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491B1 - 체액 수집기 및 체액 수집 방법 - Google Patents

체액 수집기 및 체액 수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491B1
KR102253491B1 KR1020197009967A KR20197009967A KR102253491B1 KR 102253491 B1 KR102253491 B1 KR 102253491B1 KR 1020197009967 A KR1020197009967 A KR 1020197009967A KR 20197009967 A KR20197009967 A KR 20197009967A KR 102253491 B1 KR102253491 B1 KR 102253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hamber
bodily fluid
collection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9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6975A (ko
Inventor
웨이 젠
리우이 왕
쳉차오 후
이 양
Original Assignee
씨아먼 지산 바이오테크 컴퍼니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611074757.0A external-priority patent/CN108113712B/zh
Application filed by 씨아먼 지산 바이오테크 컴퍼니 엘티디 filed Critical 씨아먼 지산 바이오테크 컴퍼니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90046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96Casings for storing test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9/00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e.g. spittoons
    • A61J19/02Sputum fl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2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dispensing a reagent
    • B01L3/52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dispensing a reagent with means for closing or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6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21Control of the sequence of chambers filled or empt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6Reagents, handling or stor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8Transport of container or devices
    • B01L2200/185Long distance transport, e.g. ma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03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 B01L2400/0457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passive flow or gravi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체액을 수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체액을 수집하기 위한 장치는 수집부재(1) 및 저장 캐비티(21)를 가지는 저장부재(2)를 포함한다. 수집부재(1)의 하단부와 저장부재(2)와의 결합은 저장부재의 저장 캐비티(21)를 체액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캐비티(211)와 보존제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캐비티(212)로 분할시킨다. 제1 캐비티(211)와 제2 캐비티(212)는 서로 격리됨으로써, 체액과 보존제의 격리는 밀봉형 박막을 필요로 함이 없이 수집부재(1)와 저장부재(2)를 결합하는 것만으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체액과 보존제는 그 박막을 블레이드에 의해 파괴할 필요 없이 수집부재(1)를 저장부재(2)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쉽고 편리하게 조작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전체의 체액 수집 과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체액 수집기 및 체액 수집 방법{BODILY FLUID COLLECTOR AND BODILY FLUID COLLECTION METHOD}
본 개시(開示)는 의료 기기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체액 수집기(bodily fluid collector) 및 체액 수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의생물학(medical biology)의 분야에서는, 유전자 검출 등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체액(타액 등의 다양한 분비물)을 수집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수집된 체액의 저장 시간(storage time)을 연장하기 위해서, 수집된 체액을, 저장 전에 저장 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보존액(preservative fluid)과 혼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더 필요하다.
체액을 수집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인 체액 수집기는 일반적으로 수집부재(部材)(collection member) 및 저장부재(storage member)를 포함하는데, 수집부재는 체액을 수집하여 그 체액을 저장부재로 안내하는데 사용된다. 체액의 수집량이 요구조건을 만족한 후에는, 저장 전에 체액과 보존액을 저장부재 내에서 혼합한다. 따라서, 체액과 보존액은 이하의 조건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1) 수집 시작 전에는, 수집 시작 전에 보존액의 누출을 방지하여 안전한 저장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보존액이 밀봉 상태에 있게 하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2) 수집 과정에 있어서, 즉 수집량이 요구조건을 만족시킬 때까지 수집 시작 후에는, 체액의 정확한 수집을 보장하고, 또한 보존제(preservative product)의 누출 또는 역류로 수집대상자(corrected person)에게 불필요한 해를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액을 보존액으로부터 격리시켜 두어야 한다.
(3) 수집이 완료된 후에는, 즉 수집량이 요구조건을 만족시킬 때까지 수집 시작 후에는, 시료(sample)의 저장 기간(srorage duration)을 연장하기 위해 체액과 보존액을 혼합해야 한다.
종래의 체액 수집 장치들이 상기한 몇 가지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이들 장치는 복잡한 과정 및/또는 고비용이라는 문제를 지니고 있다.
일례로서 타액 DNA 수집을 들어본다. 타액은 각종의 단백질뿐만 아니라 DNA, RNA, 지방산, 각종의 미생물 및 그 유사물도 포함하는 복잡한 혼합물이다. 또한, 혈액을 채취함으로써 DNA를 수집하는 전통적인 방법과는 반대로, 인체에 개입(intervention)이 적은 타액 DNA 시료 수집은 기본적으로는 인체에 해와 고통을 야기시키지 않을 수도 있는 것으로, 수집대상자의 불편함과 심리적인 두려움을 야기시키는 것을 줄여주는 경향이 있는 비-침습성(non-invasive) 시료 수집 방법이고, 그래서 수집대상자에 의해 더 쉽게 받아들여진다. 따라서, 타액 DNA 수집 기술은 광범위한 응용 가능성이 있다.
수집된 타액 시료 DNA의 저장 시간을 연장하기 위해서, 수집된 타액은 저장 전에 그 저장 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보존제와 혼합될 필요성도 있다.
타액 수집기는 타액 DNA 수집을 달성하는 체액 수집기이다. 종래의 타액 수집기는 전형적으로는 탈착식으로 연결되는 깔때기(funnel)와 냉동바이알(cryovial)을 포함한다. 깔때기는 타액을 수집하여 그 타액을 냉동바이알로 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냉동바이알은 수집된 타액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보존액과 타액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타액 수집기는 깔때기 또는 냉동바이알에 배치되는 저장 캐비티(storage cavity)와 블레이드(blade)를 더 포함한다. 저장 캐비티는 보존액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고 막(film)으로 밀봉되며, 블레이드는 타액 수집이 보존액을 수집된 타액과 혼합하기 위한 요구조건을 만족한 후에 막을 손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보존액의 저장 구조물을 깔때기 또는 냉동바이알과 일체화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종래의 타액 수집기는 타액과 보존액의 혼합 과정을 어느 정도까지는 간소화시킬 수도 있다고 하더라도, 타액의 수집이 완료된 후에는 블레이드로 막을 손상시켜서 타액과 보존액을 혼합하는 것이 여전히 필요하다. 따라서, 그 조작이 아직까지 더 복잡하고 조작적인 어려움을 더 증가시키기도 하는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막을 파괴하는 과정 중에 절단 실패 등의 문제가 야기될 수도 있다. 또한, 저장 캐비티가 박막으로 밀봉된 경우에는, 복잡한 과정과 고비용 등의 문제도 있다.
발명의 개요
본 개시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체액 수집기가 보존액을 저장하는 저장 챔버(storage chamber)를 밀봉하기 위해 박막을 사용함으로써, 체액을 수집하는 과정 단계가 매우 복잡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는 체액 수집기를 제공한다. 체액 수집기는 수집부재 및 저장부재를 포함하는데, 수집부재의 상단부는 검출 대상의 체액을 수집하기 위해 개방되어 있고, 저장부재는 수집된 체액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챔버를 갖는다. 또한, 수집부재 및 저장부재는 다음과 같이 하기 위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집부재가 저장부재와 결합될 때에, 수집부재의 하단부가 저장 챔버 내에 삽입되어 그 저장부재와의 끼워맞춤에 의해 저장 챔버를 제1 챔버와 제2 챔버로 분할하고, 제1 챔버는 수집된 체액을 수용하기 위해 수집부재의 상단부와 연통되며, 제2 챔버는 체액을 보존하기 위한 보존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보존제로부터 체액을 격리하기 위해 제1 챔버로부터 밀봉식으로 격리되며; 그리고
수집부재가 저장부재로부터 분리될 때에, 수집부재의 하단부는 저장부재와의 끼워맞춤으로부터 해제되고, 제1 챔버와 제2 챔버는 체액과 보존제를 혼합하기 위해 서로 연통된다.
대안적으로, 제2 챔버는 저장 챔버의 단면(斷面)에 평행한 방향으로 제1 챔버 내부에 위치된다.
대안적으로, 저장 챔버는 수집부재의 하단부와 저장부재 중의 하나를 수집부재의 하단부와 저장부재 중의 다른 하나로 덮음으로써 제1 챔버와 제2 챔버로 분할된다.
대안적으로, 수집부재의 하단부와 저장부재 중의 하나는 사전 저장 구조물(pre-storage structure)이 구비되고, 수집부재의 하단부와 저장부재 중의 다른 하나는 밀봉 구조물(sealing structure)이 구비되며, 사전 저장 구조물은 보존제를 사전 저장하기 위한 사전 저장 캐비티(pre-storage cavity) 및 사전 저장 캐비티의 단부(端部)에 위치되어 보존제를 사전 저장 캐비티 내에 수용하기 위한 단부 개방부(end opening)를 포함하며; 수집부재가 저장부재와 결합될 때에, 밀봉 구조물은 단부 개방부를 밀봉하도록 사전 저장 구조물과 협력함으로써, 제1 챔버가 사전 저장 캐비티의 측방향 외벽(lateral outer wall)과 저장부재의 측방향 내벽(lateral inner wall)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제2 챔버가 사전 저장 구조물과 밀봉 구조물에 의해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밀봉 구조물은 단부 개방부를 밀봉하기 위해 단부 개방부가 구비된 사전 저장 구조물의 일단부를 덮는다.
대안적으로, 밀봉 구조물은 단부 개방부가 구비된 사전 저장 구조물의 일단부의 단부 표면(end surface)과의 접촉에 의해 단부 개방부가 구비된 사전 저장 구조물의 일단부를 덮고; 및/또는 밀봉 구조물은 사전 저장 캐비티의 측방향 외벽과의 접촉에 의해 단부 개방부가 구비된 사전 저장 구조물의 일단부를 덮는다.
대안적으로, 밀봉 구조물은 사전 저장 캐비티의 측방향 외벽에 나사산 방식(threadedly)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스냅-끼워맞춤 방식(snap-fitly)으로 연결된다.
대안적으로, 밀봉 구조물은 가변 단면(variable cross-section)을 가지는 요홈부(recess), 및 단부 개방부를 덮기 위해 단부 개방부가 구비된 사전 저장 구조물의 일단부의 단부 표면 상에 접하는 요홈부의 가변 단면을 가지는 측벽(side wall)을 포함하고; 또는 밀봉 구조물은 단부 개방부를 덮기 위해 단부 개방부가 구비된 사전 저장 구조물의 일단부의 단부 표면에 부착되어 그 단부 표면에 맞대어 가압되는 가스킷(gasket)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사전 저장 구조물은 수집부재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단부 개방부는 사전 저장 캐비티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사전 저장 캐비티의 상단부는 둘러싸여져 있고; 밀봉 구조물은 저장 챔버의 하부에 형성된 요홈부를 포함하고; 요홈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단면적을 가지며; 수집부재가 저장부재와 결합될 때에, 사전 저장 구조물의 하단부 표면은 단부 개방부를 밀봉하기 위해 요홈부의 측벽에 인접하여 있다.
대안적으로, 사전 저장 챔버는 보존제를 고체 상태로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고체 상태의 보존제는 수집부재가 저장부재로부터 분리될 때에 중력의 효과 하에 사전 저장 캐비티로부터 탈착되어 요홈부에 있게 되고; 또는 사전 저장 구조물은 푸쉬-아웃 기구(push-out mechanism)를 구비하며 고체 상태의 보존제는 수집부재가 저장부재로부터 분리될 때에 사전 저장 캐비티로부터 탈착되어 요홈부에 있게 된다.
