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160B1 - 누수감지 센서 - Google Patents

누수감지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160B1
KR101742160B1 KR1020150086708A KR20150086708A KR101742160B1 KR 101742160 B1 KR101742160 B1 KR 101742160B1 KR 1020150086708 A KR1020150086708 A KR 1020150086708A KR 20150086708 A KR20150086708 A KR 20150086708A KR 101742160 B1 KR101742160 B1 KR 101742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sensing unit
conductive pattern
sensing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9552A (ko
Inventor
김기동
Original Assignee
김기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동 filed Critical 김기동
Priority to KR1020150086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160B1/ko
Publication of KR20160149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18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pipe joints or se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F17D5/06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using electric or acous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가 흐르는 배관부를 감싸 탈착 가능하도록 상호 간에 분리 결합되는 제1 서브 감지부와 제2 서브 감지부로 구성된 하우징 및, 상기 제1 서브 감지부와 상기 제2 서브 감지부 상에 각기 형성된 누수 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누수 감지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배관부 전체 둘레를 따라 흐르는 누수 영역을 커버하도록 서로 접촉하지 않게 배열된 플러스 도전성 패턴(+)과 마이너스 도전성 패턴(-)을 구성하고, 상기 도전성 패턴과 누수 유체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플러스 도전성 패턴(+)과 상기 마이너스 도전성 패턴(-) 간의 전위차를 서로 다르게 발생시켜 누수를 감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1 서브 감지부와 상기 제2 서브 감지부의 결합시, 상기 제1 서브 감지부에 형성된 누수 감지 인쇄회로기판의 도전성 패턴과 상기 제2 서브 감지부에 형성된 누수 감지 인쇄회로기판의 도전성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 서로 다른 두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부에서 누수되는 유체 감지에 적합한 누수감지 센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누수감지 센서{Apparatus for sensing a water leakage}
본 발명은 배관을 흐르는 유체의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감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를 이송하거나 공급하기 위한 배관라인에는 유체의 누수를 감지하기 위한 누수감지 센서가 구비된다.
누수감지 센서의 하나의 예는 누수감지 센서 2선 양극에 직류(DC)전원을 걸어 누수로 인한 저항이 감소한 경우 이때, 흐르는 전류를 확인하여 누수 여부를 판단한다. 그래서, 센서 점검을 할때 테스터기로 2선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도통이 되어 있는 경우 누수되었다고 주로 판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통상의 누수감지 센서 및 그 시스템은 배관라인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누수를 감지하도록 배관라인을 따라 전체적으로 설치된다.
하지만, 실제적으로 누수는 서로 다른 두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부에서 주로 발생된다.
따라서, 그에 맞게 누수감지 센서 및 그 시스템을 제작 운용함으로 설치 및 관리 면 등에서 이익을 가져올 수 있다.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은 다음과 같다.
1. 국내출원번호 제10-2008-0041870호, 발명의 명칭 : 누수 감지 장치
2. 국내출원번호 제10-2013-0046513호, 발명의 명칭 : 누수감지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서로 다른 두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부에서 누수되는 유체 감지에 적합한 누수감지 센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 센서는,
유체가 흐르는 배관부를 감싸 탈착 가능하도록 상호 간에 분리 결합되는 제1 서브 감지부와 제2 서브 감지부로 구성된 하우징 및, 상기 제1 서브 감지부와 상기 제2 서브 감지부 상에 각기 형성된 누수 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누수 감지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배관부 전체 둘레를 따라 흐르는 누수 영역을 커버하도록 서로 접촉하지 않게 배열된 플러스 도전성 패턴(+)과 마이너스 도전성 패턴(-)을 구성하고, 상기 도전성 패턴과 누수 유체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플러스 도전성 패턴(+)과 상기 마이너스 도전성 패턴(-) 간의 전위차를 서로 다르게 발생시켜 누수를 감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1 서브 감지부와 상기 제2 서브 감지부의 결합시, 상기 제1 서브 감지부에 형성된 누수 감지 인쇄회로기판의 도전성 패턴과 상기 제2 서브 감지부에 형성된 누수 감지 인쇄회로기판의 도전성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서브감지부와 상기 제2 서브감지부의 상호 잠금 결합용 락킹(Locking)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누수감지 센서는 서로 다른 두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부에서 흐르는 유체를 감지하도록, 상기 연결부와 인접된 배관부 단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 센서는,
