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399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5399A
KR20200095399A KR1020200009709A KR20200009709A KR20200095399A KR 20200095399 A KR20200095399 A KR 20200095399A KR 1020200009709 A KR1020200009709 A KR 1020200009709A KR 20200009709 A KR20200009709 A KR 20200009709A KR 20200095399 A KR20200095399 A KR 20200095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connector
outer conductor
contact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윈허 왕
즈강 송
펭 자이
지아후이 첸
츄앙펭 조우
지푸 다이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95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3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커넥터가 제공되며, 이 커넥터는,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함께 조립되는 제1 외부 도체 및 제2 외부 도체를 포함하는 외부 도체; 외부 도체들 내에 배열되고,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함께 조립되는 제1 중심 도체 및 제2 중심 도체를 포함하는 중심 도체들; 제1 외부 도체가 고정되는 절연 시트; 및 탄성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탄성 엘리먼트의 일 단부는 제1 외부 도체 또는 절연 시트에 접하고, 제1 중심 도체는 또한 절연 시트에 고정되어서, 제1 외부 도체 및 제1 중심 도체는 둘 모두가 탄성 엘리먼트로부터의 가압력 하에서 제1 전기 컴포넌트와 전기 접촉하게 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출원은 2019년 1월 31일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번호 제201910098477.0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 문헌의 전체 개시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본 개시내용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RF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PCB(printed circuit board)를 PCB에 연결하기 위한 RF 동축 커넥터는 하위 PCB에 용접된 하위 단부 및 상위 PCB와 전기 접촉하는 상위 단부를 갖는다. RF 동축 커넥터는 상위 외부 도체로서 역할을 하는 접촉 링을 포함한다. 접촉 링은 외부 스프링 엘리먼트로부터의 압력 하에서 상위 PCB를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RF 동축 커넥터는 하위 외부 도체로서 역할을 하는 쉘을 포함한다. 쉘은 하위 PCB에 용접되어 하위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접촉 링 및 쉘은 탄성 시트에 의해 함께 클램핑(clamp)된다. RF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의 하반부는 하위 PCB에 용접되어 하위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중심 도체의 상반부는 내부 스프링 엘리먼트로부터의 압력 하에서 상위 PCB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중심 도체와 쉘 사이의 상대적 포지션을 보장하기 위해 중심 도체와 쉘 사이에 절연체가 제공된다.
종래 기술에서, 중심 도체는 포고 핀(pogo pin)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중심 도체와 PCB 사이의 접촉력은 중심 도체의 작은 내부 스프링 엘리먼트에 의해 전적으로 제공되며, 이는 중심 도체와 PCB 사이의 불충분한 접촉력으로 이어지고, 전체 RF 동축 커넥터의 성능, 특히 RF 동축 커넥터의 고주파수 성능 및 PIM(Passive Inter-Modulation) 성능에 악영향을 미친다.
또한, 포고 핀 구조를 갖는 중심 도체의 제조 비용이 더 높고, 중심 도체의 내부 스프링 엘리먼트가 축 방향으로 충분한 탄성 변형을 갖도록 보장하기 위해, 중심 도체의 축 길이는 일반적으로 증가하며, 이는 RF 동축 커넥터의 길이 크기를 감소시키는 데 유리하지 않다.
