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526B1 - 소취 및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소취 및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526B1
KR102254526B1 KR1020200174752A KR20200174752A KR102254526B1 KR 102254526 B1 KR102254526 B1 KR 102254526B1 KR 1020200174752 A KR1020200174752 A KR 1020200174752A KR 20200174752 A KR20200174752 A KR 20200174752A KR 102254526 B1 KR102254526 B1 KR 102254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ended yarn
fibers
fabric
manufacturing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주)네오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피에스 filed Critical (주)네오피에스
Priority to KR1020200174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5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3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antistatic; electrically conductive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 D03D15/21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natural from plants, e.g. cott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multicomponent, e.g. blend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17Natural resins, resinous alcohols, resinous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Woven Fabric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취 및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을 통해, 우수한 정전기 방지 기능과 소취성을 갖는 원단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원단은 인체 무해한 사용하여 피부 자극이 없고 소취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합성 섬유사를 천연 섬유로 커버링하여 미세 섬유 발생을 최소화 함으로써 친환경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소취 및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Eco-friendly fabric with excellent deodorization and anti-static function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아래 실시예들은 소취 및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섬유는 실처럼 길고 가늘며 부드러워 구부릴 수 있는 천연 또는 인조의 구조물을 의미하며, 직물의 원료가 될 뿐만 아니라 로프, 그물 등 섬유제품의 원료 및 제지의 원료로 쓰인다. 섬유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이러한 섬유들은 의류나 종이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에 있어서 각양각색의 모습으로 사용되고 있고, 이에 따라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환경 친화적이고 위생적인 천연 소재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섬유는 크게 천연섬유와 인조섬유로 나뉠 수 있는데, 천연섬유에는 면, 마, 모, 견이 포함되며, 인조섬유에는 레이온, 아세테이트와 같은 재생섬유와, 나일론,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과 같은 합성섬유가 포함된다. 그 중 합성섬유는 석탄·석유의 성분을 이용해서 만든 섬유로서 건조가 쉽고, 구김, 마찰, 약품에 강하여 여러모로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열에 약하고 정전기가 심하다는 단점이 있어 다른 섬유와 혼방하곤 하며, 탈취나 소취 측면의 기능성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합성섬유는 사용 중 또는 세탁 과정에서 미세 합성섬유가 발생되어 토양과 해양 오염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이와 관련한 종래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03722호는 랩 또는 슬라이버에서 발생되는 정전기가 1kV 미만의 크기를 유지하도록 조절하는 난연성 혼방사의 제조방법을,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11289호는 소수성의 합성섬유와 친수성의 레이온 섬유를 이용한 정전기 방지용 직물을,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65729호는 고내구성의 항균소취 기능을 갖는 방적사, 이로 제조된 원단 및 이 원단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는 소취 및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연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나일론 섬유 및 면 섬유를 방적하여 제1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거대억새, 야자 나무 및 대나무 펄프 섬유를 방적하여 제2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시살마 섬유 및 모 섬유를 방적하여 제3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제1 혼방사에 진주 추출물, 석류 추출물 및 백금 나노입자 혼합물을 미세 분무하는 단계; 상기 제1 혼방사에 제2 혼방사 및 제3 혼방사를 커버링하여 커버링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커버링사를 경사 및 위사로 포함시켜 직물을 제직하는 단계; 및 상기 직물을 세탁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나일론 