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408A -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 - Google Patents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408A
KR20190048408A KR1020170143341A KR20170143341A KR20190048408A KR 20190048408 A KR20190048408 A KR 20190048408A KR 1020170143341 A KR1020170143341 A KR 1020170143341A KR 20170143341 A KR20170143341 A KR 20170143341A KR 20190048408 A KR20190048408 A KR 20190048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gear
gear
rivet
pressing
seat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0917B1 (ko
Inventor
이종순
허준영
배재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70143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917B1/ko
Publication of KR20190048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0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61Rods
    • B60N2/1615Parallelogram-lik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5Gear wheel driven mechan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6Racks
    • F16H55/28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 시트의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되고 높이 조정유닛과 연동하는 피니언기어,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고 시트의 이동레일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랙기어,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되되 상기 랙기어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랙기어를 상기 피니언기어에 가압되어 백래쉬를 방지하도록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여 용이하게 조립이 가능하고, 랙기어와 피니언기어 사이의 간격이 크고 작음에 무관하게 백래쉬 방지에 필요한 압력을 인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GAP ADJUSTING STRUCTURE FOR HIGHT ADJUSTING APPARATUS OF SEAT CUSION}
본 발명은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에서 랙기어와 피니언기어 사이에 존재하는 간격을 조절하는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실내에 설치되는 시트(Seat)는 탑승객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각종 부가기능을 구비하는 바, 일례로 탑승객의 체형이나 주변의 상황 등을 고려하여 착좌면을 형성하는 시트쿠션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고 당겨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딩(Sliding) 기능과, 시트쿠션의 높이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하는 높이조절(Height adjusting) 기능, 및 시트쿠션에 대한 시트백의 경사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리클라이닝(Reclining) 기능 등이 있다.
종래,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장치는 시트레일에 대해 시트쿠션을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시트쿠션에 대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바, 이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과 도 2를 참조로 하면, 차실내의 플로워패널에 고정레일(10)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레일(10)에 대해 이동레일(12)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동레일(12)의 전후방향 양단부에 각각 선회링크(14)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시트의 사이드 프레임(16)의 전후방향 양단부에 상기 선회링크(14)의 타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 프레임(16)의 외측에는 높이 조정유닛(18)이 설치되고, 상기 높이 조정유닛(18)의 피니언기어(20)에는 랙기어(22)가 치합되며, 상기 랙기어(22)의 회동단부는 상기 선회링크(14)와 함께 상기 이동레일(1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높이 조정유닛(18)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피니언기어(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공지의 구성으로, 세부적인 구성은 공개특허 제10-2012-0005084호 등에 자세히 공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높이 조정유닛(18)의 작동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20)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기어 사이의 치합에 의해 상기 랙기어(22)는 회전지점을 기준으로 경사각도를 달리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이동레일(12)에 대한 상기 사이드 프레임(16)의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피니언기어(20)와 상기 랙기어(22) 사이의 치합부위와 대향하는 상기 랙기어(22)의 상단부에는 롤러(24)가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롤러(24)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16)에 대해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 구조물(26)의 외부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롤러(24)는 소정의 압축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서 실린더 형상의 압축성 구조물에 해당하고, 상기 지지 구조물(26)은 리벳이나 스터드 볼트와 같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16)에 설치되는 고정형 구조물에 해당한다.
