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005B1 - 안정적 접촉을 보장하는 커넥터 핀 - Google Patents

안정적 접촉을 보장하는 커넥터 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005B1
KR102092005B1 KR1020180078214A KR20180078214A KR102092005B1 KR 102092005 B1 KR102092005 B1 KR 102092005B1 KR 1020180078214 A KR1020180078214 A KR 1020180078214A KR 20180078214 A KR20180078214 A KR 20180078214A KR 102092005 B1 KR102092005 B1 KR 102092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casing
body portion
contact
leg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5042A (ko
Inventor
박상량
Original Assignee
박상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량 filed Critical 박상량
Priority to KR1020180078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00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5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Landscapes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적 접촉을 보장하는 커넥터 핀에 관한 것으로, 상부를 개방하고 속이 비어 있는 원통형상의 케이싱과, 케이싱의 개구부로 돌출되어 축선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배치된 플런지, 및 플런지를 탄성지지하여 외부 단자와 원활하게 전기적 접촉을 보장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케이싱 내주면과 다점 점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플런저를 케이싱 내부에서 축선방향으로 승강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안정적이면서 최단화된 전기 신호의 전달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정적 접촉을 보장하는 커넥터 핀 {Connector pin for guaranteeing stable contact}
본 발명은 안정적 접촉을 보장하는 커넥터 핀에 관한 것으로, 특별하기로 안정적 접촉을 보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 포고핀(pogo pin) 타입의 커넥터 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 태블릿 등의 소형 전자기기는 포고핀을 사용하여 단말기 본체(또는 충전기 본체)와 배터리의 접점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촉시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하기의 특허문헌)에 따른 포고핀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로서, 단말기 본체(200)의 내부 하단에 구비된 포고핀 어셈블리(300)를 배터리의 내측면 하단에 포고핀(310)(일반적으로 관용되는 '포고핀'이라는 용어에서 지칭하는 것과는 약간 상이하며, 관용 용어의 '포고핀'에서 탐침부에 해당한다)의 위치와 대응되게 배치된 접점단자 어셈블리(100)의 판상의 접점단자(100a)에 점접촉한다. 이로써, 단말기 본체(200)는 포고핀(310)의 탄성지지를 통해 판상의 접점단자(100a)와 접촉을 유지하면서 전원공급된다.
포고핀 어셈블리(300)는 배면측 입구에만 개구되는 하우징(320)과,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하우징의 입구를 통해 선단부를 돌출되게 배치하는 포고핀(310), 및 하우징의 바닥면과 포고핀(310)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부재(330)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10a)의 외경은 하우징(320)의 내주면(320a)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330)는 그 물리적 특성의 확보가 우선이므로 전기적 특성이 좋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포고핀 어셈블리에서 하우징(320)의 내주면(320a)과 지지부(310a) 사이의 접촉을 통하여, 또는 하우징(320)의 입구(320c)와 포고핀(310) 사이의 접촉을 통하여 전기적 파워 또는 신호가 전달된다.
그런데, 포고핀(310)의 원활한 상·하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하우징(320)의 내주면(320a)과 지지부(310a) 사이와, 하우징(320)의 입구(320c)와 포고핀(310) 사이에 반드시 일정한 간극이 필요한 바, 전기적 접촉을 위해서는 포고핀(310)이 탄성부재(330)를 압출할 때 일측으로 쓰러지는 현상에 의존해서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형성되는 전기적 접촉은 그 접촉 압력이 일정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접촉 압력이 비교적 작은 단점이 있다.
