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151B1 - 파이프 자동 압착 설비 - Google Patents

파이프 자동 압착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151B1
KR102252151B1 KR1020190174825A KR20190174825A KR102252151B1 KR 102252151 B1 KR102252151 B1 KR 102252151B1 KR 1020190174825 A KR1020190174825 A KR 1020190174825A KR 20190174825 A KR20190174825 A KR 20190174825A KR 102252151 B1 KR102252151 B1 KR 102252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pes
unit
stacking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인
김주화
강훈효
양윤식
전의식
Original Assignee
대일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일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일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4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1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7/00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1D17/02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pressing
    • B21D17/025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pressing by pressing tubes 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6Feeding elongated articles, such as tub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27Combined feeding and ejec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0Storage arrangements; Piling or unp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자동 압착 설비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 공급기는 피가공 파이프들을 적치한 상태에서 내부 바닥 경사면에 의해 파이프를 자중에 의해 배출구로 순차 이송시켜 배출하는 적치함과, 적치함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파이프를 전달받아 상방으로 순차 이송하는 캐러셀과, 캐러셀로부터 파이프를 전달받아 적치하는 적치 유닛을 구비한다. 파이프 투입기는 적치 유닛으로부터 파이프를 1개씩 전달받아 안착하는 투입대와, 투입대에 안착된 파이프를 압착 가공 영역으로 수평 이송시켜 투입하는 투입 유닛을 구비한다. 파이프 압착기는 투입 유닛으로부터 투입된 파이프를 안착하는 가공대와, 가공대에 안착된 파이프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이격된 상태로부터 근접함에 따라 해당 파이프를 압착 가공하는 압착 금형들과, 가공 완료된 파이프를 가공대로부터 배출하는 배출 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파이프 자동 압착 설비{Equipment for crimping pipe automatically}
본 발명은 파이프 자동 압착 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트쿠션 프레임 등에 채용되는 파이프를 자동으로 압착하는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 앞쪽과 뒤쪽에 시트가 설치된다. 시트는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과, 탑승자의 엉덩이와 허벅지를 지지하는 시트쿠션으로 구성된다. 시트는 탑승객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도록 여러 가지 편의 기능을 갖추게 된다.
이러한 편의 기능으로서, 탑승객의 체형에 따라 시트쿠션을 앞뒤로 밀고 당겨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딩(sliding) 기능, 시트백을 시트쿠션에 대해 각도 조절할 수 있는 리클라이닝(reclining) 기능, 시트쿠션의 높이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하는 높이조절(height adjusting) 기능 등이 있다.
한편, 시트쿠션 프레임은 사이드 프레임들이 파이프에 의해 후방 부위끼리 연결되고, 사이드 프레임과 파이프에 토션 스프링이 조립되어 구성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은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시 작동력을 탄성력에 의해 보조한다. 파이프는 토션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압착부를 가질 필요가 있다.
그런데, 파이프에 압착부를 성형하기 위해 수작업으로 압착 가공할 경우, 작업 효율 및 정확성이 떨어지므로, 파이프를 압착 가공하기 위한 전반적인 공정을 자동화하여 작업 효율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8408호(2019. 05. 09.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파이프를 압착 가공하기 위한 전반적인 공정을 자동화하여 작업 효율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파이프 자동 압착 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자동 압착 설비는 파이프 공급기와, 파이프 투입기와, 파이프 압착기, 및 배출함을 포함한다. 파이프 공급기는 피가공 파이프들을 뉘어서 수평 배열시켜 적치한 상태에서 내부 바닥 경사면에 의해 파이프를 자중에 의해 배출구로 순차 이송시켜 배출하는 적치함과, 적치함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파이프를 전달받아 상방으로 순차 이송하는 캐러셀(carousel)과, 캐러셀로부터 파이프를 전달받아 적치하는 적치 유닛을 구비한다. 파이프 투입기는 적치 유닛으로부터 파이프를 1개씩 전달받아 안착하는 투입대와, 투입대에 안착된 파이프를 압착 가공 영역으로 수평 이송시켜 투입하는 투입 유닛을 구비한다. 파이프 압착기는 투입 유닛으로부터 압착 가공 영역으로 투입된 파이프를 안착하는 가공대와, 가공대에 안착된 파이프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이격된 상태로부터 근접함에 따라 해당 파이프를 압착 가공하는 압착 금형들과, 압착 금형들을 상호 이격 또는 근접시키는 금형 이동 유닛과, 가공 완료된 파이프를 가공대로부터 배출하는 배출 유닛을 구비한다. 배출함은 배출 유닛으로부터 낙하하는 파이프를 담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이프를 압착 가공하기 위한 전반적인 공정을 자동화하여 작업 효율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자동 압착 설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파이프 공급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파이프 공급기에 의해 파이프가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어서, 파이프 투입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파이프 투입기에 의해 파이프가 투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있어서, 파이프 압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파이프 압착기에 의해 파이프가 압착 가공되고, 압착 가공된 파이프가 배출되는 과정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자동 압착 설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파이프 공급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파이프 공급기에 의해 파이프가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어서, 파이프 투입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파이프 투입기에 의해 파이프가 투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있어서, 파이프 압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파이프 압착기에 의해 파이프가 압착 가공되고, 압착 가공된 파이프가 배출되는 과정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자동 압착 설비는 파이프 공급기(100)와, 파이프 투입기(200)와, 파이프 압착기(300), 및 배출함(400)을 포함한다.
