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359B1 - 필름형 누설감지 센서 커넥터 - Google Patents

필름형 누설감지 센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359B1
KR101847359B1 KR1020170180584A KR20170180584A KR101847359B1 KR 101847359 B1 KR101847359 B1 KR 101847359B1 KR 1020170180584 A KR1020170180584 A KR 1020170180584A KR 20170180584 A KR20170180584 A KR 20170180584A KR 101847359 B1 KR101847359 B1 KR 101847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onductive film
side wall
met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교순
Original Assignee
(주)이산 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산 하이텍 filed Critical (주)이산 하이텍
Priority to KR1020170180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3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6Fastening of connecting parts to base or case; Insulating connecting parts from base or cas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필름과 접속 단자와 접촉면적과 결합력을 높여 접촉 불량없이 높은 신호 감도를 제공함과 동시에 액체 또는 습기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필름형 누설감지 센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원발명의 필름형 누설감지 센서 커넥터는 기둥형상의 금속 고정부와 이를 포함하는 판상의 접속 단자를 사용하여 핀 상 접속 단자에 비해 접촉면적을 높일 수 있고 판상 접속 단자를 압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외력에 의한 접촉 불량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필름형 누설감지 센서 커넥터는 액체 유입 가능성이 높은 전도성 필름 삽입 영역을 필름 받침부와 필름 누름부로 구성하여 이들을 서로 압착할 뿐 만 아니라 이들의 결합 계면을 2 개의 오링으로 체결하여 액체 유입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의 필름형 누설감지 센서 커넥터는 상부 몸체를 분리하면 전도성 필름의 연결부 홀과 금속 고정부를 쉽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전도성 필름 교체 등의 유지관리가 편리하다.

Description

필름형 누설감지 센서 커넥터{CONNECTOR FOR FILM TYPE LEAKING SENSOR}
본 발명은 필름형 누설감지 센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도성 필름과 접속 단자의 접촉면적과 결합력을 높여 접촉불량없이 높은 신호 감도를 제공함과 동시에 액체 또는 습기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필름형 누설감지 센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름소재로 개발된 FPCB, 인쇄전자필름, 액체감지테이프, 각종 센서필름 등의 다양한 전도성 회로는 각 산업에서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접착형 필름 형태로 되어 그 접착테이프 상에 액체누설과 관련된 전기적 신호전송을 위한 채널이 구현된 필름형 액체누설감지 접착테이프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전도성 필름은 그 면적이나 길이가 한정되어 있어서, 여러 개의 필름을 연장하여 연결하거나 일반 각종 전선케이블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필름상에 구현된 채널 회로를 납땜에 의하여 연결하거나 아니면 일정길이 단위로 그 끝부분에 일반 접속커넥터를 미리 형성하여 상호 연결하게 된다.
등록특허 제10-1070693에는 필름형 액체누설감지 테이프, FPCB, 면상발열체 등의 필름을 이용하여 전원 또는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도성 필름을 간편하고, 별다른 도구없이 서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등록특허 제10-1070693호의 커넥터는 덮게 체결홈(110), 덮개(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접촉단자(111)가 구비되고, 덮개 체결홈(110)의 바닥면에는 덮개(200)의 핀(211)이 삽입되기 위한 핀홈(121)이 형성되어 덮개(200)의 하부와 덮개 체결홈(110)의 바닥면 사이에 전도성 필름(300)을 수용할 때 덮개의 핀(211)이 전도성 필름(300)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 등록특허의 구조는 덮개(200)의 전도판(210)에 다수의 핀(211)이 형성되고, 본체(100)에는 전도성 필름(300)을 관통한 핀(211)이 삽입되도록 핀(2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핀홈(211)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어, 핀홈(121)과 핀(211)의 위치가 정확히 맞아서 전도성 필름(300)을 관통해야 하므로 제조공정에서 정밀한 가공이 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제조공정이 