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0569B1 - 크레인 천공기용 오거스크류의 부토 비산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 천공기용 오거스크류의 부토 비산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0569B1
KR102250569B1 KR1020200169029A KR20200169029A KR102250569B1 KR 102250569 B1 KR102250569 B1 KR 102250569B1 KR 1020200169029 A KR1020200169029 A KR 1020200169029A KR 20200169029 A KR20200169029 A KR 20200169029A KR 102250569 B1 KR102250569 B1 KR 102250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ttering prevention
prevention device
roller
extern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국
Original Assignee
이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국 filed Critical 이중국
Priority to KR1020200169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5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2/00Accessories for drilling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7Drills for drilling shallow holes, e.g. for taking soil samples or for drilling post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8Production methods using an auger, i.e. continuous fligh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크레인 천공기의 하부오거에 고정 설치되는 크레인 천공기용 오거스크류의 부토 비산 방지장치에 있어서,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외형을 형성하는 비산방지막으로 구성되는 각진 반통형상의 외부 비산방지장치와; 상기 외부 비산방지장치의 내부에 포용되고, 외부 비산방지장치의 내외부를 승강하고,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외형을 형성하는 비산방지막으로 구성되는 각진 반통형상의 내부 비산방지장치와; 상기 외부 비산방지장치의 어느 하나의 프레임의 일측에 연장되어 하부오거에 탈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내부 비산방지장치가 외부 비산방지장치의 내외로 입출 가능하게 하고 V홈 승강롤러와 V돌기 승강레일로 구성된 승강장치와; V홈으로 된 한 쌍의 탈거방지롤러 사이에 마름모 형상의 탈거방지레일이 위치된 탈거방지장치로 구성되어; 오거스크류의 길이가 짧거나 긴경우에도 상관없이 사용 가능하여 범용성이 있고, 점성이 강한 부토도 비산방지장치 내부에서 비산되거나 낙하되고, 승강장치가 V돌기의 승강레일에 V홈의 승강롤러가 맞물리는 구조로서 승강롤러가 승강레일에서 이탈되지 아니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크레인 천공기용 오거스크류의 부토 비산 방지장치{Scattering soil preventing Apparatus of auger screw cover for crane piercing machine}
본 발명은 크레인 천공기용 오거스크류의 부토 비산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비산방지장치가 외부 비산방지장치의 외부로 상승된 상태에서 하부 오거보다 높은 상방향으로 운반된 부토의 비산을 방지하는 범용성있는 크레인 천공기용 오거스크류의 부토 비산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가, 아파트 등 각종 건물, 특히 고층건물을 건축할 때에 지반에 흙막이 벽체 구성을 위한 파일 시공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오거스크류를 구비한 유압식 천공장비(예컨대, 크레인 천공기)를 이용하여 지반을 천공하는 작업은 한다.
상기 지반 천공 작업은 건축공사장의 기초공사를 위하여 모터의 작동에 따라 오거스크류가 정회전 및 역회전 작동하면서 지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만큼 천공하는 크레인 천공기의 오거스크류로 수행하게 되며, 소정 깊이의 천공이 완료되면 다음 단계의 천공을 위해 오거스크류를 인상할 때 토사, 즉 부토도 따라 올라오게 되며 오거스크류와 함께 올라오는 대부분의 부토는 하부 오거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주변으로 비산된다.
상기 부토가 비산되면 작업환경 악화와 공기 질의 저하 등을 수반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부토가 주변으로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부토 비산 방지장치를 개발되었다.
상기 부토 비산 방지장치에 대한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7703호 부토 비산 방지장치(2019년 01월 14일)는 오거스크류가 장착되는 상부 오거와 케이싱이 장착되어 케이싱의 회전에 따라 승 강하는 하부 오거를 구비하는 크레인 천공기의 부토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오거의 양측부에 고정 설치되는 가림막 프레임 지지부와; 상기 가림막 프레임 지지부를 통해 하부 오거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 오거에 형성된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부토가 타겟팅되는 하부 중앙 부분에 금속 재질의 비산 방지막이 구비되고 비산 방지천이 덧씌워지며 상부 오거에 장착된 오거스크류의 일부분만 가릴 수 있는 크기로 하부 오거에 설치되어 하부 오거의 승강에 따라 함께 승강하는 가림막 프레임과; 상기 가림막 프레임 지지부와 가림막 프레임을 결합 및 결합 해제시키기 위한 결합 및 결합 해제부;로 구성된다.
