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190B1 -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 Google Patents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190B1
KR102251190B1 KR1020190125574A KR20190125574A KR102251190B1 KR 102251190 B1 KR102251190 B1 KR 102251190B1 KR 1020190125574 A KR1020190125574 A KR 1020190125574A KR 20190125574 A KR20190125574 A KR 20190125574A KR 102251190 B1 KR102251190 B1 KR 102251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ormosium
sijiium
acid
skin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1798A (ko
Inventor
이창규
유민지
유현아
배진주
이난영
Original Assignee
(주)카보엑스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카보엑스퍼트 filed Critical (주)카보엑스퍼트
Publication of KR20200041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798A/ko
Priority to KR1020210058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우수하여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A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Syzygium formosum for skin whitening}
본 발명은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미백에 대한 관심은 건강, 미용지향의 증가에 영향을 받아 점점 늘어나고 있다.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등으로 하얀 피부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고 투명 화장으로 보다 맑고 깨끗한 피부를 추구함에 따라 피부 미백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피부색은 멜라닌(melanin), 혈관분포와 혈색소, 각질층의 두께 및 카로틴(carotene) 등 여러 가지에 의해 좌우되며, 이 중 멜라닌이 주된 역할을 한다. 멜라닌은 자외선과 물리·화학적 외부 독성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지만 과잉 생성이 일어나게 되면 기미, 주근깨, 과색소침착(hyperpigmentation) 등의 심각한 미용상 문제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피부노화를 촉진하며 피부암을 유발하기도 한다. 
멜라닌은 멜라닌 형성 세포(melanocyte)에 내재되어 있는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멜라닌 생합성 과정을 통해 생성되는 것으로,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TRP-1(tyrosinase related protein-1) 및 TRP-2(tyrosinase related protein-2)와 같은 멜라닌 생성 효소에 의해 조절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자외선에 의해 각질 형성 세포(keratinocyte)와 멜라닌 형성 세포에서 α-MSH(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가 세포막 수용체와 결합, 세포내 cAMP(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양을 증가시켜 PKA(protein kinase A),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유도한다. 티로시나아제는 티로신(tyrosine)을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전환시키고, 도파퀴논은 자동 산화 효소 반응으로 도파크롬(dopachrome)을 거쳐 TRP-1과 TRP-2에 의해 멜라닌이 생성된다(Vincent, J. H., et al., Int. J. Biochem., 19, 1141-1147, 1987). 
피부 미백은 피부를 밝고 하얗게 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미백의 작용 기작은 여러 단계로 나뉘게 되는데, 멜라닌 합성 단계에서 진행을 억제하거나 차단함으로써 피부에서 멜라닌이 과도하게 침착하는 것을 억제하고, 피부 내의 색소 함량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티로시나아제 유전자 발현 억제, 티로시나아제 효소에 대한 당전이(glycosylation) 저해, 티로시나아제 효소 활성 저해, 티로시나아제 효소 분해 촉진, 멜라닌 형성 세포에서 각질 형성 세포로의 멜라닌 전달 억제, 멜라닌 형성 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세포 독성, 각질 제거와 각질 형성 주기 가속화에 의한 미백 등이 있다. 따라서 피부의 미백에 대해서 검정하기 위해서는 멜라닌 형성 억제 여부를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Hearing, V. J., J Dermatol Sci., 37(1), 3-14, 2005). 
자외선 노출 등에 의해 기미, 주근깨, 색소침착 등과 같은 과도한 멜라닌 색소 침착을 치료 또는 경감시켜주기 위해서 이전부터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코직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글루타치온(glutathione),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가진 물질 등을 화장료나 의약품에 배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들은 불충분한 미백 효과, 피부에 대한 안전성 문제, 화장료에 배합 시 제형 및 안정성 문제 등으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적이다(Draelos, Z. D., Dermatol Ther., 20(5), 308-313, 2007). 따라서 상기 유효성분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정성이 입증된 천연물 유래의 유효성분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은 방글라데시, 인도, 미얀마, 태국, 라오스, 베트남 등과 같은 동남아시아에서 서식하는 상록수로 10m 높이까지 성장한다. 베트남과 라오스에서는 시지지움 포르모슘을 재배하여 이 나무의 과일을 식용으로 이용하고 있다. 또한, 베트남에서는 건조시킨 시지지움 포르모슘의 잎에 물을 가하여 얻은 물 추출물을 아토피성 피부 질환 및 위장 장애 치료에 이용하고 있다. 
