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055B1 - 소화캡슐을 함유한 소화기능을 가진 소화필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소화캡슐을 함유한 소화기능을 가진 소화필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055B1
KR102251055B1 KR1020200123010A KR20200123010A KR102251055B1 KR 102251055 B1 KR102251055 B1 KR 102251055B1 KR 1020200123010 A KR1020200123010 A KR 1020200123010A KR 20200123010 A KR20200123010 A KR 20200123010A KR 102251055 B1 KR102251055 B1 KR 102251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re extinguishing
lower side
coating
bas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생
Original Assignee
김춘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생 filed Critical 김춘생
Priority to KR1020200123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0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01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on the carrier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07Sol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62D1/0021Microcaps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6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a pool of coating material being formed between a roller, e.g. a dosing roller and an element cooperating therewith
    • B05C1/086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a pool of coating material being formed between a roller, e.g. a dosing roller and an element cooperating therewith the cooperating element being a roller, e.g. a coating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1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the work being fed round the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02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02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 B05C11/04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with bla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 약재를 포함하고 있는 소화캡슐을 포함하는 소화필름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소화캡슐을 함유한 소화기능을 가진 소화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재(Basic Material) 필름을 준비하는 기재 필름 준비 단계; 상기 기재 필름의 하측면에 점착액을 도포하는 점착액 도포 단계; 상기 점착액이 도포된 상기 기재 필름의 점착면에 이형지를 부착시키는 이형지 부착 단계; 및 코팅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기재 필름의 상측면에 소화 약재를 포함하고 있는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을 도포하는 코팅액 도포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화캡슐을 함유한 소화기능을 가진 소화필름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RUING A FIRE EXTINGUISHING FILM WITH FIRE EXTINGUISHING FUNCTION CONSTAINING FIRE EXTINGUISHING CAPSULES}
본 발명은 소화캡슐을 함유한 소화기능을 가진 소화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화 약재를 포함하고 있는 소화캡슐을 포함하는 소화필름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소화캡슐을 함유한 소화기능을 가진 소화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캡슐화(encapsulation)는 액체, 고체 또는 가스를 코어(core)로 하고, 코어의 외부를 감싸는 쉘(shell)을 형성하는 물리-화학적 과정이며, 코어-쉘 구조에서 쉘은 캡슐화된 코어가 외부 환경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캡슐화를 시키는 주요 목적은 캡슐화된 코어의 제어된 외부 방출에 있으며, 이 경우, 일반적으로 저장 및 가공 단계에서 캡슐화된 코어는 외부와의 완벽한 분리를 필요로 한다.
또한, 캡슐화에 따른 코어의 외부 방출은 사용 용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쉘에서 방출되는 코어의 제어된 외부 방출을 이용하기 위해, 약물, 살충제, 향료 및 미네랄 비료 등에 코어를 캡슐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캡슐화의 다양한 용도 가운데 특히 코어를 소화(消火) 약제로 포함하여 화재 시 쉘이 파괴됨으로써 소화 약제가 외부로 방출되어 화재를 진압하는 기술은 전자제품이나 전기제품을 많이 사용하는 현대사회에서 절실하게 요구됨에 따라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서, 소화용 마이크로 캡슐은 소화 약제를 코어로 하고, 쉘 내부로 캡슐화한 것으로 화재가 발생하면 좁은 온도 범위에서 짧은 시간 내에 소화 약제가 쉘을 이탈하는 탈캡슐화(캡슐화 해제, Decapsulation)가 이루어져 화재 진압을 신속히 시킬 수 있으며, 화재 진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화용 마이크로 캡슐은 외부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외력 또는 환경에 의해 쉘이 파괴되어 코어인 소화 약제가 외부로 방출되면 화재 시 소화가 필요한 순간에 소화 약제의 양이 적어 소화에 필요한 소화 약제의 농도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소화 약제 양을 확보하여 우수한 소화 효과를 제공하면서, 다양하게 소화용 마이크로 캡슐을 적용시켜 신속하게 화제를 진압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23659호 한국등록특허 제10-2149439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소화 약재를 포함하고 있는 소화캡슐을 포함하는 소화필름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소화캡슐을 함유한 소화기능을 가진 소화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캡슐을 함유한 소화기능을 가진 소화필름 제조방법은, 기재(Basic Material) 필름을 준비하는 기재 필름 준비 단계; 상기 기재 필름의 하측면에 점착액을 도포하는 점착액 도포 단계; 상기 점착액이 도포된 상기 기재 필름의 점착면에 이형지를 부착시키는 이형지 부착 단계; 및 코팅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기재 필름의 상측면에 소화 약재를 포함하고 있는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을 도포하는 코팅액 도포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팅액 도포 단계는, 상기 기재 필름의 상측면에 5μm 내지 500μm의 두께로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을 도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재 필름은,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VC(PolyVinyl Chlorid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및 ASA(Acrylonitryl Styrene Acrylic Rubber Copolymer)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팅장치는, 콤마 코팅기 및 리버스 코팅기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콤마 코팅기는, 코팅기 케이스; 상기 코팅기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기재 필름을 이송시키도록 회전 구동하는 코팅 롤; 일단이 상기 코팅 롤 상에 배치되며, 상기 코팅 롤과의 사이에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을 담는 코팅액 댐; 상기 코팅 롤에 의해 상기 코팅액 댐을 거쳐 상기 기재 필름이 이송되면서 상기 기재 필름의 표면에 도포된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을 설정 두께만 남기고 제거하도록 상기 코팅 롤의 상측에 설치되는 콤마 롤; 상기 코팅기 케이스의 