상기 천공하는 작업 중에 오거스크류와 함께 올라오는 부토 중 일부는 오거스크류에 얹혀져서 하부 오거보다 높은 상방향까지 운반되어 오거스크류의 회전 및 바람 등에 의해 하방향으로 낙하되면서 하부 오거에 부딪혀서 비산되거나 천공 작업장 부근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선행기술은 일부의 부토의 비산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나 가림막 프레임이 하나로 구성되어 하부 오거보다 높은 상방향으로 운반된 부토의 비산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부토가 부토 비산 방지장치 외부로 낙하되어 천공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다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오거스크류 길이와 동일하게 제작되어 오거스크류의 길이가 짧거나 긴경우 그 길이에 적합하게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외부 비산방지장치와 외부 비산방지장치 내부를 승강하는 내부 비산방지장치와 승강장치로 구성되어 굴착되는 지반의 점성이 약한 부토 및 점성이 강한 일부 부토는 외부 비산방지장치의 내부에 비산되게 하고, 점성이 강한 부토 중에서 오거스크류에 얹혀져서 하부 오거 보다 높은 상방향까지 운반된 나머지 부토도 내부 비산방지장치의 내부에 비산되거나 낙하되게 하여 공사현장 주변의 청결성과 천공 작업의 안정성을 제고하고 오거스크류 길이에 상관없는 범용성이 있는 크레인 천공기용 오거스크류의 부토 비산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과 비산방지막이 구성된 반통형상의 외부 비산방지장치와, 프레임과 비산방지막이 구성된 외부 비산방지장치의 내외부를 승강하는 내부 비산방지장치와, 외부 비산방지장치를 하부오거에 탈착되게 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내부 비산방지장치를 외부 비산방지장치의 내외로 입출 가능하게 하여 V홈 승강롤러와 V돌기로 구성된 승강레일로 구성된 승강장치를 구성하여 오거스크류의 길이가 짧거나 긴경우에도 상관없이 사용 가능하게 하면서 점성이 강한 일부도 비산방지장치 내부에서 비산되거나 낙하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V홈으로 된 한쌍의 탈거방지롤러와, 탈거방지롤러의 한쌍의 롤러 사이에 위치되는 단면이 마름모 형상의 탈거방지레일로 구성된 탈거방지장치를 구성하여 외부 비산방지장치와 내부 비산방지장치가 서로 분리되지 아니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탈거방지레일의 끝단에 일체형으로 절곡 돌출되어 탈거방지장치의 탈거방지롤러가 더 진행하지 못하게 하는 스톱퍼를 구성하여 내부 비산방지장치가 외부 비산방지장치의 상하 방향으로 이탈되지 아니하게 한다.
본 발명은 내부 비산방지장치가 외부 비산방지장치의 내외로 입출 가능, 즉 비산방지장치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오거스크류의 길이가 짧거나 긴경우에도 상관없이 사용 가능하여 범용성이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비산방지장치가 외부 비산방지장치 외부에 위치되어 굴착되는 지반의 점성이 약한 부토 및 점성이 강한 일부 부토도 비산방지장치 내부에서 비산되거나 낙하되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하여 공사현장 주변의 청결성과 천공 작업의 안정성이 제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장치가 비산방지장치의 전면 및 양 측면의 상하 복수개로 구성되어 외부 비산방지장치에 대하여 내부 비산방지장치가 유연하게 승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장치가 V돌기의 승강레일에 V홈의 승강롤러가 맞물리는 구조로서 승강롤러가 승강레일에서 이탈되지 아니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거방지장치에 의해 외부 비산방지장치와 내부 비산방지장치가 서로 분리되지 아니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거방지장치의 탈거방지레일 끝단에 스톱퍼가 구성되어 내부 비산방지장치가 외부 비산방지장치의 외부로 이탈되지 아니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비산방지장치에 승강레일이 구성되고 외부 비산방지장치의 승강레일에 대응되는 승강롤러가 내부 비산방지장치에 구성되고, 외부 비산방지장치에 승강롤러가 구성되고 외부 비산방지장치의 승강롤러에 대응되는 승강레일이 내부 비산방지장치에 구성되어 외부 비산방지장치와 내부 비산방지장치가 서로 받혀주고 안내 작용을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레일이 다수의 가로프레임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가로프레임의 강도를 보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공사장에서 바람이 심하게 부는 경우에는 내부 비산방지장치를 적당하게 하강으로 부토 비산 방지장치의 전체 길이가 감소함으로써 안전한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본 발명의 내부 비산방지장치가 외부 비산방지장치 내에 있는 상태에서의 부토 비산 방지장치의 사용 상태 사진.
도 2: 본 발명의 내부 비산방지장치가 외부 비산방지장치 외부에 인출 상태에서의 부토 비산 방지장치의 사용 상태 사진.
도 3: 본 발명의 부토 비산 방지장치가 크레인 천공기에 설치된 상태도.
도 4: 본 발명의 부토 비산 방지장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 본 발명의 승강롤러가 내부 비산방지장치에 승강레일이 외부 비산방지장치에 구성된 상태도.