한편,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과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선행논문 [Thuong, P. T. et al., Natural Product Sciences, 12(1), 29-37, 2006]에는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개시되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68307호에는 시지지움 포르모슘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15-하이드록시프로스타글란딘 탈수소효소(15-PGDH) 억제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었고, 한국등록특허 제10-1704996호에는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었으며, 선행논문 [Adhikari, A. et al., Int J Cosmet Sci., 30(5), 353-360, 2008]에는 정향(Syzygium aromaticum) 및 자바 플럼(Syzygium cumini)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효과,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즉 미백 효과에 대해서는 언급된 바가 없다. 
또한, 항균 활성 및 항아토피 활성에 대해서도 언급된 바가 없다.
(특허문헌 0001) 한국등록특허 제10-1704996호,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017년 02월 03일, 등록. 
(특허문헌 0002)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68307호,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 
분으로 함유하는 15-하이드록시프로스타글란딘 탈수소효소(15-PGDH) 억제용 
조성물, 2013년 06월 26일, 공개. 
(비특허문헌 0001) Adhikari, A. et al., Screening of Nepalese crude drugs traditionally used to treat hyperpigmentation: in vitro tyrosinase inhibition, Int J Cosmet Sci., 30(5), 353-360, 2008. 
(비특허문헌 0002) Draelos, Z. D., Skin lightening preparations and the hydroquinone controversy, Dermatol Ther., 20(5), 308-313, 2007. 
(비특허문헌 0003) Hearing, V. J., Biogenesis of pigment granules: a sensitive way to regulate melanocyte function, J Dermatol Sci., 37(1), 3-14, 2005. 
(비특허문헌 0004) Thuong, P. T. et al., Antioxidant Activities of Vietnamese Medicinal Plants, Natural Product Sciences, 12(1), 29-37, 2006. 
(비특허문헌 0005) Vincent, J. H., et al., Mammalian tyrosinase-the critiacal regulatory control point in melanocyte pigmentation, Int J Biochem., 19, 1141-1147, 1987. 
본 발명의 목적은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항균 또는 항아토피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항균 또는 항아토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은 시지지움 포르모슘을 50 내지 70%(v/v)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항균 또는 항아토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은 정제수로 60℃ 내지 90℃ 범위에서 1차 추출한 후, 50 내지 70%(v/v)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2차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항균 또는 항아토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은 정제수로 상온에서 1차 추출한 후, 에탄올로 2차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항균 또는 항아토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항균 또는 항아토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항균 또는 항아토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항균 또는 항아토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은 유효성분으로서, 마데카식산(Madecassic acid), 아시아틱산(Asiatic acid), 코로솔산(Corosolic acid), 마스리닌산(Maslinic acid) 및 베툴린산(Betulinic acid)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항균 또는 항아토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마데카식산(Madecassic acid), 아시아틱산(Asiatic acid), 코로솔산(Corosolic acid), 마스리닌산(Maslinic acid) 및 베툴린산(Betulinic acid)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유효성분은,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 고형분 기준으로 10,000ppm 내지 200,000ppm 범위내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항균 또는 항아토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이 우수하여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항균 및 항아토피 활성이 우수하여 항균 및 항아토피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의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미백, 항균 또는 항아토피 화장료 조성물은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은 시지지움 포르모슘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으며, 상기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및 이소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v/v)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추출물이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로 60℃ 내지 90℃ 범위에서 1차 열수 추출한 후, 50 내지 70%(v/v)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30℃ 내지 50℃ 범위로 2차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로 상온에서 1차 추출한 후, 에탄올로 상온에서 2차 추출한 것일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보듯이, 상기 추출 방법에 따라 특정 유효성분의 추출 함량이 달라지며, 특정 유효성분들의 함량 비율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추출시간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0분 내지 1일 이내에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출용 기기로는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활성을 억제하여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항균 활성을 우수하게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황색포도상구균은 아토피성 피부염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고,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보듯이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게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효과가 나타나, 항아토피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에 포함되는 주요 유효성분으로서, 마데카식산(Madecassic acid), 아시아틱산(Asiatic acid), 코로솔산(Corosolic acid), 마스리닌산(Maslinic acid) 및 베툴린산(Betulinic