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3559A -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3559A
KR20170013559A KR1020150106347A KR20150106347A KR20170013559A KR 20170013559 A KR20170013559 A KR 20170013559A KR 1020150106347 A KR1020150106347 A KR 1020150106347A KR 20150106347 A KR20150106347 A KR 20150106347A KR 20170013559 A KR20170013559 A KR 20170013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groove
film
connector
needle
conduct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충식
Original Assignee
심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충식 filed Critical 심충식
Priority to KR1020150106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3559A/ko
Publication of KR20170013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5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0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teeth, prongs,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e insulation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PCB, 인쇄전자필름, 액체감지테이프, 각종 센서필름 등의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름재질의 테이프 형식으로 된 누설감지센서와 누설감지센서를 연결하거나, 누설감지센서와 전선케이블을 연결하여 전원 또는 전기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커넥터몸체의 전방과 상측이 개방되어 필름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필름수용홈의 후방부위에는 침상형가압단자가 고정되며, 필름수용홈의 바닥부위에는 잡착테이프 수용홈이 형성되어 이에 양면접착테이스의 하부면이 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부면으로는 전도성 필름을 부착시키며,
상기 필름수용홈의 후방부위에는 전도성 필름의 각 채널회로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침상형가압단자가 고정되고, 상기 침상형가압단자는 전도성 필름을 각 채널에 물림방식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필름수용홈의 상측 둘레를 따라서는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보호커버가 상기 필름수용홈의 상측으로 덮여지면서 침상형가압단자를 가압하여 침상형가압단자와 전도성 필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과 아울러 걸림돌기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Linking connector of the conductive film}
본 발명은 FPCB, 인쇄전자필름, 액체감지테이프, 각종 센서필름 등의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름재질의 테이프 형식으로 된 누설감지센서와 누설감지센서를 연결하거나, 누설감지센서와 전선케이블을 연결하여 전원 또는 전기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름소재로 개발된 FPCB, 인쇄전자필름, 액체감지테이프, 각종 센서필름 등의 다양한 전도성 회로는 각 산업에서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접착형 필름 형태로 되어 그 접착테이프 상에 액체누설과 관련된 전기적 신호전송을 위한 채널이 구현된 필름형 액체누설감지 접착테이프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전도성 필름은 그 면적이나 길이가 한정되어 있어서, 여러 개의 필름을 연장하여 연결하거나 일반 각종 전선케이블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필름상에 구현된 채널 회로를 납땜에 의하여 연결하거나 아니면 일정길이 단위로 그 끝부분에 일반 접속커넥터를 미리 형성하여 상호 연결하게 된다.
그러나, 필름형 액체누설감지 테이프의 경우 액체 누설발생이 염려되는 장소나 시설의 바닥이나 벽면에 접착테이프를 설치하고, 접착테이프의 길이가 부족하거나 전선케이블과 연결하는 등의 경우에는 새로운 접착테이프와 납땜 연결에 의하여 채널을 연결하게 되지만, 이는 납땜을 위한 장비와 전원이 필름형 액체누설감지 테이프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 주변에 구비되어야 하며, 작업자가 일일이 다수개의 채널들을 연결하여 납땜을 하는 복잡하고 비능률적인 작업이 필요함으로써 연장설치와 작업능률의 수월성이 떨어져 필요이상의 인력 및 시간의 낭비를 초래하고, 이로 인한 설치비용 및 관리비용의 증대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여러 개의 전도성 필름을 연장하거나 일반 전선케이블과 전도성 필름을 연결하고자 하는 몇몇 일반적인 커넥터 단자가 개발되어 산업별로 사용되고는 있지만, 박막의 여러 종류 전도성 필름을 쉽게 관통시킬 수 있어 어느 장소에서든 사용하기 편리하고, 커넥터 단자와 필름의 전도성 회로가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부분이 매우 강한 물리적 충격에도 저항변화 없고, 전도성 필름의 회로두께가 매우 얇은 박막의 경우에도 커넥터와의 연결에 있어 전기적 회로연결에 도통 불량이 발생되거나 접촉저항이 높아지는 문제가 없어야 하는 등의 다양한 조건을 갖춘 커넥터 단자는 아직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여, 등록특허 제10-1070693에서 필름형 액체누설감지 테이프, FPCB, 면상발열체 등의 필름을 이용하여 전원 또는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도성 필름을 간편하고, 별다른 도구없이 서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를 이미 제안된 바 있다.