파이프 공급기(100)는 적치함(110)과, 캐러셀(carousel, 120)과, 적치 유닛(130)을 구비한다. 적치함(110)은 피가공 파이프(10)들을 뉘어서 수평 배열시켜 적치한 상태에서 내부 바닥 경사면(111)에 의해 파이프(10)를 자중에 의해 배출구(112)로 순차 이송시켜 배출한다.
적치함(110)은 내부 공간을 갖고 상측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적치함(110)은 피가공 파이프(10)들을 상측 개구를 통해 내부 공간으로 제공받아서 동일한 자세로 뉘어서 수평 배열시켜 적치할 수 있다. 적치함(110)의 배출구(112)는 캐러셀(120)을 향한 면의 최하측에 파이프(10)를 1개만 배출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적치함(110)은 적치된 파이프(10)의 길이 방향으로 내부 폭을 조절하는 폭 조절기구(116)를 포함할 수 있다. 폭 조절기구(116)는 파이프(10)의 길이가 변경되더라도, 파이프(10)의 길이에 맞게 적치함(110)의 내부 폭을 조절함으로써, 적치된 파이프(10)들을 정렬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폭 조절기구(116)는 수직 조절판(117)과, 조절판 가이드(118)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조절판(117)은 적치함(110) 내에서 적치된 파이프(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적치함(110)의 내부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수직 조절판(117)은 파이프(10)의 길이에 맞게 파이프(10)의 한쪽 단에 근접하도록 이동함에 따라 파이프(10)를 정렬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조절판 가이드(118)는 수직 조절판(117)의 이동을 안내한다.
조절판 가이드(118)는 가이드봉(118a)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봉(118a)들은 수평 배치되어 한쪽 단이 수직 조절판(117)에 고정된 상태로 적치함(110)을 관통함으로써, 수직 조절판(117)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봉(118a)의 한쪽 단은 고정 부시(118b)를 매개로 고정되고, 가이드봉(118a)의 다른쪽 단은 가이드 부시(118c)를 매개로 슬라이드 안내될 수 있다.
적치함(110)은 카트(113)에 장착되어, 피가공 파이프(10)들의 보관 장소와 파이프 자동 압착 설비의 공급 위치 간에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카트(113)는 하측에 바퀴들을 갖고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캐러셀(120)은 적치함(110)의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파이프(10)를 전달받아 상방으로 순차 이송한다. 캐러셀(120)은 포크(fork, 121)들과 포크 이동기구(122)를 포함할 수 있다. 포크(121)들은 1조씩 파이프(1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상하측에서 방향 전환되는 무한궤도로 주행함으로써, 적치함(110)의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파이프(10)를 전달받아 상방으로 순차 이송할 수 있다.
각 조의 포크(121)들은 상측에서 방향 전환되면서 뒤집어짐에 따라 해당 파이프(10)를 적치 유닛(130)으로 보내게 된다. 포크(121)는 파이프(10)를 얹은 상태에서 끝 부위가 파이프(10)를 일부 감싸도록 구부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포크(121)가 적치함(110)의 배출구(112)로부터 상측으로 파이프(10)를 안정되게 이송할 수 있다.
