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388B1 - 식별부가 구비된 마스크 - Google Patents

식별부가 구비된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388B1
KR102249388B1 KR1020200153596A KR20200153596A KR102249388B1 KR 102249388 B1 KR102249388 B1 KR 102249388B1 KR 1020200153596 A KR1020200153596 A KR 1020200153596A KR 20200153596 A KR20200153596 A KR 20200153596A KR 102249388 B1 KR102249388 B1 KR 102249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identification unit
mask body
identification
predetermined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근회
Original Assignee
허근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근회 filed Critical 허근회
Priority to KR1020200153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3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6Indicators or warning devices, e.g. of low pressure, contamin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08Indic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에 문자, 도형 및 색상을 포함하는 식별부가 구비되어 비슷한 모양의 마스크 속에서도 쉽게 구분될 수 있도록 식별부가 구비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별부가 구비된 마스크는, 소정 크기를 가지는 마스크본체; 상기 마스크본체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귀걸이부; 및 상기 마스크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면서 도형, 문자, 색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식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별부가 구비된 마스크{Mask with Identification}
본 발명은 식별부가 구비된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시 코와 입이 공간적으로 분리되도록 하여 호흡후 내쉬는 공기(날숨)가 턱과 볼 등의 피부에 닿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식별부가 구비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미세먼지 등의 공기의 오염과 메르스, 신종 플루, 코로나19 바이러스 등의 병원균의 감염 및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코와 입을 가리는 마스크의 착용이 생활화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종래 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2018-0020961호의 일회용 마스크(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일회용 마스크는, 상하 방향 및 폭방향을 가지며, 상기 상하 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횡단 중심선과,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고리형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귀걸이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부직포제의 시트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귀걸이부의 기단부가 위치하는 상하 단부와, 상기 상하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입덮개부와, 상기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상하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접합부가 배치된 시일 영역을 가지며, 상기 입덮개부는, 상기 시트가 겹쳐서 포개어진 중첩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주름부와, 상기 횡단 중심선의 하측에서 상기 주름부 사이에 위치하는 비중첩 부분을 가지며, 상기 비중첩 부분은 비시일 영역을 가지며, 상기 비시일 영역의 상기 상하 방향의 치수는, 상기 복수의 접합부 사이의 상기 상하 방향의 이격 치수보다 크고, 상기 비중첩 부분의 하측에서 상기 비중첩 부분에 인접하는 주름부에만, 상기 복수의 접합부가 상기 폭 방향으로 나열되어 이루어진 광폭 접합부가 위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최근에 많은 사람들이 비슷한 모양의 마스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식당 등에서 마스크를 잠시 벗어 놓으면 비슷한 모양의 다른 마스크와 섞여 구분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마스크에 문자, 도형 및 색상을 포함하는 식별부가 구비되어 비슷한 모양의 마스크 속에서도 쉽게 구분될 수 있도록 식별부가 구비된 마스크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2018-0020961 A (2018. 02. 28.) KR 10-2026798 B1 (2019. 09. 24.) KR 10-2019-0140876 A (2019. 12. 20.) KR 10-2019-0072304 A (2019. 06. 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회용 마스크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마스크에 문자, 도형 및 색상을 포함하는 식별부가 구비되어 비슷한 모양의 마스크 속에서도 쉽게 구분될 수 있도록 식별부가 구비된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별부가 구비된 마스크는, 소정 크기를 가지는 마스크본체; 상기 마스크본체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귀걸이부; 및 상기 마스크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면서 도형, 문자, 색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식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식별부가 2자리 이상의 숫자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식별부가 제조사, 제조년, 제조월 및 제조번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상기 식별부가 상기 마스크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본체에 식별부가 구비되어 비슷한 색과 모양의 마스크 속에서도 쉽게 구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식당 등에서 마스크를 벗은 뒤 마스크를 혼동하여 다른 사람의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식별부가 제조사, 제조년, 제조월 및 제조번호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자연스럽게 유사한 식별부가 한 곳에 섞이기가 어렵고, 사용자는 식별부의 제조번호와 같이 겹치지 않는 일부 숫자만을 기억하는 것으로 마스크를 쉽게 구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별부가 구비된 마스크의 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별부의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별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식별부의 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별부가 구비된 마스크가 착용된 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본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마스크에 문자, 도형 및 색상을 포함하는 식별부가 구비되어 비슷한 모양의 마스크 속에서도 쉽게 구분될 수 있도록 식별부가 구비된 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본체(10), 귀걸이부(20A, 20B) 및 식별부(30)를 포함한다.
