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8307A -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15-하이드록시프로스타글란딘 탈수소효소(15-pgdh)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15-하이드록시프로스타글란딘 탈수소효소(15-pgdh)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8307A
KR20130068307A KR1020110135340A KR20110135340A KR20130068307A KR 20130068307 A KR20130068307 A KR 20130068307A KR 1020110135340 A KR1020110135340 A KR 1020110135340A KR 20110135340 A KR20110135340 A KR 20110135340A KR 20130068307 A KR20130068307 A KR 20130068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mposition
treating
preventing
glochid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철희
조훈
카나 샌?
문영숙
김권천
최은서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35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8307A/ko
Publication of KR20130068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7Euphorbiaceae (Spurge family), e.g. Ricinus (castorbe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101/00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CH-OH group of donors (1.1)
    • C12Y101/01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CH-OH group of donors (1.1) with NAD+ or NADP+ as acceptor (1.1.1)
    • C12Y101/0114115-Hydroxyprostaglandin dehydrogenase (NAD+) (1.1.1.141)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15-하이드록시프로스타글란딘 탈수소효소(15-PGDH)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20종의 식물 추출물들은 PGE2의 비활성화에 핵심물질인 15-PGDH를 매우 우수하게 억제하고, 세포 독성이 적어, 15-PGDH로부터 유발되는 탈모 등의 두피 질환, 소화성 궤양, 구내염 또는 구강궤양, 창상 및 화상, 골절 또는 말초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15-하이드록시프로스타글란딘 탈수소효소(15-PGDH)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nhibiting 15-hydroxyprostaglandin dehydrogenase(15-PGDH) comprising plant extract}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15-하이드록시프로스타글란딘 탈수소효소(15-PGDH)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은 20개의 탄소로 이루어진 지방산 유도체로서 5개의 탄소로 이루어진 고리를 포함하고 있다. 이 물질은 1935년에 스웨덴의 생리학자 울프 폰 오일러가 발견했는데, 그는 이 물질이 전립선에서 분비된다고 생각하여 프로스타글란딘이라고 명명했다. 현재는 동물의 조직 내에 널리 존재하며, 다불포화 지방산으로부터 합성된 후 재빨리 대사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프로스타글란딘은 그 형태에 따라 평활근 수축을 자극할 수 있으며, 일부 동물에서는 혈압을 낮추거나 높이고 혈액의 응집력을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는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막에 대한 이온 수송을 촉진시키고 염증을 자극하며 심장혈관 질환과 바이러스의 감염을 억제할 수 있는 작용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 호르몬, 약물, 생리 활성물질 등에 의한 화학적 자극 또는 신경 자극 등이 세포막에 가해지면, 세포질에 존재하는 포스포리파아제A2(phospholipase A2; PLA2)에 의하여 인지질에 결합되어 있는 아르키돈산이 탈아실화(deacylation)되어 세포질 중으로 유리되고, 상기 유리된 아르키돈산은 2분자의 산소, 환원형 글루치온 및 지방산 사이클로 산소화효소(이하 COX)에 의하여 산화되어 PGG2를 만든다. 상기 PGG2는 PG 엔도페록시드 합성효소에 의하여 엔도페록시드 PGH2를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PGH2로부터 PGE2, TXA, PGI 등 다양한 프로스타노이드가 합성된다. 이러한 아라키도닉산으로부터 생합성되는 프로스타노이드의 일종인 PGH2는 세 종류의 프로스타노이드 E2의 생합성 효소들에 의해 PGE2로 변환된다(Murakami, M., et al., J. Biol. Chem. 275, 32783-32792, 2000).
한편, 프로스타글란딘은 생체 내에서 빠른 대사로 인해 짧은 생리활성을 갖게 되는데 이러한 대사과정의 첫 번째 단계는 산화과정으로서, 프로스타글란딘이 NAD+ 의존형 15-하이드록시프로스타글란딘 탈수소화효소(15-hydroxyprostaglandin dehydrogenase:15-PGDH)에 의해 불활성화된다(Ensor, C.M, & Tai, H.H., 1995, J. Lipid Mediator Cell Signalling 12:313-319).
15-하이드록시프로스타글란딘 탈수소화효소(15-PGDH)는 프로스타글란딘을 분해하는 효소로서 15-PGDH가 발현되지 않은 조직의 경우에는 프로스타글란딘의 양이 증가 되어 있다. 또한, 15-PGDH 효소는 포유동물의 조직에 편재되어 있으며, 처음에는 태반, 폐 및 신장으로부터 추출되어 분리되었고(Krook M 등, 1990, Biochemistry, 29, 738~743), 이 효소의 기능은 C-14 위치에 하이드록시기(-OH)를 함유한 프로스타글란딘계 화합물을 산화시켜 15-케토프로스타글란딘(15-ketoprostaglandin)으로 전환시키고 따라서 상기 화합물의 생물학적인 활성을 잃게 만든다(Tai HH 등, 2002, Adv Exp Med Biol, 507, 245~250).
특히, 프로스타글란딘은 모발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진 바 있으며, 특히 모발의 밀도를 유지 또는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모낭 또는 그 인근 피부 환경의 다양한 구역에서 다양한 타입(A2, F2a, E2)의 프로스타글란딘의 내부 저장이 매우 필수적인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Colombe L 등, 2007, Exp. Dermatol, 16(9), 762-9). 그러나 프로스타글란딘의 분해에 특정적으로 관여하는 효소가 머리카락의 생존을 위한 결정적인 구역인 머리카락의 진피 유두에 존재하고 있으며, 또한,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5α-환원효소에 의해 전환된 디하이드록시테스토스테론(DHT)은 15-PGDH를 증가시켜 프로스타글란딘, 특히, PGF2a 및 PGE2를 비활성화시켜 두피를 손상시키고 탈모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진바 있다(Michelet JF 등, 2008, Exp. Dermatol, 17(10) ,821-8).
한편, PGE2는 진피가 손상을 받으면서 증가 되는 COX-2에 의해 피부에서 증가 되어 상처 바닥에서 섬유 세포의 활동을 조절하고, 상처치유과정에서 염증과 섬유와 과정을 조절하여 상처치유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Parekh, A., et al., Wound Repair Regen, 2009. 17(1): p. 88-98; Futagami, A., et al., Lab Invest, 2002. 82(11): p. 1503-1513; Wilgus, T.A., et al., Am J Pathol, 2004. 165(3): p. 753-761), 또한, 위산 역류성 식도염이나 알콜이나 인도메타친(indomethacin)으로부터 위를 보호하고, PGE2의 작용기전은 위 수축의 억제, 십이지장의 바이카보네이트(HCO3 -) 분비 자극, 점액분비, 혈관 내피 성장인자(VEGF, vascular endothelial factor) 분비가 보고된바 있다(Takeuchi K. Adv Clin Chem. 2010;51:121-44. Hatazawa, R., et al.,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2007. 293(4) G788-797; Wallace, J.L., Physiol Rev, 2008. 88(4) p. 1547-1565; Gudis, K. and C. Sakamoto, Dig Dis Sci, 2005. 50 Suppl 1, p. S16-23; Miura, S., et al.,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2004. 287(2) p. G444-451; Araki, H., et al., in rats. Digestion, 2002. 66(3) p. 145-153; Halter, F., et al., Gut, 2001. 49(3) p. 443-453).