수월치 않고 정밀도에 따른 불량 발생율이 높은 단점이 있으며, 전도성 필름(300)을 연결하는 현장에서도 작업자가 정확히 핀(211)과 핀홈(121)을 맞쳐서 덮개(200)를 본체(100)에 체결하여야 하므로 연결 작업이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핀(211)의 구조가 끝이 날카로운 형태로 되어 전도성 필름(300)을 완전히 관통하지 않고 핀의 끝부분만 관통한 경우에 외부에서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파손되면서 쉽게 전도성 필름(300)이 본체(100)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전도성 필름(300)의 채널회로(310)와 핀(211)이 서로 전기적으로 완벽히 도통되지 않아 접촉불량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도성 필름(300)이 본체(100)의 필름수용홈(120) 안쪽으로 삽입되어 덮개(200)와 함께 체결볼트로 고정 시 외부에서 상기 조립된 본체(100) 안쪽으로 스며드는 액체 또는 습기를 완벽하게 막을 수 없어 본체(100) 안쪽에서 채널회로(310)간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불량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 10-2017-0013568호에는 바닥하부 몸체, 중간하부 몸체, 상부몸체 및 방수슬리브를 구비하여 방수구조를 가지는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도 2). 하지만, 상기 한국공개특허의 커넥터는 방수슬리브가 삽입되는 바닥하부 몸체와 중간하부 몸체가 초음파 융착되므로 공정이 복잡하고, 중간하부 몸체와 상부몸체 사이의 결합부를 제시된 오링만으로 완벽한 방수처리를 할 수 없다. 또한, 상기 한국공개특허의 커넥터는 전도성 필름이 삽입되는 방수슬리브(430)를 수용홈(711)에 삽입하는데, 수용홈의 좌우 측면 부분은 방수처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 공개 특허는 도 1의 등록특허 제10-1070693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핀을 전도성 필름에 삽입한 전기적 연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상기 한국 공개 특허의 경우도 외부에서 작용되는 외력에 의해 핀이 삽입되는 전도성 필름이 찢어지거나 늘어나는 등의 이유로 전기적 통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핀을 접속 단자로 사용하는 경우 전도성 필름의 도전체와 접촉 면적이 작아 (결과적으로 저항이 높게 됨) 전기 신호 감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완벽한 방수가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외력에 의해서도 전도성 필름과 접속 단자 사이의 접촉 불량없이 전기적 통전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핀 상 접속 단자에 비해 통전력과 전기 신호 감도를 높인 새로운 구조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커넥터에 전도성 필름을 교체하여 삽입하거나 수리하기 용이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상에서 본 발명은
바닥부(11)와 측벽(12)이 일체로 형성되고, 측벽 상부를 따라 형성된 오링홈(13), 및 바닥부 상에 측벽과 같은 높이로 돌출되어 전도성 필름의 연결부위가 위치하는 필름 받침부(14)를 구비하는 하부 몸체(10) ;
상기 필름 받침부 상에 위치하되 일단이 상기 전도성 필름의 연결부위와 결합되는 판상의 금속 접속 단자(20) ;
상기 금속 접속 단자와 전도성 필름의 연결부위를 위에서 눌러 압착하는 고정바(30) ;
상기 금속 접속 단자의 타단부에 접촉하는 연결핀(41)과 상기 연결핀 후단의 전선(42)을 구비하여 전도성 필름의 전기적 신호를 외부 제어부로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40) ;
상부(51)와 측벽(52)이 일체로 형성되고, 측벽을 따라 형성된 오링홈(53)을 구비하여 상기 하부 몸체에 체결되는 상부 몸체(50) ;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 오링홈에 각각 끼어지는 두 개의 오링(60)을 포함하되,
상기 금속 접속 단자(20)는 하면으로 돌출된 기둥형상의 금속 고정부(21)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고정부(21)가 상기 전도성 필름의 연결부에 형성된 고정홀(101)에 끼워져 상기 금속 접속 단자(20)와 전도성 필름(100)과의 접촉 면적을 높인 필름형 누설감지 센서 커넥터에 관련된다.
본원발명의 필름형 누설감지 센서 커넥터는 기둥형상의 금속 고정부와 이를 포함하는 판상의 접속 단자를 사용하여 핀 상 접속 단자에 비해 접촉면적을 높일 수 있고 판상 접속 단자를 압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외력에 의한 접촉 불량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필름형 누설감지 센서 커넥터는 액체 유입 가능성이 높은 전도성 필름 삽입 영역을 필름 받침부와 필름 누름부로 구성하여 이들을 서로 압착할 뿐 만 아니라 이들의 결합 계면을 2개의 오링으로 체결하여 액체 유입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의 필름형 누설감지 센서 커넥터는 상부 몸체를 분리하면 전도성 필름의 연결부 홀과 금속 고정부를 쉽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전도성 필름 교체 등의 유지관리가 편리하다.
도 1은 등록특허 제10-1070693호의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의 전체 개략도이다.