마스크본체(10)는 미세먼지와 바이러스 균 등을 차단하기 위해 코와 입을 커버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마스크본체(10)는 미세먼지 차단용, 비말 차단용, 의료용(덴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러한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입과 볼 부분을 커버하도록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지는 전면부(11)와, 상기 전면부(11)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착용자의 코를 감싸 커버하는 상측커버부(12) 및 상기 전면부(11)의 하부에 위치되면서 착용자의 턱을 감싸 커버하는 하측커버부(13)를 포함한다.
이때 전면부(11)와 상측커버부(12) 및 전면부(11)와 하측커버부(13)는 서로 열 융착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부(11)의 양단에는 상하로 길이를 가지는 소정 폭의 고정부(11A)가 형성되고, 이러한 고정부(11A)를 통해 후술되는 귀걸이부(20A, 20B)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마스크본체(10)는 전면부(11)를 기준으로 상측커버부(12)와 하측커버부(13)를 상하 방향으로 펼쳐 코, 입 및 턱을 감싸도록 착용하게 된다.
귀걸이부(20A, 20B)는 마스크본체(10)의 양측에 설치되어 마스크 착용자의 귀에 걸어 마스크본체(10)가 피부에 밀착되어 착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귀걸이부(20A, 20B)는 신축 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마스크 착용시 귀걸이부(20A, 20B)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마스크본체(10)가 착용자의 피부에 자연스럽게 밀착되게 된다.
식별부(30)는 마스크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어 해당 마크스를 사용자가 쉽게 구분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식별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본체(10)의 일측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면서 도형, 문자, 색상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식별부(30)의 예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를 가지는 직사각형 모양의 식별부(30)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식별부(30)는 둘레를 따라 소정 폭을 가지도록 테두리부(31)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31)의 내측에 도형 또는 문자 및 도형과 문자의 조합으로 된 제1 표시부(32)가 형성된다.
이때 테두리부(31)는 마스크본체(10)를 소정 두께로 열 융착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마스크본체(10)와 다른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때 테두리부(31)는 제조 년, 월 및 일 등에 따라 다른 색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테두리부(31)의 색상만으로 1차적으로 구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표시부(32)는 제조사를 나타내는 도형이나 문자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제조 년, 월 또는 일을 나타내는 2자리 이상의 숫자로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테두리부(31)로 1차 구분한 다음 제1 표시부(32)의 숫자로 2차 구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식별부(30)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부(31)의 안쪽에 제1 표시부(32)에 더하여 제2, 3 표시부(33, 3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2, 3 표시부(32, 33, 34) 사이에는 각각의 표시부를 구분하는 구획부(35)가 형성되고, 제1 표시부(32)에는 제조년도가 표시되며, 제2 표시부(33)에는 제조월이 표기되고, 제3 표시부(34)에는 제조일 또는 제조번호가 표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2, 3 표시부(32, 33, 34) 중에서 선택된 어느 위치의 숫자는 다른 숫자들과 다른 크기 또는 다른 색상으로 표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테두리부(31)와 제1, 2, 3 표시부(32, 33, 34)를 통해 착용한 마스크를 잠시 벗어 놓더라도 테두리부(31)와 제1, 2, 3 표시부(32, 33, 34) 중 어느 일부를 기억하는 것으로 자신의 마스크를 쉽게 구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위에서는 마스크본체(10)에 식별부(30)만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A)의 길이를 따라 소정 폭의 보조식별부(11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보조식별부(11B)는 테두리부(31)의 색과 다른 임의의 색이 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테두리부(31)의 색과 보조식별부(11B)의 색 조합으로 만으로 마스크의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위에서는 식별부(30)가 마스크본체(10)의 일측에 위치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만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식별부(30)가 마스크본체(10)와 별도로 제작된 다음 벨크로 구조에 의해 마스크본체(10)에 탈착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식당 등에서 마스크를 잠시 벗을 때에는 식별부(30)를 마스크본체(10)에 부착하여 마스크를 구분하는데 사용되고, 마스크 착용시에는 식별부(30)를 마스크본체(10)에서 분리하여 식별부(30)가 불필요하게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위에서는 식별부(30)의 테두리부(31) 안쪽에 제1, 2, 3 표시부(32, 33, 34)가 구비되는 것으로만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식별부(30)의 테두리부(31)가 형성된 다음, 사용자가 테두리부(31)의 안쪽에 임의 문자 또는 숫자를 기입할 수 있는 공란이 형성되는 것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마스크본체(1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1')와 상측커버부(12')의 일단이 사용자의 피부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소정 폭 수평 연장되는 차단막(11C, 12C)이 더 구비되고, 이러한 차단막(11C, 12C)에 의해 전면부(11')와 상측커버부(12') 사이에 소정 폭의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며, 전면부(11')와 상측커버부(12')의 전방(사용자의 피부와 반대되는 방향) 쪽을 커버하여 연결하는 소정 폭의 중간연결부(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중간연결부(14)는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연통공(14A)이 형성되고, 이러한 연통공(14A)을 통해 차단막(11C, 12C) 쪽으로 외기가 통과하여 코나 입으로 호흡될 수 있도록 유입되거나 또는 코나 입으로 내쉰 숨이 밖으로 쉽게 배출되게 된다.