본 개시내용은 위에 언급된 그리고 다른 문제들 및 단점들의 적어도 하나의 양상을 극복하거나 또는 완화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개시내용의 양상에 따라, 커넥터가 제공되며, 이 커넥터는,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함께 조립되는 제1 외부 도체 및 제2 외부 도체를 포함하는 외부 도체들; 외부 도체들 내에 배열되고,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함께 조립되는 제1 중심 도체 및 제2 중심 도체를 포함하는 중심 도체들; 제1 외부 도체가 고정되는 절연 시트; 및 탄성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탄성 엘리먼트의 일 단부는 제1 외부 도체 또는 절연 시트에 접하고; 제1 중심 도체는 또한 절연 시트에 고정되어서, 제1 외부 도체 및 제1 중심 도체는 둘 모두가 탄성 엘리먼트로부터의 가압력 하에서 제1 전기 컴포넌트와 전기 접촉하게 된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1 외부 도체는, 절연 시트의 표면으로부터 노출되고 제1 전기 컴포넌트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적응된 제1 외부 도체 접촉부를 포함하고; 제1 중심 도체는, 절연 시트의 표면으로부터 노출되고 제1 전기 컴포넌트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적응된 제1 중심 도체 접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탄성 구조가 제1 중심 도체의 일 단부 상에 형성되고, 탄성 구조는 커넥터의 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고, 제1 중심 도체 접촉부는 탄성 구조의 최상위 단부 상에 형성되어서, 제1 중심 도체 접촉부는 커넥터의 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허용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탄성 구조는 곡선 탄성 구조로서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탄성 구조는 S-형상 탄성 구조로서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중앙 관통 구멍이 절연 시트에 형성되고, 제1 중심 도체의 탄성 구조는 절연 시트의 중앙 관통 구멍을 통과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1 외부 도체는 환형 베이스를 포함하고, 제1 외부 도체 접촉부는 환형 베이스 상에 형성된 환형 보스(annular boss)로서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절연 시트는 제1 외부 도체 및 제1 중심 도체 상에 몰딩된다(molded).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2 외부 도체는 그의 일 단부에 원통형 바디를 포함하고, 제1 외부 도체는 제2 외부 도체의 원통형 바디 내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슬라이딩 가능한 방식으로 제2 외부 도체와 전기 접촉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1 외부 도체는 벌지(bulge)들이 각각 제공된 복수의 탄성 아암들을 갖도록 형성되고, 탄성 아암들 상의 벌지들은 슬라이딩 가능한 방식으로 제2 외부 도체의 내벽과 전기 접촉하도록 적응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환형 스톱 립(annular stop lip)이 원통형 바디의 단부 개구의 내측 상에 형성되고 내향으로 돌출하고, 스톱 립은, 제1 외부 도체가 제2 외부 도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외부 도체의 탄성 아암들 상의 벌지들이 외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1 중심 도체는 원통형 부분을 포함하고, 제2 중심 도체는 로드(rod) 부분을 포함하고, 제2 중심 도체의 로드 부분은 제1 중심 도체의 원통형 부분 내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슬라이딩 가능한 방식으로 제1 중심 도체(210)와 전기 접촉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탄성 접촉 아암들이 제1 중심 도체의 원통형 부분 상에 형성되고, 제1 중심 도체의 탄성 접촉 아암들은 슬라이딩 가능한 방식으로 제2 중심 도체의 로드 부분의 외벽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절연 시트는 제1 외부 도체 및 제1 중심 도체 사이에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1 외부 도체는 외향으로 연장되는 제1 포지셔닝 플랜지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2 외부 도체는 외향으로 연장되는 제2 포지셔닝 플랜지를 갖도록 형성되고, 탄성 엘리먼트의 두 단부들은 각각 제1 포지셔닝 플랜지 및 제2 포지셔닝 플랜지에 접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1 외부 도체 및 제1 중심 도체는 절연 시트 내에 배열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절연 시트는 외향으로 연장되는 제1 포지셔닝 플랜지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2 외부 도체는 외향으로 연장되는 제2 포지셔닝 플랜지를 갖도록 형성되고, 탄성 엘리먼트의 두 단부들은 각각 제1 포지셔닝 플랜지 및 제2 포지셔닝 플랜지에 접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커넥터는 제2 외부 도체와 제2 중심 도체 사이에 배열되고 제2 외부 도체 내에서 제2 중심 도체를 홀딩하도록 구성된 절연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2 외부 도체의 베이스 단부는 제2 전기 컴포넌트에 용접, 삽입 또는 나사결합되도록 적응되거나; 또는, 제2 중심 도체의 베이스 단부는 제2 전기 컴포넌트에 용접, 삽입 또는 나사결합되도록 적응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커넥터는 제1 전기 컴포넌트와 제2 전기 컴포넌트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적응된 라디오 주파수 동축 커넥터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1 전기 컴포넌트는 회로 보드이고, 제2 전기 컴포넌트는 회로 보드 또는 