또한, 상기 PGE2는 구내염 또는 구강궤양(aphthous stomatitis or oral ulcer) 이나 항암제에 의한 구강 점막 손상의 예방과 치료효과가 알려져 있고(Wu-Wang et al., Arch Oral Biol. 1995. 40(12) P 1093-1098; Taylor et al., Br Dent J. 1993. 175(4) P125-129; Takaku et al,. Gan To Kagaku Ryoho. 1990 17(11) P2197-2205), 나아가, 골형성을 위한 중요한 매개체로 알려져 있다(Li, M., D., et. al, Int Orthop, 2007. 31(6), p. 767-772; Xie, C., et al., Am J Pathol, 2009. 175(2), 772-785; Hartke, J.R. et al., J Musculoskelet Neuronal Interact, 2001. 2(1), 25-31).
또한, 상기 PGE2는 관상동백 질환, 뇌혈관 질환, 당뇨, 고혈압 등의 위험 지표로 알려져 있는 말초혈관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어(Dunger DB et al. Lancet. 1985. 2(8445) P50; Cooke ED et al. Angiology. 1985. 36(12), P. 867-871; Ambrosioni E et al. Ann Ital Med Int. 1993.8 Suppl. P 59S-65S), 15-PGDH의 활성을 억제하여 PGE2를 증가시키는 15-PGDH 억제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종래 15-PGDH를 억제하는 조성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816843호에는 감귤피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멘톨 및 달맞이꽃 종자유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137090호에서는 하기 화학식의 신규한 티아졸리딘디온 유도체를 개시하고 있다.
Figure pat00001
또한, 사이클로옥시게나제 억제제(cyclooxygenase inhibitor), 플라보노이드, 피토페놀계(phytophenolic) 화합물 및 퍼옥시좀 증식자-활성화 수용체 감마(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PPAR γ)가 15-PGDH의 억제 효과가 있다는 내용이 밝혀진 바 있다.
그러나, 여전히 15-PGDH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새로운 물질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15-PGDH를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물질을 연구하기 위하여 다양한 천연물로부터 15-PGDH 억제제를 스크리닝하던 중,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 시나모뮴 테트라고늄(Cinnamomum tetragonum), 메메실론 에듈(Memecylon edule), 아토카푸스 헤테로필루스(Artocarpus hetrophyllus), 알로스폰디아스 라코넨시스(Allospondias lakonensis), 컴머소니아 바트라미아(Commersonia batramia), 사이자이지움 불로키 aff.(Syzygium bullockii aff.), 사이자이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체로스폰디아스 엑실라리스(Choerospondias axillaris), 룸니체라 라세모사(Lumnitzera racemosa), 오스베키아 스텔라타(Osbeckia stellata), 트레마 오리엔탈리스(Trema orientalis), 리토카르푸스 짐노카르푸스(Lithocarpus gymnocarpus), 플란코넬라 오보바타(Planchonella obovata),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Triumfetta grandidens), 트리움페타 발트라미아(Triumfetta bartramia), 말로투스 아펠타(Mallotus apelta), 바카우레아 라미플로아(Baccaurea ramiflora) 및 손네라티아 알바(Sonneratia alba) 군으로 이루어진 20개의 식물추출물에서 뛰어난 15-PGDH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이로부터 상기 식물 추출물이 15-PGDH의 과활성으로부터 유발되는 탈모 또는 두피 질환, 소화성 궤양, 구내염 또는 구강궤양, 창상 및 화상, 골절 또는 말초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화성 궤양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내염 또는 구강궤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창상 또는 화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절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혈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 시나모뮴 테트라고늄(Cinnamomum tetragonum), 메메실론 에듈(Memecylon edule), 아토카푸스 헤테로필루스(Artocarpus hetrophyllus), 알로스폰디아스 라코넨시스(Allospondias lakonensis), 컴머소니아 바트라미아(Commersonia batramia), 사이자이지움 불로키 aff.(Syzygium bullockii aff.), 사이자이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체로스폰디아스 엑실라리스(Choerospondias axillaris), 룸니체라 라세모사(Lumnitzera racemosa), 오스베키아 스텔라타(Osbeckia stellata), 트레마 오리엔탈리스(Trema orientalis), 리토카르푸스 짐노카르푸스(Lithocarpus gymnocarpus), 플란코넬라 오보바타(Planchonella obovata),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Triumfetta grandidens), 트리움페타 발트라미아(Triumfetta bartramia), 말로투스 아펠타(Mallotus apelta), 바카우레아 라미플로아(Baccaurea ramiflora) 및 손네라티아 알바(Sonneratia alb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화성 궤양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내염 또는 구강궤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창상 또는 화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절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혈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20종의 식물 추출물들은 머리카락의 성장 및 생존의 중요한 매개체인 PGE2의 비활성화에 핵심물질인 15-PGDH를 매우 우수하게 억제하고, 세포 독성이 적어, 15-PGDH로부터 유발되는 탈모 등의 두피 질환, 소화성 궤양, 구내염 또는 구강궤양, 창상 및 화상, 골절 또는 말초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추출물의 HaCaT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추출물의 HaCaT 세포에 대한 상처치유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추출물에 유도된 상처치유에 대한 15-PGDH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 시나모뮴 테트라고늄(Cinnamomum tetragonum), 메메실론 에듈(Memecylon edule), 아토카푸스 헤테로필루스(Artocarpus hetrophyllus), 알로스폰디아스 라코넨시스(Allospondias lakonensis), 컴머소니아 바트라미아(Commersonia batramia), 사이자이지움 불로키 aff.(Syzygium bullockii aff.), 사이자이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체로스폰디아스 엑실라리스(Choerospondias axillaris), 룸니체라 라세모사(Lumnitzera racemosa), 오스베키아 스텔라타(Osbeckia stellata), 트레마 오리엔탈리스(Trema orientalis), 리토카르푸스 짐노카르푸스(Lithocarpus gymnocarpus), 플란코넬라 오보바타(Planchonella obovata),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Triumfetta grandidens), 트리움페타 발트라미아(Triumfetta bartramia), 말로투스 아펠타(Mallotus apelta), 바카우레아 라미플로아(Baccaurea ramiflora) 및 손네라티아 알바(Sonneratia alb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물 추출물은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 시나모뮴 테트라고늄(Cinnamomum tetragonum), 메메실론 에듈(Memecylon edule), 아토카푸스 헤테로필루스(Artocarpus hetrophyllus), 알로스폰디아스 라코넨시스(Allospondias lakonensis), 컴머소니아 바트라미아(Commersonia batramia), 사이자이지움 불로키 aff.(Syzygium bullockii aff.), 사이자이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및 체로스폰디아스 엑실라리스(Choerospondias axillari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식물 추출물은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 시나모뮴 테트라고늄(Cinnamomum tetragonum), 메메실론 에듈(Memecylon edule) 및 아토카푸스 헤테로필루스(Artocarpus hetrophyllu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재배한 것, 채취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물은 식물 전체를 이용할 수 있고, 잎, 줄기 또는 뿌리를 각각 이용할 수 있으며, 이중 잎과 줄기를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식물은 생육단계 중 모든 시기가 사용 가능하다.
