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4084A - 시트형 섬유유연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시트형 섬유유연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4084A
KR20090044084A KR1020070109992A KR20070109992A KR20090044084A KR 20090044084 A KR20090044084 A KR 20090044084A KR 1020070109992 A KR1020070109992 A KR 1020070109992A KR 20070109992 A KR20070109992 A KR 20070109992A KR 20090044084 A KR20090044084 A KR 20090044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abric softener
fabric
nonwoven fabric
sof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동
강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70109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4084A/ko
Publication of KR20090044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0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6Powder; Flakes; Free-flowing mixture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1Softening composi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형 섬유유연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트형 섬유유연제는,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에 함침된 유연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시트형 섬유유연제는 섬유유연 성분을 부직포에 함침시켜 사용함으로써 섬유유연 성분의 사용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섬유유연 성분의 과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 섬유유연제이다. 또한, 섬유유연 성분을 액상으로 사용하지 않고 부직포에 함침시켜 사용하므로,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하고 무게가 가벼운 장점이 있다. 특히, 부직포의 섬도, 평량 및 부직포에 함침되는 유연 성분의 함량을 시트형 섬유유연제에 최적화하여 사용함으로써, 섬유유연 성분의 용해도 및 유연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시트형 섬유유연제, 부직포. 유연제

Description

시트형 섬유유연제 및 이의 제조방법{Textile softener of sheet typ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시트형 섬유유연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섬유유연 성분의 사용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고 과사용을 억제할 수 있으며, 형상보존성이 우수하여 사용이 편리한 시트형 섬유유연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의 정전기 방지 및 유연성 부여의 목적으로 세탁시 사용되는 가정용 섬유유연제는 대부분의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량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최근 생활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섬유유연제의 기본 기능인 정전기 방지와 유연성 부여란 측면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가진 가정용 섬유유연제가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국내에 시판 중인 가정용 섬유유연제는 보통의 경우 액상 타입으로, 포장용기 또한 1 내지 5kg 정도의 용량으로 시판되고 있어, 주부에게 있어서는 다루기가 무겁고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 세탁기의 헹굼 시에 사용하는 액체 타입의 섬유유연제와는 달리 건조기용으로 사용되는 시트형(sheet type)의 섬유유연제는 적은 용량으로 가벼워서 사용이 간편한 점이 있지만 저온인 세탁수에서는 시트 상의 유효 성분이 용해, 분산되지 못하고 건조기의 고온에서만 성능이 발휘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기존의 액상 섬유유연제를 사용하는 소비자의 경우 대용량의 섬유유연제만 구매할 수 있어 제품의 무게 때문에 구매시에나 가정에서 사용시에도 불편함을 감수할 수 밖에 없었다. 심지어는 세탁시에 별도의 작은 용기를 준비하여 대용량의 섬유유연제를 덜어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섬유유연 성분들을 미리 정해진 비율로 함유하고 있어 사용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고, 고형이어서 취급 및 보관이 편리한 시트형 섬유유연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에 함침된 유연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섬유유연제를 제공한다.
상기 부직포는 열접착(thermal bonding), 에어 스루(air through), 스펀 본드(spun bonding) 및 멜트 블로운(melt-blown)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고분자 섬유의 상호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분자 섬유의 섬도는 1 내지 10 denier인 것이 바람직하며, 3 내지 7 denier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 섬유는 대표적으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일론, 레이온, 펄프 및 아크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직포의 평량은 1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며, 35 내지 7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형 섬유유연제는 상기 부직포에 함침된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시트형 섬유유연제는 상기 부직포에 함침된 향, 방부제, 안정화제, 색소 및 항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보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연제로는 대표적으로 디메틸디알킬암모늄클로라이드(Dimethyl dialkyl ammonium chloride), 에스테르 쿼트(Ester Quat), 이미다졸린(Immidazoline) 또는 아미도 아민(Amido ami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S1) 부직포를 준비하는 단계; (S2) 유연제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S3) 상기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상기 부직포에 함침시키는 단계; 및 (S4) 상기 섬유유연제 조성물이 함침된 부직포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섬유유연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S1) 단계는 열접착(thermal bonding), 에어 스루(air through), 스펀 본드(spun bonding) 및 멜트 블로운(melt-blow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고분자 섬유의 상호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분자 섬유는 대표적으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일론, 레이온, 펄프 및 아크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유연제와 함께 용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향, 방부제, 안정화제, 색소 및 항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보조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연제로는 대표적으로 디메틸디알킬암모늄클로라이드(Dimethyl dialkyl ammonium chloride), 에스테르 쿼트(Ester Quat), 이미다졸린(Immidazoline) 또는 아미도 아민(Amido amine)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S3) 단계는 대표적으로 스프레이 코팅법, 잉크젯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및 롤 코팅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트형 섬유유연제는 섬유유연 성분을 부직포에 함침시켜 사용함으로써 섬유유연 성분의 사용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어 섬유유연 성분의 과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 섬유유연제이다. 