대안적으로, 사전 저장 구조물은 저장부재 상에 배치되어 저장 챔버 내에 위치되고, 단부 개방부는 사전 저장 캐비티의 상단부에 위치되고; 밀봉 구조물은 수집부재의 하단부에 설치된 밀봉 가스킷을 포함하며; 밀봉 가스킷은 수집부재가 저장부재와 결합될 때에 단부 개방부를 둘러싸도록 사전 저장 구조물의 상단부 표면에 부착되어 그 단부 표면에 맞대어 가압된다.
대안적으로, 사전 저장 구조물은 사전 저장 튜브(pre-storage tube)를 포함하고, 사전 저장 캐비티는 사전 저장 튜브의 캐비티이고; 또는 사전 저장 구조물은 홈(groove)을 가지는 사전 저장 블록(pre-storage block)을 포함하며; 사전 저장 캐비티는 홈의 캐비티이다.
대안적으로, 수집부재는 수집부재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연결되는 도관(conduit)을 포함하고, 도관의 상단부는 수집부재의 상단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통되어 있고, 도관의 하단부는 둘러싸여져 있고, 도관의 측벽은 개방부를 구비하고 있고, 도관은, 수집부재가 저장부재와 결합될 때에 수집된 체액이 개방부를 통하여 제1 챔버로 유동되도록 저장 챔버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수집부재의 상단부의 단면은 타원형 구멍(obround hole)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수집부재는 시료채취부재(sampling member)를 체액에 압착하고 또한 압착된 체액을 제1 챔버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액체압착탱크(liquid squeezing tank)를 구비하고 있다.
대안적으로, 체액 수집기는 저장부재의 상부 개방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폐쇄부(blockage)를 더 포함하고, 이에 의해 폐쇄부는 폐쇄부가 저장 챔버의 상부 개방부에 끼워맞춰질 때에 저장 챔버의 상부 개방부를 밀봉한다.
대안적으로, 폐쇄부는 저장부재의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는 본 개시의 체액 수집기에 기반한 체액 수집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체액 수집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순서대로 포함한다:
저장부재에 결합된 수집부재에 의해 체액을 수집하여, 체액을 제2 챔버로부터 격리된 제1 챔버로 유동시키는 단계; 및
체액의 수집량이 요구조건을 만족하면 수집부재와 저장부재를 분리함으로써, 제1 챔버와 제2 챔버를 연통시켜 체액과 보존제를 혼합하는 단계.
본 개시의 체액 수집기에 따르면, 저장부재의 저장 챔버는 수집부재의 하단부를 저장부재에 끼워맞춤으로써 서로 격리되는 제1 챔버와 제2 챔버로 구획될 수 있다. 즉, 2개의 임시의 독립적인 캐비티는 수집부재를 저장부재와 결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보존제로부터의 체액의 격리가 박막의 밀봉에 더 이상 의존하지 않지만, 수집부재를 저장부재와 결합시킬 필요성만 있게 해주는 것이고, 또한 체액과 보존제와의 혼합이 블레이드에 의한 박막의 손상에 더 이상 의존하지 않지만, 수집부재를 저장부재로부터 분리할 필요성만 있게 해주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간단하고 편리하므로, 체액 수집 과정 전체를 효과적으로 간소화하는 것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개시의 다른 특징 및 그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들 또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기술적인 해결책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 실시형태들 또는 종래 기술의 설명에 이용되는데 필요한 도면에 관하여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다음과 같이 예시한 도면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들 중 단지 일부만이라는 것이 명백하다. 또한, 당해 분야의 숙련자는 창의적인 노력이 전혀 수반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하여 이러한 도면에 따라 다른 도면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수집부재 및 저장부재가 결합된 상태에 있지 않을 때의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체액 수집기의 구조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구조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수집부재 및 저장부재가 결합된 상태에 있을 때의 도 1에 도시한 체액 수집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에서 폐쇄부 및 저장부재의 상부 개방부가 끼워맞춰진 상태에 있을 때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수집부재 및 저장부재가 결합된 상태에 있을 때의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체액 수집기의 구조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의 구조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수집부재 및 저장부재가 결합된 상태에 있을 때의 도 5에 도시한 체액 수집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에서의 수집부재가 제거된 후의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5에서 폐쇄부 및 저장부재의 상부 개방부가 끼워맞춰진 상태에 있을 때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수집부재 및 저장부재가 결합된 상태에 있을 때의 본 개시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체액 수집기의 구조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10의 구조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수집부재 및 저장부재가 결합된 상태에 있을 때의 도 10에 도시한 체액 수집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도 10에서 폐쇄부 및 저장부재의 상부 개방부가 끼워맞춰진 상태에 있을 때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체액 수집기의 전체 구조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1. 수집부재;
11. 수집 본체; 111. 깔때기(funnel); 1111. 수집 포트(port); 1112. 수집 캐비티; 1113. 액체압착탱크; 112. 도관; 1121. 개방부;
12. 사전 저장 구조물; 12a. 사전 저장 튜브; 12b. 사전 저장 블록; 121. 사전 저장 캐비티; 122. 단부 개방부;
13. 밀봉 구조물; 13a. 요홈부; 13b. 밀봉 가스킷;
14. 지지부(support portion);
2. 저장부재; 21. 저장 챔버; 211. 제1 챔버; 212. 제2 챔버;
3. 폐쇄부;
4. 면봉(cotton swab).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
다음으로, 본 개시의 실시형태들에 있어서의 기술적인 해결책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들의 도면과 관련하여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명백하게는, 설명된 실시형태들은 모든 실시형태이라기 보다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들 중 일부만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단지 예시한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이하의 설명은 본 개시에 관한 어떠한 제한뿐만 아니라 그 응용 또는 사용의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들에 기반하여, 창의적인 노력이 전혀 수반되지 않는 것을 전제로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획득되는 다른 모든 실시형태들은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관련된 기술에 있어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기술, 방법 및 장치에 관해서는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적당한 기술, 방법 및 장치는 승인된 설명의 일부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설명에 있어서, 구성부들을 정의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및 "제2" 와 같은 어구는 대응하는 구성부의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달리 특정되지 한, 상기한 어구는 특수한 의미를 지니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본 개시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없다.
또한, 본 개시의 설명에 있어서, "전방(front), 후방(rear), 위(up), 아래(down), 좌측(left), 우측(right)", "가로(transverse), 수직(vertical), 직각(perpendicular), 수평(horizontal)" 및 "상부(top), 하부(bottom)"과 같은 방위 용어(azimuth term)는 체액 수집기가 정상적인 사용에 있을 때에 방위 또는 위치 관계에 기반한 것이다. "안에(within)" 및 "바깥쪽에(outside)"의 방위 용어는 여러 부재들 자체의 윤곽(contour)에 대한 내부 및 외부를 의미한다.
도 1-14는 본 개시의 체액 수집기의 4개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4와 관련하여, 본 개시에 의해 제공된 체액 수집기는 수집부재(1) 및 저장부재(2)를 포함한다. 수집부재(1)의 상단부는 검출 대상의 체액을 수집하기 위해 개방되어 있고, 저장부재(2)는 수집된 체액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챔버(21)를 갖는다. 또한, 수집부재(1) 및 저장부재(2)는 다음과 같이 하기 위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집부재(1)가 저장부재(2)와 결합될 때에, 수집부재(1)의 하단부가 저장 챔버(21) 내에 삽입되어 그 저장부재(2)와의 끼워맞춤에 의해 저장 챔버(21)를 제1 챔버(211)와 제2 챔버(212)로 분할하고, 제1 챔버(211)는 수집된 체액을 수용하기 위해 수집부재(1)의 상단부와 연통되며, 제2 챔버(212)는 체액을 보존하기 위한 보존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보존제로부터 체액을 격리하기 위해 제1 챔버(211)로부터 밀봉식으로 격리되고;
수집부재(1)가 저장부재(2)로부터 분리될 때에, 수집부재(1)의 하단부는 저장부재(2)와의 끼워맞춤으로부터 해제되고, 제1 챔버(211)와 제2 챔버(212)는 체액과 보존제를 혼합하기 위해 서로 연통된다.
본 개시에 따른 체액 수집기는 체액과 보존 제품의 격리가 박막의 밀봉에 더 이상 의존하지 않지만, 체액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챔버(211) 및 수집부재(1)의 하단부와 저장부재(2)의 끼워맞춤에 의해 구획되는 보존제를 저장하기 위한 제2 챔저(212)에 의해 실현된다. 본 개시에 따른 체액 수집기에 기반하여, 수집부재(1)의 하단부와 저장부재(2) 간의 끼워맞춤은 수집부재(1)가 저장부재(2)와 결합된 후에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수집부재(1)의 하단부와 저장부재(2) 간의 끼워맞춤은 수집부재(1)를 저장부재(2)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해제될 수 있으므로, 수집 시작 전에 보존제의 밀봉, 수집 과정에서 보존제로부터의 체액의 격리 및 수집이 완료된 후에 체액과 보존제의 혼합을 실현하기 위해, 수집부재(1)와 저장부재(2)를 결합하고 분리하는 것만이 것만이 필요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 "수집 과정에 있어서"란, "수집 시작 후 수집량이 요구조건을 만족할 때까지"를 의미하고 "수집이 완료된 후"란, "체액의 수집량이 요구조건을 만족한 후"를 의미하며, "수집량이 요구조건을 만족한다"란, 수집량이 예정량(predetermined amount)에 이르렀지만, 어떤 특수한 상황에 있어서 예를 들면 수집대상자가 정말로 예정량의 체액을 제공할 수 없을 때에, 수집량과 예정량 사이에 어떠한 갭(gap)이 있을 때를 기본적으로 만족되었다는 것으로 여겨질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존액을 박막으로 미리 밀봉하는 것이 필요하고, 나중에 박막을 블레이드로 손상시키는 것도 필요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개시는 전체의 체액 수집 과정을 효과적으로 간소화시켜 체액 수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박막 과정이 생략되어도 되므로, 본 개시에 따른 체액 수집기의 가공(machining) 과정은 비교적 간단하고, 따라서 가공 비용(machining cost)이 절감된다. 동시에, 체액과 보존제의 혼합이 블레이드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블레이드 및 그 유사물의 절단 실패로 인하여 체액이 보존제와 혼합될 수 없을 것 같은 현상의 발생 또한 회피할 수 있어, 체액 수집기의 조작 신뢰도(operational reliability)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보존제는 액체 상태의 보존액 또는 고체 상태의 보존정제(preservative tablet) A를 포함한다. 또한 다시 말해서, 본 개시의 체액 수집기를 사용함으로써, 보존액과 체액의 혼합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보존정제 A와 체액의 혼합을 실현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보존액과 보존정제 A 양쪽은 시료의 저장 기간의 연장을 실현하기 위한 체액과의 혼합 반응을 위해 사용된다. 이들 중에서, 보존액은 액체형 보존제이므로, 운반 과정을 위한 요구조건이 높고; 보존정제 A는 고체형 보존제이므로, 운반을 위해 더 편리하다. 또한, 동일한 양의 체액에 대하여, 원하는 보존정제 A의 부피는 원하는 보존액의 것보다 적어도 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수집부재(1)의 하단부와 저장부재(2) 중의 하나는 다른 하나를 플러깅(plugging)하여 저장 챔버(21)를 제1 챔버(211)와 제2 챔버(212)로 구획한다. 즉, 저장 챔버(21)는 수집부재(1)의 하단부와 저장부재(2)의 끼워맞춤을 플러깅함으로써 제1 챔버(211)와 제2 챔버(212)로 구획된다. 대안적으로, 본 개시에 따르면, 수집부재(1)의 하단부와 저장부재(2) 중의 하나는 다른 하나를 덮어서 저장 챔버(21)를 제1 챔버(211)와 제2 챔버(212)로 구획한다. 즉, 저장 챔버(21)는 수집부재(1)의 하단부와 저장부재(2) 중의 하나를 수집부재(1)의 하단부와 저장부재(2) 중의 다른 하나로 덮음으로써 제1 챔버(211)와 제2 챔버(212)로 구획된다. 이들 중에서는, 덮개 방식(covering manner)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플러깅형 끼워맞춤 방식(flugging fit manner)에 비하여 덮개 방식이 보존제와의 간섭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관하여는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수집부재(1)를 저장부재(2)에 끼워맞춤으로써 형성된 제1 챔버(211)와 제2 챔버(212)에 있어서, 제2 챔버(212)는 제1 챔버(211) 아래에 위치되어도 된다. 또한 다시 말해서, 수집 과정에서, 보존제는 채액 아래에 위치된다. 그러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챔버(211)와 제2 챔버(212) 간의 위치 관계는 제2 챔버(212)가 저장 챔버(21)의 단면(斷面)에 평행한 방향으로 제1 챔버(211) 내부에 위치되도록(이후부터는, 모두 간단하게, 제2 챔버(212)가 제1 챔버(211)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방식이라고 한다) 제공된다.