상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콤마 롤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장착하고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 블록; 내장된 히터에 공급되는 전기량에 따라 열팽창량이 제어되며, 상기 승강 블록의 하측에서 열팽창량에 따라 상기 승강 블록을 승강시켜 상기 콤마 롤과 코팅 롤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 및 상기 코팅기 케이스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코팅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코팅기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버스 코팅기는,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을 수용이 수용되는 코팅액 수조; 상기 코팅액 수조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코팅액 수조를 지지하는 수조 지지대; 상기 코팅액 수조의 전단에 설치되며, 외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코팅액 수조로부터 승강되는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을 상기 기재 필름에 도포하는 메인 롤러; 상기 메인 롤러에 부착되는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이 기 설정된 두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롤러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보조 롤러; 상기 보조 롤러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롤러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을 제거하는 닥터 나이프; 상기 코팅액 수조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기재 필름의 이동을 유도하는 제1 가이드 롤러; 상기 코팅액 수조의 후단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기재 필름의 이동을 유도하는 제2 가이드 롤러; 상기 코팅액 수조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가이드 롤러를 경유하고 전달되는 상기 기재 필름의 이동 방향을 상기 메인 롤러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1 업다운 롤러; 및 상기 제1 업다운 롤러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메인 롤러에 의한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이 도포된 상기 기재 필름은 전달 받아 상기 제2 가이드 롤러로 전달하는 제2 업다운 롤러;를 포함하는, 소화기능을 가진 소화필름 제조방법.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팅기 지지대는,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 제2 격벽 및 제3 격벽에 의해 제1 공간, 제2 공간, 제3 공간 및 제4 공간으로 구획되는 박스형 케이스;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1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코팅기 케이스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상측이 상기 제2 공간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2 지지부;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3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코팅기 케이스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박스형 케이스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간격조절볼트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조절볼트는,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 볼트 본체;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 및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 지지대는, 상기 코팅액 수조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설비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측에 상기 상부 지지대가 안착되는 하부 지지대;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 및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는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지지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대상물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홈;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지지대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홈 마다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는 간격 지지 탄성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전단보다 하측 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제동 프레임; 및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제동 프레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측 후단보다 하측 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제동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지지대는, 상측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본체;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1 상하 관통홈; 상기 제2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2 상하 관통홀;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전단에 형성되는 제1 설치 공간; 및 상기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설치 공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후단에 형성되는 제2 설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설치 공간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줄어드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는,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스프라켓;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는 제2 스프라켓;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는 제3 스프라켓; 상기 제1 스프라켓, 상기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제2 스프라켓을 따라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제2 스프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하측이 상기 지지 본체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지지 본체를 지지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 본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바닥면과의 밀찰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벨트; 상기 구동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의 하측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설치 공간에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이 하강하면 상기 구동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제동 프레임과 밀착되어 상기 구동 벨트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제동 플레이트; 및 상기 구동 벨트의 회전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벨트의 전단과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동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소화 약재를 포함하고 있는 소화캡슐을 포함하는 소화필름을 제조함으로써, 화재 위험성이 항상 존재하는 곳이나 다양한 공간에서 적용이 가능하여 화재를 예방하거나 신속하게 진압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화재 발생 시 소화캡슐을 짧은 시간 안에 동시에 파열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화재 진압할 수 있다.