또한, 차단막(11C, 12C)의 선단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넓이를 가지는 밀착밴드(15)가 더 설치되고, 이러한 밀착밴드(15)를 통해 마스크 착용시 인중에 밀착밴드(15)가 자연스럽게 밀착되게 되면서 마스크 내부의 공간이 코와 입을 기준으로 확실하게 구획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밀착밴드(15)의 양단은 귀걸이부(20A, 20B)의 일단과 연결되고, 이에 의해 마스크를 착용하기 위해 귀걸이부(20A, 20B)가 당겨지는 것에 의해 밀착밴드(15)의 양단이 함께 당겨지면서 착용자의 피부에 더욱 확실하게 밀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밀착밴드(15)의 구성을 통해 코와 입 쪽으로 유입되는 공기나 호흡되어 배출되는 공기가 서로 공간적으로 분리되고, 이에 의해 입으로 내쉰 공기가 코 쪽으로 유입되는 것이 구조적으로 방지되며, 그 결과 마스크 착용시 들숨에 포함된 악취로 인한 불편함이 감소된다.
또한, 마스크본체(10) 둘레에는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방면에 소정 폭의 무독성 실리콘 밴드(도시하지 않음)가 부착되고, 이를 통해 마스크 착용시 마스크본체(10) 둘레의 실리콘 밴드가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되면서 마스크본체(10)와 피부 사이의 틈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스크본체에 식별부가 구비되어 비슷한 색과 모양의 마스크 속에서도 쉽게 구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식당 등에서 마스크를 벗은 뒤 마스크를 혼동하여 다른 사람의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식별부가 제조사, 제조년, 제조월 및 제조번호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자연스럽게 유사한 식별부가 한 곳에 섞이기가 어렵고, 사용자는 식별부의 제조번호와 같이 겹치지 않는 일부 숫자만을 기억하는 것으로 자신의 마스크를 쉽게 구분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0, 10': 마스크본체 11, 11': 전면부
11A: 고정부 11B: 보조식별부
11C: 차단막 12, 12': 상측커버부
12A: 만곡부 12B: 보형부재
12C: 차단막 13, 13': 하측커버부
14: 중간연결부 14A: 연통공
15: 밀착밴드 20A, 20B: 귀걸이부
30: 식별부 31: 테두리부
32: 제1 표시부 33: 제2 표시부
34: 제3 표시부 35: 구획부

Claims (4)

  1. 소정 크기를 가지는 마스크본체(10);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귀걸이부(20A, 20B); 및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면서 도형, 문자, 색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식별부(30);
    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부(30)는,
    상기 마스크본체(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식별부(30)의 둘레를 따라 소정 폭을 가지면서 상기 마스크본체(10)와 다른 색상을 가지는 테두리부(31)가 형성되고,
    상기 마스크본체(10)에는,
    전면부(11')와 상측커버부(12')의 일단이 사용자의 피부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소정 폭 수평 연장되는 차단막(11C, 12C)이 구비되고, 상기 차단막(11C, 12C)에 의해 상기 전면부(11')와 상기 상측커버부(12') 사이에 소정 폭의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11')와 상기 상측커버부(12')의 전방 쪽을 커버하여 연결하는 소정 폭의 중간연결부(14)가 구비되고,
    상기 전면부(11)의 양단에는,
    상하로 길이를 가지는 소정 폭의 고정부(11A)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11A)의 길이를 따라 상기 테두리부(31)의 색과 다른 색상을 가지는 소정 폭의 보조식별부(11B)가 구비되어, 상기 테두리부(31)와 상기 보조식별부(11B)의 색 조합으로 마스크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부가 구비된 마스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30)는,
    2자리 이상의 숫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부가 구비된 마스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30)는,
    제조사, 제조년, 제조월 및 제조번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부가 구비된 마스크.