섬유 및 면 섬유를 방적하여 제1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거대억새, 야자 나무 및 대나무 펄프 섬유를 방적하여 제2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시살마 섬유 및 모 섬유를 방적하여 제3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제1 혼방사에 진주 추출물, 석류 추출물 및 백금 나노입자 혼합물을 미세 분무하는 단계; 상기 제1 혼방사에 제2 혼방사 및 제3 혼방사를 커버링하여 커버링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커버링사를 경사 및 위사로 포함시켜 직물을 제직하는 단계; 및 상기 직물을 세탁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는 나일론 섬유 및 면 섬유가 95 : 5의 중량비로 포함되며, 상기 제2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는 거대억새, 야자 나무 및 대나무 펄프 섬유가 20 : 30 : 50의 중량비로 포함되며, 상기 제3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는 시살마 섬유 및 모 섬유가 30 : 70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혼방사에 진주 추출물, 석류 추출물 및 백금 나노입자 혼합물을 미세 분무하는 단계는 진주 추출물, 석류 추출물 및 백금 나노입자가 15 : 70 : 15의 중량비로 혼합물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혼방사에 제2 혼방사 및 제3 혼방사를 커버링하여 커버링사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물이 제1 혼방사에 분무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혼방사 제조 단계는 거대억새, 야자 나무, 대나무 및 파키라 펄프 섬유를 방적하여 제2 혼방사를 제조하는 것이고, 거대억새, 야자 나무, 대나무 및 파키라 펄프 섬유가 20 : 30 : 50 : 10의 중량비로 포함되며, 제1 혼방사에 혼합물을 미세분무하는 단계는 진주 추출물, 석류 추출물, 백금 나노입자 및 은 나노입자가 15 : 70 : 10 : 5의 중량비로 혼합물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커버링사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제1 혼방사 및 제2 혼방사의 혼합율은 40 : 50인 것이고, 커버링사를 경사 및 위사로 포함시켜 직물을 제직하는 단계는 제직되는 직물에 녹차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질경이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미세 숯 분말, 폴리글루코사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직물지 대비 5중량%의 함량으로 미세 분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을 통해, 우수한 정전기 방지력과 소취성을 갖는 원단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원단은 인체 무해한 사용하여 피부 자극이 없고 소취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합성 섬유사를 천연 섬유로 커버링하여 미세 섬유 발생을 최소화 함으로써 친환경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나일론 섬유 및 면 섬유를 방적하여 제1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거대억새, 야자 나무 및 대나무 펄프 섬유를 방적하여 제2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시살마 섬유 및 모 섬유를 방적하여 제3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제1 혼방사에 진주 추출물, 석류 추출물 및 백금 나노입자 혼합물을 미세 분무하는 단계; 상기 제1 혼방사에 제2 혼방사 및 제3 혼방사를 커버링하여 커버링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커버링사를 경사 및 위사로 포함시켜 직물을 제직하는 단계; 및 상기 직물을 세탁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혼방사 내지 제3 혼방사의 경우, 각 섬유 재료를 기초로 하여 혼타면 공정, 소면 공정, 합사 공정, 정소면 공정, 연조 공정, 조방 공정, 정방 공정 및 권사 공정을 통해 각각의 혼방사를 제조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일론 섬유 및 면 섬유가 95 : 5의 중량비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원단은 합성섬유인 나일론 섬유가 주 원사로 구성되되, 면섬유를 일부 혼방하여 합성섬유의 단점을 보완하였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는 거대억새, 야자 나무 및 대나무 펄프 섬유가 20 : 30 : 50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는 시살마 섬유 및 모 섬유가 30 : 70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시살마 섬유와 모 섬유가 약 30 : 70의 중량비 미만 또는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친환경 의류용 원단의 착용감이 현저히 저하되거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혼방사에 진주 추출물, 석류 추출물 및 백금 나노입자 혼합물을 미세 분무하는 단계는 진주 추출물, 석류 추출물 및 백금 나노입자가 15 : 70 : 15의 중량비로 혼합물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제1 혼방사에 소취 및 항균 물질을 도포함으로써 제조된 원단의 소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진주 추출물, 석류 추출물 및 백금 나노입자가 15 : 70 : 15의 중량비보다 미만 또는 초과되어 포함될 경우 구현하고자 하는 소취 기능이 효과적으로 발현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혼방사에 제2 혼방사 및 제3 혼방사를 커버링하여 커버링사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물이 제1 혼방사에 분무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이 제1 혼방사에 분무된 후 건조되기 이전에 제2 혼방사 및 