상기 식물 추출물 추출 시 추출 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물, C1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탄올 또는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식물 추출물 건조 중량의 2-30배로 함이 바람직하고, 20배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물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열수 추출, 침지 추출, 초임계 추출, 아임계 추출, 고온 추출, 고압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장치를 이용한 방법 또는 XAD 및 HP-20을 포함한 흡착 수지를 이용하는 방법 등 당 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온하며 환류 추출 또는 상온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물 추출물의 추출 회수는 1-5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3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초음파 추출 방법으로 1회-5회 추출될 수 있다. 추출 시 온도는 10 ℃-1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온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 시간은 1시간-24시간인 것이 바람직하고, 3시간-7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출 후 감압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감압 농축은 진공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 건조, 상온건조 또는 동결건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물을 건조하고, 세절하여 각각 추출용기에 넣고, 메탄올(MeOH)을 넣어 50 ℃온도에서 3일 동안 보관 후,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는다. 식물 추출물의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과정을 수회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추출액을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거름종이 등으로 여과하여 본 발명의 20종의 식물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얻은 추출물들은 진공회전증발 농축기(EYELA, Japan.)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의 15-PGDH 효소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15-PGDH 효소 활성을 50% 저해하는 농도인 IC50값이 0.37~4.08 ㎍/㎖로 나타남으로써, 머리카락의 성장 및 생존의 중요한 매개체인 PGE2의 비활성화에 핵심물질인 15-PGDH를 매우 우수하게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어 탈모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1 참조).
또한, 상기 식물 추출물의 HaCaT 세포 및 AML-2 세포 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들은 AML-2/WT 세포에서 IC50값을 328-900 ㎍/㎖로 나타내고, HaCaT 세포에서는 IC50값이 270 ~710 ㎍/㎖로 나타냄으로써, 세포독성이 낮음을 확인하였다(표 2 참조).
나아가, 상기 식물 추출물에 따른 머리카락의 성장 및 생존의 중요한 매개체인 PGE2의 증가량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들을 15-PGDH를 저해하는 IC50 농도의 10배로 처리한 경우, PGE2는 3.55-50.90%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기 식물 추출물은 15-PGDH를 저해하는 IC50 농도의 100배로 처리한 경우에는 PGE2가 181.84-923.29%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3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을 세포에 처리하여 내포 내 및 세포 밖의 PEG2의 증가량을 측정한 결과, 세포 내에서는 정상 대조군(1.96±0.18 pg/g)에 비해 196.4%(3.85±0.43 pg/p)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세포 밖에서는 정상 대조군(393.67±12.46 pg/mL)에 비해 114.6%(450.96±15.53 pg/mL)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의 상처치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48시간 동안의 상처의 평균거리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의 상처치유 평균거리가 218.17 μm로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TGF-β1(351.74 μm)보다는 상처치유 효과가 낮으나, 무처리군(56.1 μm)에 대하여 3.9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므로 우수한 상처치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들은 15-PGDH를 저해함으로써 머리카락의 성장 및 생존의 중요한 매개체인 PGE2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므로 탈모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추출물은 질병에 의한 탈모, 호르몬적 원인에 의한 탈모, 영양 불균형에 의한 탈모 또는 스트레스에 의한 탈모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질병에 의한 탈모는 유전, 자가 면역질환, 화상, 화학요법, 건선, 진균 감염, 방사선 노출 또는 종양이 원인일 수 있고, 상기 호르몬적 원인에 의한 탈모는 약물, 임신 출산 전 후, 갱년기, 당뇨병, 뇌하수체 기능 이상, 부갑상선 또는 갑상선 기능 이상이 원인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추출물은 모발, 눈썹, 속눈썹, 턱수염, 콧수염 또는 음모에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모발, 눈썹, 속눈썹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PGE2는 염증을 제거하고 억제하며, 두피의 염증 반응에도 관여하여 비듬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Michelet JF 등, 2008, Exp. Dermatol, 17(10) ,821-8).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들은 15-PGDH를 저해함으로써 PGE2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므로 두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화성 궤양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내인성 프로스타글란딘은 위장관계의 점막 완전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PGE2가 이러한 작용에 가장 효과적이다. 실제 PGE2는 위산 역류성 식도염이나 알콜이나 인도메타친(indomethacin)으로부터 위를 보호한다. PGE2의 작용기전은 위 수축의 억제, 십이지장의 바이카보네이트(HCO3 -) 분비 자극, 점액분비, 혈관 내피 성장인자(VEGF, vascular endothelial factor) 분비가 보고된바 있다 (Takeuchi K. Adv Clin Chem. 2010;51:121-44. Hatazawa, R., et al.,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2007. 293(4) G788-797; Wallace, J.L., Physiol Rev, 2008. 88(4) p. 1547-1565; Gudis, K. and C. Sakamoto, Dig Dis Sci, 2005. 50 Suppl 1, p. S16-23; Miura, S., et al.,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2004. 287(2) p. G444-451; Araki, H., et al., in rats. Digestion, 2002. 66(3) p. 145-153; Halter, F., et al., Gut, 2001. 49(3) p. 443-453).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들은 15-PGDH를 저해함으로써 PGE2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므로 역류성 식도염 및 알콜이나 약물 등에 의한 소화성 궤양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내염 또는 구강궤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PGE2는 구내염 또는 구강궤양(aphthous stomatitis or oral ulcer) 이나 항암제에 의한 구강 점막 손상의 예방과 치료효과가 있다(Wu-Wang et al., Arch Oral Biol. 1995. 40(12) P 1093-1098; Taylor et al., Br Dent J. 1993. 175(4) P125-129; Takaku et al,. Gan To Kagaku Ryoho. 1990 17(11) P2197-2205).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들은 15-PGDH를 저해함으로써 PGE2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므로 구내염 또는 구강궤양이나 항암제에 의한 구강 점막 손상의 예방과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창상 또는 화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창상이나 화상 등에 의해 피부 속 진피가 손상을 받으면 COX-2가 순간 증가하게 되고, 그 결과 피부에서 PGE2가 증가 되어 상처 바닥에서 섬유 세포의 활동을 조절하고, 상처치유과정에서 염증과 섬유와 과정을 조절하여 상처치유를 촉진한다(Parekh, A., et al., Wound Repair Regen, 2009. 17(1): p. 88-98; Futagami, A., et al., Lab Invest, 2002. 82(11): p. 1503-1513; Wilgus, T.A., et al., Am J Pathol, 2004. 165(3): p. 753-761).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들은 15-PGDH를 저해함으로써 PGE2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므로 창상 또는 화상치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절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PGE2는 골형성을 위한 중요한 매개체로 알려져 있다(Li, M., D., et. al, Int Orthop, 2007. 31(6), p. 767-772; Xie, C., et al., Am J Pathol, 2009. 175(2), 772-785; Hartke, J.R. et al., J Musculoskelet Neuronal Interact, 2001. 2(1), 25-31).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들은 15-PGDH를 저해함으로써 PGE2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므로 골절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혈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PGE2는 관상동백 질환, 뇌혈관 질환, 당뇨, 고혈압 등의 위험 지표로 알려져 있는 말초혈관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Dunger DB et al. Lancet. 1985. 2(8445) P50; Cooke ED et al. Angiology. 1985. 