도 6: 본 발명의 승강롤러가 외부 비산방지장치에 승강레일이 내부 비산방지장치에 구성된 상태도.
도 7: 본 발명의 탈거롤러 상태도.
도 8: 본 발명의 스톱퍼 및 탈거방지레일 상태도.
일반적인 크레인(10) 천공기(11)의 오거스크류(12)라 함은 건축공사장의 기초공사를 위하여 지면에서부터 지하로 소정의 깊이만큼 천공하는 장치로서 상부 및 중간부에 각각의 모터가 설치된 상부오거(13) 및 하부오거(14)가 구성되고 모터의 작동에 따라 오거스크류(12)가 정회전 및 역회전하면서 지면에서부터 지하로 소정의 깊이만큼 천공하게 된다.
상기 모터의 정회전시에는 하부오거(14)가 하방향으로 진행되면서 오거스크류(12)가 정회전되어 지반을 관통하여 천공을 하게 되고 모터의 역회전시에는 오거스크류(12)가 역회전되면서 그 역회전되는 오거스크류(12)에 다량의 흙, 즉 부토가 부착되어 외부(대기)로 인출되게 되며, 그 외부로 인출된 부토는 지상으로부터 상당한 위치의 상부에 위치함으로서 바람에 날리거나 또는 자연적으로 털어지면서 공사현장의 주변으로 비산되게 된다.
상기 크레인(10) 천공기(11)의 크고 작음에 따라서 오거스크류(12)의 상단부에 상부오거(13) 및 중간부에 하부오거(14)가 설치되는 것과 오거스크류(12)의 상단부에 상부오거(13)만 설치되는 것과 오거스크류(12)의 중간부에 하부오거(14)만 설치되는 것이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과 비산방지막(123)으로 구성되는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와, 프레임과 비산방지막(113)으로 구성되고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내외부를 승강하는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와,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프레임에 연장되어 하부오거(14)에 탈착되는 연결부재(140)와, 내부 비산방지장치(110)가 외부 비산방지장치(120)로 입출 가능하게 하는 승강장치(150)와,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와 내부 비산방지장치(110)가 서로 분리되지 아니하는 탈거방지장치(160)와, 내부 비산방지장치(110)가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상하 방향으로 이탈되지 아니하는 스톱퍼(170)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 비산방지장치(120)는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외형을 형성하는 비산방지막(1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프레임은 ㄱ형강 또는 ㅁ형강으로 된 세로프레임(121)과 가로프레임(122)이 일정 간격으로 된 격자형상으로 구성되어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몸체를 형성하고,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비산방지막(123)은 직물 또는 합성수지로 되어 프레임의 외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가장자리를 끈으로 프레임의 외면에 둘러 결속, 즉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속되어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외면을 형성한다.
상기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프레임은 횡단면이 각진 반통형상으로 구성되고 종단 길이가 횡단 길이보다 크게 구성되고 프레임의 외부에 비산방지막(123)이 구성되어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전체 외형은 각진 반통형상, 즉 다각통을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통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 비산방지장치(110)는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내부에 포용되고,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내외부를 승강하고,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외형을 형성하는 비산방지막(113)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프레임은 ㄱ형강 또는 ㅁ형강으로 된 세로프레임(111)과 가로프레임(112)이 일정 간격으로 된 격자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몸체를 형성하고,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비산방지막(113)은 직물 또는 합성수지로 되어 프레임의 외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가장자리를 끈으로 프레임의 외면에 둘러 결속, 즉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속되어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외면을 형성한다.
상기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프레임은 횡단면이 각진 반통형상으로 구성되고 종단 길이가 횡단 길이보다 크게 구성되고 프레임의 외부에 비산방지막(113)이 구성되어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전체 외형은 각진 반통형상, 즉 다각통을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통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 비산방지장치(120) 및 내부 비산방지장치(110)는 전체 외형을 반원통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와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외형은 닮은 꼴 형상으로 구성되되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외형이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외형보다 작게 구성되어 내부 비산방지장치(110)는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내부에 위치되고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에 포용되어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내외부를 승강한다.
상기 연결부재(140)는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어느 하나의 프레임, 즉 세로프레임(121) 중에서 길이 방향으로 제일 가장자리의 세로프레임(121)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하부오거(14)의 외면에 볼트 등에 의해 탈착되는 판형 또는 각형으로 구성된다. 공사현장에서 내부 비산방지장치(110)가 연결부재(140)에 의해 하부오거(14)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오거(14)가 승강하게 되면 내부 비산방지장치(110)는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내외부에서 동시에 승강한다.