종래의 경우, 상기 피니언기어(20)와 상기 랙기어(22) 사이의 백래쉬가 설계값(예컨대 최대 0.25mm)으로 설정되면, 높이 조절장치가 작동할 때 상기 피니언기어(20)와 상기 랙기어(22) 사이의 치결합에 의한 간헐적 접촉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데, 이러한 소음의 정도는 백래쉬의 발생량과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백래쉬에 의한 소음의 발생은 상기 랙기어(22)와 상기 롤러(24) 사이의 오버랩(O)을 보다 크게 설정하여 백래쉬를 흡수함으로써 해소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피니언기어(20)와 상기 랙기어(22)사이의 백래쉬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랙기어(22)와 상기 롤러(24) 사이의 오버랩(O)을 크게 설정할 경우에는 상기 피니언기어(20)와 상기 랙기어(22)사이의 면압이 과다하게 상승하게 되므로, 높이 조절장치의 조립시 상기 피니언기어(20)와 상기 롤러(24)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랙기어(22)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후 높이 조절장치를 작동할 때 상기 피니언기어(20)와 상기 랙기어(22) 사이의 과도한 면압으로 인해 상기 높이 조정유닛(18)의 작동에 필요로 하는 조작력이 크게 요구되어 조작 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에서 상기 롤러(24)를 사용하는 방식에서는, 상기 피니언기어(20)와 상기 랙기어(22) 사이의 간격이 크면 백래쉬가 증가하고, 상기 피니언기어(20)와 상기 랙기어(22) 사이의 간격이 작으면 조립이 어렵고 조작에 어려움이 발생하므로, 보다 새로운 대처 방안의 강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공개특허 제10-2016-0057598호(2016.05.11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조립 및 조작이 용이하면서도 백래쉬를 감소시키는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는, 시트의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되고 높이 조정유닛과 연동하는 피니언기어,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고 시트의 이동레일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랙기어,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되되 상기 랙기어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랙기어를 상기 피니언기어에 가압되어 백래쉬를 방지하도록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되는 지지 리벳, 및 상기 지지 리벳과 결합되고 상기 랙기어과 접촉되며 상기 랙기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랙기어를 가압하도록 가압레일이 형성된 압력부재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압력부재는 상기 지지 리벳이 삽입되고 상기 랙기어의 이동 시 상기 랙기어를 누르는 압력이 변하도록 리벳수용부가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리벳수용부는 상기 지지 리벳의 상대이동에 따라 상기 랙기어를 누르는 압력이 변하도록 상기 가압레일을 기준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가압면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스토퍼는 상기 압력부재 및 상기 지지 리벳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랙기어의 이동 시 상기 랙기어를 누르는 압력이 증가되는 방향으로 상기 압력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형성된 가압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가압레일은 상기 랙기어와 면 접촉하도록 형성된 지지면부, 및 상기 랙기어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지지면부의 양 측 단부에서 상기 피니언기어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레일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지지면부는 마찰 손실을 방지하도록 윤활재가 도포되는 윤활홈이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에 의하면, 랙기어와 피니언기어 사이의 간격이 크고 작음에 무관하게 백래쉬 방지에 필요한 압력을 인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장치를 사이드 프레임의 외부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장치를 사이드 프레임의 내부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를 사이드 프레임의 내부에서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를 사이드 프레임의 외부에서 도시한 배면도,
도 5는 도 3에서 랙기어와 피니언기어 및 스토퍼의 결합 부분을 확대한 정면도,
도 6은 도 5에서 지지 리벳 및 가압스프링을 노출시킨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에서 압력부재 및 가압스프링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의 압력부재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의 압력부재의 저면도,
도 10은 시트쿠션 상승 조작 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의 작동 내용을 설명한 개념도,
도 11은 시트쿠션 하강 조작 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의 작동 내용을 설명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는, 피니언기어(100), 랙기어(200) 및 스토퍼(300)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300)는 지지 리벳(310), 압력부재(320) 및 가압스프링(3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피니언기어(100)는 시트의 사이드 프레임(1)에 설치된다(도 3 참조). 한편, 상기 피니언기어(100)는 높이 조정유닛(2)과 연동되도록 결합된다(도 4 참조). 즉, 상기 사이드 프레임(1)의 일측 면(내측 면)에는 상기 피니언기어(100)가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1)의 타측 면(외측 면)에는 상기 높이 조정유닛(2)이 배치되며, 상기 높이 조정유닛(2)과 상기 피니언기어(100)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1)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한편, 상기 피니언기어(100)에는 상기 랙기어(200)와 치합되도록 기어 이(투스)가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상기 랙기어(200)의 일 측 단부는 시트의 이동레일(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랙기어(200)의 일 측 단부는 상기 이동레일(3)과 축결합된다.
상기 랙기어(200)의 타 측은 상기 피니언기어(100) 및 상기 스토퍼(300) 사이에 끼워져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즉, 상기 랙기어(200)의 타 측에서 하측 면(차량의 바닥 방향)은 상기 피니언기어(100)와 치합되도록 기어 이가 형성되고, 상기 랙기어(200)의 타 측에서 상측 면(차량의 천장 방향)은 상기 스토퍼(300)에 의하여 가압되도록 상기 압력부재(320)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랙기어(200)는 상기 피니언기어(100)가 회전하면, 상기 피니언기어(100) 및 상기 스토퍼(300) 사이를 이동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 리벳(310)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1)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가압스프링(330)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지지 리벳(31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압력부재(320)에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수용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압력부재(320)는 상기 지지 리벳(310)과 결합되고, 상기 랙기어(200)와 접촉되도록 구비되되, 가압레일(321), 리벳수용부(323) 및 스프링수용홈(325)을 포함한다.
