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682B1 -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9682B1 KR102249682B1 KR1020190160577A KR20190160577A KR102249682B1 KR 102249682 B1 KR102249682 B1 KR 102249682B1 KR 1020190160577 A KR1020190160577 A KR 1020190160577A KR 20190160577 A KR20190160577 A KR 20190160577A KR 102249682 B1 KR102249682 B1 KR 1022496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bric
- dryer
- fabric softener
- weight
- com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4—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combined with or containing other objects
- C11D17/041—Compositions releasably affixed on a substrate or incorporated into a dispensing means
- C11D17/042—Water soluble or water disintegrable containers or substrates containing cleaning compositions or additives for cleaning composi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11D1/94—Mixtures with anionic, cationic or non-ionic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6—Powder; Flakes; Free-flowing mixtures;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1—Softening composi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06—Monohydric alcohols
- C11D3/201—Monohydric alcohols linear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41—Dihydric alcohols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65—Polyhydric alcohols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75—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005—Compositions containing perfumes; Compositions containing deodor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의 제조방법, 천연펄프와 비스코스 섬유로 구성된 원단을 준비하는 제1공정, 상기 원단을 접지한 후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2공정, 상기 정전기가 제거된 원단 표면에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구연산, 글리세린, 헥산디올, D-솔비톨, 대전방지제, 에탄올, 향료, 및 물로 구성된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함침시키는 제3공정 및, 상기 조성물 함침후 냉각시켜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를 제조하는 제4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고온처리에 따른 향 손실이 방지되어 향이 오랫동안 섬유내에 보존됨과 동시에 친환경적인 소재를 사용하여 생분해가 되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의 제조방법, 천연펄프와 비스코스 섬유로 구성된 원단을 준비하는 제1공정, 상기 원단을 접지한 후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2공정, 상기 정전기가 제거된 원단 표면에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구연산, 글리세린, 헥산디올, D-솔비톨, 대전방지제, 에탄올, 향료, 및 물로 구성된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함침시키는 제3공정 및, 상기 조성물 함침후 냉각시켜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를 제조하는 제4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고온처리에 따른 향 손실이 방지되어 향이 오랫동안 섬유내에 보존됨과 동시에 친환경적인 소재를 사용하여 생분해가 되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온처리에 따른 향 손실이 방지되어 향이 오랫동안 섬유내에 보존됨과 동시에 친환경적인 소재를 사용하여 생분해가 되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의 정전기 방지 및 유연성 부여의 목적으로 세탁시에 흔히 섬유유연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 사용량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특히 섬유유연제 처리후의 세탁섬유에서 느낄수 있는 향취는 세제 사용에 따른 세제 찌꺼기의 냄새를 차폐(maskin)해주는 효과와 의류 착용시 또는 착용 중에 상쾌한 느낌을 지속시켜 주는 이중의 효과를 준다.
최근에는 이러한 섬유유연제의 기본 기능인 정전기 방지와 유연성 부여란 측면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가진 가정용 섬유유연제가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국내에 시판 중인 가정용 섬유유연제는 보통의 경우 액상 타입되어 있으며, 흔히 일반 세탁기의 헹굼 시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건조기의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세탁후 건조기를 통해 세탁섬유물들을 건조시키는데 이때 강한 고열이 발생되어 세탁시 섬유유연제를 보급하더라도 건조과정에서 그 향이 대부분이 사라져 건조 후 섬유물에서는 향이 거의 나타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건조기용으로 사용되는 시트형(sheet type) 섬유유연제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는 적은 용량으로 가벼워서 사용이 간편한 점이 있긴하나 제조공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고온처리에 따른 향 손실이 방지되어 향이 오랫동안 섬유내에 보존됨과 동시에 친환경적인 소재를 사용하여 생분해가 되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의 제조방법, 천연펄프와 비스코스 섬유로 구성된 원단을 준비하는 제1공정, 상기 원단을 접지한 후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2공정, 상기 정전기가 제거된 원단 표면에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구연산, 글리세린, 헥산디올, D-솔비톨, 대전방지제, 에탄올, 향료, 및 물로 구성된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함침시키는 제3공정 및, 상기 조성물 함침후 냉각시켜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를 제조하는 제4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1공정에서 원단은 상기 천연펄프 50~90 중량% 및, 상기 비스코스 섬유 10~50 중량%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3공정의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5~20 중량%,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10~25 중량%, 상기 구연산은 1~10 중량%, 상기 글리세린은 5~15 중량%, 상기 헥산디올은 0.01~1 중량%, 상기 D-솔비톨은 0.1~1 중량%, 상기 대전방지제는 0.1~5 중량%, 상기 에탄올은 8~15 중량%, 상기 향료는 15~25 중량% 및 상기 물은 35~55 중량%인 것이 특징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2개의 알킬기를 갖으며, 액상형인 것이 특징이며, 상기 조성물은 3000~5000cp의 점도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인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는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생분해성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고온처리에 따른 향 손실이 방지되어 향이 오랫동안 섬유내에 보존되도록 하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는 생분해가 되어 환경에 친화적이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의 제조공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를 토대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본 발명의 본 발명의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 제조단계>
1. 제1공정: 원단 준비(S10)
먼저, 천연펄프와 비스코스 섬유로 구성된 원단을 준비한다.
