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467B1 - 타액 수집용 키트 및 그에 사용되는 타액 수집 어댑터 - Google Patents

타액 수집용 키트 및 그에 사용되는 타액 수집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467B1
KR102526467B1 KR1020210020678A KR20210020678A KR102526467B1 KR 102526467 B1 KR102526467 B1 KR 102526467B1 KR 1020210020678 A KR1020210020678 A KR 1020210020678A KR 20210020678 A KR20210020678 A KR 20210020678A KR 102526467 B1 KR102526467 B1 KR 102526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guide pin
saliva
inner pipe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7052A (ko
Inventor
조용호
문영주
이웅호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비생명과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비생명과학(주) filed Critical 에이치엘비생명과학(주)
Priority to KR1020210020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467B1/ko
Publication of KR20220117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96Casings for storing test sam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5Align devices or objects to ensure defined positions relative to each o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보존 용액을 수용하는 수용체를 구비하는 수송 용기; 및 상기 수용체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대상자로부터 유입된 타액을 상기 수용체 내로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상부가 개방된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체 내로 삽입되어 상기 수용체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내부 파이프; 상기 내부 파이프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고 상기 내부 파이프 보다 더 큰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용체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외부 파이프; 상기 내부 파이프 내에서 상기 수용체의 바닥을 향한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부 파이프 보다 상기 바닥에 가깝도록 연장하는 길이를 갖는 가이드 핀; 상기 호퍼 및 상기 내부 파이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가이드 핀을 연결하여, 상기 내부 파이프가 한정하는 공간 내에 상기 가이드 핀을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 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 측에서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갈수록 상기 가이드 핀의 중심축 방향을 향해 좁아지는 폭을 가져서 상기 타액을 가이드 핀의 중심을 향해 유도하는 유도 유닛을 포함
타액 수집용 키트 및 그에 사용되는 타액 수집 어댑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타액 수집용 키트 및 그에 사용되는 타액 수집 어댑터{KIT FOR COLLECTING SALVIA AND SALVIA COLLECTION ADAPTOR USED THEREFOR}
본 발명은 타액 수집용 키트 및 그에 사용되는 타액 수집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OVID-19와 같은 질환의 진단을 위해서는, 의료인은 대상자의 코구멍이나 목구멍에 스왑(swab)을 집어 넣어서 시료를 채취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대상자에게 참기 힘든 고통을 주고 있는 문제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대상자가 뱉은 타액을 받아서 그를 시료로 사용하는 방안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타액을 수용 용기의 보존 용액으로 정확히 유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타액이 보존용액으로 낙하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서, 시료 채취가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타액을 정확한 위치로 유도할 수 있으며, 그러한 유도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타액 수집용 키트 및 그에 사용되는 타액 수집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액 수집용 키트는, 내부에 보존 용액을 수용하는 수용체를 구비하는 수송 용기; 및 상기 수용체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대상자로부터 유입된 타액을 상기 수용체 내로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상부가 개방된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체 내로 삽입되어 상기 수용체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내부 파이프; 상기 내부 파이프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고 상기 내부 파이프 보다 더 큰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용체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외부 파이프; 상기 내부 파이프 내에서 상기 수용체의 바닥을 향한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부 파이프 보다 상기 바닥에 가깝도록 연장하는 길이를 갖는 가이드 핀; 상기 호퍼 및 상기 내부 파이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가이드 핀을 연결하여, 상기 내부 파이프가 한정하는 공간 내에 상기 가이드 핀을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 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 측에서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갈수록 상기 가이드 핀의 중심축 방향을 향해 좁아지는 폭을 가져서 상기 타액을 가이드 핀의 중심을 향해 유도하는 유도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제1 리브; 및 상기 제1 리브와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제2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제1 리브와 상기 제2 리브가 만나는 부분에서 상기 연장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분쇄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도 유닛은,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가이드 핀을 연결하고,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 내에 위치하는 제1 유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도 유닛은, 상기 가이드 핀에서 상기 제1 리브와 상기 제2 리브에 의해 한정된 공간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호퍼 및 상기 내부 파이프와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 유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유도 유닛에 대응하는 상부 영역; 및 상기 유도 유닛에 미대응하는 하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영역은, 상기 하부 영역 보다 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타액 수집 어댑터는, 수집 대상자로부터 토출된 