유체가 흐르는 배관부를 감싸 탈착 가능하도록 상호 간에 분리 결합되는 제1 서브 감지부와 제2 서브 감지부로 구성된 하우징 및, 상기 제1 서브 감지부와 상기 제2 서브 감지부 상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패턴은 상기 배관부 전체 둘레를 따라 흐르는 누수 영역을 커버하도록 서로 접촉하지 않게 배열된 플러스 도전성 패턴(+)과 마이너스 도전성 패턴(-)을 구성하고, 상기 도전성 패턴과 누수 유체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플러스 도전성 패턴(+)과 상기 마이너스 도전성 패턴(-) 간의 전위차를 서로 다르게 발생시켜 누수를 감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1 서브 감지부와 상기 제2 서브 감지부의 결합시, 상기 제1 서브 감지부의 도전성 패턴과 상기 제2 서브 감지부의 도전성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서브감지부와 상기 제2 서브감지부의 상호 잠금 결합용 락킹(Locking)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누수감지 센서는 서로 다른 두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부에서 흐르는 유체를 감지하도록, 상기 연결부와 인접된 배관부 단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누수된 유체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플러스 도전성 패턴(+)과 마이너스 도전성 패턴(-) 간의 전위차를 서로 다르게 발생시켜 누수를 감지함으로써, 누수감지 센서를 용이하게 만들수 있고, 특히, 서로 다른 두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부에서 누수되는 유체 감지시에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 센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 센서가 설치되는 사용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 센서의 다른 예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 센서가 설치되는 사용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 센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 센서(100)는 배관부 특히, 원형의 배관부를 감싸서 특정 위치(즉, 서로 다른 두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부)에 흐르는 유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분리 결합가능한 제1 서브 감지부와 제2 서브 감지부로 구성된 하우징(101), 누수된 유체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플러스 도전성 패턴(104)(+)과 마이너스 도전성 패턴(105)(-) 간의 전위차를 서로 다르게 발생시켜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 감지 인쇄회로기판(103), 제1 서브 감지부의 도전성 패턴과 상기 제2 서브 감지부의 도전성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106)를 포함한다.
하우징(101)(housing, 사출물)은 유체가 흐르는 배관부를 감싸 탈착 가능하도록 상호 간에 분리 결합되는 제1 서브 감지부와 제2 서브 감지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 서브 감지부와 제2 감지부 상에 각기 누수 감지 인쇄회로기판(103)이 형성된다.
누수 감지 인쇄회로기판(103)은 제1 서브 감지부와 제2 서브 감지부 상에 각기 형성된다. 상기 누수 감지 인쇄 회로기판(103)은 배관부 전체 둘레를 따라 흐르는 누수 영역을 커버하도록 서로 접촉하지 않게 배열된 플러스 도전성 패턴(104)(+)과 마이너스 도전성 패턴(105)(-)을 구성하고, 상기 도전성 패턴과 누수 유체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플러스 도전성 패턴(104)(+)과 상기 마이너스 도전성 패턴(105)(-) 간의 전위차를 서로 다르게 발생시켜 누수를 감지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전성 패턴과 누수된 유체가 접촉되는 경우에는 플러스 도전성 패턴(104)(+)과 마이너스 도전성 패턴(105)(-) 간의 전위차를 높게 발생시켜 누수가 발생되었음을 감지하도록 하고, 도전성 패턴과 누수된 유체가 접촉되는 경우에는 플러스 도전성 패턴(104)(+)과 마이너스 도전성 패턴(105)(-) 간의 전위차를 낮게 발생시켜 누수가 발생되지 않았음을 감지하도록 한다.
커넥터(106)는 상기 제1 서브 감지부와 상기 제2 서브 감지부의 결합시, 상기 제1 서브 감지부에 형성된 누수 감지 인쇄회로기판의 도전성 패턴과 상기 제2 서브 감지부에 형성된 누수 감지 인쇄회로기판의 도전성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즉, 제1, 2 서브 감지부 중 어느 하나의 감지부 상의 누수 감지 인쇄회로기판 도전성 패턴 끝단부와 연결되는 다른 서브 감지부 간 결합 부위의 일단에 도전성 철부가 구성되고, 상기 다른 감지부 상의 누수 감지 인쇄회로기판 도전성 패턴 끝단부와 연결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감지부 간 결합 부위의 일단에 도전성 요부가 구성되어 상기 제1 서브 감지부와 상기 제2 서브 감지부의 결합시, 상기 제1 서브 감지부에 형성된 누수 감지 인쇄회로기판의 도전성 패턴과 상기 제2 서브 감지부에 형성된 누수 감지 인쇄회로기판의 도전성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락킹(Locking)부(102)는 상기 제1 서브감지부와 상기 제2 서브감지부의 상호 잠금 결합용 락킹(Locking)부이다. 상기 락킹부(102)는 제1, 2 서브 감지부 중 어느 하나의 감지부 상의 끝단부에 잠금 결합용 철부가 구성되고, 상기 다른 감지부 상의 끝단부에 잠금 결합용 요부가 구성되어 상기 제1 서브 감지부와 상기 제2 서브 감지부를 상호 잠금 결합시킨다. 상기 잠금 결합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잠금 결합용 철부는 다른 쪽 감지부와 결합되는 부위가 가까운 곳이 높이는 낮고 먼 곳이 높이가 높아지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되고, 잠금 결합용 요부는 상기 잠금 결합용 철부를 잠금시킬 수 있도록 구멍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 센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즉,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 센서는 누수 감지 인쇄 회로기판(103)이 배관부 전체 둘레를 따라 흐르는 누수 영역을 커버하도록 서로 접촉하지 않게 배열된 플러스 도전성 패턴(104)(+)과 마이너스 도전성 패턴(105)(-)을 구성하고, 상기 도전성 패턴과 누수 유체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플러스 도전성 패턴(104)(+)과 상기 마이너스 도전성 패턴(105)(-) 간의 전위차를 서로 다르게 발생시켜 누수를 감지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전성 패턴과 누수된 유체가 접촉되는 경우에는 플러스 도전성 패턴(104)(+)과 마이너스 도전성 패턴(105)(-) 간의 전위차를 높게 발생시켜 누수가 발생되었음을 감지하도록 하고, 도전성 패턴과 누수된 유체가 접촉되는 경우에는 플러스 도전성 패턴(104)(+)과 마이너스 도전성 패턴(105)(-) 간의 전위차를 낮게 발생시켜 누수가 발생되지 않았음을 감지하도록 한다.
