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100B1 - 센서 연결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센서 연결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100B1
KR101905100B1 KR1020160166539A KR20160166539A KR101905100B1 KR 101905100 B1 KR101905100 B1 KR 101905100B1 KR 1020160166539 A KR1020160166539 A KR 1020160166539A KR 20160166539 A KR20160166539 A KR 20160166539A KR 101905100 B1 KR101905100 B1 KR 101905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ensor
lower plate
groove
g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5531A (ko
Inventor
성백명
Original Assignee
성백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백명 filed Critical 성백명
Priority to KR1020160166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100B1/ko
Publication of KR20180065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6Fastening of connecting parts to base or case; Insulating connecting parts from base or c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름형 누설 센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센서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된 목적은, 가스켓 구조에 의해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쇼트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한 센서 연결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센서 연결용 커넥터는
내측에 한 쌍의 커넥터 핀을 수용하기 위한 홈부가 나란히 형성되고, 홈부의 둘레로는 전도성 필름으로 된 센서가 수용되는 벽체부가 형성되며, 후방부위에는 케이블을 수용한 몰드의 하측이 끼워지는 몰드 삽입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가장자리 테두리부의 상부면에는 오링이 끼워져 장착되고, 복수의 체결부가 형성된 하판;
하부면에 상기 홈부와 대응된 위치에서 나란히 커넥터 핀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며, 가장자리 테두리 부위가 상기 하판의 테두리부에 얹혀져 방수가 이루어짐과 아울러 전방부위에 센서가 도입되는 도입홈이 형성된 상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판의 벽체부의 외측 둘레로는 벽체부보다 높게 가스켓이 구비된다.

Description

센서 연결용 커넥터{Connector for connecting sens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름형 누설 센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센서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누설되는 용액을 감지하기 위하여 필름 재질로 된 테이프 형태의 누설감지센서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누설감지센서는 필름 형태의 베이스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도전라인이 길게 형성된 구조이다.
이러한 누설감지센서를 원격의 경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커넥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등록특허 제10-1070693호에서는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를 제안하였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도성 연결용 커넥터의 구조를 보인 도로서, 본체(100)의 상부면은 덮개 체결홈(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 체결홈(110)은 본체(100)의 전면이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덮개 체결홈(110)의 바닥면에는 전도성 필름(300)의 일측이 수용되어 안착되기 위한 필름 삽입홈(120)이 형성되며, 필름 삽입홈(120)도 덮개 체결홈(110)과 마찬가지로 본체(100)의 전면이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필름 삽입홈(120)의 바닥면에는 덮개(200)에 구비된 핀(211)이 삽입되기 위한 핀홈(121)이 핀(211)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덮개 체결홈(110)의 필름 삽입홈(120)이 형성된 이외의 위치에는 덮개(200)의 접촉돌기(2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접촉단자(111)가 형성되며, 이러한 접촉단자(111)는 본체(100)의 내부를 통해 본체(100)의 후면에 형성된 케이블(130)과 연결된다.
덮개 체결홈(110)의 바닥에는 덮개(200)가 덮였을 때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되기 의한 볼트 체결공(112)이 형성된다.
덮개(200)의 하부면에는 핀홈(121)에 삽입되기 위한 핀(211)이 형성되는데. 이때 핀(211)은 전도판(210)과 일체로 형성되고, 그 전도판(210)은 전도성 필름(300)에 형성된 채널(310)의 수에 따라 그와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각 전도판(210)의 일측에는 본체(100)의 접촉단자(111)와 접촉되기 위한 접촉돌기(2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덮개(200)의 가장자리로는 볼트 체결공(213)이 형성되어 있다.
전도성 필름(300)은 리크센서 테이프나 FPCB, 면상 발열체 등이 될 수 있으며, 전원이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310)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100)의 필름 삽입홈(120)에 전도성 필름(300)이 수용된 상태에서, 덮개(200)가 덮개 체결홈(110)에 덮혀짐으로 인해 전도판(210)에 형성된 핀(211)이 전도성 필름(300)의 채널(310)부위를 관통하여 핀(211)의 단부의 일부가 핀홈(121)에 수용된다.
