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917B1 - 반응 웰 및 이를 이용한 검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응 웰 및 이를 이용한 검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917B1
KR102100917B1 KR1020180046824A KR20180046824A KR102100917B1 KR 102100917 B1 KR102100917 B1 KR 102100917B1 KR 1020180046824 A KR1020180046824 A KR 1020180046824A KR 20180046824 A KR20180046824 A KR 20180046824A KR 102100917 B1 KR102100917 B1 KR 102100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reaction
analyte
inlet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3091A (ko
Inventor
김경남
Original Assignee
김경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남 filed Critical 김경남
Priority to KR1020180046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917B1/ko
Publication of KR20190123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594Quality control, including calibration or testing of components of the analyser
    • G01N35/00613Quality control
    • G01N35/00623Quality control of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4Process control and prevention of e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48Specific forms of parts of contai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2035/00178Special arrangements of analysers
    • G01N2035/00277Special precautions to avoid contamination (e.g. enclosures, glove- boxes, sealed sample carriers, disposal of contaminated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화학적 반응 또는 생물 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반응 웰 및 이를 이용한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석 대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상방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미반응 분석 대상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방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분석 대상물과 반응될 수 있는 반응체가 고정될 수 있는 반응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응 웰 및 이를 이용한 검사 시스템{Analysis well and test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응 웰 및 이를 이용한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화학적 반응 또는 생물 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반응 웰 및 이를 이용한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년 동안, 다양한 화학발광(chemiluminescence: CL) 방법이 개발되어 왔는데, 그 예로는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하는 효소면역분석법(enzyme immunoassay: ELIA), 화학발광성 화합물이 면역분석을 위한 추적자(tracer)로서 표지(labeling)에 이용되는 화학발광 면역분석법(chemiluminescence immunoassay: CLIA) 및 검출시 스템에서 화학발광성 화합물을 이용하여 효소의 활성을 고감도로 검출하는 화학발 광 효소 면역분석법(chemiluminescent enzyme immunoassay: CLEIA) 등이 있다.
이러한 면역분석법에서 항원 및 항체 등의 선택적인 반응(biospecific binding)을 통 해 분석물의 존재 및 농도를 확인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선택적인 반응을 하지 않는 물질은 신호 측정 이전에 세정을 통해서 제거한다.
이러한 세정을 통해서 배경 신호(background signal)를 낮춤으로써 신호의 민감도(sensitivity)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모세관력을 이용한 모세관 흐름(capillary-driven flow)은 외부의 펌프 없이도 표면 장력(surface tension)에 의해 유체가 자동적으로 흘러가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모세관 흐름을 이용하여 임신 진단 시약 등 간단한 일회용 면역분석 제품들 이 많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제품들의 대부분은 다공성 물질을 이용하여 모세관 흐름을 유도하고 두 번 이상의 세정을 수행할 수가 없다.
또한 미국등록특허 제6,271,040호는 다공성 물질을 이용하지 않고 미세유로 (microchannel)에서 모세관 흐름을 일으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제품 및 특허에서는 모세관력을 이용하고 있지만 시료용액 하나만으로 미세유체의 세정을 일으키고 있기 때문에 시료에 의한 배경신호를 제거하기 어렵다는 큰 단점이 있다.
