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203B1 - 내부마개를 갖는 수액배출장치가 구비된 수액용기 복합체 - Google Patents

내부마개를 갖는 수액배출장치가 구비된 수액용기 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203B1
KR101929203B1 KR1020180067659A KR20180067659A KR101929203B1 KR 101929203 B1 KR101929203 B1 KR 101929203B1 KR 1020180067659 A KR1020180067659 A KR 1020180067659A KR 20180067659 A KR20180067659 A KR 20180067659A KR 101929203 B1 KR101929203 B1 KR 101929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iquid
tube
auxiliary
wa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관
박준성
박준수
우선옥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북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북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67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203B1/ko
Priority to PCT/KR2019/003758 priority patent/WO201924035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48Connecting means
    • A61J1/2051Connecting means having tap means, e.g. tap means activated by sli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48Connecting means
    • A61J1/2058Connecting means having multiple connecting ports
    • A61J1/2062Connecting means having multiple connecting ports with directional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68Venting means
    • A61J1/2072Venting means for internal ve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79Filtering means
    • A61J1/2082Filtering means for gas filt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마개를 갖는 수액배출장치가 구비된 수액용기 복합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액용기에 설치된 수액배출장치의 수액배출관 중 수액용기 내부에 위치하는 단부에는 내부마개를 탈착가능하게 설치하고, 수액용기 외부의 위치하는 단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된 삼방밸브 또는 드립챔버가 장착되도록 하되, 삼방밸브 또는 드립챔버의 돌출부가 내부마개를 밀어서 수액용기 내측으로 탈거되게 함으로써 수액공급라인을 개방시켜 수액공급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특히 수액용기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과정에서 기존의 바늘결합방식이 아닌 내부마개를 밀어내어 개방되게 하는 방식을 적용시킴으로써 바늘결합방식에서 발생되는 고무찌꺼기인 고무가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해 2차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내부마개를 갖는 수액배출장치가 구비된 수액용기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부마개를 갖는 수액배출장치가 구비된 수액용기 복합체{INFUSIONS SOLUTION CONTAINER COMPLEX WITH EXHAUST DEVICE HAVING INNER PLUG}
본 발명은 내부마개를 갖는 수액배출장치가 구비된 수액용기 복합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액용기에 설치된 수액배출장치의 수액배출관 중 수액용기 내부에 위치하는 단부에는 내부마개를 탈착가능하게 설치하고, 수액용기 외부에 위치하는 단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된 삼방밸브 또는 드립챔버가 장착되도록 하되, 삼방밸브 또는 드립챔버의 돌출부가 내부마개를 밀어서 수액용기 내측으로 탈거되게 함으로써 수액공급라인을 개방시켜 수액공급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특히 수액용기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과정에서 기존의 바늘결합방식이 아닌 내부마개를 밀어내어 개방되게 하는 방식을 적용시킴으로써 바늘결합방식에서 발생되는 고무찌꺼기인 고무가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해 2차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내부마개를 갖는 수액배출장치가 구비된 수액용기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액은 비경구적으로 수분과 전해질의 혼합물, 탄수화물, 아미노산액, 포도당액, 플라스마네트, 텍스트란, 적혈구 부유액 등과 같은 인공용액을 정맥 내에 공급하거나, 일정한 조직에 주사하는 치료법 또는 그 인공용액을 말한다.
또한, 수액공급은 수액이 담긴 용기에 수액세트를 장착하여 저장된 수액을 일정량씩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수액이 담겨진 용기(수액병 또는 수액팩)에는 고무마개가 포함된 수액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액배출부에 수액세트를 장착하여 용기에 저장된 수액을 공급한다. 상기 수액세트는 수액용기의 수액배출부 고무마개에 결합되어 수액을 배출시키는 수액인출기기와, 상기 수액인출기기와 수액튜브로 연결되어 수액을 인체에 투입하게 되는 수액 주입기기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액인출기기는 드립챔버(drip chamber)를 포함하고; 수액주입기기는 주사 바늘이 고정되는 니들허브와, 니들허브와 연결되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주사 바늘을 환자의 정맥에 삽입하고 주사바늘이 고정 결합된 니들허브를 연결관에 고정시켜 용기 내의 수액을 환자에게 투입하게 된다. 또한, 수액주입라인의 하방에는 삼방밸브를 설치하여 다른 약액을 혼합하여 주입하거나 유로를 따라 흐르는 유체를 채취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수액용기를 위생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외부와 밀폐된 구조로 제공되어야 하며, 대부분 별도의 수액배출관체를 수액용기 하부에 형성하고, 외부로 노출된 수액배출관의 단부에 고무판설치하여 수액용기를 밀폐시킨다. 이와같은 수액용기는 사용시 수액세트를 수액배출관에 결합하여 사용하는데 결합방식으로는 대부분 바늘 또는 스파이크로 고무판을 관통시켜 수액 배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그러나 상기 방식은 외부에 노출된 바늘 또는 스파이크를 이용하여 고무마개를 관통시키므로, 고무마개를 관통하는 과정에서 마개에서 분리된 고무찌꺼기 특히 미세한 크기의 고무가루가 수액과 함께 혈관으로 유입되어 2차질환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62821호(2014.02.07. 