또한, 섬유유연 성분을 액상으로 사용하지 않고 부직포에 함침시켜 사용하므로,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하고 무게가 가벼운 장점이 있다. 특히, 부직포의 섬도, 평량 및 부직포에 함침되는 유연 성분의 함량을 시트형 섬유유연제에 최적화시켜 사용함으로써, 섬유유연 성분의 용해도 및 유연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시트형 섬유유연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시트형 섬유유연제는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에 함침된 유연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시트형 섬유유연제는 고형의 부직포에 섬유유연 성분이 함침되어 있어 최급 및 보관이 용이하다. 아울러, 섬유유연 성분이 미리 정해진 밀도로 부직포에 함침되므로, 필요시되는 섬유유연 성분들의 양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섬유유연제의 과사용을 억제할 수 있어, 친환경 섬유유연제로서 환경 보호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시트형 섬유유연제에 있어서, 섬유유연제 조성물이 함침되는 부직포는 고분자 섬유의 상호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고분자 섬유는 웹(web) 형성 가공의 용이성을 고려할 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일론, 레이온, 펄프 및 아크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의 고분자 물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일론 및 레이온이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직포의 제조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열접착(thermal bonding), 에어 스루(air through), 스펀 본드(spun bonding) 또는 멜트 블로운(melt-blown)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고분자 섬유의 섬도(纖度) 즉 섬유의 굵기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 내지 10 denier인 것이 바람직하며, 3 내지 7 denier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고분자 섬유의 섬도에 대한 수치 한정과 관련하여, 섬도가 1 denier 미만이면 부직포가 조밀하게 형성되어 강도가 향상되지만, 부직포를 제조하는 오픈(open) 및 카딩(carding) 공정에서 원사끼리 엉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섬도가 10 denier를 초과하면 제조된 부직포의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부직포의 평량 즉 부직포의 1m2 당 질량(g)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며, 35 내지 7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부직포의 평량에 대한 수치 한정과 관련하여, 평량이 10 미만이면 필요한 유효성분의 로딩(loading)이 너무 작게 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평량이 100을 초과하면 부직포의 자체 무게가 지나치게 무거워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시트형 섬유유연제에는 유연제와 함께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더 함침될 수 있다. 유연제 및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 섬유유연제 성분으로 공지된 물질을 포함하여 섬유유연제 성분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유연제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대표적인 예로는 디메틸디알킬암모늄클로라이드(Dimethyl dialkyl ammonium chloride), 에스테르 쿼트(Ester Quat), 이미다졸린(Immidazoline) 및 아미도 아민(Amido amine) 등이 있으며, 계면활성제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은 일반적으로 섬유 산업에서 계면활성제로 사용되는 물질들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에는 기능성 향상을 위해, 향, 방부제, 안정화제, 색소 또는 항균제가 더 함침될 수 있다.
유연제를 포함하여 부직포에 함침되는 성분들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부직포 100 중량부 기준으로 100 내지 5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에 대한 수치 한정과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면 필요한 성능을 발현하기 위해 지나치게 많은 양의 부직포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부직포의 중량이 지나치게 무거워지는 문제가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시트형 섬유유연제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트형 섬유유연제의 제조방법에 따른 공정 흐름도이다.
먼저, 부직포를 준비한다.
부직포의 제조에는 대표적으로 열접착(thermal bonding), 에어 스루(air through), 스펀 본드(spun bonding) 또는 멜트 블로운(melt-blown) 등의 방법이 이 용될 수 있으며, 부직포 제조에 사용되는 고분자 물질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일론, 레이온, 펄프 및 아크릴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준비한다.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유연제를 용매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섬유유연제 조성물에는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첨가될 수 있으며, 기능성 향상을 위해 향, 방부제, 안정화제, 색소 또는 항균제가 더 첨가될 수 있다. 용매로는 에탄올(Ethanol), 이소프로필 알코올(Iso Prophyl Alcohol), 에틸렌 글리콜(Ehylene Glycol)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단계와 부직포 제조 단계와의 선후는 문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부직포에 함침시킨다.
섬유유연제의 함침을 위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대표적으로 스프레이 코팅법, 잉크젯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및 롤 코팅법이 채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섬유유연제 조성물이 함침된 부직포를 건조시킨다.
