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5182A -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 및 레조르시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 및 레조르시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5182A
KR20220065182A KR1020200151437A KR20200151437A KR20220065182A KR 20220065182 A KR20220065182 A KR 20220065182A KR 1020200151437 A KR1020200151437 A KR 1020200151437A KR 20200151437 A KR20200151437 A KR 20200151437A KR 20220065182 A KR20220065182 A KR 20220065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nano
resorcinol
oil
lipos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1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홍순
박영재
송희석
황승연
김동인
이창규
이난영
Original Assignee
(주)내츄럴코리아
(주)카보엑스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내츄럴코리아, (주)카보엑스퍼트 filed Critical (주)내츄럴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151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5182A/ko
Publication of KR20220065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18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6Multiple emulsions, e.g. water-in-oil-in-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 레조르시놀과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조성물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추출물, 레조르시놀 및 그 유도체를 다중 유화제형으로 안정화한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 조성물은 안정성, 경피 흡수성이 우수하며, 우수한 피부 미백활성, 항균활성 및 아토피 개선활성을 나타내므로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 및 레조르시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yzygium formosum extract and resorcinol derivatives stabilized in nano-liposome}
본 발명은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 및 레조르시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추출물, 레조르시놀과 그 유도체를 안정화하고 이를 화장료로 이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 모발색 및 눈동자 색은 주로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와 합성된 멜라닌(melanin)의 유형, 수량과 분포와 관련된다. 화장품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이 멜라닌세포인데, 멜라닌은 동물의 피부, 머리, 눈의 색을 결정하며 UV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과량의 멜라닌은 주근깨, 기미, 과색소침착(hyperpigmentation) 같은 피부손상을 일으킨다. 또한 멜라닌합성 과정은 과산화수소 및 다른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ROS)을 발생시켜 멜라닌세포를 산화적스트레스 환경에 놓이게 한다. ROS가 멜라닌 합성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또한 ROS 소거제 혹은 억제제가 UV에 의해 유도되는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멜라닌 생성에 주요효소(key enzyme) 역할을 하는 티로시나제(tyrosinase)는 구리이온을 함유하는 metalloprotein으로, 아미노산의 하나인 L-tyrosine을 기질로 L-DOPA (3,4-dihydroxyphenylalanine)로 변환시키고 이것을 다시 산화시켜 L-DOPA-quinone으로 변환시키고, 이렇게 변환된 L-DOPA-quinone은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otion factor(MITF) 및 phospholipase C(PLC), tyrosinase related protein-1(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2(TRP-2) 같은 다른 단백질들에 의해 멜라닌으로 합성된다.
자외선 노출 등에 의해 기미, 주근깨, 색소침착 등과 같은 과도한 멜라닌 색소침착을 치료 또는 경감시켜주기 위해서 이전부터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코직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글루타치온(glutathione),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가진 물질 등을 화장료나 의약품에 배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들은 불충분한 미백 효과, 피부에 대한 안전성 문제, 화장료에 배합 시 제형 및 안정성 문제 등으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적이다. 따라서 상기 유효성분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정성이 입증된 천연물 유래의 유효성분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미생물은 우리 주변 도처에 존재하고 있다. 특히,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전화기, 핸드폰, 바닥재, 냉장고, 에어콘, 가습기, 장난감, 벽지 및 각종 가스 킷트 등은 각종 세균류 및 곰팡이 등이 번식하기 쉬워 악취를 발생하기도 하며, 심지어는 인체에 유해한 세균이 번식하여 각종 질병을 유발하기도 하고, 병원성 대장균 O-157에 의한 식중독, 목욕탕에서 발생하는 폐렴을 일으키는 레지오넬라균 등의 심각한 사회문제를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고기능성 항균물질이 요구되며, 현재까지 이러한 항균물질들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화장품의 미생물 오염 문제는 제품 자체의 변질로 인한 상품 가치의 저하는 물론 피부 사용 부위에 대한 위생학적 측면 때문에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화장품은 천연물에서 유래된 영양성분과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기 쉬운 원료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관계로 유통과정에서 또는 소비자가 사용 중에 곰팡이, 효모, 세균 등의 미생물에 의해 오염되기 쉬우므로, 이와 같은 미생물 성장을 억제하기 위하여 방부제를 첨가하며, 최소량으로 최대의 항균력을 나타내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화장품 제품 중의 영양성분의 배합, pH, 유화형태, 방부제의 혼합사용 및 그 안정성을 고려하여야 함은 물론이고 제품 중의 모든 원료 성분에 대한 항균 활성효능 및 피부자극 여부를 사전에 미리 파악하여 각 제품별로 적절한 항균제 및 방부체계를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리고 합성 방부제의 다양한 부작용 때문에 천연 방부제의 개발이 화장품업계에서는 주요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염증은 자외선이나 활성산소, 자유라디칼 등의 산화적 스트레스 등이 염증성인자를 활성화 시켜 각종 질병 및 피부의 노화를 일으킨다. 현재까지 항염제로 이용되는 물질로는 비스테로이드계로 플루폐나믹산(flufenamic acid), 이부프로펜(ibuprofen), 벤지다민(benzydamine),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등이 있고 스테로이드계통으로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등이 있다.
그 외 알란토인, 아즈엔, 하이드로코티손 등이 있으나, 이들 모두 피부에 대한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염증 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비해, 천연물들은 안전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유익한 성분들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천연 유래물질을 이용하여 피부 미백 효과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생체에 안전하고 유효성분이 안정하며, 무엇보다도 기존에 존재하는 피부의 미백, 항염증 및 항아토피의 효과가 있는 물질보다 효과가 우수한 천연유래 피부 미백, 항염증 및 항아토피의 활성을 지닌 성분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었다.