또한, 특히, 콘센트, 전기차단기와 같이 화재 위험성이 항상 존재하는 곳은 물론 이차 전지 및 전자 담배와 같이 매우 극소한 공간 등 다양한 공간에 적용이 가능하고, 우수한 연성 및 방열성을 제공하여, 화재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소화캡슐을 함유한 소화기능을 가진 소화필름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콤마 코팅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버스 코팅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코팅기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코팅기 지지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간격조절볼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제1 지지부의 지지 구조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코팅기 지지대의 지지 높이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4의 수조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는 도 10의 상부 지지대와 해부 지지대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0의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소화캡슐을 함유한 소화기능을 가진 소화필름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소화캡슐을 함유한 소화기능을 가진 소화필름 제조방법은, 우선 기재 필름(S1)을 준비한다(S110).
일 실시예에서, 기재 필름(S1)은,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VC(PolyVinyl Chlorid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및 ASA(Acrylonitryl Styrene Acrylic Rubber Copolymer)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기재 필름(S1)의 하측면에 점착액(S2)을 도포한다(S120).
점착액이 도포된 기재 필름(S1)의 점착면에 이형지(S3)를 부착시킨다(S130).
코팅 장치를 이용하여 기재 필름(S1)의 상측면에 소화 약재를 포함하고 있는 소화 캡슐(C)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S4)을 도포한다(S140).
여기서, 소화 캡슐(C)은, 상기 소화용 마이크로 캡슐로서, 코어-쉘 구조로, 상기 코어에는 소화 약제가 80 내지 97 중량%로 함유되고, 상기 쉘은 코어를 둘러싸며, 비다공성 고분자 중합체로 침전제 또는 응고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팅장치는, 콤마 코팅기(10) 및 리버스 코팅기(20)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팅액 도포 단계(S140)는, 기재 필름(S1)의 상측면에 5μm 내지 500μm의 두께로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S4)을 도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소화캡슐을 함유한 소화기능을 가진 소화필름 제조방법은, 소화 약재를 포함하고 있는 소화캡슐을 포함하는 소화필름을 제조함으로써, 화재 위험성이 항상 존재하는 곳이나 다양한 공간에서 적용이 가능하여 화재를 예방하거나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다.
또한, 화재 발생 시 소화캡슐을 짧은 시간 안에 동시에 파열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화재 진압할 수 있다.
또한, 특히, 콘센트, 전기차단기와 같이 화재 위험성이 항상 존재하는 곳은 물론 이차 전지 및 전자 담배와 같이 매우 극소한 공간 등 다양한 공간에 적용이 가능하고, 우수한 연성 및 방열성을 제공하여, 화재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콤마 코팅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콤마 코팅기(10)는, 코팅기 케이스(100), 코팅 롤(150), 코팅액 댐(200), 콤마 롤(250), 승강 블록(300), 간격 조절부(350) 및 코팅기 지지대(400)를 포함한다.
코팅기 케이스(100)는,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코팅기 지지대(400)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승강 블록(300)이 설치된다.
코팅 롤(150)은, 코팅기 케이스(10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별도로 구비된 가이드 롤(G1)을 경유하여 전달된 기재 필름(S1)을 이송시키도록 회전 구동하며, 상측에 콤마 롤(250)이 대향하며 연결 설치된다.
코팅액 댐(200)은, 일단이 코팅 롤(150) 상에 배치되며, 코팅 롤(150)과의 사이에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S4)을 담는다.