acid)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마데카식산(Madecassic acid), 아시아틱산(Asiatic acid), 코로솔산(Corosolic acid), 마스리닌산(Maslinic acid) 및 베툴린산(Betulinic acid)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유효성분은,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 고형분 기준으로 10,000ppm 내지 200,000ppm 범위내로 포함되어 더욱 우수한 활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이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내지 5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내지 4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내지 30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유탁액, 현탁액, 페이스트, 크림, 로 션, 겔, 파우더, 스프레이,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징, 오일, 비누, 액체세정료, 입욕제,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화장수, 폼, 팩, 유연수, 선 스크린 크림 또는 선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성분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화제, 점증제, 유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알코올류, 수용성 고분자제, 겔화제, 안정화제, 비타민, 무기염류, 유화제, 향료 같은 일반적인 보조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제형 또는 사용목적에 따라 그 첨가량을 화장료 고유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 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은 매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정해지지 않은 기간 동안에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연령, 피부상태 또는 피부타입, 상기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사용량, 사용횟수 및 기간을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은 주근깨, 간반, 기미, 갈색 또는 흑점, 임신성 갈색 반점, 노인성 반점, 자외선 노출로 인한 반점, 상처 또는 피부염으로 인한 염증 후 과색소침착 및 약물 사용 후의 과색소침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질환일 수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만성적으로 재발하는 피부 질환으로 가려움증을 흔히 동반하며, 아토피 피부염의 병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나, 제2형 T 보조 림프구가 매개하는 면역학적 이상에 의해 발병하며, 더불어 환경적 알레르기, 유전적인 소인, 심리적 요인 또는 약리적 요인에 기인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에 포함되며, 다만 상기 설명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함께 적합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 등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피부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라비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결정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탈크,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및 광물유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안정화제, 결합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시간, 투여경로, 약물의 흡수, 분포 및 배설률, 사용되는 다른 약물의 종류 및 처방자의 판단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01mg/kg/일 내지 2000mg/kg/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0.01mg/kg/일 내지 500mg/kg/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의 제조>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건조 분말 20g에 50%(v/v) 에탄올 수용액 또는 70%(v/v) 에탄올 수용액 200ml을 더하여 40°C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상기 과정으로부터 얻은 추출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실시예 1의 시지지움 포르모슘 5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및 실시예 2의 시지지움 포르모슘 7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1. 시지지움 포르모슘 1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제조하되 50% 에탄올 수용액 대신 10%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시지지움 포르모슘 1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2. 시지지움 포르모슘 2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제조하되 50% 에탄올 수용액 대신 20%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시지지움 포르모슘 2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3. 시지지움 포르모슘 4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제조하되 50% 에탄올 수용액 대신 40%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시지지움 포르모슘 4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4. 시지지움 포르모슘 8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제조하되 50% 에탄올 수용액 대신 80%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시지지움 포르모슘 8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5. 시지지움 포르모슘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제조하되 50% 에탄올 수용액 대신 100% 에탄올을 사용하여 시지지움 포르모슘 100%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6. 시지지움 포르모슘 메탄올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제조하되 50% 에탄올 수용액 대신 100% 메탄올 사용하여 시지지움 포르모슘 100% 메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7. 시지지움 포르모슘 열수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제조하되 50% 에탄올 수용액 대신 물을 사용하여 80°C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함으로써 시지지움 포르모슘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1. L-티로신(L-tyrosine)을 이용한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 확인> 
본 발명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사용하여 멜라닌 합성 과정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1mM L-티로신(L-tyrosine) 500μl, 0.1M 인산완충액(phosphate buffer, pH 6.8) 900μl 및 10% DMSO에 용해된 0.5mg/ml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내지 7) 100μl를 각각 혼합한 다음, 티로시나아제 (53.7U/ml) 100μl를 첨가하고 25°C에서 15분 동안 반응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DMSO를 사용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는 0.5mg/ml 알부틴을 사용하였다. 