포크 이동기구(122)는 회전 모터(123)와, 한 쌍의 구동 스프로킷(124)들과, 한 쌍의 중동 스프로킷(125)들과, 한 쌍의 체인(126)들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모터(123)는 몸체에 캐러셀 지지대(120a)에 지지된 상태로 구동축을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캐러셀 지지대(120a)는 설비 프레임(500)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회전 모터(123)는 파이프 자동 압착 설비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반(600)에 의해 구동 제어될 수 있다.
구동 스프로킷(124)들은 파이프(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캐러셀 지지대(120a)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 모터(123)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한다. 종동 스프로킷(125)들은 구동 스프로킷(124)들로부터 각각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파이프(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캐러셀 지지대(120a)에 지지된다.
각각의 체인(126)은 구동 스프로킷(124)과 종동 스프로킷(125)에 걸쳐져 구동 스프로킷(124)의 회전에 따라 무한궤도로 주행한다. 체인(126)은 주행 방향을 따라 포크(121)들을 고정해서 지지함으로써, 포크(121)들을 무한궤도로 주행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체인(126) 대신에 벨트가 이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스프로킷(124, 125) 대신에 풀리가 이용될 수 있다.
적치 유닛(130)은 캐러셀(120)로부터 파이프(10)를 전달받아 적치한다. 적치 유닛(130)은 적치대(131)와, 이송 리프터(136)를 포함할 수 있다. 적치대(131)는 투입대(210)를 향한 선단 부위가 막힌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 바닥면(132)이 선단 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다. 적치대(131)는 캐러셀(120)로부터 후단으로 이송된 파이프(10)들을 자중에 의해 선단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적치대(131)는 양 옆이 막힌 형태로 이루어져 양 옆으로 파이프(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송 리프터(136)는 적치대(131)의 선단 쪽으로 이동한 파이프(10)를 들어올려 투입대(210)로 낙하시킨다. 이송 리프터(136)는 리프트 부재(137)들과, 승강 리니어 액추에이터(138)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부재(137)들은 적치대(131)의 후단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적치대(131)의 후단 부위를 상하로 관통하여 승강 동작한다.
리프트 부재(137)들은 적치대(131) 후단의 파이프(10)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된 상태로부터 상승함에 따라 해당 파이프(10)의 후단 부위를 밀어 올림에 따라 투입대(210)로 낙하시킬 수 있다. 리프트 부재(137)들은 각 하단이 연결 블록(139)에 고정되어 함께 승강 동작할 수 있다.
승강 리니어 액추에이터(138)는 연결 블록(139)을 승강시킴에 따라 리프트 부재(137)들을 승강시킬 수 있다. 적치대(131)는 후단에 파이프(10)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승강 리니어 액추에이터(138)는 위치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반(600)에 의해 구동 제어될 수 있다. 승강 리니어 액추에이터(138)는 리니어 모터나 실린더 등과 같은 다양한 리니어 액추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파이프 투입기(200)는 투입대(210)와, 투입 유닛(220)을 구비한다. 투입대(210)는 적치 유닛(130)으로부터 파이프(10)를 1개씩 전달받아 안착한다. 투입대(210)는 상측 부위로부터 함몰된 안착홈(211)을 가질 수 있다. 안착홈(211)은 파이프(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파이프(10)를 길이 방향으로 이송 안내할 수 있다. 투입대(210)는 적치대(131)를 향한 부위의 상단이 안착홈(211) 쪽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적치대(131)로부터 낙하하는 파이프(10)를 안착홈(211)으로 원활하게 진입시킬 수 있다.