콤마 롤(250)은, 코팅 롤(150)에 의해 코팅액 댐(200)을 거쳐 기재 필름(S1)이 이송되면서 기재 필름(S1)의 표면에 도포된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S4)을 설정 두께만 남기고 제거하도록 코팅 롤(150)의 상측에 설치된다.
즉, 콤마 롤(250)은, 코팅액 댐(200)에 수용되어 있는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S4)을 가두는 벽체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다.
승강 블록(300)은, 코팅기 케이스(100)의 상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콤마 롤(250)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장착하고 승강 가능하게 지지한다.
간격 조절부(350)는, 내장된 히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공급되는 전기량에 따라 열팽창량이 제어되며, 승강 블록(300)의 하측에서 열팽창량에 따라 승강 블록(300)을 승강시켜 콤마 롤(250)과 코팅 롤(150)의 간격을 조절한다.
코팅기 지지대(400)는, 코팅기 케이스(100)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코팅기 케이스(100)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콤마 코팅기(10)는, 콤마 롤(250)의 승강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서 너트와 볼트를 이용하는 것과 비교해서, 콤마 롤(250)과 코팅 롤(150)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름 표면의 코팅층 두께가 미세하게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콤마 코팅기(10)에 따르면, 종래에서 너트와 볼트를 이용하는 것과 비교해서 진동의 영향을 덜 받게 되므로, 필름 표면의 코팅층 두께 편차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버스 코팅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리버스 코팅기(20)는, 코팅액 수조(500), 수조 지지대(600), 메인 롤러(700), 보조 롤러(750), 닥터 나이프(800), 제1 가이드 롤러(850), 제2 가이드 롤러(900), 제1 업다운 롤러(950) 및 제2 업다운 롤러(1000)를 포함한다.
코팅액 수조(500)는,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S4)을 수용이 수용되며,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수조 지지대(600)에 의해 지지되며, 수조 내측에 메인 롤러(700) 및 보조 롤러(750)가 연결 설치된다.
수조 지지대(600)는, 코팅액 수조(500)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코팅액 수조(500)를 지지한다.
메인 롤러(700)는, 코팅액 수조(500)의 내측 전단에 설치되며, 외측면에 부착되어 코팅액 수조(500)로부터 승강되는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S4)을 기재 필름(S1)에 도포한다.
보조 롤러(750)는, 메인 롤러(700)에 부착되는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S4)이 기 설정된 두께(예를 들어, 5μm 내지 500μm의 두께 등)를 유지할 수 있도록 메인 롤러(700)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닥터 나이프(800)는, 보조 롤러(750)의 후단에 설치되어 보조 롤러(750)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S4)을 제거한다.
제1 가이드 롤러(850)는, 코팅액 수조(500)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어 기재 필름(S1)의 이동을 제1 업다운 롤러(950) 방향으로 유도한다.
제2 가이드 롤러(900)는, 코팅액 수조(500)의 후단 상측에 설치되어 제2 업다운 롤러(1000)로부터 기재 필름(S1)을 전달받아 이동을 유도한다.
제1 업다운 롤러(950)는, 코팅액 수조(500)의 전단에 설치되어 제1 가이드 롤러(850)를 경유하고 전달되는 기재 필름(S1)의 이동 방향을 메인 롤러(700) 방향으로 유도한다.
제2 업다운 롤러(1000)는, 제1 업다운 롤러(950)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메인 롤러(700)에 의한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S4)이 도포된 기재 필름(S1)은 전달 받아 제2 가이드 롤러(900)로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리버스 코팅기(20)는,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S4)을 적용할 수 있으며, 젖음두께(Wet Thickness)를 50미크론 이하로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기재 필름(S1) 연결 시 발생되는 여러 문제점들이 기재 필름(S1)이 갭을 통과되지 않음으로 문제가 해결된다.
