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6210A - 필름 커넥터 장치 및 그 필름 커넥터 장치를 포함한 화학 물질 누출 감지 센서 시스템 - Google Patents
필름 커넥터 장치 및 그 필름 커넥터 장치를 포함한 화학 물질 누출 감지 센서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06210A KR20210006210A KR1020190082233A KR20190082233A KR20210006210A KR 20210006210 A KR20210006210 A KR 20210006210A KR 1020190082233 A KR1020190082233 A KR 1020190082233A KR 20190082233 A KR20190082233 A KR 20190082233A KR 20210006210 A KR20210006210 A KR 202100062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film
- connector device
- upper housing
- conductive film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76 re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050 silico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커넥터 장치는, 하방이 개방되며 외부와 연결된 전기 케이블이 설치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 단자;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개방된 부위를 덮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에 결합되며, 측방으로부터 전도성 필름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필름 결합부를 구비한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필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단자는 상기 전도성 필름에 가압 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탄성 변형 구조물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필름 커넥터 장치 및 그 필름 커넥터 장치를 포함한 화학 물질 누출 감지 센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전도성 필름을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필름 커넥터 장치와, 그 장치를 포함한 화학 물질 누출 감지 센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필름 커넥터 장치는 필름형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다. 필름형 전선은 얇고 가벼운 구조로 설계 가능하기 때문에 자동차 또는 전자부품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필름형 전선은 화학 약품 누출 감지 시스템에도 적용된다. 화학 약품 누출 감지 시스템은 화학 약품의 누수나 누액을 검출하는 시스템이다. 화학 약품 누출 감지 시스템은 건물 및 각종 산업 시설의 사고 발생을 감지하여, 사고 발생 위험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사고 위험 예방 및 확산 방지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에 대형 화학 약품 누출 사고가 발생하여 경제적, 사회적으로 큰 손실을 초래한 사례가 빈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 법규도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 미세한 양의 화학 물질을 검출하기 위해 필름형 전선이 적용된 필름형 센서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종래 화학 약품의 누액이나 누수 감지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필름형 누액 센서는 전도성 물질이 도포된 필름형 센서에 누액이나 누수가 발생할 경우 저항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 저항 변화를 감지하여 누액이나 누수를 검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의 필름형 누액 센서의 커넥터 장치의 일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96967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필름형 누액 센서의 커넥터 장치는 필름 내부의 금속 도선을 제어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이 뾰족한 터미널 단자(1)가 전도성 필름(100) 표면을 뚫고 들어가서 터미널 단자(1)와 전도성 필름(1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전도성 필름(100)의 표면에 접촉되는 뾰족한 터미널 단자(1)는 전도성 필름(100)을 손상시켜 접촉저항을 증가시켜 필름형 센서의 기능을 저하 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도성 필름을 제어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필름 커넥터 장치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전도성 필름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 기능저하가 발생하지 않는 우수한 품질의 필름 커넥터 장치 및 그 필름 커넥터 장치를 포함한 센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름 커넥터 장치는, 하방이 개방되며 외부와 연결된 전기 케이블이 설치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 단자;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개방된 부위를 덮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에 결합되며, 측방으로부터 전도성 필름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필름 결합부를 구비한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필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단자는 상기 전도성 필름에 가압 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탄성 변형 구조물을 포함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터미널 단자의 탄성 변형 구조물은 벨크로의 후크(hook)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단자의 탄성 변형 구조물은 벨크로의 루프(loop)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단자의 탄성 변형 구조물은 부직포 원단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단자의 탄성 변형 구조물은 펠트(Felt) 원단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단자의 탄성 변형 구조물은 코일 스프링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단자의 탄성 변형 구조물은 말굽(horse shoe) 형태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단자의 탄성 변형 구조물은 상기 전도성 필름과 면 접촉되는 스프링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의 하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홈부에 링 형태로 장착된 제1가스켓; 및
