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184Y1 - 매립장치 - Google Patents

매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184Y1
KR200495184Y1 KR2020200003000U KR20200003000U KR200495184Y1 KR 200495184 Y1 KR200495184 Y1 KR 200495184Y1 KR 2020200003000 U KR2020200003000 U KR 2020200003000U KR 20200003000 U KR20200003000 U KR 20200003000U KR 200495184 Y1 KR200495184 Y1 KR 2004951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embedding
unit
bar
bu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0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995U (ko
Inventor
문춘호
Original Assignee
문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춘호 filed Critical 문춘호
Priority to KR20202000030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184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9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9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1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1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21Stands, supports or guiding device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for securing them to the work
    • B25H1/0035Extensible supports, e.g.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6Liftable or lowerable drill heads or headstocks; Balanc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21Stands, supports or guiding device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for securing them to the work
    • B25H1/0042St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26/00Materials of tools or workpieces not comprising a metal
    • B23B2226/75Stone, rock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매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서 천장과 같이 높은 곳에 위치한 피매립물을 편리하게 타공한 후 앙카볼트와 같은 매립물을 매립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매립장치는, 지면을 따라 구름 이동되는 복수개의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매립물을 피매립물에 매립하는 매립기가 탑재되는 탑재부를 포함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를 피매립물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매립장치{PUNCHING APPARATUS}
본 고안은 매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서 천장과 같이 높은 곳에 위치한 피매립물을 용이하게 타공한 후 앙카볼트와 같은 매립물을 매립할 수 있는 매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간상 활용, 심미적인 이유, 천장에 트레이를 고정하는 전사, 볼트 등을 설치하기 위한 이유 등 다양한 이유에 의해 텍스(tex) 또는 일체형 판넬로 구성되는 실내의 천장에 타공을 하고, 타공된 구멍에 제품을 설치한다.
뿐만 아니라, 건물의 시공 또는 보수시 텍스가 설치된 천장에는 원 형상의 스피커, 전열 전등기구 및 스프링클러 등을 포함하는 각종 장치가 설치되며, 이러한 각종 장치는 천장에 관통설치되는 전사나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자동 리프팅 장치나 사다리가 반드시 필요하였다.
자동 리프팅 장치의 경우, 작업자를 용이하게 천장까지 상승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작업자가 높은 곳까지 올라가게 되기 때문에 낙하사고가 발생될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머리와 손을 들고 전동 드릴로 천장을 직접 타공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도 있다.
또한, 자동 리프팅 장치를 조작하는 조작자가 작업자와 천장 간의 간격을 정확하게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타공 작업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자동 리프팅 장치를 조작함에 있어 작업자의 손에 들려진 전동 드릴이 천장에 닿지 않을 정도로 조작할 경우 작업자를 보다 상승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고, 작업자를 과도하게 상승시킬 경우 작업자가 천장에 충돌하게 되는 안정상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편, 사다리의 경우 작업자가 자신의 신장에 맞는 위치까지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 천장을 타공하면 되지만, 작업자는 힘들게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야 하고, 그 이후 사다리에 불안하게 기댄 상태에서 머리와 팔을 들고 천장을 타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사다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낙하사고가 발생될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어느 한 구역에 대한 천공 작업이 완료될 경우, 작업자가 직접 사다리와 전동드릴을 다른 구역으로 옮겨야 하기 때문에 천장에 대한 타공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4198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지면에서 천장과 같이 높은 곳에 위치한 피매립물을 편리하게 타공한 후 앙카볼트와 같은 매립물을 매립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매립장치는, 지면을 따라 구름 이동되는 복수개의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매립물을 피매립물에 매립하는 매립기가 탑재되는 탑재부를 포함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를 피매립물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이 안착되며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이동수단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베이스판,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면에 안착 또는 기립되도록 힌지 결합되며, 상기 승강구동부가 결합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가 기립시 수용되는 포켓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수단을 각각 승강시켜 지면에 접촉시키는 제1 실린더, 상기 베이스판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바를 밀거나 당겨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2 실린더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해 승강되는 메인 승강바, 상기 메인 승강바를 따라 승강될 수 있으며, 상기 탑재부가 설치된 서브 승강바, 상기 서브 승강바가 메인 승강바와 연동하여 승강되도록 상기 메인 승강바와 서브 승강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메인 승강바의 내부공간에서 서브 승강바의 하측에 고정되는 연결부재, 상기 메인 승강바의 외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탑재부는 상기 매립기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피스톤 