투입대(210)는 승강 기구(212)에 의해 승강 동작할 수 있다. 투입대(210)는 승강 기구(212)에 의해 상사점으로 상승한 상태에서 이송 리프터(136)에 의해 낙하하는 파이프(10)를 전달받은 후, 하사점으로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투입대(210)는 적치대(131)로부터 낙하하는 파이프(10)를 안착홈(211)으로 안정되게 받을 수 있다. 승강 기구(212)는 이송 리프터(136)와 연계되어 동작하도록 제어반(600)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승강 기구(212)는 리니어 모터나 실린더 등과 같은 다양한 리니어 액추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투입 유닛(220)은 투입대(210)에 안착된 파이프(10)를 압착 가공 영역으로 수평 이송시켜 투입한다. 투입 유닛(220)은 가동 블록(221)과, 가동 블록용 액추에이터(222)와, 푸셔(223)와, 푸셔 위치조절기구(224)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 블록(221)은 투입대(210)의 길이 방향으로 수평 이동한다. 가동 블록(221)은 리니어 가이드(221a)에 의해 수평 이동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리니어 가이드(221a)는 가동 블록(221)에 고정되는 슬라이더와, 투입 브래킷(220a)에 고정되어 슬라이더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을 구비할 수 있다. 투입 브래킷(220a)은 설비 프레임(500)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가동 블록용 액추에이터(222)는 가동 블록(221)을 수평 이동시킨다. 투입대(210)는 안착홈(211) 쪽에 파이프(10)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가동 블록용 액추에이터(222)는 위치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반(600)에 의해 구동 제어될 수 있다. 가동 블록용 액추에이터(222)는 가동 블록(221)을 왕복시키는 스트로크가 파이프(10)의 길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가동 블록용 액추에이터(222)는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다양한 공지의 리니어 액추에이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푸셔(223)는 가동 블록(221)에 연결되어 가동 블록(221)에 의해 가공대(310) 쪽으로 수평 이동함에 따라 투입대(210)의 파이프(10)를 가공대(310)로 밀어서 이송한다. 푸셔 위치조절기구(224)는 가동 블록(221)의 이동 방향에 따라 가동 블록(221)에 대한 푸셔(223)의 위치를 조절한다. 푸셔(223)는 파이프(10)의 길이가 변경되더라도, 파이프(10)의 길이에 맞게 푸셔 위치조절기구(224)에 의해 파이프(10)에 근접되게 위치 조절될 수 있다.
푸셔 위치조절기구(224)는 스크류(224a)를 구비할 수 있다. 스크류(224a)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푸셔(223)의 장착블록(224b)을 관통한 상태로 가동 블록(221)에 나사 결합된다. 스크류(224a)는 가동 블록(221)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푸셔(223)를 가동 블록(221)에 대해 위치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잠금 볼트(미도시)는 푸셔(223)가 가동 블록(221)에 위치 조절된 상태에서 장착블록(224b)에 나사 결합되어 선단 부위가 스크류(224a)를 가압함으로써, 푸셔(223)를 스크류(224a)에 대해 잠금 처리할 수 있다.
파이프 압착기(300)는 가공대(310)와, 압착 금형(320)들과, 금형 이동 유닛(330)과, 배출 유닛(340)을 구비한다. 가공대(310)는 투입 유닛(220)으로부터 압착 가공 영역으로 투입된 파이프(10)를 안착한다. 가공대(310)는 상측 부위로부터 함몰된 안착홈(311)을 가질 수 있다. 안착홈(311)은 파이프(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파이프(10)를 길이 방향으로 제공받아서 지지할 수 있다.
가공대(310)는 배출 가이드(346)를 향한 상단이 안착홈(311) 쪽으로부터 배출 가이드(346) 쪽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배출 리프터(341)에 의해 낙하하는 파이프(10)를 배출 가이드(346)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압착 금형(320)들은 가공대(310)에 안착된 파이프(1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이격된 상태로부터 근접함에 따라 해당 파이프(10)를 압착 가공한다. 압착 금형(320)들은 해당 파이프(10)를 향한 각 부위에 압착 가공을 위한 성형틀을 갖는다.
금형 이동 유닛(330)은 압착 금형(320)들을 상호 이격 또는 근접시킨다. 금형 이동 유닛(330)은 압착 금형(320)들을 각각 승강 동작시키는 승강 리니어 액추에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 리니어 액추에이터는 유압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승강 리니어 액추에이터는 제어반(600)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파이프(10')의 압착 부위는 검사기(미도시)에 의해 불량 여부가 검사될 수 있다. 검사기는 파이프(10)의 내부를 통해 탐침자를 끼워서 파이프(10')의 압착 부위를 통과하는지 여부를 검사하거나, 카메라를 이용하여 파이프(10')의 압착 부위 외관을 검사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파이프 압착기(300)는 압착 위치조절유닛(350)을 포함할 수 있다. 압착 위치조절유닛(350)은 투입 유닛(220)으로부터 가공대(310)로 투입되는 파이프(10)의 압착 위치를 조절한다. 압착 위치조절유닛(350)은 가공대(310)로 투입되는 파이프(10)의 선단 위치를 규제함에 따라 압착 금형(320)들에 대한 파이프(10)의 압착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압착 위치조절유닛(350)은 규제 부재(351)들과, 승강 블록(352)과, 승강 가이드(353)와, 고정 부재(354)를 포함할 수 있다. 규제 부재(351)들은 가공대(310)의 선단으로부터 설정 거리별로 구비되어 상하로 배열된다. 규제 부재(351)들은 어느 하나가 가공대(310)의 선단과 마주하게 이동함에 따라 설정 거리에 따라 파이프(10)의 선단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10)는 선단이 해당 규제 부재(351)와 맞닿아 정지함에 따라 압착 금형(320)들에 대한 압착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승강 블록(352)은 규제 부재(351)들을 함께 고정한 상태로 승강 동작한다. 승강 가이드(353)는 승강 블록(352)의 승강을 안내한다. 승강 가이드(353)는 승강 블록(352)에 고정된 슬라이더와, 슬라이더를 끼워서 슬라이더의 승강을 안내하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블록(353a)은 레일을 고정한 상태로 설비 프레임에 고정된다.
