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523B1 - 파렛트 승강작동에 의하여 제품 적재가 이루어지는 자동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파렛트 승강작동에 의하여 제품 적재가 이루어지는 자동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523B1
KR102653523B1 KR1020190021414A KR20190021414A KR102653523B1 KR 102653523 B1 KR102653523 B1 KR 102653523B1 KR 1020190021414 A KR1020190021414 A KR 1020190021414A KR 20190021414 A KR20190021414 A KR 20190021414A KR 102653523 B1 KR102653523 B1 KR 102653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loading
unit
palle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2866A (ko
Inventor
윤성융
정명준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에스아이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에스아이 filed Critical (주)제이에스아이
Priority to KR1020190021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523B1/ko
Publication of KR20200102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5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16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 B65G57/20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three-dimensional, e.g. cubiform,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7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 B65G2814/0307Adding to the top the loading platform being lowered during stacking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라인에서 제품이 담겨진 박스가 이송된 후 적재할 때 파레트가 승강작동하면서 파레트 상단에 박스를 다층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품을 공급하기 위한 제품 공급부와, 파렛트를 공급하기 위한 파렛트 공급부와, 상기 제품 공급부에 의하여 공급된 제품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제품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에서 적재된 제품을 파렛트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제품 공급부는 제품을 상부로 견인하기 위한 투입승강대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부는 제품 공급부로 공급된 제품을 파렛트 공급부의 상단을 경유하여 적재부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파렛트 공급부의 상단에 배치되도록 하면서 제품을 안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송이 이루어지는 이송플레이트와 적재부의 상단에 도달한 상태에서 이송플레이트에 안착되어 있는 제품을 이송플레이트로부터 분리시켜 적재부에 안착시키기 위한 분리대를 형성하고, 상기 적재부는 파렛트 공급부로부터 파렛트를 낱개로 공급받도록 되고, 상,하로 승강 작동하면서 제품의 부피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하강하는 적재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적재플레이트가 하강하면서 제품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배출부를 통하여 제품이 파렛트에 적재된 상태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자동공급이 이루어지면서도 제품을 상부를 견인한 후 상단에서 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적재부에서 상부로 들어올려진 파렛트에 제품이 적재되고, 파렛트가 하강하면서 여러 층을로 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적재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배출부를 통하여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파렛트 승강작동에 의하여 제품 적재가 이루어지는 자동 적재장치{Palletizer on which products are loaded by pallet lifting}
본 발명은 파렛트 승강작동에 의하여 제품 적재가 이루어지는 자동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화라인에서 제품이 담겨진 박스가 이송된 후 적재할 때 파레트가 승강작동하면서 파레트 상단에 박스를 다층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의료품 및 식료품을 포함하여 유통이 이루어지는 대부분의 제품은 박스에 일정량씩 수용된 상태에서 포장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포장작업은 종래에는 수작업으로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박스의 공급 및 포장에 이르기까지 포장과정이 자동화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제품이 포장되어 있는 박스는 물류 및 운송의 편의를 위하여 파레트에 다층으로 적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종래에는 수작업으로 적재가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작업자의 노동을 최소화하고 운반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계적인 장치를 사용하여 박스를 정렬하면서 적재함으로써 적재상태의 안정화를 꾀하고 있다.
적재를 위한 기계적인 장치는 대표적으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 파레타이저가 사용되는 것으로, 로봇 파레타이저가 있는 위치까지 콘베이어등을 이용하여 이송하고, 이송되어진 박스를 로봇 파레타이저가 파레트에 정렬하여 쌓도록 하는 장치가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로봇 파레타이저의 단점은 박스를 적재할 때 가지런히 정렬되지 못하므로 운반, 운송 중 적재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고, 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비용이 매우 고가이며, 로봇 파레타이저의 작동범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산업용 로봇은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치명적인 위험이 있고 생산설비가 전면 중지되기 때문에 최근에는 안전관리가 강화되고 있으며, 안전을 위한 펜스시설 등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라인에서 지나치게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로봇 파레타이저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 설비로 적재할 수 있는 장치들이 제안된 바 있으나, 전체 라인의 자동화가 아닌 일부 적재기능만 있을 뿐 결과적으로 인력이 요구되는 문제와, 적재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품이 담겨진 박스가 자동으로 이송되어 적재가 이루어지고, 박스를 적재하기 위한 파렛트가 순차적으로 공급된 후 승강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파렛트가 하강하면서 한 층씩 적층되도록 함으로써 적재안정성을 향상토록 한 것이다.