상기 오거스크류(12)의 길이는 크레인(10) 천공기(11)의 크기에 따라 길이도 다르게 되므로 부토 비산 방지장치(100)가 하나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길이가 짧은 부토 비산 방지장치(100)는 길이가 긴 오거스크류(12)에 사용하게 되면 오거스크류(12)의 역회전 시에 외부(대기)로 인출된 부토는 부토 비산 방지장치(100)의 외부 상부에 위치되어 바람에 날리거나 또는 자연적으로 닉하되면서 공사현장의 주변으로 비산되게 되고 길이가 긴 부토 비산 방지장치(100)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너무 짧은 오거스크류(12)에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본 발명은 내부 비산방지장치(110)가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내외로 입출 가능, 즉 부토 비산방지장치(10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오거스크류(12)의 길이가 짧거나 긴경우에도 상관없이 사용 가능, 즉 오거스크류(12)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내부 비산방지장치(110)가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에 포용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고 오거스크류(12)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내부 비산방지장치(110)가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 가능하므로 다양한 길이의 오거스크류(12)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비산방지장치(110)가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오거스크류(12)에 의해 인출된 점성이 약한 부토는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내부에 비산되고, 내부 비산방지장치(110)가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외부에 위치된 상태, 즉 내부 비산방지장치(110)가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상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오거스크류(12)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인출된 점성이 강한 부토도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내부로 낙하되어 지면에서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에 포집되게 되어 본 발명은 공사현장 주변의 청결성과 천공 작업의 안정성이 제고된다.
상기 건축공사장에서 바람이 심하게 부는 경우에는 길이가 긴 하나로된 비산방지장치는 바람에 흔들리게 되어 위험하게 되나 본 발명은 이때 내부 비산방지장치(110)를 작업에 지장이 없는 정도의 적당하게 하강시킴으로서 부토 비산 방지장치(100)의 전체 길이가 감소하게 되어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오거(14)에 내부 비산방지장치(110)가 연결 구성되고 오거스크류(12)가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므로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폭은 하부오거(14)의 수평 단면보다 약간 크게 구성되고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높이, 즉 내면에 가장장리 끝단까지의 길이는 건축공사장 설치 시 부토가 쉽게 배출되어 지반에 적재되고 오거스크류(12)의 회전축의 중심을 가릴 정도면 되고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길이는 건축공사장 설치 시 하부 오거(14)의 상부의 스크류의 일부만을 가릴 정도면 된다. 상기 외부 비산방지장치(120)가 내부 비산방지장치(110)를 포용하게 되므로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수평 단면의 크기는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횡단면보다 약간 크게 구성된다.
상기 승강장치(150)는 승강롤러(151)가 승강레일(152)에 미끄럼 회전되어 내부 비산방지장치(110)가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내외로 입출 가능하게 한다. 상기 승강장치(150)는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내면에 구성되는 승강롤러(151) 및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외면에 구성되는 승강레일(152)로 구성되거나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내면에 구성되는 승강레일(152) 및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외면에 구성되는 승강롤러(151)로 구성되거나 이들의 혼합, 즉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내면에 구성되는 승강롤러(151)와 승강레일(152)이 구성되고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외면에 구성되는 승강롤러(151)에 대응되는 승강레일(152) 및 승강레일(152)에 대응되는 승강롤러(151)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 비산방지장치(110)가 건축공사장에서 하부오거(14)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부오거(14)가 승강할 때, 즉 지반을 천공하기 위하여 하부오거(14)가 정회전하여 하강할 때 및 천공된 토사를 인출하기 위하여 하부오거(14)가 역회전하여 상승할 때 내부 비산방지장치(110)는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내외로 승강하게 되고 이때 승강롤러(151)가 승강레일(152)에 밀착되어 회전하게 되면서 승강레일(152)의 표면에서 미끄럼 승강하게 되고 승강롤러(151)에 의하여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승강이 유연하게 된다.
상기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에 구성된 승강레일(152)에 대응되는 승강롤러(151)가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에 구성되거나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에 구성된 승강롤러(151)에 대응되는 승강레일(152)이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에 구성되거나 이들의 혼합으로 구성되어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와 내부 비산방지장치(110)가 서로 받혀주고 안내 작용을 한다.