타액을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연결되고, 수송 용기의 수용체 내로 삽입되어 상기 수용체의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내부 파이프; 상기 내부 파이프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고 상기 내부 파이프 보다 더 큰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용체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외부 파이프; 상기 내부 파이프가 한정하는 중공 공간에 상기 수용체의 바닥을 향한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부 파이프 보다 상기 바닥에 가깝도록 연장하는 길이를 갖는 가이드 핀; 상기 호퍼 및 상기 내부 파이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가이드 핀을 연결하여,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내부 파이프가 한정하는 공간 내에 고정 위치하게 하는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 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 측에서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갈수록 상기 가이드 핀의 중심축 방향을 향해 좁아지는 폭을 가져서 상기 타액을 가이드 핀의 중심을 향해 유도하는 유도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핀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핀의 중심축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1 리브; 및 상기 가이드 핀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리브와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제2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도 유닛은,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가이드 핀을 연결하고,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 내에 위치하는 제1 유도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핀에서 상기 제1 리브와 상기 제2 리브에 의해 한정된 공간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호퍼 및 상기 내부 파이프와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 유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타액 수집 어댑터는, 수집 대상자로부터 토출된 타액을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호퍼; 상기 타액이 수송 용기의 수용체 내로 낙하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호퍼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체와 결합되는 결합 유닛; 상기 결합 유닛이 한정하는 중공 공간에 상기 수용체의 바닥을 향한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결합 유닛 보다 상기 바닥에 가깝도록 연장하는 길이를 갖는 가이드 핀; 및 상기 호퍼 및 상기 결합 유닛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가이드 핀을 연결하여,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결합 유닛이 한정하는 공간 내에 위치하게 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핀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핀의 중심축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1 리브; 및 상기 가이드 핀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리브와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제2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에 의해, 상기 타액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과홀이 4개로 한정된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제1 리브와 상기 제2 리브가 만나는 부분에서 상기 연장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분쇄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브와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분쇄 돌기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연장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멀어지는 곡선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 측에서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갈수록 상기 가이드 핀의 중심축 방향을 향해 좁아지는 폭을 가져서 상기 타액을 가이드 핀의 중심을 향해 유도하는 유도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도 유닛은,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가이드 핀을 연결하고,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 내에 위치하는 제1 유도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핀에서 상기 제1 리브와 상기 제2 리브에 의해 한정된 공간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호퍼 및 상기 내부 파이프와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 유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유도 유닛에 대응하는 상부 영역; 및 상기 유도 유닛에 미대응하는 하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타액 수집용 키트 및 그에 사용되는 타액 수집 어댑터에 의하면, 수송 용기에 결합되는 어댑터는 내부 파이프와 외부 파이프 사이에 삽입되는 수용체의 상부와 결합됨에 의해, 호퍼를 통해 타액을 받아서 그를 내부 파이프를 거쳐 수용체로 안내하게 되는데, 그러한 안내는 가이드 핀과 그에 결합되는 유도 유닛에 의해 이루어지며, 가이드 핀은 고정 프레임에 의해 내부 파이프가 한정하는 공간 내에 위치 고정되며, 유도 유닛은 수용체를 향해 갈수록 가이드 핀의 중심축 방향을 향해 폭이 좁아지면서 타액이 가이드 핀의 중심축에 모여서 수용체의 보존 용액에 정확하게 낙하할 수 있게 하며, 그 낙하에 걸리는 시간도 단축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액 수집용 키트(100)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타액 수집 어댑터(200)를 단독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타액 수집 어댑터(200)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타액 수집 어댑터(200)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일 라인(Ⅴ-Ⅴ)을 따라 취한 타액 수집 어댑터(200)의 절단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액 수집용 키트 및 그에 사용되는 타액 수집 어댑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액 수집용 키트(100)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타액 수집용 키트(100)는 수송 용기(110)와 어댑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송 용기(110)는 수용체(111)와 마개(미도시)를 갖는다. 수용체(111)는 상부가 개방된 관체일 수 있다. 수용체(111)의 하부는 바닥에 의해 막혀 있어서,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 공간에는 보존 용액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마개가 수용체(1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보존 용액은 상기 수용 공간에 갇히게 된다.