또한, 롤컷 리버스 코팅 방법에 따르면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방법과 비교하여 여러 개의 전사롤을 구비할 필요가 없고, 롤의 마모가 없어 교체주기가 거의 없으므로 매우 경제적이고, 표면이 아주 매끄러운 경면롤을 채택함으로 인하여 코팅되어지는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S4)의 전사율변화가 매우적음으로 인한 불량발생의 원인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롤의 직경을 키울 수 있어 롤의 회전력에 의한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S4)의 혼련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며, 경면롤이므로 표면에 형상이 없어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S4)에 포함된 첨가물들이 배열을 이루지 않아 자연스럽고 매우 안정된 느낌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한 고점도의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S4)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기재 필름(S1)의 코팅되어지는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S4)의 두께를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방법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쉽게 극복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코팅기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코팅기 지지대(400)는, 박스형 케이스(410), 제1 지지부(420), 제2 지지부(430), 제3 지지부(440) 및 간격조절볼트(450)를 포함한다.
박스형 케이스(410)는,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410), 제2 격벽(420) 및 제3 격벽(430)에 의해 제1 공간(S1), 제2 공간(S2), 제3 공간(S3) 및 제4 공간(S4)으로 구획되며, 코팅기 케이스(100)와 바닥면 사이의 이격 공간에 설치된다.
제1 지지부(420)는,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하측이 제1 공간(S1)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440)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4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450)에 설치되어 제1 공간(S1)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421)이 박스형 케이스(41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코팅기 케이스(100)의 하측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4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볼트(450)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제2 지지부(430)는, "∪"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상측이 제2 공간(S2)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450)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4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450)에 설치되어 제2 공간(S2)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431)이 박스형 케이스(410)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바닥면에 안착된다.
제3 지지부(440)는,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하측이 제3 공간(S3)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460)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4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450)에 설치되어 제3 공간(S3)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441)이 박스형 케이스(41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코팅기 케이스(100)의 하측을 지지한다.
간격조절볼트(450)는, 제1 격벽(410), 제2 격벽(420) 및 제3 격벽(430)에 의하여 지지되어 박스형 케이스(4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제1 지지부(420), 제2 지지부(430), 및 제3 지지부(440)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박스형 케이스(410)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지지부(420), 제2 지지부(430), 및 제3 지지부(440)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간격조절볼트(450)는, 볼트 본체(451),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452),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453) 및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454)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 본체(451)는, 박스형 케이스(4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제1 격벽(410), 제2 격벽(420) 및 제3 격벽(430)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451a)을 형성한다.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452-1, 452-2)은, 볼트 본체(4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1 지지부(42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1 지지부(42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4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제2 고정 원판(453-1, 453-2)은, 볼트 본체(4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2 지지부(43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2 지지부(43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4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제3 고정 원판(454-1, 454-2)은, 볼트 본체(4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3 지지부(44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3 지지부(44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4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코팅기 지지대(4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볼트(450)의 회전 정도에 따라 제1 지지부(420), 제2 지지부(430) 및 제3 지지부(4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코팅기 케이스(100)와 바닥면 사이의 이격 간격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지지부(420), 제2 지지부(430) 및 제3 지지부(440)의 아치 구조에 따른 탄성력을 이용하여 코팅기 케이스(1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킴으로써 코팅기 케이스(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도 4의 수조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수조 지지대(600)는, 상부 지지대(610), 하부 지지대(620),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 및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대(610)는, 하부 지지대(6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코팅액 수조(500)의 하측을 지지한다.
하부 지지대(620)는, 설비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측에 상부 지지대(610)가 안착되며, 하부 전단에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가 설치되고, 하부 후단에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가 설치된다.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는,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하부 지지대(62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지지대(620)의 내측 전단에 안착되어 하부 지지대(620)를 지지한다.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하부 지지대(62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지지대(620)의 내측 후단에 안착되어 하부 지지대(620)를 지지한다.
상수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수조 지지대(600)는, 코팅액 수조(50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추가되는 구성으로서, 코팅액 수조(500)에 가해지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뿐만 아니라, 측면 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역시 감쇄시킴으로써, 코팅액 수조(5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도 10의 상부 지지대와 해부 지지대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부 지지대(610)는, 지지 플레이트(611), 하부홈(612), 간격 지지 탄성체(613), 제1 제동 프레임(614) 및 제2 제동 프레임(615)을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611)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코팅액 수조(500)의 하측을 지지하며, 하측을 따라 형성되는 하부홈(612) 마다 설치되는 간격 지지 탄성체(613)에 의해 하부 지지대(62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하부홈(612)은, 간격 지지 탄성체(613)의 상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 플레이트(611)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간격 지지 탄성체(613)는, 지지 플레이트(611)와 하부 지지대(620)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홈(612) 마다 설치되어 하부 지지대(620)의 상측에 안착된다.