고정 부재(354)는 승강 블록(352)을 승강 가이드(353), 즉 고정 블록(353a)에 고정하거나 해제될 수 있다. 고정 부재(354)는 승강 블록(352)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 블록(353a)을 가압하거나 해제함에 따라 승강 블록(352)을 고정 블록(353a)에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배출 유닛(340)은 가공 완료된 파이프(10')를 가공대(310)로부터 배출한다. 배출 유닛(340)은 배출 리프터(341)와, 배출 가이드(346)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리프터(341)는 가공 완료된 파이프(10')를 가공대(310)로부터 들어 올려서 배출함 쪽으로 낙하시킨다. 배출 리프터(341)는 리프트 부재(341a)들과, 승강 리니어 액추에이터(341b)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부재(341a)들 중 일부는 가공대(310)의 안착홈(311)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나머지는 가공대(310)의 양쪽에 배치되어 승강 동작한다. 리프트 부재(341a)들은 각각 가공대(310)의 파이프(10')와 대응되는 상면이 배출 가이드(346) 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프트 부재(341a)들은 가공대(310)의 파이프(10')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된 상태로부터 상승함에 따라 해당 파이프(10')를 경사진 상면으로 밀어 올림에 따라 배출 가이드(346)로 낙하시킬 수 있다. 리프트 부재(341a)들은 각 하단이 연결 블록(341c)에 고정되어 함께 승강 동작할 수 있다.
승강 리니어 액추에이터(341b)는 연결 블록(341c)을 승강시킴에 따라 리프트 부재(341a)들을 승강시킬 수 있다. 승강 리니어 액추에이터(341b)는 제어반(600)에 의해 구동 제어될 수 있다. 승강 리니어 액추에이터(341b)는 리니어 모터나 실린더 등과 같은 다양한 리니어 액추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배출 가이드(346)는 배출 리프터(341)에 의해 낙하하는 파이프(10')를 배출함(400)으로 안내한다. 배출 가이드(346)는 내부 공간을 갖고 상하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출 가이드(346)는 배출함(400)의 상측에 배치되어 설비 프레임(500)에 고정될 수 있다. 배출 가이드(346)는 가공대(310)에 인접한 상측 개구 주변으로부터 가공대(310) 쪽으로 경사져 연장된 가이드 판(347)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가공대(310)로부터 낙하한 파이프(10')는 가이드 판(347)의 경사진 상면을 따라 배출 가이드(346)의 내부 공간을 통과해서 배출함(400)에 담길 수 있다.
배출함(400)은 배출 유닛(340)으로부터 낙하하는 파이프(10')를 담는다. 배출함(400)은 내부 공간을 갖고 상측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배출함(400)은 배출 가이드(346)를 통과한 파이프(10')를 상측 개구를 통해 내부 공간에 담는다. 배출함(400)은 설비 프레임(500)의 안착대(510)에 분리 가능한 형태로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함(400)은 가공 완료된 파이프(10')들이 모두 채워지면 빈 배출함으로 손쉽게 교체될 수 있다.
전술한 파이프 자동 압착 설비에 의해 파이프를 압착 가공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규제 부재(351)들 중 어느 하나가 파이프(10)의 설정 압착 위치에 맞게 가공대(310)의 선단과 마주하도록 이동해서 대기한다. 푸셔(223)는 푸셔 위치조절기구(224)에 의해 피가공 파이프(10)의 길이에 맞게 가동 블록(221)에 대한 위치가 조절된다. 적치함(110)도 폭 조절기구(116)에 의해 피가공 파이프(10)의 길이에 맞게 내부 폭이 조절되어 파이프(10)들을 적치한다.