설명하면, 상기 펄프(virgin pulp)는 목재나 그 밖의 섬유식물에서 기계적, 화학적 또는 그 중간방법에 의하여 얻는 셀룰로오스 섬유의 집합체로써 그 중에서도 천연펄프(virgin pulp) 주로 목재에서 얻어진 것으로 제지공정에서 이전에 사용된 적이 없는 펄프로써 형광증백제가 없어 안전하며 무수한 미세기공으로 이루어져 있어 장시간 섬유유연제의 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여기서 상기 천연펄프의 종류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 사용되는 침엽수 혹은 활엽수를 원료로 하는 황산염펄프, 아황산염펄프, 소다펄프 등의 화학펄프, GP, BCTMP 등의 기계펄프, 케나프, 황마, 마닐라마 등의 비목재섬유로부터 얻어지는 펄프, DIP 등의 펄프 등이 사용된다.
비스코스 섬유는 목재 펄프에서 얻어진 것으로 상대적으로 싸며 셀룰로오스가 기본물질로써 높은 흡수력, 부드러움 그리고 염색이 쉬운 특성이 있다.
이러한 상기 천연펄프와 비스코스 섬유는 통상 목재에서 얻어지는 소재인 바, 자연분해가 잘되는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해, 통상 섬유유연제 시트의 경우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함에 따라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어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소재가 된다.
이에 본 공정에서는 섬유유연제의 원단으로 미세플라스틱은 발생하지 않고 환경친화적이면서 생분해가 되어 자연오염도 시키지 않는 소재로써 상기와 같은 특징을 나타내는 천연펄프와 비스코스섬유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연펄프 50~90 중량% 및, 상기 비스코스 섬유 10~50 중량%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즉, 섬유유연제 조성물의 침투가 용이함과 동시에 섬유유연제 조성물이 갖고 있는 향성분이 보다 오랫동안 유지되기 위해서는 상기 천연펄프와 상기 비스코스 섬유는 일정비율로 혼합되어 구성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천연펄프가 50 중량%미만을 함유될 경우에는 향이 오랫동안 보존되기 어렵게 되며, 9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조성물 자체의 흡수율이 떨어져 옷감을 부드럽게 해주는 섬유유연제 자체 특징이 떨어지게 된다.
2. 제2공정: 원단의 정전기 제거(S20)
본 공정에서는 상기 원단을 접지한 후 정전기를 제거한다.
설명하면, 상기 천연펄프와 비스코스 섬유로 구성된 원단은 폴리플로필렌으로 구성된 섬유보다 흡습력은 좋지만 이물질 많이 부착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공정에서는 상기 원단들을 시트형태로 접지한 후, 정전기를 제거함으로써 정전기로 인한 먼지도 제거되고 원단자체의 먼지도 제거하여 하기와 같이 조성물이 원단에 더 잘 부착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해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온아이저를 사용하여 정전기 및 먼지를 제거해주는 것이 가장 좋다.
3. 제3공정: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원단에 함침(S30)
본 공정에서는 상기 정전기가 제거된 원단 표면에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구연산, 글리세린, 헥산디올, D-솔비톨, 대전방지제, 에탄올, 향료, 및 물로 구성된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함침시킨다.