상기 하부 커버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2홈부에 링 형태로 장착된 제2가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가스켓과 상기 제2가스켓은 서로 가압 접촉되도록 조립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 케이블과 상기 상부 하우징 사이에는 경질 소재로 이루어진 방수 커버가 설치되며, 상기 방수 커버에는 오링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 커버에 설치되 오링을 가압하도록 상기 방수 커버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형태의 가압 부재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미널 단자는 서로 나란하게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전도성 필름은 U자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터미널 단자에 각 단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단자는 서로 대향 되도록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전도성 필름은 직선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터미널 단자에 각 단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케이블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측면에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케이블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에 결합 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상기 필름 커넥터 장치를 포함한 화학 물질 누출 감지 센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커넥터 장치는 상부 하우징에 설치된 터미널 단자가 전도성 필름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과정에서 상기 터미널 단자가 전도성 필름에 가압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탄성 변형 구조물을 포함하고 있어서 전도성 필름에 물리적인 손상을 주지 않으며 접촉 저항을 최소화시켜 전도성 필름의 기능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이 상부 하우징에 설치된 제1가스켓과 하부 하우징에 설치된 제2가스켓이 서로 가압 접촉되도록 조립되는 경우에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간 결합부위에서 누수 가능성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이 상부 하우징에 결합되는 전기 케이블과 상기 상부 하우징 사이에 경질 소재의 방수 커버가 오링과 함께 설치된 경우에는 전선과 상부 하우징 결합부위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필름 터미널 단자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필름 터미널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필름 터미널 단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Ⅳ - Ⅳ 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전도성 필름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전도성 필름의 입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와 전도성 필름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전도성 필름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부 하우징의 상면에 전기 케이블이 연결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커넥터 장치를 포함한 화학 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필름 터미널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필름 터미널 단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Ⅳ - Ⅳ 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전도성 필름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전도성 필름의 입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와 전도성 필름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전도성 필름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부 하우징의 상면에 전기 케이블이 연결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커넥터 장치를 포함한 화학 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필름 터미널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필름 터미널 단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Ⅳ - Ⅳ 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전도성 필름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전도성 필름의 입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와 전도성 필름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전도성 필름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부 하우징의 상면에 전기 케이블이 연결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커넥터 장치를 포함한 화학 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필름 커넥터 장치(10)는, 상부 하우징(20)과, 터미널 단자(30)와, 하부 하우징(40)과, 제1가스켓(60)과, 제2가스켓(70)과, 방수 커버(80)와, 가압 부재(9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20)은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20)은 투명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20)은 하방이 개방된 구조물이다. 상기 상부 하우징(20)에는 외부에 연결된 전기 케이블(50)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하면 플랜지에는 제1홈부(24)가 구비된다. 상기 제1홈부(24)는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플랜지를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된 오목한 홈부이다. 상기 제1홈부(24)에는 제1가스켓(60)이 장착된다. 상기 제1가스켓(60)의 종단면은 원형, 사각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스켓(60)은 고무나 실리콘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스켓(60)은 금형에 의해 상기 제1홈부(24)의 형상에 맞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케이블(50)은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측면에 결합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기 케이블(50)은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상면에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필름(10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성이 있는 필름 형태의 베이스 기판(102)의 일면에 전도성 물질이 포함된 반응 물질(104)이 도포되며, 그 반응 물질(104)을 상기 베이스 기판(102)에 점착시키는 점착제(105)와 보호 기판(107)이 순차적으로 도포된 구조물이다. 상기 점착제(105)와 보호 기판(107)은 라인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반응 물질(104)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반응 물질(104)에 누수 또는 누액이 접촉되면 화학 반응이 일어나서 상기 반응 물질(104)의 저항이 변화된다.