제1 제동 프레임(614)은, 지지 플레이트(611)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전단보다 하측 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6141)을 형성한다.
제2 제동 프레임(615)은, 제1 제동 프레임(614)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된 지지 플레이트(611)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제동 프레임(614)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측 후단보다 하측 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6151)을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 지지대(620)는, 지지 본체(621), 제1 상하 관통홈(622), 제2 상하 관통홀(623), 제1 설치 공간(624) 및 제2 설치 공간(625)을 포함한다.
지지 본체(621)는, 상측에 지지 플레이트(61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설치 공간(624) 및 제2 설치 공간(625)에 설치되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 및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상하 관통홈(622)은, 제1 제동 프레임(61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 본체(62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제2 상하 관통홀(623)은, 제2 제동 프레임(615)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 본체(62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제1 설치 공간(624)은,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지지 본체(621)의 내측 전단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설치 공간(624)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줄어드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설치 공간(625)은,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설치 공간(624)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지지 본체(621)의 내측 후단에 형성된다.
도 13은 도 10의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는, 제1 스프라켓(631), 제2 스프라켓(632), 제3 스프라켓(633), 구동 벨트(634), 제동 플레이트(635) 및 제동 스프링(636)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후술한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의 각각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스프라켓(631)은, 제1 설치 공간(624)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634)의 전단 상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634)를 지지한다.
제2 스프라켓(632)은, 제1 설치 공간(624)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634)의 전단 하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634)를 지지한다.
제3 스프라켓(633)은, 제1 설치 공간(624)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634)의 후단 하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634)를 지지한다.
구동 벨트(634)는, 제1 스프라켓(631), 제2 스프라켓(632) 및 제2 스프라켓(632)을 따라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2 스프라켓(632) 및 제2 스프라켓(632)에 의해 지지되는 하측이 지지 본체(621)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지지 본체(621)를 지지하며, 외력에 의해 지지 본체(62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바닥면과의 밀찰력에 의해 회전된다.
즉, 제2 스프라켓(632)와 제3 스프라켓(633)은, 구동 벨트(634)의 하측이 지지 본체(621)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부 일부가 지지 본체(621)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1 설치 공간(624)에 연결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제동 플레이트(635)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벨트(634)를 사이에 두고 제1 제동 프레임(614)의 하측면(6141)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제1 제동 프레임(614)의 하측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형성하며 제1 설치 공간(624)에서 고정 설치되며, 제1 제동 프레임(614)이 하강하면 구동 벨트(634)를 사이에 두고 제1 제동 프레임(614)과 밀착되어 구동 벨트(634)의 회전을 제동시킨다.
제동 스프링(636)은, 구동 벨트(634)의 회전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동 벨트(634)의 전단과 제1 설치 공간(624)의 전단 상측면 사이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는, 지지 플레이트(611)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구동 벨트(634)의 제동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제동 스프링(636)에 의해 구동 벨트(634)의 회전이 제동되어 수조 지지대(600)가 제동 스프링(636)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지지 플레이트(611)의 하강되어 구동 벨트(634)가 제동되는 경우에는 제동 스프링(636)에 의해 제동되는 경우보다 강한 힘으로 구동 벨트(634)의 회전이 제동되어 수조 지지대(600)가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콤마 코팅기
20: 리버스 코팅기

Claims (6)

  1. 기재(Basic Material) 필름을 준비하는 기재 필름 준비 단계;
    상기 기재 필름의 하측면에 점착액을 도포하는 점착액 도포 단계;
    상기 점착액이 도포된 상기 기재 필름의 점착면에 이형지를 부착시키는 이형지 부착 단계; 및
    코팅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기재 필름의 상측면에 소화 약재를 포함하고 있는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을 도포하는 코팅액 도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액 도포 단계는,
    상기 기재 필름의 상측면에 5μm 내지 500μm의 두께로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을 도포하고,
    상기 기재 필름은,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VC(PolyVinyl Chlorid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및 ASA(Acrylonitryl Styrene Acrylic Rubber Copolymer)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고,
    상기 코팅장치는,
    콤마 코팅기 및 리버스 코팅기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되,
    상기 리버스 코팅기는,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을 수용이 수용되는 코팅액 수조;
    상기 코팅액 수조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코팅액 수조를 지지하는 수조 지지대;
    상기 코팅액 수조의 전단에 설치되며, 외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코팅액 수조로부터 승강되는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을 상기 기재 필름에 도포하는 메인 롤러;
    상기 메인 롤러에 부착되는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이 기 설정된 두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롤러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보조 롤러;
    상기 보조 롤러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롤러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을 제거하는 닥터 나이프;