또한, 포고핀(310)의 원활한 상·하 이동을 보장하면서 전기접 접촉도 보장하여야 하므로, 포고핀(310) 및 하우징의 제조시 허용되는 공차는 매우 작고 매우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75788호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일정한 접촉 압력과 보다 높은 접촉 압력을 보장할 수 있는 포고핀 타입의 커넥터 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시 허용되는 공차를 완화시킬 수 있는 포고핀 타입의 커넥터 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정적 접촉을 보장하는 커넥터 핀은,
중공부를 형성하는 케이싱 몸체부와, 케이싱 몸체부의 상단부에 배치된 축관부로 한정된 개구부, 및 케이싱 몸체부의 하단부를 폐쇄하는 바닥부를 구비한 원통형상의 케이싱과;
케이싱의 개구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배치되되, 외주면 둘레에 확관부를 갖춘 원통형상의 플런저 몸체부와, 플런저 몸체부의 상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탐침부, 플런저 몸체부의 하단부에 하방으로 길이연장된 브릿지부, 브릿지부의 끝단에서 직교되게 길이연장된 안착부, 및 안착부에서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뻗어 있는 레그부를 구비한 플런저; 및
케이싱의 축선방향으로 플런저를 탄성지지하도록 케이싱과 플런저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레그부의 자유단은 케이싱 몸체부의 내주면과 점접촉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플런저는 안착부의 양 끝단에서 상협하광 형태로 길이연장된 2개의 레그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확관부의 외경을 케이싱 몸체부의 내경보다 작거나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한편, 확관부의 외경을 축관부의 내경보다 약간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그부의 자유단을 내측을 향해 원호모양으로 만곡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플런지는 브릿지부를 절곡시켜 케이싱 몸체부의 중앙에 안착부를 배열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본 발명은 2개의 레그부의 자유단 사이의 이격 간격을 케이싱 몸체부의 내경보다 큰 크기를 갖추고 있어, 조립 후 양 레그부의 자유단의 탄성변형으로 케이싱 몸체부의 내주면과 지속적으로 점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의 상측은 2개의 레그부 내측면과 접촉되어 지속적으로 레그부를 탄성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축선방향을 따라 승강 이동하는 플런저와 케이싱 간에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포고핀 타입의 커넥터 핀을 제공할 수 있다.
특별하기로,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이 케이싱의 중공부 내에서 탄성지지되는 플런저의 원활한 승강이동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런저의 레그부와 케이싱 내주면 간에 복수의 접촉이 가능한 효과가 있고, 비교적 높은 접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따라서 커넥터 핀의 전기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런저의 레그부에 의해서 제조시 허용되는 공차를 완화시킬 수 있으며, 케이싱과 플런저를 일원화된 공정으로 제작·조립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단말기의 전원 접점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세부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정적 접촉을 보장하는 커넥터 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넥터 핀의 케이싱을 부분 절개한 사시도로, 케이싱의 중공부 내부에서 각 구성부재들의 배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커넥터 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정적 접촉을 보장하는 커넥터 핀을 구성하는 케이싱과 플런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정적 접촉을 보장하는 커넥터 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정적 접촉을 보장하는 커넥터 핀(1;이하 커넥터 핀)은 예컨대 휴대전화, 태블릿 등의 소형 전자기기에 주로 배터리 커넥터로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핀(1)은 단말기 본체(혹은 충전기 본체)에 구비되고, 배터리의 접점단자(외부단자)에 접촉될 때 탄성부재의 탄성변형으로 신뢰할 수 있는 전기연통을 보장하여 전기신호 또는 전류를 손실 및 왜곡없이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은 반도체 웨이퍼, LCD 모듈, 이미지 센서, 반도체 패키지 등의 검사장치를 비롯하여 각종 소켓에서 1 대 1로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부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핀(1)은 상단부에 개구부(120)를 형성한 속이 비어 있는 원통형상의 케이싱(100;casing)과, 케이싱(100)의 개구부(120)로 돌출되어 상하방향(축선방향)으로 승강가능하도록 배치된 플런저(200;plunger), 및 케이싱(100)과 플런저(200)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300;spring)로 이루어져 있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핀(1)은 케이싱(100)과 플런저(200)를 각각의 금속 판재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핀(1)은 예컨대 전기 전도성이 좋은 금속 판재를 펀칭(punching) 공정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단하고, 절취된 케이싱(100)과 플런저(200)를 프레스(press) 공정에 의해 금속 판재를 절곡하거나, 둥글게 말거나, 감아서 도 5에 도시된 형상으로 성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공정은 케이싱과 플런저의 크기와 형상을 최소화하여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도 4 및 도 7에서 케이싱 몸체부(110)의 중간 정도에 원주방향으로 더 두꺼운 부분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제로는 도시와 달리 두께가 일정한 금속 판재를 프레스 공정에 의해서 단차가 생기도록 하는 방법으로 유사하게 구현하여 그 두께는 일정할 수 있다).