또한, 박스 및 파렛트가 자동공급되고 다층으로 적재되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적재라인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제품을 공급하기 위한 제품 공급부와, 파렛트를 공급하기 위한 파렛트 공급부와, 상기 제품 공급부에 의하여 공급된 제품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제품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에서 적재된 제품을 파렛트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제품 공급부는 제품을 상부로 견인하기 위한 투입승강대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부는 제품 공급부로 공급된 제품을 파렛트 공급부의 상단을 경유하여 적재부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파렛트 공급부의 상단에 배치되도록 하면서 제품을 안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송이 이루어지는 이송플레이트와 적재부의 상단에 도달한 상태에서 이송플레이트에 안착되어 있는 제품을 이송플레이트로부터 분리시켜 적재부에 안착시키기 위한 분리대를 형성하고, 상기 적재부는 파렛트 공급부로부터 파렛트를 낱개로 공급받도록 되고, 상,하로 승강 작동하면서 제품의 부피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하강하는 적재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적재플레이트가 하강하면서 제품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배출부를 통하여 제품이 파렛트에 적재된 상태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자동공급이 이루어지면서도 제품을 상부를 견인한 후 상단에서 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적재부에서 상부로 들어올려진 파렛트에 제품이 적재되고, 파렛트가 하강하면서 여러 층을로 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적재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배출부를 통하여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파렛트 승강작동에 의하여 제품 적재가 이루어지는 자동 적재장치에 의하면, 제품이 자동으로 공급되면서도 공급라인에서 지속적으로 정렬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파렛트 상단에 적재가 이루어져 적재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품의 이송이 상층에서 이루어지고 파렛트의 공급이 하층에서 이루어져 파렛트를 상승킨 후 파렛트가 하강하면서 적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동 적재라인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어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작업장에서의 공간활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적재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도 설비가 가능하고, 지게차는 물론 핸드 파렛트로도 이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 적재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 적재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품 공급부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파렛트 공급부의 작동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송부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적재부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이송부와 적재부의 작동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품 공급부의 연결부 세부구조도
도 9는 도 8의 연결부의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품 공급부의 제품투입부 세부구조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품 공급부의 투입승강부 세부구조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품 공급부의 상부밀대 작동구조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이송부의 작동구조도
도 14는 도 13의 이송부의 작동구조를 나타낸 평면구조도
도 15는 도 13의 이송부의 분리장치의 세부구조도
도 16은 도 15의 분리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적재부의 작동구조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적재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배출부의 구조도
도 20는 도 19의 배출부의 세부 구조도
도 21은 종래의 자동 적재구조를 나타낸 설비구조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파렛트 승강작동에 의하여 제품 적재가 이루어지는 자동 적재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공급부(100)와, 파렛트 공급부(200)와, 이송부(300)와, 적재부(400)와, 배출부(500)와, 제어부(600)와, 컨트롤패널(7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품 공급부(100)는 제품이 박스에 포장된 상태(이하 '제품'이라 함)에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공정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110), 제품이 투입되는 제품투입부(120), 투입된 제품을 상부로 견인하는 투입승강부(140), 상부로 견인된 제품을 이송부로 공급하는 상부밀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110)는 자동화 공정 중에서도 제품 적재 이전에 제품을 박싱하기 위한 포장라인 등의 이전 공정과 연결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송롤(112)이나 컨베이어 등의 이동수단 장착되어 제품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전 공정에서 박싱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박스의 테이핑을 위하여 방향이 틀어진 상태로 공급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위하여 연결부(110)에는 제품의 방향을 롤링시키기 위한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제품의 방향을 롤링시키기 위한 수단은 가림대(114)와 절첩대(116)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가림대(114)는 제품이 연결부(110)를 통하여 공급되어질 때 제품의 이송이 중지되도록 하여 위치를 설정하는 역할을 하며, 그 상태에서 가림대(114)가 절첩되면서 제품의 방향을 롤링시킬 수 있게 된다.