이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는 도1에서와 같이 상부에 덮개(200)를 수용하여 체결하기 위한 덮게 체결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 체결홈(110)에는 덮개(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접촉단자(1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 체결홈(110)의 바닥면에는 덮개(200)의 핀(211)이 삽입되기 위한 핀홈(121)이 형성되어 덮개(200)의 하부와 덮개(200)이 하부와 덮개 체결홈(110)의 바닥면 사이에 전도성 필름(300)을 수용할 때 덮개의 핀(211)이 전도성 필름(300)을 관통하도록 구성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는 또 다른 본체와 케이블(130)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면서 상기 케이블에는 착탈이 가능한 연결구(140)가 구비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는 덮개(200)의 전도판(210)에 다수의 핀(211)이 형성되고, 본체(100)에는 전도성 필름(300)을 관통한 핀(211)이 삽입되도록 핀(2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핀홈(211)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어, 핀홈(121)과 핀(211)의 위치가 정확히 맞아서 전도성 필름(300)을 관통해야 하므로 제조공정에서 정밀한 가공이 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제조공정이 수월치 않고 정밀도에 따른 불량 발생율이 높은 단점이 있으며, 전도성 필름(300)을 연결하는 현장에서도 작업자가 정확히 핀(211)과 핀홈(121)을 맞쳐서 덮개(200)를 본체(100)에 체결하여야 하므로 연결 작업이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핀(211)의 구조가 끝이 날카로운 형태로 되어 전도성 필름(300)을 완전히 관통하지 않고 핀의 끝부분만 관통한 경우에 외부에서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파손되면서 쉽게 전도성 필름(300)이 본체(100)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전도성 필름(300)의 채널회로(310)와 핀(211)이 서로 전기적으로 완벽히 도통되지 않아 접촉불량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전도성 필름(300)에서 채널회로(310)의 회로두께가 매우 얇은 박막 회로를 갖거나, 이러한 회로의 상부면에 보호필름층 또는 코팅층이 형성되어 채널회로(3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전도성 필름(300)은 상기의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를 이용하여 채널회로(310)의 상부면에 형성된 보호필름층 또는 코팅층을 관통하여 하부의 채널회로(310)와 핀(211)이 서로 전기적인 신호연결에 있어 접촉불량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다양한 두께와 재질을 갖는 전도성 필름(300)을 핀(211)에 의해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시킬 때 핀(221) 두께가 매우 얇거나 작아, 종종 몇몇의 핀(221)이 휘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면 더 이상 상기의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 전체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로 잦은 커넥터 교체가 발생되어 손실이 크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전도성 필름의 채널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양한 모양의 핀 형식의 침상형가압단자를 위치시켜, 전도성 필름의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핀 길이가 서로 다른 압착단자에 의해 관통하도록 하므로써 전도성 필름의 회로두께가 매우 얇은 박막에서도 상호 접촉불량 없이 통전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커넥터의 압착단자가 전도성 필름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시키는 구조에서의 방수문제 해결방안은; 양면접착제 테이프를 커넥터몸체의 전도성 필름 수용홈 바닥면과 커넥터 보호커버 안쪽에 조립하여, 전도성 필름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서 서로 압착 조립하는 방수구조를 갖는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커넥터몸체에 조립되는 각각의 압착단자에 문제가 발생되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을 경우에는, 문제가 되는 압착단자만 커넥터몸체에서 쉽게 분리하여 새로운 압착단자로 교체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구나, 이러한 커넥터가 각종 전선케이블과 커넥터 내부의 회로PCB 및 압착단자에 따른 사출몰딩조립, 원형연결구조립, 각형연결구조립과 같은 다양한 조립방식으로 전도성 필름을 현장설치 시 다양하고 간편한 방식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는,
바닥면에 고정되는 커넥터몸체의 측면부 홈은 전도성 필름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어, 양면접착제 테이프를 커넥터몸체의 전도성 필름 수용홈 바닥면과 커넥터 보호커버 안쪽에 조립하여 전도성 필름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서 서로 압착 조립되는 방수구조를 갖고,
전도성 필름을 연결하기 위한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 단자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기 수용홈 안쪽에는 복수의 홈부 및 홈부로부터 상측으로 굴곡되어 탄성을 갖는 탄성연결간, 상기 탄성연결간의 상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하부몸체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부몸체의 홈부가 형성된 위치와 대응된 위치에 하측으로 돌출되면서 하부받침치 보다 길게 형성된 상부 침상형 물림치를 갖는 상부몸체;로 구성된다.