등록; 이하 '선행문헌1'이라 함)는 스파이크 삽입홀이 형성된 마개를 갖는 수액 용기를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1은 수액용기의 입구를 합성수지제 마개로 밀봉하였고, 마개에는 스파이크 삽입홀 및 고무플러그가 장착되는 고무플러그 장착홀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멤브레인 막을 부착시켜 밀봉이 이루어지게 하며, 사용시 막을 분리시키고 수액세트의 스파이크를 마개의 스파이크 삽입홀에 끼워넣어 사용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선행문헌1은 합성수지제로 마개를 형성하고 미리 관통홀이 형성되나, 밀폐를 위해서 일부구간만 홀이 형성된 형태이므로 최종적으로는 스파이크 또는 바늘에 의해 마개 일부 구간을 관통시켜야 하므로 여전히 고무가루가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한 2차질환 문제가 내재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1994-190055호(1994.07.12.공개; 이하 '선행문헌2'이라 함)은 수액 일련 투여 세트를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2는 단독 혹은 여러종류의 약제를 혼합한 약제를 격납하는 수액 용기와 일단에 주사바늘을 마련한 수액 튜브를 편성해서 이루어지는 수액 일련 투여 세트로서, 상기 수액 용기에 마련되어 상기 수액 튜브 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와 상기 수액 튜브의 타단에 마련되어 상기 돌기부를 덮는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돌기부는 파단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접속부는 가요성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돌기부를 파단했을 경우에 상기 수액 용기에서 상기 약제를 상기 수액 튜브에 공급하게 한 것이다. 이와같은 선행문헌2는 주사바늘이나 스파이크로 고무판을 관통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관통 과정에서의 고무가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돌기부를 파손시키므로 파손과정에서 고무가루가 발생될 수 있어 여전히 2차질환 문제가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수액용기의 밀폐성을 유지하면서도 고무가루에 의한 2차질환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수액배출구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62821호(2014.02.07. 등록) : 스파이크 삽입홀이 형성된 마개를 갖는 수액 용기 일본공개특허 1994-190055호(1994.07.12.공개) : 수액 일련 투여 세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액용기 복합체는,
수액용기에 설치되어 수액을 배출시키는 수액배출장치의 수액배출관 중 수액용기 내부에 위치하는 단부에는 내부마개를 장착하여 수액배출관 폐구시키고, 외부로 노출되는 단부에는 결합부를 형성하여 삼방밸브나 드립챔버가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삼방밸브나 드립챔버는 삽입되는 단부측으로 축방향으로 길게 연장시킨 밀대관을 구비하여 삼방밸브나 드립챔버를 수액배출관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밀대관이 수액배출관을 통해 내부마개를 밀어서 탈거시켜 수액용기의 배출유로를 개방하게 하는 등 고무판의 관통이나 파손과정없이 배출유로를 개방시켜 고무가루에 의한 2차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위생적인 수액용기 복합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액배출장치가 구비된 수액용기 복합체는,
수액을 저장하는 수액용기와; 상기 수액용기에 저장된 수액을 배출시켜 공급하는 수액배출장치로 구성된 수액용기 복합체에 있어서, 상기 수액배출장치는, 수액용기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배출유로가 형성되고, 외부로 표출된 배출측 단부측에는 배출관결합부가 형성된 수액배출관과; 상기 수액배출관의 양 단부 중 수액용기 내부에 위치하는 단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배출유로를 폐구시키는 내부마개와; 상하로 개구된 수직유로를 갖고 전단이 수액배출관에 결합되는 유입측 및 배출측 수직관과, 상기 수직관에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분관된 수평유로를 갖는 수평관과, 유로의 개폐방향으로 단속하는 조작부로 구성되는 삼방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삼방밸브는, 수액배출관과 결합되는 수직관의 유입측 단부를 축방향으로 길게 연장하고 연장된 내부에 수직유로가 형성된 밀대관을 더 형성하고; 상기 밀대관의 측면에는 수액배출관에 결합되는 밀대결합부가 형성되어, 삼방밸브를 수액배출관에 결합시 밀대관이 수액배출관 내부 배출유로를 통해 내부마개를 가압 및 탈거시켜 배출유로가 개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밀대관은 삼방밸브의 수직관과 탈착가능하도록 분리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대관의 밀대결합부는, 외면에서 확장된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에서 전단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면에 나선 또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결합관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삼방밸브에는, 측면으로 공기유입관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관과 밀대관의 전방단부를 연결하여 외부의 공기를 수액용기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로 상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삼방밸브 수직관의 배출측 단부에는 드립챔버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삼방밸브의 수평관에는 수평유로에 필터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수액배출관에는, 배출측단부의 내측에는 설치 또는 일체로 형성되고 축을 중심으로 하는 절단라인을 다수 형성되어 밀폐성을 제공하는 고무판과; 상기 고무판을 삽통하여 설치되고, 내부에 보조유로가 형성되며, 후방단부에는 삼방밸브의 밀대결합부와 결합되는 보조결합부가 형성된 보조관과; 상기 보조관의 보조결합부에 임시적으로 장착되는 보조관마개와; 상기 수액배출관의 배출관결합부에 결합되어 수액배출관의 길이를 연장시켜 외부로 표출된 보조관을 내포하게 하는 연장관과; 상기 연장관의 단부에 탈착가능하게 임시 장착되는 연장관마개;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수액배출장치가 구비된 수액용기 복합체는,
수액용기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마개에 의해 수액배출관을 폐구시키고, 상기 수액배출관에는 밀대관이 형성된 삼방밸브나 드립챔버를 장착하여 장착과정에서 밀대관이 수액배출관으로 내입되어 내부마개를 밀어서 배출유로를 개방시키는 등 배출유로 개방과정에서 고무가루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시켜 고무가루의 혈관을 유입에 의한 2차질환을 방지시킬 수 있는 유용한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용기 복합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또는 분리형 밀대관을 갖는 삼방밸브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유입관이 형성된 삼발밸브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대관과 삼발밸브와 드립챔버의 분해단면도.
