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5870A - 착용자 확인 가능 마스크 - Google Patents

착용자 확인 가능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5870A
KR20230035870A KR1020210118414A KR20210118414A KR20230035870A KR 20230035870 A KR20230035870 A KR 20230035870A KR 1020210118414 A KR1020210118414 A KR 1020210118414A KR 20210118414 A KR20210118414 A KR 20210118414A KR 20230035870 A KR20230035870 A KR 20230035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antenna
storage means
identification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규
Original Assignee
이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규 filed Critical 이정규
Priority to KR1020210118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5870A/ko
Publication of KR20230035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58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6Indicators or warning devices, e.g. of low pressure, conta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73Adaptation for carrying or wearing by persons or anim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 확인 가능 마스크로서, 착용자의 식별정보가 저장된 식별 저장 수단의 탈착이 가능한 마스크를 이용하여 비접촉 근접 무선 통신으로 출입자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여 출입을 관리할 수 있는 방안에 제시한다.

Description

착용자 확인 가능 마스크{Mask for identifying mask wearer}
본 발명은 착용자 확인 가능 마스크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식별정보가 저장된 식별 저장 수단의 탈착이 가능한 마스크를 이용하여 비접촉 근접 무선 통신으로 출입자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여 출입을 관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것이다.
최근에는 코비드 19(COVID 19) 등의 다양한 전염병 확산에 따라 마스크 착용이 법적으로 의무화된 바 있다.
마스크 착용의 의무화를 통해 전염병 확산을 크게 줄이고 있으나, 하나의 마스크를 수일 동안 반복하여 착용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며, 이로 인해 전염병 바이러스 등에 오염된 마스크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다시 착용함에 따라 전염병 바이러스가 확산될 위험이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반복적인 착용으로 오염된 마스크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는 방안 강구가 필요하다.
또한 마스크 착용의 의무화뿐만 아니라 밀폐된 장소 출입시에는 특정 시간 대에 해당 장소에 출입한 대상자를 확인하여 추적이 가능하도록 출입 명부를 작성하거나 출입 대상자에 대응되는 코드를 입력받아 관리하고 있다.
출입명부 작성시 다수의 사람이 접촉한 명부와 필기구를 반복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오염을 우려하여 이러한 명부 작성을 꺼리게 되며, 또한 명부를 작성한 사람의 휴대전화번호 등이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스마트폰 등을 통한 QR 코드 등을 인식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는데, 스마트폰을 소지하지 않은 경우나 스마트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노령층의 경우에 이러한 기술을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다양한 밀폐 장소 출입시마다 매번 코드를 인식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다수의 출입자가 분비는 상황에서는 코드 인식을 위해 대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224938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마스크 착용자의 식별정보를 보유한 식별 저장 수단을 마스크에 탈착 가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새로운 마스크로 교체시 식별 저장 수단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밀폐된 장소 출입시마다 출입자가 매번 출입 명부를 작성하거나 코드를 입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자 한다.
나아가서 하나의 마스크를 수일 동안 반복 착용함에 따라 전염병 바이러스 등에 오염된 마스크의 반복 사용으로 인해 전염병이 확산되는 위험을 해소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일실시예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안테나; 식별 저장 수단의 탈착을 제공하며, 상기 안테나와 연결되는 안테나 단자가 마련된 탈착부; 및 마스크 착용자의 식별정보를 보유하고 상기 탈착부에 장착되어 상기 안테나를 통해 상기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식별 저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 저장 수단은, 마스크 착용자의 식별정보를 저장한 식별 정보 저장부; 상기 탈착부의 안테나 단자에 대응되어 상기 안테나와 전기적 연결되는 안테나 연결부; 및 배터리를 보유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 저장 수단은, 상기 탈착부에 식별 저장 수단을 최초 장착시 마스크의 사용 시작 정보를 설정하는 마스크 사용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서 순차적으로 적층된 겉감, 중간제, 필터 및 안감을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는 상기 겉감과 접촉되는 상기 중간제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테나는, 상기 중간제의 표면에 전극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크 착용자의 식별정보를 보유한 식별 저장 수단을 마스크에 탈착 가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새로운 마스크로 교체시 식별 저장 수단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비접촉 근접 통신을 통해 마스크 착용자의 식별 정보 제공이 가능하므로, 밀폐 장소의 출입시마다 출입자가 매번 출입 명부를 작성하거나 발급된 개인안심번호로 인증을 수행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마스크 최초 착용시 해당 마스크의 사용 시작 정보가 설정됨으로써 오염된 마스크의 지속적인 착용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마스크에서 식별 저장 수단의 분리시 탈착부가 뜯겨 분리되어 재차 식별 저장 수단의 장착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해당 마스크의 재사용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위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자 확인 가능 마스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일실시예에 대한 