및 피매립물에 상기 매립물을 매립하기 위한 매립홀을 형성하는 타공기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피스톤을 갖는 공압실린더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이동피스톤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매립기 또는 타공기가 서로 교번되게 피매립물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매립기를 승강시키는 제1 부가 승강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매립기에 매립물을 공급하는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제1 이동피스톤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복수개의 매립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 일측벽에 고정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매립물을 케이스의 타측벽으로 미는 푸쉬판을 포함하는 푸쉬부, 상기 제2 부가 승강구동부에 의해 승강되는 회전구동부, 상기 푸쉬부와 매립기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이동피스톤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 부가 승강구동부,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해 케이스의 상측 또는 매립기의 상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2 부가 승강구동부에 의해 케이스 또는 매립기에 대해 승강되며, 에어 흡입을 통해 케이스 내의 매립물을 픽킹하고, 에어 배출에 의해 픽킹한 매립물을 매립기에 공급하는 흡착판을 포함하는 픽업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매립기는 제1 내부공간이 형성된 제1 포켓부, 상기 제1 포켓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매립물이 수용되는 제2 내부공간이 제1 내부공간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포켓부, 상기 매립물의 매립에 필요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건에 장착되며, 상기 제1 포켓부의 출구측을 폐쇄하는 폐쇄막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내부공간과 제2 내부공간에 공동으로 수용되며 에어건에 에어가 주입시 이동되어 제2 내부공간에 위치한 매립물을 타격할 수 있는 타격부, 상기 폐쇄막과 제1 포켓부의 내벽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타격부가 이동 시 팽창작용을 통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매립장치에 의하면, 지면에서 천장과 같이 높은 곳에 위치한 피매립물을 편리하게 타공한 다음 앙카와 같은 매립물을 매립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다리나 리프팅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에 적용된 메인 프레임과 고정바의 결합상태를 확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에 적용된 베이스판, 이동수단, 실린더의 결합상태를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에 적용된 승강부가 승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에 적용된 승강부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회전구동부의 작동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에 적용된 공급부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에 적용된 매립기와 에어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에 적용된 매립기와 에어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도 5의 타공장치에 적용된 제2 실린더가 고정바 및 승강구동부를 회동시킨 상태을 도시한 사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매립장치(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에 적용된 메인 프레임과 고정바의 결합상태를 확대한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10은 회전구동부의 작동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에 적용된 공급부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에 적용된 매립기와 에어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에 적용된 매립기와 에어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1)는, 사다리나 리트프 장치 등이 없어도 높은 곳에 위치한 피매립물에 매립물(90)을 용이하게 매립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때, 피매립물은 건축물의 내부에 마련된 천장물과 같은 대상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1)는, 본체부(10), 승강부(20), 승강구동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는 승강부(20) 및 승강구동부(30)가 탑재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본체부(10)는 메인프레임(11), 베이스판(12), 고정바(13), 포켓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11)은 사각틀(111), 사각틀(111)의 일측과 타측 저면에 기립된 형태로 결합되는 연결바(112)를 포함할 수 있다.
사각틀(111)에는 매립기(70) 및 후술되는 타공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1제어버튼(미도시) 및 후술되는 승강구동부(3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2제어버튼(미도시)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판(12)은 다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상면에 연결바(112)의 저면이 고정된다.
베이스판(12)의 저면 각 모서리 부분에는 이동수단(121)이 배치된다.
이동수단(121)은 지면을 따라 구름 이동되는 바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수단(121)은 본체부(10)의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측에 위치된 사각틀(111)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베이스판(12)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이동수단(121)을 각각 승강시켜 본체부(10)의 수평도를 유지하기 위한 실린더(40)가 설치된다.
베이스판(12)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실린더(40)의 피스톤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다.
실린더(40)는 피스톤이 하측을 향하도록 베이스판(12)의 상면에 고정된다.
실린더(40)의 피스톤은 이동수단(121)에 구비된 고정편(1211) 상면에 각각 결합된다.
고정편(1211)은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동수단(121)은 고정편(1211)의 내부공간에 축 고정된다.
그리고, 베이스판(12)에는 실린더(40)에 각각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탱크(미도시)가 설치된다.
즉, 실린더(40)가 4개로 적용되는 경우 유압공급탱크도 4개로 적용되며, 유압공급탱크가 실린더(40)에 개별적으로 유압을 공급하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메인프레임(11)에는 각각의 유압공급탱크를 제어하기 위한 4개의 제어버튼(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매립장치(1)가 위치한 지면이 경사진 구조일 경우 실린더(40)를 통해 본체부(1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립장치(1)가 위치한 지면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하향 경사진 구조일 경우, 우측에 위치한 2개의 실린더(40)에만 유압을 공급하여 피스톤을 하강시키면 베이스판(12)의 우측이 상승되며, 이로 인해 베이스판(12)이 수평을 이루게 된다.