상기 승강레일(152)은 승강롤러(15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되어 다수의 가로프레임(112, 122)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므로 가로프레임(112, 122)의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상기 외부 비산방지장치(120) 및 내부 비산방지장치(110)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지장치에만 승강롤러(151)만 구성되거나 승강레일(152)만 구성되게 되면 승강레일(152) 만 구성된 방지장치의 가로프레임(112, 122)만 강도를 보강하게 되나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승강롤러(151)와 승강레일(152)이 혼합으로 구성되면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가로프레임(122) 뿐만 아니라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가로프레임(112)도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상기 승강롤러(151)는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세로프레임(121)의 내면에 돌출된 한쌍의 설치편에 설치하거나 별도로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이격된 가로프레임(122)을 일체형으로 연결한 승강롤러 설치바의 내면에 돌출된 한쌍의 설치편에 설치할 수 있고, 이에 대응되게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세로프레임(111)의 외면에 승강레일(152)을 설치하거나 별도로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이격된 가로프레임(112)을 일체형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승강롤러(151)는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세로프레임(111)의 외면에 돌출된 한쌍의 설치편에 설치하거나 별도로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이격된 가로프레임(112)을 일체형으로 연결한 승강롤러 설치바의 내면에 돌출된 한쌍의 설치편에 설치할 수 있고, 이에 대응되게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세로프레임(121)의 외면에 승강레일(152)을 설치하거나 별도로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이격된 가로프레임(122)을 일체형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이격된 가로프레임(112, 122)을 일체형으로 연결한 승강롤러 설치바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가로프레임(112, 122)의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상기 승강롤러(151)는 외주면이 V홈으로 구성되고, 승강레일(152)은 횡단면이 승강롤러(151)의 V홈에 대응되는 형상의 V돌기로 구성되고 V홈이 V돌기에 맞물리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롤러(151)의 V홈과 승강롤러(151)의 V돌기의 서로 대응되게 구성되어 V돌기의 표면과 V홈의 표면이 밀착되면서 서로 맞물리게 되어 결국 승강장치(150)는 V돌기의 승강레일(152)에 V홈의 승강롤러(151)가 맞물리는 구조되어 승강롤러(151)가 승강레일(152)에서 이탈되지 아니하게 되고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와 외부 비산방지장치(120)가 서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상기 승강장치(150)는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전면, 양 측면 및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전면, 양 측면 각각에 하나로 구성되거나 이격된 복수개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장치(150)가 복수개로 구성되면 하나로 구성되는 것보다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에 대하여 내부 비산방지장치(110)가 더 유연하게 승강되게 되고 승강장치(150)가 V돌기의 승강레일(152)에 V홈의 승강롤러(151)가 맞물리는 구조의 개수의 증가로 승강롤러(151)가 승강레일(152)에서 이탈 방지가 더욱 확실하게 된다.
상기 승강장치(150)는 승강롤러(151)와 승강레일(152)이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되므로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전면, 양 측면의 내면에 승강롤러(151)가 구성되면 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전면, 양 측면의 내면에 승강레일(152)이 구성되고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전면, 양 측면의 내면에 승강레일(152)이 구성되면 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전면, 양 측면의 내면에 승강롤러(151)가 구성되되 승강장치(150)가 내외부 비산방지장치(110, 120)의 전면, 양 측면의 각각에 하나로 구성되거나 이격된 복수개로 된다.
상기 탈거방지장치(160)는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에 연장된 롤러지지장치(161)와 롤러지지장치(161)에 상하 롤러로 구성된 탈거방지롤러(162)와 탈거방지롤러(162)에 맞물리는 탈거방지레일(163)로 구성된다. 상기 탈거방지롤러(162)가 상하의 한쌍의 롤러로 구성되고 한쌍의 이격된 롤러 사이에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연장된 탈거방지레일(163)이 위치되어 탈거방지롤러(162)가 탈거방지레일(163)을 물고 있는 형상으로 되어 탈거방지레일(163)의 외부로 이탈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탈거방지장치(160)는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와 내부 비산방지장치(110)가 서로 분리되지 아니하게 한다.
상기 롤러지지장치(161)는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가장자리 프레임의 내면 끝에서 연장된 수직 판형에 수직판형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수평판형으로 구성되어 수직판형의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측면과 평행하게 구성되고 수평판형의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전면과 평행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롤러지지장치(161)는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가장자리 프레임에서 L형상으로 연장된 판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탈거방지롤러(162)는 롤러지지장치(161)에 구성되는 롤러와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가장자리 프레임에 구성되는 마주 보는 롤러로 구성된다. 상기 탈거방지롤러(162)는 한쌍으로 구성되되 롤러지지장치(161)의 일면, 즉 상면에 구성되는 V홈 외주면으로 된 롤러와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가장자리 프레임의 저면에 구성되는 V홈 외주면으로 된 롤러로 구성된다.
상기 탈거방지레일(163)은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가장자리 프레임의 내면 끝에서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전면과 평행하게 일체형으로 연장 절곡되고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길이 방향으로 구성되면서 단면이 마름모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탈거방지레일(163)의 마름모 상하 꼭지점 각각에 탈거방지롤러(162)의 V홈이 맞물리는 구조로 구성, 즉 탈거방지레일(163)의 마름모 상측 꼭지점에는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가장자리 프레임의 저면에 구성되는 V홈 외주면으로 된 롤러가 위치되고 탈거방지레일(163)의 마름모 하측 꼭지점에는 롤러지지장치(161)의 상면에 구성되는 V홈 외주면으로 된 롤러가 위치되게 구성된다.