상기 터미널 단자(30)는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 단자(30)는 상기 전기 케이블(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단자이다. 상기 터미널 단자(30)는 상기 상부 하우징(20)에 고정된다. 예컨대, 상기 터미널 단자(30)는 상기 상부 하우징(20)에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하우징(40)은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개방된 부위를 덮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20)에 결합 된다. 상기 하부 하우징(40)은 필름 결합부(44)를 구비한다. 상기 필름 결합부(44)는 전도성 필름(100)이 상기 하부 하우징(20)의 측방으로부터 결합 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필름 결합부(44)의 경계는 테이퍼 형태의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름 결합부(44)는 전도성 필름(100)의 단부가 후술하는 터미널 단자(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하부 하우징(40)은 볼트나 스크루와 같은 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 하우징(20)에 고정된다. 상기 하부 하우징(40)의 상면 플랜지에는 제2홈부(42)가 구비된다. 상기 제2홈부(42)는 상기 하부 하우징(40)의 상면 플랜지를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홈부(42)에는 제2가스켓(70)기 장착된다. 상기 제2가스켓(70)은 앞서 상술한 바 있는 제1가스켓(60)과 동일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스켓(60)과 상기 제2가스켓(70)은 서로 가압 접촉되도록 조립된다. 즉, 상기 상부 하우징(20)과 상기 하부 하우징(4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가스켓(60)과 상기 제2가스켓(70)은 서로 가압 접촉되도록 조립됨으로써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터미널 단자(30)는 상기 전도성 필름(100)에 가압 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탄성 변형 구조물(32)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 변형 구조물(32)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은(Ag)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변형 구조물(32)은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의 후크(hook)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 구조물은 접착을 위한 벨크로 후크의 중간 부위가 절단된 구조물과 달리 절단되지 않는 후크 구조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변형 구조물(32)은 상기 전도성 필름(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과정에서 가압 되어 탄성 변형이 일어나므로 상기 전도성 필름(100)의 표면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도성 필름(100)의 접촉 저항이 증가하지 않으므로 상기 전도성 필름(100)의 기능이 저하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5 내지 도 8에는 제2, 제3, 제4, 제5실시 예에 따른 탄성 변형 구조물(32)의 구조가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상기 탄성 변형 구조물(3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 루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벨크로 루프 구조물은 벨크로 후크 구조물에 비하여 전도성 필름(100)의 표면 손상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 변형 구조물(32)은 벨크로 루프 구조이외에도, 부직포, 펠트(Felt) 원단 구조로 구성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 변형 구조물(32)이 무질서한 미세한 필라멘트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변형 구조물(3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변형 구조물(3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굽(horse shoe) 형태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변형 구조물(32)은 상기 전도성 필름(100)과 면 접촉되는 스프링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8에는 굽힘 탄성 변형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막대 형상의 스프링 구조물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방수 커버(80)는 상기 전기 케이블(50)과 상기 상부 하우징(20) 사이에는 설치된다. 상기 방수 커버(80)는 신축성이 있는 전기 케이블(50)을 일정한 형태로 고정하는 구조물이다. 이에 따라 상기 방수 커버(80)는 경질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수 커버(80)에는 오링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방수 커버(80)와 상기 상부 하우징(20) 간에 밀봉성이 유지된다. 상기 방수 커버(80)에는 전기 케이블(50)이 압축된 형태로 끼워지므로 방수 커버(80)와 상기 전기 케이블(50) 간에 밀봉성이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수 커버(80)에 설치되 오링을 가압하도록 상기 방수 커버(80)에 나사 결합 되는 너트 형태의 가압 부재(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 부재(90)는 오링(85)을 상기 상부 하우징(20)에 가압 되도록 상기 방수 커버(80)에 나사 결합 된다. 오링(85)은 상기 방수 커버(80)에 복수 결합 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제6실시 예와 같이 점 형태의 누액을 감지할 수 있는 포인트형 전도성 필름이 결합 된 필름 커넥터 장치(10)에는 터미널 단자(30)가 서로 나란하게 한 쌍이 구비된다. 