도 2는 한국공개 10-2017-0013568호의 커넥터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인 커넥터에 전도성 필름이 장착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인 커넥터의 하부 몸체에 전도성 필름이 삽입된 것을 보여준다.
도 5는 상부 몸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3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7은 금속 접속 단자를 도시한 것이다.
도 8는 전도성 필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전도성 필름, 금속 접속 단자, 상부 몸체, 하부 몸체가 결합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을 도면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실시 태양에 대한 설명 또는 도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인 커넥터에 전도성 필름이 장착된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인 커넥터의 하부 몸체에 전도성 필름이 삽입된 것을 보여주고, 도 5는 상부 몸체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3의 분해 조립도이고, 도 7은 금속 접속 단자를 도시한 것이고, 도 8는 전도성 필름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전도성 필름, 금속 접속 단자, 상부 몸체, 하부 몸체가 결합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필름형 누설감지 센서 커넥터는 하부 몸체(10), 금속 접속 단자(20), 고정바(30), 신호전송부(40), 상부 몸체(50) 및 오링(60)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몸체(10)는 바닥부(11)와 측벽(12)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 몸체는 플라스틱 등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12)은 소정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 상단에는 오링이 삽입되는 오링홈(13)이 형성된다.
상기 측벽(12)으로 둘러싸인 하부 몸체(10) 내측에는 필름 받침부(14)와 체결수단(15)이 형성된다.
상기 필름 받침부(14)는 바닥부 상에 측벽(12)과 같은 높이로 돌출되며, 상기 필름 받침부(14) 상에 전도성 필름(100)의 연결부위(A)가 위치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필름받침부(14)는 지지부(141)와 가이드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41)는 전도성 필름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측벽(12)과 같은 높이로 돌출된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141)의 상면은 판상으로서 그 위에 전도성 필름의 연결부위(A), 금속 접속 단자(20) 및 고정바(30)가 위치한다. 상기 가이드부(142)는 상기 지지부를 둘러싸되, 지지부상에 위치한 전도성 필름이 외력에 의해 좌우로 움직이거나 커넥터 내측으로 인입되지 못하도록 필름 두께 이상 더 큰 높이로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42)는 측벽과 접촉하는, 즉, 전도성 필름이 삽입되는 삽입영역(B)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즉, 상기 가이드부(142)는 전도성 필름의 움직임이나 위치를 제한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50)는 상기 하부 몸체(10)와 체결수단(15, 55, 56)을 이용하여 결합된다. 상기 상부 몸체(50)는 상부(51)와 측벽(52)이 일체로 형성되고, 측벽을 따라 오링홈(53)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수단 15 상단에 오링홈이 형성된다.
상기 측벽(52)으로 둘러싸인 상부 몸체(50) 내측에는 필름 누름부(54)와 체결수단(55)이 형성된다.
상기 필름 누름부(54)는 전도성 필름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고 측벽(52)과 같은 높이로 상부(51) 아래로 돌출된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필름 누름부(54)와 상기 필름 받침부(14)는 서로 대향되도록 상부몸체와 하부 몸체에 형성될 수 있다.
필름 누름부(54)와 상기 필름 받침부(14)는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금속 접속 단자와 전도성 필름을 압착한다.