    상기 코팅액 수조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기재 필름의 이동을 유도하는 제1 가이드 롤러;
    상기 코팅액 수조의 후단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기재 필름의 이동을 유도하는 제2 가이드 롤러;
    상기 코팅액 수조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가이드 롤러를 경유하고 전달되는 상기 기재 필름의 이동 방향을 상기 메인 롤러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1 업다운 롤러; 및
    상기 제1 업다운 롤러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메인 롤러에 의한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이 도포된 상기 기재 필름은 전달 받아 상기 제2 가이드 롤러로 전달하는 제2 업다운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수조 지지대는,
    상기 코팅액 수조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설비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측에 상기 상부 지지대가 안착되는 하부 지지대;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 및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는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지지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대상물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홈;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지지대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홈 마다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는 간격 지지 탄성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전단보다 하측 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제동 프레임; 및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제동 프레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측 후단보다 하측 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제동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지지대는,
    상측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본체;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1 상하 관통홈;
    상기 제2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2 상하 관통홀;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전단에 형성되는 제1 설치 공간; 및
    상기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설치 공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후단에 형성되는 제2 설치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설치 공간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줄어드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는,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스프라켓;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는 제2 스프라켓;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는 제3 스프라켓;
    상기 제1 스프라켓, 상기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제2 스프라켓을 따라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제2 스프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하측이 상기 지지 본체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지지 본체를 지지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 본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바닥면과의 밀찰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벨트;
    상기 구동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의 하측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설치 공간에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이 하강하면 상기 구동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제동 프레임과 밀착되어 상기 구동 벨트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제동 플레이트; 및
    상기 구동 벨트의 회전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벨트의 전단과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동 스프링;을 포함하는, 소화캡슐을 함유한 소화기능을 가진 소화필름 제조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콤마 코팅기는,
    코팅기 케이스;
    상기 코팅기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기재 필름을 이송시키도록 회전 구동하는 코팅 롤;
    일단이 상기 코팅 롤 상에 배치되며, 상기 코팅 롤과의 사이에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을 담는 코팅액 댐;
    상기 코팅 롤에 의해 상기 코팅액 댐을 거쳐 상기 기재 필름이 이송되면서 상기 기재 필름의 표면에 도포된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액을 설정 두께만 남기고 제거하도록 상기 코팅 롤의 상측에 설치되는 콤마 롤;
    상기 코팅기 케이스의 상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콤마 롤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장착하고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 블록;
    내장된 히터에 공급되는 전기량에 따라 열팽창량이 제어되며, 상기 승강 블록의 하측에서 열팽창량에 따라 상기 승강 블록을 승강시켜 상기 콤마 롤과 코팅 롤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 및
    상기 코팅기 케이스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코팅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코팅기 지지대;를 포함하는, 소화캡슐을 함유한 소화기능을 가진 소화필름 제조방법.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기 지지대는,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 제2 격벽 및 제3 격벽에 의해 제1 공간, 제2 공간, 제3 공간 및 제4 공간으로 구획되는 박스형 케이스;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1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코팅기 케이스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상측이 상기 제2 공간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2 지지부;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3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코팅기 케이스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박스형 케이스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간격조절볼트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되는, 소화캡슐을 함유한 소화기능을 가진 소화필름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볼트는,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 볼트 본체;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 및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을 포함하는, 소화캡슐을 함유한 소화기능을 가진 소화필름 제조방법.