이 상태에서, 적치함(110)에 적치된 파이프(10)들은 자중에 의해 적치함(110)의 내부 바닥 경사면(111)을 따라 배출구(112)로 순차 이송되어 배출된다. 그러면, 캐러셀(120)은 적치함(110)의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파이프(10)를 전달받아 상방으로 순차 이송한다. 이때, 각 조의 포크(121)들이 적치함(110)의 배출구(112)로부터 파이프(10)를 전달받아 무한궤도로 주행하면서 상측에서 방향 전환되어 뒤집어짐에 따라 해당 파이프(10)를 적치대(131)로 보낸다.
그러면, 파이프(10)는 자중에 의해 적치대(131)의 내부 바닥 경사면(132)을 따라 적치대(131)의 선단 쪽으로 이송된다. 그러면, 이송 리프터(136)는 적치대(131)의 선단 쪽으로 이동한 파이프(10)를 들어올려 투입대(210)로 낙하시킨다. 이때, 투입대(210)는 승강 기구(212)에 의해 상사점으로 상승한 상태에서 이송 리프터(136)에 의해 낙하하는 파이프(10)를 전달받은 후 하사점으로 하강할 수 있다.
그러면, 푸셔(223)는 가동 블록용 액추에이터(222)에 의해 가공대(310) 쪽으로 수평 이동함에 따라 투입대(210)의 파이프(10)를 가공대(310)로 밀어서 이송한다. 이때, 가동대(310)로 투입된 파이프(10)의 선단은 해당 규제 부재(351)에 맞닿아 정지한 상태로 대기한다.
이 상태에서, 압착 금형(320)들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부터 금형 이동 유닛(330)에 의해 근접함에 따라 파이프(10)의 압착 위치에 맞게 파이프(10)를 압착 가공한 후 복귀한다. 압착 가공된 파이프(10')의 압착 부위는 검사기에 의해 불량 여부가 검사될 수 있다. 이후, 배출 리프터(341)는 가공 완료된 파이프(10')를 가공대(310)로부터 들어 올려서 배출 가이드(346)로 낙하시킨다. 그러면, 가공 완료된 파이프(10')는 배출 가이드(346)의 안내를 받아 배출함(400)에 담기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파이프 자동 압착 설비에 의하면, 파이프(10)를 압착 가공하기 위한 전반적인 공정을 자동화하여 작업 효율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파이프 공급기 110..적치함
116..폭 조절기구 120..캐러셀
121..포크 130..적치 유닛
131..적치대 136..이송 리프터
200..파이프 투입기 210..투입대
220..투입 유닛 221..가동 블록
222..가동 블록용 액추에이터 223..푸셔
224..푸셔 위치조절기구 300..파이프 압착기
310..가공대 320..압착 금형
330..금형 이동 유닛 340..배출 유닛
341..배출 리프터 346..배출 가이드
350..압착 위치조절유닛 351..규제 부재
400..배출함 500..설비 프레임
600..제어반

Claims (6)

  1. 피가공 파이프들을 뉘어서 수평 배열시켜 적치한 상태에서 내부 바닥 경사면에 의해 파이프를 자중에 의해 배출구로 순차 이송시켜 배출하는 적치함과, 상기 적치함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파이프를 전달받아 상방으로 순차 이송하는 캐러셀(carousel)과, 상기 캐러셀로부터 파이프를 전달받아 적치하는 적치 유닛을 구비하는 파이프 공급기;
    상기 적치 유닛으로부터 파이프를 1개씩 전달받아 안착하는 투입대와, 상기 투입대에 안착된 파이프를 압착 가공 영역으로 수평 이송시켜 투입하는 투입 유닛을 구비하는 파이프 투입기;
    상기 투입 유닛으로부터 압착 가공 영역으로 투입된 파이프를 안착하는 가공대와, 상기 가공대에 안착된 파이프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이격된 상태로부터 근접함에 따라 해당 파이프를 압착 가공하는 압착 금형들과, 상기 압착 금형들을 상호 이격 또는 근접시키는 금형 이동 유닛과, 가공 완료된 파이프를 상기 가공대로부터 배출하는 배출 유닛을 구비하는 파이프 압착기; 및
    상기 배출 유닛으로부터 낙하하는 파이프를 담는 배출함;을 포함하며,
    상기 적치함은,
    적치된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내부 폭을 조절하는 폭 조절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폭 조절기구는,
    상기 적치함 내에서 적치된 파이프의 길이에 맞게 파이프의 한쪽 단에 근접하도록 이동함에 따라 파이프를 정렬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수직 조절판과,
    상기 수직 조절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조절판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자동 압착 설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치 유닛은,
    상기 투입대를 향한 선단 부위가 막힌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 바닥면이 선단 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적치대와,
    상기 적치대의 선단 쪽으로 이동한 파이프를 들어올려 상기 투입대로 낙하시키는 이송 리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자동 압착 설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유닛은,
    상기 투입대의 길이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가동 블록과,
    상기 가동 블록을 수평 이동시키는 가동 블록용 액추에이터와,