상기 반응액을 30초 간격으로 15분 동안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하기 수학식 1로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계산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Figure 112019103405524-pat00001
조건 저해 활성(%)
실시예 1 5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75.0
실시예 2 7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70.8
비교예 1 1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25.3
비교예 2 2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31.2
비교예 3 4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40.0
비교예 4 8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54.5
비교예 5 100% 에탄올 추출물 40.7
비교예 6 100% 메탄올 추출물 30.4
비교예 7 열수 추출물 20.0
양성대조군 알부틴(arbutin) 49.1
대조군 DMSO 0
상기 표 1을 살펴보면, 본 발명 실시예 1 및 2의 시지지움 포르모슘 50% 및 7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은 양성대조군인 알부틴에 비해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본 발명 실시예는 용매 조건이 다른 비교예 1 내지 7의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에 비해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현저하게 우수하였다. 
또한, 상기 표 1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서 사용한 시지지움 포르모슘의 동속이종 중에서, 대표적으로 정향(Syzygium aromaticum) 및 자바플럼(Syzygium cumini)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확인한 결과, 본 발명 실시예 1 및 2의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에 비해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20배 이상 낮게 나타난 바, 같은 속의 식물이어도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 값의 차이가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 실시예 1 및 2의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은 피부 내의 멜라닌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L-DOPA를 이용한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 확인> 
L-DOPA를 사용하여,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1) 시약의 제조
- Tyrosinase solution : Tyrosinase를 0.1M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buffer에 녹여 110U/ml농도로 용액을 만들어 이용하였다.
- Substrate : L-DOPA를 0.1M PBS buffer에 녹여 5mM로 만들어 이용하였다.
- 시료 이용 : 증류수를 이용해 해당 농도로 희석 후 이용하였다.
- Negative control : 시료 대신 증류수를 넣어서 진행하였다.
(2) 시험방법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내지 7) 및 negative control(대조군), positive control(양성 대조군) 30㎕, 0.1M PBS buffer 70㎕, substrate 30㎕를 넣었다. 그 후 tyrosinase를 20㎕를 넣은 후, 5분간 25℃에서 반응 시킨다. 반응 완료 후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 대비 시험군의 흡광도를 비교하여 상기 수학식 1로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계산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조건 저해 활성(%)
실시예 1 5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32.3
실시예 2 7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46.2
비교예 1 1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8.7
비교예 2 2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15.9
비교예 3 4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24.8
비교예 4 8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28.5
비교예 5 100% 에탄올 추출물 27.7
비교예 6 100% 메탄올 추출물 24.4
비교예 7 열수 추출물 8.5
양성대조군 알부틴(arbutin) 18.6
대조군 증류수 0
상기 표 2을 살펴보면, 본 발명 실시예 1 및 2의 시지지움 포르모슘 50% 및 7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은 양성대조군인 알부틴에 비해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 확인> 
(1) 세포 배양
시험에 이용한 세포주는 B16F10 cell line(한국세포주은행, 한국)으로, 쥐의 악성흑색종 세포이다. 동결보존 된 세포주를 배양접시에 배양하여, 첫 세포배양 후 2~3일 주기로 계대배양을 2회~3회 반복하면서 세포주 안정화 확인 후에, 48 well plate에 1×105/well의 세포 수만큼 배양하였다. 그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시험을 준비하였다.
(2) 시료 제조
DMEM(Dimethyl modified eagle medium, 10-013-CVR, Corning, USA)에 0.1mg/ml의 농도로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내지 7)을 녹여서 시험을 준비하였다.