케이싱(100)은 전술된 바와 같이 상단부를 개방한 속이 비어 있는 원통형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되, 개략적으로 속이 비어 있는 케이싱 몸체부(110)와, 케이싱 몸체부(110)의 상단부에 형성된 개구부(120), 케이싱 몸체부(110)의 하단부를 폐쇄하는 바닥부(130), 및 케이싱 몸체부(110)와 바닥부(130)로 한정된 중공부(140)를 구비한다. 개구부(120)는 케이싱 몸체부(110)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는 축관부(111)로 한정되는바, 케이싱의 중공부(140) 내로 구성부재의 인입을 허용할 수 있도록 중공부와 연통되어 있다. 여기서, 축관부(111)는 케이싱 몸체부(1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이 되도록 하나, 그 최선단에서는 상광하협(上廣下狹) 형태로 형성 가능하여 후술될 플런저(200)의 하부를 중공부로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플런저(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0)의 제한된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성부재로서, 케이싱(100)의 개구부(120)에서 분리되지 않게 조립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플런저(200)는 원통형상의 플런저 몸체부(110)와, 플런저 몸체부(210)의 상단부에 배치된 탐침부(220), 플런저 몸체부(210)의 하단부에서 하방을 향해 길이연장된 브릿지부(230), 브릿지부(230)의 끝단에서 브릿지부(23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이연장된 안착부(240), 및 안착부(240)에서 외부방향으로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있는 가늘고 긴 레그부(250)를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200)는 2개 이상의 레그부(250)를 구비할 수 있다. 레그부(250)는 플런저 몸체부(210)의 하단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뻗어 있으며, 플런저(200)는 안착부(240)의 양 끝단에서 개별적으로 길이연장된 2개의 레그부(250)를 구비할 수 있다.
플런저(200)는 안착부(240)와 2개의 레그부(250)를 통해 U자 형상의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안착부(240)와 2개의 레그부(250) 사이로 한정된 내부 공간은 아래에 기술될 탄성부재(300)의 상측을 수용한다.
덧붙여서, 본 발명은 브릿지부(230)를 내부로 절곡하여 안착부(240)가 속이 비어 있는 케이싱 몸체부(110)의 중앙에 배열될 수 있도록 한다. 안착부(240)의 길이(L240)는 속이 비어 있는 케이싱 몸체부(110)의 내경 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핀(1)은 케이싱(100)과 플런저(200) 간에 신뢰할 수 있는 접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2개의 레그부(250)가 케이싱 몸체부(110)의 내주면과 탄성 접촉한다.
구체적으로, 레그부(250)의 고정단은 안착부(240)의 끝단에 고정되는 반면에 레그부(250)의 자유단은 케이싱 몸체부(110)의 내주면과 탄성 접촉된다. 본 발명에서 플런저(200)를 케이싱(100)에 조립하기 전, 2개의 레그부(250)의 자유단 사이의 최대 외경은 케이싱 몸체부(110) 내경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조립 후에 레그부의 자유단이 케이싱 몸체부와 탄성 접촉될 수 있도록 돕는다(도 7 참조).
선택가능하기로, 레그부(250)의 자유단은 케이싱 몸체부(110)의 중심을 향해 내측으로 원호모양으로 만곡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부(250)의 자유단은 내측으로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플런저(200)의 상하이동시 레그부의 외측면과 케이싱 몸체부(110) 사이의 마찰 저항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동시에 플런저(200)의 하부, 즉 2개의 레그부 사이에서 탄성부재(300)의 이탈을 방지하고 정위치에 배열될 수 있도록 돕는다.