고정바(13)의 외측면에는 승강구동부(30)가 고정된다.
고정바(13)는 상측에 위치된 사각틀(111)의 일측에 힌지(H)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약 90도 각도로 회동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베이스판(12)의 상면에는 고정바(13)를 밀거나 당겨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2 실린더(100)가 더 설치된다.
즉, 제2 실린더(100)의 피스톤이 전진 또는 후진됨에 따라 고정바(13)의 하측이 밀리거나 당겨져, 고정바(13)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제2 실린더(100)의 피스톤을 단계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켜 고정바(13), 타공기 및 매립기(9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타공물에 타공홀을 사선 형태로 천공한 후, 타공홀에 매립물(90)을 매립할 수 있다.
나아가, 고정바(13)는 하 방향으로 회동될 시 사각틀(111)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 방향으로 회동시에는 기립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1)를 차량, 엘리베이터 등에 적재하거나 층간 이동을 할 경우 고정바(13)와 승강구동부(30)를 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접으면 되고, 피매립물에 매립물(90)을 매립하는 작업을 수행할 시에는 고정바(13)와 승강구동부(30)를 상 방향으로 회동시켜 기립시키면 된다.
부가적으로, 고정바(13)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승강홀(13a)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승강부(20)의 승강을 가이드 한다.
포켓부(14)는 고정바(13)가 기립시 수용되는 것으로, 2개의 수직바를 사각틀(111)의 사이에 고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포켓부(14)는 고정바(13)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는 간격으로 이격된다.
이와 같은 경우 고정바(13)가 기립된 상태에서 피매립물에 매립물(90)을 매립하는 과정에서 자중에 의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을 포함하는 본체부(10)를 통해 타공기 및 매립기(70)를 필요한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켜 가면서 피매립물에 매립물(90)을 매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승강부(20)는 고정바(13)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매립기(70) 및 타공기가 탑재되는 탑재부(2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승강부(20)는 메인 승강바(21), 서브 승강바(22), 연결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승강바(21)는 고정바(13)의 승강홀(13a)에 수용된 상태에서 승강구동부(30)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이때, 메인 승강바(21)는 상측 일부분이 고정바(13)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메인 승강바(21)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승강홀(21a)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서브 승강바(22)의 승강을 가이드 한다.
서브 승강바(22)는 메인 승강바(21)의 승강홀(21a)에 수용되되, 상측 일부분은 메인 승강바(21)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서브 승강바(22)의 상면에는 매립기(70) 및 타공기가 탑재되는 탑재부(23)가 설치된다.
탑재부(23)는 로드레스 실린더 또는 리니어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탑재부(23)는 매립기(7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피스톤(231) 및 타공기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이동피스톤(23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이동피스톤(232)을 통해 타공기를 타공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피매립물을 타공하여 타공홀을 형성하면 되고, 이후 제1 이동피스톤(231)을 통해 매립기(70)를 타공홀로 이동시켜, 타공홀에 매립물(90)을 매립하면 된다.
이때, 타공기는 드릴과 같이 피매립물을 타공할 수 있는 제품일 수 있다.
그리고, 타공기는 선단에 장착된 드릴 비트(미도시)가 천장을 향하도록 제2 이동피스톤(232)에 탑재된다.
한편, 제1 이동피스톤(231)에는 매립기(70)에 다수개의 매립물(90)을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60)가 설치된다.
공급부(60)는 케이스(61), 푸쉬부(62), 회전구동부(63), 제2 부가 승강구동부(64), 픽업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61)는 저면에 제1 이동피스톤(231)의 상면에 고정되는 지지대(611)를 포함한다.
케이스(61)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복수개의 매립물(9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푸쉬부(62)는 케이스(61)의 수용공간 일측벽에 고정되는 스프링(621), 스프링(621)의 탄성력으로 매립물(90)을 밀어 끝부분에 위치한 케이스(61)의 타측벽에 밀착시키는 푸쉬판(622)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621)은 픽업부(65)가 매립물(90)을 하나씩 인출해 갈 때마다 점진적으로 팽창되어 시점 즉, 케이스(61)의 가장 우측에 위치한 매립물(90)부터 종점 즉, 케이스(61)의 가장 위치한 매립물(90)까지 케이스(61)의 타측벽에 순차적으로 밀착시킨다.