(3) 시험 방법
미리 세포를 배양한 48 well plate에 시료와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이 있는 배지를 300㎕ 씩 넣고, 72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에서 매일 배지교환을 진행하며 배양 하였다. 그 후, 각 well을 PBS로 washing 하여 배지를 제거한 후, 200㎕의 1N NaOH를 처리 한다. 그 후 SpectraMax M2 (Molecular devices, USA)를 이용해 4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멜라닌 생성 저해도는 음성대조군을 처리한 대조군 대비, 시험군의 흡광도를 비교하여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2] 
Figure 112019103405524-pat00002
조건 저해 활성(%)
실시예 1 5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22.8
실시예 2 7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28.6
비교예 1 1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5.6
비교예 2 2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10.5
비교예 3 4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18.6
비교예 4 8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20.6
비교예 5 100% 에탄올 추출물 19.2
비교예 6 100% 메탄올 추출물 18.9
비교예 7 열수 추출물 4.7
양성대조군 알부틴(arbutin) 21.1
대조군 DMEM 0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 실시예 1 및 2의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은 피부 내의 멜라닌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항균 활성 확인> 
상기 실시예 2의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사용하여 항균 활성을 시험하였다. 대상 균주로서, 피부 기회감염균이며 아토피 원인균으로도 알려진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 이하 S. aureus)을 선택하여 항균 활성 및 항아토피 활성을 확인하였다.
(1) S. aureus 균주의 준비
먼저, LB media에서 37℃, 200rpm으로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이하 S. aureus) 균주를 배양한 후 생리 식염수를 이용하여 8x10^6 cfu/ml의 균수로 희석하여 균주를 준비하였다.
(2)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의 준비
실시예 2의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DMSO에 녹이고 희석한 후 30㎕를 LB에 넣어 최종적으로 0.1, 0.2, 0.25, 0.4, 0.5, 0.6, 0.75, 1, 1.5 mg/ml 농도의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 시료를 준비하였다.
(3) 항균 활성 시험
상기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 시료에 30㎕의 S. aureus 균주를 접종하여 8x10^6 cfu/ml 균수가 되도록 한 후, 37℃, 120rpm 조건에서 12시간 배양하였으며, 595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시험하였다. 대조군으로 5% DMSO를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control
(final
5% DMSO)
시시지움 포르모슘(mg/ml)
0.1 0.25 0.5 0.75 1 1.5
1 0.656 0.596 0.489 0.439 0.265 0.208 -0.065
2 0.696 0.606 0.426 0.268 0.421 0.304 0.272
3 0.821 0.627 0.555 0.345 0.453 0.148 -0.203
4 0.657 0.593 0.499 0.435 0.312 0.190 0.331
5 0.723 0.648 0.529 0.378 0.295 0.237 0.029
average 0.711
±
0.068
0.614
±
0.023
0.500
±
0.048
0.373
±
0.071
0.349
±
0.083
0.217
±
0.058
0.073
±
0.226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은 항균 활성 및 항아토피 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6. 추출 조건에 따른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의 성분 확인> 
<실시예 3>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건조 분말 20g에 70%(v/v) 에탄올 수용액 200ml을 더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상기 과정으로부터 얻은 추출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4-1>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건조 분말 20g에 정제수 200ml를 더하여 8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4-2>
상기 실시예 4-1에서 여과된 시지지움 포르모슘에 50%(v/v) 에탄올 수용액 200ml을 더하여 40℃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상기 과정으로부터 얻은 추출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4-3>
상기 실시예 4-2에서 여과된 시지지움 포르모슘에 70%(v/v) 에탄올 수용액 200ml을 더하여 40℃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상기 과정으로부터 얻은 추출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5-1>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건조 분말 20g에 70%(v/v) 에탄올 수용액 200ml을 더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상기 과정으로부터 얻은 추출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5-2>
상기 실시예 5-1에서 여과된 시지지움 포르모슘에 70%(v/v) 에탄올 수용액 200ml을 더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상기 과정으로부터 얻은 추출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5-3>
상기 실시예 5-2에서 여과된 시지지움 포르모슘에 70%(v/v) 에탄올 수용액 200ml을 더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상기 과정으로부터 얻은 추출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6-1>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건조 분말 20g에 정제수 200ml를 더하여 상온에서 30분 동안 추출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6-2>
상기 실시예 4-1에서 여과된 시지지움 포르모슘에 약 100% 에탄올 200ml을 더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상기 과정으로부터 얻은 추출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5. HRMS 분석을 이용한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의 성분 확인>
(1) HRMS 분석 조건
하기 표 5 및 표 6의 조건으로 HRMS 분석을 진행하였다.