본원발명의 커넥터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에 각각 삽입되는 2개의 오링(60)을 구비함에 따라 이들 간의 기밀을 좀 더 완벽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필름 누름부(54)와 상기 필름 받침부(14)는 액체 유입 가능성이 높은 전도성 필름 삽입 영역(B)을 면상 범위(즉, 누름부와 받침부의 면적)로 압착하므로, 설사 오링 내측으로 미세하게 침투한 습기가 존재하더라도 커넥터 내측으로 확산되는 것을 2차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누름부(54)는 상면 내측에 형성된 함몰홈(54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함몰홈(541)은 상기 금속 접속 단자(20)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와 폭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와 같이, 상기 금속 접속 단자(20)가 전도성 필름 연결부(A)에 결합되는 경우 필연적으로 전도성 필름(100)과 접속 단자(20) 사이에는 단턱(C)이 발생한다. 상기 함몰홈(54)는 금속 접속 단자(20)를 내측으로 수용하므로 단턱(C)으로 인한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 사이의 기밀 저해 요인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기 필름 누름부(54)에 탄성의 방수 패드(57)가 부착될 수 있다. 방수 패드(57)가 부착되는 경우, 상기 필름누름부(54)는 측벽(52)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수 패드(57)에 금속 접속 단자(20)를 수용할 수 있는 함몰홈이나 홀(571)이 형성될 수 있다. 함몰홈 은 방수패드 내측으로 사각형상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구조일 수 있고, 홀 561은 상하부가 통공된 홀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방수 패드(57)에 함몰홈이나 홀(561)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필름 누름부의 함몰홈(541)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방수 패드(57)는 탄성의 박막 패드로서, 필름 누름부(54)와 상기 필름 받침부(14) 사이의 기밀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금속 접속 단자(20)는 상기 필름 받침부(14) 상에 위치하되, 하면으로 돌출된 기둥형상의 금속 고정부(21)와 고정홀(22)을 포함한다. 상기 금속 고정부(21)는 상기 전도성 필름의 연결부(A)위와 결합되고, 고정홀(22)은 볼트(23)가 관통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금속 접속 단자(20)는 수mm 두께로 판상의 금속 박막이다. 상기 금속 고정부(21)는 소정 높이를 가진 기둥 형상의 구조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금속 고정부(21)는 사각기둥이나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전도성 필름(100)은 베이스 필름(110), 전도성층(120) 및 보호층(13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필름(110)은 PET, PE, PTFE, PVC 또는 기타 테프론 계열의 재질의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층(120)은 공지된 도전성 분말이나 전도성 고분자가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코팅되거나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도성층(120)은 구리, 은, 또는 탄소나노튜브를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130)은 PET, PE, PTFE, PVC 또는 기타 테프론 계열의 재질의 필름일 수 있다. 상기 보호층에는 소정 간격으로 보호층 코팅이 제거되나 홀이 형성되어 전도성층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센싱홀(102)이 형성된다.
상기 전도성 필름(100)의 연결부(A)에는 3개의 층 전부를 관통하는 고정홀(101)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 고정부(21)는 상기 고정홀(101)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금속 고정부(21)의 높이와 고정홀(101)의 깊이가 동일할 수도 있다. 상기 금속 고정부(21)의 높이와 고정홀의 깊이는 1mm~10mm, 바람직하게는 1~5mm일 수 있다.
등록특허 제10-1070693와 같이 침상의 핀이 전도성 필름에 박혀 결합되는 접촉 구조에 비해, 기둥형상의 금속 고정부(21)의 외측면과 상기 고정홀의 내측면이 결합되는 본원발명의 접촉 구조가 수십 배 이상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침상의 핀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외력에 의한 (핀의 움직임으로 인해) 전도성 필름의 찢어짐이나 손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거의 없다. 또한,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필름 누름부(54)와 상기 필름 받침부(14)에 의해 금속 접속 단자와 전도성 필름이 압착되어 외력에 의한 손상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즉, 본원발명에서 제시한 판상의 금속 접속 단자(20)와 기둥 형상 고정부(21)는 전도성 필름과의 접촉 면적을 높이고 외력에 의한 전도성 필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필름 누름부(54)와 상기 필름 받침부(14)로 압착 가능한 판상 구조로 방수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고정바(30)는 상기 금속 접속 단자와 전도성 필름의 연결부위를 위에서 눌러 압착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30)는 양 끝부분이 상기 가이드부(14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전송부(40)는 상기 금속 접속 단자의 타단부에 접촉하는 전류 접속부(41)와 상기 전류 접속부 후단의 전선(42)을 구비하여 전도성 필름의 전기적 신호를 외부(예를 들면, 센싱 단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류 접속부(41)는 금속판이나 금속 핀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도성 필름에서 감지된 전류/저항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분석하여 액체 누설 여부를 판단하는 센싱 단자(프로세서 포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 단자는 센서 외부에서 상기 전선(42)과 연결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연결소켓(70), 너트(71) 및 오링(72)을 구비하여 상기 전선(42)을 외부로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소켓(70)의 일측은 상기 커넥터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taper) 구조를 가지고, 타측에 형성된 원통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즉, 타측의 원통부는 나사로 기능함). 상기 너트는 원통부의 나사와 체결된다. 상기 연결소켓과 너트는 하부 몸체의 측벽에 관통된 홀을 통해 결합되고, 중간에 오링(72)이 삽입되어 있어 외부의 수분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설명은 단순히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 및 개시하는 것이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 및 요지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상기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다양한 변경, 수정 및 변형예가 가능함을 용이하게 인식할 것이다.