제3 혼방사를 커버링함으로써 소취 기능을 보다 더 강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사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제1 혼방사를 심사로 하여 상기 심사 위에 제2 혼방사를 커버링하고, 상기 심사 위에 커버링된 제2 혼방사 위에 제3 혼방사를 더블 커버링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혼방사를 심사로하여 상기 제2 혼방사 및 제3 혼방사를 더블 커버링하여 커버링사를 제조함으로써, 표면 커버드 상태의 균일도가 높아져 인체에 접촉하였을 때 부드러운 느낌을 부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혼방사는 상기 제3 혼방사와 반대방향으로 커버링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혼방사를 심사로 하여 상기 심사 위에 제2 혼방사를 커버링 한 뒤, 상기 제2 혼방사를 커버링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3 혼방사를 커버링하여 더블 커버링된 커버링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혼방사와 상기 제3 혼방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커버링함으로써, 제조되는 커버링사의 인장강도가 향상되고 제조되는 친환경 원단의 정전기 발생이 감소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혼방사 제조 단계는 거대억새, 야자 나무, 대나무 및 파키라 펄프 섬유를 방적하여 제2 혼방사를 제조하는 것이고, 거대억새, 야자 나무, 대나무 및 파키라 펄프 섬유가 20 : 30 : 50 : 10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 기술에서는 주목되지 않은 목재 펄프 소재에 착안하여, 이러한 펄프 소재로부터 섬유 및 원사를 추출하여 직물지를 제조할 경우 소취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혼방사에 혼합물을 미세분무하는 단계는 진주 추출물, 석류 추출물, 백금 나노입자 및 은 나노입자가 15 : 70 : 10 : 5의 중량비로 혼합물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사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제1 혼방사 및 제2 혼방사의 혼합율은 40 : 50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종래 공지된 방법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직기 또는 편기를 이용하여 제직 또는 편직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직물의 조직은 평직, 능직, 수자직, 이중직, 파일직, 익직, 크레이프직,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조직일 수 있고, 상기 여러가지 조직을 배합하거나 색상을 달리한 원사를 용하여 직물에 무늬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링사를 경사 및 위사로 포함시켜 직물을 제직하는 단계는 제직되는 직물에 녹차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질경이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미세 숯 분말, 폴리글루코사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직물지 대비 5중량%의 함량으로 미세 분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제직 단계에서 분무되는 혼합물은 직물지의 최종적인 소취능 및 정전기 방지 기능을 위한 것으로, 다양한 천연 유래 추출물 및 화합물을 적정량 처리함으로써 소취능 및 정전기 방지 기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통상적인 직물 제조 후 염색 공정 이전에 수행되는 발호, 정련 및 표백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각각의 공정은 통상적인 탈호, 정련, 표백 공정의 방법에 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직물을 세탁하는 단계는 40 내지 50℃ 온도의 편백수 1~5%열수 추출물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세탁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소취 효과와 정전기 방지 기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직물을 코팅용 조성물에 침지한 뒤 건조하는 단계는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를 통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풍건조는 열풍식 건조기를 이용하여 약 60℃ 내지 약 150℃에서 5 분 내지 30 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원단의 제조
먼저 면 섬유 및 나일론 섬유를 95 : 5의 중량비로 포함시켜 통상적인 방법으로 방적하여 제1 혼방사를 제조하였고, 거대억새, 야자 나무, 대나무 및 파키라 펄프 섬유를 20 : 30 : 50 : 10의 중량비로 준비하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방적하여 제2 혼방사를 제조하였다. 또한 시살마 섬유 및 모 섬유를 30 : 70의 중량비로 준비한 후 방적하여 제3 혼방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제1 혼방사는 진주 추출물, 석류 추출물 및 백금 나노입자 혼합물이 미세 분무되도록 한 후, 상기 제1 혼방사에 제2 혼방사 및 제3 혼방사를 각각 다른 방향으로 커버링하여 커버링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커버링사를 경사 및 위사로 포함시켜 직물 평량 약 400 g/㎡의 직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제직 단계에서 녹차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질경이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미세 숯 분말 (입자 크기 평균: 5 μm), 폴리글루코사민을 각각 10중량%, 8중량%, 5중량%, 5중량%, 5중량%, 3중량%, 2중량%, 4중량% 및 정제수를 잔여량으로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을 직물지 중량 대비 5중량% 정도의 함량으로 직물지 제조 공정 단계에서 경사와 위사에 미세 분무하였다.