어댑터(150)는 상기 마개가 제거된 수용체(111)의 상부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어댑터(150)는 타액 수집 대상자의 입에서 토출된 타액을 받아서 수용체(111)의 내부 공간으로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수송 용기(110)에서 마개를 제거한 후에 어댑터(150)를 수용체(111)에 결합시켜서, 대상자로부터 타액을 수집할 수 있다. 타액이 어댑터(150)에서 수용체(111)의 수용 공간 내로 전부 낙하하게 되면, 사용자는 어댑터(150)를 수용체(111)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이후에 어댑터(150)는 버려지고, 사용자는 수용체(111)의 상부를 상기 마개로 막는다. 사용자는 최종적으로 보존 용액에 타액이 섞인 수송 용기(110)를 확보하게 된다.
이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어댑터(15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서는, 편의상 어댑터에 대한 참조번호를 200으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도 2는 도 1의 타액 수집 어댑터(200)를 단독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어댑터(200)는, 호퍼(210), 결합 유닛(230), 그리고 가이드 핀(250)을 포함할 수 있다.
호퍼(210)는 대상자의 입에서 토출되는 타액을 받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진다. 이를 위하여, 호퍼(210)의 상부(211)는 하부(215) 보다는 넓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하부(215)의 단면적은 상부(211)에서 멀어질수록 점차로 작아질 수 있다. 그에 의해, 타액은 하부(215)의 하단을 향해 모여지게 된다.
결합 유닛(230)은 호퍼(210)의 하부(215)에 연결되어 수용체(111)의 상부와 결합하는 구성이다. 결합 유닛(230)은 대체로 파이프 형상을 가져서, 역시 파이프 형상을 갖는 수용체(111)의 상부를 감싸도록 그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 유닛(230)이 호퍼(210)를 수용체(111)에 대해 결합시킴에 의해, 상기 타액은 호퍼(210) 및 결합 유닛(230)을 거쳐서 수용체(111) 내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가이드 핀(250)은 결합 유닛(230) 내에서 수용체(111)의 바닥을 향한 연장 방향(E)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치되는 구성이다. 가이드 핀(250)은 연장 방향(E)을 따라 결합 유닛(230) 보다 돌출되어 상기 바닥에 보다 가깝도록 연장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타액 수집 어댑터(200)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어댑터(200)는 고정 프레임(270)과 유도 유닛(2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270)은 가이드 핀(250)을 결합 유닛(230)의 내부 공간에 설정된 일 위치에 고정적으로 위치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고정 프레임(270)은 호퍼(210)와 결합 유닛(230) 중 하나와 가이드 핀(250)을 구조적으로 연결한다.
고정 프레임(270)은, 구체적으로 제1 리브(271)와 제2 리브(2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브(271)와 제2 리브(275)는 서로 간에 교차, 구체적으로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제1 리브(271)와 제2 리브(275)가 만나는 부분은 가이드 핀(250)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리브(271)와 제2 리브(275)는 가이드 핀(250)의 중심축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제1 리브(271)와 제2 리브(275) 간의 배치 관계에 의해, 타액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과홀(239)은 4개로 한정될 수 있다. 제1 리브(271)와 제2 리브(275)가 만나는 부분에는 연장 방향(E)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분쇄 돌기(279)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분쇄 돌기(279)에 대하여, 제1 리브(271)와 제2 리브(275)는 그로부터 멀어질 수록 연장 방향(E)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멀어지는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유도 유닛(290)은 고정 프레임(270) 측에서 연장 방향(E)을 따라 갈수록 가이드 핀(250)의 중심축 방향을 향해 좁아지는 폭을 가져서 타액을 가이드 핀(250)의 중심을 향해 유도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유도 유닛(290)은 가이드 핀(250)에 연결되고, 필요에 따라 고정 프레임(27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의 결합 유닛(230) 및 유도 유닛(290)의 구체적 구성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타액 수집 어댑터(200)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일 라인(Ⅴ-Ⅴ)을 따라 취한 타액 수집 어댑터(200)의 절단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결합 유닛(230)은 내부 파이프(231)와 외부 파이프(235)로 구성될 수 있다. 내부 파이프(231)의 외경은 외부 파이프(235)의 내경보다 작아서, 내부 파이프(231)는 외부 파이프(235)에 의해 감싸지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로 인하여, 결합 유닛(230)이 수용체(111)와 결합된 경우에, 내부 파이프(231)는 수용체(111) 내로 삽입되어 수용체(111)의 내주면과 접촉하게 된다. 그와 달리, 외부 파이프(235)는 수용체(111)의 외주면과 접촉하게 된다. 수용체(111)의 상부가 내부 파이프(231)와 외부 파이프(235) 사이의 공간에 압입됨에 의해, 어댑터(200)와 수용체(111) 간의 결합이 간단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 파이프(231)는 호퍼(210)의 하부(215)에 연결된다. 나아가, 외부 파이프(235)는 내부 파이프(231) 보다 더 큰 길이를 가져서, 연장 방향(E)을 따라 내부 파이프(231)보다 돌출 형성된다. 외부 파이프(235)가 더 길게 형성됨에 의해, 사용자가 타액이 묻은 내부 파이프(231)와 접촉할 가능성은 매우 낮아진다.