그렇게 하여, 누수된 유체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플러스 도전성 패턴(+)과 마이너스 도전성 패턴(-) 간의 전위차를 서로 다르게 발생시켜 누수를 감지함으로써, 누수감지 센서를 용이하게 만들수 있고, 특히, 서로 다른 두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부에서 누수되는 유체 감지시에 효과적이다.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 센서가 설치되는 사용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 센서는 서로 다른 두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부(200)에 흐르는 유체를 감지하도록 설치한다. 즉, 일반적으로 배관 전체에 따라 새는 누수를 감지하도록 센서가 설치되는데, 주목할 점은 누수되는 유체는 서로 다른 두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부(200)에서 주로 누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특징에 따라 서로 다른 두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부(200)에서 흐르는 유체를 감지하도록, 상기 연결부(200)와 인접된 배관부 단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 센서의 다른 예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 센서의 다른 예는 도 1의 누수감지 센서와 달리 하우징(301)(사출물)에 직접 도전성 패턴이 형성된 것이다. 즉, 배관부 특히, 원형의 배관부를 감싸서 특정 위치(즉, 서로 다른 두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부)에 흐르는 유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분리 결합가능한 제1 서브 감지부와 제2 서브 감지부로 구성된 하우징(301), 누수된 유체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플러스 도전성 인쇄 패턴(303)(+)과 마이너스 도전성 패턴(304)(-) 간의 전위차를 서로 다르게 발생시켜 누수를 감지하는 도전성 패턴, 제1 서브 감지부의 도전성 패턴과 상기 제2 서브 감지부의 도전성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305)를 포함한다.
하우징(301)(housing, 사출물)은 유체가 흐르는 배관부를 감싸 탈착 가능하도록 상호 간에 분리 결합되는 제1 서브 감지부와 제2 서브 감지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 서브 감지부와 제2 감지부 상에 각기 도전성 패턴이 형성된다.
도전성 패턴은 제1 서브 감지부와 제2 서브 감지부 상에 각기 형성된다. 상기 도전성 패턴은 배관부 전체 둘레를 따라 흐르는 누수 영역을 커버하도록 서로 접촉하지 않게 배열된 플러스 도전성 인쇄 패턴(303)(+)과 마이너스 도전성 패턴(304)(-)을 구성하고, 상기 도전성 패턴과 누수 유체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플러스 도전성 인쇄 패턴(303)(+)과 상기 마이너스 도전성 패턴(304)(-) 간의 전위차를 서로 다르게 발생시켜 누수를 감지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전성 패턴과 누수된 유체가 접촉되는 경우에는 플러스 도전성 인쇄 패턴(303)(+)과 마이너스 도전성 패턴(304)(-) 간의 전위차를 높게 발생시켜 누수가 발생되었음을 감지하도록 하고, 도전성 패턴과 누수된 유체가 접촉되는 경우에는 플러스 도전성 인쇄 패턴(303)(+)과 마이너스 도전성 패턴(304)(-) 간의 전위차를 낮게 발생시켜 누수가 발생되지 않았음을 감지하도록 한다.
연결부(305)는 상기 제1 서브 감지부와 상기 제2 서브 감지부의 결합시, 상기 제1 서브 감지부의 도전성 패턴과 상기 제2 서브 감지부의 도전성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즉, 제1, 2 서브 감지부 중 어느 하나의 감지부 상의 도전성 패턴 끝단부와 연결되는 다른 서브 감지부 간 결합 부위의 일단에 도전성 철부가 구성되고, 상기 다른 감지부 상의 도전성 패턴 끝단부와 연결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감지부 간 결합 부위의 일단에 도전성 요부가 구성되어 상기 제1 서브 감지부와 상기 제2 서브 감지부의 결합시, 상기 제1 서브 감지부의 도전성 패턴과 상기 제2 서브 감지부의 도전성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락킹(Locking)부(302)는 상기 제1 서브감지부와 상기 제2 서브감지부의 상호 잠금 결합용 락킹(Locking)부이다. 상기 락킹부(302)는 제1, 2 서브 감지부 중 어느 하나의 감지부 상의 끝단부에 잠금 결합용 철부가 구성되고, 상기 다른 감지부 상의 끝단부에 잠금 결합용 요부가 구성되어 상기 제1 서브 감지부와 상기 제2 서브 감지부를 상호 잠금 결합시킨다. 상기 잠금 결합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잠금 결합용 철부는 다른 쪽 감지부와 결합되는 부위가 가까운 곳이 높이는 낮고 먼 곳이 높이가 높아지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되고, 잠금 결합용 요부는 상기 잠금 결합용 철부를 잠금시킬 수 있도록 구멍으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 센서가 설치되는 사용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 센서는 서로 다른 두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부(400)에 흐르는 유체를 감지하도록 설치한다. 즉, 일반적으로 배관 전체에 따라 새는 누수를 감지하도록 센서가 설치되는데, 주목할 점은 누수되는 유체는 서로 다른 두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부(400)에서 주로 누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특징에 따라 서로 다른 두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부(400)에서 흐르는 유체를 감지하도록, 상기 연결부(400)와 인접된 배관부 단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하우징 102 : 락킹(Locking)부
103 : 누수 감지 인쇄회로기판 104 : 플러스 도전성 패턴
105 : 마이너스 도전성 패턴 106 : 커넥터