제2 챔버(212)가 제1 챔버(211) 아래에 위치되는 상황의 경우, 보존제(특히 보존액)를 미리 첨가하므로, 보존제는 제2 챔버(212)에 들어갈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체액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챔버(211)로 먼저 통과되어야 하고, 이에 의해 보존제는 제1 챔버(211) 안에 불가피하게 잔류될 수 있어, 제1 챔버(211)에 오염을 야기시킨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이것은 보존제의 불필요한 손실을 초래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1 챔버(211)에 잔류되는 보존제가 수집 과정 중에 제1 챔버(211)로 유동되는 체액과 혼합될 수 있어, 수집 과정 중에 체액과 보존제와의 원치않은 혼합을 초래하며; 또다른 한편으로는, 제1 챔버(211) 내의 잔류 보존액이 수집부재(1)를 더 오염시킬 수 있다. 수집부재(1)가 수집대상자와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수집대상자에게 화학적인 오염을 야기시킬 수도 있으며, 안전사고를 유발시켜 이용 경험(use experience)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제1 챔버(211) 내부에 제2 챔버(212)를 설치함으로써, 보존제를 제1 챔버(211)로 통과시키지 않고 제2 챔버(212)로 미리 첨가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배열 방식(configuration manner)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챔버(212)가 제1 챔버(211) 아래에 배치되는 상기한 배열에 의해 야기되는 일련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고, 또한 수집이 완료될 때까지 체액과 보존제가 더 좋게 격리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보존제를 절감할 수 있고 조작 안전성 및 이용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챔버(212)를 제1 챔버(211)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제2 챔버(212)가 제1 챔버(211) 아래에 위치되는 경우에 대하여, 체액과 보존제 양쪽이 혼합되기 전에 저장부재(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체액과 보존제와의 혼합을 더 용이하게 하고, 이들 양쪽의 적당한 혼합과, 시료의 수집 품질의 향상을 더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로서, 수집부재(1)의 하단부와 저장부재(2) 중의 하나는 사전 저장 구조물(12)을 구비하고 있고, 수집부재(1)의 하단부와 저장부재(2) 중의 다른 하나는 밀봉 구조물(13)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전 저장 구조물(12)은 보존제를 사전 저장하기 위한 사전 저장 캐비티(121) 및 사전 저장 캐비티(121)의 단부에 위치되어 보존제를 사전 저장 캐비티(121)에 수용하기 사용되는 단부 개방부(122)를 포함한다. 수집부재(1)가 저장부재(2)와 결합될 때에, 밀봉 구조물(13)은 사전 저장 구조물(12)과 협력하여 단부 개방부(122)를 밀봉하고, 이에 의해 제1 챔버(211)는 사전 저장 캐비티(121)의 측방향 외벽과 저장 챔버(21)의 측방향 내벽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제2 챔버(212)가 사전 저장 구조물(12)과 밀봉 구조물(13)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기반하여, 한편으로는, 본 개시의 체액 수집기는 수집부재(1)가 저장부재(2)와 결합될 때에 사전 저장 구조물(12)을 밀봉 구조물(13)에 끼워맞춤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내외측으로 설치되어 서로 격리되는 제1 챔버(211)와 제2 챔버(21)를 편리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안전한 운반 및 저장을 보장하기 위해 보존제가 수집 시작 전에 밀봉 상태로 있을 수 있게 하여 주며, 또한 정확한 수집과 안전한 수집을 보장하기 위해 체액과 보존제가 수집 과정에서 격리된 상태로 있게 하여 준다. 다른 한편으로는, 본 개시의 체액 수집기에 있어서, 수집부재(1)가 저장부재(2)로부터 분리될 때에 제1 챔버(211)는 제2 챔버(212)와 편리하게 연통되므로, 수집이 완료된 후에 체액이 보존제와 신속하게 혼합되어 시료의 저장 기간이 연장되는 것이 실현될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밀봉 구조물(13)과 사전 저장 구조물(12) 사이의 끼워맞춤은 플러깅형 끼워맞춤 방식이어도 되고, 즉 밀봉 구조물(13)이 단부 개방부(122)를 통하여 사전 저장 캐비티(121) 내에 삽입되어 사전 저장 캐비티(121)의 내벽과 접촉됨으로써 단부 개방부(122)를 밀봉하는 방식이어도 되고; 또한 덮개형 끼워맞춤 방식이어도 되고, 즉 밀봉 구조물(13)이 단부 개방부(122)가 구비된 사전 저장 구조물(12)의 일단부를 덮음으로써 단부 개방부(122)를 밀봉하는 방식이어도 된다. 사전 저장 캐비티(121)에 사전 저장된 보존제와 밀봉 구조물(13)과의 간섭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단부 개방부(122)의 밀봉이 덮개형 끼워맞춤에 기반하여 실현되는 경우 밀봉 구조물(13)을 사전 저장 캐비티(121) 내에 삽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밀봉 구조물(13)과 사전 저장 구조물(12) 사이의 끼워맞춤 방식은 바람직하게는 덮개형 끼워맞춤 방식이다. 따라서, 덮개형 끼워맞춤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밀봉 구조물(13) 상에의 먼지 등에 의한 보존제(특히 보존액)의 오염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보존제의 순도와 유용성을 유지하는 것이 유리할 뿐만 아니라, 밀봉 구조물(13)의 삽입으로 인하여 사전 저장 캐비티(121)의 부피가 차지되는 것을 회피하는 것도 가능하여, 보존제의 저장을 위해 더욱 유리하다.
또한, 단부 개방부(122)가 구비된 사전 저장 구조물(12)의 일단부의 덮힘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의 밀봉 구조물(13)은 단부 개방부(122)가 구비된 사전 저장 구조물(12)의 단부의 단면(端面)과 접촉되게 하고, 및/또는 밀봉 구조물(13)은 사전 저장 캐비티(121)의 측방향 외벽과 접촉되게 하여도 된다. 여기서 "접촉"은 단부 개방부(122)의 밀봉이 실현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결정된다.
단부 개방부(122)가 구비된 사전 저장 구조물(12)의 일단부를 덮기 위해서 밀봉 구조물(13)이 사전 저장 구조물(121)의 측방향 외측벽과 접촉되게 되는 일 실시형태로서, 밀봉 구조물(13)은 사전 저장 캐비티(121)의 측방향 외벽과 접촉되게만 하거나, 사전 저장 캐비티(121)의 측방향 외벽과 단부 개방부(122)가 구비된 사전 저장 구조물(12)의 일단부의 단면과 동시에 접촉되게 하여도 된다. 이러한 밀봉 구조물(13)은 단부 개방부(122)를 덮음으로써 단부 개방부(122)가 구비된 사전 저장 구조물(12)의 일단부를 덮는 것을 실현하며, 또한 단부 개방부(121)를 밀봉하는 것을 실현한다. 또한, 밀봉 구조물(13)과 사전 저장 캐비티(121)의 측방향 외벽과의 접촉은 밀봉 구조물(13)과 사전 저장 캐비티(121)의 측방향 외벽 사이의 나사산 연결(threaded connection)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고, 또는 밀봉 구조물(13)과 사전 저장 캐비티(121)의 측방향 외벽 사이의 스냅 끼워맞춤 연결(snap-fit connection)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단부 개방부(122)가 구비된 사전 저장 구조물(12)의 일단부를 덮기 위해서 밀봉 구조물(13)이 단부 개방부(122)가 구비된 사전 저장 구조물(12)의 일단부의 단면과 접촉되게 하는 일 실시형태로서, 밀봉 구조물(13)은 단부 개방부(122)가 구비된 사전 저장 구조물(12)의 일단부의 단면과 접촉되게만 하여도 되므로, 밀봉 구조물(13)은 단부 개방부(122)를 덮음으로써 단부 개방부(122)가 구비된 사전 저장 구조물(12)의 일단부를 가압하여 덮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밀봉 구조물(13)과 단부 개방부(122)가 구비된 사전 저장 구조물(12)의 일단부의 단면 사이의 접촉은 단부 개방부(122)가 구비된 사전 저장 구조물(12)의 일단부의 단면 전체와 접촉하는 경우와, 단부 개방부(122)가 구비된 사전 저장 구조물(12)의 일단부의 단면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경우의 양쪽을 포함한다. 또한 다시 말해서, 단부 개방부(122)의 밀봉을 실현하기 위하여 밀봉 구조물(13)을 단부 개방부(122)가 구비된 사전 저장 구조물(12)의 일단부의 단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시키는 것이 필요할 뿐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 밀봉 구조물(13)은 가변 단면을 가지는 요홈부(13a)을 포함하여도 되고, 또한 밀봉 가스킷(13b)을 포함하여도 되며, 요홈부(13a)의 가변 단면을 가지는 측벽은 단부 개방부(122)를 덮기 위하여 단부 개방부(122)가 구비된 사전 저장 구조물(12)의 일단부의 단면에 부착되어 그 단면에 맞대어 가압되어도 되며, 밀봉 가스킷(13b)은 단부 개방부(122)가 구비된 사전 저장 구조물(12)의 일단부의 단면에 직접 부착되어 그 단면에 맞대어 가압됨으로써 단부 개방부(122)를 덮어, 단부 개방부(122)의 밀봉을 실현한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전 저장 구조물(12)은 사전 저장 튜브(12a)이어도 되고, 또한 홈이 구비된 사전 저장 블록(12b)이어도 된다. 사전 저장 튜브(12a)가 사용되는 경우, 그 캐비티는 사전 저장 캐비티(121)로서 역할할 수 있고, 그 캐비티의 단부 개방부는 단부 개방부(122)로서 역할하며; 사전 저장 블록(12b)이 사용되는 경우, 그 홈의 캐비티는 사전 저장 캐비티(121)로서 역할할 수 있고, 그 캐비티의 단부 개방부는 단부 개방부(122)로서 역할한다. 또한, 사전 저장 튜브(12a)의 캐비티의 부피가 일반적으로 사전 저장 블록(12b)의 홈의 부피보다 크므로, 사전 저장 튜브(12b)는 더 작은 점유 부피를 가지는 보존정제 B를 사전 저장하는데 더 적합하다. 또한, 사전 저장 튜브(12a)와 사전 저장 블록(12b) 양쪽은 상기한 여러 가지의 밀봉 구조물에 끼워맞추어질 수 있다.