설명하면, 상기 정전기가 제거된 원단표면에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도포한 후 함침시키는 것으로써, 상기 도포는 0.1~1 mm정도의 두께로 하고, 그 다음 이를 압착하여 상기 조성물들이 원단 내부로 스며들수 있도록 하여 보다 오랫동안 상기 조성물이 원단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보다 상세하게는 롤로라미네이팅 방식을 적용하여 원단위에 조성물을 눌러서 함침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러한 상기 조성물에는 고온처리에도 향 손실이 방지되어 향이 오랫동안 섬유내에 보존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특정 구성요소로 구성된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조성물의 구성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여러차례 연구한 결과,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구연산, 글리세린, 헥산디올, D-솔비톨, 대전방지제, 에탄올, 향료, 및 물로 구성된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제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가 물에 용해되었을 때 해리되어 계면활성을 나타내는 원자단이 양전하를 가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수중에서 음으로 하전된 섬유에 잘 흡착되어 다른 계면활성제에 비하여 강한 살균성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아민염, 4차 암모늄염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생분해도가 높은 에스터쿼터(Ester Quat) 계열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기존 에스터쿼터(Ester Quat) 계열의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고체형태로 이루어져 고온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하고 촉매를 사용하였으며, 물을 제거하는 과정이 추가되거나 질소가스를 투입해야 하는 등의 추가 공정 및 비용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공정에서는 상기와 같은 추가 공정 및 비용 없이 환경 친화적인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액상형인 두개의 알킬기를 갖는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정용 섬유유연제 base로써 유연성, 대전방지성 및 흡습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Dialkyl ester ammonium methosulfate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이러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이는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 5 중량%미만으로 함유할 경우에는 향의 흡착이 적어져서 향이 오래가지 못하게 되며, 20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할 경우에는 하기 양쪽성 계면활성제와의 결합능이 떨어져 제품의 상분리현상을 일으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유화제(emulsifier)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상기 상 안정성이 낮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결합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다시말해,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생분해능은 뛰어나나 단독 사용시 침전 또는 상분리현상을 나타내서 제품화하기 어려움이 있다.
이에 이를 해결해줌과 동시에 유연성을 더 부가해주기 위해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적용하게 되며, 이러한 상기 양쪽성 합성 계면활성제로는 라우라미프로필베타인 또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중 어느 하나이상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2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는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10 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제품의 유화안정성이 떨어지게 되며, 2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오히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이온성 유연성분의 흡착을 방해하여 유연효과를 저해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구연산은 섬유유연제의 유연화 기능 및 항균 기능을 부가해주며 pH를 조절해주어 섬유유연제 조성물의 pH가 약 5~6을 나타내도록 하여 피부자극도가 거의 없도록 해주는 소재이다.
이러한, 상기 구연산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1 중량%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pH가 맞지 않아 피부자극을 일으키거나 항균기능이 떨어져 제품유지가 어렵게 되게 되며,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도 역시 pH가 맞지 않아 피부자극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상기 글리세린(Glycerine)은 유지 성분으로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섬유에 보습력을 높여 주어 섬유의 부드러움 및 옷감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종래에 섬유유연제의 저장 안정성을 위해 사용하는 각종 글리콜류와 이소프로필 알코올 등 석유산업으로 제조된 용제에 비해 피부에 자극이 적음은 물론 의류에 흡착시 분자내 3개의 하이드록시기가 공기중의 수분을 쉽게 포집하고 피부에 보습효과를 주는 특징을 발현하면서도 글리콜류에 비해 적은량으로도 훌륭한 용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상기 글리세린은 조성물 전체중량을 기준으로 5~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5 중량%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섬유를 보호하기 어려워 건조기 처리 후 섬유가 빳빳해질 우려가 있게 되며, 15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에는 시트 제조후 미끈거리는 현상이 심해져 사용에 불편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헥산디올은 화장품 원료로 통상 사용되는 방부제로써, 화장품 원료로 사용된 소재이다보니 다른 화학 방부제 보다 안정적인 섬유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해준다.