제조된 직물지는 공업용 세탁기에서 약 15분 가량 1회 세탁하였으며, 이 때 세탁수는 40 내지 50℃ 온도의 편백수 3%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였다. 이후 건조 단계를 거쳐 친환경 원단을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제2 및 제3 혼방사에 의한 커버링 공정 없이 제1 혼방사만으로 원단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제조예 2로 명명하였다. 또한,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제직단계에서의 혼합 조성물 미세 분무 공정을 제거하고 원단을 제조하여, 이를 제조예 3으로 명명하였다.
실험예 1: 제조된 원단의 소취성 확인
상기 제조된 원단 제품들의 소취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각 제품을 10 × 10㎠씩 자른 후 5L의 가스백에 넣고, 가스 백 내의 암모니아 3L(초기 농도 100ppm)를 주입한 후, 2시간 경과 후 소취율을 비교하였다. 소취율(%)은 (Cb - Cs)/Cb) x100으로 계산하였으며, 여기서 Cb는 BLANK 상태에서 2시간 경과 후 시험 가스백 안에 남아있는 가스의 농도를, Cs는 원단이 포함된 경우에서 2시간 경과 후 시험 가스백 안에 남아있는 가스의 농도이다. 이후 시험 가스의 농도를 검지관으로 측청하였다.
블랭크농도(ppm) 암모니아 잔류농도(ppm) 소취율(%)
BLANK 500 500 -
제조예 1 52 89.6
제조예 2 68 86.4
제조예 3 75 85.0
표 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조예 1 내지 3의 원단은 높은 소취율을 가지며, 특히 제조예 1의 원단이 제조예 2 및 3의 원단에 비해 비교적 높은 소취율을 나타냄을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원단은 기능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방적사로 제직 또는 편직되어 항균성 및 소취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제조된 원단의 정전기 발생 정도 확인
상기 제조된 원단 제품들의 정전기 발생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조예 1 내지 3의 친환경 원단에 대해 한국의류시험연구원의 KS K 0555:2015에 의거하여 마찰대전압(B법)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 조건은 20±2℃의 온도, 40±2% RH의 습도에서 진행하였고, KS K 0905에 규정된 나일론 포를 마찰포로서 이용하였으며, 상기 제조예 1 내지 3을 5cm x 5cm의 크기로 절단한 후 60초 동안 회전 마찰 시키고 Rotary Static Tester을 사용하여 마찰 대전압을 측정하였다. 비교예로는 대전방지제가 처리되지 않은 일반 나일론 포를 사용하였다.
구분 마찰 대전압(V)
- 나일론 포
제조예 1 320
제조예 2 445
제조예 3 451
비교예 854
상기 마찰대전성의 수치가 높을수록 정전기 발생이 잘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비교예의 경우와 같이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과 같은 합성 섬유는 흡습성이 낮고 정전기 발생에 취약하나, 제조예 1 내지 3은 별도의 대전방지가공제를 처리하지 않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낮은 마찰대전압이 측정되었으며, 제조예 1의 원단이 제조예 2 및 3의 원단에 비해 비교적 낮은 마찰대전압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친환경 원단을 제조할 경우 정전기 발생력이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나일론 섬유 및 면 섬유를 방적하여 제1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거대억새, 야자 나무 및 대나무 펄프 섬유를 방적하여 제2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시살마 섬유 및 모 섬유를 방적하여 제3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방사에 제2 혼방사 및 제3 혼방사를 동시에 각각 다른 방향으로 커버링하여 커버링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커버링사를 경사 및 위사로 포함시켜 직물을 제직하는 단계; 및 상기 직물을 세탁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는 나일론 섬유 및 면 섬유가 95 : 5의 중량비로 포함되며,
    상기 제2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는 거대억새, 야자 나무 및 대나무 펄프 섬유가 20 : 30 : 50의 중량비로 포함되며,
    상기 제3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는 시살마 섬유 및 모 섬유가 30 : 70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1 혼방사에 진주 추출물, 석류 추출물 및 백금 나노입자 혼합물을 미세 분무하는 단계는 진주 추출물, 석류 추출물 및 백금 나노입자가 15 : 70 : 15의 중량비로 혼합물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
KR1020200174752A 2020-12-14 2020-12-14 소취 및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54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752A KR102254526B1 (ko) 2020-12-14 2020-12-14 소취 및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752A KR102254526B1 (ko) 2020-12-14 2020-12-14 소취 및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4526B1 true KR102254526B1 (ko) 2021-05-21

Family