본 단계를 통해 에탄올 등의 용매가 제거된다. 다만, 본 단계를 거치더라도 용매를 완전하게 제거하기는 어려워, 에탄올 등의 용매가 제품에 잔존하여 특이취를 발생시키므로, 앞선 섬유유연제 조성물 제조시에 용매는 필요한 정도를 넘어 지나치게 많은 양이 사용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6
DDAC 50중량%, GMS 30중량%, 향 5중량%를 에탄올(잔량)에 첨가하고 혼합하여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특성을 갖는 부직포에 롤코팅하는 방법으로 함침시키고, 상온에서 10초 동안 건조시킨후, 가로 20 cm, 세로 10cm로 절단하여 시트형 섬유유연제를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 섬도(denier) 평량 조성물 함량(중량부, 부직포 100중량부 기준)
실시예 1 PP 3 35 200
실시예 2 PP 3 35 400
실시예 3 PP 3 75 200
실시예 4 PP 3 75 400
실시예 5 PP 7 35 200
실시예 6 PP 7 35 400
실시예 7 PP 7 75 200
실시예 8 PP 7 75 400
실시예 9 PP 12 35 200
실시예 10 PP 3 120 200
실시예 11 PP 3 5 200
실시예 12 PP 3 35 50
실시예 13 PP 3 35 700
실시예 14 PP 12 120 50
실시예 15 PP 12 120 700
실시예 16 PP 12 5 50
상기 실시예 1~16에 따라 제조된 시트형 섬유유연제에 대하여 하기한 바와 같이 성능을 평가하였다.
성능 평가 1(용해성 시험)
시트형 섬유유연제의 섬유유연 성분이 얼마나 잘 용해되어 세탁수 내로 분산되는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3l 비이커에 20℃의 물 3l를 넣고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시트형 섬유유연제를 넣어 5분간 교반을 한 후 처음 제품의 무게와 처리 후 건조된 제품의 무게를 측정하여 유효성분이 얼마나 용해되었는지 용해성을 측정하고(3회 이상 반복하여 측정),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 결과 매우우수(◎) 우수(○) 보통(△) 불량(×)
용해량 90% 이상 80 ~90% 70 ~ 80% 70% 이하
성능 평가 2(유연 효과 시험)
시판 100%의 면타올을 일반 세탁 세제를 표준 사용량 사용하고 세탁기로 5회 반복 세탁한 후 탈수한 것을 상기 실시예의 시트형 섬유유연제를 사용하여 헹굼물(욕비 1:30, 25℃)에 유연 처리한 다음 탈수하여 20℃, 65% RH 조건에서 24시간 컨디셔닝(conditioning)시킨 다음 숙련된 패널리스트(panelist)의 관능 평가 시험에 의하여 촉감 정도를 유연 점수로서 최저 1점에서 5점까지 부여하게 하고, 이것을 3회 이상 반복하여 그 평균값으로 유연 효과를 측정하였다. 유연성 평가 기준은 실시예 14의 제품에 대한 유연 효과를 유연 점수 1로 부여하고 하기 표 3과 같이 판정하였다.
평가 결과 매우우수(◎) 우수(○) 보통(△) 불량(×)
유연효과 점수 4.5 이상 3.5 ∼ 4.5 2.5 ∼ 3.5 2.5 미만
상기 용해성 및 유연 효과 시험 결과를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구분 용해성 시험 유연 효과 시험
실시예 1 매우 우수 매우 우수
실시예 2 매우 우수 매우 우수
실시예 3 매우 우수 매우 우수
실시예 4 매우 우수 매우 우수
실시예 5 매우 우수 매우 우수
실시예 6 매우 우수 매우 우수
실시예 7 매우 우수 매우 우수
실시예 8 매우 우수 매우 우수
실시예 9 우수 우수
실시예 10 보통 우수
실시예 11 매우 우수 우수
실시예 12 매우 우수 보통
실시예 13 매우 우수 우수
실시예 14 불량 불량
실시예 15 불량 불량
실시예 16 보통 불량
표 4의 실시예 1 내지 16에 대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시트형 섬유유연제는 우수한 용해성과 섬유유연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특히, 부직포의 섬도, 평량 및 섬유유연제 조성물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함에 의해 더욱 향상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트형 섬유유연제의 제조방법에 따른 공정 흐름도이다.