상부물림치와 하부받침치를 갖는 침상형 압착단자가 전도성 필름의 채널회로에 대응된 위치와 개수를 가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몸체의 침상형 압착단자의 상부물림치와 하부받침치에 의해 서로 1:1 대응 되도록 각각의 압착단자가 전도성 필름을 쉽게 관통될 수 있도록 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전도성 필름의 채널회로가 매우 얇은 두께의 박막 회로라인이 형성되고, 이러한 채널회로 상단부에 보호필름층 또는 코팅층으로 조립된 상태의 전도성 필름을 상기의 커넥터 압착단자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통전시키기 위해서는, 전도성 필름의 채널회로 별 위치한 각각의 압착단자 핀(Pin) 길이에 서로 단차를 두어 보호필름층 또는 코팅층이 있는 전도성 필름을 상부에서 하부로 길이 단차가 있는 압착단자 핀에 의해 관통시켜, 전기적 접촉불량 문제발생 없이 채널회로와 압착단자 간의 완벽한 전기적 통전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커넥터몸체에 조립되는 각각의 침상형 압착단자에 문제가 발생되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을 경우에는, 커넥터몸체 내부에 탄성을 갖는 접촉단자가 조립되어 있는 PCB에 의해, 문제가 되는 압착단자만 커넥터몸체에서 쉽게 분리하여 새로운 압착단자로 교체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발명은 바닥면에 고정되는 커넥터몸체의 측면부 홈은 전도성 필름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어, 양면접착제 테이프를 커넥터몸체의 전도성 필름 수용홈 바닥면과 커넥터 보호커버 안쪽에 조립하여 전도성 필름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서 서로 압착 조립되는 방수구조를 갖을 수 있다.
그리고 전도성 필름의 채널회로의 회로라인 두께가 매우 얇거나 전도성 필름의 채널회로 상단부에 각종 보호필름 또는 코팅층이 형성되면, 기존의 길이 단차가 없는 압착단자로는 통전불량과 접촉저항이 높아지는 불량이 발생되므로 커넥터몸체에 조립되는 압착단자의 각각 핀 길이에 단차를 주어 접촉저항 불량 없이 완벽한 통전 구조를 만들 수 있어 전도성 필름을 각종 현장설치 시 다양하고 간편한 방식으로 응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커넥터몸체에 조립되는 각각의 압착단자가 휘어지거나 끝이 무뎌져 더 이상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될 경우에는, 문제가 되는 압착단자만 커넥터몸체에서 쉽게 분리하여 새로운 압착단자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의 무분별한 손실을 줄이고 커넥터몸체를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의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종래의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의 압착단자와 전도성 필름의 회로가 상호 도통되는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와 전도성 필름을 조립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5는 다수의 침상형 압착단자가 전도성 필름과 조립되는 구조를 보인 도.
