-10-08 株式会社ヨコオ スプリングコネクター
JPH0712846A (ja) * 1993-06-29 1995-01-17 Fuji Photo Film Co Ltd コンタクトプローブ
JP3088866U (ja) * 2002-03-27 2002-10-04 株式会社精研 検査用プローブ
JP2005009927A (ja) 2003-06-17 2005-01-13 Tesu Hanbai Kk スプリングプローブ
KR200432906Y1 (ko) * 2006-09-08 2006-12-07 씨.씨.피. 콘택트 프로우브스 컴퍼니 리미티드 교체가능한 프로브
KR101057371B1 (ko) * 2009-07-03 2011-08-17 리노공업주식회사 검사용 탐침 장치
CN202025900U (zh) * 2011-03-25 2011-11-02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探针连接器
CN202205934U (zh) * 2011-09-01 2012-04-25 东莞中探探针有限公司 一种结构改良的弹簧式连接器
KR20120044960A (ko) * 2012-04-04 2012-05-08 박상량 고집적도용 테스트 핀 및 반도체 검사용 소켓
CN103022773B (zh) * 2012-12-17 2015-04-22 福立旺精密机电(中国)有限公司 探针式连接器
JP6909698B2 (ja) * 2017-10-05 2021-07-28 株式会社ヨコオ スプリングコネクタ
CN107942109A (zh) * 2017-12-21 2018-04-20 东莞市燊瑞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传输高频信号的测试针
KR102092005B1 (ko) * 2018-07-05 2020-03-23 박상량 안정적 접촉을 보장하는 커넥터 핀
CN109103643A (zh) * 2018-07-25 2018-12-28 深圳市爱默斯科技有限公司 一种pogo pin连接器
KR102202827B1 (ko) * 2020-10-27 2021-01-14 (주) 네스텍코리아 프로브 핀 및 이를 적용한 동축 프로브 조립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8699Y2 (ja) * 1977-02-24 1985-08-30 帝人株式会社 塵埃取り用布帛
EP0405323A2 (de) * 1989-06-24 1991-01-02 Feinmetall Gesellschaft mit beschrÀ¤nkter Haftung Federkontaktstift
JP2012506552A (ja) * 2008-10-24 2012-03-15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サービシズ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ク 試験プローブ
JP2011203087A (ja) * 2010-03-25 2011-10-13 Nhk Spring Co Ltd コンタクトプローブ
JP6028699B2 (ja) 2013-09-13 2016-11-16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および電気コネクタ並びに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6647451B2 (ja) * 2017-03-30 2020-02-14 日本発條株式会社 コンタクトプローブおよびプローブユニット
JP2018200821A (ja) * 2017-05-29 2018-12-20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電気接触子及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KR20190009233A (ko) * 2017-07-18 2019-01-28 송유선 포고 핀 및 포고 핀의 배열을 구현하는 검사용 소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0648A1 (ko) * 2022-01-21 2023-07-27 (주)아이윈솔루션 저가형 고성능 포고핀
KR102663575B1 (ko) 2024-02-02 2024-05-03 주식회사 나노시스 결속력을 강화한 탄성 컨텍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973507A (zh) 2022-01-25
KR102622471B1 (ko) 2024-01-09
JP2022541987A (ja) 2022-09-29
WO2021235704A1 (ko) 2021-11-25
KR20220143545A (ko) 2022-10-25
JP7240534B2 (ja) 202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9074B1 (ko) 초 고전류용 포고핀
EP1510827B1 (en) Spring probe
US9547023B2 (en) Test probe for test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1951705B1 (ko) 포고 핀 및 포고 핀의 배열을 구현하는 검사용 소켓
US6083059A (en) Structure of a terminal
EP2836847B1 (en) Test probe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KR101869335B1 (ko) 프로브 핀 및 그 제조방법
US8710856B2 (en) Terminal for flat test probe
US10855017B2 (en) Connector terminal, connector, and size adjustment device
KR101894965B1 (ko) 프로브 핀 및 ic 소켓
JP2004503750A (ja) 自己保持型ばねプローブ
US20100035483A1 (en) Electrical contact with interlocking arrangment
KR20110105401A (ko) 평면형의 플런저 및 둥근 배럴을 가지는 시험 프로브
JP6013731B2 (ja) コンタクトプローブ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351121B2 (en) Electrical terminal
KR101183809B1 (ko) 검사용 동축 커넥터
US6162103A (en) Terminal structure of a connector
US20220209449A1 (en) Contact pin for testing semiconductor ic for high speed signal, spring contact inclucing same, and socket device
JP2010096735A (ja) コンタクトプローブ端子
KR101787534B1 (ko) 스트로크 확대형 볼 플런저
KR100813280B1 (ko) 프로브 핀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소켓
KR102162476B1 (ko) 단일 몸체의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고성능 반도체 테스트 소켓
GB2351398A (en) Spring probe for testing
KR20230134665A (ko) 컨택트 핀 및 그를 포함하는 테스트소켓
KR200327259Y1 (ko) 프로브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