필터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1 외부 도체는 단일 시트의 금속판을 스탬핑(stamping)함으로써 형성된 단일 전도성 컴포넌트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1 중심 도체는 단일 시트의 금속판을 스탬핑함으로써 형성된 단일 전도성 컴포넌트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2 중심 도체는 단일 시트의 금속판을 스탬핑함으로써 형성된 단일 전도성 컴포넌트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상에 따라, 커넥터가 제공되며, 이 커넥터는,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함께 조립되는 제1 외부 도체 및 제2 외부 도체를 포함하는 외부 도체들; 외부 도체들 내에 배열된 중심 도체; 제1 외부 도체가 고정되는 절연 시트; 및 탄성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탄성 엘리먼트의 일 단부는 제1 외부 도체 또는 절연 시트에 접하고, 중심 도체는 또한 절연 시트에 고정되어서, 제1 외부 도체 및 중심 도체는 둘 모두가 탄성 엘리먼트로부터의 가압력 하에서 제1 전기 컴포넌트와 전기 접촉하게 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외부 도체 및 제1 중심 도체 둘 모두는 절연 시트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제1 외부 도체 및 제1 중심 도체 둘 모두는 탄성 엘리먼트의 푸시 또는 가압 하에서 제1 전기 컴포넌트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으며, 이는 커넥터의 고주파수 성능 및 수동 상호변조 성능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넥터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커넥터의 축 길이를 감소시키고 커넥터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목적들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본 개시내용의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며, 본 개시내용의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1은 제1 전기 컴포넌트 및 제2 전기 컴포넌트가 도시된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넥터의 절연 시트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커넥터의 제1 외부 도체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커넥터의 제2 외부 도체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커넥터의 제1 중심 도체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커넥터의 제2 중심 도체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예시도이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후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한 엘리먼트들을 지칭한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고, 본원에 기재된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하도록, 그리고 당업자들에게 본 개시내용의 개념을 완전히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의 목적들을 위해, 개시된 실시예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특정한 세부사항들이 기재된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이 이들 특정한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다른 경우들에서, 잘-알려진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도면들을 단순화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반적인 개념에 따라, 커넥터가 제공되며, 이 커넥터는,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함께 조립되는 제1 외부 도체 및 제2 외부 도체를 포함하는 외부 도체들; 외부 도체 내에 제공되고,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함께 조립되는 제1 중심 도체 및 제2 중심 도체를 포함하는 중심 도체들; 제1 외부 도체가 고정되는 절연 시트; 및 탄성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탄성 엘리먼트의 일 단부는 제1 외부 도체 또는 절연 시트에 접하고, 제1 중심 도체는 또한 절연 시트에 고정되어서, 제1 외부 도체 및 제1 중심 도체는 탄성 엘리먼트로부터의 푸시 또는 가압력 하에서 제1 전기 컴포넌트와 전기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제1 전기 컴포넌트(1) 및 제2 전기 컴포넌트(2)가 도시된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의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10)의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주로, 외부 도체들(110, 120), 중심 도체(210, 220), 절연 시트(140) 및 탄성 엘리먼트(150)를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외부 도체들(110, 120)은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함께 조립되는 제1 외부 도체(110) 및 제2 외부 도체(120)를 포함한다. 중심 도체들(210, 220)은 외부 도체들(110, 120) 내에 제공되고,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함께 조립되는 제1 중심 도체(210) 및 제2 중심 도체(220)를 포함한다. 제1 외부 도체(110)는 절연 시트(140)에 고정된다. 