가림대(114)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롤(112)의 사이에 복수의 바(bar)가 내장되어 축회전하면서 제품의 하단을 받쳐서 들면서 한쪽으로 밀어서 일측으로 롤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제품이 상기의 연결가림대(114)와 절첩대(116)의 작동이 반복 구현되면서 제품을 롤링시켜 제품투입부(120)로 보내게 된다.
상기 연결부(110)와 제품을 롤링시키는 장치는 필요에 의하여 부가되거나 제거될 수 있으며, 제품의 종류나 박스의 크기, 이전 공정에서 박스의 테이핑 방향설정에 따라서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품투입부(120)는 제품을 상부로 견인하기 이전에 제품을 정렬하면서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10)를 통하여 공급되거나 또는 제품투입부의 선단이 이전 공정과 다이렉트로 연결되어 제품 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품투입부(120)는 이송롤(122)이나 컨베이어 등의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제품 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투입밀대(124)를 이용하여 투입승강부(140)로 제품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투입밀대(124)를 이용하여 제품을 밀기 이전에 제품의 이송이 중지된 상태에서 정위치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투입가림대(12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제품의 정위치 설정을 위한 여러 가림대들은 판상의 구조물이나 바(bar)형상의 프레임, 하부의 받침대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되어질 수 있다.
투입가림대(126)에 의하여 정위치 설정이 이루어진 제품은 투입밀대(124)가 제품을 밀어서 투입승강부(140)로 공급되어 제품의 승강 준비가 이루어지며, 투입밀대(124)는 실린더가 장착되어 피스톤이 동작함에 따라 투입밀대(124)의 왕복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투입승강부(140)는 도 11과 같이 제품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승강가림대(142)와, 제품을 상부로 견인하기 위한 투입승강대(144)와, 투입승강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146)와, 제품이 상부로 견일될 때 제품의 틀어짐이 발생하는 경우 틀어짐을 정렬하기 위한 정렬가이드(14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제품투입부(120)를 통하여 공급되는 제품은 승강가림대(142)에 의하여 위치가 설정되며, 이때 제품은 투입승강대(144)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부 견인을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이때, 상기 투입승강대(144)는 적재하고자 하는 제품의 수량에 따라 2개 이상의 복수의 제품이 일렬로 배열되도록 제품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품을 2열로 배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2개를, 3열로 배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3개를 배치하는 등 적재하고자 하는 제품의 수량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투입승강부(140)에는 제품의 공급상태 및 승강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센서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 센서에서 제어부로 신호를 송출하여 제어부의 통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투입승강대(144)에 제품이 안착된 상태에서 투입승강대(144)가 구동실린더(146)에 의하여 상부로 들어올려져 견인이 이루어지고, 이때 제품의 승강경로에 형성된 정렬가이드(148)의 의하여 제품의 정렬상태가 틀어진 경우 제품의 정렬이 이루어지게 된다.