탄성부재(300)의 상측은 2개의 레그부(250) 사이의 내측 공간보다 작아서 안착부(240)에 안착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것과 달리 탄성부재(300)의 상측과 하측은 중간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탐침부(220)는 플런저(200)의 상단측에서 수직상방으로 돌출되어 외부 단자와 원활하게 전기적 접촉을 보장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탐침부(220)는 산(山) 형상, 크라운(crown) 형상, 원뿔(cone) 형상, 반구 형상의 팁(tip)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싱(100)과 플런저(200)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케이싱(100)에 축관형 개구부(120)를 구비하는 한편, 이와 상응하게 플런저(200)에서는 플런저 몸체부(21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확관부(211)를 구비할 수 있다. 확관부(211)는 케이싱 몸체부(110)의 내경보다 작거나 동일한 크기의 외경을 갖고, 확관부(211)의 외경은 축관부(111)의 내경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한다(도 7 참조). 이는 케이싱(100)의 중공부(140) 내에서 플런저 몸체부(210)의 원활한 상하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축관부(111)를 통해 확관부(211)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여 플런저(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케이싱(100)의 중공부(140) 내에 탄성부재(300)를 배치하는데, 구체적으로 플런저(200)의 안착부(240)와 케이싱(100)의 바닥부(130) 사이에 탄성부재(300)를 개재한다. 탄성부재(300)는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알려져 있듯이 외부 단자의 접촉에 따라 플런저(200)가 승강(乘降)하면 그 승강작용에 따라 신축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핀(1)의 조립시, 작업자는 케이싱(100)의 중공부(140)에 탄성부재(300)를 삽입한 다음에, 2개의 레그부(250)에 외력을 가하여 케이싱(100)의 개구부(120)를 통해 중공부(140)로 인입가능하도록 2개의 레그부(250) 사이의 이격 간격을 좁혀 케이싱(100)의 축선방향으로 플런저 몸체부(210)의 일부, 구체적으로 확관부(211)까지 예컨대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케이싱(100)의 축관부(111)에 플런저(200)의 확관부(211)를 걸쳐져 케이싱으로부터 플런저(200)의 분리 및/또는 상방으로의 변위를 제한하게 된다. 덧붙여서, 본 발명에서, 2개의 레그부(250)는 협소(狹小)한 내경을 갖는 축관부(111)를 지나 축관부의 내경보다 광대(廣大))한 내경을 갖는 중공부(140) 내에서 외력이 제거되기 때문에 탄력적으로 외부방향으로 전개되고, 이로 인해 2개의 레그부(250)가 케이싱 몸체부(110)의 내주면과 다점 탄성접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탄성부재(300)의 상측은 플런저(200)의 하부에 포함된 안착부(240)와 접촉되며 탄성부재(300)의 하측은 케이싱(100)의 바닥부(130)와 접촉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은 탄성부재(300)을 통해 플런저(200)에 탄성력을 부가하게 되고, 플런저(200)의 탄성지지를 통해 외부 단자와의 신뢰할 수 있는 접촉으로 전기연통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이 케이싱 내로 탄성부재와 플런저를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조립 과정을 쉽게 달성할 수 있고, 이러한 조립 공정과 프레스 등의 가공방식에 의해 케이싱과 플런저를 소형 크기로 성형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플런저(200)의 탐침부(220)를 외부 단자, 예컨대 배터리의 접점단자에 의해 강하게 접촉되면서 케이싱의 축선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탐침부(220)의 눌림으로 탄성부재(300)를 압축하게 되고, 플런저(200)가 케이싱(100)의 중공부(140)에서 하방이동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부재(3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플런저(2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탐침부(220)의 하강 이동시 플런저(200)의 레그부(250)는 케이싱 몸체부(110)와 탄성접촉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케이싱의 바닥부(130)에 인접하게 변위되는데, 본 발명은 케이싱 몸체부와 플런저의 레그부의 다점 탄성접촉으로 전기연통가능하게 구성되어, 플런저(200)의 탐침부(220), 레그부(250), 케이싱 몸체부(110), 케이싱(100)의 바닥부(130)를 통과하는 전류 및 신호의 전달 경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본 발명의 커넥터 핀(1) 내에서 전달 