HRMS condition
Column YMC - Triart C18
(5 um 250 X 4.6 mm)
Solvent (A) 0.1% Formic acid in water
(B) 0.1% Formic acid in CAN
Flow rate 0.5 ml/min
Injection volume 10 ul
Time(min) A(%) B(%)
0 75 25
25 60 40
65 10 90
66 0 100
70 0 100
75 75 25
80 75 25
** 시간에 따른 solvent gradient
(2) 주요 유효성분 정량 결과
상기 실시예 3의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의 주요 유효성분을 동정하였고, 그 중량 함량 측정결과를 추출물 고형분 기준으로 하기의 표 7에 나타내었다.
주요 유효성분 함량(PPM)
Madecassic acid 16000
Asiatic acid 15000
Corosolic acid 48000
Maslinic acid 36000
Betulinic acid 12000
(3) 추출 조건에 따른 유효성분 추출 효율 분석 결과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6의 추출 조건에 따른 유효성분 추출 효율을 HRMS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구분 Madecassic acid Asiatic acid Corosolic acid Maslinic acid Betulinic acid
실시예 3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4-1 2 20 0 0 0
실시예 4-2 16 71 55 53 23
실시예 4-3 14 78 31 29 22
실시예 5-1 21 60 40 38 35
실시예 5-2 32 0 0 0 31
실시예 5-3 26 0 0 0 11
실시예 6-1 2 15 0 0 0
실시예 6-2 20 52 30 28 35
<제제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제제예 1-1. 유연 화장수의 제조 
본 발명 실시예 1의 시지지움 포르모슘 5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9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의 방법으로 유연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
실시예 1 4.0
부틸렌글리콜 3.5
글리세린 2.5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0.1
에탄올 2.5
베타인 1.0
구연산 0.01
구연산나트륨 0.03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제제예 1-2. 영양 에센스의 제조 
본 발명 실시예 1의 시지지움 포르모슘 5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10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의 방법으로 영양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
실시예 1 7.0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1.0
밀납 0.5
스쿠알란 5.0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3.0
디메틸실록산 0.3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8.0
글리세린 4.0
프로필렌글리콜 0.2
카르복시폴리머 0.22
트리에탄올아민 0.25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착색료 적량
정제수 to 100
제제예 1-3. 크림의 제조 
본 발명 실시예 1의 시지지움 포르모슘 5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1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의 방법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
실시예 1 7.0
세토스테아릴알코올 3.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1.5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 1.5
밀납 0.5
유동파라핀 8.0
스쿠알란 7.0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4.0
정제호호바유 4.0
디메틸실록산 0.3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1.0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1.2
글리세린 6.0
프로필렌글리콜 4.0
베타인 4.0
산탄검 0.06
트리에탄올아민 0.10
방부제 0.25
향료 적량
착색료 적량
정제수 to 100
<실험예 6. 항아토피 테스트> 
급성 악화된 아토피 피부염을 나타내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상기 제제예 1-3의 크림을 아토피 환자들의 환부에 1일 3회 적당량 바른 후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었다. 보는 바와 같이, 아토피 증상이 현저히 호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1)

  1.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유효성분으로서, 마데카식산(Madecassic acid), 아시아틱산(Asiatic acid), 코로솔산(Corosolic acid), 마스리닌산(Maslinic acid) 및 베툴린산(Betulinic acid)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은 시지지움 포르모슘을 50 내지 70%(v/v)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은 정제수로 60℃ 내지 90℃ 범위에서 1차 추출한 후, 50 내지 70%(v/v)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2차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은 정제수로 상온에서 1차 추출한 후, 에탄올로 2차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데카식산(Madecassic acid), 아시아틱산(Asiatic acid), 코로솔산(Corosolic acid), 마스리닌산(Maslinic acid) 및 베툴린산(Betulinic acid)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유효성분은,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 고형분 기준으로 10,000ppm 내지 200,000ppm 범위내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10.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11. 삭제
KR1020190125574A 2018-10-11 2019-10-10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KR102251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102A KR102328237B1 (ko) 2018-10-11 2021-05-04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21224 2018-10-11
KR1020180121224 2018-10-1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102A Division KR102328237B1 (ko) 2018-10-11 2021-05-04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798A KR20200041798A (ko) 2020-04-22
KR102251190B1 true KR102251190B1 (ko) 2021-05-14