도6은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침상형 압착단자와 PCB의 구조를 보인 도.
도7은 침상형 압착단자를 PCB에 납땜 고정하여 조립되는 구조를 보인 도.
도8은 전선케이블 또는 케이블과 연결되는 핀 단자와 연결이 가능한 침상형 압착단자의 구조를 보인 도.
도9는 두 개의 전도성 필름을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를 기준으로 앞뒤에서 서로 연결시킬 수 있는 구조를 보인 도.
도10은 두 개의 전도성 필름을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를 기준으로 ??형태로 90도 각도로 연결시킬 수 있는 구조를 보인 도.
도11은 원형 연결구를 이용한 커넥터와 전선케이블의 각종 체결방안을 보인 도.
도12은 사출몰딩 연결구를 이용한 커넥터와 전선케이블의 각종 체결방안을 보인 도.
도13은 각형 연결구를 이용한 커넥터와 전선케이블의 각종 체결방안을 보인 도.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조립 사시도로서, 상측과 일측이 개방된 커넥터몸체(400)의 필름수용홈(480) 안쪽으로 도전성필름(300, 320)이 삽입된 후 보호커버(500)가 조립되어 필름수용홈(480)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턱(440, 440-1, 440-2, 440-3)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로, 도전성필름(300, 320)이 삽입되는 커넥터몸체(400) 반대쪽으로는 내부의 PCB(800)와 납땜 조립된 케이블전선(420)을 사출몰딩(410)하여 커넥터몸체(400)와 방수성능을 갖을 수 있게 일체화시켜, 케이블전선(420)을 통해 또 다른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 또는 제어장치 등과 상호 전기적 신호를 전송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4는 도3의 조립 완성된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를 분해한 사시도로써, 도4의 (a)는 커넥터몸체(400)의 체결홈(450)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수용홈(460) 안쪽으로 분리가 가능한 침상형압착단자(700)를 삽입하여, 내부의 PCB(800)와 함께 조립된 탄성접촉단자(820)와 접촉시키므로 이와 연결된 전선케이블(420)을 통하여 각종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침상형압착단자(700)가 조립되는 커넥터몸체(400) 반대 방향으로는 전도성 필름(300, 320)이 필름수용홈(480)과 체결홈(450) 안쪽으로 삽입되어 접착테이프수용홈(470) 안쪽으로 양면접착테이프(600)를 조립한 후 그 상부면에 안착시키면서, 침상형압착단자(700)의 탄성연결간(750)을 기준으로 상부결결간(750)을 기준으로 상부몸체와 하부받침치(720) 사이로 전도성 필름(300, 320)을 위치시켜 상부몸체를 하부로 가압하므로 전도성 필름(300, 320)의 채널회로(310)와 압착단자가 서로 도통된다.
이후 도4의 (b)와 같이 커넥터 보호커버(500)의 하부면 접착테이프수용홈(510)에 양면접착테이프(600)를 커넥터몸체(400) 안쪽 침상형압착단자(700)의 돌출부와 조립되는 간섭부분을 회피하기 위한 단자홈(520, 610)과 일치시켜 조립한 후 커넥터몸체(400)의 체결홈(450)에 삽입하여 걸림돌기(440, 440-1, 440-2, 440-3)에 의한 완벽한 가압체결 구조를 갖고, 도4의 (c)와 같이 커넥터바닥면(430)에 별도의 양면접착테이프(600) 조립하거나 기타 접착제를 도포하여 각종 시설이나 바닥 표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5는 커넥터몸체(400) 내부에서 침상형압착단자(700)와 전도성 필름(300, 320)의 채널회로(310)가 서로 연결되는 원리를 보여주는 도로써, 단자몸체(710)가 PCB(800) 상부면 PCB회로(810) 위 각 채널 별로 납땜 조립되어 핀 길이 단차를 갖는 침상형가압단자(700)가 탄성연결간(750)을 기준으로 상부몸체와 하부받침치(720) 사이에 도전성필름(300, 320)이 삽입되어 침상형가압단자(700)가 하부로 가압된다. 따라서, 침상형가압단자(700)의 각 핀은 전도성 필름(300, 320)을 하부받침치(720) 상부면에서의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보다 수월하게 다양한 깊이로 관통시켜 채널회로(310)와 단자가 서로 접촉되어 통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6는 분해 조립이 가능한 걸림돌기(710)를 갖는 침상형가압단자(700)와 조합된 PCB(800)의 구조를 보인도로써, 도6의 (a)는 걸림돌기(710)와 핀 길이 단차를 갖는 침상형가압단자(700)와 PCB(800)가 서로 조립된 사시도를 보인 도이고, 도6의 (b)는 PCB(800) 상부면 PCB회로(810) 일단부에 탄성접촉단자(820)를 납땜으로 고정 조립하고, 그 반대편은 걸림돌기(710)가 있는 침상형가압단자(700) 위치시킨다.
