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277B1 -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277B1
KR101972277B1 KR1020180142701A KR20180142701A KR101972277B1 KR 101972277 B1 KR101972277 B1 KR 101972277B1 KR 1020180142701 A KR1020180142701 A KR 1020180142701A KR 20180142701 A KR20180142701 A KR 20180142701A KR 101972277 B1 KR101972277 B1 KR 101972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liquid
drug
drain
connection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연
Original Assignee
김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연 filed Critical 김호연
Priority to KR1020180142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6Combination of a vial and a syringe for transferring or mixing their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6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having provision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07Infusion of two or more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2Needle sets, i.e. connections by puncture between reservoir and tube ; Connections between reservoir and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2Needle sets, i.e. connections by puncture between reservoir and tube ; Connections between reservoir and tube
    • A61M2005/1623Details of air inta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수액이 저장되어 있는 수액용기에 끼워져 결합되는 접속침부와, 상기 접속침부가 결합된 수액용기로 약물 주입을 가능하게 하는 약물주입부와, 상기 접속침부가 결합된 수액용기로 공기를 유통시키는 통기부와, 상기 약물주입부를 통해 주입된 약물과 저장된 수액이 혼합되어 만들어진 수액용기의 주사액을 배출시키는 배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사바늘에 찔릴 수 있는 위험성이나 세균오염 등의 위험성 없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주사액을 만들어 환자에게 투약할 수 있고, 수액용기의 종류에 제한됨이 없이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 {Safety connector for intravenous injection}
본 발명은 정맥주사시 수액용기와 주입세트 사이에 개재되는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맥주사(intravenous injection)는 의사가 처방한 약물을 직접 환자의 정맥 내에 투약하는 것으로서, 혈관 속으로 직접 주입된 약물은 심장을 거친 후 신체의 필요한 조직으로 신속하게 도달하게 되므로 그만큼 투약한 약물의 효과와 반응이 빠르게 나타난다.
정맥주사는 처방된 약물이 피하나 근육 내에 주사할 수 없는 약액인 경우, 또는 주사할 수는 있어도 약액량이 너무 과다한 경우, 또는 약물의 빠른 효과를 기대하는 경우 등에 주로 행하여 진다.
이러한 정맥주사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간호사는 수액이 저장되어 있는 수액용기 내에 처방받은 약물을 주입해서 수액과 약물이 혼합된 주사액을 만든다.
즉, 간호사는 주사기를 사용하여 약물이 저장된 앰플(ampoule) 또는 약병으로부터 처방된 양만큼 약물을 뽑아낸 후에 주사기의 주사바늘을 수액용기의 고무마개에 꽂아 수액용기 내부로 뽑아낸 약물을 주입하게 되며, 그에 따라 수액용기 내에서는 저장되어 있던 수액과 주사기를 통해 주입된 약물이 혼합됨으로써 투약할 주사액이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후, 간호사는 주사액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세트의 스파이크를 주사액이 들어 있는 수액용기에 끼워 결합하고 주입침을 환자의 혈관에 끼워 주사액을 환자의 정맥으로 투약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주입세트(I.V Set)는 수액을 정량에 맞추어 점적(點滴) 방식으로 환자의 정맥 내로 주입할 수 있는 널리 공지된 의료기구로서, 통상적으로 수액용기의 고무마개에 끼워져 수액을 배출시키는 스파이크와, 상기 스파이크의 하측에 구비되어 배출된 수액을 일정시간 임시로 저장하는 점적통과, 상기 점적통과 튜브를 통해 연결되어 점적통에 저장된 수액을 정맥으로 공급하는 주입침과, 상기 튜브에 설치되어 튜브 내로 흐르는 수액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기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정맥주사 과정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먼저, 주사액을 만들기 위해 간호사가 주사기의 주사바늘을 수액용기에 직접 꽂아 약물을 주입하였는 바, 주사바늘을 수액용기에 꽂는 작업이 쉽지 않으며 그 과정에서 조금만 부주의해도 주사바늘에 찔려 상해를 입을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수액용기는 병 타입의 수액병과 팩 타입의 수액백으로 구별되는데, 모두 내부 밀폐를 위하여 고무재질의 마개 등이 구비되어 있는 바, 약물의 주입을 위해 고무마개로 주사바늘을 꽂는 것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꽂는 과정에서 잘못하면 주사바늘에 찔리거나 약물에 노출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는 것이다.