도 5a와 도 5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무판이 구비된 수액배출관과 삼방밸브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b와 도 5c는 절단라인이 형성된 고무판과 보조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6a는 연장관이 결합된 수액배출관을 도시한 단면도.
도 6b와 도 6c는 연장관이 결합된 수액배출관과 삼방밸브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용기 복합체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수액배출관과 삼방밸브의 분리상태 및 장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액용기 복합체(1)는 수액을 저장하는 수액용기(2)와, 상기 저장된 수액을 배출시키는 수액배출장치(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액용기(2)는 팩형태 또는 병형태로 제공되어, 필요에 따라 다양한 용량으로 수액을 저장할 수 있고, 내부 공간을 다수개로 구획하여 각각 별개의 성분으로 저장한 다음 사용직전에 혼합하거나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액용기(2)의 저면에 설치되어 수액을 배출시키는 수액배출장치(3)는 수액배출관(10)과, 상기 수액배출관에 결합되는 내부마개(20) 및, 삼방밸브(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액배출관(10)은, 수액용기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키는 관체이다. 상기 수액배출관(10) 중 외부로 표출된 배출측인 하단측면에는 배출관결합부(12)가 형성되어 외부기기와 탈착되도록 한다. 상기 배출관결합부(12)는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나사결합되거나, 걸림돌기로 형성되어 회전에 의한 걸림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액배출관(10)의 일측단부에는 내부마개(2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내부마개(20)는 수액배출관의 양단부 중 수액용기(2) 내부에 위치하는 단부에 장착되어 배출유로(11)를 폐구시켜 수액의 오염을 방지한다. 이러한 내부마개(20)는 수액용기 내부로 일부 표출되는 일자 원통형막대, 일자 원통관 또는 넓은 면적의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 밀폐부로 구성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통형 막대와 일자 원통관은 다양한 각을 가질 수 있고, 일측 단부가 수액배출관의 상단인 유입측으로 삽입되어 수액배출관의 배출유로를 밀폐시킨다.
상기 내부마개(20)는 구성재질의 종류 또는 무게에 따라 수액에 부유하는 재질로 제조되어 수액배출관에서 탈거시 수액수위까지 부유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마개는 머리부는 평판형, 원형, 마개의 밀폐부 보다 약간 크거나 같게 형성하고 내부마개 전체를 유색으로 형성하거나, 야광재질로 만들어 수액수위까지 부유한 부표로 사용할 수 있고, 야간에도 수액 수위를 외부에서 쉽게 파악할 수 있어 교체시기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머리부를 평판형으로 형성하면 머리부가 수위부근에서 수위와 수평으로 기울여지기 때문에 수위판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액배출관(10)의 양 단부 중 외부로 표출되는 단부에는 삼방밸브(30)가 장착된다.
상기 삼방밸브(30)는 수직상으로 수직유로(311)가 형성된 유입측 및 배출측 수직관(31,32)과, 상기 수직관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분기되어 수평유로(331)가 형성된 수평관(33)과, 상기 수직관과 수평관의 분기지점에 설치되어 내부 밸브를 조작해 유로개폐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조작부(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삼방밸브(30)는 수액용기의 수액을 인체혈관으로 공급되도록 수액세트로 전달되게 하거나, 외부의 추가약물을 수액용기 내부로 유입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삼방밸브는 수직관(31,32)과 수평관(33)의 개구된 부분에 각각 별도의 마개를 장착하여 미사용시에는 마개로 내부유로를 폐구시키고, 사용시에만 마개를 분리하여 수액공급이나 약물내입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삼방밸브(30)는 도 2a를 참조한 바와같이 수액배출관(10)과 결합되는 유입측 수직관(31)의 단부를 축방향으로 길게 연장한 밀대관(34)이 더 형성된다.