많은 식물들의 추출물은 곰팡이의 생장을 저해하는 저분자량의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Muller와 Borger가 병원균의 침입을 받았을 때 식물이 생성하는 방어물질을 "Phytoalexin"이라고 개념을 제안한 이후, phytoalexin은 식물의 병 저항성 기초이론 연구를 위한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 곰팡이의 생장을 저해하는 저분자량의 물질들 중에는 변화되지 않는 건강한 식물체의 추출물에서 발견되는 것(전형성 항미생물 화합물; Phytoanticipins), 또는 병원체나 스트레스에 의해 변화된 식물의 추출물에서 발견되는 것(Phytoalexins)과 Phytochemical 성분들이 있다.
Phytochemical은 식물에서 자연적으로 만들어지는 모든 화학물질을 통틀어 말한다(phyto는 그리스어로 "식물"을 의미한다). 천연물의 주요 성분이며, 일부는 블루베리의 보라색과 같이 식물의 색소, 마늘의 냄새와 같은 식물의 관능성 등과 관련되어 있다. 카로티노이드 또는 플라보노이드 등과 같이 피토케미컬은 다양한 생리 활성 기능을 가지고 있어 생물학적으로 중요성을 가지지만, 필수 영양소는 아니다. 한편 피토케미컬의 종류로는 약 4,000가지가 있음이 알려지고 있다. Phenolics, Saponins, Cyanogenic glycosides, Cyclic hydroxamic acids, Sesquiterpenes, Isoflavonoids, Sulfur-containing indole derivatives와 같은 이차대사산물들의 다양한 화합물들이 있다. Terpenes, Terpenoids 그리고 Phytochemicals은 주로 항균제와 항산화제의 효능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Pytoalexins 물질(isoprenoids, alkaloids, saponins, quinones, flavonoids 그리고 glycoesteroides 등)은 여러 식물에서 효소반응의 대사산물로 알려지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천연물질 중에서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을 선정하여 연구하였으며,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이 피부 미백, 항균, 아토피 개선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특허출원(10-2019-0125574)을 한 바 있다.
본 발명자들은 추가 연구를 통하여 특정한 방법으로 상기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 레조르시놀과 그 유도체를 함께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조성물을 제조하면, 안정성이 개선되고, 경피 흡수율이 상승할 뿐 아니라, 혼합에 따른 상승효과에 의하여 더욱 우수한 피부미백활성, 항균활성, 아토피 개선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4996호(2017. 02. 09)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68307호(2013. 06. 2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41798호(2020. 04. 2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32490호(2020. 03. 26)
본 발명은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추출물, 레조르시놀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나노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나노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우수한 미백활성, 항균활성 및 아토피 개선활성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추출물, 레조르시놀(resorcinol)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A)나노 리포좀을 제조하기 위한 수상부 및 유상부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펩타이드 혼합물 1.0 내지 10 중량%, 글리세린 5.0 내지 20.0 중량%, 레조르시놀 0.01 내지 1.0 중량%, 에탄올 1.0 내지 10.0 중량%, 1,2-부틸렌글리콜 1.0 내지 10.0 중량%, 세티아릴올리베이트/소르비탄올리베이트 0.5 내지 5 중량%를 정제수와 40 내지 80℃에서 혼합하여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B)나노 리포좀을 제조하기 위한 수상부 및 유상부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활성성분인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 0.5 내지 30.0 중량%와 레조르시놀 유도체 0.001 내지 5.0 중량%, 인지질 0.1 내지 20.0 중량%, 디메치콘 0.5 내지 10.0 중량%, 식물성 오일 0.5 내지 10.0 중량%, 지방산 0.05 내지 1.0 중량%, 콜레스테롤 0.5 내지 3.0 중량%, 세라마이드복합체 0.1 내지 10.0 중량%, 피토스테릴유도체 0.1 내지 10.0 중량%를 40 내지 80℃에서 혼합하여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C)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수상부를 40 내지 60℃으로 가온한 후, 상기 (B)단계에서 제조된 유상부를 첨가하여 2,000 내지 4,000 rpm으로 5 내지 30분 동안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유화시킨 뒤, 상온으로 냉각하여 Microfluidizer를 이용하여 900 내지 1,100 Bar 조건에서 3 내지 5회 투과시키는 고압 유화를 통하여 유중수형(W/O형) 나노 리포좀을 제조하는 단계; 및
(D)상기 (C)단계에서 제조된 유중수형(W/O형) 나노 리포좀을 상기 (A) 단계의 수상부, 상기 (B)단계의 유상부에서 활성성분이 제거된 유상부와 다시 혼합하고 40 내지 60℃에서 2,000 내지 4,000 rpm으로 5 내지 30분 동안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유화하여 다중 유화형(W/O/W형) 나노 리포좀 유화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조르시놀 유도체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Phenylethyl resorcino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단계에서 유중수형(W/O형) 나노 리포좀은 나노 리포좀 유화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5~2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가 포함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D)단계에 이어서, (E)상기 (D)단계에서 제조된 다중층 리포좀을 안정화하기 위하여 방부제, 점증제 및 유화제를 투입하고 