36(12), P. 867-871; Ambrosioni E et al. Ann Ital Med Int. 1993.8 Suppl. P 59S-65S),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들은 15-PGDH를 저해함으로써 PGE2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므로 말초혈관질환으로 인한 말초혈류장애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의약품에 사용하는 경우, 상기 20종의 식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트로취(troche),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 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슈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크림, 젤,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및 피부 및 점막에 사용될 수 있는 팻취 제 및 뼈 외용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나,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상인(표준 체중 60 kg)을 기준으로 10-1500 mg 투여범위 내에서 1일 1-3회 나누어 투여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으로서의 식물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비누, 오일,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및 헤어스프레이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물(천연물) 추출물을 포함하므로 안정성 및 인체안전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사용 시에도 효능의 저하 및 부작용없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화장료, 약학적 및 의약외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글로치디온 허술타 ( Glochidion hirsulta ) 추출물의 제조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는 한국 식물 추출물 은행(대전)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고,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의 입과 줄기를 40일 동안 건조한 뒤, 세절하여 HPLC용 메탄올 400 ㎖을 이용하여 50 ℃의 온도에서 3일 동안 교반한 후, 추출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은 회적식 진공 농축기(EYELA, Japan)로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4.3 g의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 추출물을 얻었다.
< 실시예 2> 글로치디온 벨루티눔 ( Glochidion velutinum ) 추출물의 제조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는 한국 식물 추출물 은행(대전)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고, 상기 실시예 1에서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 대신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 추출물을 4 g 얻었다.
< 실시예 3> 시나모뮴 테트라고늄 ( Cinnamomum tetragonum ) 추출물의 제조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는 한국 식물 추출물 은행(대전)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고, 상기 실시예 1에서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 대신 시나모뮴 테트라고늄(Cinnamomum tetragonum)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시나모뮴 테트라고늄(Cinnamomum tetragonum) 추출물을 5.12 g 얻었다.
< 실시예 4> 메메실론 에듈 ( Memecylon edule ) 추출물의 제조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는 한국 식물 추출물 은행(대전)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고, 상기 실시예 1에서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 대신 메메실론 에듈(Memecylon edule)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메메실론 에듈(Memecylon edule) 추출물을 4.2 g 얻었다.
< 실시예 5> 아토카푸스 헤테로필루스 ( Artocarpus hetrophyllus ) 추출물의 제조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는 한국 식물 추출물 은행(대전)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고, 상기 실시예 1에서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 대신 아토카푸스 헤테로필루스(Artocarpus hetrophyllus)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아토카푸스 헤테로필루스(Artocarpus hetrophyllus) 추출물을 1.52 g 얻었다.
< 실시예 6> 알로스폰디아스 라코넨시스 ( Allospondias lakonensis ) 추출물의 제조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는 한국 식물 추출물 은행(대전)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고, 상기 실시예 1에서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 대신 알로스폰디아스 라코넨시스(Allospondias lakonensis)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알로스폰디아스 라코넨시스(Allospondias lakonensis) 추출물을 2.3 g 얻었다.
< 실시예 7> 컴머소니아 바트라미아 ( Commersonia batramia )a 추출물의 제조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는 한국 식물 추출물 은행(대전)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고, 상기 실시예 1에서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 대신 컴머소니아 바트라미아(Commersonia batramia)a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컴머소니아 바트라미아(Commersonia batramia)a 추출물을 4.11 g 얻었다.
< 실시예 8> 사이자이지움 불로키 aff .( Syzygium bullockii aff .) 추출물의 제조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는 한국 식물 추출물 은행(대전)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고, 상기 실시예 1에서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 대신 사이자이지움 불로키 aff.(Syzygium bullockii aff.)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사이자이지움 불로키 aff.(Syzygium bullockii aff.) 추출물을 3.2 g 얻었다.
< 실시예 9> 사이자이지움 포르모슘 ( Syzygium formosum ) 추출물의 제조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는 한국 식물 추출물 은행(대전)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고, 상기 실시예 1에서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 대신 사이자이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사이자이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추출물을 4.152 g 얻었다.
< 실시예 10> 체로스폰디아스 엑실라리스 ( Choerospondias axillaris ) 추출물의 제조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는 한국 식물 추출물 은행(대전)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고, 상기 실시예 1에서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 대신 체로스폰디아스 엑실라리스(Choerospondias axillaris)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체로스폰디아스 엑실라리스(Choerospondias axillaris) 추출물을 2.8 g 얻었다.
< 실시예 11> 룸니체라 라세모사 ( Lumnitzera racemosa ) 추출물의 제조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는 한국 식물 추출물 은행(대전)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고, 상기 실시예 1에서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 대신 룸니체라 라세모사(Lumnitzera racemosa)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룸니체라 라세모사(Lumnitzera racemosa) 추출물을 3.4 g 얻었다.
< 실시예 12> 오스베키아 스텔라타 ( Osbeckia stellata ) 추출물의 제조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는 한국 식물 추출물 은행(대전)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고, 상기 실시예 1에서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 대신 오스베키아 스텔라타(Osbeckia stellata)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오스베키아 스텔라타(Osbeckia stellata) 추출물을 3.0 g 얻었다.
< 실시예 13> 트레마 오리엔탈리스 ( Trema orientalis ) 추출물의 제조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는 한국 식물 추출물 은행(대전)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고, 상기 실시예 1에서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 대신 트레마 오리엔탈리스(Trema orientalis)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트레마 오리엔탈리스(Trema orientalis) 추출물을 3.78 g 얻었다.
< 실시예 14> 리토카르푸스 짐노카르푸스 ( Lithocarpus gymnocarpus ) 추출물의 제조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는 한국 식물 추출물 은행(대전)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고, 상기 실시예 1에서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 대신 리토카르푸스 짐노카르푸스(Lithocarpus gymnocarpus)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리토카르푸스 짐노카르푸스(Lithocarpus gymnocarpus) 추출물을 5.42 g 얻었다.
< 실시예 15> 플란코넬라 오보바타 ( Planchonella obovata ) 추출물의 제조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는 한국 식물 추출물 은행(대전)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고, 상기 실시예 1에서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 대신 플란코넬라 오보바타(Planchonella obovata)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플란코넬라 오보바타(Planchonella obovata) 추출물을 4.72 g 얻었다.