경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전기 신호 또는 전류의 손실 및 왜곡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정적 접촉을 보장하는 커넥터 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해된 커넥터 핀은 도 3 내지 도 6에 도해된 포고핀 타입의 커넥터 핀의 다른 변형예로서, 탄성부재와 레그부 간의 접촉 상태를 제외하고는 매우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명료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 배제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핀은 상협하광 형태로 배열된 2개의 레그부(250)의 자유단과 케이싱 몸체부(110)의 내주면 사이의 접압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200)는 안착부(240)의 양 끝단에서 외팔보 구조로 레그부(250)를 길이연장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핀은 탄성부재(300)의 탄성력을 수단으로 하여 2개의 레그부(250)를 지속적으로 외부방향을 향해 전개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지지가능하게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부재(300)의 직경(D300)이 안착부(240)의 길이(L240) 보다 크고, 양 레그부(250)의 자유단 사이의 이격 간격(G250) 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탄성부재(300)의 상측이 안착부(240)에 접촉되지 않고 2개의 레그부(250)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하여 탄성부재를 통해 2개의 레그부(250)를 케이싱 몸체부(110)의 내주면을 향해 탄성지지하여 레그부의 자유단과 케이싱 몸체부 간에 큰 압력의 접촉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접촉을 보장하는 커넥터 핀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커넥터 핀,
100 ----- 케이싱,
111 ----- 축관부,
200 ----- 플런저,
211 ----- 확관부,
250 ----- 레그부,
300 ----- 탄성부재.

Claims (11)

  1. 중공부(140)를 형성하는 케이싱 몸체부(110)와, 상기 케이싱 몸체부(110)의 상단부에 배치된 축관부(111)로 한정된 개구부(120), 및 상기 케이싱 몸체부(110)의 하단부를 폐쇄하는 바닥부(130)를 구비한 원통형상의 케이싱(100)과;
    상기 케이싱(100)의 상기 개구부(120)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배치되되, 외주면 둘레에 확관부(211)를 갖춘 원통형상의 플런저 몸체부(210)와, 상기 플런저 몸체부(210)의 상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탐침부(220), 상기 플런저 몸체부(210)의 하단부에서 길이연장된 브릿지부(230), 상기 브릿지부(230)의 끝단에서 직교되게 길이연장된 안착부(240), 상기 플런저 몸체부(210)의 하단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안착부(240)에서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뻗어 있는 2개의 레그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런저(200); 및
    상기 케이싱(100)의 축선방향으로 상기 플런저(200)를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케이싱(100)과 상기 플런저(200)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2개의 레그부(250)의 자유단은 상기 케이싱 몸체부(110)의 내주면과 탄성 접촉되며,
    상기 탄성부재(300)의 직경(D300)은, 상기 안착부(240)의 길이(L240) 보다 크고 상기 2개의 레그부(250)의 자유단 사이의 이격 간격(G250) 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하여, 상기 탄성부재(300)의 상측이 상기 안착부(240)에 접촉되지 않고 상기 2개의 레그부(250)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 접촉을 보장하는 커넥터 핀.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211)는 상기 케이싱 몸체부(110)의 내경보다 작거나 동일한 크기의 외경을 갖고,
    상기 확관부(211)는 상기 축관부(111)의 내경보다 큰 크기의 외경을 갖는,
    안정적 접촉을 보장하는 커넥터 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200)에서는 상기 브릿지부(230)를 절곡시켜 상기 케이싱 몸체부(110)의 중앙에 상기 안착부(240)를 배열하는,
    안정적 접촉을 보장하는 커넥터 핀.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레그부(250)의 자유단은 내측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레그부(250)의 자유단 사이의 최대 외경은 상기 케이싱 몸체부(110) 내경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안정적 접촉을 보장하는 커넥터 핀.