탄성 엘리먼트(150)의 일 단부(도 2의 상위 단부)는 제1 외부 도체(110) 또는 절연 시트(140)에 접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제1 중심 도체(210)는 또한 절연 시트(140)에 고정되어서, 제1 외부 도체(110) 및 제1 중심 도체(210)는 둘 모두가 탄성 엘리먼트(150)로부터의 푸시 또는 가압력 하에서 제1 전기 컴포넌트(1)와 전기 접촉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넥터(10)의 절연 시트(140)의 예시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커넥터(10)의 제1 외부 도체(110)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제1 외부 도체(110)는, 절연 시트(140)의 표면으로부터 노출되고 제1 전기 컴포넌트(1)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적응된 제1 외부 도체 접촉부(111a)를 포함한다. 제1 중심 도체(210)는, 절연 시트(140)의 표면으로부터 노출되고 제1 전기 컴포넌트(1)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적응된 제1 중심 도체 접촉부(211a)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제1 외부 도체(110)는 환형 베이스(111)를 포함하고, 제1 외부 도체 접촉부(111a)는 환형 베이스(111) 상에 형성된 환형 보스(annular boss)로서 구성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커넥터의 제1 중심 도체(210)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탄성 구조(211)가 제1 중심 도체(210)의 일 단부(도 2의 상위 단부) 상에 형성된다. 탄성 구조(211)는 커넥터(10)의 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제1 중심 도체 접촉부(211a)는 탄성 구조(211)의 최상위 단부 상에 형성되어서, 제1 중심 도체 접촉부(211a)는 커넥터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도 1-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탄성 구조(211)는 커넥터의 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어서, 제1 중심 도체 접촉부(211a)의 포지션이 커넥터의 축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중심 도체 접촉부(211a) 및 제1 외부 도체 접촉부(111a)의 단부들(예컨대, 최상부 단부들)이 비-접촉 상태에서 또는 초기 상태에서 동일한 평면에 있지 않더라도, 제1 중심 도체 접촉부(211a)의 단부는 제1 외부 도체 접촉부(111a)의 단부와 동일한 평면에 있도록 조정될 수 있고, 그리하여 제1 중심 도체 접촉부(211a) 및 제1 외부 도체 접촉부(111a)가 제1 전기 컴포넌트(1)와 동시에 전기 접촉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도 1-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제1 중심 도체(210) 상의 탄성 구조(211)는 또한, 제1 중심 도체 접촉부(211a)와 제1 전기 컴포넌트(1) 사이의 신뢰할 수 있는 전기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제1 중심 도체 접촉부(211a)에 보조 접촉 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탄성 구조(211)는 곡선 탄성 구조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탄성 구조(211)는 S-형상 탄성 구조로서 구성된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예시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탄성 구조(211)는 또한, 그것이 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한, 임의의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중앙 관통 구멍(141)이 절연 시트(140)에 형성되고, 제1 중심 도체(210)의 탄성 구조(211)는 절연 시트(140)의 중앙 관통 구멍(141)을 통과한다.
도 1-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절연 시트(140)는 제1 외부 도체(110) 및 제1 중심 도체(210) 상에 몰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외부 도체(110) 및 제1 중심 도체(210)는 동시에 절연 시트(14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제1 외부 도체(110) 및 제1 중심 도체(210)는 또한 미리 형성된 절연 시트(140) 상에 조립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커넥터의 제2 외부 도체(120)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제2 외부 도체(120)는 그의 일 단부에 원통형 바디(122)를 포함한다. 제1 외부 도체(110)는 제2 외부 도체(120)의 원통형 바디(122) 내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슬라이딩 가능한 방식으로 제2 외부 도체(120)와 전기 접촉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탄성 아암들(112)이 제1 외부 도체(110) 상에 형성된다. 벌지(112a)가 각각의 탄성 아암(112) 상에 형성되며, 탄성 아암들(112) 상의 벌지들(112a)은 슬라이딩 가능한 방식으로 제2 외부 도체(120)의 내벽과 전기 접촉하도록 적응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환형 스톱 립(annular stop lip)(122a)이 원통형 바디(122)의 단부 개구의 내측 상에 형성되고 내향으로 돌출하고, 스톱 립(122a)은, 제1 외부 도체(110)가 제2 외부 도체(1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외부 도체(110)의 탄성 아암들(112) 상의 벌지들(112a)이 외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차단하도록 적응된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커넥터의 제2 중심 도체(220)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제1 중심 도체(210)는 원통형 부분(212)을 포함한다. 제2 중심 도체(220)는 로드(rod) 부분(222)을 포함한다. 제2 중심 도체(220)의 로드 부분(222)은 제1 중심 도체(210)의 원통형 부분(212) 내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슬라이딩 가능한 방식으로 제1 중심 도체(210)와 접촉한다.