< 실시예 16>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 Triumfetta grandidens ) 추출물의 제조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는 한국 식물 추출물 은행(대전)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고, 상기 실시예 1에서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 대신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Triumfetta grandidens)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Triumfetta grandidens) 추출물을 2.45 g 얻었다.
< 실시예 17> 트리움페타 발트라미아 ( Triumfetta bartramia ) 추출물의 제조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는 한국 식물 추출물 은행(대전)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고, 상기 실시예 1에서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 대신 트리움페타 발트라미아(Triumfetta bartramia)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트리움페타 발트라미아(Triumfetta bartramia) 추출물을 1.9 g 얻었다.
< 실시예 18> 말로투스 아펠타 ( Mallotus apelta ) 추출물의 제조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는 한국 식물 추출물 은행(대전)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고, 상기 실시예 1에서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 대신 말로투스 아펠타(Mallotus apelta)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말로투스 아펠타(Mallotus apelta) 추출물을 4.06 g 얻었다.
< 실시예 19> 바카우레아 라미플로아 ( Baccaurea ramiflora ) 추출물의 제조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는 한국 식물 추출물 은행(대전)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고, 상기 실시예 1에서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 대신 바카우레아 라미플로아(Baccaurea ramiflora)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바카우레아 라미플로아(Baccaurea ramiflora) 추출물을 1.12 g 얻었다.
< 실시예 20> 손네라티아 알바 ( Sonneratia alba ) 추출물의 제조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는 한국 식물 추출물 은행(대전)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고, 상기 실시예 1에서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 대신 손네라티아 알바(Sonneratia alba)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손네라티아 알바(Sonneratia alba) 추출물을 2.63 g 얻었다.
< 실험예 1> 식물 추출물의 15- 하이드록시프로스타글란딘 탈수소효소(15-PGDH) 저해 활성
15-PGDH 억제 활성을 검색하기 위하여 하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단계 1: 15- PGDH 의 발현 및 정제
15-PGDH 정제방법은 15-PGDH cDNA를 pGEX-2T(Amersham Biosciences, Ohio, USA) 벡터의 BamHI와 EcoRI 부위 사이에 넣어 유전자를 재조합 한 후, E. coli BL-21 LysS(Stratagene, Amsterdam. Netherland)에 형질던환 시켰다.
세포는 37 ℃에서 암피실린(ampicillin, sigma) 50 ㎍/㎖를 함유한 500 ㎖배지에서 배양하고, 220 rpm으로 OD600에서 0.6이 나올 때까지 이소프로필 B-D-치오갈락토사이드(1M stock solution)를 첨가하고, 세포는 25 ℃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세포는 4 ℃에서 30분 동안 4000×g 원심분리하여 얻었다. 상기 세포는 20 ㎖의 가차운 세포 분해 완충용액(1 mM EDTA 및 0.1 mM DDT를 포함하는 1×PBS 완충용액 pH 7.4) 및 초음파 처리(4 ℃에서 4×10s)하여 재부유시켰다.
균주는 4 ℃에서 20분 동안 4000×g 원심분리하여 얻었다. 상등액을 글루타치온-세파로즈 4B컬럼에 천천히 적용하여 4 ℃에서 분해 완충용액을 분리하였다.
상기 컬럼은 분해 완충용액으로 OD250이 0.005가 될 때까지 세척하고, 15-PGDH는 상온으로 유지된 배양기에서 용출 완충용액(10 mM 글루타치온, 1 mM EDTA 및 0.1 mM DTT를 포함하는 50 mM Tris-HCl pH 8.0)으로 5분 동안 글루타치온-세파로스 4B 컬럼으로 녹여서 분리하였다.
효소의 농도를 결정하고, 15-PGDH의 정제는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 폴리아크릴아마이드겔(SDS-PAGE)에 의해 평가하였다.
단계 2: 15- PGDH 의 활성검색
15-PGDH 저해 활성 분석은 340 nm에서 자극을 준 다음 468 nm에서 NADH의 형성을 측정하는 형광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20의 식물 추출물(총 2 ㎖) 및 Tris-HCl(50 nm, pH 7.5), 0.1mM DTT, 0.25 nM NAD+, 정제된 효소(10 ㎍/㎖)을 각각 세포에 첨가하였고, 농도는 3번 측정하였다. 상기 추출물들은 배양 후, 30 nm의 흡광도는 340 nm의 NADH의 다양한 농도의 표준 곡선으로부터 결정되었다.
구분 식물 추출물 IC50(㎍/㎖)
실시예 1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 0.37
실시예 2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 0.51
실시예 3 시나모뮴 테트라고늄(Cinnamomum tetragonum) 0.52
실시예 4 메메실론 에듈(Memecylon edule) 0.57
실시예 5 아토카푸스 헤테로필루스(Artocarpus hetrophyllus) 0.62
실시예 6 알로스폰디아스 라코넨시스(Allospondias lakonensis) 0.64
실시예 7 컴머소니아 바트라미아(Commersonia batramia)a 0.66
실시예 8 사이자이지움 불로키 aff.(Syzygium bullockii aff.) 0.72
실시예 9 사이자이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0.73
실시예 10 체로스폰디아스 엑실라리스(Choerospondias axillaris) 0.84
실시예 11 룸니체라 라세모사(Lumnitzera racemosa) 1.31
실시예 12 오스베키아 스텔라타(Osbeckia stellata) 1.52
실시예 13 트레마 오리엔탈리스(Trema orientalis) 1.79
실시예 14 리토카르푸스 짐노카르푸스(Lithocarpus gymnocarpus) 1.92
실시예 15 플란코넬라 오보바타(Planchonella obovata) 2.68
실시예 16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Triumfetta grandidens) 2.87
실시예 17 트리움페타 발트라미아(Triumfetta bartramia) 2.94
실시예 18 말로투스 아펠타(Mallotus apelta) 3.19
실시예 19 바카우레아 라미플로아(Baccaurea ramiflora) 3.44
실시예 20 손네라티아 알바(Sonneratia alba) 4.08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0의 식물 추출물들은 15-PDGH 효소 활성을 50 % 저해하는 농도인 IC50값이 0.37-4.08 ㎍/㎕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중, 실시예 1 내지 10의 추출물들은 IC50값이 0.37-0.84 ㎍/㎕로 우수한 15-PGDH 효소를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실시예 1 내지 5의 식물추출물들은 IC50값이 0.37-0.62 ㎍/㎕로 15-PGDH 효소를 저해하는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들은 머리카락의 성장 및 생존의 중요한 매개체인 PGE2의 비활성화에 핵심물질인 15-PGDH를 매우 우수하게 억제하므로 15-PGDH의 과발현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2> 식물 추출물의 세포 독성 검색
상기 실험예 1에서 활성이 우수한 실시예 1 내지 10의 식물 추출물의 세포 생존능력 활성 검색을 위하여 HaCaT 세포 및 AML-2 세포 독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단계 1: 세포배양
HaCaT 세포인 인체구강각질화 세포주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서 배양하였다. 골수성 백혈병세포인 AML-2 세포는 Gibco(α-MEM medium)를 사용하여 배양하였고, 선암(adenocarcinoma)과 같은 human alveolar type Ⅱ에서 파생된 A549 세포는 RPMI 배지에서 배양되었다. 모든 배양 배지는 5 % 이산화탄소, 37 ℃에서 10% 가열 불화한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sigma) 및 페니실린 992.5 ㎍/㎖가 첨가되었다.
