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0253B1 - 필름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0253B1
KR102250253B1 KR1020190082832A KR20190082832A KR102250253B1 KR 102250253 B1 KR102250253 B1 KR 102250253B1 KR 1020190082832 A KR1020190082832 A KR 1020190082832A KR 20190082832 A KR20190082832 A KR 20190082832A KR 102250253 B1 KR102250253 B1 KR 102250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ower housing
conductive film
terminal
sea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6784A (ko
Inventor
임현태
Original Assignee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2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253B1/ko
Priority to JP2020075368A priority patent/JP7381394B2/ja
Publication of KR20210006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커넥터 장치는, 상방이 개방된 구조물로서, 하나의 전도성 필름이 안착되는 제1필름 안착부와, 다른 전도성 필름이 마주하도록 안착되는 제2필름 안착부를 구비한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의 개방된 부위를 덮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에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필름 안착부에 안착된 전도성 필름과, 상기 제2필름 안착부에 안착된 전도성 필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 단자;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필름 커넥터 장치{Film connecter apparatus}
본 발명은 필름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전도성 필름과 다른 전도성 필름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필름 커넥터 장치는 필름형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다. 필름형 전선은 얇고 가벼운 구조로 설계 가능하기 때문에 자동차 또는 전자부품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필름형 전선은 화학 약품 누출 감지 시스템에도 적용된다. 화학 약품 누출 감지 시스템은 화학 약품의 누수나 누액을 검출하는 시스템이다. 화학 약품 누출 감지 시스템은 건물 및 각종 산업 시설의 사고 발생을 감지하여, 사고 발생 위험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사고 위험 예방 및 확산 방지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에 대형 화학 약품 누출 사고가 발생하여 경제적, 사회적으로 큰 손실을 초래한 사례가 빈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 법규도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 미세한 양의 화학 물질을 검출하기 위해 필름형 전선이 적용된 필름형 센서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종래 화학 약품의 누액이나 누수 감지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필름형 누액 센서는 전도성 물질이 도포된 필름형 센서에 누액이나 누수가 발생할 경우 저항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 저항 변화를 감지하여 누액이나 누수를 검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의 필름형 누액 센서의 커넥터 장치의 일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05100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필름형 센서 사용 도중에 누액이 발생되어 손상된 부위를 절단하고 재사용하고 할 경우에 절단된 전도성 필름을 서로 연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길이가 짧은 다수의 전도성 필름을 서로 연결하여 더 긴 길이의 누액 센서 시스템을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전도성 필름과 다른 전도성 필름을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필름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름 커넥터 장치는, 상방이 개방된 구조물로서, 하나의 전도성 필름이 안착되는 제1필름 안착부와, 다른 전도성 필름이 마주하도록 안착되는 제2필름 안착부를 구비한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의 개방된 부위를 덮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에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필름 안착부에 안착된 전도성 필름과, 상기 제2필름 안착부에 안착된 전도성 필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 단자;를 포함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터미널 단자는 상기 전도성 필름에 가압 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탄성 변형 구조물을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미널 단자의 탄성 변형 구조물은 벨크로의 후크(hook)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단자의 탄성 변형 구조물은 벨크로의 루프(loop)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단자의 탄성 변형 구조물은 부직포 원단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단자의 탄성 변형 구조물은 펠트(Felt) 원단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단자의 탄성 변형 구조물은 코일 스프링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단자의 탄성 변형 구조물은 말굽(horse shoe) 형태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단자의 탄성 변형 구조물은 상기 전도성 필름과 면 접촉되는 스프링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홈부에 링 형태로 장착된 제1오링;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2홈부에 링 형태로 장착된 제2오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오링과 상기 제2오링은 서로 가압 접촉되도록 조립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은 "⊂" 형 단면을 가지는 프로파일 부재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호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파일 부재는 복수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하우징에는 복수의 조립 위치 안내용 가이드 핀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에는 상기 가이드 핀에 결합 되는 가이드 홈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필름 안착부와 상기 제2필름 안착부의 경계에 2개의 전도성 필름의 각 선단부를 마주하도록 지지하는 스토퍼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커넥터 장치는 하부 하우징에 하나의 전도성 필름이 제1필름 안착부에 안착되고, 다른 전도성 필름이 제2필름 안착부에 안착되고, 하부 하우징에 결합된 상부 하우징에 설치된 터미널 단자가 상기 제1필름 안착부에 안착된 전도성 필름과 제2필름 안착부에 안착된 전도성 필름을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짧은 길이의 전도성 필름을 쉽게 연결하여 긴 길이의 전도성 필름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이 상부 하우징에 설치된 터미널 단자가 전도성 필름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과정에서 상기 터미널 단자가 전도성 필름에 가압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탄성 변형 구조물을 포함하고 있어서 전도성 필름에 물리적인 손상을 주지 않으며 접촉 저항을 최소화시켜 전도성 필름의 기능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이 상부 하우징에 설치된 제1오링과 하부 하우징에 설치된 제2오링이 서로 가압 접촉되도록 조립되는 경우에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간 결합부위에서 누수 가능성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필름 터미널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름 터미널 단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Ⅲ - Ⅲ 선 단면도이다.