도 1-2 및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탄성 접촉 아암들(213)이 제1 중심 도체(210)의 원통형 부분(212) 상에 형성되고, 제1 중심 도체(210)의 탄성 접촉 아암들(213)은 슬라이딩 가능한 방식으로 제2 중심 도체(220)의 로드 부분(222)의 외벽과 전기 접촉하도록 적응된다.
본 개시내용은 예시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할 것이다. 예컨대,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중심 도체(210) 및 제2 중심 도체(220)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컴포넌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중심 도체(210) 및 제2 중심 도체(220)는 단일 금속 조각을 스탬핑함으로써 일체형 금속 컴포넌트로 형성될 수 있고, 곡선 탄성 시트와 같은 탄성 부분이 제1 중심 도체(210)와 제2 중심 도체(2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절연 시트(140)는 제1 외부 도체(110) 및 제1 중심 도체(210) 사이에 제공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제1 외부 도체(110)는 외향으로 연장되는 제1 포지셔닝 플랜지(110a)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2 외부 도체(120)는 외향으로 연장되는 제2 포지셔닝 플랜지(120a)를 갖도록 형성된다. 탄성 엘리먼트(150)는 외부 도체들(110 및 120) 외부에 로케이팅된다. 탄성 엘리먼트(150)의 두 단부들은 각각 제1 포지셔닝 플랜지(110a) 및 제2 포지셔닝 플랜지(120a) 상에 지지되거나 이들에 접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제2 외부 도체(120)와 제2 중심 도체(220) 사이에 배열되고 제2 외부 도체(120) 내에서 제2 중심 도체(220)를 홀딩하도록 구성된 절연 지지부(300)를 더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제2 외부 도체(120)의 베이스 단부(121)는 제2 전기 컴포넌트(2)에 용접, 삽입 또는 나사결합되도록 적응된다. 제2 중심 도체(220)의 베이스 단부(221)는 제2 전기 컴포넌트(2)에 용접, 삽입 또는 나사결합되도록 적응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제1 전기 컴포넌트(1)와 제2 전기 컴포넌트(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적응된 라디오 주파수 동축 커넥터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제1 전기 컴포넌트(1)는 회로 보드일 수 있고, 제2 전기 컴포넌트(2)는 회로 보드 또는 필터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제1 외부 도체(110), 제1 중심 도체(210) 및 제2 중심 도체(220)는 기계가공(machining)에 의해 기계가공된 조각들일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커넥터는 기본적으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커넥터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커넥터와 도 8에 도시된 커넥터의 차이들만이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들에 관해서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이 참조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제1 외부 도체(110) 및 제1 중심 도체(210)는 절연 시트(140) 내부에 배열된다. 절연 시트(140)는 외향으로 연장되는 제1 포지셔닝 플랜지(140a)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2 외부 도체(120)는 외향으로 연장되는 제2 포지셔닝 플랜지(120a)를 갖도록 형성된다. 탄성 엘리먼트(150)의 두 단부들은 각각 제1 포지셔닝 플랜지(140a) 및 제2 포지셔닝 플랜지(120a) 상에 지지되거나 이들에 접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제1 외부 도체(110)는 단일 시트의 금속판을 스탬핑함으로써 형성된 단일 전도성 컴포넌트이고, 제1 중심 도체(210)는 단일 시트의 금속판을 스탬핑함으로써 형성된 단일 전도성 컴포넌트이고, 그리고/또는 제2 중심 도체(220)는 단일 시트의 금속판을 스탬핑함으로써 형성된 단일 전도성 컴포넌트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넥터가 또한 제공된다. 커넥터는 주로, 외부 도체들(110, 120), 중심 도체들(210, 220), 절연 시트(140) 및 탄성 엘리먼트(150)를 포함한다. 외부 도체들은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함께 조립되는 제1 외부 도체(110) 및 제2 외부 도체(120)를 포함한다. 중심 도체들(210, 220)(이들은 일체형 컴포넌트로 형성될 수 있음)은 외부 도체들(110, 120) 내에 제공된다. 제1 외부 도체(110)는 절연 시트(140)에 고정된다. 탄성 엘리먼트(150)의 일 단부는 제1 외부 도체(110) 또는 절연 시트(140)에 접한다. 중심 도체들(210, 220)은 또한 절연 시트(140)에 고정되어서, 제1 외부 도체(110) 및 중심 도체(210, 220)는 둘 모두가 탄성 엘리먼트(150)로부터의 푸시 또는 가압력 하에서 제1 전기 컴포넌트(1)와 전기 접촉하게 된다.
