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883B1 - 와이어 분기 연결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와이어 분기 연결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883B1
KR102251883B1 KR1020150188071A KR20150188071A KR102251883B1 KR 102251883 B1 KR102251883 B1 KR 102251883B1 KR 1020150188071 A KR1020150188071 A KR 1020150188071A KR 20150188071 A KR20150188071 A KR 20150188071A KR 102251883 B1 KR102251883 B1 KR 102251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erminal
branch
bus ba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8000A (ko
Inventor
김종수
안재필
김경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8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883B1/ko
Publication of KR20170078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차량 하네스의 와이어와 와이어를 분기 연결할 수 있는 와이어 분기 연결용 커넥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분기 연결용 커넥터는 하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하고 메인 와이어가 수용되는 메인 와이어 수용홀이 형성되고 분기 와이어가 수용되는 분기 와이어 수용홀이 형성되는 커버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에 고정되는 버스바와, 버스바에 고정되고 상부에 형성되는 와이어 요입홈에 메인 와이어 또는 분기 와이어가 삽입되되, 와이어의 중심에 마련되는 도전부와 접속되는 복수의 터미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어 분기 연결용 커넥터{Connector for Wires Branching}
본 발명은 와이어 분기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하네스의 와이어와 와이어를 분기 연결할 수 있는 와이어 분기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차량 하네스의 와이어와 와이어 간의 결선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메인 와이어의 피복과 분기 와이어의 피복을 각각 탈피하고, 첨접 터미널(Splice Terminal)을 통해 가조립하고, 터미널을 압착시키고, 수축 튜브를 이용하여 마무리하는 일련의 공정들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은 많은 공수가 발생하여 작업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작업시간 및 품질이 달라질 수 있고, 결선 작업 시에 압착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고, 와이어의 분기 수량이 늘어날수록 압착이 어려워져 불량 발생 가능성이 커지며, 완성 차량에서 소수회로의 재작업 시 수작업에 의한 품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와이어와 와이어 간 결선 작업 시에 커넥터를 이용함으로써 공정을 단축시키고 균일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와이어 분기 연결용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하고, 메인 와이어와 분기 와이어를 고정하는 커버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에 고정되는 버스바; 및 일 측이 상기 버스바에 고정되고, 상부에 형성되는 와이어 요입홈에 메인 와이어 또는 분기 와이어가 삽입되되, 상기 와이어들의 중심에 마련되는 도전부와 접속되는 복수의 터미널을 포함하는 와이어 분기 연결용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은 상부에 상기 와이어 요입홈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버스바에 압입 고정되는 버스바 요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기 메인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을 관통하는 메인 와이어 수용홀을 형성하고, 상기 분기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일 측면을 관통하는 분기 와이어 수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와이어 수용홀 및 상기 분기 와이어 수용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 수용홀들은 복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하우징의 상층부에 상기 복수의 와이어 수용홀들 중 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 하우징의 하층부에 상기 복수의 와이어 수용홀들 중 나머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기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의 상기 와이어 요입홈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의 일부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요입홈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와이어 안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는 서로 대향하도록 마주보는 한 쌍의 터미널 접속부와, 상기 한 쌍의 터미널 접속부의 일 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접속부는 상기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제1 및 제2 터미널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 접속부에는 하나 이상의 상기 터미널이 결합되고, 상기 터미널의 와이어 요입홈에 수용되는 상기 복수의 와이어들은 복층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는 한 쌍의 제1 터미널 접속부와 한 쌍의 제2 터미널 접속부가 서로 교대로 연결되고, 서로 떨어져 배치되는 상기 한 쌍의 제2 터미널 접속부는 각각 위로 연장되는 연장 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터미널 접속부와 상기 한 쌍의 연장 접속부에는 하나 이상의 상기 터미널이 결합되고, 상기 터미널의 와이어 요입홈에 수용되는 상기 복수의 와이어들은 복층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분기 연결용 커넥터는 단순히 커넥터에 와이어를 삽입시키고 체결하는 과정만으로 복수의 와이어들을 결선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 공수를 줄여 작업시시간을 줄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균일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와이어의 접촉점을 2개 이상 둠으로써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분기 연결되는 와이어의 수량이 3개 이상인 경우에도 버스바를 이용함으로써 이들을 결선시킬 수 있다.