상기 승강롤러(151)가 승강레일(152)에 이탈되지 아니하여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와 외부 비산방지장치(120)가 서로 이탈이 되지 아니하나 승강롤러(151)의 표면이 V홈으로 되고 승강레일(152)의 표면이 V돌기로 되어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와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이탈를 방지하는데 어느 정도의 한계가 있으므로 탈거방지장치(160)는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와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이탈 및 분리를 확실하게 방지한다.
상기 탈거방지롤러(162) 및 탈거방지레일(163)의 설치 방향은 내부 비산방지장치(110) 및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양측면에 구성되는 승강롤러(151) 및 승강레일(152)의 설치 방향과 90°꺽인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탈거방지레일(163)이 탈거방지롤러(162)에 위치되면 탈거방지레일(163)은 탈거방지롤러(162)의 상하 롤러에 의해 탈거방지롤러(162)의 전후 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되고 이로 인하여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와 외부 비산방지장치(120)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탈 및 분리가 방지되고 탈거방지롤러(162)의 상하 롤러의 V홈에 의해 탈거방지롤러(162)의 좌우 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되고 이로 인하여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와 외부 비산방지장치(120)가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탈 및 분리가 방지된다.
상기 스톱퍼(170)는 탈거방지레일(163)의 끝단에 일체형으로 절곡 돌출된 판형으로 구성되어 탈거방지장치(160)의 탈거방지롤러(162)가 더 진행하지 못하게 구성된다. 상기 스톱퍼(170)는 탈거방지레일(163)의 끝단에 상하 방향, 즉 탈거방지레일(163)의 길이 방향으로 중심으로 하여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전면 방향과 후면 방향으로 돌출 구성된다.
상기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 구성된 스톱퍼(170)는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가장자리 프레임의 저면에 구성되는 V홈 외주면으로 된 롤러의 회전 중심보다 높게 구성되어 이 스톱퍼에 의하여 롤러가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후면 방향으로 돌출 구성된 스톱퍼(170)는 롤러지지장치(161)의 상면에 구성되는 V홈 외주면으로 된 롤러의 회전 중심보다 높게 구성되어 이 스톱퍼(170)에 의하여 롤러가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상하 방향의 스톱퍼(17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스톱퍼(170)만 구성되어도 내부 비산방지장치(110)가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상하 방향으로 이탈되지 아니하게 된다.
상기 비산 방지막(113, 123)은 직물 또는 합성수지로 되어 부토의 충격에 의해 파손 및 마모가 쉽게 되므로 배출되는 부토가 주로 부딪치는 비산 방지막(113, 123) 부분에 철판으로 된 비산방지 보강판(130)를 구성한다. 상기 비산방지 보강판(130)은 하부 오거(14)의 배출구와 이격되어 배출구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하측 내면 또는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하측 내면에 구성되거나 내외부 비산방장치(110, 120)의 하측 내면에 구성되고 프레임에 용접 또는 볼트로서 고정된다.
상기 비산방지 보강판(130)의 외면에는 비산 방지막(113, 123)이 구성, 즉 프레임에 비산방지 보강판(130)의 일면이 고정 구성되고 비산방지 보강판(130)의 타면에 비산방장치(110, 120)이 구성되어 외부 비산방지장치(120) 및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에서 비산방지 보강판(130)이 구성된 부분은 내부서 외부 방향으로 프레임, 비산방지 보강판(130), 비산 방지막(113, 123)이 순차적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 비산방지장치(120) 및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상단 및 하단에는 체인걸이부(180)가 돌출 구성되며, 부토 비산 방지장치(100)를 건축공사장에서 천공기(11)에 설치할 때 체인걸이부(180)에 와이어(190) 등을 걸어 부토 비산 방지장치(100)를 인양하여 하부 오거(14)측으로 이동시키면 작업자의 작업 수월성 및 안전성이 제고된다. 상기 부토 비산 방지장치(100)는 건축공사장에서는 천공 깊이 또는 토질의 상태에 따라 지반에서 1~3m의 높이로 띄우게 되는데 이때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체인걸이부(180)와 상부오거(13)을 와이어(190) 등으로 연결하여 와이어(190)의 당겨서 외부 비산방지장치(120)를 적당한 위치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체인걸이부(180)와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체인걸이부(180)를 연결하는 연결체인(미도시)이 별도로 구성된다. 상기 부토 비산 방지장치(100)를 이동시킬 때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체인걸이부(180)와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체인걸이부(180)에 연결체인(미도시)이 걸은 상태에서 연결체인을 당기게 되면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와 내부 비산방지장치(110)를 동시에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건축공사장에서 외부 비산방지장치(120)가 크레인(10)에 설치된 상태에서 내부 비산방지장치(110)를 필요 이상으로 상승시킬 필요가 없을 때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체인걸이부(180)와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체인걸이부(180)를 연결체인(미도시)을 적당한 길이로 하여 연결하게 되면 하부오거(14)의 상승에 의해 내부 비산방지장치(110)가 상승될 때 필요 이상으로 되면 연결체인(미도시)이 외부 비산방지장치(120)도 상승하게 되는 현상이 작업자가 확인하게 되어 이때 내부 비산방지장치(110)를 상승하지 않게 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부토 비산 방지장치(100)를 건축공사장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상기 부토 비산 방지장치(100)를 지반을 천공하고자 하는 크레인(10) 천공기(11)의 오거스크류(12) 부근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천공기(11) 상부 또는 상부오거(13)에 와이어(190)를 걸고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상단에 있는 체인걸이부(180)에 와이어(190)를 후크 끝단에 걸은 상태에서 와이어(190)의 길이를 줄이게 되면 와이어(190)가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를 유지되면서 부토 비산 방지장치(100)가 서면서 오거스크류(12)에 인접하게 된다.