또한, 수액용기에 약물을 주입한 후에는 수액용기의 고무마개로부터 꽂았던 주사바늘을 제거하고, 이후 주입세트의 스파이크를 고무마개에 끼워주어야 하는바, 주사바늘의 제거시점과 스파이크의 끼움시점 사이에 고무마개를 통해 수액용기로 세균의 침투 등의 가능성이 존재하는 위험성이 있으며, 그에 따라 주사바늘을 제거한 후 주입세트의 스파이크를 끼우기 전에 먼저 살균솜 등으로 수액용기의 고무마개를 닦아 무균성을 확보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7-0040062호 : 수액세트의 배액유니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목적은 주사바늘에 찔리거나 약물에 오염될 염려없이 안전하게 수액용기에 약물을 혼합하여 주사액을 만들 수 있음과 함께 주입세트에 바로 연결하여 주사액의 안전한 투약이 가능한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약 중 추가 처방된 약물도 쉽고 안전하게 주사액에 혼합할 수 있으며, 수액용기의 종류와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한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수액이 저장되어 있는 수액용기에 끼워져 결합되는 접속침부와, 상기 접속침부가 결합된 수액용기로 약물 주입을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약물주입부와, 상기 접속침부가 결합된 수액용기로 공기 유통을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통기부와, 상기 약물주입부를 통해 주입된 약물과 저장된 수액이 혼합되어 만들어진 수액용기의 주사액 배출을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배액부를 포함하되, 상기 약물주입부, 통기부, 배액부 각각의 유로는 상호간에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가 개시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배액부와 연통되게 구비되며, 주입세트의 스파이크가 끼워져 결합이 될 수 있는 주입세트 도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물주입부는, 상기 접속침부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주사바늘이 제거된 약물주입용 주사기의 몸체가 결합되는 주입포트와, 상기 접속침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주입공과, 상기 접속침부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어 주입포트와 주입공을 연통시키는 주입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부는, 상기 접속침부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통기포트와, 상기 접속침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통기공과, 상기 접속침부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어 통기포트와 통기공을 연통시키는 공기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액부는, 상기 접속침부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배액관과, 상기 접속침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배액공과, 상기 접속침부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어 배액관과 배액공을 연통시키는 배액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액부는, 상기 배액공의 하측에서 배액공과 독립적으로 접속침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액통로와 연통되는 배액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에 따르면,
주사바늘이 제거된 주사기 몸체부를 사용하여 약물을 수액용기로 주입할 수 있으므로 주사바늘에 찔리거나 약물에 오염될 걱정없이 보다 편하고 안전하게 수액용기에 약물을 혼합하여 주사액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접속침을 끼워 수액용기에 한번 결합시킨 상태에서 약물의 주입을 통한 주사액의 혼합과 주입세트를 통한 주사액의 투약이 모두 이루어지므로 사용이 편리하면서 세균감염의 위험성이 최소화되어 더욱 안전한 투약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주입세트를 통해 주사액을 정맥으로 투약하는 과정 중 처방이 변경되거나 추가 처방된 경우, 변경되거나 추가된 새로운 약물도 쉽고 안전하게 주사액에 혼합하여 투약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수액용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수액병과 수액백 모두에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를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4는 주입통로, 공기통로, 배액통로를 보여주는 접속침부의 단면을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커넥터를 수액용기에 결합하고 주사기를 결합하는 사용예를 일 예시한 도면들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커넥터에 주입세트를 결합한 사용예를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8은 지지날개가 형성된 다른 실시예를 일 예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커넥터가 수액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길이,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되어”, “형성되어”, “설치되어”, “결합되어”, “고정되어”, “연결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구비, 형성, 설치, 결합,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는 수액이 저장되어 있는 수액용기와 주사액의 주입을 위한 주입세트 사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주사바늘에 찔리거나 약물에 오염될 염려없이 안전하게 주사액을 만들 수 있으면서 수액용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주사액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투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의 구성 및 작용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100, 이하, “커넥터”라 약칭함.)는 접속침부(10)와, 약물주입부(20)와, 통기부(30)와, 배액부(40)와, 주입세트 도킹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접속침부(10)는 수액이 저장되어 있는 수액용기(200)에 결합되어 수액용기(200)와 접속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접속침부(10)가 결합되는 수액용기(200)는 병 타입의 수액병과 팩 타입의 수액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액병만을 도면에 예시하면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접속침부(10)는 수액병의 고무마개(210) 또는 도시되지 않은 수액백의 포트를 뚫고서 끼워질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연장되되, 연장되는 상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적으로 줄어들면서 상단부는 뾰족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속침부(10)에는 접속침부(10)의 끼움 깊이를 규제할 수 있는 평평한 형상의 지지판(11)이 하측 부위에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지지판(11)의 양쪽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부로 연장된 한쌍의 파지편(12)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약물주입부(20)는 상기 접속침부(10)가 결합된 수액용기(200)로 약물을 주입할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약물주입부(20)는 도 2에 일 예시된 것처럼, 상호간에 연통이 이루어지는 주입포트(21)와, 주입공(22)과, 주입통로(23)를 포함한다.