또한, 완성차의 소수회로의 재작업(Rework) 시 하네스 작업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연결이 가능한 구조를 채택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가 와이어를 결선시킨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가 와이어를 결선시키기 전의 준비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버스바의 결합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의 버스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가 와이어를 결선시킨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의 버스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가 와이어를 결선시키기 전의 준비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가 와이어를 결선시킨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소개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형태로도 구체화될 수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 등을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는 하네스 와이어들을 결선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하네스 와이어들을 결선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와 다른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100)가 와이어(10, 11)를 결선시킨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100)가 와이어(10, 11)를 결선시키기 전의 준비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100)는 하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와이어(10, 11)를 삽입하는 커버 하우징(120)과, 하부 하우징(110)에 고정되는 복수의 터미널(130)과, 하부 하우징(110)에 고정되고 복수의 터미널(1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140)를 포함한다.
와이어(10, 11)는 메인 와이어(10)와 분기 와이어(11)를 포함한다. 메인 와이어(10)는 절단되지 않고, 양 단이 모두 회로에 연결된다. 그리고 분기 와이어(11)는 일 단이 절단된 상태로 메인 와이어(10)에 전기적으로 연결(결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와이어(10, 11)를 메인 와이어(10)와 분기 와이어(11)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와이어(10, 11)는 구리 등의 금속으로 마련되는 도전부(10a)가 복수로 모여 있고, 그 주위를 절연피복(10b)이 감싸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와이어(10)에 분기 와이어(11)를 결선시키기 위해서는 메인 와이어(10)와 분기 와이어(11)의 절연피복(10b)을 각각 제거하여 도전부(10a)를 노출시키고, 메인 와이어(10)의 도전부(10a)와 분기 와이어(11)의 도전부(10a)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 때, 메인 와이어(10)의 도전부(10a)와 분기 와이어(11)의 도전부(10a)는 터미널(130)과 버스바(14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와이어(10)의 도전부(10a)와 분기 와이어(11)의 도전부(10a)는 각각 터미널(130)에 접속되고, 두 터미널(130)은 버스바(140)에 각각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우징은 하부 하우징(110)과 커버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터미널(130)과 버스바(140)를 내측에 수용하도록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절연시키고, 와이어(10, 11)의 결선 부위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하우징(110)은 터미널(130)과 버스바(140)를 고정하고, 커버 하우징(120)은 메인 와이어(10)와 분기 와이어(11)를 고정하며, 커버 하우징(120)이 하부 하우징(11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메인 와이어(10)와 분기 와이어(11)가 터미널(130)에 결선될 수 있다.
터미널(130)은 상부가 요입되어 두 다리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 와이어 요입홈(131)이 마련된다. 그리고 터미널(130)은 하부가 요입되어 두 다리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 버스바 요입홈(133)가 마련된다.
와이어 요입홈(131)에는 메인 와이어(10) 또는 분기 와이어(11)가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와이어 요입홈(131)의 간격은 도전부(10a)의 외경과 같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와이어 요입홈(131)의 간격은 도전부(10a)의 외경 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10, 11)가 터미널(13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절연피복(10b)의 일부가 제거되고, 노출된 도전부(10a)가 와이어 요입홈(131)에 접촉하여 터미널(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도전부(10a)는 와이어 요입홈(131)에 압입되어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요입홈(131)은 입구측의 내경이 크고(간격이 넓고), 내측으로 내려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간격이 좁아지는) 와이어 안내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와이어 안내부(132)는 와이어 요입홈(131)의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일 수 있다.
와이어 안내부(132)가 마련됨으로써 작업자는 적은 힘으로도 와이어(10, 11)를 와이어 요입홈(131)으로 삽입할 수 있고, 와이어(10, 11)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절연피복(10b)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버스바 요입홈(133)에는 버스바(140)가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버스바 요입홈(133)의 내경은 버스바(140)의 두께 보다 다소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버스바(140)는 터미널(13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버스바 요입홈(133)에 압입되어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버스바 요입홈(133) 외측에 마련되는 두 다리는 입구측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버스바 고정부(134)를 형성할 수 있다. 버스바(140)가 버스바 요입홈(133)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버스바 요입홈(133)의 외측에 마련되는 두 다리는 다소 벌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버스바 고정부(134)가 버스바(140)를 가압함으로써 버스바(140)가 터미널(130)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부 하우징(110)과 커버 하우징(120)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부 하우징(110)은 박스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일 예로, 사각 박스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하부 하우징(110)은 상부면이 대체적으로 평편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하우징(110)의 상부면은 커버 하우징(120)이 덮도록 마련된다.