도 1-14는 본 개시의 체액 수집기의 4가지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들 4가지 실시형태에 있어서, 체액 수집기는 사전 저장 구조물(12)을 밀봉 구조물(13)로 덮음으로써 제1 챔버(211)와 제2 챔버(212)와 같은 2개의 임시의 독립적인 캐비티로 모두 형성되며, 그 차이는 주로 상이한 특정 구조물과 사전 저장 구조물(12)과 밀봉 구조물(13)의 덮개형 방식에 있다. 따라서, 이하는 제1 실시형태의 설명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고, 다른 3개의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와의 주된 차이점만을 설명하고 있으며, 설명하지 않은 부분들은 제1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이해될 수 있다. 또한, 간편한 설명을 위해, 타액으로서 수집된 채액은 예시를 위한 예로만 든것이다. 또한 다시 말해서, 이들 4가지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체액 수집기가 타액 수집기로서 역할하더라도, 당해 분야의 숙련자이라면 본 개시의 체액 수집기가 실제로 다른 체액을 수집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본 개시를 이들 4가지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더 설명한다.
도 1-4는 본 개시에 따른 체액 수집기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존제로서의 보존액은 예로 든 것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액 수집기는 수집부재(1), 저장부재(2), 및 폐쇄부(3)를 포함하고, 수집부재(1)와 폐쇄부(3)의 양쪽은 저장부재(2)와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수집 시작 전에 그리고 수집 과정에서 저장부재(2)에 연결되는 수집부재(1)는 타액을 수집하여 그 타액을 저장부재(2)로 안내하는데 사용될뿐만 아니라, 수집 시작 전에 그리고 수집 과정에서 보존액을 밀봉하여 격리하는데 사용된다. 폐쇄부(3)는 후속의 운반 및 저장을 용이하게 하고 시료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료 수집 완료 후에 저장부재(2)를 밀봉하는데 사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장부재(2)는 중공(中空)의 원형 튜브이고, 이 중공의 캐비티는 저장 챔버(21)로서 사용되는데, 그 상단부는 개방되고 하단부는 둘러싸여 있으므로, 타액이 저장 챔버(21)의 상부 개방부로부터 저장 챔버(21)로 들어가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장 챔버(21)의 하부벽은 저장 챔버(21)의 하부에 요홈부(13a)를 형성하도록 아래쪽으로 움푹 들어가 있고, 이 요홈부(13a)는 상부에서 하부까지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단면적을 갖는 역원뿔 형상(inverted conical shape)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홈부(13a)는 수집부재(1)의 하단부에 형성된 사전 저장 구조물(12)과의 끼워맞춤에 의해, 저장부재(2)를 내외부에 형성되는 2개의 임시의 독립적인 캐비티, 즉 제1 챔버(211)와 제2 챔버(212)로 구획하기 위한 밀봉 구조물(13)로서 역할한다. 이에 관해서는 이하에 더 설명한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저장 챔버(21)의 측방향 외벽의 상부 부분에는 저장부재(2)와 수집부재(1) 및 폐쇄부(3)와의 탈착가능한 연결을 실현하기 위한 외부 나사산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수집부재(1) 또는 폐쇄부(3)와 저장부재(2)와의 결합은 수집부재(1) 또는 폐쇄부(3)를 저장부재(2)에 단단히 조임으로써 편리하게 실현될 수 있다. 물론, 수집부재(1) 또는 폐쇄부(3)와 저장부재(2)와의 결합 방식은 나사산 연결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수집부재(1) 및 폐쇄부(3)와 저장부재(2)와의 탈착가능한 연결을 실현하여 폐쇄부(3)가 저장 챔버(21)의 상부 개방부를 밀봉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한 한, 본 개시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또한, 타액의 수집량이 예정량에 도달되었는지의 판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저장 챔버(21)의 측벽에 스케일 라인(scale line)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따라서 수집된 타액의 레벨이 스케일 라인의 높이에 도달할 때에 타액의 수집량이 예정량에 도달하였다고 판정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집부재(1)는 수집 본체(11) 및 수집 본체(11)의 하부 부분에 연결된 사전 저장 튜브(12a)를 포함한다. 수집 본체(11)는 타액을 수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전 저장 튜브(12a)는 보존액을 사전 저장하고 저장부재(2)의 요홈부(13a)와 협력함으로써, 저장 챔버(21)를 제1 챔버(211)와 제2 챔버(212)로서 내외부에 형성된 2개의 독립적인 캐비티로 구획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수집 본체(11)는 깔때기(111)를 포함한다. 깔때기(111)는 상부와 하부의 양쪽에 개방되어 있는 수집 캐비티(1112)를 갖는다. 수집 캐비티(1112)의 상단부는 검출된 타액을 수용하기 위한 수집 포트(1111)를 형성하도록 개방되어 있는, 수집부재(1)의 상단부이므로, 수집 캐비티(1112)는 검출 대상의 타액을 수집할 수 있다. 수집 캐비티(1112)의 하단부의 내벽에는 수집부재(1)를 저장부재(2)에 탈착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저장부재(2) 상의 외부 나사산과의 결합을 위한 내부 나사산이 구비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수집 포트(1111)의 단면 형상은 타원형태의 구멍 형상으로 있다. 타원형태의 구멍은 수집대상자의 입(mouth) 윤곽(profile)에 더 일치하므로, 수집 포트(1111)는 수집대상자의 입에 더 잘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집기의 조작 편의성(operational comfort)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할뿐만 아니라, 수집 포트(1111)를 통한 타액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깔때기(111)는 압출과 재활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친환경적인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사전 저장 튜브(12a)는 깔때기(1111)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전 저장 튜브(12a)는 수집 캐비티(1112)의 내벽에 연결되어 있고, 사전 저장 튜브(12a)의 하단부는 깔때기(111)의 상단부 아래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사전 저장 튜브(12a)의 하단부가 수집부재(1)의 하단부이라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타액이 수집 과정에서 수집 캐비티(1112)를 통하여 저장 챔버(21)로 들어갈 필요가 있으므로, 수집 캐비티(1112) 또한 저장 챔버(21)와 연통될 필요가 있다. 또한, 수집 캐비티(1112)와 저장 챔버(21) 사이의 연통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전 저장 튜브(12a)의 연결부와 수집 캐비티(1112)의 내벽에 유출 포트(outflow port)가 더 설치되어 있다. 유출 포트는 사전 저장 튜브(12a) 위에 위치된 수집 캐비티(1112)의 부분과 사전 저장 튜브(12a) 아래에 위치된 그 부분(즉, 수집부재(1)의 상단부)과 연통되어 있으므로, 수집부재(1)가 저장부재(2) 상에 연결될 때에, 타액이 수집부재(1)를 통하여 저장부재(2)로 유동될 수 있다.
유출 포트는 전체 환형(環形) 개방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전 저장 튜브(12a)와 수집 캐비티(1112)의 내벽 사이에는 환형 연결편이 설치되어도 된다. 이 연결편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 수집 캐비티(1112)의 전체 내벽에 사전 저장 튜브(12a)를 연결하고, 환형 개방부는 배출구로서 환형편(annular piece) 상에 개방되어 있다. 대안적으로는, 유출 포트는 또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수개의 국부적인 개방부로 이루어져도 된다. 예를 들면, 섹터 형상(sector shape)의 2개의 이격된 연결편은 사전 저장 튜브(12a)와 수집 캐비티(1112)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며, 2개의 연결편은 사전 저장 튜브(12a)를 동일 높이에 위치된 수집 캐비티(1112)의 국부적인 내벽에 연결하므로, 섹터 형상의 2개의 유출 포트는 2개의 연결편과 수집 캐비티(112)의 내벽 사이에 형성된다. 물론, 연결편의 형상과 개수는 수집 캐비티(1112)를 저장 챔버(21)와 연통시킬 수 있는 유출 포트를 형성하도록 보장되는 한, 실제 조건에 따라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섹터 형상의 복수의 유출 포트는 더 좋은 안내 효과(guiding effect)를 보여, 타액이 저장 챔버(21) 쪽으로 더 원활하게 유동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또한 사전 저장 튜브(12a)는 보존액을 사전 저장하기 위한 사전 저장 캐비티(121) 및 보존액을 사전 저장 캐비티(121) 쪽으로 수용하기 위한 단부 개방부(122)를 가지는 중공의 원형 튜브이다. 사전 저장 캐비티(121)는 사전 저장 튜브(12a)의 캐비티이고, 그 상단부는 둘러싸여 있고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단부 개방부(122)는 사전 저장 캐비티(121)의 하단부 개방부이며, 이는 보존액이 단부 개방부(122)를 통해 사전 저장 캐비티(121)에 들어가 저장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기반하에, 수집부재(1)와 저장부재(2)의 조립 전에, 단부 개방부(122)를 먼저 반전시켜 단부 개방부(122)가 상방을 향하게 하고, 보존액을 단부 개방부(122)를 통하여 사전 저장 캐비티(121)(사전 저장 튜브(12a)의 캐비티) 내에 주입하고, 그 결과 보존액이 사전 저장 캐비티(121) 내에 미리 저장됨으로써, 깔때기(1)에의 저장부재(2)의 나사결합에 의해 보존액의 밀봉과 격리를 순차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사전 저장 캐비티(121)의 상단부는 둘러싸여지도록 형성되므로, 수집부재(1)가 반전될 때에 사전 저장부재(121)로부터의 보존액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할뿐만 아니라, 타액이 수집 과정에서 유출 포트를 통하여 저장 챔버(21)로만 유동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에 의해 타액이 사전 저장 캐비티(121)의 상단부를 통하여 사전 저장 캐비티(121)로 들어가서 수집 과정에서 보존액과 혼합될 수 있다.