단계 2: 세포 생존 능력 활성검색
세포 생존은 MTT 활성검색에 의해 측정되었다. HaCaT 세포(1×104)는 96 웰 플레이트에 α-MEM 배지의 90 ㎕에 각각 종분하고, AML-2 세포(2×105)는 96 웰 플레이트에 α-MEM 배지의 90 ㎕에 각각 종분하였다. 밤샘 배양 후, 상기 실시예 1 내지 10의 식물 추출물을 72시간 동안 처리한 후, MTT(5 mg/㎖ stock soultion)의 10 ㎕를 첨가하여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배지를 제거하고 바로 HaCaR 세포주의 포마진 결정을 제거하기 위한 DMSO를 150 ㎕를 첨가하는 반면, 100 ㎕의 산성 이소프로파놀(0.04 M HCl in absolute isopropanol)은 AML-2 세포주의 포마진 결정은 배지 제거 없이 녹인다. 흡광도는 ELISA microlate reader(Perkin-Elmer, Gly., USA) 540 nm에서 측정되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식물 추출물
세포독성
(IC50(㎍/㎖))
AML-2/WT HaCaT
실시예 1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 900 710
실시예 2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 850 270
실시예 3 시나모뮴 테트라고늄(Cinnamomum tetragonum) >1000 535
실시예 4 메메실론 에듈(Memecylon edule) 859 450
실시예 5 아토카푸스 헤테로필루스(Artocarpus hetrophyllus) 550 470
실시예 6 알로스폰디아스 라코넨시스(Allospondias lakonensis) 328 >1000
실시예 7 컴머소니아 바트라미아(Commersonia batramia)a 822 >1000
실시예 8 사이자이지움 불로키 aff.(Syzygium bullockii aff.) 354 465
실시예 9 사이자이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635 >1000
실시예 10 체로스폰디아스 엑실라리스(Choerospondias axillaris) 590 450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10의 식물 추출물들은 AML-2/WT 세포에서 IC50 값이 328-900 ㎍/㎖로 나타났고, HaCaT 세포에서는 IC50 값이 270-710 ㎍/㎖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6 및 8의 식물 추출물의 경우, AML-2/WT 세포에서 IC50 값이 각각 328 ㎍/㎖ 및 354 ㎍/㎖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들은 세포 독성이 낮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3> PGE 2 의 방출 증가량 측정
상기 실험예 2에서 활성이 우수한 실시예 1 내지 5의 식물 추출물의 PGE2의 증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하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A549 세포(5×105 cells/well)는 하룻밤 동안 5% 이산화탄소 및 37 ℃로 유지되는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소태아혈청 및 항생제를 포함하는 RPMI 배지 6-웰 배양 플레이트에 종분하였다. 다른 농도의 상기 실시예 1 내지 5의 추출물을 처리하고, 배지는 약물 처리 12시간 후에 모았다. PGE2의 양은 PGE2 효소 면역분석법 장치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고, 이중 PGE2 증갸량이 높은 실시예 5의 추출물을 A549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 내 및 세포 외의 PEG2 양을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식물 추출물 조절된 PGE2의 증가량(%)
10×IC50 100×IC50
실시예 1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 50.9 181.8
실시예 2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 27.7 274.9
실시예 3 시나모뮴 테트라고늄(Cinnamomum tetragonum) 39.9 375.7
실시예 4 메메실론 에듈(Memecylon edule) 3.6 265.3
실시예 5 아토카푸스 헤테로필루스(Artocarpus hetrophyllus) 42.0 923.3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의 식물 추출물들의 15-PGDH를 저해하는 IC50 농도의 10배를 처리한 결과, PGE2가 3.55-50.90%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15-PGDH를 저해하는 IC50 농도의 100배를 처리한 결과, PGE2가 181.84-923.29%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5를 15-PGDH를 저해하는 IC50 농도의 10배를 처리한 결과, PGE2가 50.90% 및 42.0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본 발명의 실시예 3 및 5를 15-PGDH를 저해하는 IC50 농도의 100배를 처리한 결과, PGE2가 375.65% 및 923.29%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분 세포 내 PGE2 (pg/g)
(Mean±SD)
세포 외 PGE2 (pg/mL)
(Mean±SD)
실시예 5 3.85±0.43* 450.96±15.53*
대조군 1.96±0.18 393.67±12.46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추출물을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 내 및 세포 밖의 PEG2 증가량을 측정한 결과, 약물을 처치하지 않는 정상군에 비하여, 세포 내는 196.4%, 세포 밖은 114.6%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들은 15-PGDH를 저해함으로써 PGE2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이를 통하여 15-PGDH의 과발현에 의해 발생하는 탈모, 두피 질환, 소화성 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구내염 또는 구강궤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창상 및 화상 치료용 조성물, 골절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또는 말초혈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4> 생체 외 스크레치 활성검색을 이용한 상처치유효과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의 상처치유 효능 평가를 위해 양성대조군으로는 상처치유가 될 때 초기에 관여하는 중요한 사이토카인의 하나인 TGF-β1(100 pg/mL)을 사용하였고, 비교군으로는 COX-1의 선택적 억제제인 SC560을 처리한 실시예 5의 추출물 및 COX-2의 선택적 억제제인 세렉콕시브를 처리한 실시예 5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하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생체 외 스크래치 활성 검색을 위해서 HaCaT 세포주 5×105개를 6 웰플레이트에 종분하여 80% 정도까지 5% 이산화탄소 하에서 37 ℃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후, 미토마이신(mitomycin)(10 μg/㎖)이 첨가되어 있는 무혈청 DMEM 배지에 2시간 동안 배양하여 스크래치 처리 시에 생기는 과도한 세포의 성장을 억제시킨다.