2,000 내지 4,000 rpm으로 5 내지 30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추출물, 레조르시놀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상기 나노 리포좀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50중량%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 항균용 또는 아토피 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추출물, 레조르시놀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조성물은 안정성이 개선되고, 경피 흡수율이 상승할 뿐 아니라, 혼합에 따른 상승효과에 의하여 더욱 우수한 피부미백활성, 항균활성, 아토피 개선활성을 나타내므로 피부 미백용, 항균용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활성성분으로서의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추출물, 레조르시놀 및 그 유도체를 안정화하고 이를 화장료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추출물, 레조르시놀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은 방글라데시, 인도, 미얀마, 태국, 라오스, 베트남 등과 같은 동남아시아에서 서식하는 상록수로 10m 높이까지 성장한다. 베트남과 라오스에서는 시지지움 포르모슘을 재배하여 이 나무의 과일을 식용으로 이용하고 있다. 또한, 베트남에서는 건조시킨 시지지움 포르모슘의 잎에 물을 가하여 얻은 물 추출물을 아토피성 피부 질환 및 위장 장애 치료에 이용하고 있다.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에는 마데카식산(Madecassic acid), 아시아틱산(Asiatic acid), 코로솔산(Corosolic acid), 마스리닌산(Maslinic acid) 및 베툴린산(Betulin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성분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유효성분으로서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 고형분 기준으로 10,000ppm(1%) 내지 200,000ppm(20%) 함유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조르시놀(Resorcinol, m-dihydroxybenzene)은 아르간(Argan) 오일의 주성분으로 항암, 항균 및 미백효능 등이 보고되어 있으며, 그 유도체인 페닐에틸레조르시놀(Phenylethyl resorcinol, 4-(1-phenylethyl)1,3-benzenediol)도 미백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활성성분으로서 레조르시놀 및/또는 레조르시놀 유도체를 사용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레조르시놀 유도체로서 페닐에틸레조르시놀(Phenylethyl resorcinol)이 사용된다. 레조르시놀 유도체로서 하기 화합물들이 사용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성분들의 피부 개선 활성들이 알려져 있지만, 이를 안정화하고 피부에 흡수시켜 이용률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피부에 보습효과 부여를 통한 피부 각질층 개선 및 영양성분 공급을 통한 노화방지, 미백 또는 피부진정 등을 주된 기능으로 하는 화장료들은 일반적으로 o/w형(oil-in-water type)과 w/o형(water-in-oil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수상성분들을 주로 사용하여 유상성분들을 수상성분들 중에 유화시켜 제조되는 타입을 o/w형(수중유화형)이라 하고, 반대로 유상성분들을 주로 사용하여 수상성분들을 유상성분들 중에 유화시켜 제조되는 타입을 w/o형(유중수화형)이라 한다.
종래의 화학적으로 합성된 유화제들을 이용하여 에멀젼을 제조하는 경우, 화학적으로 합성된 인공의 유화제들은 피부와의 친화성이 좋지 않고, 그 구조상의 유사성이 적어 민감한 피부에서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부는 피부세포 간의 간극이 마치 층상구조와 같이 물층-기름층-물층-기름층 등과 같이 반복적인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름층의 특성은 세포막의 구조와 비슷한 물리 화학적 성질을 나타내기 때문에 아데노신이나 비타민 C와 같은 친수성 물질은 대부분 통과하기가 어렵다.
일반적으로 기초 화장료에 사용되고 있던 계면활성제 유화기법은 대부분 그 입자의 크기가 수 마이크로미터(㎛)정도이며, 그 계면이 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인한 단일막(Uni-layer)으로 형성되어 있는 리포좀을 수득할 수 있었음에 불과하며, 그에 따라 피부의 간극보다 매우 큰 입자크기로 인해 활성성분의 피부로의 전달이 용이하지 못하고, 단일막으로 안정화시키므로 난용성 물질이 일단 용해되었다고 하더라도 입자간의 인력에 의해 활성성분이 불안정하고 피부와의 친화성이 떨어져 피부침투에 바람직하지 못한 효과를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모공이 크기 때문에 모공을 통해서 주로 침투 할 것으로 추정되나 실제 피부를 통한 유효성분의 침투는 대략 1% 정도에 머문다. 실제로는 대부분의 유효성분이 피부세포간극을 통하여 침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피부세포 간극이 30~60nm 정도로 그 틈이 아주 작기 때문에 100nm 이하의 작은 크기의 리포좀만이 통과할 수 있을 것으로 간주되었다. 최근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100 nm 이하의 리포좀이 각질부 통과 시 세포의 장력에 의해 세포막에 융합되어 실제 진피층까지 도달하기 힘들지만 오히려 500 nm 내지 1500 nm의 큰 크기의 리포좀은 진피층에 도달할수 있다고 기술되었다. 근본적인 피부침투 원리는 현재까지도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리포좀은 다른 미셀구조와는 달리 물 풍선 같이 그 구조가 유연하여 좁은 틈도 통과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의약분야 뿐만 아니라, 피부에 밀접한 연관이 있는 화장품산업에서는 20여전부터 피부의 구조 및 구성 요소들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져 왔으며, 이를 통해 피부와 구조적으로 보다 유사하고, 그 조성적으로도 유사한 전달체를 개발함으로써 약물전달효과를 증진시키는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종래의 액정유화기술은 대부분 라멜라형 액정을 기재로 만들고, 이를 화장료에 적용하는 올레오좀(Oleosome) 형태와 원스텝(Onestep)으로 액정을 잘 형성할 수 있는 유화제와 적정 조건에서 유화를 하여 꽃잎모양의 계면액정(Maltesecross)형 화장료를 만드는 유화법으로 크게 양분될 수 있으며, 이들은 주로 일반 에멀젼이나 리포좀보다 비교적 불안정한 약물을 캡슐화 하는데 효과적이어서 각광을 받았다.