도 1-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전 저장 튜브(12a)의 외경은 저장부재(2)의 내경보다 작으므로, 수집부재(1)가 저장부재(2)에 연결될 때에 사전 저장 튜브(12a)의 하단부는 저장 챔버(21)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사전 저장 튜브(12a)의 하단부의 단면(端面)(즉, 단부 개방부(122)가 구비된 사전 저장 튜브(12a)의 일단부의 단면)은 상기한 요홈부(13a)의 측벽에 접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사전 저장 튜브(12a)의 하단부가 저장 챔버(21)로 돌출된 후에, 사전 저장 튜브(12a)의 하단부의 단면은 요홈부(13a)의 측벽에 접하여 단부 개방부(121)의 밀봉을 실현하고, 따라서 제1 챔버(211)는 사전 저장 캐비티(121)의 측방향 외벽과 저장 챔버(21)의 측방향 내벽에 의해 형성되며, 제2 챔버(212)는 사전 저장 튜브(12a)와 요홈부(13a)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챔버(211)는 사전 저장 튜브(12a)와 수집 캐비티(1112)의 내벽 사이의 연결부에 배치된 상기한 유출 포트를 통하여 수집 포트(1111)와의 연통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액은 수집 과정에서 수집 포트(1111)와 유출 포트를 통하여 제1 챔버(211)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사전 저장 튜브(12a)와 요홈부(13a)의 측벽 사이의 맞댐 끼워맞춤(abutment fit)에 의해, 제2 챔버(212)는 제1 챔버(211)로부터 격리될 수 있어, 사전 저장 캐비티(121)는 보존액을 사전 저장한다. 따라서, 사전 저장 튜브(12a)의 하단부의 단면이 요홈부(13a)의 측벽에 접한 후에, 보존액은 제2 챔버(21) 내에 밀봉되어 바깥쪽으로부터 격리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수집 시작 전에 보존액의 밀봉을 실현함으로써, 사용되기 전에 보존액의 노출(예를 들면 운반 과정에서)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보존액이 수집 과정에서 타액으로부터 격리될 수 있게 하여, 수집 과정에서 이들 양쪽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챔버(212)는 사전 저장 캐비티(121), 및 맞댐부(abutment) 아래에 위치된 요홈부(13a)의 공간을 포함한다. 수집부재(1)가 저장부재(2)와 결합된 후에, 미리 사전 저장 캐비티(21)에 사전 저장된 보존액의 일부는 저장 캐비티(121)에 여전히 잔류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맞댐부 아래에 위치된 요홈부(13a)의 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저장 챔버(21)가 사전 저장 튜브(12a)와 요홈부(13a) 사이의 맞댐 끼워맞춤에 의해, 제1 챔버(211)와 제1 챔버(211) 내부에 위치된 제2 챔버(212)로 구획되고, 따라서 보존액이 밀폐형 제2 챔버(212) 내에 밀봉됨으로써 보존액을 타액과 혼합하는 것이 필요할 때까지 보존액을 바깥쪽으로부터 격리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전 저장 튜브(12a)와 요홈부(13a) 사이의 맞댐 끼워맞춤이 수집부재(1)와 저장부재(2)와의 결합과 함께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보존액을 밀봉하여 격리하기 위하여 수집부재(1)를 저장부재(2)와 결합시키는 것만이 필요하며, 수집부재(1)와 저장부재(2)와의 결합 전에 다른 조작 단계를 추가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따라서, 보존액의 예상된 밀봉을 더 편리하게 실현하고 보존액의 밀봉 과정을 간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전 저장 캐비티(121)의 막을 밀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막 밀봉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임시의 독립적인 캐비티(또한, 즉 제2 챔버(212))를 맞댐 끼워맞춤 방식으로 형성하는 이러한 방식은 또한 체액 수집기의 가공 과정을 간소화시키고, 가공 난이도를 저감시키며 가공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챔버(211)와 제2 챔버(212)의 밀봉과 격리는 사전 저장 튜브(12a)와 요홈부(13a) 사이의 맞댐 끼워맞춤에 의해 형성되고, 타액의 수집량이 요구조건을 만족하면, 사전 저장 튜브(12a)와 요홈부(13a) 사이의 맞댐 끼워맞춤은 저장부재(2)로부터의 수집부재(1)의 분리와 함께 해제될 수 있으므로, 예컨대 사전 저장 튜브(12a)와 요홈부(13a) 사이의 맞댐 끼워맞춤을 해제하기 위해 수집부재(1)를 저장부재(2)로부터 분리하여 제2 챔버(212)의 밀봉을 손상시키는 것만이 필요하고, 따라서 제2 챔버(212)는 그 바깥쪽에 위치된 제2 챔버(211)와 연통됨으로써 보존액과 타액의 신속한 혼합을 실현시킨다. 맞댐 끼워맞춤 방식에 기반하여, 임시의 독립적인 캐비티(또한 즉, 제2 챔버(212))를 사용하여 보존액의 밀봉을 실현하는 본 실시형태는 보존액의 밀봉 과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을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 보존액의 밀봉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해제함으로써, 보존액과 타액의 혼합 및 DNA 시료의 저장 기간의 연장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2 챔버(212)의 밀봉된 상태를 특별히 손상시키기 위해 블레이드와 같은 구조물 또는 부재를 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본 실시형태의 체액 수집기는 적은 구성부재와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블레이드 등의 절단 실패로 인하여 체액을 보존액과 혼합할 수 없는 현상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회피하여, 체액 수집기의 조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존액을 밀봉하기 위한 제2 챔버(212)는 타액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챔버(211) 내부에 위치되므로, 보존액을 제1 챔버(211)를 통과하지 않고 미리 제2 챔버(212)에 첨가할 수 있어, 제1 챔버(211) 내의 보존액의 불필요한 손실과 잔류를 회피할 수 있다. 체액과 보존액이 수집 완료될 때까지 더 좋게 격리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할뿐만 아니라, 수집대상자에게의 보존액으로 인한 화학적인 해를 더 효과적으로 회피하여, 조작 편의성과 조작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내외부로 설치된 제2 챔버(212)와 제1 챔버(211)는 타액과 보존액이 수집 과정에서(혼합 전에) 저장부재(2)의 하부에 모두 위치되게 할 수 있으므로, 일단 수집부재(1)가 저장부재(2)로부터 분리되면 타액이 좀더 철저하게 보존액과 신속히 혼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혼합 효율과 혼합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폐쇄부(3)는 저장 챔버(21)의 상부 개방부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저장 챔버(21)의 상부 개방부의 밀봉 또는 통행이 실현된다. 폐쇄부(3)가 저장 챔버(21)의 상부 개방부와 결합될 때에는, 폐쇄부(3)는 저장 챔버(21)의 상부 개방부를 밀봉하며; 폐쇄부(3)가 저장 챔버(21)의 상부 개방부로부터 분리될 때에는, 저장 챔버(21)의 상부 개방부는 개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폐쇄부(3)는 수집 완료 후에 저장 챔버(21)의 상부 개방부에 연결되므로, 폐쇄부(3)는 타액과 보존액의 혼합물을 밀봉하여 저장함으로써, 후속의 저장과 운반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장 챔버(21)의 상부 개방부로부터 제거된 후에 폐쇄부(3)의 손실과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폐쇄부(3)는 저장부재(2)의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더 설치되어 있으므로, 폐쇄부(3)는 수집 시작 전과 수집 완료 후에 저장부재(2)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폐쇄부(3)의 손실을 방지하여, 체액 수집기의 사용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폐쇄부(3)와 저장부재(2)의 하단부 사이의 탈착 가능한 연결은 나사산 연결 또는 스냅 끼워맞춤 연결 등의 여러 가지의 연결 방식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 및 도4와 관련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폐쇄부(3)는 양두형 덮개(double-headed cover)인데, 폐쇄부(3)의 제1 단부는 저장부재(2)의 상단부에 적합되며, 제1 단부의 내벽에는 내부 나사산이 구비되어 있어 폐쇄부(3)와 저장부재(2)의 탈착 가능한 연결이 실현된다. 폐쇄부(3)의 제1 단부가 저장부재(2)에 나사결합된 후에, 폐쇄부(3)의 제1 단부는 저장 챔버(21)의 상부 개방부를 덮으므로, 저장 챔버(21)의 상부 개방부의 밀봉이 실현될 수 있다. 폐쇄부(3)의 제2 단부는 저장부재(2)의 하단부에 적합되고, 제2 단부는 스냅 끼워맞춤 연결 또는 나사산 연결 등의 복수의 방식으로 저장부재(2)의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체액 수집기에 기반하여 타액을 수집하는 경우는, 이하의 3단계에 따라 진행될 수 있다:
(1) 타액이 유출 포트를 거쳐 저장부재(2)의 제1 챔버(211)로 유동되도록 저장부재(2)에 나사결합된 수집부재(1)의 깔때기(111)에 타액을 뱉는다. 이 때에, 수집부재(1)의 사전 저장 튜브(12a)의 하단부의 단면이 저장부재(2)의 요홈부(13a)의 측벽에 접하므로, 보존액으로 내부에 밀봉된 제1 챔버(211)와 제2 챔버(212)는 서로 격리된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타액과 보존액은 혼합되지 않고 서로 격리된다.
(2) 타액의 수집량이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면, 예를 들어 제1 챔버(211) 안의 타액의 레벨이 저장부재(2) 상의 스케일 라인에 도달하거나 거의 도달할 때(수집량이 예정량에 도달하거나 거의 도달할 때), 저장부재(2)로부터 깔때기(111)가 나사결합 해제되어, 수집부재(1)는 저장부재(2)로부터 분리된다. 사전 저장 튜브(12a)의 하단부의 단면이 이 때에 요홈부(13a)의 측벽으로부터 결합해제되므로, 제2 챔버(212)와 그 바깥쪽의 제1 챔버(211)는 서로 연통됨으로써, 타액이 보존액과 혼합된다.
(3) 저장부재(2)의 하단부로부터 폐쇄부(3)를 제거하고 이를 저장부재(2)의 상부 부분에 단단히 조임으로써, 폐쇄부(3)는 저장부재(2)의 상부 개방부를 밀봉한다.
타액을 본 실시형태의 체액 수집기에 의해 수집하는 경우, "타액 뱉음", "깔때기(111)의 나사결합 해제" 및 "폐쇄부(3)의 나사결합" 과 같은 단계로 조작을 실시하는 것만이 필요하므로, 단계 수가 적고 조작이 보다 간단하며, 구현이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보존액을 타액과 더 균일하게 혼합하기 위해서는, 단계(3) 이후에 단계(4), 즉 저장부재(2)의 상부 부분에 폐쇄부(3)가 밀봉된 상태에서 저장부재(2)를 뒤집어 흔드는 단계를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뒤집어 흔듦으로써, 보존액은 타액과 더 혼합되어 이들 양쪽을 더 균일하게 혼합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이는 타액의 저장 기간을 효과적으로 연장할뿐만 아니라 시료의 후속 검출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9는 본 개시에 따른 체액 수집기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보존제로서 보존정제 A를 예로 들고 있다.
도 5-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체액 수집기는 여전히 수집부재(1), 저장부재(2), 및 폐쇄부(3)를 포함하며, 저장 챔버(21)는 여전히 수집부재(1)의 하단부에 설치된 사전 저장 구조물(12)과 저장부재(2)에 설치된 밀봉 구조물(13) 사이의 맞댐 끼워맞춤에 의해 제1 챔버(21)와 제2 챔버(22)로 구획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저장 챔버(21)의 하부에 배치된 요홈부(13a)는 여전히 밀봉 구조물(13)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제1 실시형태와는 달리, 제2 실시형태에서는, 사전 저장 튜브(12a)는 사전 저장 구조물(12)로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오히려, 사전 저장 블록(12b)이 사전 저장 구조물(12)로서 사용되고, 사전 저장 블록(12b)의 사전 저장 캐비티(121)가 보존정제 A를 사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사전 저장 블록(12b)은 수집부재(1)의 하단부에 배치되며, 사전 저장 블록(12b)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홈의 캐비티는 보존정제 A를 사전 저장하기 위한 사전 저장 캐비티(121)로서 사용되며; 홈의 개방부는 보존정제 A를 수용하기 위한 단부 개방부(122)로서 사용되므로, 보존정제 A는 단부 개방부(122)를 통하여 사전 저장 캐비티(121)에 놓여질 수 있다. 또한, 사전 저장 블록(12b)은 그 하단부의 단면이 요홈부(13a)의 측벽에 접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집부재(1)가 저장부재(2)에 결합될 때에, 사전 저장 블록(12b)의 하단부는 요홈부(13a)의 측벽에 접한다. 단부 개방부(122)의 밀봉을 실현하여 임시적으로 서로 독립되는 제1 챔버(211)와 제2 챔버(212)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기반하여, 제1 실시형테와 마찬가지로, 수집부재(1)와 저장부재(2)의 조립 전에, 단부 개방부(122)가 상방으로 향하도록 수집부재(1)를 먼저 반전시킬 수 있고, 보존정제 A를 단부 개방부(122)를 통하여 사전 저장 캐비티(121)(홈)에 놓아둘 수 있으므로, 보존 정제 A가 사전 저장 챔버(121) 내에 미리 저장된다. 이후에, 저장부재(2)는 수집부재(1)에 결합되므로, 요홈부(13a)는 사전 저장 블록(12b)에 접하여, 제2 챔버(212)와 같은 밀봉된 임시의 독립적인 캐비티가 격리되게 형성됨으로써, 보존 정제 A는 타액과 혼합될 필요가 있을 때까지 바깥쪽으로부터 격리된다.