위의 실시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 인식되어야 한다. 예컨대, 위의 실시예들에 대한 많은 수정들이 당업자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특징들은 구성 또는 원리에서 상충하지 않으면서 서로 자유롭게 결합될 수 있다.
여러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들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변경들 또는 수정들이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들에 의해 인식될 것이며, 그 범위는 청구항들 및 이들의 등가물들에서 정의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형으로 언급되고 계속해서 단수 표현인 엘리먼트는, 복수형을 배제한다는 그러한 배제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상기 엘리먼트들 또는 단계들의 복수형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대한 참조들은, 인용된 특징들을 또한 포함하는 부가적인 실시예들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명시적으로 반대로 언급되지 않는 한, 특정 속성을 갖는 엘리먼트 또는 복수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거나 "갖는" 실시예들은, 그 속성을 갖지 않는 부가적인 그러한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0)

  1. 커넥터로서,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함께 조립되는 제1 외부 도체(110) 및 제2 외부 도체(120)를 포함하는 외부 도체들(110, 120);
    상기 외부 도체들(110, 120) 내에 배열되고,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함께 조립되는 제1 중심 도체(210) 및 제2 중심 도체(220)를 포함하는 중심 도체들(210, 220);
    상기 제1 외부 도체(110)가 고정되는 절연 시트(140); 및
    탄성 엘리먼트(15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엘리먼트(150)의 일 단부는 상기 제1 외부 도체(110) 또는 상기 절연 시트(140)에 접하고,
    상기 제1 중심 도체(210)는 또한 상기 절연 시트(140)에 고정되어서, 상기 제1 외부 도체(110) 및 상기 제1 중심 도체(210)는 둘 모두가 상기 탄성 엘리먼트(150)로부터의 가압력 하에서 제1 전기 컴포넌트(1)와 전기 접촉하게 되는,
    커넥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도체(110)는, 상기 절연 시트(140)의 표면으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제1 전기 컴포넌트(1)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적응된 제1 외부 도체 접촉부(111a)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중심 도체(210)는, 상기 절연 시트(140)의 표면으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제1 전기 컴포넌트(1)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적응된 제1 중심 도체 접촉부(211a)를 포함하는,
    커넥터.
  3. 제2 항에 있어서,
    탄성 구조(211)가 상기 제1 중심 도체(210)의 일 단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 구조(211)는 상기 커넥터의 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고,
    상기 제1 중심 도체 접촉부(211a)는 상기 탄성 구조(211)의 최상위 단부 상에 형성되어서, 상기 제1 중심 도체 접촉부(211a)는 상기 커넥터의 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허용되는,
    커넥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구조(211)는 곡선 탄성 구조로서 구성되는,
    커넥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구조(211)는 S-형상 탄성 구조로서 구성되는,
    커넥터.
  6. 제3 항에 있어서,
    중앙 관통 구멍(141)이 상기 절연 시트(140)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중심 도체(210)의 탄성 구조(211)는 상기 절연 시트(140)의 중앙 관통 구멍(141)을 통과하는,
    커넥터.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도체(110)는 환형 베이스(11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부 도체 접촉부(111a)는 상기 환형 베이스(111) 상에 형성된 환형 보스(annular boss)로서 구성되는,
    커넥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시트(140)는 상기 제1 외부 도체(110) 및 상기 제1 중심 도체(210) 상에 몰딩되는(molded),
    커넥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부 도체(120)는 그의 일 단부에 원통형 바디(1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부 도체(110)는 상기 제2 외부 도체(120)의 원통형 바디(122) 내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슬라이딩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제2 외부 도체(120)와 전기 접촉하는,
    커넥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도체(110)는 벌지(bulge)들(112a)이 각각 제공된 복수의 탄성 아암들(112)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탄성 아암들(112) 상의 벌지들(112a)은 슬라이딩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제2 외부 도체(120)의 내벽과 전기 접촉하도록 적응되는,
    커넥터.