도 11에 전도성 필름(100)은 U자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전도성 필름(100)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터미널 단자(3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에 상기 필름 커넥터 장치(10)를 구성하는 상부 하우징(20)과 하부 하우징(40)은 내부에 관통공을 구비하며, 그 관통공을 통해 상기 전도성 필름(100)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제7실시 예에서, 필름 커넥터 장치(10)는 터미널 단자(30)가 서로 대향 되도록 한 쌍이 구비된다. 도 12에서 전도성 필름(100)은 직선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전도성 필름(100)은 상기 한 쌍의 터미널 단자(30)에 각 단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에 상기 필름 커넥터 장치(10)를 구성하는 상부 하우징(20)과 하부 하우징(40)은 내부에 관통공을 구비하며, 그 관통공을 통해 상기 전도성 필름(100)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상기 전기 케이블(50)은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측면에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케이블(50)이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측면에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전도성 필름(100)이 길게 배치되며 양 단부에 상기 필름 커넥터 장치(10)가 설치된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 케이블(50)은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상면에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케이블(50)이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상면에 결합된 필름 커넥터 장치(10)는 특정 부위에 한정하여 누액 여부를 검출하는 포인트형 전도성 필름이 부착된 필름 커넥터 장치(10)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한 필름 커넥터 장치(10)와 전도성 필름(100)을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부 하우징(20)과 하부 하우징(40)이 분리된 상태로부터 서술을 시작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20)에 전기 케이블(50)을 설치한다. 상기 전기 케이블(50)은 방수 커버(80)와 오링(85)을 통해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20)에 결합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 케이블(50)과 상기 방수 커버(80)를 조립한다. 상기 방수 커버(80)에 오링(85)을 결합한다. 상기 전기 케이블(50)이 조립된 방수 커버(80)를 상기 상부 하우징(20)에 끼운다. 상기 방수 커버(80)에 가압 부재(90)를 나사 결합한다. 상기 방수 커버(80)는 나사 결합 되면서 상기 오링(85)을 가압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20)과 상기 방수 커버(80) 간 밀봉을 유지한다.
이제 상기 터미널 단자(30)와 상기 전기 케이블(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터미널 단자(30)과 상기 전기 케이블(50)은 예컨대, 납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터미널 단자(30)과 전기 케이블(50)은 소켓 형태로도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다. 상부 하우징(20)에 제1가스켓(60)을 장착한다.
상기 필름 결합부(44)에 전도성 필름(100)을 슬라이딩시켜 가 조립한다. 하부 하우징(40)에 상부 하우징(20)을 결합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40)에는 제2가스켓(70)을 먼저 장착한다. 상기 하부 하우징(40)이 전도성 필름(100)을 가압함에 따라 전도성 필름(100)과 터미널 단자(30)는 서로 가압 접촉된다. 이 과정에서 터미널 단자(30)에 구비된 탄성 변형 구조물(32)이 가압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일어남으로써 전도성 필름(100)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고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부 하우징(40)과 상부 하우징(20)을 볼트나 스크루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 과정에서 제1가스켓(60)과 제2가스켓(70)은 서로 접촉된 상태로 가압되어 하부 하우징(40)과 상부 하우징(20) 간 밀봉성이 유지된다. 또한, 상기 제1가스켓(60)과 상기 제2가스켓(70)은 필름 결합부(44)에 설치된 전도성 필름(100)의 상면과 하면을 샌드위치 형태로 가압 지지하므로 전도성 필름(100)과 상부 하우징(20) 및 하부 하우징(40) 간 밀봉성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커넥터 장치는, 상부 하우징에 설치된 터미널 단자가 전도성 필름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과정에서 상기 터미널 단자가 전도성 필름에 가압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탄성 변형 구조물을 포함하고 있어서 전도성 필름에 물리적인 손상을 주지 않으며 접촉 저항을 최소화시켜 전도성 필름의 기능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이 상부 하우징에 설치된 제1가스켓과 하부 하우징에 설치된 제2가스켓이 서로 가압 접촉되도록 조립되는 경우에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간 결합부위에서 누수 가능성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이 상부 하우징에 결합되는 전기 케이블과 상기 상부 하우징 사이에 경질 소재의 방수 커버가 오링과 함께 설치된 경우에는 전선과 상부 하우징 결합부위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4는 상술한 바와 같은 필름 커넥터 장치를 채용한 화학 물질 누출 감지 센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필름 커넥터 장치(10)에 전도성 필름(1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필름 커넥터 장치(10)는 제어모듈(200)에 전기 케이블(50)로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센서 시스템이 구성된다. 상기 제어모듈(200)은 전도성 필름(100)에 누액이 접촉될 경우 발생 되는 저항의 변화를 감지하여 화학 물질이 누출됐다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어모듈(200)은 전도성 필름(100)이 복수 배치되는 경우 복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200)은 원격지 서버(미도시)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러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10 : 필름 커넥터 장치