상기 밀대관(34)은 삼방밸브의 수직관 중 수액배출관과 결합되는 유입측 수직관을 동축상으로 길게 연장하여 형성된 부분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 수직관의 길이 이상으로 연장된 부분을 밀대관으로 명명한 것으로, 넓은 의미에서는 밀대관이 유입측 수직관에 포함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밀대관(34)은 삼방밸브(3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도 2b와 같이 분리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서는 삼방밸브(30)가 수나사로 형성하고 밀대관(34)을 암나사로 형성하였으나, 밀대관을 수나사로 형성하고 삼방밸브를 암나사로 형성할 수 있으며, 나사결합방식 이외에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회전에 의해 걸림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대관(34)은 어느 일측면에 밀대결합부(341)가 형성된다. 상기 밀대결합부(341)는 수액배출관(10)의 배출관결합부(12)에 대응되도록 구성하여 결합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서 수액배출관(10)에는 외면에 수나사 또는 숫컷형 걸림돌기가 형성되므로, 밀대관(34)의 밀대결합부(341)에는 암나사 암컷형 걸림돌기가 형성된다. 따라서, 밀대관의 밀대결합부(341)에는 밀대관 외면으로 확장된 원판부(342)와, 상기 원판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내면에 나선 또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결합관부(343)로 구성되어 체결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밀대결합부(341)는 유니언너트가 밀대관에 일체로 결합된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밀대관(34)의 밀대결합부(341)부터 수액배출관으로 내입되는 단부까지 길이는, 밀대관의 밀대결합부(341)와 수액배출관의 배출관결합부(12)를 체결할 때 밀대관(34)의 단부가 수액배출관에 장착된 내부마개(20)를 밀어서 수액배출관의 배출유로(11)에서 탈거시킬 수 있는 길이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대관(34)의 단부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내부마개(20)를 밀어낸 다음 수액용기 내의 수액을 밀대관 단부의 통공을 통해 삼방밸브로 이동시켜 수액공급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형태의 밀대관(34)을 분리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경우에는 기존의 스파이크 외면에 밀대결합부가 형성된 형태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밀대결합부(341)가 수액배출관(10)에 결합되는 형태는 밀대결합부에 의해 수액배출관의 단부가 밀폐되기 때문에 수액배출관의 타측단부에서 내부마개(20)가 탈거되어도 수액용기에 저장된 수액이 수액배출관의 배출유로(11)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지 않고, 수액배출관으로 내입된 밀대관의 단부 통공으로 유입되어 밀대관 내부를 통해 삼방밸브의 유입측 수직관(31)으로 공급되고, 삼방밸브의 조작부(37) 조작에 의해 삼방밸브의 배출측 수직관(32)으로 배출되어 수액공급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용기 복합체에는 공기유입관(3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관(35)은 수액배출관(10) 또는 삼방밸브(30)에 형성되어 수액배출량과 비례하여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삼방밸브에 공기유입관이 형성된 형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참조한 바와같이 공기유입관(35)은 삼방밸브의 유입측 수직관(31) 측면부분에 형성되고, 공기유입관(35)에서 밀대관의 전방단부까지 연장된 공기유로(36)가 형성되어 외부 공기를 공기유입관(35)을 통해 유입한 다음 공기유로(36)를 따라 이동시키고, 최종적으로는 밀대관(34)을 통해 수액용기(2) 내부로 공급하여 수액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유로(36)상에는 필터(361)를 장착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여 이물질이 수액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공기유입관(35)은 유입측 수직관(31)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공기유로(36)가 형성된 공기유입관 본체(351)와, 상기 공기유입관 본체의 전단에 안치되는 필터(361)와, 상기 필터를 내포하고 공기가 유입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내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공기유입관 본체의 단부측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는 덮개관부(352)로 구성되어 필터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면서 정화된 공기를 수액용기로의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유로(36)는 수액을 배출시키는 수직유로(311)와는 별도의 공간을 통해 공기공급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한 개의 수직유로로 수액배출과 공기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동일한 유로를 통해 공기와 수액을 이동시키는 형태일 경우에는 유로직경을 크게 하지 않으면 수액용기 내부와 외부의 압력이 평형을 이뤄 공기가 유로상에서 멈추게 되어 수액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공기유입과 수액배출을 위한 유로를 별도로 공급하여 상기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유로(36)와 수액을 배출시키는 수직유로(311)는 밀대관(34) 내부에서 적절한 비율로 공간을 구획하여 제공되며, 도시된 바와같이 상단에는 공기유로와 수직유로가 연통된 통공이 양측으로 구분하여 형성시켜 공기배출과 수액유입이 서로 다른 통공을 통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관(33)에는 필터(332)를 설치하여 약물 주입시 필터에 의해 유리파편 등의 이물질이 필터링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수평관은 내부 수평유로상에 필터(332)가 고정설치되고, 수평관 단부의 내면 또는 외면에 숫컷형 또는 암컷형 결합부가 형성되어 마개나 다른 기기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4는 삼방밸브에 드립쳄버가 일체로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삼방밸브(30)의 하부 배출측 수직관(32)에 드립챔버(40)를 일체로 결합하여 삼방밸브의 조작부(37) 조작에 의해 수직유로(311)를 개방하면 수액이 배출측 수직관(32)을 통해 드립챔버(40)로 공급되어 수액이 안정적으로 연속공급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삼방밸브(30)와 드립챔버(40)는 제조 용이성을 고려하여 탈착가능하게 분리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삼방밸브의 배출측 수직관에는 도시된 바와같이 드립챔버로 일정길이 연장된 연장관(32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관(321)은 삼방밸브를 통과한 수액이 드립챔버로 점적 낙하되어 육안으로 수액공급량을 확인하여 조정여부를 판단하게 한다. 상기 연장관(321)은 별도의 관체를 장착하거나 삼방밸브의 하부 수직관 중 일부가 관형태로 돌출된 형태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립챔버(40)의 하단에는 결합부를 돌출시켜 수액세트 중 수액튜브를 장착하여 수액주입기기인 주사바늘과의 연결시켜 수액공급이 이루어지게 한다.