그리고 도6의 (c)와 같이 위치시킨 침상형가압단자(700)를 탄성접촉단자(820) 안쪽으로 강하게 밀어 넣게 되면 단자몸체(730)가 탄성첩촉단자(820)에 의해 PCB회로(810) 상부면으로 가압되어지므로 전기적으로 도통될 수 있고, 탄성접촉단자(820)의 탄성에 의해 침상형가압단자(700)가 움직이지 않게 잡아주는 구조를 갖는다.
도7의 (a)는 도6의 침상형가압단자(700) 구조에서 걸림돌기(710)가 없고 단자몸체(730)만 있는 구조로써, 도7의 (b)와 (c)처럼 PCB(800) 상부면 PCB회로(810)에 핀 길이 단차를 갖는 침상형가압단자(700)를 위치시켜 납땜(421)에 의해 PCB(800), 전선케이블(420), 단자몸체(730)을 모두 함께 연결하여 전기적 도통이 되고, 전도성 필름(300, 320)의 채널회로(310)의 수량에 따라 다수의 채널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8은 핀 길이 단차를 갖는 침상형가압단자(700) 구조에서 그 끝부분이 원형홀더(740)로 형성된 구조로써, 전선케이블(420)의 전선코어(420-1) 또는 끝이 가늘고 긴 원형의 연결단자와 직접 조립되어 전기적 도통이 되고, 전도성 필름(300, 320)의 채널회로(310)의 수량에 따라 커넥터몸체(400) 내부에서 다수의 채널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9는 한 쌍의 도전성필름(300, 320)을 커넥터 몸체 양쪽 직선방향으로 연결하는 기능의 구조이고, 도10은 한 쌍의 도전성필름(300, 320)을 커넥터 양측면 '┓' 또는 '┯' 방향으로 연결하는 기능의 구조를 갖는다.
도11, 도12, 도13는 본 발명의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가 요구되는 장소에 설치 시 커넥터 체결부(900, 930, 940)의 다양한 조립방법을 이용하여 케이블전선(420)과 연결시켜 각종 전기신호를 외부로 전달시켜주기 위한 구조를 보인 도로써, 도11의 (a)는 커넥터몸체(400)와 수컷원형연결구(910)를 조립하고 암컷원형연결구(900)를 케이블전선(420)과 조립하여 상호 체결되는 구조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11의 (b)는 케이블전선(420)에 의해 한 쌍의 전도성 필름(300, 320)을 연결하는 구조를 보인 도이고, 도11의 (c)는 커넥터몸체(400)와 수컷원형연결구(910)를 조립하고 암컷원형연결구(900)를 케이블전선(420)과 조립하여 상호 체결되는 구조를 보인 도이고, 도11의 (d)는 전도성 필름(300, 320) 상부면의 채널회로(310) 끝단 부분를 서로 통전시키거나 칩저항 등을 연결하는 기능을 갖기 위한 암컷원형연결구(900)를 갖는 구조이다.