Claims (6)

  1. 유체가 흐르는 배관부를 감싸 탈착 가능하도록 상호 간에 분리 결합되는 제1 서브 감지부와 제2 서브 감지부로 구성된 하우징; 및
    상기 제1 서브 감지부와 상기 제2 서브 감지부 상에 각기 형성된 누수 감지 인쇄회로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서로 다른 두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부에 연결된 유체가 흐르는 배관부를 상기 제1 서브 감지부와 제2 서브 감지부가 상호 간에 감싸 탈착 가능하도록 분리 결합되어 된 것이고,

    상기 누수 감지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서로 다른 두 배관을 연결하는 누수 유체와의 접촉 여부에 따른 상이한 두 극성의 도전성 패턴 간에 전위차를 사용하여 누수를 감지하여 된 것이고,

    상기 누수를 감지하여 된 것은,
    상기 배관부 전체 둘레를 따라 흐르는 누수 영역을 커버하도록 서로 접촉하지 않게 배열된 플러스 도전성 패턴(+)과 마이너스 도전성 패턴(-)을 구성하고, 상기 도전성 패턴과 누수 유체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플러스 도전성 패턴(+)과 상기 마이너스 도전성 패턴(-) 간의 전위차를 서로 다르게 발생시켜 누수를 감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1 서브 감지부와 상기 제2 서브 감지부의 결합시, 상기 제1 서브 감지부에 형성된 누수 감지 인쇄회로기판의 도전성 패턴과 상기 제2 서브 감지부에 형성된 누수 감지 인쇄회로기판의 도전성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를 구성하고,