회전구동부(63)는 제2 부가 승강구동부(64)의 피스톤에 결합되어,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회전구동부(63)는 제2 부가 승강구동부(64)의 피스톤에 결합되는 하우징(631), 하우징(631)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하우징(631)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축(632)을 기준으로 제자리 회전될 수 있으며,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체(633), 회전체(633)의 상면 중앙에 고정되고 일부분이 하우징(631)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ㄱ'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브라켓(634), 회전체(633)를 180도 각도로 회전시키는 작동부(63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633)의 우측면과 좌측면에는 제1,2 수직홈이 형성되고, 전면과 후면에는 제1,2 사선홈이 형성된다.
제1 수직홈(633a)의 상측은 제1 사선홈(633c)의 상측과 연결되고, 제1 수직홈(633a)의 하측은 제2 사선홈(633d)의 하측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수직홈(633b)의 상측은 제2 사선홈(633d)의 상측과 연결되고, 제2 수직홈(633b)의 하측은 제1 사선홈(633c)의 하측과 연결된다.
작동부(635)는 하우징(631)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것으로, 측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중공이 형성된 사각블럭(6351), 사각블럭(6351)의 빈 공간 및 중공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바(6352), 승강바(6352)의 일측에 형성되고 사각블럭(6351)의 외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승강바(6352)와 함께 승강되며 일면에 제1,2 수직홈 및 제1,2 사선홈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편(6354)이 형성된 승강블럭(6353), 상측과 하측이 승강블럭(6353)의 저면과 사각블럭(6351)의 바닥면에 각각 고정되는 스프링(635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631)의 내부공간에는 승강바(6352)를 하강시키기 위한 실린더(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승강바(6352)와 승강블럭(6353) 및 승강편(6354)은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일률적으로 하강되며, 스프링(6355)은 승강블럭(6353)이 하강되면 압축되고 상승되면 팽창되면서 승강바(6352)와 승강블럭(6353)이 사각블럭(635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승강편(6354)은 하강 시 제1 사선홈(633c)을 따라 하강된 후 제2 수직홈(633b)을 따라 상승된다.
승강편(6354)이 제1 사선홈(633c)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하강되면 회전체(633) 및 브라켓(634)은 180도 각도만 회전된다.
또한, 승강편(6354)은 제1 사선홈(633c)의 하측에서 제2 수직홈(633b)을 따라 상승된 후, 제2 수직홈(633b)의 상측에서 제2 사선홈(633d)을 따라 하강된다.
승강편(6354)이 제2 사선홈(633d)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하강되면 회전체(633) 및 브라켓(634)이 180도 각도 더 회전된다.
제2 부가 승강구동부(64)는 푸쉬부(62)와 매립기(70)의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이동피스톤(231)의 상면에 고정된다.
제2 부가 승강구동부(64)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되어 회전구동부(63) 및 픽업부(65)를 일률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 시킨다.
픽업부(65)는 케이스(61) 내의 매립물(90)을 매립기(70)의 제2 포켓부(72)에 하나씩 픽업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픽업부(65)는 브라켓(634)에 고정되는 바디부(6511)를 갖는 흡착판(651), 흡착판(651)에 관통설치되는 흡입호스(6521)를 포함하는 에어흡입기(652)를 포함할 수 있다.
흡착판(651)은 회전구동부(63)에 의해 케이스(61)의 상측 또는 제2 포켓부(72)의 상측으로 이동되며, 제2 부가 승강동부에 의해 케이스(61) 또는 제2 포켓부(72)에 대해 승강될 수 있다.
에어흡입기(652)는 펌프 또는 에어흡입 기능을 갖는 공지의 제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가 승강 구동부(64)는 흡착판(651)이 케이스(61)의 상측으로 이동되면 하강시켜 종점에 위치된 매립물(90)의 상면에 접촉시키고, 에어흡입기(652)는 에어흡입 작동을 통해 매립물(90)을 흡착판(651)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제2 부가 승강구동부(64)는 흡착판(651)이 매립물(90)을 고정하면 다시 흡착판(651)을 상승시켜 매립물(90)이 케이스(61)의 상측으로 인출되도록 한다.
또한, 제2 부가 승강구동부(64)는 흡착판(651) 및 매립물(90)이 제2 포켓부(72)의 상측으로 이동되면 흡착판(651) 및 매립물(90)을 동시에 하강시켜 제2 포켓부(72)의 내부에 매립물(90)이 수용되도록 하며, 에어흡입기(652)는 작동이 정지되어 흡착판(651)이 매립물(90)을 고정하지 아니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부가 승강구동부(64)는 흡착판(651)을 상승시켜 매립물(90)이 제2 포켓부(72)에 공급되도록 한다.