도 4는 가이드 핀과 가이드 홈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Ⅸ - Ⅸ 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필름 터미널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름 터미널 단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Ⅲ - Ⅲ 선 단면도이다. 도 4는 가이드 핀과 가이드 홈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Ⅸ - Ⅸ 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필름 커넥터 장치(10)는. 하부 하우징(20)과, 제1필름 안착부(22)와, 제2필름 안착부(24)와, 상부 하우징(30)과, 터미널 단자(40)와, 프로파일 부재(8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하우징(20)은 합성수지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하우징(20)은 투명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하우징(20)은 상방이 개방된 구조물이다. 상기 하부 하우징(20)에는 제1필름 안착부(22)와, 제2필름 안착부(24)와, 스토퍼(23)와, 가이드 핀(28)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 하우징(20)의 상면 플랜지에는 제1홈부(26)가 구비된다. 상기 제1홈부(26)는 상기 하부 하우징(20)의 플랜지를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된 오목한 홈부이다. 상기 제1홈부(26)에는 제1오링(60)이 장착된다. 상기 제1오링(60)의 종단면은 원형, 사각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오링(60)은 고무나 실리콘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오링(60)은 금형에 의해 상기 제1홈부(26)의 형상에 맞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필름 안착부(22)는 하나의 전도성 필름이 안착 되는 부위다. 상기 제1필름 안착부(22)의 바닥은 다수의 비드 구조가 형성되어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필름 안착부(24)는 다른 전도성 필름이 상기 제1필름 안착부(22)에 안착된 전도성 필름과 마주하도록 안착되는 부위다. 상기 제2필름 안착부(24)의 바닥에도 다수의 비드 구조가 형성되어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필름 안착부(22)와 상기 제2필름 안착부(24)의 경계에는 스토퍼(23)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23)는 상기 제1필름 안착부(24)와 상기 제2필름 안착부(24)에 안착되는 2개의 전도성 필름(100)의 각 선단부가 지지되도록 바닥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구조물이다. 상기 스토퍼(23)는 전도성 필름(10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30)은 상기 하부 하우징(20)의 개방된 부위를 덮도록 구성된 구조물이다. 상기 상부 하우징(30)은 상기 하부 하우징(20)과 프로파일 부재(80)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30)과 상기 하부 하우징(20)의 결합 위치를 작업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구조물이 구비된다. 먼저, 상기 하부 하우징(20)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가이드 핀(28)이 복수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핀(28)은 작업자에게 상부 하우징(30)의 조립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30)에는 상기 가이드 핀(28)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 홈(32)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핀(28)과 상기 가이드 홈(32)이 서로 결합 됨으로써 상기 하부 하우징(20)과 상기 상부 하우징(30)은 가 조립된 상태가 된다.
상기 프로파일 부재(80)는 상기 하부 하우징(20)과 상기 하부 하우징(20)을 쉽고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프로파일 부재(80)는 단면이 "⊂"인 형상을 직선으로 연장시킨 형태의 구조물이다.