사전 저장 블록(12b)의 하단부의 단면을 요홈부(13a)의 측벽에 접함으로써 서로 격리된 제1 챔버(211)와 제2 챔버(212)를 형성할 수 있는 제2 실시형태는 수집 과정에서 체액과 보존정제 A를 밀봉하고 격리하는 것을 편리하게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내외부에 설치된 제2 챔버(212)와 제1 챔버(211)는 또한 타액과 보존정제 A가 수집 과정에서 저장부재(2)의 하부에 위치되게 함으로써, 일단 수집부재(1)가 저장부재(2)로부터 분리되면 타액이 좀더 철저하게 보존정제 A와 더 신속히 혼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혼합 효율과 혼합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집부재(1)가 저장부재(2)로부터 분리될 때에 보존정제 A가 요홈부(13a)에 남겨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홈의 크기를 보존정제 A의 것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그 홈에 보존정제 A가 헐겁게 끼워진다. 단부 개방부(122)가 하방으로 개방되어 밀봉이 해제될 때에, 즉 수집부재(1)가 저장부재(2)로부터 수직으로 분리될 때에, 보존정제 A는 홈으로부터 결합해제되어 중력 효과에 의해 요홈부에 남겨짐으로써, 사전 저장 구조물(12)로부터의 보존정제 A의 결합해제를 편리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사전 저장 구조물(12)로부터의 보존정제 A의 분리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개시는 또한 다른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사전 저장 구조물(12)에 푸쉬-아웃 기구(push-out mechanism)가 설치될 수도 있다. 푸쉬-아웃 기구는 보존정제 A를 밀어내서 사전 저장 캐비티(121)로부터 결합해제시켜 수집부재(1)가 저장부재(2)로부터 분리될 때에 요홈부(13a)에 남길 수 있도록 설치된다. 사전 저장 구조물(12)로부터의 보존정제 A의 수동적인 결합해제가 실현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은 푸쉬-아웃 기구에 의해 사전 저장 캐비티(12)에 보존정제 A를 억지 끼워맞춤(tight fit)으로 하는 상황에 특히 적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와 제1 실시형태와의 또다른 주된 차이는 다음과 같다: 제2 실시형태의 수집부재(1)에 있어서, 그 수집 본체(11)는 깔때기(111)를 포함할뿐만 아니라, 도관(112)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6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도관(112)은 깔때기(111)와 사전 저장 블록(12b)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다시 말해서, 도관(112)은 수집부재(1)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연결되므로, 본 실시형태의 사전 저장 구조물(12)은 도관(112)의 내벽에 더 이상 직접 연결되지 않지만, 도관(112)을 통하여 수집 캐비티(112)의 내벽에 연결된다. 또한, 도관(112)의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수집 포트(1111)(즉, 수집부재(1)의 상단부)와 연통되고, 동시에, 도관(112)의 하단부는 개방부(1121)가 도관(112)의 측벽에 형성되는 상태로 둘러싸여져 있다. 수집부재(1)가 저장부재(2)와 결합될 때에, 도관(112)은 저장 챔버(21)로 돌출되므로, 제1 챔버(211)는 개방부(1121)를 통하여 수집 포트(1111)와 연통된다. 이에 의해, 타액 수집 과정에서, 타액은 수집 포트(1111)를 거쳐 도관(112)에 들어가서, 개방부(1121)를 거쳐 제1 챔버(211)로 유동됨으로써, 타액을 수집하고 수집된 타액이 제2 챔버(212) 내에 밀봉된 보존정제 A로부터 격리되게 유지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도관(112)을 설치함으로써 체액 수집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타액이 더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관(112)의 기능은 또한 사전 저장 블록에 대하여 지지부(support)를 형성함으로써 사전 저장 블록(12b)이 요홈부(13a)의 측벽에 더 편리하게 접해질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체액 수집기에 기반하여 타액을 수집하는 경우는, 이하의 3단계에 따라 진행할 수 있다:
(1) 타액이 도관(112)의 측벽 상의 개방부(1121)를 거쳐 저장부재(2)의 제1 챔버(211)로 유동되도록 저장부재(2)에 나사결합된 수집부재(1)의 깔때기(111)에 타액을 뱉는다. 이 때에, 사전 저장 튜브(12b)의 하단부의 단면이 저장부재(2)의 요홈부(13a)의 측벽에 접하므로, 보존정제 A로 내부에 밀봉된 제1 챔버(211)와 제2 챔버(212)는 서로 격리된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타액과 보존정제 A는 혼합되지 않고 서로 격리된다.
(2) 타액의 수집량이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면, 저장부재(2)로부터 깔때기(111)가 나사결합 해제되어, 수집부재(1)는 저장부재(2)로부터 분리된다. 사전 저장 블록(12b)의 하단부의 단면이 이 때에 요홈부(13a)의 측벽으로부터 결합해제되므로, 제2 챔버(212)와 그 바깥쪽의 제1 챔버(211)는 서로 연통되어, 보존정제 A가 중력의 효과에 의해 요홈부(13a)에 남겨짐으로써, 타액이 보존액과 혼합되어 반응된다.
(3) 저장부재(2)의 하단부로부터 폐쇄부(3)를 제거하고 이를 저장부재(2)의 상부 부분에 단단히 조임으로써, 폐쇄부(3)는 저장부재(2)의 상부 개방부를 밀봉한다.
타액을 제2 실시형태의 체액 수집기에 의해 수집하는 경우, "타액 뱉음", "깔때기(111)의 나사결합 해제" 및 "폐쇄부(3)의 나사결합" 과 같은 단계로 조작을 실시하는 것만이 필요하므로, 단계 수가 적고 조작이 보다 간단하며, 구현이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보존정제 A를 타액과 더 균일하게 혼합하기 위해서는, 단계(3) 이후에 단계(4), 즉 저장부재(2)의 상부 부분에 폐쇄부(3)가 밀봉된 상태에서 저장부재(2)를 뒤집어 흔드는 단계를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의 요홈부(13a)는 역원뿔 형상을 나타내며, 이 형상을 이용한 요홈부(13a)는 사전 저장 구조물(12)에 접한다. 이 이점은 한편으로는, 사전 저장 구조물(12)이 요홈부(13a)에 끼워맞춰져 제2 챔버(212)의 더 기밀한 밀봉(tight sealing)을 실현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역원뿔 형상의 요홈부(13a)가 기존의 저장부재(2)의 저장 챔버(21)의 하부에 정상적으로 형성되므로, 예를 들면 기존의 저장부재(2)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제2 챔버(212)를 밀봉하여 격리하는 방식으로 형성하기 위해, 사전 저장 구조물(12)에 접하도록 기존의 저장부재(2) 상의 요홈부(13a)를 직접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의해 구조물을 더욱 간소화시키고, 가공 난이도를 저감시키며 가공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요홈부(13a)는 그 가변 단면이 단부 개방부(122)를 구비한 사전 저장 구조물(12)의 일단부에 접하여 밀봉을 실현하는 한, 반구(半球) 형상 등의 다른 가변 단면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전 저장 구조물(12)이 수집부재(1)의 하단부에 배치되더라도, 이에 상응하여, 밀봉 구조물(13)은 저장부재(2) 상에 배치되어 저장 챔버(21) 내에 위치된다. 그러나, 사실상, 사전 저장 구조물(12)과 밀봉 구조물(13)의 배열 위치는 또한 교환될 수 있다. 즉, 사전 저장 구조물(12)은 또한 저장부재(2) 상에 배치되어 저장 챔버(21)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밀봉 구조물(13)은 또한 수집부재(1)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사전 저장 구조물(12)은 저장 챔버(21)에 배치되는 사전 저장 튜브(12a)를 채용하고 있는데, 그 상단부는 개방되고 하단부는 둘러싸여져 있고, 즉 단부 개방부(122)는 사전 저장 캐비티(121)의 상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밀봉 구조물(13)은 수집부재(1)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밀봉 가스킷(13b)을 채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밀봉 가스킷(13b)은 지지체(support body)(14)를 통하여 깔때기(111)의 내벽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기반하에, 보존액은 저장부재(2) 상에 설치된 사전 저장 튜브(12a)의 캐비티 내에 사전 저장될 수 있고, 이어서 수집부재(1)는 저장부재(2)에 결합되므로, 단부 개방부(122)의 밀봉을 실현하기 위하여, 밀봉 가스킷(13b)은 사전 저장 튜브(12a)의 상단부의 단면(즉, 단부 개방부(122)를 구비한 사전 저장 튜브(12a)이 일단부의 단면)에 부착되어 그 단면에 맞대어 가압되며, 저장 챔버(21)는 서로 격리되는 제1 챔버(211)와 제2 챔버(212)로 구획된다. 도 1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지지체(14)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모두 닫혀있고, 제1 챔버(211)와 제2 챔버(212) 간의 연통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지체(14)와 수집 캐비티(1112)의 내벽 사이의 연결부에 유출 포트를 설치함으로써, 수집부재(1)가 타액을 수집하기 위해 저장부재(2)에 결합될 때에 타액이 수집 포트(111)와 유출 포트를 거쳐 제2 챔버(212)의 바깥쪽의 제1 챔버(211)로 유동될 수 있다. 확실하게는, 대안적인 실시형태로서, 지지체(14)는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 도관(112)의 구조물을 채용할 수 있다. 즉, 지지체(14)는 상단부가 개방되고 하단부가 둘러싸여져 있으며 측벽에 개방추(1121)가 구비되어 있는 중공의 튜브 구조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제1 챔버(211)와 수집 포트(111)와의 연통이 실현된다.
또한, 도 10-1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와 제1, 제2 실시형태와의 차이는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저장부재(2) 상의 나사산이 더 이상 외부 나사산을 채용하지 않고 내부 나사산을 채용하고 있다는 점에 있다. 즉, 나사산을 저장 챔버(21)의 내벽의 상부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수집 캐비티(1112) 상의 나사산은 더 이상 내부 나사산을 채용하지 않고 수집 캐비티(1112)의 외벽에 형성된 외부 나사산을 채용하고 있다. 수집부재(1)와 저장부재(2)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실현하기 위해 수집부재(1)와 저장부재(2)를 연결하는데 나사산 연결 방식이 사용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가 수집부재(1)와 저장부재(2)를 결합 및 결합해제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뿐만 아니라, 밀봉 가스킷(13b)이 단부 개방부(122)를 더 긴밀히 덮는 것도 용이하게 하여, 단부 개방부(122)의 더 기밀한 밀봉이 실현된다.
제3 실시형태의 체액 수집기에 기반하여 타액을 수집하는 경우는, 이하의 3단계에 따라 진행할 수 있다:
(1) 타액이 유출 포트를 거쳐 저장부재(2)의 제1 챔버(211)로 유동되도록 저장부재(2)에 나사결합된 수집부재(1)의 깔때기(111)에 타액을 뱉는다. 이 때에, 수집부재의 하단부에 있는 밀봉 가스킷(13b)이 저장 챔버(2) 내의 사전 저장 튜브(12a)의 상단부의 단면에 부착되어 그 단면에 맞대어 가압되므로, 보존액으로 내부에 밀봉된 제1 챔버(211)와 제2 챔버(212)는 서로 격리된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타액과 보존액은 혼합되지 않고 서로 격리된다.