이상에서 보듯이 아직까지 효과적인 세정에 대한 기술 개발이 미비한 상황 이고 많은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다. 따라서 반용 웰 내에서 유체제어를 이용한 세 정 방법이 간단하고 카트리지의 제조가 용이하면서, 반복 세정을 빠르고 간편하게 가능케 하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응 웰(Well) 내에 생화학 반응을 위한 유체제어가 간단하고 소자의 제조가 용이하면서 능동 펌프(Active Pump)에 의해 유체의 흐름, 정지, 세정이 제어되고, 세정의 회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반응 웰 및 이를 이용한 검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은,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유체 제어 소자로의 용액 전달이 간단하고, 전체 소자의 구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반응 웰 및 이를 이용한 검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반응 웰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석 대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상방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미반응 분석 대상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방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분석 대상물과 반응될 수 있는 반응체가 고정될 수 있는 반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투입구의 직경은 상기 배출구의 직경 보다 크고, 상기 반응부는, 상기 투입구에서 상기 배출구까지 연속적으로 직경이 작아질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깔때기 형상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반응부는, 반응 표면의 표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상기 경사면에 상기 배출구를 중심으로 방사 형상으로 형성되는 방사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반사 돌기부는, 상기 배출구와 연접하게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 1 각도로 형성되는 제 1 경사면부; 상기 제 1 경사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 2 각도로 형성되는 제 2 경사면부; 및 상기 제 2 경사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투입구와 연접하게 상기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 3 각도로 형성되는 제 3 경사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미반응된 분석 대상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 1 각도가 상기 제 2 각도 보다 크고, 상기 제 2 각도가 상기 제 3 각도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분석 대상물은, 생체 시료 또는 항원이고, 상기 반응체는, 생체 특이적인 결합을 유도할 수 있는 결합 유도 물질 또는 항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가 능동 펌프의 흡입 유로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배출구와 연결되는 짧은 파이프 형태의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는, 카트리지에 삽입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분주기로부터 상기 분석 대상물을 분주받기 용이하도록 상방에 상기 투입구가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 몸체; 및 상기 배출구를 통해 미반응된 상기 분석 대상물의 강제 배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상부 몸체의 하방에 전체적으로 깔때기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반응 웰을 이용한 검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석 대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상방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미반응 분석 대상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방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분석 대상물과 반응될 수 있는 반응체가 고정될 수 있는 반응부를 포함하는 반응 웰; 상기 반응 웰의 상기 투입구에 상기 분석 대상물을 공급하는 분주기; 및 상기 반응 웰의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미반응 분석 대상물을 강제 흡입하는 능동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반응 웰 내부의 세정이 적어도 1회 이상 반복적으로 면역 분석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경 신호를 낮춤으로써 신호의 민감도를 높일 수 있고 분석장치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생물 반응에서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반응 후 잔여물질(항원, 항체, 프로브 등)의 세정이 필요한 마이크로칩 기반의 분석 소자에 응용될 수 있고, 예컨대, 샌드위치 형태의 면역분석법(immunoassay)과 핵산 검출법(nucleotide detection) 등에서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으며, 능동 펌프에 의해 빠르고 간단한 세정이 가능하고, 세정 과정 동안에 세정용액을 제거하기 위한 추가적인 흡입 과정 없이 생화학적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반응 웰을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반응 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반응 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반응 웰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반응 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반응 웰의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반응 웰을 이용한 검사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따른 반응 웰 및 이를 이용한 검사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반응 웰(100)을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반응 웰(100)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반응 웰(100)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반응 웰(100)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반응 웰(100)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반응 웰(100)의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반응 웰(100)은, 크게 몸체부(10)와, 반응부(20) 및 연결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몸체부(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석 