ID=76157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752A KR102254526B1 (ko) 2020-12-14 2020-12-14 소취 및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52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764B1 (ko) * 2021-09-23 2022-02-14 이상혁 피부 보호,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갖는 섬유원단 제조방법
KR102391523B1 (ko) * 2022-02-03 2022-04-27 도이섬유(주) 리사이클 소재를 포함하는 신축성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005557A (ko) * 2021-07-01 2023-01-10 주식회사 금별산업 순면과 코코넛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된 천연합성로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32976B1 (ko) * 2023-07-17 2024-02-01 권은정 옥수수 섬유를 이용한 생분해성 친환경 원단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181B1 (ko) * 2018-01-24 2018-08-01 주식회사 아루마루 대나무 레이온을 이용한 원단의 제조방법
KR101890117B1 (ko) * 2017-02-16 2018-08-21 주식회사 금별산업 천연와이어로프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천연와이어로프
KR102169890B1 (ko) * 2020-08-24 2020-10-26 주식회사 이화니트 친환경 의류용 원단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117B1 (ko) * 2017-02-16 2018-08-21 주식회사 금별산업 천연와이어로프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천연와이어로프
KR101884181B1 (ko) * 2018-01-24 2018-08-01 주식회사 아루마루 대나무 레이온을 이용한 원단의 제조방법
KR102169890B1 (ko) * 2020-08-24 2020-10-26 주식회사 이화니트 친환경 의류용 원단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5557A (ko) * 2021-07-01 2023-01-10 주식회사 금별산업 순면과 코코넛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된 천연합성로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20432B1 (ko) 2021-07-01 2024-01-03 주식회사 금별산업 순면과 코코넛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된 천연합성로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61764B1 (ko) * 2021-09-23 2022-02-14 이상혁 피부 보호,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갖는 섬유원단 제조방법
KR102391523B1 (ko) * 2022-02-03 2022-04-27 도이섬유(주) 리사이클 소재를 포함하는 신축성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32976B1 (ko) * 2023-07-17 2024-02-01 권은정 옥수수 섬유를 이용한 생분해성 친환경 원단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4526B1 (ko) 소취 및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KR880000294B1 (ko) 탄성 커버드사
WO2009045183A1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environment friendly fabric and/or textile products
CN102517912A (zh) 一种纳米银抗菌面料的制备方法
CN105671734A (zh) 一种复合纤维面料及其制备方法
KR20150123507A (ko) 항균성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 합성섬유 직물 제조방법
WO2021243941A1 (zh) 抗起球石墨烯混纺纱纤维复合面料及其制造方法
JP2013209756A (ja) 高密度織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968544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ir rich yarn and air rich fabric
KR20180134662A (ko) 냉감소재원단용 복합사, 이를 포함하는 냉감소재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613900B (zh) 一种醋酸合成面料及其制作方法
WO2017126223A1 (ja) 編地および繊維製品
CN111764027A (zh) 一种纯棉仿无捻纱超柔纱布及其制备方法
CN106929978A (zh) 一种织物及其用途
CN110468463A (zh) 一种高端针织面料及其加工方法
JP2022177069A (ja) 吸湿発熱性生地及びこれを用いた吸湿発熱性衣料
JP4406277B2 (ja) 交撚糸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交撚糸を用いた編織物の製造方法
Adnan et al. Investigations on the effects of UV finishes using titanium dioxide on silk and lyocell union fabrics
JP2022060610A (ja) 竹繊維を使用して織編みした生地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197243A (ja) 抗ピリング性織物
Yamuna Devi et al. Futuristic Prospects of Bamboo Fiber in Textile and Apparel Industries: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CN106987969A (zh) 一种织物及其用途
TWI780231B (zh) 難燃萊纖長絲
JP5917800B2 (ja) 繊維製品
Kumar et al. ERI silk for functional knitted appar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