정렬가이드(148)는 제품이 상부로 견인되는 경로상의 일측 또는 여러 측면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하부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제품의 정렬이 틀어진 경우 제품이 상승하면서 경사면을 타고 점차 제위치로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투입승강대(144)가 상단부에 도달하면 투입승강대(144)의 작동은 일시 중단되고, 이후 상부밀대(160)가 동작하여 이송부(300)로 제품을 밀어 보내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밀대(160)는 도 12와 같이 후방에 구동실린더(162)가 장착되어 실린더의 작동에 의하여 상부밀대(160)의 왕복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파렛트 공급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렛트 받침부(220)와, 파렛트 밀대(240)와, 파렛트 밀대를 구동시키기 위한 이송실린더(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파렛트 받침부(220)는 이송부(300)의 하단에 배치되어 파렛트를 적재부(400)로 공급하도록 되며, 파렛트 받침부의 상단에서는 이송부(300)를 통하여 제품이 공급되면서 적재부(400)에 배치되어 있는 파렛트에 제품 적재가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파렛트 받침부(220)의 일측에는 적재부(400)로 파렛트를 공급하기 위한 파렛트 밀대(240)가 장착될 수 있으며, 파렛트 밀대(240)가 왕복운동을 하면서 적재부(400)로 파렛트를 지속 공급하게 된다.
이때, 파렛트 받침부(220)에 파렛트가 공급되는 방향에는 파렛트 자동공급기(미도시)가 더 부가될 수 있으며, 이 파렛트 자동공급기에는 파레트가 적층된 상태에서 낱개로 밀어서 공급하는 밀대가 포함되어질 수 있다.
이송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이 안착된 상태에서 적재부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플레이트(320)와, 이송플레이트의 수평이동을 위한 레일(340)과, 이송플레이트가 레일에 배치된 상태에서 왕복 운동을 구동하기 위한 이송구동부(360)와, 제품을 이송플레이트로부터 분리시켜 적재부에 제품을 적재하기 위한 분리장치(3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송플레이트(320)는 제품 공급부(100)의 투입승강대(144)가 상승된 상태에서 투입승강대에 인접하게 수평선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밀대(160)에 의하여 공급받은 제품을 적재부(400)로 이송한다.
이송플레이트(320)는 판상의 구조로 이루어져 제품이 안착되며, 제품을 다열로 배열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투입승강대(140)에서 3개가 일렬로 배열되어진 상태로 공급되는 경우 그 열을 2개의 열 또는 그 이상의 열로 배열되어지도록 면적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파렛트의 규격에 따른 면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제품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송플레이트(320)의 선단에는 적재부(400)에서 적재가 이루어질 때 제품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경사면(3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송플레이트(320)의 양측에는 제품이 정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기 위한 측판(324)이 구비될 수 있다.
이송플레이트(32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단이 레일(340)에 의하여 수평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송구동부(360)에 의하여 이송플레이드(320)의 왕복운동이 이루어져 적재부(400)에 근접하게 이동하거나 또는 제품 공급부(100) 측으로 복원된다.
이송구동부(360)는 체인이나 와이어, 벨트 또는 기어 맞물림 구조 등에 의한 방식으로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장착될 수 있으나, 정밀하고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서는 체인방식으로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분리장치(380)는 이송플레이트(320)에 의하여 적재부(400)의 상측으로 제품이 이송되어진 상태에서 이송플레이트와 제품을 격리시킴으로써 이송플레이트는 복원이 이루어지고 제품은 적재부(400)에 적재할 수 있게 되는 장치로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을 이송플레이트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차단바(382)와, 차단바를 축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축(384)과, 구동축의 동작을 위한 크랭크기구(386) 및 구동실린더(38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차단바(382)는 상부측 또는 하부측으로 회동되며, 차단바가 하부로 회동되었을 때 제품의 후방을 지지토록 되며, 차단바(382)는 구동축(384)에 연결되어 축회전하면서 상부측 또는 하부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축(384)은 구동실린더(388)의 피스톤 왕복 작동에 의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차단바(382)를 상부측 또는 하부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되며, 이때 구동실린더(388)의 직선운동을 구동축(384)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크랭크기구(386)로 연동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플레이트(320)가 적재부(400)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송플레이트가 복원될 때 단층으로 적재되어 있는 제품을 이송플레이트로부터 분리시켜 적재부에 