매립기(70)는 이상 설명한 공급부(60)로부터 매립물(90)을 공급받아 피매립물에 매립하는 구성이다.
이때, 매립물(90)은 앙카볼트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앙카볼트는 중공을 포함하며, 일측 내주연에는 나선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절개편(91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매립본체(91), 매립본체(91)의 내부에 수용되고, 일부분이 절개편(911)들에 감싸여지는 핀(9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매립기(70)는 매립본체(91)를 타격하여 절개편(911)들을 벌려 피매립물에 매립할 수 있도록 제1 내부공간(71a)이 형성된 제1 포켓부(71), 제1 포켓부(71)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매립물(90)이 수용되는 제2 내부공간(72a)이 제1 내부공간(71a)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포켓부(72), 에어건(80)에 장착되며 제1 포켓부(71)의 외주연에 출구측을 폐쇄하는 폐쇄막(731)이 일체로 형성되고, 제1 내부공간(71a)과 제2 내부공간(72a)에 공동으로 수용되며 에어건(80)에 에어가 주입시 전진되어 제2 내부공간(72a)에 위치한 매립물(90)을 타격할 수 있는 타격부(73), 폐쇄막(731)과 제1 포켓부(71)의 내벽면 사이에 배치되고, 타격부(73)가 전진 시 압축되고 에어건(80)에 에어가 주입되지 않을 시에는 팽창작용을 통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7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포켓부(71)의 상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홀(71b)이 형성되고, 페쇄막(731)에는 관통홀(71b)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홀(731a)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볼트(B)가 관통홀(71b)을 관통하여 체결홀(731a)에 각각 체결된다.
따라서, 타격부(73)가 제1 포켓부(71) 상에서 이탈되지 아니하고 피매립물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그리고, 에어건(80)은 공지의 에어주입기(미도시)와 연결된다.
에어주입기는 에어건(80)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82)에 에어를 공급하여 타격부(73)를 상승시킨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부(73)는 에어건(80)의 상측에 외주연에 구비된 나선형 장착구(81)에 장착되는 나선형 장착수단(732)을 포함할 수 있다.
나선형 장착수단(732)은 저면과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측 내주연에 나선형 장착구(81)에 체결되는 나선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나선형 장착수단(732)의 상측에는 타격부(73)의 승강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제1 스토퍼(7321)와 제2 스토퍼(7322)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1 스토퍼(7321)는 타격부(73)의 하측에 형성된 걸림편(733)의 저면에 접촉되고, 제2 스토퍼(7322)는 걸림편(733)의 상측과 접촉되거나 또는, 소정간격 이격된다.
제1 스토퍼(7321)와 제2 스토퍼(7322)는 금속과 같이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에어건(80)의 통로(82)에 에어가 주입됨으로 인해 타격부(73)가 상승될 경우 일정수준으로 늘어나고, 에어건(80)의 통로(82)에 에어주입이 중단될 경우 걸림편(733)을 당겨 타격부(73)를 원위치 시킨다.
타격부(73)는 일부분이 나선형 장착수단(732)의 내부에 수용되며, 해당 부분이 에어건(80)과 마주한다.
타격부(73)의 외주연에는 나선형 장착수단(732)의 천장면에 접촉되는 원판 형상의 걸림턱(733)이 형성된다. 따라서, 타격부(73)는 나선형 장착수단(732)에서 이탈되지 아니하고 피매립물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타격부(73)는 상승 시 제2 포켓부(72)에 수용된 매립물(90)을 상 방향으로 타격하여 피매립물에 매립시킨다.
부가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매립장치(1)는 매립기(70) 또는 타공기가 서로 교번되게 피매립물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부가 승강구동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가 승강구동부(50)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가 승강구동부(50)는 제1 이동피스톤(231)의 상면에 설치된다.
제1 부가 승강구동부(50)의 피스톤은 매립기(70)에 결합된다.
따라서, 매립기(70)는 제1 부가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된다.
매립기(70)는 상승 될 시 상측 부분이 타공기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어 피매립물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매립기(70)가 하강 될 시 타공기의 상측 부분이 매립기(70) 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어 피매립물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승강부(20)를 통해 타공기로 피매립물을 타공한 후 매립기(70)로 타공홀에 매립물(90)을 매립할 수 있다.
연결부(24)는 서브 승강바(22)가 메인 승강바(21)와 연동하여 승강되도록 메인 승강바(21)와 서브 승강바(22)를 연결한다.