(2) 타액의 수집량이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면, 저장부재(2)로부터 깔때기(111)가 나사결합 해제되어, 수집부재(1)는 저장부재(2)로부터 분리된다. 밀봉 가스킷(13b)이 사전 저장 튜브(12a)의 상단부의 단면으로부터 결합해제되므로, 제2 챔버(212)와 그 바깥쪽의 제1 챔버(211)는 서로 연통된다.
(3) 저장부재(2)의 하단부로부터 폐쇄부(3)를 제거하고 이를 저장부재(2)의 상부 부분에 단단히 조임으로써, 폐쇄부(3)는 저장부재(2)의 상부 개방부를 밀봉하고, 이어서 저장부재(2)는 반전된다. 저장부재(2)가 반전된 후에, 제2 챔버(212)가 단계(2)에서 그 바깥쪽의 제1 챔버(211)와 연통되었기 때문에, 사전 저장 튜브(12a) 내에 저장된 보존액은 단부 개방부(122)로부터 유출되어 수집된 타액과 혼합된다.
타액을 제3 실시형태의 체액 수집기에 의해 수집하는 경우, "타액 뱉음", "깔때기(111)의 나사결합 해제" 및 "폐쇄부(3)의 나사결합" 과 같은 단계로 조작을 실시하는 것만이 필요하므로, 단계 수가 적고 조작이 보다 간단하며, 구현이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제1,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보존액을 타액과 더 균일하게 혼합하기 위해서는, 단계(3) 이후에 단계(4), 즉 저장부재(2)의 상부 부분에 폐쇄부(3)가 밀봉된 상태에서 저장부재(2)를 뒤집어 흔드는 단계를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상기한 3가지 실시형태에 기반하여, 이들 실시형태 모두는 타액을 직접 수집하기 위해 깔때기(111)의 수집 포트(1111)를 사용한다는 것, 즉 타액의 수집을 완료하기 위해 수집대상자가 깔때기(111) 안으로 자발적으로 침을 뱉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타액 수집 방법은 성인에게 적합하며, 예정된 타액 수집량이 많은 상황인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그러나, 타액을 깔때기(111) 안으로 뱉는 일을 자발적으로 완료하는 것이 쉽지 않거나 그 일을 잘 완료하는 것이 쉽지 않은 고령자 또는 어린이 등의 수집대상자의 경우, 혹은 예정된 수집량이 적은 상황의 경우는, 다른 타액 수집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
따라서, 본 개시는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실시형태를 제공한다. 제4 실시형태는 저장 챔버(21)를 제1 챔버(211)와 제2 챔버(212)로 구획하는 상기한 3가지 실시형태의 어떠한 방식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고령자 또는 어린이 등의 수집대상자에게 더 적합되거나 소량의 시료의 수집 요구에 더 적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4 실시형태는 수집대상자가 뱉은 타액을 수집하기 위한 깔때기(111)를 더 이상 직접 이용하지 않고, 수집대상지의 입 안으로 밀어넣어 타액에 적시기 위한 면봉(4)과 같은 시료채취부재를 이용하여, 타액의 수집을 달성한다. 이러한 상황하에,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면봉(4)과 같은 시료채취부재에 적신 타액을 저장부재(2)로 원활하게 유동시켜 수집량을 측정하고 보존액과 혼합시키기 위하여, 체액 수집기는 또한 수집부재(1) 상에 설치된 액체압착탱크(liquid squeezing tank)(1113)를 포함한다. 액체압착탱크(1113)는 타액에 적신 시료채취부재를 압착하여 압착한 타액을 제1 챔버(211)로 안내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제4 실시형태의 액체압착탱크(1113)는 수집 캐비티(1112)의 내벽에 연결되고, 그 양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상부 개방부는 코튼 팁(cotton tip)이 구비된 면봉(4)의 일단부에 적합하게 되어 있으므로, 코튼 팁이 구비된 면봉(4)의 일단부는 액체압착탱크(1113) 안으로 내밀수 있다. 이러한 기반하에, 수집 중에, 코튼 팁이 구비된 면봉(4)의 일단부는 수집대상자의 뺨(cheek) 안쪽으로 내밀어, 뺨 안쪽과 잇몸뿌리를 왕복으로 닦아냄으로써, 적당량의 타액이 면봉(4)의 코튼 팁에 적셔진다. 이어서, 입 안으로부터 면봉(4)을 제거하고 이를 액체압착탱크(1113) 내에 삽입하고, 액체압착탱크(1113)의 내벽에 코튼 팁을 압착시켜, 타액을 짜낸다. 또한, 타액은 액체압착탱크(1113)의 내벽을 따라 제1 챔버(211) 안으로 하향 유동되어, 타액을 효과적으로 수집하는 것이 실현된다.
상기한 4가지 실시형태에 기반하여, 본 개시의 체액 수집기는 수집부재(1)의 하단부와 저장부재(2) 사이의 끼워맞춤을 이용하여, 수집량이 조작 단계수가 적고 수집 효율이 높을뿐만 아니라 과정이 간단하고 가공 난이도가 낮은 부품의 수가 적은 요구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체액 수집 영역(즉, 제1 챔버(211))과 보존제 저장 영역(제2 챔버(212))이 격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자동 생산을 실현하고 대규모 산업의 대량생산하에서도 제조비용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가능성이 더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신뢰성이 높은 조작에 의해, 사용자의 환경을 효과작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4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저장부재(2), 사전 저장 튜브(12a), 도관(112)이 모두 원형 튜브 구조이더라도, 당해 분야의 숙련자이라면, 사실상 이들이 사각형 튜브(square tube) 구조 또는 다른 단면 형상의 튜브 구조일 수도 있고, 심지어 성형된 튜브(profiled tube)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들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범위 내에 속한다. 또한, 상술한 4가지 실시형태에서 사용된 원형 튜브 구조는 가공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본 개시의 체액 수집기에 기반하여, 또한 본 개시는 체액 수집 방법을 제공한다. 체액 수집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체액이 제2 챔버(212)로부터 격리되어 있는 제1 챔버(211)로 유동되도록, 저장부재(2)에 결합된 수집부재(1)에 의해 체액을 수집하는 단계; 및
제1 챔버(211)가 제2 챔버(212)와 연통되어 체액과 보존액이 혼합되도록, 체액의 수집량이 요구조건을 만족하면 수집부재(1)와 저장부재(2)를 분리하는 단계.
체액 수집 방법은 저장 챔버(21)의 상부 개방부가 폐쇄부(3)로 밀봉된 후에, 체액과 보존제가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저장부재(2)를 흔드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대표적인 것으로만 대상으로 한 것이지만, 본 개시를 한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정신과 원리 범위 내에 어떠한 수정, 균등물 교체, 개량 등도 모두 본 개시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18)

  1. 수집부재(collection member)(1) 및 저장부재(storage member)(2)를 포함하는 체액 수집기로서,
    수집부재(1)의 상단부는 검출 대상의 체액을 수집하기 위해 개방되어 있고, 저장부재(2)는 수집된 체액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챔버(storage chamber)(21)를 갖고;
    수집부재(1)와 저장부재(2)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수집부재(1)가 저장부재(2)와 결합될 때에, 수집부재(1)의 하단부가 저장 챔버(21) 내에 삽입되어 그 저장부재(2)와의 끼워맞춤에 의해 저장 챔버(21)를 제1 챔버(211)와 제2 챔버(212)로 분할하고, 제1 챔버(211)는 수집된 체액을 수용하기 위해 수집부재(1)의 상단부와 연통되며, 제2 챔버(212)는 체액을 보존하기 위한 보존제(preservative product)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보존제로부터 체액을 격리하기 위해 제1 챔버(211)로부터 밀봉식으로 격리되고; 그리고
    수집부재(1)가 저장부재(2)로부터 분리될 때에, 수집부재(1)의 하단부는 저장부재(2)와의 끼워맞춤으로부터 해제되고, 제1 챔버(211)와 제2 챔버(212)는 체액과 보존제를 혼합하기 위해 서로 연통되며;
    제2 챔버(212)는 저장 챔버(21)의 단면(斷面)에 평행한 방향으로 제1 챔버(211) 내부에 위치되는 체액 수집기.
  2. 청구항 1에있어서,
    저장 챔버(21)는 수집부재(1)의 하단부와 저장부재(2) 중의 하나를 수집부재(1)의 하단부와 저장부재(2) 중의 다른 하나로 덮음으로써 제1 챔버(211)와 제2 챔버(212)로 분할되는 체액 수집기.
  3. 청구항 1 또는 2에있어서,
    수집부재(1)의 하단부와 저장부재(2) 중의 하나는 사전 저장 구조물(pre-storage structure)(12)을 구비하고 있고, 수집부재(1)의 하단부와 저장부재(2) 중의 다른 하나는 밀봉 구조물(sealing structure)(13)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전 저장 구조물(12)은 보존제를 사전 저장하기 위한 사전 저장 캐비티(pre-storage s cavity)(121) 및 사전 저장 캐비티(121)의 단부(端部)에 위치되어 보존제를 사전 저장 캐비티(121)에 수용하기 위한 단부 개방부(end opening)(122)를 포함하고;
    수집부재(1)가 저장부재(2)와 결합될 때에, 밀봉 구조물(13)은 사전 저장 구조물(12)과 협력하여 단부 개방부(122)를 밀봉하고, 이에 의해 제1 챔버(211)는 사전 저장 캐비티(121)의 측방향 외벽과 저장 챔버(21)의 측방향 내벽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제2 챔버(212)가 사전 저장 구조물(12)과 밀봉 구조물(13)에 의해 형성되는 체액 수집기.
  4. 청구항 3에있어서,
    밀봉 구조물(13)은 단부 개방부(122)를 밀봉하기 위해 단부 개방부(122)가 구비된 사전 저장 구조물(12)의 일단부를 덮는 체액 수집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밀봉 구조물(13)은 단부 개방부(122)가 구비된 사전 저장 구조물(12)의 일단부의 단면(端面)과 접촉함으로써 단부 개방부(122)가 구비된 사전 저장 구조물(12)의 일단부를 덮거나; 또는
    밀봉 구조물(13)은 사전 저장 캐비티(121)의 측방향 외벽과 접촉함으로써 단부 개방부(122)가 구비된 사전 저장 구조물(12)의 일단부를 덮거나; 또는
    밀봉 구조물(13)은 단부 개방부(122)가 구비된 사전 저장 구조물(12)의 일단부의 단면 및 사전 저장 캐비티(121)의 측방향 외벽과 접촉함으로써 단부 개방부(122)가 구비된 사전 저장 구조물(12)의 일단부를 덮는 체액 수집기.
  6. 청구항 5에있어서,
    밀봉 구조물(13)은 사전 저장 캐비티(121)의 측방향 외벽에 나사산 방식(threadedly)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스냅-끼워맞춤 방식(snap-fittedly)으로 연결되는 체액 수집기.