본 발명에서는 다중-유화 베시클, 구체적으로는 W/O/W형 나노 리포좀에 활성성분인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추출물, 레조르시놀 및 그 유도체를 포접시켜 안정화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나노 리포좀은 하기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A)나노 리포좀을 제조하기 위한 수상부 및 유상부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펩타이드 혼합물 1.0 내지 10 중량%, 글리세린 5.0 내지 20.0 중량%, 레조르시놀 0.01 내지 1.0 중량%, 에탄올 1.0 내지 10.0 중량%, 1,2-부틸렌글리콜 1.0 내지 10.0 중량%, 세티아릴올리베이트/소르비탄올리베이트 0.5 내지 5 중량%를 정제수와 40 내지 80℃에서 혼합하여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B)나노 리포좀을 제조하기 위한 수상부 및 유상부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활성성분인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 0.5 내지 30.0 중량%와 레조르시놀 유도체 0.001 내지 5.0 중량%, 인지질 0.1 내지 20.0 중량%, 디메치콘 0.5 내지 10.0 중량%, 식물성 오일 0.5 내지 10.0 중량%, 지방산 0.05 내지 1.0 중량%, 콜레스테롤 0.5 내지 3.0 중량%, 세라마이드복합체 0.1 내지 10.0 중량%, 피토스테릴유도체 0.1 내지 10.0 중량%를 40 내지 80℃에서 혼합하여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C)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수상부를 40 내지 60℃으로 가온한 후, 상기 (B)단계에서 제조된 유상부를 첨가하여 2,000 내지 4,000 rpm으로 5 내지 30분 동안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유화시킨 뒤, 상온으로 냉각하여 Microfluidizer를 이용하여 900 내지 1,100 Bar 조건에서 3 내지 5회 투과시키는 고압 유화를 통하여 유중수형(W/O형) 나노 리포좀을 제조하는 단계; 및
(D)상기 (C)단계에서 제조된 유중수형(W/O형) 나노 리포좀을 상기 (A) 단계의 수상부, 상기 (B)단계의 유상부에서 활성성분이 제거된 유상부와 다시 혼합하고 40 내지 60℃에서 2,000 내지 4,000 rpm으로 5 내지 30분 동안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유화하여 다중 유화형(W/O/W형) 나노 리포좀 유화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조르시놀 유도체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Phenylethyl resorcinol)이다. 상기 (D)단계에서 유중수형(W/O형) 나노 리포좀은 나노 리포좀 유화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5~20중량%의 비율로 포함된다. 20중량% 포함되는 경우에 안정성이 가장 우수하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D)단계에 이어서, (E)상기 (D)단계에서 제조된 다중층 리포좀을 안정화하기 위하여 방부제, 점증제 및 유화제를 투입하고 2,000 내지 4,000 rpm으로 5 내지 30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 혼합물은 특정하지는 않으나, 단백질을 이루는 구성단위인 아미노산이 2개 내지 30개 미만으로 구성된 것의 혼합물을 말하며, 휴먼올리고 펩타이드-1,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1,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카퍼트리펩타이드-1, 팔미토일트리펩타이드-5 및 카페오일트리펩타이드-1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개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인지질(phospholipid)은 인산의 에스테르 화합물로서, 천연인지질 및 합성인지질을 포함하며, 포화(saturated)타입 및 불포화(unsaturated)타입 모두 사용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30개인 지방산 사슬을 갖는 인지질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이용될 수 있는 인지질은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 PC; 천연 또는 합성 레시틴),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딕애씨드(Phosphatidic acid, PA), 리소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LPC),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 PS),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hosphatidylethanolamine, PE), 포스파티딜글리세롤(Phosphatidylglycerol, PG), 포스파티딜이노시톨(Phosphatidylinositol, PI), 스핑고인지질(sphingolipid) 또는 글리세로인지질(glycerophospholipid), 카디올리핀(Cardiolipin)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가수분해하여 제조된 지방산(인산기를 갖는 지방산) 및 그 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식물성 오일로는 대두유, 호호바유, 올리브유, 마카다미아넛유, 해바라기씨유, 홍화유, 아보카도유, 피마자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방산으로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 내지 24를 갖는 포화 지방산 또는 1개 이상의 불포화 결합인 탄소 사슬을 갖는 불포화 지방산으로서, 리놀레산, 올레산, 라우르산, 팔미트산, 카프릭산, 헵타데칸산, 펜타데칸산, 아라키드산, 아라키돈산, 에루스산, 알파-리놀렌산, 스테아린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세라마이드(ceramide)는 스핑고신과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화합물을 말하고, N-아실스핀고신(Nacylsphingosine)이라고도 한다. 세라마이드는 피부의 표피층의 각질층의 주성분이다. 상기 세라마이드는 세라마이드 EOP, 세라마이드 NS, 세라마이드 NP, 세라마이드 AS, 및 세라마이드 A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라마이드는 일 양상의 나노에멀젼의 입자벽에서 인지질 사이를 메꾸어 주고, 나노에멀젼의 단단한 입자벽을 만들어줄 수 있다.