하부 하우징(110)의 상부면에는 터미널(130)의 하부를 수용하는 터미널 수용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터미널 수용홈(111)은 복수의 터미널(130)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터미널(130)의 중간 부분에는 양 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13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터미널 수용홈(111)의 내측에는 이 고정돌기(135)에 대응하는 고정홈(119)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130)의 하측이 터미널 수용홈(11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터미널(130)의 고정돌기(135)가 터미널 수용홈(111)의 고정홈(119)에 끼워져 터미널(130)이 하부 하우징(110)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 밖에도, 하부 하우징(110)의 상부면에는 커버 하우징(120)에 마련되는 지지축(124)을 수용하는 지지축 수용홈(112)과, 커버 하우징(120)에 마련되는 고정돌기(125)를 수용하는 고정돌기 수용홈(113)고, 커버 하우징(120)에 마련되는 고정용 돌기부(126)와 결합하는 고정용 고리부(114)를 형성할 수 있다. 이들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커버 하우징(120)은 속이 비고 하부 하우징(110)과 마주보는 하부가 개구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커버 하우징(120)은 사각 형상의 상부면과 상부면의 네 모서리에서 각각 연장되는 네 측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커버 하우징(120)은 일 측에 메인 와이어(10)가 삽입되는 메인 와이어 수용홀(121)이 형성되고, 타 측에 분기 와이어(11)가 삽입되는 분기 와이어 수용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와이어(10)는 커버 하우징(120)을 측면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삽입된다. 따라서 메인 와이어 수용홀(121)은 커버 하우징(120)의 양 측면의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분기 와이어(11)는 절단된 단부가 커버 하우징(12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분기 와이어 수용홀(122)은 커버 하우징(120)의 일 측면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다.
또한, 커버 하우징(120)의 하부면에는 터미널(130)의 상부를 수용하는 터미널 수용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터미널 수용홈(123)은 복수의 터미널 수용홈(111)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터미널 수용홈(123)은 터미널(130)의 상부에 형성되는 두 다리를 내측에 수용하도록 마련되되, 와이어(10, 11)가 지나가도록 와이어(10, 11)의 길이 방향이 관통된다.
또한, 커버 하우징(120)은 하부면에 지지축(124)이 돌출될 수 있다. 지지축(124)은 대략적으로 커버 하우징(120)의 중심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축(124)은 하부 하우징(1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지지축 수용홈(112)에 수용되어 커버 하우징(120)이 하부 하우징(110)에 대해 틀어지거나 회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고하면, 커버 하우징(120)은 측면에 아래로 돌출되는 고정돌기(125)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돌기(125)는 단부가 절곡되어 걸림부(125a)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돌기(125)는 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걸림부(125a)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하부 하우징(110)은 고정돌기(125)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돌기 수용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돌기 수용홈(113)은 외측으로 요입되는 걸림턱(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하우징(120)이 하부 하우징(110)에 접근하면서 고정돌기(125)가 고정돌기 수용홈(113)에 삽입되고, 그 과정에서 고정돌기(125)의 걸림부(125a)가 고정돌기 수용홈(113)의 걸림턱에 걸려 커버 하우징(120)이 하부 하우징(110)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커버 하우징(120)은 고정돌기(125)가 위치하는 측면과 다른 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용 돌기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용 돌기부(126)는 상부면이 걸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하부 하우징(110)은 고정용 돌기부(126)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용 고리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용 고리부(114)는 고정용 돌기부(126)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하우징(120)이 하부 하우징(110)에 접근하면서 고정용 돌기부(126)가 고정용 고리부(114)의 홈에 삽입되고, 고정용 돌기부(126)의 상측 걸림면이 고정용 고리부(114)의 내측 상면에 걸리면서 커버 하우징(120)이 하부 하우징(110)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고정돌기(125)와 고정용 돌기부(126)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돌기(125)는 아래 설명하는 하우징 연결부(116)가 연결되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고정용 돌기부(126)는 반대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하우징(120)은 하부 하우징(110)과 하우징 연결부(116)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 연결부(116)의 양 측은 각각 하부 하우징(110)과 커버 하우징(120)의 일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 연결부(116)는 하부 하우징(110)과 커버 하우징(120)을 연결하는 띠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 연결부(116)는 접히거나 굽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 연결부(116)는 플렉서블하게 마련되어 굽힘과 핌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 연결부(116)는 어느 정도의 길이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하우징(120)은 하부 하우징(11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그 상태에서 수직으로 내려와 하부 하우징(110)과 결속될 수 있다.