  6. 삭제
KR1020200123010A 2020-09-23 2020-09-23 소화캡슐을 함유한 소화기능을 가진 소화필름 제조방법 KR102251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010A KR102251055B1 (ko) 2020-09-23 2020-09-23 소화캡슐을 함유한 소화기능을 가진 소화필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010A KR102251055B1 (ko) 2020-09-23 2020-09-23 소화캡슐을 함유한 소화기능을 가진 소화필름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055B1 true KR102251055B1 (ko) 2021-05-11

Family

ID=75915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010A KR102251055B1 (ko) 2020-09-23 2020-09-23 소화캡슐을 함유한 소화기능을 가진 소화필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0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548A (ko) * 2020-09-28 2022-04-05 강성일 기능성 운동화 제조 장치
WO2024039003A1 (ko) * 2022-08-16 2024-02-22 주식회사 나담전자 배터리팩용 방화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9240A (ja) * 2008-05-02 2009-06-04 Yamato Grand Kk 消火性シート
KR20110062339A (ko) * 2009-12-03 2011-06-10 주식회사 아모 콤마 코팅기
KR20110137660A (ko) * 2010-06-17 2011-12-23 주식회사 성광이엔지 롤 컷 리버스 코팅 시스템
JP2018192792A (ja) * 2017-05-12 2018-12-0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化粧シート、及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KR102123659B1 (ko) 2019-05-08 2020-06-16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소화용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소화용 시트
KR102149439B1 (ko) 2020-03-25 2020-08-31 주식회사 지에프아이 소화용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한 소화필름이 구비된 배터리 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9240A (ja) * 2008-05-02 2009-06-04 Yamato Grand Kk 消火性シート
KR20110062339A (ko) * 2009-12-03 2011-06-10 주식회사 아모 콤마 코팅기
KR20110137660A (ko) * 2010-06-17 2011-12-23 주식회사 성광이엔지 롤 컷 리버스 코팅 시스템
JP2018192792A (ja) * 2017-05-12 2018-12-0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化粧シート、及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KR102123659B1 (ko) 2019-05-08 2020-06-16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소화용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소화용 시트
KR102149439B1 (ko) 2020-03-25 2020-08-31 주식회사 지에프아이 소화용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한 소화필름이 구비된 배터리 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548A (ko) * 2020-09-28 2022-04-05 강성일 기능성 운동화 제조 장치
KR102648379B1 (ko) * 2020-09-28 2024-03-14 강성일 기능성 운동화 제조 장치
WO2024039003A1 (ko) * 2022-08-16 2024-02-22 주식회사 나담전자 배터리팩용 방화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1055B1 (ko) 소화캡슐을 함유한 소화기능을 가진 소화필름 제조방법
USRE49231E1 (en) Concealed sprinkler
ES2446519T3 (es) Mecanismo detector de sobrevelocidad en aparatos elevadores, dispositivo de actuación de seguridad de prevención de sobrevelocidad y aparato elevador
US20070218269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36746B1 (ko) 전자기파 차폐 방열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7050724A3 (en) Lipophilic vehicle-based dual controlled release matrix system as capsule fill
US20080193695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910018045A (ko) 흡입에 의해 약제를 투여하기 위한 운반 기구
KR101731636B1 (ko) 건축물 소방용 완강기
EP1542458A1 (en) Thin display device
JP2008295852A (ja) マスク
WO2004056336A3 (en) Controlled release, multiple unit drug delivery systems
ES2614639T3 (es) Máquina para la fabricación de almohadillas de papel
US20090130323A1 (en) Curtain Coating Method and a Device Used for it
US20130142849A1 (en) Controlled release formulations of dronedarone
ES2300264T3 (es) Material aislante y metodo de produccion del mismo.
KR101700447B1 (ko)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 거치대 절첩장치
JP5961069B2 (ja) 歩行性虫進入防止機能付きシートシャッター
JP3590680B2 (ja) 写真印画紙用支持体の製造方法
KR102158117B1 (ko) 경량 엠보 벽지
ES2222932T3 (es) Textil polimero expandido y extruido.
JPH08168117A (ja) 配電盤
CN210096751U (zh) 消防安全装置
KR20230012923A (ko)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제조장치
JP3217970U (ja) 異なる搭乗方向を有する体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