Claims (3)

  1. 바닥부(11)와 측벽(12)이 일체로 형성되고, 측벽 상부를 따라 형성된 오링홈(13), 및 바닥부 상에 측벽과 같은 높이로 돌출되어 전도성 필름의 연결부위가 위치하는 필름 받침부(14)를 구비하는 하부 몸체(10) ;
    상기 필름 받침부 상에 위치하되 일단이 상기 전도성 필름의 연결부위와 결합되는 판상의 금속 접속 단자(20) ;
    상기 금속 접속 단자와 전도성 필름의 연결부위를 위에서 눌러 압착하는 고정바(30) ;
    상기 금속 접속 단자의 타단부에 접촉하는 연결핀(41)과 상기 연결핀 후단의 전선(42)을 구비하여 전도성 필름의 전기적 신호를 외부 제어부로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40) ;
    상부(51)와 측벽(52)이 일체로 형성되고, 측벽을 따라 형성된 오링홈(53)을 구비하여 상기 하부 몸체에 체결되는 상부 몸체(50) ;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 오링홈에 각각 끼어지는 두 개의 오링(60)을 포함하되,
    상기 금속 접속 단자(20)는 하면으로 돌출된 기둥형상의 금속 고정부(21)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고정부(21)가 상기 전도성 필름의 연결부에 형성된 고정홀(101)에 끼워져 상기 금속 접속 단자(20)와 전도성 필름(100)과의 접촉 면적을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누설감지 센서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받침부(14)는 전도성 필름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측벽(12)과 같은 높이로 돌출된 기둥 형상의 지지부(141), 상기 지지부 측면과 후면에 상기 전도성 필름 두께보다 더 큰 높이로 벽을 형성하는 가이드부(142)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몸체는 전도성 필름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고 측벽(52)과 같은 높이로 상부(51) 아래로 돌출된 기둥 형상의 필름 누름부(54)를 포함하고,
    필름 누름부(54)와 상기 필름 받침부(14)는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금속 접속 단자와 전도성 필름을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누설감지 센서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누름부(54)는 그 상면과 크기가 동일한 탄성 방수 패드(5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누설감지 센서 커넥터.
KR1020170180584A 2017-12-27 2017-12-27 필름형 누설감지 센서 커넥터 KR101847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584A KR101847359B1 (ko) 2017-12-27 2017-12-27 필름형 누설감지 센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584A KR101847359B1 (ko) 2017-12-27 2017-12-27 필름형 누설감지 센서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359B1 true KR101847359B1 (ko) 2018-04-10

Family

ID=61975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584A KR101847359B1 (ko) 2017-12-27 2017-12-27 필름형 누설감지 센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35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750B1 (ko) * 2018-03-06 2018-09-05 (주)이산 하이텍 국소 부위 누설감지 센서
KR20200081699A (ko) * 2018-12-28 2020-07-08 임교순 필름 연결형 누설 감지 커넥터
KR20210006210A (ko) * 2019-07-08 2021-01-18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필름 커넥터 장치 및 그 필름 커넥터 장치를 포함한 화학 물질 누출 감지 센서 시스템
JP2021012868A (ja) * 2019-07-09 2021-02-04 ヘソン・ディーエス・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フィルムコネクタ装置
KR102400044B1 (ko) 2021-08-13 2022-05-24 주식회사 엔씨티 필름형 누출감지센서 연결용 센서 커넥터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3068A (ja) * 1995-02-09 1996-08-20 Fujikura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とテープ電線との接続方法
JP2992864B2 (ja) * 1994-02-02 1999-12-20 秀敏 佐古 回路基板の製造方法
KR20030028709A (ko) * 2001-10-02 2003-04-10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콘택트 시트
JP2003297468A (ja) * 2002-04-08 2003-10-1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フラットケーブル接続具、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方法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部
JP2004221052A (ja) * 2002-12-27 2004-08-05 Ngk Insulators Ltd コンタクト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ソケット
JP2006344604A (ja) * 2001-10-02 2006-12-21 Ngk Insulators Ltd コンタクトシート
KR20110005263A (ko) * 2008-05-15 2011-01-17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덴카 겐큐쇼 커넥터 구조, 이에 사용되는 암커넥터, 수커넥터, 플렉시블 회로 기판 , 리지드 회로 기판, 및 커넥터 구조를 내장한 전기ㆍ전자 기기