이를 위해 연결부(24)는 연결부재(241), 지지부재(24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241)는 하측이 고정바(13)의 상측 외면에 고정되고, 상측은 메인 승강바(21)의 상측 개구부를 통과하여 서브 승강바(22)의 하부 측면 또는 저면에 고정된다.
지지부재(242)는 연결부재(241)를 지지하면서 연결부재(24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성이다.
지지부재(242)는 메인 승강바(21)의 상측 외면에 축 고정된다.
따라서, 지지부재(242)는 연결부재(241)가 이동 시 제자리 회전되면서 지지한다.
이때, 연결부재(241)는 체인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지지부재(242)는 연결부재(241)에 대응되게 스프로켓 또는 드럼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구동부(30)는 승강부(20)를 피타공물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으로,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승강구동부(30)가 유압 실린더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승강구동부(30)는 고정바(13)의 측면에 고정되며, 피스톤은 메인 승강바(21)의 상측에 형성된 브라켓(211)에 결합된다.
그리고, 유압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 또는 회수하기 위한 유압공급탱크(31)는 베이스판(12)에 설치될 수 있다.
메인 승강바(21)가 고정바(13)의 승강홀(13a)에 수용되고, 서브 승강바(22)가 메인 승강바(21)의 승강홀(21a)에 수용됨으로, 승강구동부(30)는 메인 승강바(21)와 서브 승강바(22)를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승강시킨다.
다음으로, 도 5, 도 6 및 도 11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매립장치의 사용 예 및 특유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건축물의 천장에는 트레이와 같은 구조물을 설치하게 되며, 이를 위해 천장에 트레이가 지지 및 설치되는 전사, 파이프, 볼트 등을 설치할 복수개의 홀을 타공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매립장치(1)를 건축물의 천장면 중 홀을 타공할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1 이동피스톤(231)을 통해 타공기를 천장면의 타공할 위치로 이동시키면 된다.
이후, 제2제어버튼을 통해 피스톤을 상승시킨다.
도 5와 같이 피스톤(31)이 하강된 상태에서 상승되면 도 6과 같이 메인 승강바(21)가 고정바(13)의 승강홀(13a)을 따라 상승되며, 이와 동시에 연결부재(241) 및 지지부재(242)는 상호 작용에 의해 도르래 원리로 서브 승강바(22) 및 탑재부(23)에 탑재된 타공기를 상승시킨다.
이후에, 타공기가 천장면과 가까워 질 때쯤 제1제어버튼을 통해 타공기를 작동시키면 드릴비트가 천장면을 타공하게 된다.
이후, 제1 이동피스톤(231)을 통해 매립기(70)를 이동시켜 천장면에 형성된 타공홀의 하측에 제2 포켓부(72)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흡착판(651)은 회전구동부(63)에 의해 케이스(61)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본체부(10)에 마련된 제2 부가 승강구동부(64)용 제어버튼(미도시)을 조작하여 제2 부가 승강구동부(64)를 하강시키면 흡착판(651)이 종점(F)에 위치된 매립물(90)의 상면에 접촉된다.
이후, 본체부(10)에 마련된 에어흡입기(652)용 제어버튼(미도시)을 조작하여 흡입호스(6521)가 흡착판(651) 상의 에어를 흡입하도록 함으로써 흡착판(651)에 매립물(90)을 고정시킨 후, 제2 부가 승강구동부(64)를 통해 흡착판(651)을 상승시켜 매립물(90)을 케이스(61)의 상측으로 인출시킨다.
이후, 본체부(10)에 마련된 회전구동부(63)용 제어버튼(미도시)을 조작하여 브라켓(634) 및 픽업부(65)를 180도로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흡착판(651) 및 매립물(90)이 제2 포켓부(7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후에, 제2 부가 승강구동부(64)를 통해 흡착판(651)을 하강시켜 매립물(90)을 제2 포켓부(72)의 내부에 위치시킨 후, 에어흡입기(652)의 작동을 정지시켜 매립물(90)에 대한 흡착판(651)의 고정을 해제한 다음, 제2 부가 승강구동부(64)를 통해 픽업부(65)만 상승시킨다.
이후, 회전구동부(63)를 통해 브라켓(634) 및 픽업부(65)를 180도 각도로 회전시켜 픽업부(65)가 케이스(61)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후에, 본체부(10)에 마련된 제1 승강구동부(30)용 제어버튼(미도시)을 조작하여 매립기(70)를 상승시켜 제2 포켓부(72)의 매립물(90)이 천공홀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본체부(10)에 마련된 에어주입기용 제어버튼(미도시)을 통해 에어주입기로 에어건(80)의 내부에 에어를 반복적으로 주입, 정지시켜 타격부(73)가 매립본체(91)를 반복적으로 타격하도록 한다.