아울러 도 5a를 참조한 바와같이 수액배출관에 보조관을 장착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수액배출관(10)은 수액용기(2) 내부에 위치하는 단부에 내부마개(20)가 장착되어 배출유로(11)를 폐구하고, 외부측 단부에는 내측으로 고무판(50)이 설치되어 밀폐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배출유로를 폐구시키는 부재를 고무재질을 갖는 고무판으로 기재하였으나, 이외에 플라스틱을 포함하여 수밀성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사용될 수 있고, 수액배출관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무판(50)이 장착된 수액배출관(10)은 기존에 제공되는 수액배출관 형태이며, 본 발명에서는 기존 수액배출관에 보조관(60)을 미리 삽입하여 내부마개 탈거에 의한 배출유로 개방시 고무찌꺼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액배출관은 별도의 마개로 배출유로를 폐구시키고, 보조관이 마개를 관통하여 장착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b와 도 5c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보조관(60) 삽입시 고무판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고무판(50)의 축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절단라인(51)을 형성하여 파손없이 보조관(60) 내입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보조관(60)은 고무판에 삽통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삼방밸브의 밀대관(34)이 삽입되는 보조유로(63)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관(60)의 수액배출관 삽입깊이로는 수액배출관에 장착된 내부마개(20)와 접하지 않는 길이로 형성하고, 내부마개를 축방향으로 미는 것은 내입되는 밀대관(34)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관(60)은 외부로 표출되는 단부에 보조결합부(61)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결합부(61)는 장착되는 삼방밸브의 밀대결합부(341)와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다. 상기 삼방밸브(30)와 보조관(60)의 결합은 보조결합부(61)와 밀대결합부(341)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며, 결합되는 과정에서 삼방밸브의 밀대관(34)이 보조관(60)을 삽통하고, 보조관을 삽통한 밀대관의 단부는 수액배출관 단부에 장착된 내부마개(20)를 수용용기 내측으로 밀게 되며, 밀대관으로 밀린 내부마개(20)는 수액배출관(10)에서 탈거되어 수액용기 상부로 부유하게 된다.
이와같이 삼방밸브와 결합되는 보조관(60)은 삼방밸브와 결합되기 이전에는 내부로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임시적으로 보조관마개(62)를 장착하게 된다. 또한 미도시 되었지만 수액배출관은 삼방밸브와 결합되기 전에는 하단에 다양한 형태의 외부마개를 장착하여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조관은 장착된 외부마개에 의해 폐구된 수액배출관 내부에 안치된다.
또한, 도 5d를 참조한 바와같이, 밀대결합부(341)는 보조관(60)과 결합하지 않고, 수액배출관(10)의 배출관결합부(12)와 결합하여 내부를 밀폐시키면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수액배출관(10)에는 외부로 표출된 보조관(60)을 내포하도록 연장관(70)이 더 설치된다. 상기 연장관(70)은 수액배출관(10)을 축방향으로 더 연장시킨 것으로, 전단연장결합부(71)와 후단연장결합부(72)가 형성되고, 상기 전단연장결합부(71)는 수액배출관(10)의 배출관결합부(12)와 결합되고, 후단연장결합부(72)에는 연장관마개(73)가 임시 장착된다. 상기 연장관(70)은 도시된 바와같이 분리된 형태 이외에 수액배출관(10)과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분리형 연장관(70)은 기존에 사용되는 수액배출관(10)에 결합하여 수액배출관의 길이를 연장시키면서 내측으로 보조관 장착 및 밀대관이 형성된 삼방밸브의 장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관(70)에 형성된 전단연장결합부(71)와 후단연장결합부(72)는 결합대상에 따라 암컷형 또는 수컷형으로 선택적으로 가공되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삼방밸브(30)의 결합과정은, 도 6a와 도 6b를 참조한 바와같이 연장관마개(73)와 보조관마개(62)를 탈거하여 연장관(70)과 보조관(60)을 개방하고, 삼방밸브의 밀대관(34)을 보조관(60)으로 내입시키면서 삼방밸브(30)의 밀대결합부(341)를 보조관(60)의 보조결합부(61)에 결합한다. 