제품을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차단바(382)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의 수직하방에 멈춰 이송플레이트에 적재된 제품을 지지토록 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송플레이트(320)는 차단바(382)가 하부측 정점에 회전이 도달하기 이전에 제품의 후방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이 이송플레이트(320)에 위치된 상태에서 차단바(382)가 하부측으로 회전할 때 마지막 부분에서 차단바(382)가 제품의 후방을 밀어서 전방으로 미세하게 이동시킴으로써 한번 더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적재부(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렛트 공급부(200)로부터 파렛트를 낱개로 공급받아 파렛트를 상부로 들어올린 후 한 단계씩 하강하면서 제품을 다층으로 적재할 수 있게 하는 장치로서, 파렛트를 들어올리는 적재플레이트(420)와, 적재플에이트를 승하강 작동시키는 승강실린더(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적재플레이트(420)는 파렛트를 공급받기 위하여 파렛트 공급장치(200)의 파렛트 받침부(220)와 수평선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적재플레이트(420)의 파렛트에 제품 적재가 완료된 상태에서는 파렛트 공급장치의 파렛트 밀대(240)가 작동하여 제품이 적재완료된 상태의 파렛트는 배출부(500)로 이송시키고 이와 함께 빈 파렛트를 적재플레이트(420)로 공급하여 지속적인 적재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렛트를 지속 공급하면서 각 공정에서 파렛트의 개별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파렛트 받침부(220)와 적재플레이트(420)와 후술하는 배출플레이트(520)는 파렛트 밀대(240)가 작동할 때 수평선상에 배치되되 각각의 플레이트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공간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적재부(400)는 제어부(600) 또는 컨트롤패널(700)에서 설정된 제품의 부피를 적용하여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한 층 씩 하강이 이루어지며 다층 적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적재플레이트(420)의 높낮이 또는 제품이 적재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장착되어 센서의 신호를 제어부로 송출하여 제어부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플레이트(420)는 제품이 적재된 상태에서 고중량인 경우에도 파렛트의 배출부 이송이 가능하도록 적재플레이트(420)의 상면에는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슬라이딩 유도부(4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슬라이딩 유도부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렛트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복수의 봉을 장착하거나 또는 요철형태의 홈을 형성하여 적재플레이트(420)의 상면과 파렛트 하단의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배출부(50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이 적재되어 있는 파렛트가 안착되는 배출플레이트(520)와, 배출플레이트를 지면에 밀착되게 하강시키는 하강수단(540)과, 안전을 위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는 개폐도어(5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플레이트(520)는 적재부(400)로부터 제품이 적재되어 있는 파렛트를 전달받아 지면에 가까이 밀착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지면에 밀착된 형상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금속재 등의 강도가 높은 소재를 이용하여 도 20과 같이 바닥판(522)의 양측이 측면판(524)과 플랜지(526)로 절곡형성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랜지(526)에는 상부측에 배출플레이트(520)의 승,하강을 위한 장치인 하강수단(540)이 장착되어 배출플레이트에 파렛트가 안착된 상태에서 지면측으로 하강시켜 밀착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플레이트(520)의 바닥판(522) 두께는 10mm이하의 두께를 갖도록 함으로써 배출플레이트가 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지면에 거의 근접하게 파렛트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지게차는 물론, 핸드 파렛트를 사용해서도 제품이 적재된 파렛트를 쉽게 인출하여 이송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522)이 지면에 더욱 근접하면서도 지게발의 삽입시 걸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선단이 경사면을 갖도록 절곡부(523)가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상기 제품 공급부(100), 파렛트 공급부(200), 이송부(300), 적재부(400), 배출부(500)를 연동시켜 작동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장치들에 장착되어 있는 센서들과 연동하여 작동개시 또는 작동중지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패널(700)은 제어부(600)와 연결되어 작업자가 직접 조작함으로써 제품의 종류나 적재높이 등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되는 것으로, 연결부(110)에서의 절첩 작동여부, 제품투입부(120) 및 투입승강부(140)에서의 제품 공급속도, 파렛트 공급, 제품이송, 적재높이, 배출부에서의 제품인출여부 등을 고려하여 작동개시 및 작동중지는 물론, 속도 등의 다양한 설정을 조작할 수 있다.