이때, 에어주입기는 에어건(80)의 내부에 1초 내지 3초 간격으로 에어를 주입한다.
그리고, 에어건(80)의 내부에 에어를 공급하면 타격부(73)가 상승되면서 매립본체(91)를 타격한다. 이때, 스프링(74)은 폐쇄막(731)과 제1 포켓부(71)의 천장면의 사이에서 압축되고, 볼트(B)도 상승하여 일부분이 제1 포켓부(71)의 상측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에어건(80)의 내부에 에어가 공급되지 아니하면 스프링(74)이 팽창되면서 폐쇄막(731)을 밀어 타격부(73)가 하강된다.
또한, 매립본체(91)는 타격부(73)에 타격될 때마다 타공홀을 따라 점진적으로 상승되며, 절개편(911)들은 핀(92)의 외면을 탄성적으로 감싸기 때문에 핀(92)도 함께 상승된다.
그리고, 핀(92)은 그 직경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핀(92)의 상측부분은 매립본체(91)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매립본체(91)는 핀(92)을 따라서도 점진적으로 상승되며, 이에 대응하여 절개편(911)들도 점진적으로 벌어진다. 벌려진 절개편(911)들은 천장면에 걸린다. 따라서, 매립물(90)이 천장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어느 한 부분에 대한 타공작업 및 매립물(90)의 매립작업이 완료되면 제2제어버튼을 통해 피스톤을 하강시킨 후, 매립장치(1)를 다음 타공 및 매립할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전술한 방식으로 천장면에 홀을 타공한 후 매립물(90)을 매립해 나가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매립장치(1)를 사용할 경우, 작업자가 천장면의 타공 및 매립물(90)을 매립할 위치 마다 사다리를 옮겨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으며, 작업자가 사다리를 오르내리는 번거로움과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으며, 작업자가 지상에서 매립장치(1)를 용이하게 옮겨가면서 천장면을 안전하게 타공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매립장치 10 : 본체부
11 : 메인프레임 111 : 사각틀
112 : 연결바 12 : 베이스판
121 : 이동수단 1211 : 고정편
13 : 고정바 13a,21a : 승강홀
14 : 포켓부 20 : 승강부
21 : 메인 승강바 211,634 : 브라켓
22 : 서브 승강바 23 : 탑재부
231 : 제1 이동피스톤 232 : 제2 이동피스톤
24 : 연결부 241 : 연결부재
242 : 지지부재 30 : 승강구동부
31 : 유압공급탱크 40 : 실린더
50 : 제1 부가 승강구동부 60 : 공급부
61 : 케이스 611 : 지지대
62 : 푸쉬부 621,6355,74 : 스프링
622 : 푸쉬판 63 : 회전구동부
631 : 하우징 632 : 축
633 : 회전체 633a : 제1 수직홈
633b : 제2 수직홈 633c : 제1 사선홈
633d : 제2 사선홈 635 : 작동부
6351 : 사각블럭 6352 : 승강바
6353 : 승강블럭 6354 : 승강편
64 : 제2 부가 승강구동부 65 : 픽업부
651 : 흡착판 6511 : 바디부
652 : 에어흡입기 6521 : 흡입호스
70 : 매립기 71 : 제1 포켓부
71a : 제1 내부공간 72 : 제2 포켓부
72a : 제2 내부공간 73 : 타격부
731 : 폐쇄막 732 : 나선형 장착수단
733 : 걸림턱 80 : 에어건
81 : 나선형 장착구 90 : 매립물
91 : 매립본체 911 : 절개편
92 : 핀

Claims (9)

  1. 지면을 따라 구름 이동되는 복수개의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매립물을 피매립물에 매립하는 매립기가 탑재되는 탑재부를 포함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를 피매립물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립기는,
    제1 내부공간이 형성된 제1 포켓부,
    상기 제1 포켓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매립물이 수용되는 제2 내부공간이 상기 제1 내부공간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포켓부,
    상기 매립물의 매립에 필요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건에 장착되며, 상기 제1 포켓부의 출구측을 폐쇄하는 폐쇄막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내부공간과 제2 내부공간에 공동으로 수용되며 에어건에 에어가 주입시 이동되어 제2 내부공간에 위치한 매립물을 타격할 수 있는 타격부,
    상기 폐쇄막과 제1 포켓부의 내벽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타격부가 이동 시 팽창작용을 통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매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이 안착되며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이동수단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베이스판,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면에 안착 또는 기립되도록 힌지 결합되며, 상기 승강구동부가 결합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가 기립시 수용되는 포켓부를 포함하는 매립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수단을 각각 승강시켜 지면에 접촉시키는 제1 실린더,
    상기 베이스판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바를 밀거나 당겨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2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매립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해 승강되는 메인 승강바,
    상기 메인 승강바를 따라 승강될 수 있으며, 상기 탑재부가 설치된 서브 승강바,
    상기 서브 승강바가 메인 승강바와 연동하여 승강되도록 상기 메인 승강바와 서브 승강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매립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메인 승강바의 내부공간에서 서브 승강바의 하측에 고정되는 연결부재,