상기 프로파일 부재(80)는 상기 하부 하우징(20)의 하면과 상기 상부 하우징(30)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슬라이딩 결합 된다. 상기 프로파일 부재(80)는 복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 부재(80)는 상부 하우징(30)과 하부 하우징(20)에 슬라이딩 결합 및 분리될 수 있으므로 조립과 분해가 쉬운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프로파일 부재(80)는 상기 상부 하우징(30)과 상기 하부 하우징(20)을 상호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 하부 하우징(20)의 상면 플랜지에는 제1홈부(26)가 구비된다. 상기 제1홈부(26)는 상기 하부 하우징(20)의 플랜지를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된 오목한 홈부이다. 상기 제1홈부(26)에는 제1오링(60)이 장착된다. 상기 제1오링(60)의 종단면은 원형, 사각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오링(60)은 고무나 실리콘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오링(60)은 금형에 의해 상기 제1홈부(26)의 형상에 맞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30)은 상기 하부 하우징(20)의 개방된 부위를 덮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20)에 결합 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30)의 하면 플랜지에는 제2홈부(34)가 구비된다. 상기 제2홈부(34)는 상기 상부 하우징(30)의 하면 플랜지를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홈부(26)에는 제2오링(70)이 장착된다.
상기 제1오링(60)과 상기 제2오링(70)은 서로 가압 접촉되도록 조립된다. 즉, 상기 상부 하우징(30)과 상기 하부 하우징(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오링(60)과 상기 제2오링(70)은 서로 가압 접촉되도록 조립됨으로써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터미널 단자(40)는 상기 상부 하우징(30)의 내부에 설치된다. 예컨대, 상기 터미널 단자(40)는 상기 상부 하우징(30)에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단자(40)는, 상기 제1필름 안착부(22)에 안착된 전도성 필름과, 상기 제2필름 안착부(24)에 안착된 전도성 필름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터미널 단자(40)는 일종의 브리지(bridge) 형태의 구조물을 형성한다. 상기 터미널 단자(40)는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은(Ag)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단자(40)는 전도성 필름(100)에 가압 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탄성 변형 구조물(42)을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변형 구조물(42)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은(Ag)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변형 구조물(42)은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의 후크(hook)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 구조물은 접착을 위한 벨크로 후크의 중간 부위가 절단된 구조물과 달리 절단되지 않는 후크 구조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변형 구조물(42)은 상기 전도성 필름(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과정에서 가압 되어 탄성 변형이 일어나므로 상기 전도성 필름(100)의 표면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도성 필름(100)의 접촉 저항이 증가하지 않으므로 상기 전도성 필름(100)의 기능이 저하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5 내지 도 8에는 제2, 제3, 제4, 제5실시 예에 따른 탄성 변형 구조물(42)의 구조가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상기 탄성 변형 구조물(4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 루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벨크로 루프 구조물은 벨크로 후크 구조물에 비하여 전도성 필름(100)의 표면 손상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 변형 구조물(42)은 벨크로 루프 구조 이외에도, 부직포, 펠트(Felt) 원단 구조로 구성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 변형 구조물(42)이 무질서한 미세한 필라멘트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변형 구조물(4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변형 구조물(4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굽(horse shoe) 형태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변형 구조물(42)은 상기 전도성 필름(100)과 면 접촉되는 스프링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8에는 굽힘 탄성 변형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막대 형상의 스프링 구조물이 예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한 필름 커넥터 장치(10)를 사용하여 2개의 전도성 필름(100)을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부 하우징(30)과 하부 하우징(20)은 분리된 상태에서 서술을 시작한다. 상기 하부 하우징(20)의 제1필름 안착부(22)에 하나의 전도성 필름을 안착시킨다. 하나의 전도성 필름(100)의 일단부가 제1필름 안착부(22)와 제2필름 안착부(24)의 경계에 구비된 스토퍼(23)에 걸릴 때까지 전도성 필름(100)을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제 상기 하부 하우징(20)의 제2필름 안착부(24)에 다른 전도성 필름(100)을 안착시킨다. 