유도 유닛(290)은 제1 유도 플레이트(291)와 제2 유도 플레이트(29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도 플레이트(291)는 제1 리브(271) 또는 제2 리브(275)와 가이드 핀(250)을 연결하는 삼각 플레이트이다. 제1 유도 플레이트(291)는 제1 리브(271) 또는 제2 리브(275)가 연장 방향(E)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 내에 위치하게 된다. 그에 반하여, 제2 유도 플레이트(295)는 가이드 핀(250)에서 제1 리브(271) 또는 제2 리브(275)에 의해 한정된 공간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제2 유도 플레이트(295)는 호퍼(210)나 내부 파이프(231)와 이격 형성된다. 그에 의해, 도 3과 같은 시선에서 볼 때, 제1 유도 플레이트(291)는 제1 리브(271) 또는 제2 리브(275)에 가려서 보이지 않으나, 제2 유도 플레이트(295)는 제1 리브(271) 또는 제2 리브(275)의 측방에서 보이게 된다.
이러한 유도 유닛(290)과의 관계에서, 가이드 핀(250)은 상부 영역(251)과 하부 영역(255)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부 영역(251)이 유도 유닛(290)에 대응하여 제1 유도 플레이트(291) 또는 제2 유도 플레이트(295)가 결합되는 부분이라면, 하부 영역(255)은 유도 유닛(290)에 미대응하는 영역이다. 그에 따라, 하부 영역(255)은 가이드 핀(250)이 그대로 드러나게 된다. 이러한 하부 영역(255)은 상부 영역(251) 보다는 작은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대상자로부터 토출된 타액은 주로는 결합 유닛(230)의 중심부인 제1 리브(271)와 제2 리브(275)이 만나는 부분에 낙하하게 될 것이다. 그러한 타액은 분쇄 돌기(279)에 의해 여러 갈래로 나뉘면서, 제1 리브(271)와 제2 리브(275) 그리고 제2 유도 플레이트(295)의 표면을 따라 연장 방향(E)으로 흘러내리 것이다.
그 과정에서, 타액은 제1 유도 플레이트(291)나 제2 유도 플레이트(295)를 따라 연장 방향(E)으로 이동하면서, 제1 유도 플레이트(291)와 제2 유도 플레이트(295)의 형상에 의해 가이드 핀(250)의 중심축을 향해 모이게 된다.
최종적으로 타액은 가이드 핀(250)의 하부 영역(255)으로 집중되면서, 수용체(111)의 중심부를 향해 낙하하게 된다. 그 결과, 타액은 수용체(111)의 내주면에 묻거나 하지 않고, 수용체(111)에 수용된 보존 용액에 제대로 섞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고정 프레임(270)은 제1 리브(271)와 제2 리브(275)가 가느다란 형상을 가진 채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기에, 그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통과홀(239)가 과도하게 작아지지 않는다. 그 결과, 타액이 통과홀(239)을 통해 흘러내리는 시간이 지자치게 오래 걸리게 되는 일이 없어진다.