절단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별 저장 수단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정보를 설정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를 통해 출입자를 확인하는 출입자 관리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중앙 관리 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식별정보가 저장된 식별 저장 수단의 탈착이 가능한 마스크를 이용하여 비접촉 근접 무선 통신으로 출입자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여 출입을 관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자 확인 가능 마스크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2는 상기 도 1의 마스크 일실시예를 X-X'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100)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겉감(101), 중간제(103), 필터(105), 안감(10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로서 마스크(100)의 필터링 기능에 따라 마스크(100) 자체를 구성하는 재질과 적층되는 구성층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마스크(100) 내부에는 안테나(120)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겉감(101)과 접촉되는 중간제(103)의 일면에 안테나(120)가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120)의 배치 위치는 마스크(100)의 적층 구조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안테나(120)는 중간제(103)의 표면에 전극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120)의 전극 패턴은 적용되는 근접 무선 통신 방식에 맞춰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령, RFID 통신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마스크(100)의 안테나(120)는 RFID 안테나로 기능할 수 있다.
외부로 노출되는 겉감(101)의 외면에 식별 저장 수단(150)이 탈착되는 탈착부(110)가 마련될 수 있다.
탈착부(110)에는 식별 저장 수단(150)이 삽입 장착될 수 있는 장착 공간(115)이 마련되며, 장착 공간(113)은 탈착 격벽(11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탈착부(110)에는 안테나(120)와 연결되는 안테나 단자(115)가 마련될 수 있다. 탈착부(110)의 안테나 단자(115)는 식별 저장 수단(150)을 장착 공간(115)에 장착시 식별 저장 수단(150)의 비접촉 근접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탈착 격벽(111)은 겉감(101) 외면에 부착될 수 있다. 탈착 격벽(111)과 장착 공간(113)은 식별 저장 수단(150)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탈착 격벽(111)의 끝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장착 돌기(112)가 마련될 수 있다. 장착 공간(113)에 식별 저장 수단(150)을 장착하면 장착 돌기(112)에 의해 식별 저장 수단(150)은 고정되면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탈착부(110)의 장착 공간(113)에 식별 저장 수단(150)을 삽입 장착한 후 식별 저장 수단(150)을 탈착부(11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식별 저장 수단(150)을 분리하기 위한 외력이 장착 돌기(112)에 그대로 전달되면서 탈착 격벽(111)이 접촉된 겉감(101) 외면 부착 부위가 뜯겨져 식별 저장 수단(150)과 함께 탈착 격벽(111)도 마스크(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스크(100)의 사용 후 식별 저장 수단(150)을 분리하는 경우, 탈착 격벽(111)도 함께 분리됨으로써 이후 마스크(100)에 식별 저장 수단(150)의 장착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사용된 마스크(100)의 재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식별 저장 수단(150)은 마스크(100)의 탈착부(110)에 탈착이 가능하다.
마스크(100)는 일회 또는 수회 사용 후 폐기가 필요하나, 식별 저장 수단(150)은 마스크의 교체시 분리하여 새로운 마스크에 장착이 가능하다.
식별 저장 수단(150)은 마스크 착용자의 식별 정보를 보유하며, 마스크(100)의 탈착부(110)에 장착되어 안테나(120)를 통해 근접 무선 통신 방식으로 식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식별 저장 수단(150)은 일면에 안테나 연결부(155)가 마련되어, 마스크(100)의 탈착부(110)에 식별 저장 수단(150)의 장착시 탈착부(110)의 안테나 단자(115)에 식별 저장 수단(150)의 안테나 연결부(155)가 접촉됨으로써 전기적으로 도통될 수 있다.
식별 저장 수단(150)과 관련하여,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별 저장 수단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식별 저장 수단(150)은 식별 정보 저장부(151), 마스크 사용 설정부(153), 안테나 연결부(155), 전원부(15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정보 저장부(151)는 식별 저장 수단(150)이 장착된 마스크(100)를 착용한 착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정보는 마스크 착용자를 구분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일례로서,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착용자가 보유한 무선 통신 기기의 고유 정보 등이 될 수도 있고, 또는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해당 착용자에게 부여된 고유 식별 번호, 안심 번호 정보 등이 될 수도 있다.
마스크 사용 설정부(153)는 마스크(100)의 최초 사용 시작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서 마스크(100)에 식별 저장 수단(150)을 최초 장착 시점을 마스크(100)의 최초 사용 시작 정보로 설정하여 보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스크 교체를 위해 기존 마스크에서 식별 저장 수단(150)을 분리시 마스크 사용 설정부(153)는 리셋되며, 새로운 마스크에 식별 저장 수단(150)을 장착하면 마스크 사용 설정부(153)는 새로운 마스크의 최초 사용 시작 정보를 설정하여 보유할 수 있다.