100: 제품 공급부
110: 연결부 112: 이송롤 114: 연결가림대 116: 절첩대
120: 제품 투입부 122: 이송롤 124: 투입밀대 126: 투입가림대
140: 투입승강부 142: 승강가림대 144: 투입승강대 146: 구동실린더
148: 정렬가이드
160: 상부밀대 162: 구동실린더
200: 파렛트 공급부
220: 파렛트 받침부
240: 파렛트 밀대
260: 이송실린더
300: 이송부
320: 이송플레이트 322: 경사면 324: 측판
340: 레일
360: 이송구동부
380: 분리장치 382: 차단바 384: 구동축
386: 크랭크기구 388: 실린더
400: 적재부
420: 적재플레이트 422: 슬라이딩 유도부
440: 승강실린더
500: 배출부
520: 배출플레이트 522: 바닥판 523: 절곡부
524: 측면판 526: 플랜지
540: 하강수단
560: 개폐도어
600: 제어부
700: 컨트롤패널

Claims (7)

  1. 제품을 공급하기 위한 제품 공급부(100);
    파렛트를 공급하기 위한 파렛트 공급부(200);
    상기 제품 공급부에 의하여 공급된 제품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300);
    상기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제품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400);
    상기 적재부에서 적재된 제품을 파렛트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배출부(500);
    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 공급부(100)는 제품을 상부로 견인하기 위한 투입승강대(144)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300)는 제품 공급부로 공급된 제품을 파렛트 공급부의 상단을 경유하여 적재부(400)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파렛트 공급부의 상단에 배치되되, 제품을 안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송이 이루어지는 이송플레이트(320)와 적재부의 상단에 도달한 상태에서 이송플레이트에 안착되어 있는 제품을 이송플레이트로부터 분리시켜 적재부에 안착시키기 위한 분리장치(380)가 형성되며,
    상기 적재부(400)는 파렛트 공급부로부터 파렛트를 낱개로 공급받도록 되고, 상,하로 승강 작동하면서 제품의 부피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하강하는 적재플레이트(420)가 구비되어 적재플레이트가 하강하면서 제품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배출부(500)를 통하여 제품이 파렛트에 적재된 상태로 인출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승강작동에 의하여 제품 적재가 이루어지는 자동 적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공급부, 파렛트 공급부, 이송부, 적재부, 배출부를 연동시켜 동작하기 위한 제어부(600) 및 컨트롤패널(7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400)는 컨트롤패널에서 설정된 제품의 부피를 적용하여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한 층 씩 하강이 이루어지며 다층 적재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승강작동에 의하여 제품 적재가 이루어지는 자동 적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공급부(100)는 포장라인과 연결되어 제품을 공급받는 연결부(1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110)에는 제품의 위치를 설정하는 가림대(114)와 제품의 적재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절첩대(116)가 구비되어 포장라인으로부터 공급된 제품을 측방향으로 뒤집어 적재방향의 정렬이 이루어진 상태로 제품 공급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승강작동에 의하여 제품 적재가 이루어지는 자동 적재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 공급부(200)는 파렛트 받침부(220)와 파렛트를 적재부로 공급하기 위한 파렛트 밀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파렛트 받침부(220)와 적재부(400)의 적재플레이트(420)가 수평선상에 위치되어 두 개의 파렛트를 동시에 밀어서 제품적재가 이루어진 상태의 파렛트를 배출부(500)로 이동시키면서 적재플레이트(420)에 빈 파렛트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승강작동에 의하여 제품 적재가 이루어지는 자동 적재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300)는 단층 적재된 제품을 적재부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플레이트(320)와, 이송플레이트의 수평이동을 위한 레일(340)과, 이송플레이트가 레일에 배치된 상태에서 