상기 주입포트(21)는 접속침부(1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며, 수액용기(200)로 주입할 약물이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주입포트(21)에는 약물이 수액용기(200)로 주입은 되되, 수액용기(200)로부터 역으로 배출되지는 않도록 주입되는 일방향으로만 약물을 통과시키는 체크부재(24)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주입포트(21)에는 약물의 주입을 위한 주사기(300)가 결합되는데, 주사바늘이 제거된 주사기(300)의 몸체가 결합되며, 이를 위하여 주사기(300) 몸체의 공지된 체결구조인 루어락(lure lock)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주입공(22)은 접속침부(10)의 상단에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주입통로(23)는 상기 접속침부(10)의 내부를 따라 주입포트(21)로부터 주입공(22)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주입포트(21)와 주입공(22)을 상호 연통시킨다.
따라서, 주입포트(21)를 통해 주사기(300)로부터 유입된 약물은 주입통로(23)를 따라 안내된 후 주입공(22)을 통해 수액용기(200)로 주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통기부(30)는 상기 접속침부(10)가 결합된 수액용기(200)로 공기를 유통시키는 부분이다.
이러한 통기부(30)는 도 2에 일 예시된 것처럼, 상호간에 연통이 이루어지는 통기포트(31)와, 통기공(32)과, 공기통로(33)를 포함한다.
상기 통기포트(31)는 접속침부(1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데, 상기 주입포트(21)의 반대쪽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기포트(31)에는 통기포트(31)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에어캡(34)이 구비되며, 또한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필터부재(3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통기공(32)은 접속침부(10)의 상단에 개구되어 형성되는데, 접속침부(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주입공(22)의 반대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통로(33)는 접속침부(10)의 내부를 따라 통기포트(31)로부터 통기공(32)까지 연장됨으로써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통기포트(31)와 통기공(32)을 상호 연통시킨다.
이러한 통기부(30)는 수액용기(200)의 공기 유통을 위한 것인 바, 주사액의 배액시 공기 유통이 요구되는 수액병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에어캡(34)을 개방시켜 통기부(30)로 공기유통이 이루어지게 하되, 배액시 공기 유통이 필요없는 수액백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에어캡(34)을 닫아 공기유통이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배액부(40)는 상기 접속침부(10)가 결합된 수액용기(200)로부터 주사액을 배출시키는 부분이다.
즉, 상기 약물주입부(20)를 통해 약물이 수액용기(200)로 주입되면 주입된 약물이 저장되어 있던 수액과 혼합됨으로써 정맥 주사를 위한 주사액이 만들어지는 바, 상기 배액부(40)는 주입된 약물과 저장된 수액이 혼합되어 만들어진 수액용기(200)의 주사액을 배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한 배액부(40)는 도 3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배액관(41)과, 배액공(42)과, 배액통로(43)를 포함한다.
상기 배액관(41)은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관체로서 접속침부(10)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다.
상기 배액공(42)은 접속침부(10)의 상단에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배액통로(43)는 상기 접속침부(10)의 내부를 따라 배액관(41)으로부터 배액공(42)까지 연장되어 배액관(41)과 배액공(42)을 연통시킨다.