상기와 같은 타액 수집용 키트 및 그에 사용되는 타액 수집 어댑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타액 수집용 키트 110: 수송 용기
111: 수용체 150,200: 어댑터
210: 호퍼 230: 결합 유닛
231: 내부 파이프 235: 외부 파이프
250: 가이드 핀 270: 고정 프레임
271: 제1 리브 275: 제2 리브
279: 분쇄 돌기 290: 유도 유닛
291: 제1 유도 플레이트 295: 제2 유도 플레이트

Claims (12)

  1. 내부에 보존 용액을 수용하는 수용체를 구비하는 수송 용기; 및
    상기 수용체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대상자로부터 유입된 타액을 상기 수용체 내로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상부가 개방된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체 내로 삽입되어 상기 수용체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내부 파이프;
    상기 내부 파이프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고 상기 내부 파이프 보다 더 큰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용체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외부 파이프;
    상기 내부 파이프 내에서 상기 수용체의 바닥을 향한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부 파이프 보다 상기 바닥에 가깝도록 연장하는 길이를 갖는 가이드 핀;
    상기 호퍼 및 상기 내부 파이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가이드 핀을 연결하여, 상기 내부 파이프가 한정하는 공간 내에 상기 가이드 핀을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 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 측에서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갈수록 상기 가이드 핀의 중심축 방향을 향해 좁아지는 폭을 가져서 상기 타액을 가이드 핀의 중심을 향해 유도하는 유도 유닛을 포함하는, 타액 수집용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제1 리브; 및
    상기 제1 리브와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제2 리브를 포함하는, 타액 수집용 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제1 리브와 상기 제2 리브가 만나는 부분에서 상기 연장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분쇄 돌기를 더 포함하는, 타액 수집용 키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유닛은,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가이드 핀을 연결하고,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 내에 위치하는 제1 유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타액 수집용 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유닛은,
    상기 가이드 핀에서 상기 제1 리브와 상기 제2 리브에 의해 한정된 공간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호퍼 및 상기 내부 파이프와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 유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타액 수집용 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유도 유닛에 대응하는 상부 영역; 및
    상기 유도 유닛에 미대응하는 하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영역은,
    상기 하부 영역 보다 큰 길이를 갖는, 타액 수집용 키트.
  7. 수집 대상자로부터 토출된 타액을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연결되고, 수송 용기의 수용체 내로 삽입되어 상기 수용체의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내부 파이프;
    상기 내부 파이프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고 상기 내부 파이프 보다 더 큰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용체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외부 파이프;
    상기 내부 파이프가 한정하는 중공 공간에 상기 수용체의 바닥을 향한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부 파이프 보다 상기 바닥에 가깝도록 연장하는 길이를 갖는 가이드 핀;
    상기 호퍼 및 상기 내부 파이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가이드 핀을 연결하여,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내부 파이프가 한정하는 공간 내에 고정 위치하게 하는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 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 측에서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갈수록 상기 가이드 핀의 중심축 방향을 향해 좁아지는 폭을 가져서 상기 타액을 가이드 핀의 중심을 향해 유도하는 유도 유닛을 포함하는, 타액 수집 어댑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핀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핀의 중심축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1 리브; 및
    상기 가이드 핀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리브와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제2 리브를 포함하는, 타액 수집 어댑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유닛은,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가이드 핀을 연결하고,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 내에 위치하는 제1 유도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핀에서 상기 제1 리브와 상기 제2 리브에 의해 한정된 공간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호퍼 및 상기 내부 파이프와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 유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타액 수집 어댑터.