    상기 가동 블록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 블록에 의해 상기 가공대 쪽으로 수평 이동함에 따라 상기 투입대의 파이프를 상기 가공대로 밀어서 이송하는 푸셔와,
    상기 가동 블록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가동 블록에 대한 푸셔의 위치를 조절하는 푸셔 위치조절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자동 압착 설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압착기는,
    상기 투입 유닛으로부터 상기 가공대로 투입되는 파이프의 압착 위치를 조절하는 압착 위치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자동 압착 설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닛은,
    가공 완료된 파이프를 상기 가공대로부터 들어 올려서 상기 배출함 쪽으로 낙하시키는 배출 리프터와,
    상기 배출 리프터에 의해 낙하하는 파이프를 상기 배출함으로 안내하는 배출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자동 압착 설비.
KR1020190174825A 2019-12-26 2019-12-26 파이프 자동 압착 설비 KR102252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825A KR102252151B1 (ko) 2019-12-26 2019-12-26 파이프 자동 압착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825A KR102252151B1 (ko) 2019-12-26 2019-12-26 파이프 자동 압착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151B1 true KR102252151B1 (ko) 2021-05-14

Family

ID=75915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825A KR102252151B1 (ko) 2019-12-26 2019-12-26 파이프 자동 압착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1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51663A (zh) * 2021-08-24 2021-12-07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扭杆轴镦粗工艺流程中的自动上料装置
KR102513030B1 (ko) * 2022-07-06 2023-03-23 (주)더블유티엠 회전토글 링크방식이 적용된 파이프용 포밍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311A (ko) * 2016-11-30 2018-06-08 (주)알가 자동 파이프 공급 장치
KR20190048408A (ko)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다스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311A (ko) * 2016-11-30 2018-06-08 (주)알가 자동 파이프 공급 장치
KR20190048408A (ko)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다스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51663A (zh) * 2021-08-24 2021-12-07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扭杆轴镦粗工艺流程中的自动上料装置
KR102513030B1 (ko) * 2022-07-06 2023-03-23 (주)더블유티엠 회전토글 링크방식이 적용된 파이프용 포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2151B1 (ko) 파이프 자동 압착 설비
CN106629138B (zh) 整垛箱体同步自动装车系统的使用方法
US20110132692A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vehicles onto conveyor
CN213568548U (zh) 一种装车码垛装置
KR102204679B1 (ko) 용기제품 포장장치
CN111498216A (zh) 一种侧推式装箱机及装箱方法
KR101933346B1 (ko) 이송물 적재장치 및 적재방법
CN114803532B (zh) 袋装货物重力拆垛机
ITBO20080696A1 (it) Dispositivo per la separazione di un bancale dal rispettivo carico
KR102263341B1 (ko) 톰슨박스 반전 공급장치
CN212355737U (zh) 一种自动装车码垛系统
US4030618A (en) Semi-automatic palletizer
KR102144948B1 (ko) 폐지 압축장치
CN210455414U (zh) 自动落箱设备
US7980383B2 (en) Apparatus for raising and lowering
CN218465012U (zh) 一种厢内码垛装置
CN111453066A (zh) 一种物料码垛整垛出料装置及其工作原理
US6952911B2 (en) Automatic case packaging system
KR200484482Y1 (ko) 박스 적재장치
KR100392389B1 (ko) 반도체디바이스 검사장치용 유저트레이 적재장치
CN215973816U (zh) 一种具备调节功能的自动上料设备
KR101201478B1 (ko) 마그네슘 잉곳 자동 공급장치
JP4424099B2 (ja) 荷支持昇降装置
KR102653523B1 (ko) 파렛트 승강작동에 의하여 제품 적재가 이루어지는 자동 적재장치
JP2502916B2 (ja) 物品搬送用のボックスマガジ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