즉, 상기 가압레일(321)은 상기 압력부재(320)의 하측(차량의 바닥 방향) 면에 형성되고, 지지면부(321a), 레일가이드부(321b) 및 윤활홈(321c)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면부(321a)는 상기 랙기어(200)의 상측(차량의 천장 방향) 면과 면접촉되도록 평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레일가이드부(321b)는 상기 지지면부(321a)의 양 측(차량의 양 측면 방향) 단부에서 상기 피니언기어(100)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면부(321a)와 상기 레일가이드부(321b)로 형성된 홈에 상기 랙기어(200)의 상측(차량의 천장 방향) 면이 수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압레일(321)에는 상기 지지면부(321a)에서 상측(차량의 천장 방향)으로 윤활홈(321c)이 형성되고, 상기 윤활홈(321c)에는 윤활재가 도포된다.
상기 리벳수용부(323)는 상기 지지 리벳(310)이 수용되도록 홀 형태를 이루되, 가압면부(323a), 대경부(323b), 소경부(323c) 및 연결부(323d)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면부(323a)는 상기 가압레일(321)을 기준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가압면부(323a)는 빗면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에서 상기 가압면부(323a)의 기울기는 15도 이상, 25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대경부(323b)는 상기 가압면부(323a)와 연결되고, 곡면을 가진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대경부(323b)의 곡면은 상기 지지 리벳(310)의 반지름보다 큰 반지름(곡률 반지름)을 갖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소경부(323c)는 상기 가압면부(323a)와 연결되되, 상기 가압면부(323a)를 기준으로 상기 대경부(323b)의 반대 쪽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소경부(323c)는 상기 대경부(323b)의 반지름(곡률 반지름)보다 작고, 상기 지지 리벳(310)의 반지름과 같거나 작은 반지름(곡률 반지름)을 갖는다.
상기 연결부(323d)는 상기 대경부(323b) 및 상기 소경부(323c)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부(323d)는 상기 가압면부(323a)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가압면부(323a)는 상기 대경부(323b)와 연결되는 부분에서부터 높이(상기 가압레일(321)을 기준으로 한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지지 리벳(310)은 상기 압력부재(320)가 상기 랙기어(200)와 함께 이동할 경우 상기 대경부(323b)와 상기 소경부(323c) 사이에서 상대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되, 상기 가압면부(323a)를 따라 상대이동하면서 상기 압력부재(320)를 상기 피니언기어(100) 방향으로 가압시킨다.
상기 스프링수용홈(325)는 상기 대경부(323b)에서 함입되어 형성되되, 상기 가압스프링(330)이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압스프링(330)은 상기 지지 리벳(310) 및 상기 압력부재(320) 사이에 구비된다. 즉, 상기 가압스프링(330)은 상기 압력부재(320)의 상기 스프링수용홈(325)에 일측 단부가 수용되고, 상기 지지 리벳(310)에 타측 단부가 접촉된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시트쿠션의 상승 조작 시, 상기 피니언기어(100)가 회전하면서 회전력(FR)을 상기 랙기어(200)에 전달하고, 상기 랙기어(200)는 시트가 상승하도록 병진운동한다. 즉, 상기 랙기어(200)가 이동하는 힘(FU)에 의하여 차량의 시트(도면 미기재)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랙기어(200)와 접촉하고 있는 상기 압력부재(320)도 상기 랙기어(200)와의 마찰에 의하여 함께 이동한다. 그 결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1)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상기 지지 리벳(310)은 상기 가압면부(323a)를 누르게되고, 상기 지지 리벳(310)이 상기 지지면부(323a)를 누르는 힘(FP) 중에서 상기 랙기어(200)와 수직한 방향의 성분은(Fy) 상기 압력부재(320)가 상기 랙기어(200)를 누르는 힘이 된다. 또한, 상기 지지 리벳(310)이 상기 지지면부(323a)를 누르는 힘(FP) 중에서 상기 랙기어(200)와 나란한 방향의 성분은(Fx) 상기 지지 리벳(310)이 상기 가압면부(323a)를 따라 이동하는 힘이 된다. 그러므로 시트쿠션의 상승 조작 시에는 상기 압력부재(320)가 상기 랙기어(200)를 누르는 힘이 점차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랙기어(200)와 상기 피니언기어(100) 사이의 간격(공간)이 점차 감소하면서 백래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시트쿠션의 하강 조작 시, 상기 피니언기어(100)가 회전(상승 조작 시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하면서 회전력(FR)을 상기 랙기어(200)에 전달하고, 상기 랙기어(200)는 시트가 하강하도록 병진운동한다. 즉, 상기 랙기어(200)가 이동하는 힘(FD)에 의하여 차량의 시트(도면 미기재)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랙기어(200)와 접촉하고 있는 상기 압력부재(320)도 상기 랙기어(200)와의 마찰에 의하여 함께 이동한다. 