본 발명에는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를 이용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는 당업계에서 공지된 다양한 계면활성제를 사용 할 수 있고, 하기의 예로써 특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능에 따라 알킬아민염류 및 알킬 암모늄염류로 비롯되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지방산염류, 고급 알콜지방산 에스테르염류, 알킬벤젠술폰산염류와 같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벤카인류로 대표되는 양성 계면활성제와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레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아실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 등을 포함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구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지방산 알코올 설페이트, 이세티오네이트, 술폰숙신산 모노에스테르, 메틸타우레이트, 이미다졸리늄, 사르소시네이트,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먼저 리포좀 유화를 진행하기 위한 수상부를 제조한다. 글리세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상부를 준비한다. 수상부는 나노 리포좀을 제조하기 위한 수상부 및 유상부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펩타이드 혼합물 1.0 내지 10 중량%, 글리세린 5.0 내지 20.0 중량%, 레조르시놀 0.01 내지 1.0 중량%, 에탄올 1.0 내지 10.0 중량%, 1,2-부틸렌글리콜 1.0 내지 10.0 중량%, 세티아릴올리베이트/소르비탄올리베이트 0.5 내지 5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펩타이드 혼합물 2.0 내지 7.0 중량%, 글리세린 7.0 내지 13.0 중량%, 레조르시놀 0.05 내지 0.5 중량%, 에탄올 3.0 내지 6.0 중량%, 1,2-부틸렌글리콜 2.0 내지 6.0 중량%, 세티아릴올리베이트/소르비탄올리베이트 1.0 내지 3.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된다. 상기 성분들의 혼합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여러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혼합 시 40 내지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0℃,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5℃에서 실시한다. 이 경우 혼합에 의해 수상부 구성 성분들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진행하고, 수용성 활성성분을 이용할 경우 수상부에 용해하여 준비한다.
이어서 상기 수상부와 분산 및 유화시키기 위한 유상부를 제조한다.
나노 리포좀을 제조하기 위한 수상부 및 유상부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활성성분으로서의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 0.5 내지 30.0 중량%와 페닐에틸 레조르시놀 0.001 내지 5.0 중량%, 인지질 0.1 내지 20.0 중량%, 디메치콘 0.5 내지 10.0 중량%, 식물성 오일 0.5 내지 10.0 중량%, 지방산 0.05 내지 1.0 중량%, 콜레스테롤 0.5 내지 3.0 중량%, 세라마이드복합체 0.1 내지 10.0 중량%, 피토스테릴유도체 0.1 내지 10.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 1.0 내지 20.0 중량%, 페닐에틸 레조르시놀 0.001 내지 5.0 중량%, 인지질 1.0 내지 10.0 중량%, 디메치콘 1.0 내지 6.0 중량%, 식물성 오일 1.0 내지 5.0 중량%, 지방산 0.1 내지 0.5 중량%, 콜레스테롤 1.0 내지 2.5 중량%, 세라마이드복합체 1.0 내지 5.0 중량%, 피토스테릴유도체 1.0 내지 5.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된다. 상기 성분들의 혼합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여러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혼합 시 40 내지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가장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65℃에서 실시한다. 이 경우 혼합에 의해 유상부 구성 성분들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진행하고, 난용성 활성성분을 이용할 경우 유상부에 용해하여 준비한다.
이어서, 준비된 수상부와 유상부를 분산 및 유화시켜 수중유형(O/W형) 나노 리포좀을 제조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수상부를 40 내지 60℃로 가온한 후, 상기 (B) 단계에서 제조된 유상부를 첨가하여 2,000 내지 4,000 rpm으로 5 내지 30분 동안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유화시킨 뒤, 상온으로 냉각하여 Microfluidizer를 이용하여 고압 유화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고압 유화는 500 내지 1,500 Bar,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1,300 Bar, 가장 바람직하게는 900 내지 1,100 Bar 조건에서 3 내지 5회 투과하여 제조한다. 가압시 압력조건을 변경하여 생성되는 리포좀의 입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단계를 진행한 나노 리포좀은 입자크기가 10 내지 1,000 nm,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0 nm,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 nm로 제조된다.
이어서, 얻어진 수중유형(O/W형) 나노 리포좀을 수상부 및 유상부와 2차 유화하여 다중 유화형(W/O/W형) 리포좀 유화액을 제조한다.
상기 (C) 단계에서 제조된 수중유형 (O/W형) 나노 리포좀을 상기 (A) 단계에서 준비된 수상부 및 상기 (B) 단계에서 준비된 유상부에서 활성성분을 제거한 유상부와 함께 혼합하여 40 내지 60℃에서 2,000 내지 4,000 rpm으로 5 내지 30분 동안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유화한다. 이 단계에서는 기능적 필요 유무에 따라 수상부와 유상부에 각각 활성성분을 추가로 첨가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중유형(O/W형) 나노 리포좀은 제조되는 다중 유화형(W/O/W형) 리포좀 유화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5~20중량%의 비율로 혼합된다.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다중 유화 리포좀에는 1 내지 2개체 이상의 나노 리포좀이 함유되어 있고, 다중층 리포좀은 2 내지 3개의 이중막 구조로 구성되며, 입자크기가 100 내지 2,000 nm,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1,500 nm, 가장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1,300 nm의 크기로 제조된다.