따라서, 배액공(42)을 통해 수액용기(200)로부터 유입된 주사액은 배액통로(43)를 따라 안내된 후 배액관(41)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배액공(42)이 접속침부(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주입공(22) 및 통기공(32)과 직각의 위치에서 양쪽에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액통로(43) 또한 이러한 한쌍의 배액공(42)이 배액관(41)에 각각 연통이 되도록 한쌍의 배액공(42)에 대응하여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배액공(42) 및 배액통로(43)가 한쌍으로 형성되면, 배액공(42) 및 배액통로(43)의 직경을 상대적으로 크게 하지 않더라도 배액되는 주사액의 유량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도 4에 일 예시된 것처럼, 접속침부(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90도 간격으로 주입통로(23), 공기통로(33), 한쌍의 배액통로(43)가 균형있게 형성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고 구조적 안전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배액공(42)과 별개로 수액용기(200)의 주사액을 배액통로(43)로 유입시킬 수 있는 배액홀(44)이 접속침부(10)에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액홀(44)은 접속침부(10)의 상단에 형성된 배액공(42)의 하측에 배액공(42)과는 독립적으로 개구되어 배액통로(43)와 연통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배출을 위하여 배액통로(43)로 유입되는 주사액의 유량을 더욱 증가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주입세트 도킹부(50)는 주사액을 환자로 투약하기 위한 주입세트(400)를 본 발명의 커넥터(100)에 결합하여 연결시킬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주입세트 도킹부(50)는 상기 배액부(40)와 연통되게 구비되는데, 도 1에 일 예시된 것처럼, 배액관(41)에 결합되어 연통되는 도킹튜브(51)와, 상기 도킹튜브(51)의 내부 하측에 형성되는 도킹막(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킹튜브(51)는 배액관(41)을 통해 배출된 주사액이 통과될 수 있게 내부가 중공인 튜브로서,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하면서 주입세트(400)의 스파이크(410)를 끼우기 용이하도록 일정한 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킹막(52)은 도킹튜브(51)의 하부 내측에 형성되는 박막으로서, 도킹튜브(51)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되, 주입세트(400)의 스파이크(410)가 도킹튜브(51)로 끼워지게 되면, 스파이크(410)에 의해 관통됨으로써 도킹튜브(51)가 스파이크(410)와 연통될 수 있게 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의 커넥터(100)는 전술한 구성에서 살펴본 것처럼, 수액용기(200)와 결합되면서 약물의 주입을 위한 유로인 약물주입부(20), 공기의 유통을 위한 유로인 통기부(30), 주사액의 배액을 위한 유로인 배액부(40)라는 3개의 독립적인 유로가 구성되어 있는 바, 이러한 구성에 따라 주사액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만들어 환자에게 주입할 수 있게 된다.
특히, 3개의 독립적인 유로의 구성으로 인해 수액병과 수액백 등 수액용기(200)의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먼저, 도 5와 도 6에 일 예시된 것처럼, 수액이 저장되어 있는 수액용기(200)에 접속침부(10)를 끼워줌으로써 본 발명의 커넥터(100)를 수액용기(200)에 결합한다.
이어서, 처방된 약물을 수액과 혼합하여 주사액을 만들기 위해, 약물을 수용한 주사기(300)를 약물주입부(20)의 주입포트(21)에 결합시킨 후 약물을 주입포트(21)로 주입시킨다.
그러면, 약물은 주입통로(23)를 통해 접속침부(10)의 상단에 형성된 주입공(22)으로 안내되어 수액용기(200) 내부로 주입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수액용기(200) 내부에서는 저장되어 있던 수액과 주입된 약물이 혼합됨으로써 투약해야 할 주사액이 만들어진다.
이 때, 주입포트(21)로는 주사바늘이 제거된 주사기(300)의 몸체가 루어락(lure lock)에 의해 결합되며, 따라서 주사액을 만들기 위해 약물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주사바늘에 찔려 상해를 입을 위험성이 제거되고, 주의를 기울여 주사바늘을 조심스럽게 꽂아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없으므로 편리성 또한 개선된다.
위와 같이 주사액이 만들어지면, 이어서 도 7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100)가 수액용기(200)에 결합된 상태 그대로 환자의 투약을 위한 주입세트(400)를 커넥터(100)에 결합시킨다.