이와같은 결합과정에서 삼방밸브(30)의 밀대관(34) 단부가 보조관(60)을 삽통하여 내부마개(20)를 밀게 되고, 내부마개(20)는 수액배출관(10)에서 탈거되어 수액용기(2) 내에서 부상되고, 수액배출관의 배출유로(11)는 개방되어 밀대관(34) 단부의 통공을 통해 수액을 유입시켜 수액공급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관마개는 단순개폐형 마개 이외에 마개몸체부는 연장관에 결합되고 마개의 단부 일부분만 개폐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연장관의 단부 개폐가 연장관과 연장관마개 사이를 탈착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면 탈착과정을 수회 반복시 마개분실 우려와 결합부위의 변형에 따라 밀폐성이 낮아질 수 있고 결합되는 기기의 형태도 한정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관마개를 마개몸체부와 상기 마개몸체부에 고리로 연결되어 탈착되는 개폐덮개부로 구성하여 연장관에 결합하면 마개의 개폐과정이 연장관의 결합부위에서 발생되지 않으므로 연장관 단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밀폐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장관과는 관계없이 연장관마개의 마개몸체부와 개폐덮개부 사이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경시켜 다양한 형태를 갖는 기기를 연결시킬 수 있어 범용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도 6c와 같이 상기 삼방밸브의 밀대결합부(341)는 직경을 확장시켜 보조관이 아닌 연장관(70)의 후단연장결합부(72)에 결합되는 형태로 제공하여 내부를 밀폐시키면서 수액공급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즉, 보조관(60)은 고무판(50)을 삽통하여 설치되고, 외부로 표출된 단부측에는 보조결합부(61)가 형성되어 보조관마개(62)가 임시 장착된다. 또한, 연장관(70)은 전단연장결합부(71)를 수액배출관의 배출관결합부(12)에 결합하고, 후단연장결합부(72)에는 연장관마개(73)가 임시 장착된다. 상기 고무판(50)은 고무재질 이외에 보조관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여 보조관과 일체로 구성되는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삼방밸브(30) 결합시, 연장관마개(73)와 보조관마개(62)를 분리하고, 삼방밸브의 밀대관(34)을 보조관(60)으로 삽입한 다음 밀대관(34) 측면에 형성된 밀대결합부(341)를 연장관(70)의 후단연장결합부(72)에 결합한다. 이 과정에서 밀대관(34)은 수액배출관에 장착된 내부마개(20)를 밀어서 분리시켜 수액배출관의 배출유로(11)를 개방시키고, 삼방밸브의 밀대관(34) 전단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수액을 유입하여 수액세트로의 수액공급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밀대관에 형성된 밀대결합부(341)의 크기에 의해 밀대결합부가 보조관(60)의 보조결합부(61)에 결합되거나, 연장관(70)의 후단연장결합부(72)에 결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밀대결합부를 연장관의 후단연장결합부에 결합하여 삼방밸브를 수액배출관에 견고하고 수밀하게 결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수액용기 복합체(1)는, 수액용기(2)의 수액배출관(10)에 내부마개(20)를 장착하고, 수액배출관에 결합되는 삼방밸브(30)의 전단에는 밀대관(34)을 일체 또는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여 밀대관의 밀대결합부(341)가 수액배출관(10)과 결합되도록 하고, 결합과정에서 밀대관(34)이 내부마개(20)를 수액용기 내부로 밀어서 탈거되게 하여 수액배출관의 배출유로(11)를 개방해 수액배출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삼방밸브(30)는 측면에 공기유입관(35)을 설치하여 수액용기(2) 내부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어 수액용기 내부가 수액배출에 따라 음압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삼방밸브(30)의 필터가 설치된 수평관(33)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약물을 수액용기로 혼합하거나, 다른 수액용기와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삼방밸브(30)의 하단에 드립챔버(40)를 추가로 결합하는 등 수액배출관과 삼방밸브 및/또는 드립챔버를 하나의 세트로 결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액용기 복합체의 사용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먼저 수액용기(2)에 장착된 수액배출장치(3) 중 수액배출관(10)의 연장관마개(73)와 보조관마개(62)를 분리한다.
전단에 밀대관(34)이 형성된 삼방밸브(30)를 수액배출관(10)에 결합시킨다. 이때 결합은 밀대관에 형성된 밀대결합부(341)를 보조관의 보조결합부(61) 또는 연장관의 후단연장결합부(72)에 결합하여 결합부위를 연통설치한다.
상기 삼방밸브의 결합과정에서 상기 밀대관(34)은 보조관(60)으로 내입되고, 최종적으로는 수액배출관의 양 단부 중 수액용기 내부에 위치하는 단부에 장착된 내부마개(20)를 수액용기 내측으로 밀어서 분리시킨다. 물론 상기 수액배출관(10)에 보조관(60) 장착되지 않은 형태일 경우에는 밀대결합부(341)를 수액배출관(10)의 배출관결합부(12)에 결합하여 연통설치하고, 삼방밸브의 밀대관(34)을 배출유로(11)로 직접 삽입하여 수액배출관에 결합된 내부마개(20)가 분리되게 할 수 있다.