대상물(1) 또는 세척액이 투입될 수 있도록 상방에 투입구(10a)가 형성되고, 미반응 분석 대상물(2)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방에 배출구(10b)가 형성되는 일종의 통형 구조체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몸체부(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후술될 상기 반응부(20) 및 상기 연결부(30)와 함께 일체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서, 반응에 영향을 주지 않거나 영향이 작은 플라스틱이나 폴리머 재질 등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예컨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는, 카트리지(미도시)에 삽입되어 상기 투입구(10a)를 통해 분주기(200)로부터 상기 분석 대상물(1)을 분주받기 용이하도록 상방에 상기 투입구(10a)가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 몸체(11) 및 상기 배출구(10b)를 통해 미반응된 상기 분석 대상물(1)의 강제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방에 상기 배출구(10b)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몸체(11)의 하방에 전체적으로 깔때기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 몸체(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상부 몸체(11)와 상기 하부 몸체(12)는 일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석 대상물(1)의 분주는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충분한 반응 시간 후, 상기 미반응된 분석 대상물(2)의 배출은 천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투입구(10a)의 직경(D1)은 상기 배출구(10b)의 직경(D2) 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석 대상물(1)은 상기 투입구(10a)를 통해서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고, 일정한 반응 시간 후, 상기 배출구(10b)를 통해서 상기 몸체(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투입-반응-배출 등 일련의 과정은 반응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한 종류의 상기 분석 대상물에 대하여 예컨대, 3회 이상 등 복수회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응부(20)는, 상기 몸체부(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일부분으로서, 상기 분석 대상물(1)과 반응될 수 있는 반응체(3)가 고정될 수 있는 부분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반응부(20)는, 상기 투입구(10a)에서 상기 배출구(10b)까지 연속적으로 직경이 작아질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깔때기 형상의 경사면(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경사면(21)의 각도는 반복적인 시뮬레이션과 실험 결과, 대략 20도 내지 80도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배수성과 젖음성면에서 우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응부(20)는, 반응 표면의 표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상기 경사면(21)에 상기 배출구(10b)를 중심으로 방사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방사 돌기부(T)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방사 돌기부(T)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9개가 등각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이외에도 최소 3개부터 13개까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2개 이하인 경우, 표면적 증대 효과가 떨어지고, 14개 이상인 경우, 젖음성이 떨어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 돌기부(T)는, 상기 배출구(10b)와 연접하게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 1 각도(K1)로 형성되는 제 1 경사면부(T1)와, 상기 제 1 경사면부(T1)와 연결되고, 상기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 2 각도(K2)로 형성되는 제 2 경사면부(T2) 및 상기 제 2 경사면부(T2)와 연결되고, 상기 투입구(10a)와 연접하게 상기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 3 각도(K3)로 형성되는 제 3 경사면부(T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10b)를 통해 상기 미반응된 분석 대상물(1)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 1 각도(K1)가 상기 제 2 각도(K2) 보다 크고, 상기 제 2 각도(K2)가 상기 제 3 각도(K3) 보다 클 수 있다.
예컨대, 반복적인 시뮬레이션과 실험 결과, 상기 제 1 각도는 대략 80도 내지 90도일 수 있고, 상기 제 2 각도는 대략 60도 내지 80도일 수 있으며, 상기 제 3 각도는 대략 40도 내지 60도인 것이 배수성과 젖음성면에서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상기 분석 대상물(1)은, 생체 시료 또는 항원이고, 상기 반응체(3)는, 생체 특이적인 결합을 유도할 수 있는 결합 유도 물질 또는 항체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반응 웰(100)은, 상기 몸체(10)가 능동 펌프(300)의 흡입 유로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의 배출구(10b)와 연결되는 짧은 파이프 형태의 연결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반응 웰(100)의 구체적인 사용 방법을 설명하면, 반응 웰(100) 내에서 흡착 또는 생체특이적인 결합 등이 일어날 수 있는 결합유도물질을 IL-6 특이 항체 로 선정하여 표면에 고정한 것으로서, 예컨대, 0.1M MES(pH6.1)로 희석한 글루타알데히드(glutaraldehyde) 1% 농도, 30uL 시료용액을 이용하여 표면에 30분 동안 고정화 반응을 시킬 수 있다.
이어서, 그 다음 0.1M MES(pH6.1)로 구성된 세정용액 30uL를 이용하여 10분 동안 1회 세정할 수 있다. IL-6 특이 항체 10ug/mL, 30uL를 넣어주고 30분 동안 글루타알레히드와 IL-6 항체 사이의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이어서, 2% BSA, 0.05% TritonX100-0.1M Tris(pH7.6) 시료용액을 넣고 10분 동안 2회 반응시키고, 반응 웰(100) 내 표면에서 결합 하지 않은 글루타알데히드의 작용기(functional group)를 제거할 수 있다.
이어서, IL-6 항원을 분석하고자 하는 농도 별로 30uL씩 넣어주고 항체와의 결합이 30분 동안 일어나게 한다. 0.05% TritonX100- Tris(pH7.6)로 구성된 세정용액 30uL를 넣어주고 10분 동안 1회 세정할 수 있다.
이어서, 항체-바이오틴(biotin) 중 합체 2ug/mL, 30uL를 추가하고 30분 동안 생체특이적 결합을 유도한다. 다시 0.05% TritonX100- Tris(pH7.6)로 구성된 세정용액 30uL를 넣어주고 10분 동안 1회 세정할 수 있다.