핀(211)이 채널(310)부위를 관통하면서 채널(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러한 연결상태는 전도판(210)-접촉돌기(212)-접촉단자(111)를 통해 케이블(130)과 연결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는 방수 구조가 아니므로, 옥외에 설치할 때 비 또는 눈 등이 핀(211)으로 유입되면, 그 빗물에 의해 이웃하는 핀(2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쇼트가 발생하므로 오동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된 목적은, 가스켓 구조에 의해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쇼트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한 센서 연결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센서 연결용 커넥터는
내측에 한 쌍의 커넥터 핀을 수용하기 위한 홈부가 나란히 형성되고, 홈부의 둘레로는 전도성 필름으로 된 센서가 수용되는 벽체부가 형성되며, 후방부위에는 케이블을 수용한 몰드의 하측이 끼워지는 몰드 삽입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가장자리 테두리부의 상부면에는 오링이 끼워져 장착되고, 복수의 체결부가 형성된 하판;
하부면에 상기 홈부와 대응된 위치에서 나란히 커넥터 핀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며, 가장자리 테두리 부위가 상기 하판의 테두리부에 얹혀져 방수가 이루어짐과 아울러 전방부위에 센서가 도입되는 도입홈이 형성된 상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판의 벽체부의 외측 둘레로는 가스켓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연결용 커넥터에 의하면, 방수가 완벽히 이루어지므로, 옥외에 설치시 빗물에 의한 쇼트의 염려가 없게 되어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의 커넥터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 연결용 커넥터의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센서가 연결된 상태의 단면도.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 연결용 커넥터의 구조를 보인 도로서, 하판(100)과 상판(200)으로 구성되는데, 하판(100)에는 상판(200)에 구비된 한 쌍의 커넥터 핀(210,211)의 하측을 수용하기 위한 홈부(130,131)가 나란히 형성되고, 그 홈부(130,131)의 주변부위로는 벽체부(140)가 형성된다.
이러한 벽체부(140)는 하판(100)의 전방부 내측으로부터 홈부(130,131)를 둘러싸면서 형성되며, 벽체부(140)의 외측을 따라서는 가스켓(150)이 끼워지게 된다.
가스켓(150)의 폭은 바람직하게 센서(300)의 폭과 동일하여야 하며, 홈부(130,131)의 위치도 도전라인(310,311)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도3에서와 같이 가스켓(150)의 전방부위는 하판(100)의 전방부위 테두리부(110)에 얹혀지게 되며, 벽체부(140)와 가스켓(150)은 도면에서는 사각의 형태로 도시하였지만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다만 가스켓(150)의 전방부위는 하판(100)의 테두리부(110)의 전방부위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져야 한다.
가스켓(150)은 화학용액에 강하면서 탄성을 가지는 불소 고무를 사용하게 된다.
하판(100)의 내측부위에는 가장자리부위를 따라서 볼트 체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부(160)가 구비되고, 후방부위에는 케이블(400)을 내삽시킨 몰드(500)의 하측이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몰드 삽입공(170)이 형성되며, 외부 양측으로는 볼트에 의해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120)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하판(100)의 테두리부(110)의 상부면에는 오링(111)을 끼우기 위한 오링홈(112)이 형성되는데, 이때 오링홈(111)은 오링(111)의 상측부위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그 단면이 반원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상판(200)은 상기 하판(100)의 상측으로 덮혀져 기밀시키는 구조로서, 하판(100)의 체결부(160)와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230)이 형성되고, 상판(200)의 가장자리부위가 상기 하판(100)의 테두리 부위의 상부면으로 놓여져서 체결부(160)와 체결공(230)이 볼트에 의해 체결될 때 오링(111)을 가압하여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판(200)의 내측 상부면에는 상기 홈부(130,131)와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커넥터 핀(210,211)이 고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커넥터 핀(210,211)은 한 쌍의 도전라인(310,311)이 나란히 형성된 전도성 필름으로 된 센서(300)의 도전라인(310,311) 부위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후방부위에는 하판(100)의 몰드 삽입공(170)과 대응되도록 몰드 삽입공(220)이 형성되어 있어서 몰드(500)의 상측이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각 커넥터 핀(210,211)은 독립적으로 케이블(400)과 연결되며, 그 케이블(400)을 내삽시켜 일체로 사출된 몰드(500)가 몰드 삽입공(170,220)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판(200)의 전방부위에는 가스켓(150)의 전방부위와 대응되는 위치에 센서(300)을 내측으로 도입시키기 위한 도입홈(2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도입홈(201)의 높이는 가스켓(150)의 전방부위를 내측으로 꼭 맞게 삽입시킬 수 있는 크기와 형태를 가지고 형성된다.