도12의 (a)는 커넥터몸체(400)와 사출몰딩연결구(930)를 케이블전선(420)과 조립하여 상호 체결되는 구조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12의 (b)는 케이블전선(420)에 의해 한 쌍의 전도성 필름(300, 320)을 연결하는 구조를 보인 도이고, 도12의 (c)는 커넥터몸체(400)와 사출몰딩연결구(930)를 케이블전선(420)과 조립하여 상호 체결되는 구조를 보인 도이고, 도12의 (d)는 전도성 필름(300, 320) 상부면의 채널회로(310) 끝 단 부분을 서로 통전시키거나 칩저항 등을 연결하는 기능을 갖기 위한 사출몰딩연결구(930)를 갖는 구조이다.
도13의 (a)는 각형연결구(940)와 케이블전선(420)이 사출몰딩에 의해 조립되어 한 쌍의 체결볼트(941)와 한 개의 방수가스켓(950)이 커넥터몸체(400)의 체결너트홈(942)에 의해 상호 체결되는 구조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13의 (b)는 케이블전선(420)에 의해 한 쌍의 전도성 필름(300, 320)을 연결하는 구조를 보인 도이고, 도13의 (c)는 각형연결구(940)와 케이블전선(420)이 사출몰딩에 의해 조립하여 한 쌍의 체결볼트(941)와 한 개의 방수가스켓(950)이 커넥터몸체(400)의 체결너트홈(942)에 의해 상호 체결되는 구조의 구조를 보인 도이고, 도13의 (d)는 전도성 필름(300, 320) 상부면의 체널회로(310) 끝 단 부분을 서로 통전시키거나 칩저항 등을 연결하는 기능을 갖기 위한 각형연결구(940)를 갖는 구조이다.
300 : 도전성필름 310 : 채널회로
320 : 보호필름층
400 : 커넥터몸체 410 : 사출몰딩
420 : 전선케이블 420-1 : 전선코어
421 : 납땜 430 : 커넥터바닥면
440, 440-1, 440-2, 440-3 : 걸림돌기
450 : 체결홈 460 : 단자수용홈
470 : 접착테이프수용홈 480 : 필름수용홈
500 : 보호커버 510 : 접착테이프수용홈
520, 610 : 단자홈 600 : 양면접착테이프
700 : 침상형가압단자 710 : 걸림돌기
720 : 하부받침치 730 : 단자몸체
740 : 원형소켓 750 : 탄성연결간
800 : PCB 810 : PCB회로
820 : 탄성접촉단자
900 : 암컷원형연결구 910 : 암컷원형연결구
930 : 사출몰딩연결구 940 : 각형연결구
941 : 체결볼트 942 : 체결너트홈
950 : 방수가스켓 960 : 체결회로

Claims (6)

  1. 커넥터몸체의 전방과 상측이 개방되어 필름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필름수용홈의 후방부위에는 침상형가압단자가 고정되며, 필름수용홈의 바닥부위에는 잡착테이프 수용홈이 형성되어 이에 양면접착테이스의 하부면이 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부면으로는 전도성 필름을 부착시키며,
    상기 필름수용홈의 후방부위에는 전도성 필름의 각 채널회로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침상형가압단자가 고정되고, 상기 침상형가압단자는 전도성 필름을 각 채널에 물림방식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필름수용홈의 상측 둘레를 따라서는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보호커버가 상기 필름수용홈의 상측으로 덮여지면서 침상형가압단자를 가압하여 침상형가압단자와 전도성 필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과 아울러 걸림돌기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몸체의 후방으로는 침상형가압단자와 연결되는 전선케이블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
  3. 커넥터몸체의 전방과 상측이 개방되어 필름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필름수용홈의 후방부위에는 침상형가압단자가 고정되며, 필름수용홈의 바닥부위에는 잡착테이프 수용홈이 형성되어 이에 양면접착테이스의 하부면이 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부면으로는 전도성 필름을 부착시키며,
    상기 필름수용홈의 후방부위에는 전도성 필름의 각 채널회로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침상형가압단자가 고정되고, 상기 침상형가압단자는 전도성 필름을 각 채널에 물림방식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필름수용홈의 상측 둘레를 따라서는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보호커버가 상기 필름수용홈의 상측으로 덮여지면서 침상형가압단자를 가압하여 침상형가압단자와 전도성 필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과 아울러 걸림돌기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커넥터 몸체의 일측이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 몸체의 타측은 커넥터 몸체의 일측과 대칭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
  4. 커넥터몸체의 전방과 상측이 개방되어 필름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필름수용홈의 후방부위에는 침상형가압단자가 고정되며, 필름수용홈의 바닥부위에는 잡착테이프 수용홈이 형성되어 이에 양면접착테이스의 하부면이 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부면으로는 전도성 필름을 부착시키며,