왕복운동을 구동시키기 위한 이송구동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승강작동에 의하여 제품 적재가 이루어지는 자동 적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300)는 상기 이송플레이트(320)가 적재부의 적재플레이트(420)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송플레이트가 복원될 때 단층 적재된 제품을 이송플레이트로부터 분리시켜 적재플레이트(420)에 제품이 적재되도록 하기 위한 분리장치(3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장치(380)는 제품의 후방을 지지하기 위한 차단바(382)가 구비되고, 차단바는 구동축(384)과 크랭크기구(386)에 의하여 동작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승강작동에 의하여 제품 적재가 이루어지는 자동 적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바(382)는 구동축의 수직하방에 멈춰 이송플레이트에 적재된 제품을 지지토록 되고, 상기 이송플레이트(320)는 차단바(382)가 회전이 완료되기 이전의 후방에 제품이 배치되어 차단바(382)가 회전하면서 미세하게 정렬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승강작동에 의하여 제품 적재가 이루어지는 자동 적재장치.
KR1020190021414A 2019-02-22 파렛트 승강작동에 의하여 제품 적재가 이루어지는 자동 적재장치 KR102653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414A KR102653523B1 (ko) 2019-02-22 파렛트 승강작동에 의하여 제품 적재가 이루어지는 자동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414A KR102653523B1 (ko) 2019-02-22 파렛트 승강작동에 의하여 제품 적재가 이루어지는 자동 적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866A KR20200102866A (ko) 2020-09-01
KR102653523B1 true KR102653523B1 (ko) 2024-04-02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9163A (ja) 1999-07-13 2001-01-23 Enutekku:Kk 物品群の段積み装置及び物品群の段積み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9163A (ja) 1999-07-13 2001-01-23 Enutekku:Kk 物品群の段積み装置及び物品群の段積み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06039697B4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ntladen von mit Palettenlagen beladenen Tablaren
EP1462394B2 (de) Ladungsträger-Beladevorrichtung
EP1462393B1 (de) Automatisiertes System und Verfahren zum Lagern und Kommissionieren von Artikeln
US8465250B2 (en) Palletizing system and method
US5645392A (en) Dunnage handling system
US4764074A (en) Pallet loading apparatus
RU2312802C2 (ru) Наложение погрузочных полок
US5944479A (en) Stacking apparatus
US8066469B2 (en) Tray stacking apparatus
CN217050074U (zh) 机器人、料箱转移装置、料箱转移系统
WO2011006597A1 (de) Verfahren und beladesystem zum kommissionieren von artikeln auf ziel-ladungsträger
US5951238A (en) Auto pallet stacking/loading device
KR102653523B1 (ko) 파렛트 승강작동에 의하여 제품 적재가 이루어지는 자동 적재장치
US7464804B2 (en) Automatic pallet loader system and method
CN114803532B (zh) 袋装货物重力拆垛机
KR20200102866A (ko) 파렛트 승강작동에 의하여 제품 적재가 이루어지는 자동 적재장치
WO2018165709A1 (en) Mattress loading apparatus
KR20200102869A (ko) 제품이 적재된 파렛트가 지면에 밀착되게 배출준비 되는 자동 적재장치
EP0268438A2 (en) Improvements in collation assemblies
JP2577768Y2 (ja) 物品供給装置
CN113799469A (zh) 全自动化滴胶打针设备
US5517799A (en) Onion loader/unloader conveyor system
CN219729804U (zh) 一种码垛自动堆叠系统
CN219173670U (zh) 一种物流货物自动拆垛机及拆垛传送系统
KR102520781B1 (ko) 이송 디바이스 및 컨테이너로부터 서비서로 타이어 구성 요소를 이송하기 위한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