이러한 상기 헥산디올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0.01 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방부효능이 떨어져 제품보관이 용이하지 않게되며 1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오히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이온성 성분의 흡착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상기 에탄올은 기화점이 낮은 상태에서도 증기 발현을 일으키기 위해 적용되는 소재이다. 다시말해, 에탄올이 첨가됨에 따라 건조기 내부의 온도가 50~60℃에서부터 섬유유연제 조성물의 향이 발산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에탄올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8~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8 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50℃부터 증기발현이 어려워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1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세탁섬유의 재질에 다소 안좋은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D-솔비톨은 식품첨가물로 흔히 사용되는 재료로써, 섬유유연제의 주요기능인 흡습율을 높여주는 소재여서 유연성을 부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D-솔비톨은 조성물 전체중량을 기준으로 0.1~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0.1 중량%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추가 유연성을 부가해주기 어려우며, 1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에는 오히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이온성 성분의 흡착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상기 대전방지제는 섬유유연제의 주요기능인 정전기 방지제 역할을 해주는 소재로써, 바람직하게는 피부자극이 없는 식품첨가물로 흔히 사용되는 라우릴피리디움클로라이드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러한 상기 대전방지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0.1 중량% 미만으로 함유할 경우에는 대전방지 역할을 못하여 정전기가 발생되며 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오히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이온성 성분의 흡착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상기 향료는 섬유유연제, 세탁 세제 등의 세제 분야에서 사용하는 향료인 것으로써 기본적인 향부터 알러지 프리향 등 통상 섬유유연제에 적용되는 향료는 모두 적용가능하다. 이때 상기 향료는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5~2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15 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보급된 향료의 양이 너무 적어 건조기 처리 후 잔존하는 향이 느껴지지 않게 되며, 2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도한 향으로 인해 오히려 제품의 상품적 가치를 떨어뜨리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물은 상기 재료들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조성물 전체중량을 기준으로 35~55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35 중량%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재료들간의 혼합이 용이하지 않게 되며 5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조성물 자체가 너무 묽은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어 최종 섬유유연제 조성물이 시트 내부에 함침된 상태 그대로를 유지하기 어렵게 될 우려가 있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각 재료들은 혼합구성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건조기 내부에서 향이 골고루 퍼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조성물을 3~7℃의 저온에서 13~24시간동안 숙성시킨 다음 냉각시켜 3000~5000cp의 점도를 갖는 겔형태로 제조하는 것이 가장 좋다.
4. 제4공정: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 제조(S40)
본 공정에서는 상기 조성물을 원단에 함침시킨 후 냉각시켜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를 제조한다.
설명하면, 상기 조성물이 함침된 원단은 그대로 보관할 경우 향이 날아갈 우려가 있게 된다. 이에 상기 조성물이 함침된 원단은 일정기간 동안 냉각을 시켜 향이 날아가는 것을 방지하고 제품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공정에서는 더욱 바람직하게 1~3℃에서 3~4시간동안 냉각시켜 최종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를 제공하게 되며, 이러한 시트는 건조기에 적용하게 되면 고온에서도 향기가 발휘되고 보존되어 장시간 향이 유지 됨과 동시에 시트자체가 생분해성을 갖어 환경친화적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 내지 4> 본 발명의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들 제조
천연펄프와 비스코스 섬유가 혼합된 원단을 준비한 후 이들을 접지하여 ?×? cm2의 원단을 제작하고 그 다음 이온아이저를 이용하여 정전기 및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그 다음 하기의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물을 가열하여 45℃정도의 물을 제조한 후, 가열된 물 40g에 구연산 2g을 넣고 15분동안 교반혼합하여 구연산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구연산 수용액에 D-솔비톨 0.2g을 넣고 그 다음 라우릴피리디움클로라이드 0.2g을 넣고 60 rpm에서 30분동안 교반혼합한 후, 여기에 글리세린 7g, 헥산디올 0.1g을 넣고 50 rpm에서 1시간동안 교반혼합한 다음 여기에 Dialkyl ester ammonium methosulfate(H-R016) 9.5g을 넣은 후 50℃에서 3시간동안 교반혼합하고 그 다음 라우라미프로필베타인 15g을 넣은 후, 여기에 에탄올 10g을 넣고 60 rpm에서 3시간동안 혼합하였다.
그 다음 상기 혼합물에 향료 16g을 넣고 5℃에서 10분동안 저온혼합한 후, 그 향이 골고루 퍼지도록 5℃의 저온에서 24시간동안 숙성시킨 다음 이를 1℃에서 4시간동안 냉각시켜 4000 cp의 점도를 갖는 겔형태의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조성물을 상기 제조해 둔 정전기가 방지된 원단위에 1mm정도로 도포한 후, 2개의 롤로라미네이팅 방식으로 눌러 함침시킨 후, 이를 1℃에서 4시간가량 냉각시켜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적용되는 상기 원단의 종류 및 혼합비율은 하기 표 1에 개시되어 있다.