Claims (20)

  1.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에 함침된 유연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섬유유연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열접착(thermal bonding), 에어 스루(air through), 스펀 본드(spun bonding) 및 멜트 블로운(melt-blown)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섬유유연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고분자 섬유의 상호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섬유유연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섬유의 섬도는 1 내지 10 deni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섬유유연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섬유의 섬도는 3 내지 7 deni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섬유유연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섬유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일론, 레이온, 펄프 및 아크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섬유유연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의 평량은 1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섬유유연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의 평량은 35 내지 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섬유유연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에 함침된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섬유유연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에 함침된 향, 방부제, 안정화제, 색소 및 항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보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섬유유연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제는 디메틸디알킬암모늄클로라이드(Dimethyl dialkyl ammonium chloride), 에스테르 쿼트(Ester Quat), 이미다졸린(Immidazoline) 및 아미도 아민(Amido am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섬유유연제.
  12. (S1) 부직포를 준비하는 단계;
    (S2) 유연제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S3) 상기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상기 부직포에 함침시키는 단계; 및
    (S4) 상기 섬유유연제 조성물이 함침된 부직포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섬유유연제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는 열접착(thermal bonding), 에어 스루(air through), 스펀 본드(spun bonding) 및 멜트 블로운(melt-blow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섬유유연제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고분자 섬유의 상호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섬유유연제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섬유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일론, 레이온, 펄프 및 아크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섬유유연제의 제조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용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섬유유연제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섬유유연제의 제조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향, 방부제, 안정화제, 색소 및 항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보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섬유유연제의 제조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는 스프레이 코팅법, 잉크젯 코팅법,그라비아 코팅법 및 롤 코팅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섬유유연제의 제조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제는 디메틸디알킬암모늄클로라이드(Dimethyl dialkyl ammonium chloride), 에스테르 쿼트(Ester Quat), 이미다졸린(Immidazoline) 및 아미도 아민(Amido am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섬유유연제 제조방법.
KR1020070109992A 2007-10-31 2007-10-31 시트형 섬유유연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440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992A KR20090044084A (ko) 2007-10-31 2007-10-31 시트형 섬유유연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992A KR20090044084A (ko) 2007-10-31 2007-10-31 시트형 섬유유연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084A true KR20090044084A (ko) 2009-05-07

Family

ID=40854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992A KR20090044084A (ko) 2007-10-31 2007-10-31 시트형 섬유유연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408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682B1 (ko) 2019-12-05 2021-05-07 이난희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252198B1 (ko) 2019-12-05 2021-05-13 이난희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10133505A (ko) 2020-04-29 2021-11-08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표백제와 유연제를 포함하는 친환경 염착제를 이용한 시트형 섬유세제
KR102379862B1 (ko) 2020-10-28 2022-03-28 이난희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682B1 (ko) 2019-12-05 2021-05-07 이난희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252198B1 (ko) 2019-12-05 2021-05-13 이난희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10133505A (ko) 2020-04-29 2021-11-08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표백제와 유연제를 포함하는 친환경 염착제를 이용한 시트형 섬유세제
KR102379862B1 (ko) 2020-10-28 2022-03-28 이난희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8736B1 (en) Process for softening or treating a fabric article
CA1042613A (en) Fabric conditioning methods
DE2415246A1 (de) Koerper zum konditionieren von geweben in einem waeschetrockner
JP2003511575A (ja) 布地柔軟剤組成物
US9840686B2 (en) Wrinkle reducing and deodorizing dryer sheet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WO2008057287A1 (en) Multifunctional laundry sheet
US7989413B2 (en) Dryer sheet
KR102249682B1 (ko)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44084A (ko) 시트형 섬유유연제 및 이의 제조방법
US688784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oftening fabric in a tumble dryer
NO771086L (no) T¦ybehandlingspreparat.
KR20090001093A (ko) 시트형 섬유유연제
US20080052859A1 (en) Absorbent Textile Product
MXPA02003466A (es) Composiciones suavizantes de telas.
KR102658144B1 (ko) 향 지속성을 가지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조성물
KR101225400B1 (ko) 저온 활성이 가능한 시트형 섬유 유연제 조성물
KR102379862B1 (ko)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30188450A1 (en) Fabric softener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clothes dryer
US7018976B2 (en) Fabric treatment article and method
MXPA02003468A (es) Composiciones suavizantes de telas mejoradas.
US20070256253A1 (en) Method for delivering liquid fabric treating compositions to clothing in a clothes dryer
EP2089570A1 (en) Benefit compositions and methods
EP4190968A1 (en) Use of a dryer sheet to reduce airborne fibres release from a dryer
KR100808456B1 (ko) 저온수 활성형 기능성 시트
JPS623551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