  7. 청구항 5에있어서,
    밀봉 구조물(13)은 가변 단면(variable cross-section)을 가지는 요홈부(13a)을 포함하고, 요홈부(13a)의 가변 단면을 가지는 측벽은 단부 개방부(122)를 덮기 위하여 단부 개방부(122)가 구비된 사전 저장 구조물(12)의 일단부의 단면(端面)에 접하며; 또는 밀봉 구조물(13)은 단부 개방부(122)를 덮기 위하여 단부 개방부(122)가 구비된 사전 저장 구조물(12)의 일단부의 단면(端面)에 부착되어 그 단면에 맞대어 가압되는 가스킷(13b)을 포함하는 체액 수집기.
  8. 청구항 7에있어서,
    사전 저장 구조물(12)은 수집부재(1)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단부 개방부(122)는 사전 저장 캐비티(121)의 하단부에 배치되며, 사전 저장 캐비티(121)의 상단부는 둘러싸여 있고; 밀봉 구조물(13)은 저장 챔버(21)의 하부에 형성된 요홈부(13a)를 포함하고, 요홈부(13a)는 상부에서 하부까지 점차 감소되는 단면적을 가지며; 수집부재(1)가 저장부재(2)와 결합될 때, 사전 저장 구조물(12)의 하부 단면이 단부 개방부(122)를 밀봉하도록 요홈부(13a)의 측벽에 맞대어 접하는 체액 수집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사전 저장 챔버(121)는 보존제를 고체 상태로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수집부재(1)가 저장부재(2)로부터 분리될 때, 고체 상태의 보존제는 사전 저장 캐비티(121)로부터 분리되어 중력의 작용 하에 요홈부(13a)에 잔류되는 체액 수집기.
  10. 청구항 7에있어서,
    사전 저장 구조물(12)은 저장부재(2) 상에 배치되어 저장 챔버(21)에 위치되고, 단부 개방부(122)는 사전 저장 캐비티(121)의 상단부에 위치되고; 밀봉 구조물(13)은 수집부재(1)의 하단부에 설치된 밀봉 가스킷(13b)을 포함하고; 수집부재(1)가 저장부재(2)와 결합될 때 밀봉 가스킷(13b)은 단부 개방부(122)를 둘러싸도록 사전 저장 구조물(12)의 상부 단면에 부착되어 그 단면에 맞대어 가압되는 체액 수집기.
  11. 청구항 3에있어서,
    사전 저장 구조물(12)은 사전 저장 튜브(12a)를 포함하고, 사전 저장 캐비티(121)는 사전 저장 튜브(12a)의 캐비티이고; 또는 사전 저장 구조물(12)은 홈을 가지는 사전 저장 블록(12b)을 포함하고, 사전 저장 캐비티(121)는 홈의 캐비티인 체액 수집기.
  12. 청구항 1에있어서,
    수집부재(1)는 수집부재(1)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연결되는 도관(112)을 포함하고, 도관(112)의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수집부재(1)의 상단부와 연통되고, 도관(112)의 하단부는 둘러싸여 있고, 도관(112)의 측벽은 개방부(1121)를 구비하며; 도관(112)은, 수집부재(1)가 저장부재(2)와 결합될 때 수집된 체액이 개방부(1121)를 통해 제1 챔버(211)로 흐르도록, 저장 챔버(21) 안으로 돌출되는 체액 수집기.
  13. 청구항 1에있어서,
    수집부재(1)는 시료채취부재(sampling member)를 체액으로 압착하고 압착된 체액을 제1 챔버(211)로 배출하는 액체압착탱크(liquid squeezing tank)(1113)를 구비하고 있는 체액 수집기.
  14. 청구항 1에있어서,
    체액 수집기는 저장챔버(21)의 상부 개방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폐쇄부(blockage)(3)를 더 포함하고, 이에 의해 폐쇄부(3)는, 폐쇄부(3)가 저장 챔버(21)의 상부 개방부에 끼워 맞춰질 때 저장 챔버(21)의 상부 개방부를 밀봉하는 체액 수집기.
  15. 청구항 1 또는 2에 따른 체액 수집기에 근거한 체액 수집 방법으로서, 이하의 단계를 순서대로 포함하는 체액 수집 방법.
    저장부재(2)와 결합된 수집부재(1)로 체액을 수집함으로써, 체액이 제2 챔버(212)로부터 격리된 제1 챔버(211)로 유동되는 단계; 및
    체액의 수집량이 요구조건을 만족하면 수집부재(1)와 저장부재(2)를 분리함으로써, 제1 챔버(211)가 제2 챔버(212)와 연통되어 체액을 보존제와 혼합하는 단계.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97009967A 2016-11-30 2016-12-27 체액 수집기 및 체액 수집 방법 KR102253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1074757.0A CN108113712B (zh) 2016-11-30 体液收集器和体液收集方法
CN201611074757.0 2016-11-30
PCT/CN2016/112278 WO2018098876A1 (zh) 2016-11-30 2016-12-27 体液收集器和体液收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975A KR20190046975A (ko) 2019-05-07
KR102253491B1 true KR102253491B1 (ko) 2021-05-17

Family

ID=62226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967A KR102253491B1 (ko) 2016-11-30 2016-12-27 체액 수집기 및 체액 수집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200966A1 (ko)
EP (1) EP3549530A4 (ko)
JP (1) JP6865275B2 (ko)
KR (1) KR102253491B1 (ko)
WO (1) WO20180988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9422B2 (en) * 2017-05-30 2020-10-13 Spectrum Solutions L.L.C. Sample collection kit including removable stopper
KR102214776B1 (ko) * 2018-08-10 2021-02-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타액 수집 장치
CA3120708A1 (en) 2018-11-20 2020-05-28 Spectrum Solutions, Llc Sample collection system including sealing cap and valve
USD891633S1 (en) * 2019-04-09 2020-07-28 Cell Projects Limited Sampling device
US11701094B2 (en) 2019-06-20 2023-07-18 Spectrum Solutions L.L.C. Sample collection system including valve and plug assemblies
WO2020262991A1 (ko) * 2019-06-25 2020-12-30 (주) 메디젠휴먼케어 액체 생검용 수집장치
WO2021119323A1 (en) * 2019-12-12 2021-06-17 Viome, Inc. Sample collection device with reagent
US20220000391A1 (en) * 2020-07-01 2022-01-06 iRepertoire, Inc. Methods and devices for collection of exhaled aerosols
JP6840282B1 (ja) * 2020-10-02 2021-03-10 大成建設株式会社 唾液採取器具および唾液採取方法
KR200496916Y1 (ko) * 2020-10-19 2023-06-01 임동선 타액 수집 키트
WO2022115804A1 (en) * 2020-11-30 2022-06-02 Conduit, Inc. Nanosplash: a saliva-based diagnostic for viral infection suitable for home use
USD1010851S1 (en) * 2020-12-23 2024-01-09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Saliva collection device
KR102526467B1 (ko) * 2021-02-16 2023-04-28 에이치엘비생명과학(주) 타액 수집용 키트 및 그에 사용되는 타액 수집 어댑터
CN117561029A (zh) * 2021-05-14 2024-02-13 北京大学 用于处理和保存流体生物样本的容器、与该容器相关的设备和试剂盒
EP4230149A1 (en) * 2022-02-18 2023-08-23 MolGen B.V. Device for collecting a sample, a kit comprising such device and a method using such device or ki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29517A1 (en) 2004-08-03 2006-02-09 Hartselle R L Specimen collection, storage, transportation and assaying device
CN201188066Y (zh) 2008-02-03 2009-01-28 上海邃志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能储存试剂的唾液采集装置
CN204479337U (zh) 2015-02-03 2015-07-15 上海慧晨生物医学科技有限公司 唾液dna样本收集器
CN204813975U (zh) 2015-07-13 2015-12-02 上海慧晨生物医学科技有限公司 收集保存体液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1379A (en) * 1984-08-09 1988-08-0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Biological specimen collection device
JPH06273418A (ja) * 1993-03-22 1994-09-30 Tokuyama Soda Co Ltd 保存安定剤
US6133036A (en) * 1995-12-12 2000-10-1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Preservation of liquid biological samples
JP2001116739A (ja) * 1999-08-06 2001-04-27 Sekisui Chem Co Ltd 検査用器具
US7794656B2 (en) * 2006-01-23 2010-09-14 Quidel Corporation Device for handling and analysis of a biological sample
US8617487B2 (en) * 2009-03-25 2013-12-31 Venture Lending & Leasing Vi, Inc. Saliva sample collection systems
JP5906785B2 (ja) * 2012-02-15 2016-04-20 Dicプラスチック株式会社 検体抽出容器
US9138747B2 (en) * 2012-03-26 2015-09-22 Alpha Tec Systems, Inc. Specimen collection apparatus
CN104921760B (zh) * 2015-07-13 2017-09-12 上海慧晨生物医学科技有限公司 收集保存体液的装置及使用方法
CN205795727U (zh) * 2016-05-18 2016-12-14 天昊健康管理咨询(上海)有限公司 唾液采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29517A1 (en) 2004-08-03 2006-02-09 Hartselle R L Specimen collection, storage, transportation and assaying device
CN201188066Y (zh) 2008-02-03 2009-01-28 上海邃志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能储存试剂的唾液采集装置
CN204479337U (zh) 2015-02-03 2015-07-15 上海慧晨生物医学科技有限公司 唾液dna样本收集器
CN204813975U (zh) 2015-07-13 2015-12-02 上海慧晨生物医学科技有限公司 收集保存体液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49530A1 (en) 2019-10-09
EP3549530A4 (en) 2019-11-27
KR20190046975A (ko) 2019-05-07
CN108113712A (zh) 2018-06-05
US20190200966A1 (en) 2019-07-04
WO2018098876A1 (zh) 2018-06-07
JP6865275B2 (ja) 2021-04-28
JP2019529933A (ja)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3491B1 (ko) 체액 수집기 및 체액 수집 방법
CN203988076U (zh) 生物流体取样装置和生物流体取样及收集组件
JP5199398B2 (ja) 毛管作用採集装置および容器アセンブリ
US8511149B2 (en) Detection device for fluid sample
US6464939B1 (en) Saliva testing and confirmation device
CN106457242B (zh) 清洁地转移流体的流体转移装置和过程
CN106053148B (zh) 一种便捷式一次性密闭体液留置器
KR20180083442A (ko) 시료를 수집 및 주입하기 위한 장치
CN108795729B (zh) 一种生物芯片及其微量液体进样结构
JPWO2006132041A1 (ja) 検体採取液容器
JP2015531860A5 (ko)
FR2488993A1 (fr) Fiole de marquage de globules rouges
KR101929203B1 (ko) 내부마개를 갖는 수액배출장치가 구비된 수액용기 복합체
JP7202298B2 (ja) 携帯用アプリケータ
JP2010202237A (ja) 二剤混合容器
CN108113712B (zh) 体液收集器和体液收集方法
SE512416C2 (sv) Sätt för uppsamling av små vätskeprovmängder, samt provbehållare för upptagning av små vätskemängder
CN108265001A (zh) 收集器
KR101862991B1 (ko) 2차 감염 방지가 가능한 밀폐형 래피드 진단키트
CN212213771U (zh) 一种唾液样本采集保存装置
CN114025878A (zh) 用于封闭用来容纳液体的试样小管的封闭盖
JP6344794B2 (ja) 検体検査用具
CN112206007A (zh) 一种唾液样本采集保存装置、装配方法及采集方法
CN217424790U (zh) 粪便采样杆、粪便采样及收集装置、粪便采样及处理设备
JP7355757B2 (ja) 生物学的流体採取装置のための通気プラグ付き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