  11. 제10 항에 있어서,
    환형 스톱 립(annular stop lip)(122a)이 상기 원통형 바디(122)의 단부 개구의 내측 상에 형성되고 내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스톱 립(122a)은, 상기 제1 외부 도체(110)가 상기 제2 외부 도체(1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외부 도체(110)의 탄성 아암들(112) 상의 벌지들(112a)이 외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심 도체(210)는 원통형 부분(21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중심 도체(220)는 로드(rod) 부분(22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중심 도체(220)의 로드 부분(222)은 상기 제1 중심 도체(210)의 원통형 부분(212) 내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슬라이딩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제1 중심 도체(210)와 전기 접촉하는,
    커넥터.
  13. 제12 항에 있어서,
    복수의 탄성 접촉 아암들(213)이 상기 제1 중심 도체(210)의 원통형 부분(212)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중심 도체(210)의 탄성 접촉 아암들(213)은 슬라이딩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제2 중심 도체(220)의 로드 부분(222)의 외벽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시트(140)는 상기 제1 외부 도체(110) 및 상기 제1 중심 도체(210) 사이에 제공되는,
    커넥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도체(110)는 외향으로 연장되는 제1 포지셔닝 플랜지(110a)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외부 도체(120)는 외향으로 연장되는 제2 포지셔닝 플랜지(120a)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탄성 엘리먼트(150)의 두 단부들은 각각 상기 제1 포지셔닝 플랜지(110a) 및 상기 제2 포지셔닝 플랜지(120a)에 접하는,
    커넥터.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도체(110) 및 상기 제1 중심 도체(210)는 상기 절연 시트(140) 내에 배열되는,
    커넥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시트(140)는 외향으로 연장되는 제1 포지셔닝 플랜지(140a)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외부 도체(120)는 외향으로 연장되는 제2 포지셔닝 플랜지(120a)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탄성 엘리먼트(150)의 두 단부들은 각각 상기 제1 포지셔닝 플랜지(140a) 및 상기 제2 포지셔닝 플랜지(120a)에 접하는,
    커넥터.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2 외부 도체(120)와 상기 제2 중심 도체(220)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제2 외부 도체(120) 내에서 상기 제2 중심 도체(220)를 홀딩하도록 구성된 절연 지지부(300)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도체(110)는 단일 시트의 금속판을 스탬핑(stamping)함으로써 형성된 단일 전도성 컴포넌트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중심 도체(210)는 단일 시트의 금속판을 스탬핑함으로써 형성된 단일 전도성 컴포넌트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중심 도체(220)는 단일 시트의 금속판을 스탬핑함으로써 형성된 단일 전도성 컴포넌트인,
    커넥터.
  20. 커넥터로서,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함께 조립되는 제1 외부 도체(110) 및 제2 외부 도체(120)를 포함하는 외부 도체들(110, 120);
    상기 외부 도체들(110, 120) 내에 배열된 중심 도체(210, 220);
    상기 제1 외부 도체(110)가 고정되는 절연 시트(140); 및
    탄성 엘리먼트(15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엘리먼트(150)의 일 단부는 상기 제1 외부 도체(110) 또는 상기 절연 시트(140)에 접하고,
    상기 중심 도체(210, 220)는 또한 상기 절연 시트(140)에 고정되어서, 상기 제1 외부 도체(110) 및 상기 중심 도체(210, 220)는 둘 모두가 상기 탄성 엘리먼트(150)로부터의 가압력 하에서 제1 전기 컴포넌트(1)와 전기 접촉하게 되는,
    커넥터.