다른 전도성 필름(100)의 일단부가 제1필름 안착부(22)와 제2필름 안착부(24)에 구비된 스토퍼(23)에 걸릴 때까지 전도성 필름(100)을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상기 상부 하우징(30)을 상기 하부 하우징(20)에 가 조립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하우징(20)에 구비된 가이드 핀(28)에 상부 하우징(30)에 구비된 가이드 홈(32)이 결합되도록 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30)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 단자(40)는 가압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2개의 전도성 필름(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터미널 단자(40)의 탄성 변형 구조물(42)이 탄성 변형됨으로써 연결되는 2개의 전도성 필름(100)의 표면은 거의 손상을 입지 않는다. 이에 따라 터미널 단자(40)와 접촉되는 전도성 필름(100) 부분의 접촉 저항이 증가하지 않아 양호한 통전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2개의 전도성 필름(100)은 하나의 연속된 전도성 필름과 동일한 성질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30)과 상기 하부 하우징(20)이 상호 결합 되는 과정에서 제1오링(60)과 제2오링(70)이 서로 접촉된 상태로 가압 되므로 상부 하우징(30)과 하부 하우징(20) 사이의 밀봉성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한, 제1오링(60)과 제2오링(70)이 제1필름 안착부(22)와 제2필름 안착부(24)에 안착된 전도성 필름(100)의 상하면을 밀착된 상태로 지지하므로 전도성 필름(100)의 표면을 통해 필름 커넥터 장치(10) 내부로 액체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30)과 상기 하부 하우징(20)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서로 견고하게 고정하는 프로파일 부재(80)는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커넥터 장치는 하부 하우징에 하나의 전도성 필름이 제1필름 안착부에 안착되고, 다른 전도성 필름이 제2필름 안착부에 안착되고, 하부 하우징에 결합된 상부 하우징에 설치된 터미널 단자가 상기 제1필름 안착부에 안착된 전도성 필름과 제2필름 안착부에 안착된 전도성 필름을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짧은 길이의 전도성 필름을 쉽게 연결하여 긴 길이의 전도성 필름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이 상부 하우징에 설치된 터미널 단자가 전도성 필름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과정에서 상기 터미널 단자가 전도성 필름에 가압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탄성 변형 구조물을 포함하고 있어서 전도성 필름에 물리적인 손상을 주지 않으며 접촉 저항을 최소화시켜 전도성 필름의 기능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이 상부 하우징에 설치된 제1오링과 하부 하우징에 설치된 제2오링이 서로 가압 접촉되도록 조립되는 경우에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간 결합부위에서 누수 가능성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러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10 : 필름 커넥터 장치
20 : 하부 하우징
22 : 제1필름 안착부
23 : 스토퍼
24 : 제2필름 안착부
26 : 제1홈부
28 : 가이드 핀
30 : 상부 하우징
32 : 가이드 홈
34 : 제2홈부
40 : 터미널 단자
42 : 탄성 변형 구조물
60 : 제1오링
70 : 제2오링
80 : 프로파일 부재
100 : 전도성 필름

Claims (14)

  1. 상방이 개방된 구조물로서, 하나의 전도성 필름이 안착되는 제1필름 안착부와, 다른 전도성 필름이 마주하도록 안착되는 제2필름 안착부를 구비한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의 개방된 부위를 덮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에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필름 안착부에 안착된 전도성 필름과, 상기 제2필름 안착부에 안착된 전도성 필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 단자는 상기 전도성 필름에 가압 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탄성 변형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 단자의 탄성 변형 구조물은 벨크로의 루프(loop) 구조 또는 부직포 원단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커넥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홈부에 링 형태로 장착된 제1오링;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2홈부에 링 형태로 장착된 제2오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오링과 상기 제2오링은 서로 가압 접촉되도록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커넥터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은 "⊂" 형 단면을 가지는 프로파일 부재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호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커넥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부재는 복수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커넥터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에는 복수의 조립 위치 안내용 가이드 핀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에는 상기 가이드 핀에 결합 되는 가이드 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커넥터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 안착부와 상기 제2필름 안착부의 경계에 2개의 전도성 필름의 각 선단부를 마주하도록 지지하는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커넥터 장치.