안테나 연결부(155)는 식별 저장 수단(150)의 외면에 마련되어 마스크(100)에 식별 저장 수단(150)의 장착시 안테나 단자(115)와 접촉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안테나 연결부(155)가 마스크(100)의 안테나(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비접촉 근접 무선 통신 방식의 외부 장치로 마스크 착용자의 식별 정보와 해당 마스크의 사용 시작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전원부(157)는 배터리를 보유하여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근접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식별 정보 저장부(151)의 마스크 착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 설정 또는 마스크 사용 설정부(153)의 마스크 사용 시작 정보 설정 등과 관련하여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정보를 설정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마스크 착용자(10)가 보유한 이동 통신 단말기(170) 등을 통해 식별 저장 수단(150) 및 착용하는 마스크(100)에 대한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식별 저장 수단(150)을 마스크(100)에 장착한 상태에서 마스크(100)의 안테나(120)를 통해 근접 무선 통신이 가능하므로, 이동 통신 단말기(170)를 통해 식별 저장 수단(150) 및 착용하는 마스크(100)에 대한 정보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마스크 착용자(10)는 자신이 보유한 이동 통신 단말기(170)를 통해 식별 저장 수단(150)의 식별 정보 저장부(151)에 자신의 고유 식별 정보를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식별 저장 수단(150) 자체에 변경될 수 없는 고유 식별 정보가 할당된 경우, 마스크 착용자(10)는 자신이 보유한 이동 통신 단말기(170)를 통해 식별 저장 수단(15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자신의 식별 정보로 중앙 관리 장치에 등록할 수도 있다.
또한 마스크 착용자(10)가 마스크(100)를 초기 사용시 마스크(100)의 탈착부에 식별 저장 수단(150)을 장착하면 마스크 사용 설정부(153)는 마스크(100)의 안테나와의 최초 전기적 연결을 인식하여 마스크(100)의 사용 시작을 파악할 수 있으며, 마스크 착용자(10)가 보유한 이동 통신 단말기(17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현제 날짜와 시간 정보가 셋팅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를 통해 출입자를 확인하는 출입자 관리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를 적용하여 출입자 확인이 가능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은, 출입자(10a, 10b)가 착용하는 마스크(100a, 100b), 출입자(10a, 10b)의 출입을 파악하는 출입 관리 장치(200), 출입 명부를 관리하면서 출입자(10a, 10b)의 착용 마스크(100a, 100b)에 대한 교체 여부 정보를 제공하는 중앙 관리 장치(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밀폐 공간을 출입하는 출입자들(10a, 10b)은 RFID 태그가 구비된 마스크(100a, 100b)를 착용하며, 출입 관리 장치(200)는 해당 밀폐 공간을 출입하는 출입자(10a, 10b)들이 착용한 마스크(100a, 100b)의 RFID 태그를 인식한다.
여기서 출입 관리 장치(200)는, 출입이 제한되는 시설물 등의 출입구에 설치된 출입 통제 게이트 장치(200a)에 적용될 수도 있고, 백화점, 마트, 도서관 등의 출입구에 설치된 출입자 확인 장치(200b)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서 카페, 식당 등의 출입구에 비치되어 출입자를 확인하는 테블릿 등의 단말기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출입 관리 장치(200)는 출입자를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와 관련하여,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를 통해 출입자를 관리할 수 있는 출입 관리 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출입 관리 장치(200)는, 마스크 인식부(210), 체온 측정부(220), 정보 제공부(230), 통신부(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출입자에게 소독 유체를 분사하거나 소독액을 분출하여 제공하는 소독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마스크 인식부(210)는 출입자가 착용한 마스크의 비접촉 근접 통신 방식으로 인식하여 해당 마스크의 착용자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스크 인식부(210)는 근접 무선 통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UHF 방식을 적용하여 마스크(100)의 안테나가 RFID 태그로 기능하고 마스크 인식부(210)가 RFID 리더기로 기능함으로써 RFID 리더기에 RFID 태그를 직접 접촉시키지 않고도 일정한 이격 거리 내에서 마스크 착용자의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근접 무선 통신 방식은 RFID 태그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서 마스크 인식부(210)는 마스크 착용자의 식별 정보와 함께 해당 마스크의 사용 시작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체온 측정부(220)는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한다. 체온 측정부(220)는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출입자를 촬영하여 체온을 측정할 수도 있고 또는 광 조사를 통해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도 있다.
정보 제공부(230)는 출입자에게 시각 정보 또는 청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출입자의 출입 허용 여부, 체온 정보, 마스크에 대한 정보 등 다양한 알림 정보와 위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240)는 중앙 관리 장치(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240)는 중앙 관리 장치(300)로 마스크 인식부(210)를 통해 인식한 마스크 착용자의 식별 정보 및 해당 마스크의 사용 시작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40)는 체온 측정부(220)를 통해 측정한 출입자의 체온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중앙 관리 장치(300)로부터 해당 마스크를 착용한 출입자에 대한 알림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중앙 관리 장치(300)는 여러 장소에 설치된 다수의 출입 관리 장치(200)로부터 마스크 착용자에 대한 식별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장소에 출입하는 출입자를 관리하고, 해당 출입자에 대한 알림 정보나 위험 정보 등을 출입 관리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크 착용자의 식별정보를 보유한 식별 저장 수단을 마스크에 탈착 가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새로운 마스크로 교체시 식별 저장 수단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비접촉 근접 통신을 통해 마스크 착용자의 식별 정보 제공이 가능하므로, 밀폐 장소의 출입시마다 출입자가 매번 출입 명부를 작성하거나 발급된 개인안심번호로 인증을 수행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마스크 최초 착용시 해당 마스크의 사용 시작 정보가 설정됨으로써 오염된 마스크의 지속적인 착용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마스크에서 식별 저장 수단의 분리시 탈착부가 뜯겨 분리되어 재차 식별 저장 수단의 장착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해당 마스크의 재사용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100a, 100b : 마스크,
101 : 겉감, 103 : 중간제,
105 : 필터, 107 : 안감,
110 : 탈착부, 111 : 탈착 격벽,
112 : 장착 돌기, 113 : 장착 공간,
115 : 안테나 단자,
120 : 안테나,
150 : 식별 저장 수단,
151 : 식별 정보 저장부, 153 : 마스크 사용 설정부,
155 : 안테나 연결부, 157 : 전원부,
170 : 이동 통신 단말기,
200, 200a, 200b : 출입 관리 장치,
210 : 마스크 인식부, 220 : 체온 측정부,
230 : 정보 제공부, 240 : 통신부,
300 : 중앙 관리 장치.