이어, 제조된 다중층 리포좀을 안정화하기 위하여 첨가제를 투입할 수 있다. 첨가제는 바람직하게 복합방부제 0.05 내지 2.0 중량%, 아크릴레이트계 점증제 0.01 내지 3.0 중량%, 솔베이트계 유화제 0.01 내지 3.0 중량%, 스테아레이트계 자가유화형 유화제 0.1 내지 5.0 중량 %로 구성되며, 40 내지 80℃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뒤, 상온으로 냉각하여 다중층 리포좀 제제에 투입하여 2,000 내지 4,000 rpm으로 5 내지 30분 동안 혼합한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본 발명의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추출물, 레조르시놀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조성물은 안정성이 우수하며, 우수한 피부 미백활성, 항균활성 및 아토피 개선활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나노 리포좀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50중량%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 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및 아이섀도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적용되어질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조예 1: 시지지움 프로로슘 추출물 제조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잎 건조 분말 20g에 70%(v/v) 에탄올 수용액 200ml을 가하여 40℃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상기 과정으로부터 얻은 추출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2: 유중수형(W/O형) 나노 리포좀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시지지움 프로모슘 추출물, 레조르시놀 및 레조르시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나노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60℃에서 혼합하여 각각 수상부와 유상부를 제조하였다. 준비된 수상부를 40 내지 60℃으로 가온한 후, 준비된 유상부를 첨가하여 4,000 rpm으로 30분 동안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유화시킨 뒤, 상온으로 냉각하여 Microfluidizer를 이용하여 1,000 Bar 조건에서 4회 투과시키는 고압 유화공정을 통하여 시지지움 프로모슘 추출물, 레조르시놀 및 레조르시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나노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활성성분을 달리하는 비교제조예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2
실시예 1 ~ 3: 다중 유화형 (W/O/W형) 리포좀 유화액의 제조
하기 표 2의 조성에 따라 시지지움 프로모슘 추출물, 레조르시놀 및 레조르시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다중 유화형 (W/O/W형) 나노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수중유형(O/W형) 나노 리포좀을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60℃에서 혼합하여 각각 준비된 수상부와 유상부와 혼합하고, 60℃에서 4,000 rpm으로 30분 동안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유화하여 다중 유화형(W/O/W형) 나노 리포좀 유화액을 제조하였다.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제를 혼합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 표 2의 조성에 따라 비교예 1~3을 제조하였으며, 비교예 4는 하기 표 2 조성의 A상과 B상을 준비한 후, 60℃로 가온하여 단순 유화한 뒤, 상온으로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3
시험예 1: 멜라닌 생성저해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나노 리포좀 조성물에 대하여 멜라닌 생성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2.0 X 105 cells/well로 24 well dish에 seeding하여 37 ℃에서 하룻밤 배양하고, 배지로는 멜라닌 생성 촉진 자극원인 Alpha-MSH 5nM 처리 한 DMEM을 이용하였다. 본 배지에 시험 물질 처리 후, 2 내지 3일간 배양하고, 0.25% trypsin-EDTA를 처리하여 세포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세포를 원심분리하여 배양액으로부터 분리하고, PBS로 2 내지 3회 세척하고, 1N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용해시켜 48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동일세포당 흡광도로 분석하였다.
멜라닌 생성저해도를 하기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4
물질명 멜라닌 생성 저해도 (%)
실시예 1 55.17
코직산 (Kojic acid) 22.62
비타민 C (Vitamin C) 19.72
베타알부틴 (beta arbutin) 1.61
니아신아미드 (niacinamide) 11.99
비교예 1 0.10
비교예 2 19.19
비교예 3 20.77
비교예 4 24.84
상기 표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시료는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코직산, 비타민 C, 베타알부틴, 니아신아미드 보다 월등한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동일 농도에서 양성 대조군인 코직산과 비교하여 약 32% 높은 저해도를 보였으며, 비타민 C, 니아신아미드와의 비교에서도 35% 이상의 높은 멜라닌 생성 저해도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활성물질로서 시지지움 프로모슘 추출물의 나노 리포좀만을 함유하거나, 페닐에틸 레조르시놀의 나노 리포좀만을 함유하는 비교예 2, 3이나 시지지움 프로모슘 추출물과 페닐에틸 레조르시놀의 단순 유화물인 비교예 4와 비교하여도 30% 이상의 멜라닌 생성 저해도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활성성분인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과 레조르시놀 유도체를 본 발명의 다중-유화 제형으로 안정화하는 경우에 더 우수한 미백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티로시나제 활성저해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나노 리포좀 조성물에 대하여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효과를 확인하였다.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는 24 well dish에 0.1 M PBS (pH 6.5) 300 μL, 티로신 용액 (1.5mM L-tyrosine solution) 50 μL와 mushroom tyrosinase 20 μL을 넣은 후, 시험 물질 15 μL로 처리하고, 37 ℃에서 20분 반응시켜 multi-reader를 사용하여 490 nm에서 Optical density를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제 활성억제율을 하기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5
시료명 IC50 (μg/mL)
실시예 1 2
코직산(Kojic acid) 7
비타민 C(Vitamin C) >100
베타알부틴(beta arbutin) >100
니아신아미드(niacinamide) >100
비교예 1 >100
비교예 2 13
비교예 3 9
비교예 4 6