다음으로 PBS로 완전히 세포를 씻은 후에 멸균한 200 ㎕ 피펫 팁(pipette tip)을 사용하여 스크래치를 한 후 세포를 다시 세척하였다. 다음으로 각 세포주에 15-PGDH 억제효과가 뛰어난 실시예 5의 식물추출물을 처리하고, 동시에 양성 대조군으로 TGF-β1(100 pg/mL)을 처리하여 상처치유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상처치유의 과정을 보기 위하여 동일한 위치의 스크래치 지역을 0시간과 48시간에 현미경(× 100) 사진을 찍어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상처치유 평균거리
(㎛)

실시예 5

218.17
비교군 1
(실시예 5+SC560(COX-1 저해제))
214
비교군 2
(실시예 5+세렉콕시브(COX-2 저해제))
288.81

양성대조군(TGF-β1)

351.74

무처리군

56.1
표 5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48시간에 현미경을 사용하여 상처의 평균 거리(최장거리와 최단거리의 평균)를 측정한 결과, 실시예 5의 식물 추출물인 AHME[6.2 μg/mL, 15-PDGH 억제 농도(IC50)의 10배](218.17 ㎛)의 경우, 무처리군(56.1 ㎛)보다 3.9배 우수하게 상처를 치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또한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TGF-β1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군 1의 COX-1의 선택적 억제제인 SC560을 처리한 군에서는 실시예5의 추출물에 의한 상처치유 효과를 억제하는 반면, COX-2의 선택적 억제제인 세렉콕시브는 실시예 5의 추출물에 의한 상처치유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이 15-PGDH를 저해함으로써 PGE2를 증가시켜 상처 치유효과가 우수하므로 창상 및 화상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제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의 화합물을 체질하고, 락토오스, 전분 및 전젤라틴화 옥수수 전분과 혼합한 후, 적합한 용적의 정제수를 첨가하고 분말로 과립화 시켰다. 과립을 건조시킨 후 스테아르산 마그네슘과 혼합하고 압착하여 정제를 얻었다.
상기 정제의 구성성분은 하기와 같다.
식물 추출물 5.0 ㎎
락토오스 BP 150.0 ㎎
전분 BP 30.0 ㎎
전젤라틴화 옥수수 전분 BP 15.0 ㎎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1.0 ㎎
2.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캡슐제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의 화합물을 일정량의 부형제 및 스테아르산 마그네슘과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젤라틴 캡슐 중에 충전하여 캡슐을 수득하였다.
상기 캡슐제의 구성성분은 하기와 같다.
식물 추출물 5.0 ㎎
전분 1500 100.0 ㎎
스테아르산마그네슘 BP 1.0 ㎎
3. 주사액제의 제조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사액제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적당한 용적의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중에 상기 식물 추출물을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의 pH를 묽은 염산 BP를 사용하여 pH 3.5로 조절하고, 이어서 주사용 염화나트륨 BP를 사용하여 용적을 조절하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용액을 투명 유리로 된 5 ㎖ 타입 I 앰플 중에 충전시키고, 유리를 용해시킴으로써 공기의 상부 격자하에 봉입시키고, 이어서 120 ℃로 15분 이상 오토클래이브시켜 살균하여 주사액제를 얻었다.
상기 주사액제의 구성성분은 하기와 같다.
식물 추출물 100 ㎍/㎖
묽은 염산 BP pH 3.5로 될 때까지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최대 1 ㎖
< 제제예 2>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
1. 크림의 제조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8 중량부
밀납 2.6 중량부
스테아린산 1.4 중량부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 중량부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 중량부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탈 1.4 중량부
호호바오일 4 중량부
스쿠알란 3.8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60 1.1 중량부
마카다이아오일 2 중량부
초산토코페롤 0.2 중량부
메칠폴리실록산 0.4 중량부
에칠파라벤 0.1 중량부
프로필파라벤 0.1 중량부
Euxyl K-400 0.1 중량부
1,3-부칠렌글리콜 7 중량부
메칠파라벤 0.05 중량부
글리세린 6 중량부
d-판데놀 0.2 중량부
식물 추출물 4.6 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부
pt 41891 0.2 중량부
p-H2O 46.05 중량부
2. 로션의 제조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6 중량부
스테아린산 1.4 중량부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8 중량부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2.6 중량부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탈 0.6 중량부
스쿠알렌 4.8 중량부
마카다이아오일 2 중량부
호호바오일 2 중량부
초산토코페롤 0.4 중량부
메칠폴리실록산 0.2 중량부
에칠파라벤 0.1 중량부
프로필파라벤 0.1 중량부
1,3-부칠렌글리콜 4 중량부
메칠파라벤 0.1 중량부
산탄검 0.1 중량부
글리세린 4 중량부
d-판데놀 0.15 중량부
알란토인 0.1 중량부
식물 추출물 3.5 중량부
카르보내(2% aq. Sol) 4 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0.15 중량부
에탄올 3 중량부
pt 41891 0.1 중량부
p-H20 48.3 중량부
< 제제예 3> 팻취제의 제조
식물 추출물 1~25 중량부
약물방출조절제(지방산 에스테르) 1~35 중량부
고분자 점착제(아크릴레이트) 50~95 중량부
보습제(폴리에틸렌클리콜 200) 0.5~25 중량부
< 제제예 4> 헤어제품의 제조
1. 샴푸의 제조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은 하기 제제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나트륨 라우레트-7-설페이트 16 중량부
라우로일 디에탄올아미드 2.0 중량부
식물 추출물 0.5 중량부
DI 수(DI water) 81.5 중량부
2. 린스의 제조
본 발명의 린스 조성물은 하기 제제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배리쿠아트638 2.0 중량부
라우로일 디에탄올아미드 2.0 중량부
실리콘 오일(10,000의 분자량) 0.5 중량부
식물 추출물 0.5 중량부
DI 수(DI water) 95.0 중량부

Claims (27)

  1.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 시나모뮴 테트라고늄(Cinnamomum tetragonum), 메메실론 에듈(Memecylon edule), 아토카푸스 헤테로필루스(Artocarpus hetrophyllus), 알로스폰디아스 라코넨시스(Allospondias lakonensis), 컴머소니아 바트라미아(Commersonia batramia), 사이자이지움 불로키 aff.(Syzygium bullockii aff.), 사이자이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체로스폰디아스 엑실라리스(Choerospondias axillaris), 룸니체라 라세모사(Lumnitzera racemosa), 오스베키아 스텔라타(Osbeckia stellata), 트레마 오리엔탈리스(Trema orientalis), 리토카르푸스 짐노카르푸스(Lithocarpus gymnocarpus), 플란코넬라 오보바타(Planchonella obovata),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Triumfetta grandidens), 트리움페타 발트라미아(Triumfetta bartramia), 말로투스 아펠타(Mallotus apelta), 바카우레아 라미플로아(Baccaurea ramiflora) 및 손네라티아 알바(Sonneratia alb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 시나모뮴 테트라고늄(Cinnamomum tetragonum), 메메실론 에듈(Memecylon edule), 아토카푸스 헤테로필루스(Artocarpus hetrophyllus), 알로스폰디아스 라코넨시스(Allospondias lakonensis), 컴머소니아 바트라미아(Commersonia batramia), 사이자이지움 불로키 aff.(Syzygium bullockii aff.), 사이자이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및 체로스폰디아스 엑실라리스(Choerospondias axillari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글로치디온 허술타(Glochidion hirsulta), 글로치디온 벨루티눔(Glochidion velutinum), 시나모뮴 테트라고늄(Cinnamomum tetragonum), 메메실론 에듈(Memecylon edule) 및 아토카푸스 헤테로필루스(Artocarpus hetrophyllu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환제, 분말, 과립, 캡슐, 트로취(troch)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되는 경구용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외용제 또는 멸균주사용제인 비경구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제는 크림, 젤,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및 팻취제 중에서 선택되는 피부외용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헤어스프레이, 눈썹마스카라 중에서 선택되는 화장품용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질병에 의한 탈모, 호르몬적 원인에 의한 탈모, 영양 불균형에 의한 탈모 또는 스트레스에 의한 탈모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에 의한 탈모는 유전, 자가 면역질환, 화상, 화학요법, 건선, 염증, 진균감염, 방사선 노출 또는 종양이 원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르몬적 원인에 의한 탈모는 약물, 임신 출산 전후, 갱년기, 당뇨병, 뇌하수체 기능 이상, 부갑상선 또는 갑상선 기능 이상이 원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모는 모발, 눈썹, 속눈썹, 턱수염, 콧수염 또는 음모의 탈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되어 있는 식물 추출물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환제, 분말, 과립, 캡슐, 트로취(troch)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되는 경구용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외용제 또는 멸균주사용제인 