  10. 수집 대상자로부터 토출된 타액을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호퍼;
    상기 타액이 수송 용기의 수용체 내로 낙하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호퍼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체와 결합되는 결합 유닛;
    상기 결합 유닛이 한정하는 중공 공간에 상기 수용체의 바닥을 향한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결합 유닛 보다 상기 바닥에 가깝도록 연장하는 길이를 갖는 가이드 핀; 및
    상기 호퍼 및 상기 결합 유닛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가이드 핀을 연결하여,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결합 유닛이 한정하는 공간 내에 위치하게 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핀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핀의 중심축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1 리브; 및
    상기 가이드 핀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리브와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제2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에 의해, 상기 타액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과홀이 4개로 한정된 내부 공간을 갖는, 타액 수집 어댑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제1 리브와 상기 제2 리브가 만나는 부분에서 상기 연장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분쇄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브와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분쇄 돌기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연장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멀어지는 곡선 형태를 이루는, 타액 수집 어댑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 측에서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갈수록 상기 가이드 핀의 중심축 방향을 향해 좁아지는 폭을 가져서 상기 타액을 가이드 핀의 중심을 향해 유도하는 유도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도 유닛은,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가이드 핀을 연결하고,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 내에 위치하는 제1 유도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핀에서 상기 제1 리브와 상기 제2 리브에 의해 한정된 공간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호퍼와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 유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유도 유닛에 대응하는 상부 영역; 및
    상기 유도 유닛에 미대응하는 하부 영역을 포함하는, 타액 수집 어댑터.
KR1020210020678A 2021-02-16 2021-02-16 타액 수집용 키트 및 그에 사용되는 타액 수집 어댑터 KR102526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678A KR102526467B1 (ko) 2021-02-16 2021-02-16 타액 수집용 키트 및 그에 사용되는 타액 수집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678A KR102526467B1 (ko) 2021-02-16 2021-02-16 타액 수집용 키트 및 그에 사용되는 타액 수집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052A KR20220117052A (ko) 2022-08-23
KR102526467B1 true KR102526467B1 (ko) 2023-04-28

Family

ID=83092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678A KR102526467B1 (ko) 2021-02-16 2021-02-16 타액 수집용 키트 및 그에 사용되는 타액 수집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4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436B1 (ko) * 2022-11-25 2023-04-10 경복대학교 산학협력단 기관절개관에 장착할 수 있는 비산 분비물 포집 및 처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44602A (zh) 2017-01-18 2017-05-10 广州新诚生物科技有限公司 集成式唾液采集器
CN109009238A (zh) 2018-08-14 2018-12-18 太仓合翔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一次性尿检容器及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491B1 (ko) * 2016-11-30 2021-05-17 씨아먼 지산 바이오테크 컴퍼니 엘티디 체액 수집기 및 체액 수집 방법
KR102100917B1 (ko) * 2018-04-23 2020-04-14 김경남 반응 웰 및 이를 이용한 검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44602A (zh) 2017-01-18 2017-05-10 广州新诚生物科技有限公司 集成式唾液采集器
CN109009238A (zh) 2018-08-14 2018-12-18 太仓合翔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一次性尿检容器及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052A (ko)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30311B2 (ja) 液状検体採取装置
US6328701B1 (en) Biopsy needle and surgical instrument
KR102526467B1 (ko) 타액 수집용 키트 및 그에 사용되는 타액 수집 어댑터
US20100204611A1 (en) Bone biopsy device
ES2410479T3 (es) Dispositivo para introducir muestras líquidas (trampas de coágulos)
US20120071789A1 (en) Oral Fluid Collection Device
US7214199B1 (en) Urine analysis collection kit for veterinary use
KR102580403B1 (ko)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
KR20190104300A (ko) 혈액 검사용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생리컵
EP4349270A1 (en) Container cap for storing specimen
US4301812A (en) Midstream sampling device
JP3178921U (ja) 尿採取キット
KR102179069B1 (ko) 생체 검사용 니들 가이드 장치
KR200391422Y1 (ko)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JP7174723B2 (ja) 流体収集ユニットならびに関連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KR102265307B1 (ko) 혈액 수집과 배출을 위한 유니트
CN218445531U (zh) 一种医学检测用的检测盒
IT201600119028A1 (it) Dispositivo migliorato per biopsia ossea
ES2529094T3 (es) Dispositivo de recogida y ensayo de fluido biológico
JP4807587B2 (ja) 微量液採取器具及びアダプタ
US20230135183A1 (en) Funnel shaped sample receiver
KR200484486Y1 (ko) 시료채취장치
KR200358332Y1 (ko) 검체물질채취용기
CN116685407A (zh) 显影剂溶液小瓶
AU2021355853A1 (en) Diagnostic kit in which detection device and sampling tool are integrat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