또한, 커버 하우징(120)은 메인 와이어 수용홀(121)의 저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하부 하우징(110)은 상기 개구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지지돌기(115)가 돌출될 수 있다. 다만, 메인 와이어 수용홀(121)의 저부에 형성되는 개구는 와이어(10, 11)의 직경 보다 작은 폭으로 개구되어 와이어(10, 11)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하우징(120)이 하부 하우징(110)에 결합한 상태에서 하부 하우징(110)의 지지돌기(115)가 와이어(10, 11)의 저부를 지지할 수 있다.
도 6은 버스바(140)의 결합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100)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100)의 버스바(14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버스바(140)는 복수의 터미널(1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예로, 버스바(140)는 구리 등의 금속 또는 도전성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버스바(140)는 각각의 터미널(130)이 접속하는 터미널 접속부(141)와, 터미널 접속부(141)를 연결하는 연결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버스바(140)는 두 개의 터미널(130)과 접속하는 한 쌍의 터미널 접속부(141)와, 두 터미널 접속부(141)의 일 측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42)가 “ㄷ”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버스바(140)는 하부 하우징(110)의 저면에 형성되는 버스바 수용홈(117)에 삽입될 수 있다. 버스바 수용홈(117)은 버스바(14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일 예로, “ㄷ” 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버스바(140)는 측면에서 요입되거나 관통되는 고정홈(143)이 형성되고, 버스바 수용홈(117)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기(117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버스바(140)가 버스바 수용홈(117)에 삽입되면서 버스바 수용홈(117)의 돌기가 버스바(140)의 고정홈(143)에 끼워져 버스바(140)가 하부 하우징(110)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100-1)가 와이어(10, 11, 12, 13, 14)를 결선시킨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100-1)의 버스바(15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과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100-1)는 하나의 메인 와이어(10)와 둘 이상의 분기 와이어(11, 12, 13, 14)들을 서로 결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100-1)는 셋 이상의 와이어들(10, 11, 12, 13, 14)을 결선시키기 위해 와이어들을 복수 층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와이어(10, 11, 12, 13, 14)들은 2층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 하우징(120)에 형성되는 메인 와이어 수용홀(121)과 분기 와이어 수용홀(122, 123, 124, 125, 126, 127)들은 복수 개의 층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층의 일 측에는 대향하는 양 측면에 각각 메인 와이어 수용홀(121)이 형성되어 메인 와이어(10)가 관통하고, 아래층의 타 측에는 대향하는 양 측면에 각각 제1 및 제2 분기 와이어 수용홀(122, 123)이 형성되어 서로 다른 제1 및 제2 분기 와이어(11, 12)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위층의 일 측에는 메인 와이어(10)가 배치되는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대향하는 양 측면에 각각 제3 및 제4 분기 와이어 수용홀(124, 125)이 형성되고, 타 측에는 제5 및 제6 분기 와이어 수용홀(126, 127)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3 분기 와이어 수용홀(124)에는 제3 분기 와이어(13)가 수용되고, 제5 분기 와이어 수용홀(126)에는 제4 분기 와이어(14)가 수용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와이어(10, 11, 12, 13, 14)들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렬로 배치될 필요는 없으며, 더 나아가 평행하게 배치될 필요도 없다.
터미널(130)은 각각의 와이어(10, 11, 12, 13, 14)의 수에 대응하거나 그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와이어(10)와 접속되는 터미널(130)은 두 개가 마련될 수 있고, 분기 와이어(11, 12, 13, 14)와 접속되는 터미널(130)은 한 개씩 마련될 수 있다.