IC50 : 티로시나 제 활성을 50%로 억제시키는 농도
(IC50 값이 작을수록 단위 물질량 대비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가 큼)
상기 표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비교예보다 우수한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 물질군의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50%로 저해시킬 수 있는 농도가 월등히 낮아, 단위량 처리 시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비교예 4는 비타민 C, 베타알부틴, 니아신아미드 보다 높은 티로시나제 저해효과를 보였으나, 나노리포좀을 이용한 다중-유화 제형으로 형성된 실시예 1이 티로시나제 활성을 50%로 억제시키는 농도인 IC50 농도가 더 낮게 측정되어 효능이 더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미백효능을 검증하는 대표적인 방법인 멜라닌 생성 저해 시험과 티로시나제 저해 시험을 진행한 상기의 결과로부터, 상기 실시예의 시지지움 프로모슘 추출물, 레조르시놀 및 레조르시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다중 유화형 (W/O/W형) 나노 리포좀 조성물은 우수한 미백 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항균효과 시험
항균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시험물질을 10 내지 1,000 ppm 첨가한 한천 배지에 균주를 접종하여 최소 저해 농도(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를 측정하였다. 한천 배지에 Escherichia coli ATCC 8739 (대장균), Pseudomonas aeruginosa ATCC; 9027 (녹농균),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포도상구균), Aspergillus niger ATCC; 22343 (흑국균), Candida albicans ATCC; 10231 (칸디다)를 접종하여 대장균, 녹농균, 포도상구균 접종 군은 37℃에서 2일 배양하여 생균수를 측정하였고, 흑국균, 칸디다 접종 군은 30℃에서 3일간 배양하여 변취 유무와 시료 표면의 균사 및 포자 발생 유무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MIC (ppm)
E. coli P. aeruginosa S. aureus A. niger C. albicans
실시예 1 25 25 50 150 150
비교예 1 200 200 200 400 200
비교예 2 100 100 50 150 200
비교예 3 100 50 100 200 200
비교예 4 50 50 50 150 300
상기 표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시료는 대장균, 녹농균, 포도상 구균에 대해서 25 내지 50 ppm 농도에서 성장억제효과가 나타나고, 흑국균, 칸디다에서는 150 ppm 이상 농도에서 성장억제효과가 있음이 나타나 비교예의 시료들에 비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접종한 모든 균류 및 곰팡이류에서 150 ppm 이상 농도에서는 미생물 성장억제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 조성물은 항균 효능에서 주목할 만한 효능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시험예 4: 아토피 개선 효과 시험
화장료의 아토피 피부 치유 및 개선효과의 평가를 위해서, 아토피성 피부염 질환자 24명에 대해 하기 실험을 진행하였다.
시험 물질을 아토피 피부염 환부에 도포하되, 이중 맹검법(Double-blinded test)에 의하여 동일인의 왼손과 오른손에 실시예와 비교예의 시료를 각각 도포하여 1, 2, 3, 4주 후의 효과를 스코래드(SCORAD; SCORing Atopic Dermatitis) 측정법으로 평가하였다. 단, 시험 물질의 효능에 직간접적으로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도포제의 사용은 금지하며, 하기의 판정 기준에 따라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정도를 분석하였다.
① 소양감 ② 건조함 ③ 각질 발생 ④ 홍반 ⑤ 부종 ⑥ 피부균열 ⑦ 진물 및 습진 ⑧ 태선화본
아토피성 피부염 질환자 24명에 대해서 진행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시험의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사용 후 개선 체감자 응답 수
소양감 건조함 각질발생 홍반 부종 피부균열 진물 및 습진 태선화본
실시예 1 19 17 18 18 16 21 22 15
비교예 1 4 6 0 6 5 1 3 2
비교예 2 7 9 8 11 6 6 8 7
비교예 3 6 8 10 4 7 11 9 3
비교예 4 10 13 9 9 11 12 14 13
실시예 1의 시료를 도포한 실험군에서 아토피성 피부염 대표 증상의 대부분이 상당수 개선됨이 확인되었고, 비교예와의 비교에서도 월등히 개선효과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활성성분이 동량 함유된 비교예 4와의 비교에서도 다중-유화 제형으로 제조된 실시예 1의 개선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 다중-유화 제형이 활성성분의 효능 증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시험예 5: 제형안정성 시험
상기 실시예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온도 순환에 따른 제형 안정도 시험을 진행하였다. 온도 순환에 따른 제형 안정도 시험은 제조된 시험군을 각각 용기 내 성상을 확인 할 수 있는 투명 용기에 담아 -15℃, -10℃, -5℃, 0℃, 5℃, 10℃, 15℃, 25℃, 37.5℃, 40℃, 45℃에서 각각 24시간 보관한 후, 이를 1회 순환으로 정의하여 총 3회 반복 이후의 외관적 성상과 변색, 변취 유무를 확인하여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성상 변색 변취 성상 변색 변취 성상 변색 변취
1회 순환
2회 순환 ×
3회 순환 × ×
(○ : 양호, △ : 미미한 변성 있음, × : 상당한 변성있음)
안정도 시험 결과, 전반적으로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에서도 실시예 1의 경우 3회 순환에서도 성상, 변색, 변취 등에 변성이 관찰되지 않아 가장 안정한 제형 안정도를 갖는 조성으로 확인되었다.
제형예 1: 영양크림 (Cream)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나노 리포좀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을 하기 표 8의 조성에 따라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분명 함량(중량%)
실시예 1 20.0
글리세린 5.0
세토스테아릴 알콜 2.0
폴리솔베이트 60 1.2
소듐히아루로네이트 4.0
미네랄오일 3.0
알파-토코페롤 0.1
스쿠알란 3.0
1,3-부틸렌글리콜 2.0
부틸렌글리콜 3.0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0.1
색소,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2: 에센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나노 리포좀을 함유하는 에센스를 하기 표 9의 조성에 따라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분명 함량(중량%)
실시예 1 20.0
1,3-부틸렌글리콜 5.0
프로필렌글리콜 2.0
유동파라핀 5.0
디메치콘 2.0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5
말티톨액 1.0
스쿠알란 3.0
아르기닌 0.1
비타민 C 0.5
트리에탄올아민 1.0
색소,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Claims (7)

  1.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추출물, 레조르시놀(resorcinol)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조성물.