실시예1 | 실시예2 | 비교예1 | 비교예2 | 비교예3 | 비교예4 |
천연펄프 +비스코스 섬유 1:1 |
천연펄프 +비스코스 섬유 9:1 |
폴리프로필렌 | 천연펄프 | 비스코스섬유 | 천연펄프 +비스코스 섬유 1:9 |
<실험예 1> 잔량, 유연성, 생분해능 정도 확인
1. 실험방법
시판되는 100%의 면(cotton) 테리타월에 대하여 일반 세탁세제를 표준사용량 사용하여 세탁기로 5회 반복세탁한 후 탈수한 후 건조기에 넣은 다음 여기에 상기 실시예 1, 2와 비교예 1 내지 4에 의해 제조된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를 각각 1장씩 넣은 후 1시간 동안 건조기를 작동하였다.
상기 건조된 타월을 대상으로 20 명의 숙련된 평가원(panelist)의 관능 평가 시험에 의하여 향의 강도를 점수로서 최저 1점에서 5점까지 부여하게 하고 이것을 3회 이상 반복 하여 그 평균값으로서 잔향 및 유연성 효과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2와 비교예 1 내지 4에 의해 제조된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를 농작지역 토양에 묻어 시간경과에 따라 생분해 진행에 따른 형태변화를 관찰하였으며, 6개월 경과 후 형체가 완전히 붕괴되면 우수로, 6개월 경과 후 형체가 부분 분괴되고 시편상 곰팡이 상태가 미약하면 보통, 분해가 거의 안되면 나쁨으로 각각 구분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하기 표 2와 같이 나타났다.
잔량효과 | 유연효과 | 생분해능 | |
실시예1 | 4.8 | 4.5 | 우수 |
실시예2 | 4.8 | 4.3 | 우수 |
비교예1 | 1.5 | 1.2 | 나쁨 |
비교예2 | 3.8 | 2.2 | 우수 |
비교예3 | 2.3 | 3.3 | 우수 |
비교예4 | 2.1 | 3.2 | 우수 |
상기 표 2에 나타나 있듯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시트는 건조기 처리 후에도 향이 그대로 보존되어 강한향을 나타내었고 타월의 유연성도 부가함을 확인하였으며 생분해능도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면 비교예 1의 경우에는 천연소재 대신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것으로써 조성물의 함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잔량 및 유연효과가 떨어지며, 생분해능도 거의 없음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2,3,4의 경우에는 생분해능은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천연펄프만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에는 조성물 함침율이 다소 떨어져 건조섬유의 유연성이 떨어졌으며, 비교예 3,4의 경우에는 비스코스 섬유만 적용하거나 또는 비스코스 섬유의 함량이 전반적으로 너무 많이 차지 하는 것으로써, 이들은 향이 다소 오랫동안 보존되지 못하여 건조후 잔향이 다소 낮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에 의해, 건조기 내부의 고온처리에 따른 향 손실이 방지되어 향이 오랫동안 섬유내에 보존됨과 동시에 유연성 역시 우수하고 생분능도 나타내어 환경친화적으로 사용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 천연펄프 50~90 중량%와 비스코스 섬유 10~50 중량%로 구성된 원단을 준비하는 제1공정;
상기 원단을 접지한 후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2공정;
상기 정전기가 제거된 원단 표면에 두 개의 알킬기를 갖는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디 알킬 에스테르 암모늄 메토 설페이트(Dialkyl ester ammonium methosulfate) 5~20 중량%, 양쪽성 계면활성제 10~25 중량%, 구연산 1~10 중량%, 글리세린 5~15 중량%, 헥산디올 0.01~1 중량%, D-솔비톨 0.1~1 중량%, 대전방지제 0.1~5 중량%, 에탄올 8~15 중량%, 향료 15~25 중량%, 및 물 35~55 중량%로 구성되며 3000~5000cp의 점도를 갖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함침시키는 제3공정 및,
상기 조성물 함침 후 1~3℃에서 3~4시간동안 냉각시켜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를 제조하는 제4공정;을 포함하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생분해성을 갖는 것이 특징인,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0577A KR102249682B1 (ko) | 2019-12-05 | 2019-12-05 |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0577A KR102249682B1 (ko) | 2019-12-05 | 2019-12-05 |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49682B1 true KR102249682B1 (ko) | 2021-05-07 |
Family
ID=75916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0577A KR102249682B1 (ko) | 2019-12-05 | 2019-12-05 |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9682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90986A (ko) | 2021-12-15 | 2023-06-22 | 주식회사 비엔디 생활건강 | 섬유 유연제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596547B1 (ko) | 2023-06-19 | 2023-11-01 | 주식회사 블루워시 | 건조기 시트 제조방법 |