삼방밸브의 배출측 수직관(32)에는 드립챔버(40)가 일체로 결합되거나, 다른 수액세트를 연결하여 수액공급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과정에서 수액용기(2)내로 약물을 혼합할 때에는 삼방밸브의 수평관(33)에 장착된 마개를 분리시킨 다음 혼합약물 주입구를 연결하고, 삼방밸브의 조작부(37)를 조작하여 삼방밸브 내부 유로를 유입측 수직관(31)과 수평관(33)을 연통시켜 약물이 수액용기로 주입되어 혼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때 수평관(33)에는 필터가 장착되어 유입된 약물에 섞인 유리 또는 플라스틱 파편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혼합이 완료되면 조작부(37)를 작동시켜 수평관(33)은 폐구시키고 유입측 수직관(31)과 배출측 수직관(32)을 연통시켜 수액 공급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수평관(33)은 다른 수액용기와 연결시켜 유입측 수직관을 통한 수액공급이 완료되면 수평관에 연결된 수액용기로부터 수액을 전달받아 연속 공급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연결에 의해 수액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1 : 수액용기 복합체
2 : 수액용기
3 : 수액배출장치
10 : 수액배출관
11 : 배출유로 12 : 배출관결합부
20 : 내부마개
30 : 삼방밸브
31 : 유입측 수직관 32 : 배출측 수직관
33 : 수평관 34 : 밀대관
35 : 공기유입관 36 : 공기유로
37 : 조작부 311 : 수직유로
321 : 연장관 331 : 수평유로
341 : 밀대결합부 342 : 원판부
343 : 결합관부 351 : 본체
352 : 덮개관부 332,361 : 필터
40 : 드립챔버
50 : 고무판
51 : 절단라인
60 : 보조관
61 : 보조결합부 62 : 보조관마개
63 : 보조유로
70 : 연장관
71 : 전단연장결합부 72: 후단연장결합부
73 : 연장관마개

Claims (9)

  1. 수액을 저장하는 수액용기(2)와; 상기 수액용기에 저장된 수액을 배출시켜 공급하는 수액배출장치(3)로 구성된 수액용기 복합체(1)에 있어서,
    상기 수액배출장치(3)는,
    수액용기(2)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배출유로(11)가 형성되고, 외부로 표출된 배출측 단부측에는 배출관결합부(12)가 형성된 수액배출관(10)과; 상기 수액배출관의 양 단부 중 수액용기 내부에 위치하는 단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배출유로를 폐구시키는 내부마개(20)와; 상하로 개구된 수직유로를 갖고 전단이 수액배출관에 결합되는 유입측 및 배출측 수직관(31,32)과, 상기 유입측 및 배출측 수직관에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분관된 수평유로를 갖는 수평관(33)과, 유로의 개폐방향으로 단속하는 조작부(37)로 구성되는 삼방밸브(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삼방밸브(30)는, 수액배출관과 결합되는 유입측 수직관(31)의 단부를 축방향으로 길게 연장하고 연장된 내부에 수직유로가 형성된 밀대관(34)을 더 형성하고,
    상기 밀대관(34)의 측면에는 수액배출관과 결합되는 밀대결합부(341)가 형성되어, 삼방밸브를 수액배출관(10)에 결합시 밀대관(34)이 수액배출관 내부 배출유로(11)를 통해 내부마개(20)를 가압 및 탈거시켜 배출유로가 개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밀대관의 밀대결합부(341)는, 외면에서 확장된 원판부(342)와; 상기 원판부에서 전단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면에 나선 또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결합관부(34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용기 복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관(34)은 삼방밸브의 유입측 수직관(31)과 탈착가능하도록 분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용기 복합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방밸브(30)에는,
    측면으로 공기유입관(35)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관과 밀대관의 전방단부를 연결하여 외부의 공기를 수액용기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유로(36)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로 상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36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용기 복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방밸브의 배출측 수직관(32) 단부에는 드립챔버(4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용기 복합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방밸브의 수평관(33)에는 수평유로에 필터(332)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용기 복합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배출관(10)에는,
    배출측단부의 내측에 설치 또는 일체로 형성되어 밀폐성을 제공하는 고무판(50)과;
    상기 고무판을 삽통하여 설치되고, 내부에 보조유로(63)가 형성되며, 후방단부에는 삼방밸브의 밀대결합부(341)와 결합되는 보조결합부(61)가 형성된 보조관(60)과;
    상기 보조관의 보조결합부에 임시적으로 장착되는 보조관마개(62)와;
    전단과 후단에 각각 전단연장결합부(71)와 후단연장결합부(72)가 형성되고, 상기 전단연장결합부(71)에는 수액배출관의 배출관결합부(12)가 결합되어 수액배출관의 길이를 연장시켜 보조관(60)을 내포하게 하는 연장관(70)과;
    상기 연장관의 후단연장결합부(72)에 임시 장착되는 연장관마개(7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용기 복합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판(50)은 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절단라인(51)을 미리 형성하여 파손없이 보조관 내입설치가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용기 복합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배출관(10)에는,
    배출측단부의 내측에는 설치 또는 일체로 형성되고 축을 중심으로 하는 절단라인을 다수 형성되어 밀폐성을 제공하는 고무판(50)과;
    상기 고무판을 삽통하여 설치되고, 내부에 보조유로(63)가 형성되며, 후방단부에는 보조결합부(61)가 형성된 보조관(60)과;
    상기 보조관의 보조결합부(61)에 임시적으로 장착되는 보조관마개(62)와;
    전단과 후단에 각각 전단연장결합부(71)와 후단연장결합부(72)가 형성되고, 상기 전단연장결합부(71)에는 수액배출관의 배출관결합부(12)가 결합되어 수액배출관의 길이를 연장시켜 보조관을 내포하게 하게 하고, 상기 후단연장결합부(72)에는 삼방밸브의 밀대결합부(341)가 결합되는 연장관(70)과;
    상기 연장관의 후단연장결합부(72)에 임시 장착되는 연장관마개(7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용기 복합체.