  4. 삭제
KR1020200153596A 2020-11-17 2020-11-17 식별부가 구비된 마스크 KR102249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596A KR102249388B1 (ko) 2020-11-17 2020-11-17 식별부가 구비된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596A KR102249388B1 (ko) 2020-11-17 2020-11-17 식별부가 구비된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388B1 true KR102249388B1 (ko) 2021-05-07

Family

ID=75916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596A KR102249388B1 (ko) 2020-11-17 2020-11-17 식별부가 구비된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3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5870A (ko) 2021-09-06 2023-03-14 이정규 착용자 확인 가능 마스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0961A (ko) 2015-06-30 2018-02-28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마스크
KR20190072304A (ko) 2017-12-15 2019-06-25 강정수 마스크윈도우 김서림 방지 구조
KR102026798B1 (ko) 2017-09-12 2019-09-30 김인기 김서림 방지용 벽을 구비한 수술용 김서림 방지 마스크
KR20190140876A (ko) 2019-09-23 2019-12-20 김인기 김서림 방지용 벽을 구비한 수술용 김서림 방지 마스크
JP3227346U (ja) * 2020-04-30 2020-08-20 株式会社ピアパワー 広告付きマスク
JP3227497U (ja) * 2020-05-21 2020-09-03 有限会社ブロッサム マスク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0961A (ko) 2015-06-30 2018-02-28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마스크
KR102026798B1 (ko) 2017-09-12 2019-09-30 김인기 김서림 방지용 벽을 구비한 수술용 김서림 방지 마스크
KR20190072304A (ko) 2017-12-15 2019-06-25 강정수 마스크윈도우 김서림 방지 구조
KR20190140876A (ko) 2019-09-23 2019-12-20 김인기 김서림 방지용 벽을 구비한 수술용 김서림 방지 마스크
JP3227346U (ja) * 2020-04-30 2020-08-20 株式会社ピアパワー 広告付きマスク
JP3227497U (ja) * 2020-05-21 2020-09-03 有限会社ブロッサム マス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5870A (ko) 2021-09-06 2023-03-14 이정규 착용자 확인 가능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31830A (zh) 具有透明塑料片的面罩
WO2016204455A1 (ko) 마스크
KR20050043637A (ko) 개선된 얼굴 마스크 구조
KR102245642B1 (ko) 마스크 가이드
KR102249388B1 (ko) 식별부가 구비된 마스크
WO2022101724A1 (en) Face mask with separate inhaling and exhaling portions
US20220062670A1 (en) Multiple Layer Mask
JP3227832U (ja) マスク
KR20210060062A (ko) 미세먼지용 코 마스크
JP3115718U (ja) マスク用ノーズフィットパット
US20230249012A1 (en) Strapless face mask
JP2011030884A (ja) 透明部付きマスク
KR102624660B1 (ko) 마스크
JP6793426B1 (ja) マスク用メッセージ部材及びこのマスク用メッセージ部材を装着する方法
KR20210047037A (ko) 미세먼지 유입 방지를 위한 안면마스크
JP7467533B2 (ja) マスク補助具
JP3230556U (ja) マスク
GB2598134A (en) Improvement in face masks
US11998774B2 (en) Face mask with improved face seal
US20230338755A1 (en) Face Mask with Improved Face Seal
JP6941719B1 (ja) 分離マスク
WO2021256617A1 (ko) 마스크
KR102273387B1 (ko) 흘러내림방지 기능을 갖는 마스크
KR20190002173A (ko) 미용팩을 포함하는 호흡 마스크
KR102444262B1 (ko)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