즉, 주입세트(400)의 스파이크(410)를 주입세트 도킹부(50)의 도킹튜브(51)에 끼워주며, 그러면 스파이크(410)에 의해 도킹막(52)이 관통됨으로써 본 발명의 커넥터(100)에 주입세트(400)가 연통되게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주입세트(400)의 결합이 완료되면, 수액용기(200)을 거꾸로 하여 일정높이에 고정시킨 후 주입세트(400)의 통상적인 사용방식에 따라 수액용기(200)의 주사액이 점적 방식으로 처방된 투액량만큼 환자의 정맥으로 투약되도록 해주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넥터(100)를 사용하면, 주사액을 만들고 주사액을 환자에게 투약하는 과정에서, 종래와 같이 수액용기(200)에 주사바늘과 주입세트(400)의 스파이크(410)를 번갈아 끼워줄 필요없이 수액용기(200)에 접속침부(10)를 한번만 끼워 결합하면 되므로 수액용기(200)가 세균 등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최소화되어 보다 안전함과 함께, 무균처리 등의 과정 또한 최소화되어 편의성이 향상된다.
여기서, 주사액의 투약시에, 수액용기(200) 중 수액백은 주사액이 배액되더라도 수액백 자체가 축소되면서 내부압력이 그대로 유지되므로 공기유통이 필요없지만, 수액병의 경우에는 주사액이 배액되는 량만큼 수액병 내부의 압력이 감소되므로 지속적인 배액을 위해서는 공기유통이 필요하다.
그런데, 본 발명의 커넥터(100)는 약물주입부(20) 및 배액부(40)와 별도로 통기부(30)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수액병의 주사액을 투약하는 경우라면 통기부(30)를 개방시켜 수액병이 공기 유통되게 함으로써 주사액의 원활한 배액이 가능하도록 사용할 수 있으며, 수액백의 주사액을 투약하는 경우라면 통기부(30)를 폐쇄시켜 사용할 수 있어, 수액용기(200)의 종류에 제약받지 않고 양자 모두에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이 주입세트(400)를 본 발명의 커넥터(100)에 결합하여 주사액을 투약하는 과정 중 예기치 못하게 처방이 변경되거나 추가 처방됨으로써 수액용기(200)로 새로운 약물을 주입해야 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에는 주입세트(400)의 튜브에 마련된 분기관(도면 미도시) 등으로 새로운 약물을 주입하기도 하였으나, 이렇게 직접 튜브로 주입되는 약물은 수액용기(200)로부터 투약되는 주사액과 달리 점적방식으로 투약되는 것이 아니므로 투액량에 있어 문제의 소지가 있었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투약 중에도 간편하게 주입포트(21)에 주사기(300)를 결합하여 새로운 약물을 수액용기(200)으로 주입할 수 있고, 그러면 주입된 약물이 혼합된 새로운 주사액이 수액용기(200)로부터 배액부(40)를 통해 주입세트(400)로 배출됨으로써, 새로운 주사액을 점적 방식으로 동일하게 투약할 수 있으므로 더욱 안전한 투약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커넥터(100)는 도 8과 도 9에 일 예시된 것처럼, 실시예에 따라서는 한쌍의 지지날개(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지지날개(60)는 상호 대칭을 이루어 접속침부(10)의 양쪽에 형성되며, 수액용기(200)에 결합된 접속침부(10)가 수액용기(200)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접속침부(10)의 결합상태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한 한쌍의 지지날개(60)는 도 8에 일 예시된 것처럼, 접속침부(10)의 지지대(11) 양쪽에서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편(61)과, 상기 제1편(61)에서 절곡되어 상호 근접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편(62)과, 상기 제2편(62)에 다시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연장되는 제3편(63)과, 상기 제3편(63)의 만곡부위에서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돌기(6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한쌍의 지지날개(60)는 수액용기(200) 중 특히 수액병에 접속침부(10)를 끼워 결합시킬 때, 상호간에 탄성적으로 벌어졌다가 복원되면서 도 9에 예시된 것처럼, 수액병의 마개 부분에 걸림돌기(64)가 걸려 지지됨으로써 결합된 접속침부(10)가 수액병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하게 주사액을 주입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자세하게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주사바늘에 찔릴 수 있는 위험성이나 세균오염 등의 위험성 없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주사액을 만들어 환자에게 투약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과 편리성이 뛰어나며, 수액병과 수액백 등 수액용기의 종류에 제한됨이 없이 사용이 가능하므로 활용성 또한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접속침부
20: 약물주입부
30: 통기부
40: 배액부
50: 주입세트 도킹부
60: 지지날개

Claims (6)

  1. 수액이 저장되어 있는 수액용기에 끼워져 결합되는 접속침부;
    상기 접속침부가 결합된 수액용기로 약물 주입을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약물주입부;
    상기 접속침부가 결합된 수액용기로 공기 유통을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통기부;
    상기 약물주입부를 통해 주입된 약물과 저장된 수액이 혼합되어 만들어진 수액용기의 주사액 배출을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배액부;를 포함하되,
    상기 약물주입부, 통기부, 배액부 각각의 유로는 상호간에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액부와 연통되게 구비되며, 주입세트의 스파이크가 끼워져 결합이 될 수 있는 주입세트 도킹부;를 더 포함하는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주입부는,