KR102654070B1 (ko) * | 2023-12-04 | 2024-04-03 | 주식회사 르마 | 건조기용 시트 제조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97210A (ko) * | 2002-06-20 | 2003-12-31 | 백승영 | 시트형 세제 및 그 제조방법 |
KR20090044084A (ko) | 2007-10-31 | 2009-05-07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시트형 섬유유연제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277892B1 (ko) | 2007-03-22 | 2013-06-27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저온 활성을 가지는 섬유유연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섬유유연용 시트 |
US20180362885A1 (en) * | 2017-06-20 | 2018-12-20 | Kao Corporation S.A. | Fabric softener active compositions |
-
2019
- 2019-12-05 KR KR1020190160577A patent/KR10224968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97210A (ko) * | 2002-06-20 | 2003-12-31 | 백승영 | 시트형 세제 및 그 제조방법 |
KR101277892B1 (ko) | 2007-03-22 | 2013-06-27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저온 활성을 가지는 섬유유연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섬유유연용 시트 |
KR20090044084A (ko) | 2007-10-31 | 2009-05-07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시트형 섬유유연제 및 이의 제조방법 |
US20180362885A1 (en) * | 2017-06-20 | 2018-12-20 | Kao Corporation S.A. | Fabric softener active composition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90986A (ko) | 2021-12-15 | 2023-06-22 | 주식회사 비엔디 생활건강 | 섬유 유연제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596547B1 (ko) | 2023-06-19 | 2023-11-01 | 주식회사 블루워시 | 건조기 시트 제조방법 |
KR102654070B1 (ko) * | 2023-12-04 | 2024-04-03 | 주식회사 르마 | 건조기용 시트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49682B1 (ko) |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 및 그 제조방법 | |
US3686025A (en) | Textile softening agents impregnated into absorbent materials | |
DE2749555C2 (ko) | ||
DE60022528T2 (de) | Verwendung von wäscheweichmacherzusammensetzungen | |
DK156964B (da) | Praeparat til bloedgoering af toej | |
DE2546505A1 (de) | Gewebebehandlungsartikel mit verbesserten konditionierungseigenschaften | |
DE2415246A1 (de) | Koerper zum konditionieren von geweben in einem waeschetrockner | |
US8071524B2 (en) | Biodegradable wipe utilizing bio-based lubricant comprising refined soybean oil | |
KR102379862B1 (ko) |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US3826682A (en) | Fabric conditioning | |
DE102010060126A1 (de) | Feuchtes Waschmitteltuch | |
DE2700512A1 (de) | Gegenstand und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geweben | |
DE2625774A1 (de) | Verfahren zum konditionieren von geweben | |
EP1122302A1 (de) | Behandlung von Schmutz auf Textilien | |
EP2042155A1 (de) | Verfahren zum Entfernen von wasserunlöslichen Substanzen von Substratoberflächen | |
KR102252198B1 (ko) |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 |
DE2736787A1 (de) | Gegenstand und verfahren zum weichmachen von textilien | |
DE2700560C2 (de) | Verfahren zum Weich- und Antistatischmachen von Gewebe in einem automatischen Wäschetrockner | |
KR20230147814A (ko) | 시트형 섬유유연제와 이의 제조방법 | |
KR20040085417A (ko) | 섬유유연제 조성물 | |
KR20090044084A (ko) | 시트형 섬유유연제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090001093A (ko) | 시트형 섬유유연제 | |
CA2435189C (en) | Fabric treatment article and method | |
KR102272324B1 (ko) | 카르복실화 셀룰로오스 섬유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 |
KR102654070B1 (ko) | 건조기용 시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