이어서, 그 다음 스트렙타비딘-효소(streptavidin-HRP) 중합체 30uL를 추가하고 30분 동안 항체-바이오틴 중합체와 스트렙타비딘-효 소 중합체 사이에 생체특이적인 결합이 일어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0.05% TritonX100-Tris(pH7.6)로 구성된 세 정용액 30uL를 넣어주고 10분 간격으로 3회 세정하여, 결합하지 않은 스트렙타비딘-효소를 씻어 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효소(enzyme)와 반응하는 기질(substrate) 30uL를 넣고 15분 반응을 시키고 IL-6 항원의 양을 정량할 수 있다. 이때, 효소와 반응하는 기질의 종류에 따라 흡광, 형광, 화학발광과 같은 분석법이 결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반응 웰을 이용한 검사 시스템(1000)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반응 웰을 이용한 검사 시스템(10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석 대상물(1)이 투입될 수 있도록 상방에 투입구(10a)가 형성되고, 미반응 분석 대상물(2)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방에 배출구(10b)가 형성되는 몸체부(10) 및 상기 몸체부(10)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분석 대상물(1)과 반응될 수 있는 반응체(3)가 고정될 수 있는 반응부(20)를 포함하는 반응 웰(100)과, 상기 반응 웰(100)의 상기 투입구(10a)에 상기 분석 대상물(1)을 공급하는 분주기(200) 및 상기 반응 웰(100)의 상기 배출구(10b)와 연결되어 상기 미반응 분석 대상물(2)을 강제 흡입하는 능동 펌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응 웰(100)은, 도 1 내지 도 6에 설명된 본 발명의 반응 웰(100)과 그 구성과 역할이 동일 수 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응 웰(100) 내부의 세정이 적어도 1회 이상 반복적으로 면역 분석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경 신호를 낮춤으로써 신호의 민감도를 높일 수 있고 분석장치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생물 반응에서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반응 후 잔여물질(항원, 항체, 프로브 등)의 세정이 필요한 마이크로칩 기반의 분석 소자에 응용될 수 있고, 예컨대, 샌드위치 형태의 면역분석법(immunoassay)과 핵산 검출법(nucleotide detection) 등에서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으며, 능동 펌프에 의해 빠르고 간단한 세정이 가능하고, 세정 과정 동안에 세정용액을 제거하기 위한 추가적인 흡입 과정 없이 생화학적 분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분석 대상물
2: 미반응된 분석 대상물
3: 반응체
10: 몸체부
10a: 투입구
10b: 배출구
11: 상부 몸체
12: 하부 몸체
20: 반응부
21: 경사면
T: 방사 돌기부
T1: 제 1 경사면부
T2: 제 2 경사면부
T3: 제 3 경사면부
K1: 제 1 각도
K2: 제 2 각도
K3: 제 3 각도
30: 연결부
100: 반응 웰
200: 분주기
300: 능동 펌프
1000: 반응 웰을 이용한 검사 시스템

Claims (8)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석 대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상방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미반응 분석 대상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방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분석 대상물과 반응될 수 있는 반응체가 고정될 수 있는 반응부;
    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구의 직경은 상기 배출구의 직경 보다 크고,
    상기 반응부는,
    상기 투입구에서 상기 배출구까지 연속적으로 직경이 작아질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깔때기 형상의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반응부는, 반응 표면의 표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상기 경사면에 상기 배출구를 중심으로 방사 형상으로 형성되는 방사 돌기부가 형성되는, 반응 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돌기부는,
    상기 배출구와 연접하게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 1 각도로 형성되는 제 1 경사면부;
    상기 제 1 경사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 2 각도로 형성되는 제 2 경사면부; 및
    상기 제 2 경사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투입구와 연접하게 상기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 3 각도로 형성되는 제 3 경사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미반응된 분석 대상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 1 각도가 상기 제 2 각도 보다 크고, 상기 제 2 각도가 상기 제 3 각도 보다 큰, 반응 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대상물은, 생체 시료 또는 항원이고, 상기 반응체는, 생체 특이적인 결합을 유도할 수 있는 결합 유도 물질 또는 항체인, 반응 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가 능동 펌프의 흡입 유로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배출구와 연결되는 짧은 파이프 형태의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반응 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카트리지에 삽입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분주기로부터 상기 분석 대상물을 분주받기 용이하도록 상방에 상기 투입구가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 몸체; 및
    상기 배출구를 통해 미반응된 상기 분석 대상물의 강제 배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상부 몸체의 하방에 전체적으로 깔때기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 몸체;
    를 포함하는, 반응 웰.