  9.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플런저(200)는 금속 판재로부터 형성된,
    안정적 접촉을 보장하는 커넥터 핀.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078214A 2018-07-05 2018-07-05 안정적 접촉을 보장하는 커넥터 핀 KR102092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214A KR102092005B1 (ko) 2018-07-05 2018-07-05 안정적 접촉을 보장하는 커넥터 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214A KR102092005B1 (ko) 2018-07-05 2018-07-05 안정적 접촉을 보장하는 커넥터 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042A KR20200005042A (ko) 2020-01-15
KR102092005B1 true KR102092005B1 (ko) 2020-03-23

Family

ID=69156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214A KR102092005B1 (ko) 2018-07-05 2018-07-05 안정적 접촉을 보장하는 커넥터 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0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7338A1 (ko) * 2020-01-03 2021-07-08 박상량 안정적 접촉을 보장하는 커넥터 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074B1 (ko) * 2020-05-22 2021-06-02 (주)아이윈솔루션 초 고전류용 포고핀
KR102666145B1 (ko) * 2022-11-16 2024-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74721A (zh) * 2001-03-02 2002-10-16 蒂科电子公司 具有弹簧偏置触头的电接插件
JP2007502520A (ja) * 2003-08-12 2007-02-0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端子
CN100374721C (zh) 2002-02-19 2008-03-12 株式会社生方制作所 热启动开关
CN201163674Y (zh) * 2007-03-12 2008-12-10 王邓盛 探针连接器
KR101330995B1 (ko) * 2012-07-10 2013-11-20 박상량 굽은 등 형상의 스프링 프로 브 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2628Y2 (ja) * 1992-12-18 1998-10-08 株式会社ヨコオ スプリングコネクター
KR100575788B1 (ko) 2004-06-15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접점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74721A (zh) * 2001-03-02 2002-10-16 蒂科电子公司 具有弹簧偏置触头的电接插件
CN100374721C (zh) 2002-02-19 2008-03-12 株式会社生方制作所 热启动开关
JP2007502520A (ja) * 2003-08-12 2007-02-0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端子
CN201163674Y (zh) * 2007-03-12 2008-12-10 王邓盛 探针连接器
KR101330995B1 (ko) * 2012-07-10 2013-11-20 박상량 굽은 등 형상의 스프링 프로 브 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7338A1 (ko) * 2020-01-03 2021-07-08 박상량 안정적 접촉을 보장하는 커넥터 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042A (ko)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2005B1 (ko) 안정적 접촉을 보장하는 커넥터 핀
CN112242625B (zh) 连接插头及其形成方法、插入式连接器和连接插座
JP6041107B2 (ja) フローティング機構付き同軸コネクタ
KR101951705B1 (ko) 포고 핀 및 포고 핀의 배열을 구현하는 검사용 소켓
US10454196B2 (en) Cage-type hyperbolic spring structure and socket
JP2013093124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847576B2 (ja) プローブピン及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US8235750B2 (en) Coaxial inspection connector and receptacle
KR101620541B1 (ko) 전기접속용 커넥터
CN106961037B (zh) 一种使用点触式电连接器接触件的电连接器
JP6013731B2 (ja) コンタクトプローブ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581085A (zh) 一体型弹簧针
KR20200095399A (ko) 커넥터
KR101183809B1 (ko) 검사용 동축 커넥터
US20160020541A1 (en) Terminal
KR101047550B1 (ko) 탐침부를 가지는 도전성 접속부재 및 그 도전성 접속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WO2019131438A1 (ja) プローブピン及びソケット
KR101310396B1 (ko) 커넥터
JP6371661B2 (ja) 同軸コネクタ
CN111293448B (zh) 压接结构的一体型弹簧针
KR101651398B1 (ko) 고주파용 동축 커넥터
CN201556754U (zh) 泛用型电气接头
KR102304874B1 (ko) 반도체 검사용 프로브 핀
WO2021137338A1 (ko) 안정적 접촉을 보장하는 커넥터 핀
JP2019087507A (ja) 接触部材及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