20 : 상부 하우징
24 : 제1홈부
30 : 터미널 단자
32 : 탄성 변형 구조물
40 : 하부 하우징
42 : 제2홈부
44 : 필름 결합부
50 : 전기 케이블
60 : 제1가스켓
70 : 제2가스켓
80 : 방수 커버
85 : 오링
90 : 가압 부재
100 : 전도성 필름
102 : 베이스 기판
104 : 반응 물질
105 : 점착제
107 : 보호 기판
20 : 상부 하우징
24 : 제1홈부
30 : 터미널 단자
32 : 탄성 변형 구조물
40 : 하부 하우징
42 : 제2홈부
44 : 필름 결합부
50 : 전기 케이블
60 : 제1가스켓
70 : 제2가스켓
80 : 방수 커버
85 : 오링
90 : 가압 부재
100 : 전도성 필름
102 : 베이스 기판
104 : 반응 물질
105 : 점착제
107 : 보호 기판
Claims (16)
- 하방이 개방되며 외부와 연결된 전기 케이블이 설치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 단자;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개방된 부위를 덮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에 결합되며, 측방으로부터 전도성 필름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필름 결합부를 구비한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필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단자는 상기 전도성 필름에 가압 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탄성 변형 구조물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커넥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단자의 탄성 변형 구조물은 벨크로의 후크(hook)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커넥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단자의 탄성 변형 구조물은 벨크로의 루프(loop)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커넥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단자의 탄성 변형 구조물은 부직포 원단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커넥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단자의 탄성 변형 구조물은 펠트(Felt) 원단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커넥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단자의 탄성 변형 구조물은 코일 스프링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커넥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단자의 탄성 변형 구조물은 말굽(horse shoe) 형태의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커넥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단자의 탄성 변형 구조물은 상기 전도성 필름과 면 접촉되는 스프링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커넥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의 하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홈부에 링 형태로 장착된 제1가스켓; 및
상기 하부 커버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2홈부에 링 형태로 장착된 제2가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가스켓과 상기 제2가스켓은 서로 가압 접촉되도록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커넥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케이블과 상기 상부 하우징 사이에는 경질 소재로 이루어진 방수 커버가 설치되며, 상기 방수 커버에는 오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커넥터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커버에 설치되 오링을 가압하도록 상기 방수 커버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형태의 가압 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커넥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단자는 서로 나란하게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전도성 필름은 U자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터미널 단자에 각 단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커넥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단자는 서로 대향 되도록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전도성 필름은 직선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터미널 단자에 각 단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커넥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케이블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측면에 결합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커넥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케이블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에 결합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커넥터 장치. -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의 필름 커넥터 장치를 포함한 화학 물질 누출 감지 센서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2233A KR102248899B1 (ko) | 2019-07-08 | 2019-07-08 | 필름 커넥터 장치 및 그 필름 커넥터 장치를 포함한 화학 물질 누출 감지 센서 시스템 |