KR1020190082832A 2019-07-09 2019-07-09 필름 커넥터 장치 KR102250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832A KR102250253B1 (ko) 2019-07-09 2019-07-09 필름 커넥터 장치
JP2020075368A JP7381394B2 (ja) 2019-07-09 2020-04-21 フィルムコネクタ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832A KR102250253B1 (ko) 2019-07-09 2019-07-09 필름 커넥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784A KR20210006784A (ko) 2021-01-19
KR102250253B1 true KR102250253B1 (ko) 2021-05-10

Family

ID=74227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832A KR102250253B1 (ko) 2019-07-09 2019-07-09 필름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381394B2 (ko)
KR (1) KR1022502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51327A (ja) * 2005-06-15 2006-12-28 Alps Electric Co Ltd 部材間の接続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前記部材間の接続構造を備えた電子機器
KR101500518B1 (ko) * 2013-10-29 2015-03-12 (주)유민에쓰티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
KR101905100B1 (ko) * 2016-12-08 2018-10-08 성백명 센서 연결용 커넥터
US20190036246A1 (en) * 2017-07-26 2019-01-31 Brewer Science, Inc. Environmentally sealed, reusable connector for printed flexible electronic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7720Y2 (ja) * 1991-10-01 1997-12-17 住友電装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JP2011060545A (ja) 2009-09-09 2011-03-24 Yazaki Corp コネクタ
KR101847359B1 (ko) 2017-12-27 2018-04-10 (주)이산 하이텍 필름형 누설감지 센서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51327A (ja) * 2005-06-15 2006-12-28 Alps Electric Co Ltd 部材間の接続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前記部材間の接続構造を備えた電子機器
KR101500518B1 (ko) * 2013-10-29 2015-03-12 (주)유민에쓰티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
KR101905100B1 (ko) * 2016-12-08 2018-10-08 성백명 센서 연결용 커넥터
US20190036246A1 (en) * 2017-07-26 2019-01-31 Brewer Science, Inc. Environmentally sealed, reusable connector for printed flexible electron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12868A (ja) 2021-02-04
JP7381394B2 (ja) 2023-11-15
KR20210006784A (ko)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4585B2 (en) Proximity sensor
CN107014557B (zh) 物理量测定装置
KR102250253B1 (ko) 필름 커넥터 장치
KR101830005B1 (ko) 누액 감지 센서
KR101623537B1 (ko) 누액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누액감지시스템
KR101776006B1 (ko) 배관 부착형 누설 감지 센서
JP2006235362A (ja) 光ファイバ曲げ受光ヘッド
KR101806762B1 (ko) 벽면취부형 누액 감지 센서
KR102204446B1 (ko) 커넥터의 고정장치
CN110274640B (zh) 电磁流量计
KR102248899B1 (ko) 필름 커넥터 장치 및 그 필름 커넥터 장치를 포함한 화학 물질 누출 감지 센서 시스템
KR101830026B1 (ko) 플렉시블 막대형 누액 감지 센서
US9166311B2 (en) Fixing bracket for fixing a signal connector to a printed circuit board
KR102605523B1 (ko) 누설 센서 케이스
US9954347B1 (en) Wire harness assembly and seal retainer therefore
JP6608334B2 (ja) 物理量測定装置
KR20200100808A (ko)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ATE377205T1 (de) Federklammer
JP2019102212A (ja) コネクタ支持体
CN113514189A (zh) 一种用于油液的压力温度传感器
CN111033208A (zh) 具有灵敏度可调功能的液体泄漏检测传感器
KR101594891B1 (ko) 누액 감지 센서
KR101538504B1 (ko) 거리 검출형 누설 감지 센서
KR102040640B1 (ko) 누액 감지센서
KR101395851B1 (ko) 플랜지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