그 결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1)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상기 지지 리벳(310)은 상기 대경부(323b) 방향으로 상대이동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압스프링(330)이 순간적으로 압축되었다가 상기 압력부재(320)에 탄성력(FE)을 인가하여 상기 압력부재(320)를 상기 랙기어(200)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지지 리벳(310)이 상기 지지면부(321a)를 누르도록 상대이동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쿠션의 하강 조작 시에도 상기 가압스프링(330)에 상기 압력부재(320)가 상기 랙기어(200)를 누르는 최소한의 힘을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리벳수용부(323)에서 상기 대경부(323b)의 내주면 직경(곡률 반지름)을 상기 지지 리벳(310)의 반지름보다 크게 형성시켜 상기 지지 리벳(310)이 상기 압력부재(320)에 용이하게 조립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압면부(323a)를 통하여 상기 압력부재(320)가 상기 랙기어(200)를 누르는 힘이 서서히 연속적으로 증가되므로, 상기 랙기어(200)와 상기 피니언기어(100) 사이의 간격이 크고 작음에 무관하게 백래쉬 방지에 필요한 압력을 인가시킬 수 있다. 또한, 높이 조절 시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조작력도 서서히 증가하므로 조작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사이드 프레임
2 : 높이 조정유닛
3 : 이동레일
100 : 피니언기어
200 : 랙기어
300 : 스토퍼
310 : 지지 리벳
320 : 압력부재
321 : 가압레일
323 : 리벳수용부
323a : 가압면부
323b : 대경부
323c : 소경부
330 : 가압스프링

Claims (7)

  1. 시트의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되고, 높이 조정유닛과 연동하는 피니언기어;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고, 시트의 이동레일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랙기어;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되되, 상기 랙기어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랙기어를 상기 피니언기어에 가압시켜 백래쉬를 방지하도록 형성된 스토퍼;
    를 포함하는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되는 지지 리벳; 및
    상기 지지 리벳과 결합되고, 상기 랙기어과 접촉되며, 상기 랙기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랙기어를 가압하도록 가압레일이 형성된 압력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부재는,
    상기 지지 리벳이 삽입되고, 상기 랙기어의 이동 시 상기 랙기어를 누르는 압력이 변하도록 리벳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수용부는,
    상기 지지 리벳의 상대이동에 따라 상기 랙기어를 누르는 압력이 변하도록 상기 가압레일을 기준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가압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압력부재 및 상기 지지 리벳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랙기어의 이동 시 상기 랙기어를 누르는 압력이 증가되는 방향으로 상기 압력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형성된 가압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레일은,
    상기 랙기어와 면 접촉하도록 형성된 지지면부; 및
    상기 랙기어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지지면부의 양 측 단부에서 상기 피니언기어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레일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부는,
    마찰 손실을 방지하도록 윤활재가 도포되는 윤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
KR1020170143341A 2017-10-31 2017-10-31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 KR102400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341A KR102400917B1 (ko) 2017-10-31 2017-10-31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341A KR102400917B1 (ko) 2017-10-31 2017-10-31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408A true KR20190048408A (ko) 2019-05-09
KR102400917B1 KR102400917B1 (ko) 2022-05-24

Family

ID=66545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341A KR102400917B1 (ko) 2017-10-31 2017-10-31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091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3381A (zh) * 2017-12-12 2018-04-20 湖北航嘉麦格纳座椅系统有限公司 座椅高度调节装置及座椅
KR102252151B1 (ko) 2019-12-26 2021-05-14 대일공업주식회사 파이프 자동 압착 설비
KR20210082659A (ko) 2019-12-26 2021-07-06 대일공업주식회사 파이프 압착기
CN113147530A (zh) * 2020-01-23 2021-07-23 安道拓工程技术知识产权有限公司 具有驱动装置的车辆座椅
KR20210121807A (ko) * 2020-03-31 2021-10-0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높이 조절 장치