    상기 메인 승강바의 외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매립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는 상기 매립기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피스톤 및 피매립물에 상기 매립물을 매립하기 위한 매립홀을 형성하는 타공기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피스톤을 갖는 공압실린더로 형성되는 매립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피스톤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매립기 또는 타공기가 서로 교번되게 피매립물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매립기를 승강시키는 제1 부가 승강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매립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기에 매립물을 공급하는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제1 이동피스톤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복수개의 매립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 일측벽에 고정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매립물을 케이스의 타측벽으로 미는 푸쉬판을 포함하는 푸쉬부,
    상기 제2 부가 승강구동부에 의해 승강되는 회전구동부,
    상기 푸쉬부와 매립기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이동피스톤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 부가 승강구동부,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해 케이스의 상측 또는 매립기의 상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2 부가 승강구동부에 의해 케이스 또는 매립기에 대해 승강되며, 에어 흡입을 통해 케이스 내의 매립물을 픽킹하고, 에어 배출에 의해 픽킹한 매립물을 매립기에 공급하는 흡착판을 포함하는 픽업부를 포함하는 매립장치.
  9. 삭제
KR2020200003000U 2020-08-14 2020-08-14 매립장치 KR2004951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000U KR200495184Y1 (ko) 2020-08-14 2020-08-14 매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000U KR200495184Y1 (ko) 2020-08-14 2020-08-14 매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995U KR20200001995U (ko) 2020-09-14
KR200495184Y1 true KR200495184Y1 (ko) 2022-03-24

Family

ID=72470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000U KR200495184Y1 (ko) 2020-08-14 2020-08-14 매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184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219B1 (ko) * 2020-01-07 2020-05-27 대명지이씨(주) 천정 시공 로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709B1 (ko) * 1995-08-30 1998-04-07 김태구 천정작업전용 드릴링 장치
KR20080089057A (ko) * 2007-03-31 2008-10-06 김한택 해머드릴의 승강장치
KR101381958B1 (ko) * 2012-07-23 2014-04-07 허광학 천정 앙카 드릴작업 장치
KR101884198B1 (ko) 2018-01-03 2018-08-02 주식회사 더울림 텍스용 타공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219B1 (ko) * 2020-01-07 2020-05-27 대명지이씨(주) 천정 시공 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995U (ko) 2020-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5185Y1 (ko) 타공장치
JP6467693B2 (ja) 掘削機取付用コアドリル装置
KR100704720B1 (ko) 가설대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설대 승강방법
CN112921966B (zh) 一种保证预制桩桩端进入持力层的装置及其施工方法
KR200495184Y1 (ko) 매립장치
US11124939B2 (en) Pile lifting apparatus and method
EA013628B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буровая установка с вертикальной опорой для труб
KR102014720B1 (ko) 골프티 승강장치
KR200423750Y1 (ko) 가설대 승강장치
KR20210022184A (ko) 천공기 스크류 흙 제거장치
JP5479943B2 (ja) ハンマーグラブ
KR102250569B1 (ko) 크레인 천공기용 오거스크류의 부토 비산 방지장치
KR20110019806A (ko)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
CN106150391B (zh) 一种具有钻杆跟随扶持功能的桩工机械
KR20120126704A (ko) 스크류파일 시공방법
KR101770959B1 (ko) 시추기의 시추로드와 케이싱 삽입장치
KR102417618B1 (ko) 지반 굴착 슬라임 배출장치
KR101558892B1 (ko) 지주 설치용 굴착장치
KR20200145195A (ko) 부토 비산 방지 장치
KR0121936Y1 (ko) 지반굴착기용 멀티해머드릴
CN112211638B (zh) 天井掘进用支护装置及天井掘进方法
JP2973187B2 (ja) 土中掘削用スクリューのふらつき防止具
JP4467329B2 (ja) 削孔工法
JP3898561B2 (ja) 立坑掘削機における移動足場装置
KR20050036084A (ko) 복합 굴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굴착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