KR1020180067659A 2018-06-12 2018-06-12 내부마개를 갖는 수액배출장치가 구비된 수액용기 복합체 KR101929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659A KR101929203B1 (ko) 2018-06-12 2018-06-12 내부마개를 갖는 수액배출장치가 구비된 수액용기 복합체
PCT/KR2019/003758 WO2019240358A1 (ko) 2018-06-12 2019-03-31 내부마개를 갖는 수액배출장치가 구비된 수액용기 복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659A KR101929203B1 (ko) 2018-06-12 2018-06-12 내부마개를 갖는 수액배출장치가 구비된 수액용기 복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203B1 true KR101929203B1 (ko) 2018-12-14

Family

ID=64743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659A KR101929203B1 (ko) 2018-06-12 2018-06-12 내부마개를 갖는 수액배출장치가 구비된 수액용기 복합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29203B1 (ko)
WO (1) WO201924035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277B1 (ko) * 2018-11-19 2019-04-24 김호연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
CN110013579A (zh) * 2019-05-14 2019-07-16 深圳安特医疗股份有限公司 穿刺器和输液组件
WO2019240358A1 (ko) * 2018-06-12 2019-12-1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내부마개를 갖는 수액배출장치가 구비된 수액용기 복합체
KR20210001173A (ko) * 2019-06-27 2021-01-06 주식회사 에스티에스바이오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934B1 (ko) * 2013-07-22 2014-08-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액 세트용 분기관
KR101728236B1 (ko) * 2015-10-13 2017-04-18 (주)지 메디 수액세트의 3방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8893A (ja) * 1996-10-07 1998-04-28 Nippon Kayaku Co Ltd 連続混合用多室医療容器
JP2007202810A (ja) * 2006-02-02 2007-08-16 Ajinomoto Co Inc 複室容器
KR101510720B1 (ko) * 2013-04-18 2015-04-10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수액누출 차단 플랩을 갖는 배액 포트 및 상기 배액 포트를 구비하는 수액용기
KR101929203B1 (ko) * 2018-06-12 2018-12-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내부마개를 갖는 수액배출장치가 구비된 수액용기 복합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934B1 (ko) * 2013-07-22 2014-08-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액 세트용 분기관
KR101728236B1 (ko) * 2015-10-13 2017-04-18 (주)지 메디 수액세트의 3방 밸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0358A1 (ko) * 2018-06-12 2019-12-1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내부마개를 갖는 수액배출장치가 구비된 수액용기 복합체
KR101972277B1 (ko) * 2018-11-19 2019-04-24 김호연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
CN110013579A (zh) * 2019-05-14 2019-07-16 深圳安特医疗股份有限公司 穿刺器和输液组件
KR20210001173A (ko) * 2019-06-27 2021-01-06 주식회사 에스티에스바이오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
KR102226362B1 (ko) * 2019-06-27 2021-03-11 주식회사 에스티에스바이오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40358A1 (ko)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9203B1 (ko) 내부마개를 갖는 수액배출장치가 구비된 수액용기 복합체
US11684548B2 (en) Pooling device for single or multiple medical containers
KR101510084B1 (ko) 복실 용기
CA2343343A1 (en) Adapter for mixing and injection of preparations
CA2200612A1 (en) Valved intravenous fluid line infusion device
EP3781113B1 (en) Liquid transfer device with dual lumen iv spike
CA2582568A1 (en) Device for producing a medicinal foam
CN102164628A (zh) 具有膜片的、用于将注射器连接到容器或胶管线上的连接器
JPH0956782A (ja) 受動的薬剤放出用具
US5423794A (en) Intravenous container with siphoning port
KR101699090B1 (ko) 주출구 및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
US20130303987A1 (en) Valve to prevent air entering an intravenous circuit
EP1228776B1 (en) Infusion container
KR102003431B1 (ko) 위생적인 마개와 삼방밸브로 구성된 수액배출부를 갖는 수액팩 복합체
KR101968150B1 (ko) 위생적인 마개와 삼방밸브로 구성된 수액배출장치를 갖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수액병 복합체
WO2017005265A1 (en) Intravenous bag
KR101964383B1 (ko) 의료용 수액백
TW202039023A (zh) 連接器
CN110236943A (zh) 一种带偏心针及过滤结构的药液转移过滤器
JP2004180740A (ja) 輸液容器
KR102542907B1 (ko) 일체형 수액세트
KR200487212Y1 (ko) 수액용기의 배액 연결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