    상기 제1 서브감지부와 상기 제2 서브감지부의 상호 잠금 결합용 락킹(Locking)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서브 감지부와 제2 서브 감지부로 구성된 하우징과 상기 제1 서브 감지부와 상기 제2 서브 감지부 상에 각기 형성된 누수 감지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제1 서브감지부와 상기 제2 서브감지부의 상호 잠금 결합용 락킹(Locking)부는,
    서로 다른 두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부에서 흐르는 유체를 감지하도록, 상기 연결부와 인접된 배관부 단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 센서.
  2. 삭제
  3. 삭제
  4. 유체가 흐르는 배관부를 감싸 탈착 가능하도록 상호 간에 분리 결합되는 제1 서브 감지부와 제2 서브 감지부로 구성된 하우징; 및
    상기 제1 서브 감지부와 상기 제2 서브 감지부 상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서로 다른 두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부에 연결된 유체가 흐르는 배관부를 상기 제1 서브 감지부와 제2 서브 감지부가 상호 간에 감싸 탈착 가능하도록 분리 결합되어 된 것이고,

    상기 도전성 패턴은,
    상기 서로 다른 두 배관을 연결하는 누수 유체와의 접촉 여부에 따른 상이한 두 극성의 도전성 패턴 간에 전위차를 사용하여 누수를 감지하여 된 것이고,

    상기 누수를 감지하여 된 것은,
    상기 배관부 전체 둘레를 따라 흐르는 누수 영역을 커버하도록 서로 접촉하지 않게 배열된 플러스 도전성 패턴(+)과 마이너스 도전성 패턴(-)을 구성하고, 상기 도전성 패턴과 누수 유체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플러스 도전성 패턴(+)과 상기 마이너스 도전성 패턴(-) 간의 전위차를 서로 다르게 발생시켜 누수를 감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1 서브 감지부와 상기 제2 서브 감지부의 결합시, 상기 제1 서브 감지부의 도전성 패턴과 상기 제2 서브 감지부의 도전성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 를 구성하고,

    상기 제1 서브감지부와 상기 제2 서브감지부의 상호 잠금 결합용 락킹(Locking)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서브 감지부와 제2 서브 감지부로 구성된 하우징과 상기 제1 서브 감지부와 상기 제2 서브 감지부 상에 각기 형성된 누수 감지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제1 서브감지부와 상기 제2 서브감지부의 상호 잠금 결합용 락킹(Locking)부는,
    서로 다른 두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부에서 흐르는 유체를 감지하도록, 상기 연결부와 인접된 배관부 단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 센서.
  5. 삭제
  6. 삭제
KR1020150086708A 2015-06-18 2015-06-18 누수감지 센서 KR101742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708A KR101742160B1 (ko) 2015-06-18 2015-06-18 누수감지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708A KR101742160B1 (ko) 2015-06-18 2015-06-18 누수감지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552A KR20160149552A (ko) 2016-12-28
KR101742160B1 true KR101742160B1 (ko) 2017-05-31

Family

ID=57724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708A KR101742160B1 (ko) 2015-06-18 2015-06-18 누수감지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1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7764B1 (ko) * 2021-11-04 2024-05-21 (주)코맷 배관의 화학물질 누설 감지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552A (ko)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7428B2 (ja) 取り換え可能なライナー/電極モジュールを有する磁気流量計流管アセンブリ
US20130305815A1 (en) Oil leak detection device
RU2011104480A (ru) Шланг с системой обнаружения неисправностей
US20100127460A1 (en) Seals with integrated leak detection capability
US8299803B2 (en) Protection of unsealed electrical connectors
KR20110059000A (ko) 유체관 연결부의 리크감지장치
KR101518838B1 (ko) 배관용 통전형 개스킷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점검방법
KR20190111237A (ko) 정전용량형 누설 감지 센서
KR101742160B1 (ko) 누수감지 센서
KR20100138523A (ko) 화재감지기능을 갖는 리크감지장치
KR20160116919A (ko)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
CN108756861A (zh) 一种井下测温测压装置
CA3130874A1 (en) Pressure seal with built in testing system
JP2015159159A (ja) 半導体液冷モジュール
KR101939652B1 (ko) 발열구조를 갖는 리크감지센서용 케이스
CN209027738U (zh) 一种漏水检测装置
KR101847090B1 (ko) 누설 및 누설위치 감지 센서
CN101203751A (zh) 测量仪器
KR20070117382A (ko) 압력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파이프 조인트의 누출 감지장치
TW201740415A (zh) 電纜式浮球液位開關之改良防水結構
KR101101579B1 (ko) 자가누수진단테이프 및 이를 포함한 자가누수진단장치
KR101952340B1 (ko) 영역 구분형 누설 감지 센서
KR102050398B1 (ko) 반도체 장비용 누설감지센서
KR20190111239A (ko) 정전용량형 리니어 센서
JP6340890B2 (ja) 水位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