Family

ID=701651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574A KR102251190B1 (ko) 2018-10-11 2019-10-10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KR1020210058102A KR102328237B1 (ko) 2018-10-11 2021-05-04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102A KR102328237B1 (ko) 2018-10-11 2021-05-04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218593A1 (ko)
KR (2) KR102251190B1 (ko)
WO (1) WO20200761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562B1 (ko) 2020-11-02 2023-01-12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갯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65182A (ko) 2020-11-13 2022-05-20 (주)내츄럴코리아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 및 레조르시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40534B1 (ko) * 2020-11-27 2022-09-06 (주)카보엑스퍼트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CN113151067B (zh) * 2021-03-31 2023-03-24 绽妍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乳酸菌发酵提取物的提取分离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7498A (ja) 2007-02-05 2008-01-17 Noevir Co Ltd 保湿用組成物
JP2010539174A (ja) 2007-09-18 2010-12-16 イーエルシー マネージメント エルエルシー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剤を含有する化粧用組成物及び使用方法
KR101704996B1 (ko) * 2016-06-08 2017-02-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7145958A1 (en) 2016-02-24 2017-08-31 Kao Corporation Whitening agent comprising as active agent syzygium polyanthum or an extract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2563A (ja) * 2008-12-02 2010-06-17 Lotte Co Ltd 抗菌剤及びそれを含む口腔用組成物並びに飲食品
KR20130068307A (ko) * 2011-12-15 2013-06-2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15-하이드록시프로스타글란딘 탈수소효소(15-pgdh) 억제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7498A (ja) 2007-02-05 2008-01-17 Noevir Co Ltd 保湿用組成物
JP2010539174A (ja) 2007-09-18 2010-12-16 イーエルシー マネージメント エルエルシー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剤を含有する化粧用組成物及び使用方法
WO2017145958A1 (en) 2016-02-24 2017-08-31 Kao Corporation Whitening agent comprising as active agent syzygium polyanthum or an extract thereof
KR101704996B1 (ko) * 2016-06-08 2017-02-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18593A1 (en) 2022-07-14
WO2020076101A1 (ko) 2020-04-16
KR20210054498A (ko) 2021-05-13
KR102328237B1 (ko) 2021-11-22
KR20200041798A (ko)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1190B1 (ko)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JP2020532560A (ja) 鉄皮石斛(デンドロビウム・カンディダム)花の抽出物を含む化粧料組成物
KR101971837B1 (ko)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93209B1 (ko) 갈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08911A (ko) 로즈마리 이온성 액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0850686B1 (ko)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흑종초자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42267B1 (ko) 서장채국화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74867B1 (ko) 성숙한 잣구과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또는 모공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60605B1 (ko)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 및 니아신아마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0550B1 (ko) 신갈나무 화분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아민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0894714B1 (ko) 피부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백모사 추출물
KR102425559B1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396275B1 (ko) 피부 미백 효과가 있는 강진향 추출물
KR20100028202A (ko) 밀몽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054132B1 (ko)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30123490A (ko) 다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KR102155246B1 (ko) 황칠나무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721666B1 (ko) 선복화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895202B1 (ko) 관중으로부터 분리한 노르플라바스피딕산 pb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613802B1 (ko)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배양물 및 벌사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70095170A (ko) 어리연꽃 속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2131B1 (ko) 멀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930592B1 (ko) 반대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 조성물
KR20160020384A (ko) 잣구과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