상기 외부 비산방지장치(120)를 지반에서 적당한 높이로 띄운 상태에서 상하부오거(14)가 하방향으로 진행되면서 오거스크류(12)의 정회전으로 지반을 관통하여 천공을 하게 되고 필요한 깊이로 지반을 굴착한 후 오거스크류(12)를 역회전시켜 오거스크류(12)에 다량의 부토가 부착되어 외부(대기)로 인출되게 되며 점성이 약한 부토 또는 점성이 강한 일부 부토는 천공 외부로 배출 비산되면서 비산방지 보강판(130)에 충돌되어 부토 비산 방지장치(100)의 내부에 쌓이게 된다.
상기 하부오거(14)를 상승시키면 승강장치(150)의 승강레일(152)과 승강롤러(151)가 상대적인 미끄럼 및 회전하고 탈거방지레일(163)과 탈거방지롤러(162)가 상대적인 미끄럼 및 회전하면서 내부 비산방지장치(110)가 상승되어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상부로 인출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점성이 강한 나머지 부토는 오거스크류(12)에 얹혀져서 하부오거(14)보다 높은 상방향까지 운반, 즉 인출된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내에 운반되어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내부에서 오거스크류(12)의 회전 및 바람 등에 의해 하방향으로 낙하되어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에 쌓이게 된다.
상기 하부오거(14)의 상승으로 내부 비산방지장치(110)를 필요 이상으로 상승시키면, 즉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하단부가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상단부 외부로 인출되게 상승시키면 스톱퍼(170)가 탈거방지롤러(162)의 진행을 저지하게 되어 내부 비산방지장치(110)는 더 이상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의 외부로 인출되지 아니하게 되면서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의 일부가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에 내에 위치하게 되어 외부 비산방지장치(120)와 내부 비산방지장치(110)가 분리 및 이탈이 되지 아니한다.
상기 내부 비산방지장치(110)가 외부 비산방지장치(120) 내에서 승강할 때 탈거방지롤러(162)의 상하 롤러가 탈거방지레일(163)을 4면으로 감싼 상태에서 상대적인 미끄럼 및 회전하게 되어 4면에 의하여 내부 비산방지장치(110)와 외부 비산방지장치(120)가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탈 및 분리가 방지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으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고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변형 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고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크레인 11: 천공기
12: 오거스크류 13: 상부오거
14: 하부오거 100: 부토 비산 방지장치
110: 내부 비산방지장치 111, 121: 세로프레임
112, 122: 가로프레임 113, 123: 비산방지막
120: 외부 비산방지장치 130: 비산방지 보강판
140: 연결부재 150: 승강장치
151: 승강롤러 152: 승강레일
160: 탈거방지장치 161: 롤러지지장치
162: 탈거방지롤러 163: 탈거방지레일
17O: 스톱퍼 180: 체인걸이부
190: 와이어

Claims (7)

  1. 크레인 천공기의 하부오거에 고정 설치되는 크레인 천공기용 오거스크류의 부토 비산 방지장치에 있어서,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외형을 형성하는 비산방지막으로 구성되는 각진 반통형상의 외부 비산방지장치와;
    상기 외부 비산방지장치의 내부에 포용되고, 외부 비산방지장치의 내외부를 승강하고,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외형을 형성하는 비산방지막으로 구성되는 각진 반통형상의 내부 비산방지장치와;
    상기 외부 비산방지장치의 어느 하나의 프레임의 일측에 연장되어 하부오거에 탈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내부 비산방지장치가 외부 비산방지장치의 내외로 입출 가능하게 하는 승강장치와;
    상기 내부 비산방지장치의 가장자리 프레임의 내면 끝에서 L형상으로 연장된 판형으로 구성되는 롤러지지장치와, 롤러지지장치의 일면에 구성되는 V홈 외주면으로 된 롤러와 내부 비산방지장치의 가장자리 프레임의 저면에 구성되는 V홈 외주면으로 된 롤러로 구성된 탈거방지롤러와, 외부 비산방지장치의 가장자리 프레임의 내면 끝에서 연장 절곡되고 단면이 마름모 형상으로 구성되어 탈거방지롤러에 맞물리게 구성되는 탈거방지레일과, 탈거방지레일의 마름모 상하 꼭지점 각각에 탈거방지롤러의 V홈이 맞물리게 구성되어 외부 비산방지장치와 내부 비산방지장치가 서로 분리되지 아니하는 탈거방지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천공기용 오거스크류의 부토 비산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외부 비산방지장치의 내면에 구성되는 승강롤러 및 내부 비산방지장치의 외면에 구성되는 승강레일로 구성되거나 외부 비산방지장치의 내면에 구성되는 승강레일 및 내부 