버스바(150)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면과 달리 보다 버스바(150)가 보다 복잡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ㄹ” 형상이나 “曰” 형상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버스바(150)의 각각의 접속부에는 한 개 이상의 터미널(130)이 접속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와이어(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버스바(150)의 한 쌍의 제1 터미널 접속부(151) 중 하나에는 두 개의 터미널(130)이 접속되어 하나의 메인 와이어(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에 대향하는 다른 하나에는 두 개의 터미널(130)이 접속되어 각각 제1 및 제2 분기 와이어(11, 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메인 와이어(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터미널 접속부(152)에는 각각 하나의 터미널(130)이 결합하여 제3 분기 와이어(13)와 제4 분기 와이어(14)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버스바(150)의 형상은 와어어(10, 11, 12, 13, 14)들의 복층 구조에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어어(10, 11, 12, 13, 14)들이 2층 구조로 마련되는 경우, 제1 터미널 접속부(151)에 터미널(130)이 결합하는 부분의 높이와 제2 터미널 접속부(152)에 터미널(130)이 결합하는 부분의 높이가 서로 다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버스바(150)는 제1 터미널 접속부(151)와 제2 터미널 접속부(152)가 사각 띠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터미널 접속부(152)는 위로 연장되는 연장 접속부(153)를 포함하고, 터미널(130)은 연장 접속부(153)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터미널 접속부(151)와 제2 터미널 접속부(152)에 같은 형상의 터미널(130)이 결합하는 경우에도, 제2 터미널 접속부(152)의 연장 접속부(153)에 결합되는 터미널(130)이 더 높이 위치하고, 그 결과 메인 와이어(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 및 제4 분기 와이어(13, 14)는 메인 와이어(10)와, 제1 및 제2 분기 와이어(11, 12)들 보다 높이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버스바(150)의 네 터미널 접속부(151, 152)의 높이를 같게 하면서도 제1 터미널 접속부(151)에 결합하는 터미널(130)과 제2 터미널 접속부(152)에 결합하는 터미널(130)의 길이를 서로 달리함으로써 와이어(10, 11, 12, 13, 14)들을 이층으로 배치시킬 수도 있다.
한편, 분기 와이어(11, 12, 13, 14)의 배치 방향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즉, 도면에는 상층에 배치되는 제3 및 제4 분기 와이어(13, 14)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와 달리 제3 및 제4 분기 와이어(13, 14)가 서로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100-2)가 와이어(10, 11)를 결선시키기 전의 준비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100-2)가 와이어(10, 11)를 결선시킨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과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100-2)는 커버 하우징(120)과 하부 하우징(110)이 회전축(116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 연결부(116)는 하부 하우징(110)의 일 측에 연장되고 회전축(116c)을 수용하는 제1 축부(116a)와, 커버 하우징(120)의 일 측에 연장되고 회전축(116c)을 수용하는 제2 축부(116b)와, 제1 축부(116a)와 제2 축부(116b)를 동시에 관통하는 회전축(116c)을 포함한다.
그리고 터미널(130-1)의 와이어 요입홈(131)은 하우징 연결부(116)의 회전축(116c)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하우징(120)에 와이어(10, 11)를 삽입 고정한 상태에서 커버 하우징(120)을 회전시켜 하부 하우징(110)에 결합하는 때에 와이어(10, 11)가 터미널(130-1)의 와이어 요입홈(131)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메인 와이어 10a: 도전부
10b: 절연피복 11: 분기 와이어
100: 와이어 커넥터
110: 하부 하우징 111: 제1 터미널 수용홈
112: 지지축 수용홈 113: 고정돌기 수용홈
114: 고정용 고리부 115: 지지돌기
116: 하우징 연결부 117: 버스바 수용홈
120: 커버 하우징 121: 메인 와이어 수용홀
122: 분기 와이어 수용홀 123: 제2 터미널 수용홈
124: 지지축 125: 고정돌기
126: 고정용 돌기부 130: 터미널
131: 와이어 요입홈 132: 와이어 안내부
133: 버스바 요입홈 134: 버스바 고정부
135: 고정돌기 140: 버스바
141: 터미널 접속부 142: 연결부
143: 고정홈

Claims (11)

  1.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하고, 메인 와이어와 분기 와이어를 고정하며, 상기 메인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을 관통하는 메인 와이어 수용홀 및 상기 분기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일 측면을 관통하는 분기 와이어 수용홀을 포함하는 커버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에 고정되는 버스바; 및
    일 측이 상기 버스바에 고정되고, 상부에 형성되는 와이어 요입홈에 메인 와이어 또는 분기 와이어가 삽입되되, 상기 와이어들의 중심에 마련되는 도전부와 접속되는 복수의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와이어 수용홀 및 상기 분기 와이어 수용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커버 하우징의 상층부에 상기 복수의 와이어 수용홀들 중 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 하우징의 하층부에 상기 복수의 와이어 수용홀들 중 나머지가 형성되며,
    상기 버스바는, 상기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제1 및 제2 터미널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 접속부에는 복수의 상기 터미널이 결합되고,
    상기 터미널의 와이어 요입홈에 수용되는 상기 복수의 와이어들은 복층 구조로 배치되는 와이어 분기 연결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부에 상기 와이어 요입홈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버스바에 압입 고정되는 버스바 요입홈이 형성되는 와이어 분기 연결용 커넥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기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와이어 분기 연결용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의 상기 와이어 요입홈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의 일부 형상을 포함하는 와이어 분기 연결용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요입홈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와이어 안내부를 구비하는 와이어 분기 연결용 커넥터.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미널 접속부와 상기 제2 터미널 접속부는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터미널 접속부와 한 쌍의 제2 터미널 접속부는 서로 교대로 연결되고,
    서로 떨어져 배치되는 상기 한 쌍의 제2 터미널 접속부는 각각 위로 연장되는 연장 접속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분기 연결용 커넥터.