센서(300)를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센서(300)의 끝단 부위를 가스켓(150)의 내측에 위치시킨 다음 상판(200)을 덮게 되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핀(210,211)이 도전라인(310,311)의 상측으로부터 관통하게 되어 도전라인(310,311)과 커넥터 핀(210,21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커넥터 핀(210,211)의 하측부위는 홈부(130,131)에 수용된다.
이때, 센서(300)는 도입홈(201)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하단부위는 가스켓(150)의 전방부위가 센서(300)를 상측으로 탄성가압하게 되어 도입홈(201)의 상단과 필름 재질로 된 센서(300)의 상부면이 기밀하게 맞닿아 방수가 이루어지며, 또한 오링(111)에 의해 방수가 이루어진다.
물론, 가스켓(150)의 상단이 상판(200)의 내측 상부면에 밀착되는 높이를 가지게 되면, 커넥터 핀(210,211)이 위치하는 주변부위도 2차 방수가 이루어지게 되어 완벽한 방수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0 : 하판 110 : 테두리부
111 : 오링 120 : 고정부
130,131 : 홈부 140 : 벽체부
150 : 가스켓 160 : 체결부
170 : 몰드 삽입공
200 : 상판 201 : 도입홈
210,211 : 커넥터 핀 220 : 몰드 삽입공
230 : 체결공
300 : 센서 310,311 : 도전라인
400 : 케이블 500 : 몰드

Claims (3)

  1. 내측에 한 쌍의 커넥터 핀(210,211)을 수용하기 위한 홈부(130,131)가 나란히 형성되고, 홈부(130,131)의 둘레로는 전도성 필름으로 된 센서(300)가 수용되는 벽체부(140)가 형성되며, 후방부위에는 케이블(400)을 수용한 몰드(500)의 하측이 끼워지는 몰드 삽입공(170)이 형성됨과 아울러 가장자리 테두리부(110)의 상부면에는 오링(111)이 끼워져 장착되고, 복수의 체결부(160)가 형성된 하판(100);
    상기 벽체부(140)의 외측 둘레로 끼워지고, 그 전방부위는 하판(100)의 전방부위 테두리부(110)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면서 그 전방부위가 테두리부(110)에 얹혀지도록 장착된 가스켓(150);
    하부면에 상기 홈부(130,131)와 대응된 위치에서 나란히 커넥터 핀(210,211)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160)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230)이 형성되며, 가장자리 테두리 부위가 상기 하판(100)의 테두리부(110)에 장착된 가스켓(150)에 얹혀져 방수가 이루어짐과 아울러 전방부위에 센서(300)가 도입되는 도입홈(201)이 형성된 상판(2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연결용 커넥터.