비경구투여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제는 크림, 젤,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및 팻취제 중에서 선택되는 피부외용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및 헤어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되는 화장품용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비듬 또는 지루성 피부염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되어 있는 식물 추출물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화성 궤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분말, 과립, 캡슐, 트로취(troch)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되는 경구용 제형; 또는 외용제로 팻취제; 비경구 제형으로 멸균주사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성 궤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되어 있는 식물 추출물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내염 또는 구강궤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분말, 과립, 캡슐, 트로취(troch)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되는 경구용 제형; 또는 외용제로 팻취제; 비경구 제형으로 멸균주사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염 또는 구강궤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되어 있는 식물 추출물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창상 또는 화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외용제로 연고, 거즈 또는 팻취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창상 또는 화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되어 있는 식물 추출물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절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경구용 제형으로 정제, 환제, 분말, 과립, 캡슐, 트로취(troch)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외용제로 연고 또는 팻취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되어 있는 식물 추출물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혈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분말, 과립, 캡슐, 트로취(troch)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되는 경구용 제형; 또는 외용제로 팻취제; 비경구 제형으로 멸균주사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초혈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10135340A 2011-12-15 2011-12-15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15-하이드록시프로스타글란딘 탈수소효소(15-pgdh) 억제용 조성물 KR20130068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340A KR20130068307A (ko) 2011-12-15 2011-12-15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15-하이드록시프로스타글란딘 탈수소효소(15-pgdh)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340A KR20130068307A (ko) 2011-12-15 2011-12-15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15-하이드록시프로스타글란딘 탈수소효소(15-pgdh)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307A true KR20130068307A (ko) 2013-06-26

Family

ID=48863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340A KR20130068307A (ko) 2011-12-15 2011-12-15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15-하이드록시프로스타글란딘 탈수소효소(15-pgdh)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8307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89771A (zh) * 2014-09-19 2014-12-10 侯美霞 一种预防化疗反应的中药制剂
CN105456466A (zh) * 2016-01-06 2016-04-06 成都市飞龙水处理技术研究所青白江第一分所 一种治疗口舌生疮及口腔溃疡的丸剂药物及制备方法
KR101704996B1 (ko) 2016-06-08 2017-02-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076101A1 (ko) * 2018-10-11 2020-04-16 (주)카보엑스퍼트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항균 또는 항아토피 조성물
WO2022055012A1 (ko) * 2020-09-11 2022-03-17 주식회사 드래곤이뮤노 체로스폰디아스 액실라리스 추출물의 이용
KR20220065182A (ko) 2020-11-13 2022-05-20 (주)내츄럴코리아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 및 레조르시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2114470A1 (ko) * 2020-11-27 2022-06-02 (주)카보엑스퍼트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89771A (zh) * 2014-09-19 2014-12-10 侯美霞 一种预防化疗反应的中药制剂
CN105456466A (zh) * 2016-01-06 2016-04-06 成都市飞龙水处理技术研究所青白江第一分所 一种治疗口舌生疮及口腔溃疡的丸剂药物及制备方法
KR101704996B1 (ko) 2016-06-08 2017-02-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시지지움 포르모슘(Syzygium formosum)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076101A1 (ko) * 2018-10-11 2020-04-16 (주)카보엑스퍼트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항균 또는 항아토피 조성물
KR20200041798A (ko) * 2018-10-11 2020-04-22 (주)카보엑스퍼트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항균 또는 항아토피 조성물
KR20210054498A (ko) * 2018-10-11 2021-05-13 (주)카보엑스퍼트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WO2022055012A1 (ko) * 2020-09-11 2022-03-17 주식회사 드래곤이뮤노 체로스폰디아스 액실라리스 추출물의 이용
KR20220065182A (ko) 2020-11-13 2022-05-20 (주)내츄럴코리아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 및 레조르시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2114470A1 (ko) * 2020-11-27 2022-06-02 (주)카보엑스퍼트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20220074362A (ko) * 2020-11-27 2022-06-03 (주)카보엑스퍼트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68307A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15-하이드록시프로스타글란딘 탈수소효소(15-pgdh) 억제용 조성물
KR102141081B1 (ko)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00041243A (ko)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70670B1 (ko) 플라본 화합물의 15-하이드록시프로스타글란딘 탈수소효소 활성의 억제 효능 및 그의 용도
KR101694958B1 (ko) 천심련추출물 또는 안드로그라폴라이드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40115400A (ko) 붉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두피케어조성물
KR101413363B1 (ko) Pge2 활성을 조절하는 해방풍 추출물의 용도
KR102065469B1 (ko) 금목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663576B1 (ko) 플로레틴 술폰산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40000813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403396B1 (ko) 개꼬시래기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KR100894714B1 (ko) 피부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백모사 추출물
KR100864915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WO2023113111A1 (ko) 수용화 매스틱 검을 이용한 기미, 검버섯 등의 개선을 위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702329B1 (ko) 백굴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5α-리덕테이즈활성 억제용 조성물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02355B1 (ko) 감귤류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조직 재생용 조성물
KR20170000491A (ko) 곰보배추 추출물, 느릅나무 추출물, 노나무 추출물 및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비염 예방 및 코막힘 치료용 조성물
KR20180100945A (ko)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063147B1 (ko) 진세노사이드 Ro(ginsenoside Ro)를함유하는 조성물
KR20180135135A (ko) 누에 유래 펩타이드 및 카페익산이 결합된 신규한 펩타이드 유도체의 용도
KR101702621B1 (ko) 꽃잔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JP2013144654A (ja) ウメの花部抽出物を含むコラーゲン収縮力低下抑制用組成物
KR20180075863A (ko) 로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2058022B1 (ko) 백산차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JP2023501136A (ja) クルクミノイド及び甘草抽出物またはその分画物を含有するブタ流行性下痢ウイルス感染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