  8.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석 대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상방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미반응 분석 대상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방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분석 대상물과 반응될 수 있는 반응체가 고정될 수 있는 반응부를 포함하는 반응 웰;
    상기 반응 웰의 상기 투입구에 상기 분석 대상물을 공급하는 분주기; 및
    상기 반응 웰의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미반응 분석 대상물을 강제 흡입하는 능동 펌프;
    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구의 직경은 상기 배출구의 직경 보다 크고,
    상기 반응부는,
    상기 투입구에서 상기 배출구까지 연속적으로 직경이 작아질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깔때기 형상의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반응부는, 반응 표면의 표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상기 경사면에 상기 배출구를 중심으로 방사 형상으로 형성되는 방사 돌기부가 형성되는, 반응 웰을 이용한 검사 시스템.
KR1020180046824A 2018-04-23 2018-04-23 반응 웰 및 이를 이용한 검사 시스템 KR102100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824A KR102100917B1 (ko) 2018-04-23 2018-04-23 반응 웰 및 이를 이용한 검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824A KR102100917B1 (ko) 2018-04-23 2018-04-23 반응 웰 및 이를 이용한 검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091A KR20190123091A (ko) 2019-10-31
KR102100917B1 true KR102100917B1 (ko) 2020-04-14

Family

ID=68421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824A KR102100917B1 (ko) 2018-04-23 2018-04-23 반응 웰 및 이를 이용한 검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9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852B1 (ko) * 2020-11-23 2023-08-24 (주)마이크로디지탈 반응 웰 스트립
KR102526467B1 (ko) * 2021-02-16 2023-04-28 에이치엘비생명과학(주) 타액 수집용 키트 및 그에 사용되는 타액 수집 어댑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0397A (ja) 2012-08-03 2014-02-20 Toppan Printing Co Ltd 多孔質フィルターカラム、試薬カートリッジ、および核酸精製キット
JP2015195784A (ja) 2014-04-03 2015-11-09 凸版印刷株式会社 多孔質フィルターカラム、試薬カートリッジ及び核酸抽出キ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214944D1 (de) * 2001-05-29 2011-04-21 Tecan Trading Ag Mikroplatte zum Bearbeiten von Proben
KR102186835B1 (ko) * 2014-11-03 2020-12-04 주식회사 람다트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0397A (ja) 2012-08-03 2014-02-20 Toppan Printing Co Ltd 多孔質フィルターカラム、試薬カートリッジ、および核酸精製キット
JP2015195784A (ja) 2014-04-03 2015-11-09 凸版印刷株式会社 多孔質フィルターカラム、試薬カートリッジ及び核酸抽出キ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091A (ko)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42444B2 (en) Reaction vessel
CA2021587C (en) Automated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solid-phase diagnostic assay
US5006309A (en) Immunoassay device with liquid transfer between wells by washing
US9827563B2 (en) Fluidic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ses
US11931734B2 (en) Lateral-flow assay device having flow constrictions
JP5479417B2 (ja) 制御流れアッセイ装置及び方法
JP5129896B2 (ja) サンプル・プレート
US4111754A (en) Immunological testing devices and methods
FI87279B (fi) Medel foer testning av naervaron av en analyt i en vaetska.
CN106796232B (zh) 具有过滤流控制的侧向流测定装置
CN1008403B (zh) 免疫测定方法和装置
WO1999046591A2 (en) Integrated assay device and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
JPH03223674A (ja) 反応容器
JP3680090B2 (ja) 分析装置
CN103212454B (zh) 具有可控样品大小的测定装置
JPS6260068B2 (ko)
KR102100917B1 (ko) 반응 웰 및 이를 이용한 검사 시스템
JP3908272B2 (ja) リガンドの検出のための固相アッセイ
US5427739A (en) Apparatus for performing immunoassays
KR102160442B1 (ko) 반응웰 카트리지 장치 및 반응웰 카트리지 시스템
US5198368A (en) Methods for performing a solid-phase immunoassay
EP2975407B1 (en) Examination kit
KR102569852B1 (ko) 반응 웰 스트립
CN109174788A (zh) 微球清洗芯片及包含其的微球清洗装置
CN216856755U (zh) 一种用于免疫检测的微流控芯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