KR1020200009709A 2019-01-31 2020-01-28 커넥터 KR202000953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098477.0 2019-01-31
CN201910098477.0A CN111509446A (zh) 2019-01-31 2019-01-31 连接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399A true KR20200095399A (ko) 2020-08-10

Family

ID=69400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709A KR20200095399A (ko) 2019-01-31 2020-01-28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64753B2 (ko)
EP (1) EP3691043A1 (ko)
KR (1) KR20200095399A (ko)
CN (1) CN11150944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1919A (ko) 2022-06-28 2024-01-04 케빈랩 주식회사 집합 건물의 전력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01918A (ko) 2022-06-28 2024-01-04 케빈랩 주식회사 집합 건물의 전력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01920A (ko) 2022-06-28 2024-01-04 케빈랩 주식회사 집합 건물의 전력 공급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09446A (zh) * 2019-01-31 2020-08-0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
TWI750868B (zh) * 2020-10-23 2021-12-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環形連接器
CN113285267B (zh) * 2021-05-19 2022-05-13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簧片式低板间距弹性射频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6180B2 (ja) * 2000-12-27 2004-07-2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通信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および通信モジュールの接続構造
DE60204640T2 (de) * 2001-08-31 2006-05-11 Tyco Electronics Amp Gmbh Koaxialverbinder zum Verbinden von Leiterplatten
US6776668B1 (en) * 2003-08-01 2004-08-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ow profile coaxial board-to-board connector
FR2905528B1 (fr) * 2006-08-31 2008-10-31 Radiall Sa Connecteur coaxial pour relier deux cartes de circuit imprime.
CN201518375U (zh) 2008-11-25 2010-06-30 上海雷迪埃电子有限公司 高频同轴连接器
DE202012010365U1 (de) * 2012-10-29 2012-11-13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Kontaktelement und Kontaktvorrichtung
DE202015007010U1 (de) * 2015-10-07 2015-10-22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Verbinder
KR101992258B1 (ko) 2017-10-13 2019-06-25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동축 커넥터
KR101926503B1 (ko) * 2018-03-27 2018-12-07 주식회사 기가레인 신호 컨택부 및 그라운드 컨택부가 연동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CN110323616A (zh) * 2018-03-30 2019-10-11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
FI3809522T3 (fi) * 2018-06-12 2024-02-07 Kmw Inc Ontelorakenne ja siihen sisältyvä liitäntärakenne
FR3086108B1 (fr) * 2018-09-19 2020-08-28 Radiall Sa Connecteur coaxial hyperfrequence miniature a faible pas, destine notamment a relier deux cartes de circuit imprime entre elles
CN111509446A (zh) * 2019-01-31 2020-08-0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1919A (ko) 2022-06-28 2024-01-04 케빈랩 주식회사 집합 건물의 전력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01918A (ko) 2022-06-28 2024-01-04 케빈랩 주식회사 집합 건물의 전력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01920A (ko) 2022-06-28 2024-01-04 케빈랩 주식회사 집합 건물의 전력 공급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51844A1 (en) 2020-08-06
CN111509446A (zh) 2020-08-07
EP3691043A1 (en) 2020-08-05
US11264753B2 (en) 202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95399A (ko) 커넥터
US9905968B2 (en) Coaxial connector with floating mechanism
EP3196989B1 (en) Coaxial connector equipped with floating mechanism
EP3550669B1 (en) Coaxial connector
EP3537546A2 (en) Connector
CN101820125B (zh) 具有转换功能的表面安装同轴连接器
EP3671968A2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06159504B (zh) 紧凑型射频同轴连接器
US10931051B2 (en) Connector and receptacle
EP3783743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11619654B2 (en) Probe for characteristic inspection of a connector
CN208622981U (zh) 连接器模组和连接器模组的基座
KR102092005B1 (ko) 안정적 접촉을 보장하는 커넥터 핀
US20210336364A1 (en) Electrical Terminal, Method for Manufacturing Elastic Terminal,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CN110323608A (zh) 连接器模组和连接器模组的基座
CN212968376U (zh) 连接器
CN111162419A (zh) 射频连接器及两电路板间的射频连接结构
CN210835155U (zh) 一种芯片测试座
CN113783016A (zh) 一种板间射频连接器
CN110011142B (zh) 同轴连接器及制造同轴连接器的外接触件的方法
CN216015916U (zh) 同轴连接器
CN211829282U (zh) 一种浮动式连接器
US20230299533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CN114336114B (zh) 同轴开关连接器
CN111162398A (zh) 一种浮动式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