Claims (5)

  1.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안테나;
    식별 저장 수단의 탈착을 제공하며, 상기 안테나와 연결되는 안테나 단자가 마련된 탈착부; 및
    마스크 착용자의 식별정보를 보유하고 상기 탈착부에 장착되어 상기 안테나를 통해 상기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식별 저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저장 수단은,
    마스크 착용자의 식별정보를 저장한 식별 정보 저장부;
    상기 탈착부의 안테나 단자에 대응되어 상기 안테나와 전기적 연결되는 안테나 연결부; 및
    배터리를 보유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저장 수단은,
    상기 탈착부에 식별 저장 수단을 최초 장착시 마스크의 사용 시작 정보를 설정하는 마스크 사용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적층된 겉감, 중간제, 필터 및 안감을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는 상기 겉감과 접촉되는 상기 중간제의 일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중간제의 표면에 전극 패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KR1020210118414A 2021-09-06 2021-09-06 착용자 확인 가능 마스크 KR202300358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414A KR20230035870A (ko) 2021-09-06 2021-09-06 착용자 확인 가능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414A KR20230035870A (ko) 2021-09-06 2021-09-06 착용자 확인 가능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870A true KR20230035870A (ko) 2023-03-14

Family

ID=85502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414A KR20230035870A (ko) 2021-09-06 2021-09-06 착용자 확인 가능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587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388B1 (ko) 2020-11-17 2021-05-07 허근회 식별부가 구비된 마스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388B1 (ko) 2020-11-17 2021-05-07 허근회 식별부가 구비된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9285B1 (ko) 근접 위치확인 시스템
JP2007268020A5 (ko)
US20160000196A1 (en) System for avoiding credit card loss
JP6813842B1 (ja) イベント用マスク、検出装置、サーバー、イベントの入場許否処理方法
KR100673234B1 (ko) Rfid를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10242518B2 (en) Inaudible tones used for security and safety
KR101094657B1 (ko) 건설공사 현장의 안전모를 매개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KR20230035870A (ko) 착용자 확인 가능 마스크
EP3740940B1 (en) Identification badge system
WO20150306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personal information for emergency situation
KR102332667B1 (ko) 야외활동을 하는 아동의 실종 방지와 발열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아동 관리 시스템
KR100823740B1 (ko) 치매 환자 배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61191B1 (ko)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 및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
KR101608384B1 (ko) 전자 잉크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스마트 카드
KR20140011170A (ko)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210055171A (ko)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427306B1 (ko) Rfid 태그를 이용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28204B1 (ko) 실버 케어 시스템
KR20090002121A (ko) Rfid 기반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89125B1 (ko) 지문인식 및 체온 측정이 가능한 출입 통제 시스템
IT201800009200A1 (it) Braccialetto identificativo di sicurezza
US119597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and transmitting patrol routes
ES2344444B1 (es) Sistema de control de acceso en instalaciones y obras de construccion.
KR20210055170A (ko)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6018633A (ja) 就業状況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