  2. (A)나노 리포좀을 제조하기 위한 수상부 및 유상부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펩타이드 혼합물 1.0 내지 10 중량%, 글리세린 5.0 내지 20.0 중량%, 레조르시놀 0.01 내지 1.0 중량%, 에탄올 1.0 내지 10.0 중량%, 1,2-부틸렌글리콜 1.0 내지 10.0 중량%, 세티아릴올리베이트/소르비탄올리베이트 0.5 내지 5 중량%를 정제수와 40 내지 80℃에서 혼합하여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B)나노 리포좀을 제조하기 위한 수상부 및 유상부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활성성분인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 0.5 내지 30.0 중량%와 레조르시놀 유도체 0.001 내지 5.0 중량%, 인지질 0.1 내지 20.0 중량%, 디메치콘 0.5 내지 10.0 중량%, 식물성 오일 0.5 내지 10.0 중량%, 지방산 0.05 내지 1.0 중량%, 콜레스테롤 0.5 내지 3.0 중량%, 세라마이드복합체 0.1 내지 10.0 중량%, 피토스테릴유도체 0.1 내지 10.0 중량%를 40 내지 80℃에서 혼합하여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C)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수상부를 40 내지 60℃으로 가온한 후, 상기 (B)단계에서 제조된 유상부를 첨가하여 2,000 내지 4,000 rpm으로 5 내지 30분 동안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유화시킨 뒤, 상온으로 냉각하여 마이크로플루다이저(Microfluidizer)를 이용하여 900 내지 1,100 Bar 조건에서 3 내지 5회 투과시키는 고압 유화를 통하여 유중수형(W/O형) 나노 리포좀을 제조하는 단계; 및
    (D)상기 (C)단계에서 제조된 유중수형(W/O형) 나노 리포좀을 상기 (A) 단계의 수상부, 상기 (B)단계의 유상부에서 활성성분이 제거된 유상부와 다시 혼합하고 40 내지 60℃에서 2,000 내지 4,000 rpm으로 5 내지 30분 동안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유화하여 다중 유화형(W/O/W형) 나노 리포좀 유화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조르시놀 유도체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Phenylethyl resorcin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유중수형(W/O형) 나노 리포좀은 나노 리포좀 유화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5~20중량% 혼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 이어서 (E)상기 (D)단계에서 제조된 다중층 리포좀을 안정화하기 위하여 방부제, 점증제 및 유화제를 투입하고 2,000 내지 4,000 rpm으로 5 내지 30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1항의 나노 리포좀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50중량%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 항균용 또는 아토피 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151437A 2020-11-13 2020-11-13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 및 레조르시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651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437A KR20220065182A (ko) 2020-11-13 2020-11-13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 및 레조르시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437A KR20220065182A (ko) 2020-11-13 2020-11-13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 및 레조르시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182A true KR20220065182A (ko) 2022-05-20

Family

ID=81798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437A KR20220065182A (ko) 2020-11-13 2020-11-13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 및 레조르시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518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8307A (ko) 2011-12-15 2013-06-2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15-하이드록시프로스타글란딘 탈수소효소(15-pgdh) 억제용 조성물
KR101704996B1 (ko) 2016-06-08 2017-02-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32490A (ko) 2018-09-18 2020-03-26 (주)아모레퍼시픽 레조르시놀 유도체 화합물 및 그를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
KR20200041798A (ko) 2018-10-11 2020-04-22 (주)카보엑스퍼트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항균 또는 항아토피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8307A (ko) 2011-12-15 2013-06-2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15-하이드록시프로스타글란딘 탈수소효소(15-pgdh) 억제용 조성물
KR101704996B1 (ko) 2016-06-08 2017-02-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32490A (ko) 2018-09-18 2020-03-26 (주)아모레퍼시픽 레조르시놀 유도체 화합물 및 그를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
KR20200041798A (ko) 2018-10-11 2020-04-22 (주)카보엑스퍼트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항균 또는 항아토피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888B1 (ko) 자기유화형 나노 리포좀 및 다중층 액정 함유 베지클,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US9775789B2 (en) Topical liposome compositions containing phenolic anti-inflammatory agents and their methods of preparation
EP2552413B1 (de) Neuartiges trägersystem für den transport von wirkstoffen in die haut
JP2020515635A (ja) 医薬組成物
KR20130134532A (ko) 피부 자극 완화 및 피부 장벽 회복을 위한 다중층 액정 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TWI352600B (en) Cosmetic treatment system and methods
KR20070081192A (ko) 오리자놀, 미강유 및 인지질이 내포된 리포좀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96040A (ko) 수성 분산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177196B1 (ko) 초임계 상태에서 거대 니오좀으로 형성되고 나노 입자화되어 형성된 다중층 라멜라 니오좀 및 이를 함유하여 경피 흡수력이 증진된 화장료 조성물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501399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3912A (ko) 나노 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040021593A (ko) 비타민 a를 함유한 화장품 제제
KR102203420B1 (ko) 리포좀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arajita et al. Liposomes as carriers in skin ageing
KR102015173B1 (ko)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92629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96697B1 (ko) 고압유화기술에 의한 대황추출물의 경피흡수 촉진방법 및이를 응용한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40046507A (ko) 세라마이드 및 식물복합추출액을 포함하는 세라리포좀함유 화장료 조성물
KR20110072022A (ko) 성상 변화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62039B1 (ko) 미세침 분말 및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6008537A (ja) 皮膚外用剤
KR102027647B1 (ko) 알부틴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65182A (ko)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 및 레조르시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03925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감초, 산수유, 백하수오 및 상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