비산방지장치의 외면에 구성되는 승강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롤러가 승강레일에 미끄럼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천공기용 오거스크류의 부토 비산 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롤러는 외주면이 V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레일은 횡단면이 V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V홈이 V돌기에 맞물리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천공기용 오거스크류의 부토 비산 방지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거방지레일의 끝단에 일체형으로 절곡 돌출되어 탈거방지장치의 탈거방지롤러가 더 진행하지 못하게 하는 스톱퍼가 구성되어 내부 비산방지장치가 외부 비산방지장치의 상하 방향으로 이탈되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천공기용 오거스크류의 부토 비산 방지장치.
KR1020200169029A 2020-12-04 2020-12-04 크레인 천공기용 오거스크류의 부토 비산 방지장치 KR102250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029A KR102250569B1 (ko) 2020-12-04 2020-12-04 크레인 천공기용 오거스크류의 부토 비산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029A KR102250569B1 (ko) 2020-12-04 2020-12-04 크레인 천공기용 오거스크류의 부토 비산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0569B1 true KR102250569B1 (ko) 2021-05-10

Family

ID=75918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029A KR102250569B1 (ko) 2020-12-04 2020-12-04 크레인 천공기용 오거스크류의 부토 비산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05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037U (ja) * 1993-07-19 1995-02-10 博 小野寺 直線移動案内装置
JP2007177444A (ja) * 2005-12-27 2007-07-12 Kobelco Cranes Co Ltd 掘削機
KR20110062586A (ko) * 2009-12-03 2011-06-10 송훈 천공기용 소음방지장치
KR101937703B1 (ko) * 2018-07-16 2019-01-14 이진영 부토 비산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037U (ja) * 1993-07-19 1995-02-10 博 小野寺 直線移動案内装置
JP2007177444A (ja) * 2005-12-27 2007-07-12 Kobelco Cranes Co Ltd 掘削機
KR20110062586A (ko) * 2009-12-03 2011-06-10 송훈 천공기용 소음방지장치
KR101937703B1 (ko) * 2018-07-16 2019-01-14 이진영 부토 비산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398B1 (ko) 지하 흙막이 공법을 겸한 지하구조물 축조공법
KR102245741B1 (ko) 오거 스크류용 토사 제거장치
KR100664399B1 (ko) 수중지반용 심층교반장비의 승하강로드 서포트축의가이드장치
JP5351382B2 (ja) 立坑用足場の組立方法及び立坑用足場の撤去方法
JP6523064B2 (ja) パイプ式表層崩壊予防施設及びパイプ式表層崩壊予防施設の施工方法
EP2410093A1 (en) Drilling device for execution of diaphragm walls and method thereof
KR102250569B1 (ko) 크레인 천공기용 오거스크류의 부토 비산 방지장치
CN110258540B (zh) 一种钻孔灌注桩的施工方法
KR200495185Y1 (ko) 타공장치
CN109537584B (zh) 钢护筒与桩钢筋笼自动固定装置及其使用方法
JP6971170B2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991346B1 (ko)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KR102286266B1 (ko) 부토 비산 방지 장치
KR102300590B1 (ko) 절개면 보강장치 및 공법
CN115404880A (zh) 一种支护桩施工工艺
KR102217729B1 (ko) 지반천공 장비용 가림막 장치와 그 설치 및 해체 방법
CN113174968A (zh) 一种人工挖孔桩施工方法
CN208167718U (zh) 钻孔灌注桩的施工平台装置
CN112482361A (zh) 一种冲击钻灌注桩施工装置及其施工方法
KR101599381B1 (ko) 강관말뚝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3904588B1 (ja) 掘削土の揚土装置
JPH06316929A (ja) 場所打ち杭工法におけるスライム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CN114922557B (zh) 一种用于人工挖孔桩井下作业的防护装置及挖孔方法
KR200495184Y1 (ko) 매립장치
CN220866242U (zh) 一种路面平台高度可调式地埋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