    상기 필름수용홈의 후방부위에는 전도성 필름의 각 채널회로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침상형가압단자가 고정되고, 상기 침상형가압단자는 전도성 필름을 각 채널에 물림방식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필름수용홈의 상측 둘레를 따라서는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보호커버가 상기 필름수용홈의 상측으로 덮여지면서 침상형가압단자를 가압하여 침상형가압단자와 전도성 필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과 아울러 걸림돌기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커넥터 몸체의 일측이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 몸체는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된 부위는 커넥터 몸체의 일측과 대칭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
  5. 제1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상형가압단자는
    판 형태의 단자몸체;
    상기 단자몸체로부터 상측으로 굴곡되어 탄성을 갖는 탄성연결간;
    상기 탄성연결간의 상측 끝단으로부터 단자몸체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하측으로는 복수의 가압핀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가압핀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가압단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케이블은 원형연결구, 각형연결구, 사출몰딩연결구 구조의 연결방식을 이용하여 또 다른 커넥터몸체와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
KR1020150106347A 2015-07-28 2015-07-28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 KR201700135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347A KR20170013559A (ko) 2015-07-28 2015-07-28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347A KR20170013559A (ko) 2015-07-28 2015-07-28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559A true KR20170013559A (ko) 2017-02-07

Family

ID=58108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347A KR20170013559A (ko) 2015-07-28 2015-07-28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35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799U (ko) * 2020-06-08 2021-12-15 오토센서코리아(주) 필름형 누설감지센서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799U (ko) * 2020-06-08 2021-12-15 오토센서코리아(주) 필름형 누설감지센서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0327B2 (en) Reinforcing metal fitting and a connector having the reinforcing metal fitting
US10630004B2 (en) Connection assisting member and circuit board assembly
KR101462729B1 (ko) 배선 단자 접속 장치
US20140335714A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070693B1 (ko)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
CA2918422A1 (en) Terminal for contacting an electrical conductor
KR101550994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1724637B1 (ko) 필름형 누설감지센서 연결용 커넥터
KR102031835B1 (ko) 기판 접속용 커넥터
US9853383B2 (en) Conductive polymer contacts for surface mount technology connectors
KR20170013559A (ko)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
JP2004227948A (ja) 同軸コネクタ
EP1311025A2 (en) Electronic-part mount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therefor
KR20170013564A (ko)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 단자
CA2811125C (en) Connector assembly
US20080146050A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724638B1 (ko) 필름형 누설감지센서 연결용 커넥터
US10892574B2 (en) Cable-to-board connector
JP5564678B2 (ja) コネクタ、スタック状電極への接続構造
EP2755281A1 (en) Connector
JP2010140687A (ja) 着脱式信号伝送装置
CN217983834U (zh) 模组连接器
US11184978B2 (en) Electric device
US8313341B1 (en) Guide element for a connector device
WO2010098513A1 (ko)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