    상기 접속침부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주사바늘이 제거된 약물주입용 주사기의 몸체가 결합되는 주입포트와, 상기 접속침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주입공과, 상기 접속침부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어 주입포트와 주입공을 연통시키는 주입통로를 포함하는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접속침부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통기포트와, 상기 접속침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통기공과, 상기 접속침부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어 통기포트와 통기공을 연통시키는 공기통로를 포함하는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액부는,
    상기 접속침부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배액관과, 상기 접속침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배액공과, 상기 접속침부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어 배액관과 배액공을 연통시키는 배액통로를 포함하는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액부는,
    상기 배액공의 하측에서 배액공과 독립적으로 접속침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액통로와 연통되는 배액홀을 더 포함하는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
KR1020180142701A 2018-11-19 2018-11-19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 KR101972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701A KR101972277B1 (ko) 2018-11-19 2018-11-19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701A KR101972277B1 (ko) 2018-11-19 2018-11-19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277B1 true KR101972277B1 (ko) 2019-04-24

Family

ID=66282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701A KR101972277B1 (ko) 2018-11-19 2018-11-19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2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173A (ko) * 2019-06-27 2021-01-06 주식회사 에스티에스바이오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
WO2023229232A1 (ko) * 2022-05-26 2023-11-30 주식회사 에스티에스바이오 폐쇄형 약제 혼합추출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9800A (ko) * 2009-08-21 2011-03-02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약화사고 방지를 위한 주사액 제조용 안전소켓 및 수액 키트
KR20160002806U (ko) * 2015-02-04 2016-08-12 주식회사세운메디칼 수액 주입용 연결 커넥터
KR20170040062A (ko) 2015-10-02 2017-04-12 이상운 수액세트의 배액유니트
KR101929203B1 (ko) * 2018-06-12 2018-12-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내부마개를 갖는 수액배출장치가 구비된 수액용기 복합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9800A (ko) * 2009-08-21 2011-03-02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약화사고 방지를 위한 주사액 제조용 안전소켓 및 수액 키트
KR20160002806U (ko) * 2015-02-04 2016-08-12 주식회사세운메디칼 수액 주입용 연결 커넥터
KR20170040062A (ko) 2015-10-02 2017-04-12 이상운 수액세트의 배액유니트
KR101929203B1 (ko) * 2018-06-12 2018-12-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내부마개를 갖는 수액배출장치가 구비된 수액용기 복합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173A (ko) * 2019-06-27 2021-01-06 주식회사 에스티에스바이오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
KR102226362B1 (ko) * 2019-06-27 2021-03-11 주식회사 에스티에스바이오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
WO2023229232A1 (ko) * 2022-05-26 2023-11-30 주식회사 에스티에스바이오 폐쇄형 약제 혼합추출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957028T3 (en) Needleless additive control valve
DK201600035Y3 (da) Væskeoverføringsindretninger til anvendelse i forbindelse med infusionsvæskebeholdere
US11684548B2 (en) Pooling device for single or multiple medical containers
JP2736510B2 (ja) 標準の静脈内投与セット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インライン薬物放出装置及び放出方法
JP2736509B2 (ja) 標準の静脈内投与セット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インライン薬物放出装置及び放出方法
AU676566B2 (en) Vial adapter
US5334179A (en) Latching piercing pin for use with fluid vials of varying sizes
KR101972277B1 (ko)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
GB2105695A (en) Universal piercing device
US20060058741A1 (en) Infusion apparatus for infusion bags
KR20110003950A (ko) 약화사고 방지를 위한 주사액 혼합용 안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 키트
KR102226362B1 (ko)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