KR20170013568A (ko) * 2015-07-28 2017-02-07 심충식 필름형 누설감지센서 연결용 커넥터
KR20170013564A (ko) * 2015-07-28 2017-02-07 심충식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 단자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2864B2 (ja) * 1994-02-02 1999-12-20 秀敏 佐古 回路基板の製造方法
JPH08213068A (ja) * 1995-02-09 1996-08-20 Fujikura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とテープ電線との接続方法
KR20030028709A (ko) * 2001-10-02 2003-04-10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콘택트 시트
JP2006344604A (ja) * 2001-10-02 2006-12-21 Ngk Insulators Ltd コンタクトシート
JP2003297468A (ja) * 2002-04-08 2003-10-1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フラットケーブル接続具、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方法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部
JP2004221052A (ja) * 2002-12-27 2004-08-05 Ngk Insulators Ltd コンタクト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ソケット
KR20110005263A (ko) * 2008-05-15 2011-01-17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덴카 겐큐쇼 커넥터 구조, 이에 사용되는 암커넥터, 수커넥터, 플렉시블 회로 기판 , 리지드 회로 기판, 및 커넥터 구조를 내장한 전기ㆍ전자 기기
KR20170013568A (ko) * 2015-07-28 2017-02-07 심충식 필름형 누설감지센서 연결용 커넥터
KR20170013564A (ko) * 2015-07-28 2017-02-07 심충식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 단자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750B1 (ko) * 2018-03-06 2018-09-05 (주)이산 하이텍 국소 부위 누설감지 센서
KR20200081699A (ko) * 2018-12-28 2020-07-08 임교순 필름 연결형 누설 감지 커넥터
KR102142197B1 (ko) 2018-12-28 2020-09-14 임교순 필름 연결형 누설 감지 커넥터
KR20210006210A (ko) * 2019-07-08 2021-01-18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필름 커넥터 장치 및 그 필름 커넥터 장치를 포함한 화학 물질 누출 감지 센서 시스템
JP2021012869A (ja) * 2019-07-08 2021-02-04 ヘソン・ディーエス・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フィルムコネクタ装置、及びそのフィルムコネクタ装置を含む化学物質漏れ感知センサシステム
KR102248899B1 (ko) 2019-07-08 2021-05-06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필름 커넥터 장치 및 그 필름 커넥터 장치를 포함한 화학 물질 누출 감지 센서 시스템
JP7381398B2 (ja) 2019-07-08 2023-11-15 ヘソン・ディーエス・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フィルムコネクタ装置、及びそのフィルムコネクタ装置を含む化学物質漏れ感知センサシステム
JP2021012868A (ja) * 2019-07-09 2021-02-04 ヘソン・ディーエス・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フィルムコネクタ装置
JP7381394B2 (ja) 2019-07-09 2023-11-15 ヘソン・ディーエス・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フィルムコネクタ装置
KR102400044B1 (ko) 2021-08-13 2022-05-24 주식회사 엔씨티 필름형 누출감지센서 연결용 센서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359B1 (ko) 필름형 누설감지 센서 커넥터
JP6412851B2 (ja) 物理量測定装置
TWI276792B (en) Liquid leakage detector
US9952114B2 (en) Physical quantity measur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24637B1 (ko) 필름형 누설감지센서 연결용 커넥터
KR20100138523A (ko) 화재감지기능을 갖는 리크감지장치
KR101895750B1 (ko) 국소 부위 누설감지 센서
KR102210023B1 (ko) 커넥터 어셈블리
TWI663388B (zh) 物理量測定裝置
KR102605523B1 (ko) 누설 센서 케이스
JP6608334B2 (ja) 物理量測定装置
KR101811407B1 (ko) 온도 측정 장치
KR20170013564A (ko)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 단자
KR102142197B1 (ko) 필름 연결형 누설 감지 커넥터
CN109643870B (zh) 连接器组件
KR20180065533A (ko) 재사용이 가능한 누설감지센서
KR101742160B1 (ko) 누수감지 센서
KR20170013559A (ko)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
KR101724638B1 (ko) 필름형 누설감지센서 연결용 커넥터
KR20190127236A (ko) 유니버셜 링크를 제공하는 누액 감지 필름 센서 연결용 커넥터 장치
JP4020008B2 (ja) 圧力センサ
US20200212625A1 (en) Electrical Connector
CN116066762A (zh) 泄漏检测感知器及其适用的泄漏检测系统
CN210725489U (zh) 柔性电路板及电子设备
TWM577605U (zh)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