JP2020079519A JP7381398B2 (ja) | 2019-07-08 | 2020-04-28 | フィルムコネクタ装置、及びそのフィルムコネクタ装置を含む化学物質漏れ感知センサシステ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2233A KR102248899B1 (ko) | 2019-07-08 | 2019-07-08 | 필름 커넥터 장치 및 그 필름 커넥터 장치를 포함한 화학 물질 누출 감지 센서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6210A true KR20210006210A (ko) | 2021-01-18 |
KR102248899B1 KR102248899B1 (ko) | 2021-05-06 |
Family
ID=74227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2233A KR102248899B1 (ko) | 2019-07-08 | 2019-07-08 | 필름 커넥터 장치 및 그 필름 커넥터 장치를 포함한 화학 물질 누출 감지 센서 시스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7381398B2 (ko) |
KR (1) | KR102248899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51327A (ja) * | 2005-06-15 | 2006-12-28 | Alps Electric Co Ltd | 部材間の接続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前記部材間の接続構造を備えた電子機器 |
KR101847359B1 (ko) * | 2017-12-27 | 2018-04-10 | (주)이산 하이텍 | 필름형 누설감지 센서 커넥터 |
KR101905100B1 (ko) * | 2016-12-08 | 2018-10-08 | 성백명 | 센서 연결용 커넥터 |
US20190036246A1 (en) * | 2017-07-26 | 2019-01-31 | Brewer Science, Inc. | Environmentally sealed, reusable connector for printed flexible electronics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0693B1 (ko) * | 2009-02-25 | 2011-10-11 | 유홍근 |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 |
-
2019
- 2019-07-08 KR KR1020190082233A patent/KR10224889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04-28 JP JP2020079519A patent/JP7381398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51327A (ja) * | 2005-06-15 | 2006-12-28 | Alps Electric Co Ltd | 部材間の接続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前記部材間の接続構造を備えた電子機器 |
KR101905100B1 (ko) * | 2016-12-08 | 2018-10-08 | 성백명 | 센서 연결용 커넥터 |
US20190036246A1 (en) * | 2017-07-26 | 2019-01-31 | Brewer Science, Inc. | Environmentally sealed, reusable connector for printed flexible electronics |
KR101847359B1 (ko) * | 2017-12-27 | 2018-04-10 | (주)이산 하이텍 | 필름형 누설감지 센서 커넥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1012869A (ja) | 2021-02-04 |
KR102248899B1 (ko) | 2021-05-06 |
JP7381398B2 (ja) | 2023-1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82473A (en) | Flex circuit connector | |
US4588238A (en) | Telephone network interface connector | |
DK0718917T3 (da) | Elektrisk forbindelseskontaktsystem | |
US20100190375A1 (en) | Connector receptacle with molded front nut gasket | |
RU2006120455A (ru) | Электр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 |
BR9306487A (pt) | Cabo elétrico | |
ATE397307T1 (de) | Kontaktierungsvorrichtung für ein flachbandkabel | |
US20210194179A1 (en) | Two-wire plug and receptacle | |
WO1990012431A1 (en) | Electrical splice assembly | |
US4780091A (en) | Two-part electrical connector | |
KR102248899B1 (ko) | 필름 커넥터 장치 및 그 필름 커넥터 장치를 포함한 화학 물질 누출 감지 센서 시스템 | |
WO2005054805A3 (en) | Fluid detection cable | |
KR101724637B1 (ko) | 필름형 누설감지센서 연결용 커넥터 | |
US6671976B2 (en) | Output-attached measuring instrument | |
ES2150700T3 (es) | Cable cinta y disposicion de conexion de cable cinta. | |
CN105827229A (zh) | 一种压力感应模组、压力感应系统及电子设备 | |
KR20170071281A (ko) | 커넥터 어셈블리 | |
ATE358901T1 (de) | Abzweigverbinder | |
US10197465B2 (en) | O-ring internal seal for pressure sensor | |
KR102250253B1 (ko) | 필름 커넥터 장치 | |
TW201236030A (en) | Narrow diameter coaxial cable harne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
CN205453660U (zh) | 一种压力感应模组、压力感应系统及电子设备 | |
CN217484353U (zh) | 一种测试针模 | |
US20050057262A1 (en) | Method for testing integrity of electrical connection of a flat cable multiple connector assembly | |
CN219106578U (zh) | 连接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