FR3121645A1 (fr) * 2021-04-13 2022-10-14 Faurecia Sièges d'Automobile Mécanisme de réglage de la hauteur d’un châssis d’assise de siège de véhicul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3988A1 (en) * 2000-08-30 2002-02-28 Burkhard Becker Height-adjustable underframe of a vehicle seat with two side parts
KR20090118247A (ko) * 2008-05-13 2009-11-18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기어
KR20120083537A (ko) * 2011-01-17 2012-07-25 남양공업주식회사 랙바의 지지구조체
KR20150021662A (ko) * 2013-08-21 2015-03-03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기어의 유격 세팅 장치
KR20160057598A (ko) 2014-11-13 2016-05-24 주식회사 톨트리디자인 등수위조절수단, 이를 구비하는 벽면관수장치 및 관수시스템
KR20170062021A (ko) * 2015-11-27 2017-06-07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KR101744530B1 (ko) * 2016-05-11 2017-06-29 주식회사다스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오버랩 설정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3988A1 (en) * 2000-08-30 2002-02-28 Burkhard Becker Height-adjustable underframe of a vehicle seat with two side parts
KR20090118247A (ko) * 2008-05-13 2009-11-18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기어
KR20120083537A (ko) * 2011-01-17 2012-07-25 남양공업주식회사 랙바의 지지구조체
KR20150021662A (ko) * 2013-08-21 2015-03-03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기어의 유격 세팅 장치
KR20160057598A (ko) 2014-11-13 2016-05-24 주식회사 톨트리디자인 등수위조절수단, 이를 구비하는 벽면관수장치 및 관수시스템
KR20170062021A (ko) * 2015-11-27 2017-06-07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KR101744530B1 (ko) * 2016-05-11 2017-06-29 주식회사다스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오버랩 설정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3381A (zh) * 2017-12-12 2018-04-20 湖北航嘉麦格纳座椅系统有限公司 座椅高度调节装置及座椅
CN107933381B (zh) * 2017-12-12 2023-09-15 湖北中航精机科技有限公司 座椅高度调节装置及座椅
KR102252151B1 (ko) 2019-12-26 2021-05-14 대일공업주식회사 파이프 자동 압착 설비
KR20210082659A (ko) 2019-12-26 2021-07-06 대일공업주식회사 파이프 압착기
CN113147530A (zh) * 2020-01-23 2021-07-23 安道拓工程技术知识产权有限公司 具有驱动装置的车辆座椅
KR20210121807A (ko) * 2020-03-31 2021-10-0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높이 조절 장치
FR3121645A1 (fr) * 2021-04-13 2022-10-14 Faurecia Sièges d'Automobile Mécanisme de réglage de la hauteur d’un châssis d’assise de siège de véhic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0917B1 (ko)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8408A (ko)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
KR102402990B1 (ko) 차량용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EP2886929B1 (en) Locking device, supporting arm thereof and ultrasonic imaging system
JP6892356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及びそのサイドプロテクション幅の調整機構
JP2015116833A (ja) 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及び乗物用シート
WO2015001846A1 (ja) 回転動作制御機構及びシート
JP6572973B2 (ja) 乗物用シート
KR101361473B1 (ko) 충돌 방지 스위치의 스위치 작동 조절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의료용 진단기기용 테이블
JP5465410B2 (ja) 角度調節金具
KR20210067586A (ko) 차량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CN109070929A (zh) 用于转向柱组件的引导和限制单元子组件
JP6588025B2 (ja) 回転動作制御機構及びシート
CN110244537A (zh) 盖体开合装置及各种机器
KR20130039754A (ko) 차량 시트용 머리 받침대
CN110187623A (zh) 盖体开合装置及各种机器
CN212088877U (zh) 方便调节靠背角度的办公座椅
KR102142008B1 (ko) 자동차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JP5687781B2 (ja) 角度調節金具
CN105774490A (zh) 一种汽车车窗的卷帘驱动装置及其使用方法
CN212088875U (zh) 适用于限制转动副运动的锁止机构
JP2016078625A (ja) ヘッドレスト
JP5676296B2 (ja) 折り畳みテーブル装置
US20120175929A1 (en) Chair
KR101779758B1 (ko) 위성기어를 이용한 캠 타입 럼버 서포트 장치
CN217804431U (zh) 用于调节车辆座位部分框架高度的调节机构和车辆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