KR1020150188071A 2015-12-29 2015-12-29 와이어 분기 연결용 커넥터 KR102251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071A KR102251883B1 (ko) 2015-12-29 2015-12-29 와이어 분기 연결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071A KR102251883B1 (ko) 2015-12-29 2015-12-29 와이어 분기 연결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000A KR20170078000A (ko) 2017-07-07
KR102251883B1 true KR102251883B1 (ko) 2021-05-14

Family

ID=59353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071A KR102251883B1 (ko) 2015-12-29 2015-12-29 와이어 분기 연결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8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450B1 (ko) * 2017-12-27 2019-07-0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저항 연결 커넥터
KR102651445B1 (ko) * 2019-02-27 2024-03-27 에이치그린파워 주식회사 케이블 고정 유닛 및 그의 고정방법
US11545763B2 (en) * 2020-02-10 2023-01-03 KYOCERA AVX Components Corporation Wire-to-wire connector with splice contact portion
US20230016613A1 (en) * 2020-07-02 2023-01-19 Alphao. Co.Ltd. Terminal for connecting electric wires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3743A (ja) * 1999-06-28 2001-01-26 Stocko Contact Gmbh & Co Kg 短絡ブリッジを有する電気ケーブルのプラグコネクタ
JP2007207659A (ja) * 2006-02-03 2007-08-16 Mitsubishi Cable Ind Ltd 電線の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
WO2013054908A1 (ja) * 2011-10-14 2013-04-18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5386A (ja) * 1995-07-31 1997-02-14 Sumitomo Wiring Syst Ltd 圧接コネクタ
JP3895466B2 (ja) * 1998-05-18 2007-03-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圧接形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3743A (ja) * 1999-06-28 2001-01-26 Stocko Contact Gmbh & Co Kg 短絡ブリッジを有する電気ケーブルのプラグコネクタ
JP2007207659A (ja) * 2006-02-03 2007-08-16 Mitsubishi Cable Ind Ltd 電線の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
WO2013054908A1 (ja) * 2011-10-14 2013-04-18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000A (ko) 201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1883B1 (ko) 와이어 분기 연결용 커넥터
JP5428674B2 (ja) アース接続装置及びこれを含むワイヤハーネス
US9633775B2 (en)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JP6720042B2 (ja) ケーブル接続用構造体および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5722851A (en) Circuit component and junction box for connecting flat cables
US20180115093A1 (en) Electrical cable assembly
JP4240105B2 (ja) 多心同軸ケーブ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50994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WO2004112196A1 (ja) プレスフィット端子、該プレスフィット端子を用いたプリント基板の接続構造および電気接続箱
US7377801B2 (en) Shielded cable connecting structure
JP4495066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TWI491127B (zh) The connector and the body used by the connector
TWI547044B (zh) 纜線連接方法
JP6638583B2 (ja)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接続アセンブリ
CN107732480B (zh) 线缆连接器组件
JP5923253B2 (ja) 圧接端子固定構造
JP6327287B2 (ja) 電気コネクタ
JP7065061B2 (ja) 電線付き端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90123458A1 (en) Socket
JP4317079B2 (ja) ジョイントボックスの電線収束構造
JP2007123104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3736342B2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およびコネクタモジュールの形成方法
JP4381959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168246A (ja) 圧接コネクタ
JP2018022607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