  2. 삭제
  3. 삭제
KR1020160166539A 2016-12-08 2016-12-08 센서 연결용 커넥터 KR101905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539A KR101905100B1 (ko) 2016-12-08 2016-12-08 센서 연결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539A KR101905100B1 (ko) 2016-12-08 2016-12-08 센서 연결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531A KR20180065531A (ko) 2018-06-18
KR101905100B1 true KR101905100B1 (ko) 2018-10-08

Family

ID=62768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539A KR101905100B1 (ko) 2016-12-08 2016-12-08 센서 연결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1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6210A (ko) * 2019-07-08 2021-01-18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필름 커넥터 장치 및 그 필름 커넥터 장치를 포함한 화학 물질 누출 감지 센서 시스템
KR20210006784A (ko) * 2019-07-09 2021-01-19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필름 커넥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084B1 (ko) * 2018-06-22 2019-11-28 주식회사 제이티하네스 볼트 삽입홈을 포함하는 커넥터 후드 조립체의 제조방법
KR200495491Y1 (ko) * 2020-06-08 2022-06-07 오토센서코리아(주) 필름형 누설감지센서 연결용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2864B2 (ja) * 1994-02-02 1999-12-20 秀敏 佐古 回路基板の製造方法
JP2004221052A (ja) 2002-12-27 2004-08-05 Ngk Insulators Ltd コンタクト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ソケット
JP2006344604A (ja) * 2001-10-02 2006-12-21 Ngk Insulators Ltd コンタクト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8185A (ja) * 1998-08-05 2000-02-25 Nippon Amp Kk 防水コネクタ
JP2003031296A (ja) * 2001-07-16 2003-01-3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フラットケーブル用防水コネクタ
JP3847227B2 (ja) * 2001-10-02 2006-11-22 日本碍子株式会社 コンタクトシート
JP3910874B2 (ja) * 2002-04-08 2007-04-2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接続具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部
JP2004008532A (ja) * 2002-06-07 2004-01-15 Mejaa:Kk 携帯物の吊下げ帯収納装置およびその携帯物
KR101070693B1 (ko) * 2009-02-25 2011-10-11 유홍근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
KR101500518B1 (ko) * 2013-10-29 2015-03-12 (주)유민에쓰티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
KR101724637B1 (ko) * 2015-07-28 2017-04-10 심충식 필름형 누설감지센서 연결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2864B2 (ja) * 1994-02-02 1999-12-20 秀敏 佐古 回路基板の製造方法
JP2006344604A (ja) * 2001-10-02 2006-12-21 Ngk Insulators Ltd コンタクトシート
JP2004221052A (ja) 2002-12-27 2004-08-05 Ngk Insulators Ltd コンタクト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ソケッ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6210A (ko) * 2019-07-08 2021-01-18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필름 커넥터 장치 및 그 필름 커넥터 장치를 포함한 화학 물질 누출 감지 센서 시스템
JP2021012869A (ja) * 2019-07-08 2021-02-04 ヘソン・ディーエス・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フィルムコネクタ装置、及びそのフィルムコネクタ装置を含む化学物質漏れ感知センサシステム
KR102248899B1 (ko) 2019-07-08 2021-05-06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필름 커넥터 장치 및 그 필름 커넥터 장치를 포함한 화학 물질 누출 감지 센서 시스템
JP7381398B2 (ja) 2019-07-08 2023-11-15 ヘソン・ディーエス・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フィルムコネクタ装置、及びそのフィルムコネクタ装置を含む化学物質漏れ感知センサシステム
KR20210006784A (ko) * 2019-07-09 2021-01-19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필름 커넥터 장치
KR102250253B1 (ko) * 2019-07-09 2021-05-10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필름 커넥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531A (ko) 201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100B1 (ko) 센서 연결용 커넥터
CN104733950B (zh) 防水型插座电连接器
US7922535B1 (en) Electrical connector
US9337568B2 (en) Waterproof connector
US939743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over-molded sealing member
KR101673194B1 (ko) 방수 커넥터
US9917396B2 (en) Device connector
US20170294738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tongue portion extending beyond a metallic shell
KR101288689B1 (ko) 커넥터 하우징의 방수구조
CN104852203B (zh) 用于车辆的防水连接器
KR101070693B1 (ko)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
US10020611B2 (en) Connector having a housing with a drainage hole leading to an outside of the connector
US9444178B2 (en) Waterproof connector having a housing with an elastic member elastically compressed into an opening in the housing
TWI738897B (zh) 電連接器
EP2390964B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101546318B1 (ko) 기기 연결용 커넥터 및 기기 연결용 커넥터 제조 방법
US20150318637A1 (en) Car charging connector
US20140024239A1 (en) Connector
US10177482B2 (en) Connector to prevent a male terminal from being damaged due to improper coupling with a counterpart connector
US6402538B2 (en) Connector sealing structure
KR20110084359A (ko) 기판접속 커넥터의 방수부착구조
US9425542B1 (en) Water-proof connector
KR100592124B1 (ko) 공동주택 단지 내 누전 방지 전기통신 맨홀
US1021161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 waterproofing provision without a seal ring
JP2011181451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